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338A -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 Google Patents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338A
KR20150034338A KR20130114267A KR20130114267A KR20150034338A KR 20150034338 A KR20150034338 A KR 20150034338A KR 20130114267 A KR20130114267 A KR 20130114267A KR 20130114267 A KR20130114267 A KR 20130114267A KR 20150034338 A KR20150034338 A KR 2015003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rge
mega
unit
transpor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4338A/ko
Publication of KR2015003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은, (a) 필드에서 초대형 메가블록을 트랜스포터유닛에 싣고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안벽에 블록탑재 바지선을 접안하되, 트랜스포터유닛과 블록탑재 바지선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 트랜스포터유닛에 의해 초대형 메가블록을 블록탑재 바지선의 탑재 데크로 이동시켜 트랜스포터유닛과 함께 탑재하는 단계; (d) 초대형 메가블록과 트랜스포터유닛이 함께 탑재된 블록탑재 바지선을 초대형 메가블록의 탑재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e) 트랜스포터유닛을 탑재장소에 대해 위치 정렬시키며, 초대형 메가블록을 트랜스포터유닛과 함께 탑재장소로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VESSEL OR OCEAN CONSTRUCTION BLOLK LOADING METHOD AND BARGE USED THERETO}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대형 메가블록을 육지로부터 해상을 통해 탑재장소에 탑재할 수 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국내 조선소들은, 작업이 수월한 공간에서 최대한 대형 블록으로 제작하고, 블록들을 더욱 대형화하여 조립하는 블록 대형화 건조공법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왔다.
이러한 적극적인 기술개발에 힘입어 생산공정 및 생산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데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가 높은 대형 컨테이너선, 대형 LNG선, FPSO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선박 및 해상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최근에는 도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기간이 짧을수록 선박의 생산성에 유리하기 때문에, 크레인 용량을 늘리고 선체블록들을 대형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블록 대형화에 따른 선박 및 해상구조물의 건조공법에서, 블록 대형화란 작은 블록에서 큰 블록으로 조립하되, 선체생산공장에서 조립된 여러 개의 일반블록을 선행 탑재하여 블록 크기를 대형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여러 개의 대형화된 블록들을 하나의 도크에 탑재하여 조립공정을 수행하는 데에는 초대형의 육상 또는 해양 크레인이 사용된다.
일 예로, 해양 크레인에 의한 고정 플랫폼(fixed platform)과 초대형 메가블록의 탑재에 대한 공사 수행 시, 이동대차에 의해 고정 플랫폼을 안벽으로 이동시켜 바지선에 실으며, 바지선을 탑재장소로 이동시켜 해상 크레인에 의해 고정 플랫폼을 탑재장소에 탑재하는, 블록탑재공법이 진행된다.
이러한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는 블록탑재공법은, 전적으로 해상 크레인의 리프팅 용량(lifting capacity)에 달려 있으며, 해상 크레인의 리프팅 용량이 일반적으로는 크지 않은 실정이므로, 리프팅을 위해 고정 플랫폼의 하중을 줄이는 작업을 진행한 후, 탑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는 블록탑재공법은, 해상 크레인의 리프팅 용량의 한도로 적절하게 블록을 제작 또는 블록의 중량을 다시 조정해야 하므로,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블록공법에 대한 공기를 지연시킬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측면에서 위험성 또한 늘어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120386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해상 크레인의 리프팅 용량에 관계 없이 초대형 메가블록을 제작할 수 있으며,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장소로 이동시켜 탑재할 수 있으므로,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블록공법에 대한 공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측면에서 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필드에서 초대형 메가블록을 트랜스포터유닛에 싣고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벽에 블록탑재 바지선을 접안하되, 상기 트랜스포터유닛과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에 의해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의 탑재 데크로 이동시켜 상기 트랜스포터유닛과 함께 탑재하는 단계; (d)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과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이 함께 탑재된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을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의 탑재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을 상기 탑재장소에 대해 위치 정렬시키며,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트랜스포터유닛과 함께 상기 탑재장소로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의 이동경로에는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트랜스포터유닛 상에는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지지하도록 반목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에는, 상기 안벽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이 이동 가능한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탑재장소에는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이 이동 가능한 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에는, 상기 레일들 상에서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견인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안벽에서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에 탑재한 후,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을 해상에서 침하시킬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탑재장소에서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을 해상에서 부상시킬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탑재장소에 탑재되는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유압잭 유닛에 의해 지지하며, 상기 유압잭 유닛에 의해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반목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은, 수면에 대한 높이가 밸러스트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위치정렬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추진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서 밸러스트에 의해 부상 또는 침하되도록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를 추진 또는 위치 정렬하도록 상기 선체의 복수개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추진유닛;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배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랜스포터유닛을 견인할 수 있도록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견인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 바지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상 크레인의 용량에 관계 없이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초대형 메가블록을 육지에서 바지선으로 안벽 이동하여 싣고, 바지선을 탑재장소로 이동시켜 바지선의 높이를 부력에 의해 탑재장소의 높이까지 조절하여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장소에 정렬한 후,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장소로 이동시켜 탑재할 수 있으므로,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블록공법에 대한 공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측면에서 위험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에 따른 트랜스포터유닛에 의한 초대형 메가블록의 육지이동을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초대형 메가블록이 트랜스포터유닛에 의해 지지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견인유닛과 트랜스포터유닛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에 따른 트러스 받침대 상의 초대형 메가블록을 블록탑재 바지선 상으로 탑재한 후, 블록탑재 바지선을 침하시키는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에 따른 블록탑재 바지선을 탑재장소로 이동한 후, 블록탑재 바지선을 부상시키며, 블록탑재 바지선으로부터 탑재장소로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하는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에 따른 트랜스포터유닛에 의한 초대형 메가블록의 육지이동을 도시한 배치도이며, 도 2는 도 1의 초대형 메가블록이 트랜스포터유닛에 의해 지지된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압견인유닛과 트랜스포터유닛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에 따른 트러스 받침대 상의 초대형 메가블록을 블록탑재 바지선 상으로 탑재한 후, 블록탑재 바지선을 침하시키는 개략적인 배치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에 따른 블록탑재 바지선을 탑재장소로 이동한 후, 블록탑재 바지선을 부상시키며, 블록탑재 바지선으로부터 탑재장소로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하는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은, 필드에서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트랜스포터유닛(110)에 싣고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a)와,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탑재장소(130)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안벽에 블록탑재 바지선(120)을 접안하되, 트랜스포터유닛(110)과 블록탑재 바지선(120)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b)와, 트랜스포터유닛(110)에 의해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블록탑재 바지선(120)의 탑재 데크로 이동시켜 트랜스포터유닛(110)과 함께 탑재하는 단계(c)와, 초대형 메가블록(100)과 트랜스포터유닛(110)이 함께 탑재된 블록탑재 바지선(120)을 초대형 메가블록(100)의 탑재장소(130)로 이동시키는 단계(d)와, 트랜스포터유닛(110)을 탑재장소(130)에 대해 위치 정렬시키며,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트랜스포터유닛(110)과 함께 탑재장소(130)로 탑재하는 단계(e)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해상 크레인의 용량에 관계 없이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트랜스포터유닛(110)에 의해 육지에서 블록탑재 바지선(120)으로 안벽 이동하여 실을 수 있다.
또한, 블록탑재 바지선(120)에 실은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탑재장소(130)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바지선의 높이를 부력에 의해 탑재장소(130)의 높이까지 조절하여 초대형 메가블록(100)의 탑재장소(130)에 정렬한 후,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탑재장소(130)로 이동시켜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은, 해상 크레인의 용량에 관계 없이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탑재장소(130)에 탑재시킬 있으므로,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블록공법에 대한 공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지연에 따른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위험요인을 미리 제거할 수 있다.
초대형 메가블록(100)은, 현존하는 해상 크레인으로 리프팅하기 어려운 중량을 갖는 메가블록들의 조합에 해당될 수 있다. 메가블록 또는 기가블록까지는 현존하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해상 크레인에 의해 해상도크의 탑재장소(130)에 탑재시킬 수 있으나, 초대형 메가블록(100)은 해상 크레인에 리프팅하여 탑재시키기 어려운 중량을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 예에서는, 부력에 의해 부상 높이가 조절되는 거대한 블록탑재 바지선(120)을 사용한다. 또한 육지로부터 탑재장소(130)까지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트랜스포터유닛(110)에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초대형 메가블록(100)은, 트랜스포터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탑재장소(130)의 레일(112) 상에 트랜스포터유닛(110)과 함께 탑재될 수 있다.
트랜스포터유닛(110)은,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의 전체적인 하중에 비해서는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트랜스포터유닛(110)을 초대형 메가블록(100)과 함께 탑재하는 방법이 현실적인 작업 공기에 유리하며, 공기의 지연 인자를 하나라도 배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터유닛(110)은, 제작장소에서 안벽으로 배치되는 레일(1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장소의 높이에 따라 즉 필요에 따라서는 건물의 몇 층 높이에 해당되는 거대한 초대형 대차장치(105)에 깔려 있는 레일(112) 상으로 이동되어 안벽에 있는 트러스 구조물의 트러스 받침대(108) 상의 레일(112)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레일(112)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 2개 노선씩 양쪽에 총 4개 노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트랜스포터유닛(110)은, 총 4개 노선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레일(112)을 이동할 수 있도록 차륜이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레일(112) 상에서 이동이 필요할 때에는 유압견인유닛(115)에 의해 이동된다.
즉 본 실시 예에 다른 트랜스포터유닛(110)에는, 레일(112)들 상에서 트랜스포터유닛(1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견인유닛(115)이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터유닛(110)의 이동경로에는 레일(112)이 배치되어 트랜스포터유닛(110)은 탑재장소(130)까지 유압견인유닛(115)과 블록탑재 바지선(12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터유닛(110) 상에는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지지하도록 반목(113)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트랜스포터유닛(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목(113)이 배치되며, 4열의 반목(113) 위에 초대형 메가블록(100)이 지지된다.
이처럼 초대형 메가블록(100)은, 트랜스포터유닛(110)에 의해 높이 상의 필요에 따라 트러스 받침대(108) 위를 거쳐 또는 바로 블록탑재 바지선(120)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트랜스포터유닛(110)은, 육지 측에 있는 유압견인유닛(115)에 의해 블록탑재 바지선(120) 위로 탑재되는데, 이를 위해 블록탑재 바지선(120)에는, 안벽으로부터 트랜스포터유닛(110)이 이동 가능한 레일(11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탑재장소(130)에도 블록탑재 바지선(120)으로부터 트랜스포터유닛(110)이 이동 가능한 레일(1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탑재 바지선(120)과 탑재장소(130)의 레일(112)들은 육지 측의 레일(112)들과 동일한 양상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블록탑재 바지선(120)에 탑재하는 (c) 단계에서는, 안벽에서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블록탑재 바지선(120)에 탑재한 후, 블록탑재 바지선(120)을 해상에서 일정 깊이 침하시킬 수 있다.
즉 블록탑재 바지선(120)은, 초대형 메가블록(100)의 육지 측 레일(112)에 대해 레일(112)의 높이가 정렬되도록 부상된 상태이므로, 탑재장소(130)까지 이동 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해상에서 침하될 수 있다. 이러한 침하는 블록탑재 바지선(120)에 탑재되는 밸러스트(125)에 의해 진행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탑재 바지선(120)이 탑재장소(130)에 도착한 상태에서는, 블록탑재 바지선(120)의 레일(112)을 탑재장소(130)의 레일(112)과 정렬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e) 단계에서는, 탑재장소(130)에서 블록탑재 바지선(120)의 레일(112)이 탑재장소(130)의 레일(112)에 정렬되도록 해상에서 부상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후에는, 블록탑재 바지선(120)에 탑재된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탑재장소(130)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즉, 블록탑재 바지선(120)의 레일(112) 상에 있는 트랜스포터유닛(110)을 유압견인유닛(115)에 의해 견인하여 탑재장소(1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는 유압견인유닛(115)이 트랜스포터유닛(110)을 전방에서 견인하게 되므로, 트랜스포터유닛(110)과 유압견인유닛(115)은 탑재장소(130)의 레일(112) 상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대형 메가블록(100)은, 탑재장소(130)에 대한 탑재작업이 완료되며, 탑재작업 이후 작업이 진행된다.
한편, (e) 단계 이후에는, 탑재장소(130)에 탑재되는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유압잭 유닛(140)에 의해 지지하며, 유압잭 유닛(140)에 의해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반목(113)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트랜스포터유닛(1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유압력을 갖는 유압잭 유닛(140)이 탑재장소(130)에 미리 마련되는 경우에 이러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터유닛(110)과 유압견인유닛(115)은, 초대형 메가블록(100)으로부터 분리되어 탑재장소(130)의 레일(112) 상에서 블록탑재 바지선(120)의 레일(112) 상으로 또는 탑재장소(130)의 외곽으로 이동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은, 안벽으로부터 블록탑재 바지선(120)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탑재장소(130)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해상 크레인의 사용 없이 부력에 의해 초대형 메가블록(100)을 탑재 높이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에서 밸러스트(125)에 의해 부상 또는 침하되도록 마련되는 선체(122)와, 선체(122)를 추진 또는 위치 정렬하도록 선체(122)의 복수개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추진유닛(127)과, 선체(122)의 상부 갑판에 배치되는 레일(112)과, 레일(112)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레일(112)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랜스포터유닛(110)을 견인할 수 있도록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견인유닛(115)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 바지선(1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탑재 바지선(120)은, 밸러스트(125)로서 선체(122)가 충분히 부상될 수 있도록 밸러스트(125) 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 선체(122)는, 높이 부상된 상태에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며, 이동속도와 관계 없이 충분한 탑재면적과 부피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선체(122)에는, 레일(112)에 탑재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터유닛(110)을 견인할 수 있는 유압견인유닛(115)이 탑재된다.
또한 복수의 추진유닛(127)은, 선체(122)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어 추진력에 의한 선체(122)의 추진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아지무스 추진기(Azimuth Propeller)와 같은 추진장치이다. 이러한 복수의 추진유닛(127)은, 선체(122)에 출몰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추진유닛(127)은, 필요 시에는 다 방향에서 서로 상쇄 또는 파랑에 의한 선체(122)의 유동을 잡을 수 있도록 각각의 추진방향 및 추진력이 전자동 제어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지피스(GPS) 위치인식 기능이 있어서 선체(122)의 위치 및 배치양상이 제어유닛(미도시)에 입력되면, 제어유닛에 의해 각각의 추진유닛(127)이 별도로 작동될 수 있다.
이처럼 블록탑재 바지선(120)은, 복수의 추진유닛(127)을 사용하여 방향 및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밸러스트(125)에 의해 초대형 메가블록(100)의 탑재 높이가 정해지면 이러한 복수의 추진유닛(127)이 가동되어 상호 대향하는 레일(112)끼리 정렬될 수 있으며, 레일(112)끼리 정렬될 상태에서는, 갑판 위의 레일(112)이 육지 측의 레일(112) 또는 탑재장소(130)의 레일(112)과 연결유닛(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초대형 메가블록 105: 초대형 대차장치
108: 트러스 받침대 110: 트랜스포터유닛
112: 레일 113: 반목
115: 유압견인유닛 120: 블록탑재 바지선
122: 선체 125: 밸러스트
127: 추진유닛 130: 탑재장소
140: 유압잭 유닛

Claims (9)

  1. (a) 필드에서 초대형 메가블록을 트랜스포터유닛에 싣고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탑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벽에 블록탑재 바지선을 접안하되, 상기 트랜스포터유닛과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c)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에 의해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의 탑재 데크로 이동시켜 상기 트랜스포터유닛과 함께 탑재하는 단계;
    (d)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과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이 함께 탑재된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을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의 탑재장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을 상기 탑재장소에 대해 위치 정렬시키며,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트랜스포터유닛과 함께 상기 탑재장소로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의 이동경로에는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트랜스포터유닛 상에는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지지하도록 반목이 배치되는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에는, 상기 안벽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이 이동 가능한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탑재장소에는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이 이동 가능한 레일이 배치되는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에는, 상기 레일들 상에서 상기 트랜스포터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견인유닛이 연결되는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안벽에서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에 탑재한 후,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을 해상에서 침하시키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탑재장소에서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을 해상에서 부상시키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탑재장소에 탑재되는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유압잭 유닛에 의해 지지하며, 상기 유압잭 유닛에 의해 상기 초대형 메가블록을 상기 반목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탑재 바지선은, 수면에 대한 높이가 밸러스트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위치정렬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추진유닛을 구비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9. 해상에서 밸러스트에 의해 부상 또는 침하되도록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를 추진 또는 위치 정렬하도록 상기 선체의 복수개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추진유닛;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배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트랜스포터유닛을 견인할 수 있도록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견인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 바지선.
KR20130114267A 2013-09-26 2013-09-26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KR20150034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267A KR20150034338A (ko) 2013-09-26 2013-09-26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267A KR20150034338A (ko) 2013-09-26 2013-09-26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338A true KR20150034338A (ko) 2015-04-03

Family

ID=5303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267A KR20150034338A (ko) 2013-09-26 2013-09-26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43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4536B (en) Method for building ship on ground and launching ship using skid launching system
US4556004A (en) Floating device for hoisting and transporting loads
US11142290B2 (en) Self-propelled jack-up vessel
WO20180749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mobile dock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removal, installation, housing and transferring assets
RU2707205C2 (ru) Способ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монтажа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верхнего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блока плавучего основания
CN105035260B (zh) 利用双船浮托整体拆除海上弃置平台上部组块的方法
KR101075160B1 (ko) 분할 건조 방식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CN103910044A (zh) 一种大型浮式海洋结构物半潜式举升平台及其应用方法
EP2465764B1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WO2020095697A1 (ja) 洋上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作業台船
KR20030087995A (ko) 양현하역용 하역장치
CN107187554B (zh) 用于半潜式钻井平台干拖运输的双体半潜驳船及作业方法
WO2013006041A1 (en) Shear leg crane and transportation vessel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EP2961649B1 (en) A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US20220243415A1 (en)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CN204846306U (zh) 用于双船浮托整体拆除海上平台上部组块的船侧支撑结构
KR20150034338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탑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블록탑재 바지선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20130074134A (ko)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 운반 방법
EP4053012B1 (en) Integrated disassembly system and disassembly method for large offshore structure
JP2006182296A (ja) スキッドランチングシステムを用いた陸上船舶建造及び進水方法
US20220355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ack structure for a transport vessel adapted for use with an offshore self-elevating vessel
WO2017222469A1 (en) Semi-submersible vessel
KR20150115052A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안벽탑재시스템 및 그 탑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