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973B1 -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 Google Patents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973B1
KR101717973B1 KR1020150156328A KR20150156328A KR101717973B1 KR 101717973 B1 KR101717973 B1 KR 101717973B1 KR 1020150156328 A KR1020150156328 A KR 1020150156328A KR 20150156328 A KR20150156328 A KR 20150156328A KR 101717973 B1 KR101717973 B1 KR 101717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hinge
tilting
tilting bod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배
고정석
장경식
Original Assignee
(주)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 filed Critical (주)유일
Priority to KR102015015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63B2736/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간편하고 안전하게 진수하기 위한 육상건조된 선박의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은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콘크리트 지지대에서 들어올린 후 운반수단에 싣고 콘크리트 지지대 상단의 받침목을 제거하여 이송하는 선박이송단계; 틸팅 진수장치의 상단 슬라이딩패드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윤활유 도포단계; 상기 운반수단에 실린 선박을 상기 틸팅 진수장치로 이동시켜 슬라이딩패드에 선박의 선미부터 종방향으로 탑재하는 선박탑재단계; 상기 틸팅 진수장치의 선수측 하부를 들어올려 틸팅 진수장치의 하부 무게 중심을 바다측으로 이동시키는 무게중심이동단계; 상기 틸팅 진수장치의 메인힌지부가 기울어져 슬라이딩패드의 상단에 올려진 선박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1차진수단계; 상기 선박이 바다쪽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는 과정에서 틸딩 진수장치의 바다측 일단에 구비된 보조힌지부가 선박의 하중을 받아 작동되는 2차진수단계; 및 선박의 선미부터 바다에 입수되어 자기 부상한 선박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선박제동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는 지면에 설치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고정되며, 쌍을 이루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힌지하부재와, 상기 힌지하부재 한 쌍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복수의 힌지상부재, 및 상기 힌지하부재와 힌지상부재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핀을 포함한 메인힌지부; 상기 힌지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된 틸팅몸체; 상기 틸팅몸체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 보조틸팅몸체; 상기 틸팅몸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보조힌지부; 상기 틸팅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테프론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패드; 상기 틸팅몸체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슬라이딩패드 상단에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윤활유가 도포된 윤활유도포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Method of launching a ship on the ground by tilting system}
본 발명은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간편하고 안전하게 진수하기 위한 육상건조된 선박의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을 건조할 때에는 드라이 도크(Dry dock) 내에서 건조한 뒤 진수(進水)시 도크에 물을 채워 진수하는 방법을 보통 사용한다.
그러나 드라이 도크는 건설시에도 비용, 부지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설 후 운용하는 데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선박의 건조주문량이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드라이 도크의 건설에는 유지비용의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드라이 도크가 한정적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선박 수주량이 증가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형선박을 드라이 도크가 아닌 육상에서 건조하고, 이를 연안으로 이동시켜 진수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로 선박을 육상에서 건조한 후 레일이나 스키드웨이를 통해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 진수바지(Barge) 등으로 이동시키고, 플로팅 도크를 적당한 위치나 깊은 바다로 이동하고 플로팅 도크나 진수바지(Barge)만 가라앉히는 싱킹(Sinking) 작업으로 적재된 도크나 바지에 선박을 진수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연구·개발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1553호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같이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횡방향으로 진수하는 방법은 선박 길이만큼의 선박이 계류될 안벽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진수과정에서 선박이 선적된 바지선에 물을 채워 가라앉히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횡방향 진수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박을 블록단위로 건조한 후 각 블록을 플로팅 도크로 이동시켜 플로팅 도크에서 용접하여 건조하는 방법들도 개발되었으나, 별도의 작업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플로팅 도크의 작업회전율이 낮아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1553호
본 발명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는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연안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고 안전하게 진수하여 진수비용과 진수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은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콘크리트 지지대에서 들어올린 후 운반수단에 싣고 콘크리트 지지대 상단의 받침목을 제거하여 이송하는 선박이송단계; 틸팅 진수장치의 상단 슬라이딩패드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윤활유 도포단계; 상기 운반수단에 실린 선박을 상기 틸팅 진수장치로 이동시켜 슬라이딩패드에 선박의 선미부터 종방향으로 탑재하는 선박탑재단계; 상기 틸팅 진수장치의 선수측 하부를 들어올려 틸팅 진수장치의 하부 무게 중심을 바다측으로 이동시키는 무게중심이동단계; 상기 틸팅 진수장치의 메인힌지부가 기울어져 슬라이딩패드의 상단에 올려진 선박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1차진수단계; 상기 선박이 바다쪽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는 과정에서 틸딩 진수장치의 바다측 일단에 구비된 보조힌지부가 선박의 하중을 받아 작동되는 2차진수단계; 및 선박의 선미부터 바다에 입수되어 자기 부상한 선박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선박제동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제동단계는 상기 선박의 자기 부상을 위해 선적량에 따라 설정된 값만큼 발라스팅 탱크에 물을 넣고 빼는 발라스팅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는 지면에 설치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고정되며, 쌍을 이루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힌지하부재와, 상기 힌지하부재 한 쌍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복수의 힌지상부재, 및 상기 힌지하부재와 힌지상부재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핀을 포함한 메인힌지부; 상기 힌지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된 틸팅몸체; 상기 틸팅몸체의 바다측 상부에 결합된 보조틸팅몸체; 상기 틸팅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몸체와 보조틸팅몸체의 결합을 매개하는 보조힌지부; 상기 틸팅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테프론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패드; 상기 틸팅몸체의 육지측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슬라이딩패드 상단에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윤활유가 도포된 윤활유도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몸체는 선박이 종방향으로 탑재되어 육지쪽에서 외력을 받아 상기 메인힌지부에 의해 무게 중심이 변동되어 바다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슬라이딩패드의 상단에 올려진 선박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선박의 슬라이딩 이동 과정에서 상기 보조힌지부가 선박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선박의 선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힌지부는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바디부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다수의 보조힌지하부재와, 상기 보조힌지하부재들 한 쌍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보조틸팅몸체와 결합된 보조힌지상부재 및 상기 보조힌지하부재와 보조힌지상부재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결합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몸체에 탑재된 선박의 선수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유압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구동부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한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 및 상기 펌프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유압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는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진수할 수 있도록 하여 드라이 도크의 회전율과 관계없이 탄력적으로 선박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수하여 진수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의 진행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에 선박이 탑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의 메인힌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의 보조힌지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에 선박이 탑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에 따라 1차진수단계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b는 도 8a 이후 2차진수단계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a와 도 8b의 진행과정을 연속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은 건조된 선박을 선박건조 지지대에서 분리하여 틸팅 진수장치로 이송하는 선박이송단계(S10); 틸팅 진수장치 상단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윤활유도포단계(S20); 윤활유가 도포된 틸팅 진수장치의 상단에 선박을 종방향으로 탑재하는 선박탑재단계(S30); 틸팅 진수장치의 무게 중심을 바다측으로 변화시키는 무게중심이동단계(S40); 틸팅 진수장치의 무게 중심 변화에 의해 선박의 슬라이딩 이동이 시작되는 1차진수단계(S50); 선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틸팅 진수장치의 보조힌지부가 작동되는 2차진수단계(S60); 및 입수된 선박의 부력과 부상위치를 조절하여 선박의 위치를 잡는 선박제동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박이송단계(S10)는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1)을 운반수단을 통해 선박건조 지지대에서 들어올리고 선박건조 지지대 상단의 받침목을 제거하여 운반수단에 선박을 실어 이송하는 단계이다. 육지에서 선박을 건조할 때는 선박을 지지할 선박건조 지지대 위에서 건조하므로 선박이송단계에는 선박건조가 완료된 후 선박건조 지지대에서 들어올려 분리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선박의 운반수단은 선박 건조시 이송작업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압장비를 갖춘 트랜스포터 등과 같은 이송장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유 도포단계(S20)는 선박을 진수하기 위하여 선박의 계류 등을 위한 연안에 설치된 틸팅 진수장치(10) 상단의 슬라이딩패드(500)에 슬라이딩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윤활유를 도포하여 윤활유도포층(70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때 윤활유는 육지 측과 바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식물성 기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윤활유 도포단계(S20)는 선박이송단계(S10)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선박탑재단계(S30)는 운반수단에 실려 틸팅 진수장치(10)로 이송된 선박을 윤활유의 도포가 완료된 슬라이딩패드(500)의 상단에 선박의 선미(B)부터 종방향으로 탑재하는 단계이다. 이때, 선박이 탑재될 틸팅 진수장치(10)는 선박의 양측을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안벽에 한 쌍이 설치되어 선박의 양측이 틸팅 진수장치(10) 한 쌍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박의 탑재시 선박의 진수가 시작되기 전까지 무게 중심이 육지 측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주의하면서 탑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게중심이동단계(S40)는 틸팅 진수장치(10)에 탑재된 선박의 선수(A)측 하부를 포크레인, 유압잭 등의 장비를 통해 들어올려 틸팅 진수장치(10)의 무게 중심이 육지에서 바다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박탑재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무게 중심이 육지 측에 유지되고, 무게중심이동단계(S40)가 진행되는 동안 무게 중심이 점차 바다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육지 측에서 바다 측으로 무게 중심이 변동되는 시점과 변동 비율은 선박의 크기와 하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1차진수단계(S50)는 무게 중심의 변동에 따라 틸팅 진수장치(10)의 메인힌지부(200)가 바다 측으로 기울어져 슬라이딩 패드(500)의 상단에 올려진 선박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2차진수단계(S60)는 선박이 바다 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면서 틸팅 진수장치(10)의 선수측 일단에 구비된 보조힌지부(400)가 선박의 하중을 받아 기울어져 작동되는 단계로서, 이때 보조힌지부(400)가 작동되면서 선박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입수되는 과정에서 선박의 선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박제동단계(S70)는 선박의 선미(B)부터 선수(A)까지 바다에 입수되어 진수 완료된 선박의 위치를 계류지점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서, 진수선박과 와이어로프 등으로 연결된 예인선을 이용해 선박의 계류지점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선박제동단계(S70)는 선박의 자기 부상을 위해 발라스팅 펌프 등을 이용하여 선박의 선적량 등에 따라 설정된 값만큼 선박의 발라스팅 탱크에 물을 넣거나 빼면서 선박 자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발라스팅단계(S71)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박제동단계(S70)는 선박의 선미(B)부터 선수(A)까지 입수되면 선박과 와이어로프 등으로 연결된 예인선을 통해 선박이 계류할 계류장소에 이송한 후 선박의 발라스팅조정을 수행하여 선박의 하중에 따른 부력을 조절하도록 하였으며, 선박의 진수가 완료된 후 틸팅 진수장치(10)는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틸팅몸체(300)의 바다측 단부를 잡고 들어올려 육지측 하부가 지지대(600)에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진수작업이 끝나면 진수설비를 포장으로 씌우거나 진수장치의 각 구성들을 분리하여 창고에 보관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에 이용되는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는 연안에 설치된 베이스판(100);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메인힌지부(200);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어 메인힌지부(200) 상부에 결합된 틸팅몸체(300); 틸팅몸체(3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보조힌지부(400); 틸팅몸체(300)의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슬라이딩패드(500); 틸팅몸체(300)의 육지측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지대(600); 및 슬라이딩패드(500) 상단에 윤활유가 도포된 윤활유도포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100)은 지면 - 바람직하게는 선박이 계류할 수 있도록 건설된 연안에 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판(100)의 상부 재질은 후술할 틸팅몸체(300)의 일측과 닿았을 때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되었으나, 충격발생시 완충할 수 있는 성질이 있는 다른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보관이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지면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힌지부(200)는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결합된 구성으로, 앵커볼트 등을 통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힌지부(200)는 쌍을 이루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힌지하부재(210)와, 힌지하부재(210) 한 쌍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복수의 힌지상부재(220), 및 힌지하부재(210)와 힌지상부재(220)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핀(230)을 포함하여, 상단에 결합된 틸팅몸체(300)가 무게중심 변화에 의해 틸팅몸체(300)가 바다 측으로 기울어졌을 때 틸팅몸체(300)에서 보조틸팅몸체가 결합된 측이 베이스판(100)에 닿도록 구성되었다.
틸팅몸체(30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형성되어 메인힌지부(200)의 상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틸팅몸체(300)는 상단에 선박이 종방향으로 탑재되도록 형성되고 하부의 무게 중심이 변동될 수 있는 역삼각형의 구조로서, 무게 중심의 변화에 따라 바다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틸팅몸체(300)의 바다쪽 상부에는 후술할 보조힌지부(400)를 매개로 보조틸팅몸체(350)가 소정 범위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보조힌지부(400)는 틸팅몸체(300)의 바다쪽 상부에 구비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조힌지부(400)는 메인힌지부(200)와 유사하게 쌍으로 구성되어 틸팅몸체(300)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다수의 보조힌지하부재(410)들과, 보조힌지하부재(410)들 한 쌍 사이에 끼워지며, 보조틸팅몸체(350)에 결합된 보조힌지상부재(420) 및 보조힌지하부재(410)와 보조힌지상부재(420)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결합부재(430)로 구성되었으나,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힌지부(400)는 보조힌지상부재(420)의 상단에 결합된 보조틸팅몸체(350)가 선박의 슬라이딩 이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선박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선박의 슬라이딩 이동시 선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패드(500)는 한 쌍이 틸팅몸체(300)와 보조틸팅몸체(350)의 상부에 결합되며, 테프론(PTFE) 재질로 형성되어, 선박이 슬라이딩패드(500)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슬라이딩패드(500) 테프론 재질의 하부에는 스틸 플레이트가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패드(500)는 틸팅몸체(300) 상단에 결합된 메인패드(510)들과, 보조틸팅몸체(350)의 상단에 따라 결합된 보조패드(520)들로 구성되어 보조틸팅몸체(350) 측에 설치된 보조패드(520)도 보조힌지부(400)의 작동시 보조틸팅몸체(350)와 함께 움직이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600)는 틸팅몸체(300)의 육지측 - 바람직하게는 선수측 하부 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구성으로, 선박을 틸팅몸체(300) 상단에 탑재할 시 틸팅몸체(300)의 선수측 하부가 지지대(6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선박의 탑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틸팅몸체(300)가 육지로 기울어져 틸팅몸체(300)를 들어올리는데 더 많은 힘과 장비가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600)는 틸팅몸체(300)와 진수할 선박의 크기 및 하중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윤활유도포층(700)은 선박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윤활유가 슬라이딩패드(500)의 상단에 도포된 구성으로, 윤활유도포층(700)에 도포되는 윤활유는 육지와 바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식물성 기름에서 추출한 성분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생분해성 등의 친환경적 성질을 가진 윤활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틸팅몸체(300)에 탑재된 선박의 선수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유압구동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압구동부(800)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펌프에 의한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레버 등의 조작수단 및 펌프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실린더 등의 유압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다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트랜스포터나 포크레인 등에 설치되어 다른 유압장비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유압구동부(800)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육지에서 선박의 건조시 선박을 지지할 콘크리트 지지대를 설치하여 선박을 건조하고, 선박건조가 완료되면 트랜스포터 등의 운송수단을 통해 지지대에서 분리하여 이송할 준비를 한다.
이때, 선박을 진수하기 위한 틸팅 진수장치 한 쌍을 안벽에 설치하고, 틸팅 진수장치의 상단에 윤활유를 도포하여 슬라이딩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틸팅 진수장치의 설치와 윤활유의 도포가 완료되면, 선박의 진수가 시작되기 전까지 무게 중심이 육지 측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주의하면서 운송수단에 실린 선박을 선미(B)부터 종방향으로 틸팅 진수장치 상단에 설치된 슬라이딩패드(500) 위에 탑재한다.
틸팅몸체(300)에 선박이 종방향으로 탑재된 후 틸팅몸체(300)는 육지측 하부에서 포크레인 등의 장비가 밀어올리는 외력을 받아 메인힌지부(200)의 작동에 의해 무게 중심이 바다 측으로 이동되고 틸팅몸체(300)가 바다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딩패드(500)의 상단에 올려진 선박이 슬라이딩하기 시작한다.
이때, 선박의 슬라이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선박의 하중에 의해 틸팅몸체(300)의 바다측 상부에 구비된 보조힌지부(400)가 작동되어 보조틸팅몸체(350)가 기울어져 선저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선박의 선미(B)부터 선수(A)까지 입수되면 선박의 발라스팅조정을 수행하여 선박의 하중에 따른 부력을 조절하여 선박이 자기 부상되도록 하고, 선박과 와이어로프 등으로 연결된 예인선을 통해 선박이 계류될 곳으로 선박을 위치시켜 진수를 완료하게 된다.
선박의 진수가 완료된 후 틸팅 진수장치(10)는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틸팅몸체(300)의 상단 일측을 잡고 들어올려 선수측 하부가 지지대(600)에 닿아 지지받는 상태가 되게 하거나, 진수장치의 각 구성들을 분리하여 보관하면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틸팅 진수공법은 선박을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진수할 수 있도록 하여 드라이 도크의 회전율과 관계없이 선박수주량에 따라 탄력적으로 선박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수하여 진수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선박
10 : 틸팅 진수장치
100 : 베이스판 200 : 메인힌지부
210 : 힌지하부재 220 : 힌지상부재
230 : 힌지핀 300 : 틸팅몸체
350 : 보조틸팅몸체
400 : 보조힌지부 410 : 보조힌지하부재
420 : 보조힌지상부재 430 : 힌지결합부재
500 : 슬라이딩패드 600 : 지지대
700 : 윤활유도포층 800 : 유압구동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 설치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고정되며, 쌍을 이루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힌지하부재와, 상기 힌지하부재 한 쌍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 복수의 힌지상부재, 및 상기 힌지하부재와 힌지상부재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핀을 포함한 메인힌지부;
    상기 힌지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된 틸팅몸체;
    상기 틸팅몸체의 바다측 상부에 결합된 보조틸팅몸체;
    상기 틸팅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몸체와 보조틸팅몸체의 결합을 매개하는 보조힌지부;
    상기 틸팅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테프론 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패드;
    상기 틸팅몸체의 육지측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슬라이딩패드 상단에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윤활유가 도포된 윤활유도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몸체는 선박이 종방향으로 탑재되어 육지쪽에서 외력을 받아 상기 메인힌지부에 의해 무게 중심이 변동되어 바다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슬라이딩패드의 상단에 올려진 선박이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선박의 슬라이딩 이동 과정에서 상기 보조힌지부가 선박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선박의 선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힌지부는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틸팅몸체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다수의 보조힌지하부재와, 상기 보조힌지하부재들 한 쌍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보조틸팅몸체와 결합된 보조힌지상부재 및 상기 보조힌지하부재와 보조힌지상부재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결합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몸체에 탑재된 선박의 선수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된 유압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구동부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한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 및 상기 펌프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유압구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장치.
KR1020150156328A 2015-11-09 2015-11-09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KR101717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28A KR101717973B1 (ko) 2015-11-09 2015-11-09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28A KR101717973B1 (ko) 2015-11-09 2015-11-09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973B1 true KR101717973B1 (ko) 2017-03-20

Family

ID=5850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328A KR101717973B1 (ko) 2015-11-09 2015-11-09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9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981B1 (ko) 2019-04-26 2019-09-18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분리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KR102022097B1 (ko) 2019-04-26 2019-11-04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일체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및 상기 선양장에서의 도킹방법
CN117509511A (zh) * 2024-01-05 2024-02-06 成都味科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灌装瓶对位结构
CN117509511B (zh) * 2024-01-05 2024-05-24 成都味科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灌装瓶对位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553A (ko) 2004-10-08 2006-04-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
KR20090114754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20120007795A (ko) * 2010-07-15 2012-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반목 장치
KR101505460B1 (ko) * 2013-09-27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유낙하형 구명정 진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553A (ko) 2004-10-08 2006-04-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
KR20090114754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20120007795A (ko) * 2010-07-15 2012-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반목 장치
KR101505460B1 (ko) * 2013-09-27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유낙하형 구명정 진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981B1 (ko) 2019-04-26 2019-09-18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분리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KR102022097B1 (ko) 2019-04-26 2019-11-04 주식회사 케이알엔지니어링 일체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및 상기 선양장에서의 도킹방법
CN117509511A (zh) * 2024-01-05 2024-02-06 成都味科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灌装瓶对位结构
CN117509511B (zh) * 2024-01-05 2024-05-24 成都味科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灌装瓶对位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034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ea installations
KR100623201B1 (ko) 스키드 론칭시스템을 이용한 육상 선박 건조 및 진수방법
JP2009520630A (ja) 停泊システム
KR101717973B1 (ko) 육상건조된 선박의 종방향 틸팅 진수공법 및 틸팅 진수장치
KR20100129451A (ko) 분할 건조 방식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NO339313B1 (no) Skliskoinnretning for lasting og transport av store strukturer
EP3601141B1 (en) A lifting device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KR101015167B1 (ko) 이동식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바지선 및 운반물의 이송에따른 바지선의 발라스팅 방법
NO339275B1 (no) Sklibjelkeinnretning for lasting og transport av store strukturer
US9499239B2 (e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US20220243415A1 (en)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KR101459618B1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101499162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DK2945849T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 installation and recycling of marine structures
KR101466888B1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이동방법
KR102022097B1 (ko) 일체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및 상기 선양장에서의 도킹방법
GB2269138A (en) Stabilising submersible barges.
KR20130074086A (ko)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선체블록 운송방법
GB2580187A (en) Decommissioning of offshore structures
JPH0616179A (ja) 船舶の接岸装置
KR20150115052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안벽탑재시스템 및 그 탑재방법
KR20150034338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KR20110079442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