KR20140088464A -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464A
KR20140088464A KR1020130000369A KR20130000369A KR20140088464A KR 20140088464 A KR20140088464 A KR 20140088464A KR 1020130000369 A KR1020130000369 A KR 1020130000369A KR 20130000369 A KR20130000369 A KR 20130000369A KR 20140088464 A KR20140088464 A KR 20140088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information
reservation
termin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이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하 filed Critical 이동하
Priority to KR102013000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464A/ko
Publication of KR2014008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약 신청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예약 정보와 질환 안내 데이터를 포함한 병원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단말기;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하며, 환자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Hospital custom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 고객의 예약 관리는 물론, 진료 후 환자 증상에 따른 질환별 안내 정보를 환자에게 전송하여 진료 후 환자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의 일반적인 진료관리 형태는 우선, 환자가 내원하여 진료과목을 선택하고 진료를 신청하면 신상정보에 따라 수기로 고객카드를 작성하고 상기 고객카드를 방문한 환자의 순서대로 직접 담당의사에게 전달하여 담당의사가 해당환자를 순서대로 진료하고 환자의 고객카드에 진료내용 및 처방내용을 기재하여 차후의 환자 방문시 진료자료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병원 진료관리 방식은 고객카드를 서류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방문시 해당 고객카드를 직접 찾아야 하며, 담당의사에게 고객카드를 전달하고 진료가 끝난 환자의 고객카드를 다시 수거하여 처방에 따른 의료처치를 해야하므로, 번거로운 것이었으며 신속한 업무수행을 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이 병원은 진료업무와 일반 관리업무를 병행해야 하므로 업무관리가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업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는 진료신청서를 제출한 이후 대부분을 대기하는 시간으로 소비하게 된다. 결국, 진료를 받기 위해 장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것은 환자에게 큰 불쾌감을 주게되며, 이러한 문제점은 병원의 고객유치에 마이너스 요인이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C를 이용한 전자차트 환자관리 방식이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자차트를 이용한 환자관리 방식은 환자의 내원시 환자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당 환자의 신상정보 및 진료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차후 환자방문시 참고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처방 전달 시스템을 위한 의사 처방 입력방법은 의사가 한 화면에서 모든 처방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업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환자의 진료정보 및 기초 신상정보만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진료스케줄관리 등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적극적인 고객유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의사 1인당 진료 환자수의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는 의사로부터 질환에 대한 간단한 내용과 처방 내용과 다음번 방문 날짜 등에 대한 내용만을 듣게 된다. 따라서, 진료시 의사로부터 질환에 대한 상세한 설명, 환자가 유의해야 하는 사항 등은 진료 시간의 부족으로 서비스 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의 경우이며, 이에 대한 환자들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진료 시간을 할애하여 환자의 요구사항들을 수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58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원 고객의 예약 관리는 물론, 진료 후 환자 증상에 따른 질환별 안내 정보를 환자에게 전송함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질환 내용 및 유의 사항을 안내하여 환자의 질환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예약 신청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예약 정보와 질환 안내 데이터를 포함한 병원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단말기;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하며, 환자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기저장된 각 병원 단말기별 진료 예약 현황 데이터 및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는 진료 예약부;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질환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해당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주거지 주변의 약국 또는 해당 환자가 방문한 병원 주변의 약국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약국 안내부;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별 및 고객 단말기별로 처리하고, 통계 자료를 추출하는 통계 처리부; 및 고객 단말기로 해당 병원의 만족도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조사용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설문 조사 내용을 상기 통계 처리부로 전송하는 고객만족도 조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료 예약부는 각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예약 신청 정보 및 예약 확정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일정 정보와, 의사별 및 예약 구분별로 소요되는 예상 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예상 진료 시간 정보로 구성된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약 일정 정보와 예상 진료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비교하여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예약 시간 추출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예약 확정 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확정 정보를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예약 확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질환 안내부는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매칭되는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질환별 데이터베이스 매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는 환자에게 질환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 내용이 포함된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질환별 기초내용 데이터베이스; 및 질환별 환자의 금지사항, 약의 복용방법,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질환별 환자 메뉴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환자 진료 정보를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매칭되는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원 고객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고객의 예약 관리는 물론, 진료 후 환자 증상에 따른 질환별 안내 정보를 환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의사의 진료 시간 부족에 따른 질환 정보 및 질환 관리 방법에 대한 자료를 환자에게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진료 서비스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병원 고객 관리 서버의 진료 예약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진료 예약부의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질환 안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병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예약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질환 안내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100), 통신망(200), 병원 단말기(300) 및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거나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고객 단말기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병원 단말기(300) 및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와 연결된다. 이때 통신망(200)은 인터넷, 랜, 무선 통신망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진료 예약 신청, 예약 취소, 예약 정보 또는 병원 만족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한다.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병원 단말기(300) 및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그리고, 병원 단말기(300) 및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예약 정보 및 질환 안내 데이터는 통신망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되며, 사용자는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활용하게 된다.
병원 단말기(300)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다수의 고객 단말기(100)와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와 연결된다. 병원 단말기(300)는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전송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에서 전송된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해당 병원에서 진료하는 진료 과목에 대한 질환 기초 안내 또는 질환 관리를 위한 환자 메뉴얼 등과 같은 질환 안내 데이터를 동영상 또는 텍스트 자료 등으로 생성한 후, 생성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환자의 진료 후, 환자 진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러한 환자 진료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여,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에서 환자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된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병원의 환자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병원 단말기(300) 또는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적합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300) 또는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고객 단말기(100)로 해당 병원의 만족도 및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설문 조사 내용을 통계 처리한 후, 통계 처리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병원 고객 관리 서버의 진료 예약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는 진료 예약부의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질환 안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진료 예약부(410), 질환 안내부(420), 데이터 통신부(430), 약국 안내부(440), 통계 처리부(450), 고객만족도 조사부(460) 및 제어부(490)를 포함한다.
진료 예약부(410)는 기저장된 각 병원 단말기별 진료 예약 현황 데이터 및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고객이 예약 신청을 확정하여 예약 확정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예약 확정 정보를 고객 단말기 또는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질환 안내부(420)는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또한,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적합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300) 또는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통신부(430)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연결된 고객 단말기(100) 또는 병원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고객 단말기(100) 또는 병원 단말기(30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약국 안내부(440)는 해당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주거지 주변의 약국 또는 해당 환자가 방문한 병원 주변의 약국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계 처리부(450)는 다수의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와 다수의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각 병원 단말기별 및 각 고객 단말기별로 처리하고, 통계 자료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객만족도 조사부(460)는 고객 단말기(100)로 해당 병원의 만족도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조사용 데이터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설문 조사 내용을 통계 처리부(450)로 전송한다. 통계 처리부(450)에서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설문 조사 내용을 통계 처리한 후, 통계 처리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제어부(490)는 진료 예약부(410), 질환 안내부(420), 데이터 통신부(430), 약국 안내부(440), 통계 처리부(450) 및 고객 만족도 조사부(4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료 예약부(410)는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411), 예약 시간 추출부(412) 및 예약 확인부(413)를 포함하며,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411)는 예약 일정 정보(411a)와 예상 진료 시간 정보(411b)를 포함한다.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411)는 예약 일정 정보(411a)와 예상 진료 시간 정보(411b)로 구성되며, 예약 일정 정보(411a)는 각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예약 신청 정보 및 예약 확정 정보를 포함하며, 예상 진료 시간 정보(411b)는 의사별 예약 구분별(예를 들면, 진료, 검사, 수술)로 소요되는 예상 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진료의 경우는 5분, 초음파 검사의 경우는 10분 등으로 설정가능하다.
예약 시간 추출부(412)는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된 예약 일정 정보와 예상 진료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비교하여, 진료 및 수술 스케쥴이 비어있는 일정 중에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와 일치하거나 근접한 일정 중에서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약 확인부(413)는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된 예약 확정 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확정 정보를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질환 안내부(420)는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421) 및 질환별 데이터베이스 매칭부(425)를 포함하며,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421)는 질환별 기초내용 데이터베이스(422) 및 질환별 환자 메뉴얼 데이터베이스(423)를 포함한다.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421)는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한다.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421)는 질환별 기초내용 데이터베이스(422) 및 질환별 환자 메뉴얼 데이터베이스(423)로 구성된다.
질환별 기초내용 데이터베이스(422)는 환자에게 질환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 내용이 포함된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구성되며, 질환별 환자 메뉴얼 데이터베이스(423)는 질환별 환자의 금지사항, 약의 복용방법, 식단 정보 등과 같이 환자가 질병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포함한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로 구성된다.
질환별 데이터베이스 매칭부(425)는 병원 단말기(300)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421)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적합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300) 또는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병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병원 단말기(300)는 데이터 입력부(310), 데이터 송수신부(320), 디스플레이부(330), 질환별 데이터베이스 생성부(340) 및 병원 단말기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310)는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전송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 및 환자 진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데이터 입력부(31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00)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나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질환별 데이터베이스 생성부(340)는 진료하는 진료 과목에 대한 질환 기초 안내 또는 질환 관리를 위한 환자 메뉴얼 등과 같은 질환 안내 데이터를 동영상 또는 텍스트 자료 등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병원 단말기 제어부(390)는 데이터 입력부(310), 데이터 송수신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질환별 데이터베이스 생성부(3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예약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환자는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진료 예약 신청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객 단말기(100)에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예약 신청 정보는 병원 단말기(300)로 전송된다(S11).
병원 단말기(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2). 그리고 나서, 저장된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13).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병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저장한다(S14). 그리고 나서, 기저장된 예약 현황과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비교하여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5).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추출된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병원 단말기(300) 및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6, S17).
예약 가능 시간 정보 중에 예약을 확정할 경우, 고객은 고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예약 확정 정보를 입력한다(S18). 예약 확정 정보는 병원 단말기(300)로 전송되며(S19), 병원 단말기(300)는 전송된 예약 확정 정보를 저장한다(S20). 그리고 나서, 병원 단말기(300)는 예약 확정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병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예약 확정 정보를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질환 안내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병원 단말기에서 질환 안내 데이터 예를 들면, 환자에게 질환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 내용이 포함된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 또는 질환별 환자의 금지사항, 약의 복용방법, 식단 정보 등과 같이 환자가 질병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포함한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생성한다(S101).
생성된 질환 안내 데이터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S102). 전송된 질환 안내 데이터는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103). 본 실시예의 경우, 병원 단말기에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병원 고객 관리 서버에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병원 단말기(300)는 환자 진료 후, 환자 진료 정보를 저장한다(S104). 그리고 나서, 환자 진료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5).
병원 고객 관리 서버(400)는 병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적합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6).
그리고 나서,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300) 또는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7).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고객 단말기(100)로 해당 병원의 만족도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조사용 데이터를 전송한다(S108).
고객 단말기는 고객이 입력한 설문 조사 답변 데이터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109).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수신된 설문 조사 답변 내용을 통계처리하는 과정을 수행(S110)한 후, 통계처리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11).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고객 단말기
200 : 통신망
300 : 병원 단말기
400 : 병원 고객 관리 서버

Claims (7)

  1.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예약 신청 관련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예약 정보와 질환 안내 데이터를 포함한 병원 정보를 수신하는 고객 단말기;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병원 고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단말기;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예약 신청 정보를 수신하며, 환자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기저장된 각 병원 단말기별 진료 예약 현황 데이터 및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기초로 예약 가능 시간을 추출하는 진료 예약부;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질환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해당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기초로 해당 환자의 주거지 주변의 약국 또는 해당 환자가 방문한 병원 주변의 약국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약국 안내부;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병원 단말기별 및 고객 단말기별로 처리하고, 통계 자료를 추출하는 통계 처리부; 및
    고객 단말기로 해당 병원의 만족도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조사용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설문 조사 내용을 상기 통계 처리부로 전송하는 고객만족도 조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예약부는,
    각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예약 신청 정보 및 예약 확정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일정 정보와, 의사별 및 예약 구분별로 소요되는 예상 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예상 진료 시간 정보로 구성된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약 일정 정보와 예상 진료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예약 신청 정보를 비교하여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예약 시간 추출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예약 확정 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확정 정보를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예약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안내부는,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매칭되는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질환별 데이터베이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는,
    환자에게 질환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 내용이 포함된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질환별 기초내용 데이터베이스; 및
    질환별 환자의 금지사항, 약의 복용방법, 식단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e-book 또는 텍스트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질환별 환자 메뉴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병원 고객 관리 방법으로서,
    병원 단말기에서 전송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병원 고객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 업체에서 생성한 질환별 질환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여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환자 진료 정보를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병원 고객 관리 서버는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환자 진료 정보를 기초로 상기 질환 안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환자에 매칭되는 질환 안내 데이터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질환 안내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기 또는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고객 관리 방법.
KR1020130000369A 2013-01-02 2013-01-02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8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69A KR20140088464A (ko) 2013-01-02 2013-01-02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69A KR20140088464A (ko) 2013-01-02 2013-01-02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464A true KR20140088464A (ko) 2014-07-10

Family

ID=5173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369A KR20140088464A (ko) 2013-01-02 2013-01-02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4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413A (ko) 2017-11-23 2019-05-31 (주)바이앤어스 고객 유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KR20190059414A (ko) 2017-11-23 2019-05-31 (주)바이앤어스 병원 고객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25736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투곰스 클라우드기반 병원고객관리 시스템
KR20200061097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굿모닝 지능형 의료 컨설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82541B1 (ko) 2021-07-1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413A (ko) 2017-11-23 2019-05-31 (주)바이앤어스 고객 유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KR20190059414A (ko) 2017-11-23 2019-05-31 (주)바이앤어스 병원 고객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25736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투곰스 클라우드기반 병원고객관리 시스템
KR20200061097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굿모닝 지능형 의료 컨설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82541B1 (ko) 2021-07-15 2022-04-08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9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ealthcare practice
Lanham et al. Telemedicine and orthopaedic surgery: the COVID-19 pandemic and our new normal
KR101039001B1 (ko)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180045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used to track medical information at a hospital
CN109543863A (zh) 一种就医任务管理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Tsai et al. Teleconsultation by using the mobile camera phone for remote management of the extremity wound: a pilot study
US872553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gathering and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EP27679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US9015630B2 (en) Clinical photographic recordkeep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346575B2 (en) System and methods of automated patient check-in, scheduling and prepayment
US20240079132A1 (en) Softw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and related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160078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care management
KR20140088464A (ko) 병원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38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d utilizing family medical history
KR101512068B1 (ko)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477345A (zh) 一种智能远程医疗系统
Slocum et al. Improving chemotherapy infusion operations through the simulation of scheduling heuristics: a case study
US20120179490A1 (en) Trusted Partner Medical Records System and Method
US20150100349A1 (en) Untethered Community-Centric Patient Health Portal
WO2016196023A1 (en) Method for an interactive, patient controll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 a digital, real time manner which features a single point of entry for patients, physicians, all other health care providers, health care payers, researcher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KR20170061251A (ko) 병원정보 기반의 환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KR20000049696A (ko) 의약분업에 대비한 전화, 인터넷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한환자, 의사, 약사가 회원으로 구성된 간편한 진료, 처방전및 약의 전달 방법과 이에 문제시되는 진료비 수령 방법과그에 필요한 증거 자료 확보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863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82932A1 (en) Medical Travel Companion
US20130151271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are coordination in health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