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795A - 선박용 반목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반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795A
KR20120007795A KR1020100068499A KR20100068499A KR20120007795A KR 20120007795 A KR20120007795 A KR 20120007795A KR 1020100068499 A KR1020100068499 A KR 1020100068499A KR 20100068499 A KR20100068499 A KR 20100068499A KR 20120007795 A KR20120007795 A KR 20120007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ull block
ship
angl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영
김준호
김춘섭
박성용
함돈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795A/ko
Publication of KR2012000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반목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는,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제 1 각도로 체결되어 선체블럭의 곡률이 형성된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반목 장치{Support beam for painting block}
본 발명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블럭을 지지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선체블럭을 제조하여 조립한다. 이때, 선체블럭의 외부표면은 일반적으로 도장을 한다. 특히, LNG(Liquefied natural gas)선과 같이 특수선인 경우 선체블럭의 외부표면에는 실리콘 도장을 수행한다. 이때, 선체블럭의 하측에는 지지구조물이 배치되어 선체블럭을 지지한다.
한편, 선체블럭에 실리콘 도장을 하는 경우 선체블럭의 곡면부분과 지지구조물 사이에서 마찰력이 다소 약해진다. 따라서 선체블럭이 지지구조물을 따라 일부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에 의하여 선체블럭의 곡면부분 도장의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도장이 손상되는 경우 해수에 의하여 선박이 파손되거나 부식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재도장을 수행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선체블럭의 일부를 재도장하는 경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작업자가 재도장하는 과정에서 도장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재도장하는 경우, 재도장 작업으로 인해 선박의 건조일정이 지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블럭을 지지할 때, 선체블럭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선체블럭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제 1 각도로 체결되어 선체블럭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선체블럭 곡면의 접선면과 상기 지지부가 동일한 평면을 형성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블럭을 지지하도록 소정각도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블럭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반목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반목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바닥에 체결되는 체결부(110)를 포함한다. 체결부(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0)의 일측에는 작업장의 바닥에 선박용 반목 장치(100)를 고정하도록 체결부재(C)가 체결되는 체결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111)은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홀들(111)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C)는 볼트, 앵커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체결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디부(120)를 포함한다. 바디부(120)는 체결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20)는 체결부(11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20)는 체결부(110)와 용접 등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20)는 H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2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20)는 길이가 가변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바디부(120)의 일단에 체결되는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지지부(140)는 바디부(120)와 제 1 각도(θ)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각도(θ)는 선체블럭(B) 곡면의 접선면과 지지부(140)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40)는 바디부(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선체블럭(B)의 곡면이 형성된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블럭(B)의 곡면에 의하여 선체블럭(B)이 선수측 또는 선미측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바디부(120)의 일측에 삽입되는 고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쐐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바디부(120)의 높이를 고정하도록 바디부(12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부(130)에 망치 또는 지그 등으로 힘을 가하여 바디부(1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지지부(140)의 일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방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방지부(150)는 선체블럭(B)의 표면에 접촉하는 보루(15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방지부(150)는 보루(151)와 지지부(140) 사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루(151)는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재질은 천연섬유,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루(151)는 헝겊, 옷, 섬유원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부(152)는 비닐류, 장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방지부(150)는 선체블럭(B)이 슬라이딩할 때, 선체블럭(B)의 표면에 접촉하여 선체블럭(B) 외부표면의 도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선박용 반목 장치(100)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박(미도시)을 건조하는 경우, 선체블럭(B)을 제조하여 조립한다. 이때, 선체블럭(B)은 도크 또는 육상 등에서 조립된다. 이때, 선체블럭(B)의 하측에는 선박용 반목 장치(100)가 배치된다.
작업자는 선체블럭(B)을 상기와 같이 조립하는 경우, 지지부(140)를 제 1 각도(θ)를 형성하도록 조절한다. 이때, 제 1 각도(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용 반목 장치(10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된다.
예를 들면, 선수측에 배치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100)의 경우, 작업자는 선수측이 선미측보다 높도록 제 1 각도(θ)를 조절한다.
또한, 선미측에 배치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100)의 경우, 작업자는 선미측이 선수측보다 높도록 제 1 각도(θ)를 조절한다.
작업자는 제 1 각도(θ)가 조절되면, 크레인(미도시) 등으로 선체블럭(B)을 각각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때, 선체블럭(B)이 선박용 반목 장치(100)의 상측에 위치하면 선체블럭(B)의 하중에 의하여 제 1 각도(θ)가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부(140)에 선체블럭(B)이 안착하는 경우 지지부(140)는 회전하지 않고 선체블럭(B)의 일면과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선체블럭(B)의 곡면에 의하여 슬라이딩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선체블럭(B)의 슬라이딩으로 인한 선체블럭(B) 외부표면의 도장을 보호할 수 있다.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선체블럭(B)의 외부표면 도장을 다시 재도장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재도장을 방지하여 선주들의 신뢰도를 화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선박용 반목 장치 140 : 지지부
110 : 체결부 150 : 슬라이딩방지부
120 : 바디부 151 : 보루
130 : 고정부 152 : 합성수지부

Claims (6)

  1.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제 1 각도로 체결되어 선체블럭의 곡률이 형성된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선체블럭 곡면의 접선면과 상기 지지부가 동일한 평면을 형성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선체블럭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방지부는,
    상기 선체블럭에 접촉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보루와,
    상기 보루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부를 구비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
KR1020100068499A 2010-07-15 2010-07-15 선박용 반목 장치 KR20120007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99A KR20120007795A (ko) 2010-07-15 2010-07-15 선박용 반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99A KR20120007795A (ko) 2010-07-15 2010-07-15 선박용 반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95A true KR20120007795A (ko) 2012-01-25

Family

ID=4561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499A KR20120007795A (ko) 2010-07-15 2010-07-15 선박용 반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79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3276A (zh) * 2012-10-11 2013-02-13 江苏熔盛重工有限公司 一种船舶分段总组和总段搭载用快速支撑工装
KR20130006668U (ko) * 2012-05-11 2013-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도킹용 지지구조
KR101338917B1 (ko) * 2012-03-13 2013-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스러스터의 육상 장착 방법
CN104787231A (zh) * 2015-03-20 2015-07-22 李静 一种船仓钢板垫座
KR20150126165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블록 설치 장치
KR101717973B1 (ko) * 2015-11-09 2017-03-20 (주)유일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KR102587279B1 (ko) * 2022-10-13 2023-10-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목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17B1 (ko) * 2012-03-13 2013-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스러스터의 육상 장착 방법
KR20130006668U (ko) * 2012-05-11 2013-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도킹용 지지구조
CN102923276A (zh) * 2012-10-11 2013-02-13 江苏熔盛重工有限公司 一种船舶分段总组和总段搭载用快速支撑工装
KR20150126165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블록 설치 장치
CN104787231A (zh) * 2015-03-20 2015-07-22 李静 一种船仓钢板垫座
KR101717973B1 (ko) * 2015-11-09 2017-03-20 (주)유일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KR102587279B1 (ko) * 2022-10-13 2023-10-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795A (ko) 선박용 반목 장치
KR20100067391A (ko) 선박의 계류 장치
KR101762832B1 (ko) 선박용 계류 장치
KR20120125719A (ko)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101774922B1 (ko) 선박 방오 장치
KR101621202B1 (ko) 적재 표면을 갖는 선박, 선박용 바닥 요소 및 체결 요소
BR9300025A (pt) Metodo de elevar um modulo de casco de embarcacao,metodo para fabricar um componente principal de um navio-tanque,metodo para fabricar um navio-tanque,componente de parte do meio de navio-tanque,modulo de casco de embarcacao,navio-tanque e secao de dique seco flutuante
KR100914385B1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JP2016527144A (ja) 貨物船の甲板に積載されて輸送される複数のコンテナを支えるための設備
KR200468323Y1 (ko) 선박 계류용 펜더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KR20120055383A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JP7370049B2 (ja) 係船機を用いた離着桟装置
KR102151601B1 (ko) 고정식 해양설비의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101903088B1 (ko) 초크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150008271A (ko) 부력 장치
SE1350466A1 (sv) Ett förtöjningssystem
KR20150001713U (ko)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버티컬 베슬 지지 구조
KR20160083545A (ko) 선박용 엔진 리프팅 장치
RU2777543C2 (ru) Швартовоч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356155Y2 (ko)
KR102066428B1 (ko) 해양 구조물의 배리어
KR101189917B1 (ko) 시험선박용 미끄럼 이동식 난간구조
JPH03184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