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890A -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890A
KR20120006890A KR1020100067609A KR20100067609A KR20120006890A KR 20120006890 A KR20120006890 A KR 20120006890A KR 1020100067609 A KR1020100067609 A KR 1020100067609A KR 20100067609 A KR20100067609 A KR 20100067609A KR 20120006890 A KR20120006890 A KR 20120006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ancer
fra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340B1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KR102010006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40B1/ko
Priority to US12/846,289 priority patent/US20120015056A1/en
Priority to JP2013519592A priority patent/JP2013533888A/ja
Priority to PCT/KR2011/005167 priority patent/WO2012008762A2/en
Publication of KR2012000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지, 우방자, 만형자, 금은화, 오가피, 내복자, 황기 및 맥아 추출물 또는 분획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암 치료 또는 예방 용도, 발모촉진 또는 탈모방지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SPECIFIC PLANTS, USE THEREOF AND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계지, 우방자, 만형자, 금은화, 오가피, 내복자, 황기 및 맥아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암 치료 또는 예방 용도, 발모촉진 또는 탈모방지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점점 더 증가되고 있는 심각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암은 비정상 세포의 조절되지 않는 성장 및 확산을 특징으로 가지며, 신체의 모든 기관 및 조직에 부작용을 미칠 수 있고, 종종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다. 암의 개시 및 진행에는 다수의 인자들이 역할을 하며, 이는 암의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또한, 어린이들 사이에서 암의 발병률이 최근에 증가되고 있다. 미국에서 암은 2007년 약 1,444,000 개의 새로운 케이스가 진단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방광을 제외한 임의의 부위의 비침투성암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기저 및 편평상피세포 피부암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암의 분자상 진단은 정상세포보다 암세포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항원 또는 단백질인 바이오마커 분자이거나 또는 신규 합성된 바이오마커 분자에 의존한다. 이러한 바이오마커들은 종양세포에 의해 직접 제조되거나 또는 암의 존재에 반응하는 신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환자의 샘플에서 바이오마커의 탐지는 암 진단에서 중요한 단계로서 주어질 수 있으며, 또한 암의 초기 단계에서 암을 검진해낼 수 있는 능력은 암환자의 생존률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해준다. 현재, 암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많은 유형의 항암제가 있으며, 이는 여러 개의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암제의 카테고리 분류 및 그의 예 중 하나는 하기와 같다.
(1) DNA 손상제: 독소루비신은 인접 뉴클레오티드로 삽입되어 RNA와 DNA 합성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안트라시클린 항생물질이다. 이러한 작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소루비신은 DNA와 약물간의 강한 상호작용을 형성시키며, 또한 DNA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 토포이소머라제 II를 억제한다. 독소루비신의 물질대사는 지질막의 과산화를 야기하는 자유 산소 라디칼을 생성하며, 칼슘은 심장조직으로부터 배출되는데, 이는 심근독성을 야기한다. 독소루비신의 주요한 임상 문제점은 약물 내성이다. 이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독소루비신은 광범위한 암에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안트라시클린이다.
(2) 알킬화제: 시클로포스파미드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알킬화제이다. 시토크롬 P-450 작용을 통해, 시클로포스파미드는 히드록실화 중간체로 변환되어 활성 포스포르아미드 머스타드 및 아크롤레인을 형성한다. 포스포르아미드 머스타드는 사슬내/사슬간 DNA 가교결합을 야기하며, 이는 광범위한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가져온다. 시클로포스파미드는 발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는 다른 암이 진행되는 위험을 증가시키며 면역계를 억제한다.
(3) 미세소관 억제제(MI): MI는 방추 미세소관 역학을 방해하며, 세포주기의 저지 및 세포자멸을 야기한다. 탁산류(파클리탁셀 및 도세탁셀)는 미세소관 중합제제이며, 빈카 알칼로이드는 미세소관 탈중합제제이다. 탁산류는 유방암 치료에 가장 활성제이다. 파클리탁셀은 β-튜블린에 결합하며, 미세소관 중합 및 안정성을 야기하며, 중기에서 후기로의 진행을 억제하며 세포자멸을 유도한다. 도세탁셀은 2세대 탁산이며, 파클리탁셀과 동일한 결합 부위를 가지며 친화도가 더 높다. 도세탁셀은 파클리탁셀보다 세포독성이 2 내지 4배 더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4) 빈카 알칼로이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콜히친, 포도필로톡신 및 노코다졸은 미세소관 말단에 높은 친화도를 가지고 그에 결합되며, 동원체에 미세소관이 부착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미세소관 접합의 억제를 야기하며, 미세소관을 불안정하게 하며, 세포자멸을 유도한다. 이는 탁산류와 결합 부위를 공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MI는 일반적으로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치료에 대해 보조 치료제로서 사용된다.
(5) 아로마타제 억제제(AI): 아로마타제는 안드로겐을 에스트로겐으로 전환시키며, 이에 따라 국부 에스트로겐 농도가 증가된다. 이는 유방암에 대해 발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는 아로마타제를 억제하지만 난소에서 에스트로겐을 생성하는 것을 차단하지 않으며, 이는 폐경기 후의 여성에게만 작용한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는 심혈관계 및 골에서 에스트로겐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심장 문제 및 골다공증이 주요한 부작용으로 나타난다.
(6) 비스테로이드성 호르몬 치료제: 타목시펜은 ER-음성 유방암 환자를 제외하고 골, 자궁 및 콜레스테롤 수준에서 에스트로겐성 효과를 갖는 한편, 유방에서 정상신호전달을 파괴하고 ER α/β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항에스트로겐성 효과를 나타내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로서 작용한다. 자궁에 대한 전에스트로겐 효과는 타목시펜으로 치료된 유방암 환자에게서 자궁암의 진행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랄록시펜은 차세대의 SERM으로서, 유방과 자궁 모두에서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자궁내막의 성장이 자극되지 않는다. 랄록시펜은 2007년에 FDA에서 승인되었으며, 위험 내력이 높은 폐경기 후의 여성에게서 침습성 유방암의 위험 및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랄록시펜은 골 및 심장에서 전에스트로겐 효과를 가지며, 이는 골밀도를 높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상기 언급된 치료제 모두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며 정상세포도 유사하게 사멸시킨다는 점에서 하나의 공통성을 가진다. 또한, 환자의 삶의 질을 매우 감소시키는 부작용이 존재한다.
최근에 2개의 추가의 유망한 항종양제가 개발되었다. 트라스투주마브(헤르셉틴)은 erbB-2 (her2/neu) 수용체에 결합하도록 특이적으로 설계된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이는 리간드 및 수용체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세포외 성장신호를 억제한다. 트라스투주마브는 항체 의존성 세포성 세포독성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트라스투주마브 내성은 세포질 신호전달의 수준에서 발견되었으며, 페르투주마브와 같은 추가의 모노클로날 항체가 erbB 수용체 신호를 상승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유망한 다른 약물은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글리벡(이마티니브 메실레이트)이다. 이마티니브는 다수의 티로신 키나제 효소의 특이적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2-페닐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이다. 이는 TK 활성 부위를 차지함으로써 기능하며, 활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마티니브는 abl(아벨슨 원종양유전자), c-kit 및 PDGF-R (혈소판-유도 성장인자 수용체)에서 TK 도메인에 대해 특이적이다. 이마티니브는 bcr-abl의 ATP 결합 부위에 결합하고 단백질의 효소활성을 경쟁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 이마티니브는 bcr-abl에 대해 선택적이며, 또한 상기 언급된 다른 타겟(ckit 및 PDGF-R)을 억제한다. 그러나, 글리벡으로 치료된 환자들에게서는 심장 문제, 빈혈 및 다른 부작용들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세포를 사멸시키는 수많은 방법들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표적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면서 부작용 및 세포독성을 매우 감소시키는 항암제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제까지 개발된 항암제는 항암효과가 우수한 경우 독성이 너무 강하여 신체기능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 또는 말기암 환자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독성이 낮은 경우에는 항암효과가 저하되거나 항암효과를 빠른 시간 내에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종래의 항암제는 혈액 독성, 위장 독성, 신경 독성, 피부 독성, 탈모, 불임 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항암제는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하지 못함에 따라 암세포 외에 정상세포까지도 파괴시킨다. 특히, 파클리탁셀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 중 하나이지만, 이는 난용성 물질로서 증류수에 거의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주사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임상적으로 이러한 물질의 과량 투여는 심장독성과 과민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탈모증(Baldness)이란 신체의 털, 그 중에서도 특히 머리카락이 부족한 상태를 일컫는다. 이는 신체 내분기계 이상에 의한 원형 탈모증과 유전적 기질에 의해 발현되는 남성형 탈모증으로 구분된다. 모낭 세포가 완전히 파괴되어 더이상 머리카락이 자라날 가능성이 없고, 이마선이 후퇴하여 외형상 정상인과 뚜렷이 구분이 가능할 때에는 대머리라고 한다. 남성형 탈모증의 경우 현대의학으로도 별다른 해결책이 없다. 피나스테라이드와 미녹시딜이 FDA 공인을 받기는 했지만, 탈모 현상의 진행을 늦춰줄 뿐이며, 근본적인 치료제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50대 이후의 남성에게 나타나는 탈모는 외모와 사회생활에 심각한 악효과를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20, 30대 젊은이 또는 여성에게 나타나는 탈모는 심한 우울증을 불러 일으키며, 구직과 결혼 및 사회생활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탈모증은 부모 세대에서 자식 세대로 대물림되는 유전적인 성향이 상당히 강한 질환이다. 또한, 모발이식 수술을 받기 위해서는 비용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이는 아직까지도 대중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항암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암세포와 같은 이상 증식된 변이 세포만을 제거하고, 오히려 정상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손상된 정상세포를 복구시킬 수 있으며, 독성이 없고, 말기암 환자와 같은 신체기능이 약한 인간에게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온화한 조건에서 제조가 가능하며, 기존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에 비해 훨씬 안전하고 친수성 약물로서 주사제 및 경구 모두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약의 효과가 나타나는 속도가 매우 빠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탈모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계지, 우방자, 만형자, 금은화, 오가피, 내복자, 황기 및 맥아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암 치료 또는 예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암에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간암, 췌장암, 피부암, 대장암, 골육종, 뇌종양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든 암의 종류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계지, 우방자, 만형자, 금은화, 오가피, 내복자, 황기 및 맥아를 부직포로 밀봉하고, 이를 물과 함께 추출장치 내에 넣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장치를 가열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방식의 정수 시스템에 의해 정제된 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밀봉된 부직포는 다른 부직포로 다시 밀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가열온도가 100~120℃이고, 가열시간이 4~5시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수득된 추출액을 100~150℃의 물에서 여과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후에 70~100℃의 물에서 추가로 여과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후에 40~60℃의 물에서 추가로 여과하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후에 15~30℃의 물에서 추가로 여과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후에 -1~15℃의 물에서 추가로 여과한다. 여기에서, 상기 여과에 사용된 필터는 공극크기가 10-6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경구(피하, 근육내, 정맥내, 복강내, 흉막내, 소포내 또는 포막내), 국소, 경구, 직장 또는 비강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 및 투여간격은 치료대상인 질환의 유형, 환자의 연령, 환자의 체중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계지(Cinnamomum aromaticum)는 일반적으로 열을 낮추고 열독을 제거함으로써 체내의 열을 조절하며, 약의 흡수나 효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계지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2-메틸부티르산이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Online Database] 참조).
우방자(Arctium lappa)는 일반적으로 신경전달을 원활하게 하고 비장을 자극하여 그의 기능을 도우며,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우방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악티게닌-4-O-글루코시드, 3,5,7,9-테트라인 및 알라닌이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Online Database] 참조).
만형자(Viticis fructus)는 일반적으로 림프액의 생성, 림프 기능의 활성화, 심장 기능의 향상, 혈액의 정화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만형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비텍시카르핀 및 헤스페리딘이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만형자의 성분분석", 생약학회지 Kor.J.Pharmacogn 25(3): 214~220(1994), 강삼식 등 참조).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일반적으로 호르몬 조절 기능을 자극하고 시상하부에 영향을 미치며 운동중추에도 자극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루테올린-7-람노글루코시드, 사포닌, 피넨, 트랜스-게라니올, 리나룰 및 클로로겐산이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Online Database] 참조).
오가피(Acanthopanax gracilistylis)는 일반적으로 목의 염증이나 고환의 질병에 이용되며, T-헬퍼 세포를 활성화시켜주고 깨끗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가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구리가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Online Database] 참조).
내복자(Raphanus sativus)는 일반적으로 혈관이 약해진 경우에 사용되며, 신경계의 외막을 복구하기 위한 증식세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내복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시니그린이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Online Database] 참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일반적으로 위액의 지나친 산성을 막아주고 위를 편하게 해주며, 이에 따라 신경이 회복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3'-히드록시포르모노네틴, 캠페롤 및 물이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Online Database] 참조).
맥아(Hordeum vulgare)는 일반적으로 위의 기능을 보조하며, 위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거나 위액의 분비가 감소된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맥아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발린이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Online Database]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체 내에 투여시, 신경전달물질을 전체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비장 기능을 향상시키며 혈액을 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의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비장 활동이 촉진되고 체열이 내려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체 내 림프 기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며 비장 내의 림프구와 대식세포를 증식시킴에 따라, 림프와 혈액이 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는 전체적으로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합병증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독성이 강한 종래의 항암제를 견디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독성이 없어 정상세포를 해하지 않고 오히려 환자의 저하된 신체기능을 향상시켜 항암 치료에 유리한 신체 상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말기암 환자에게도 부작용이나 약물에 의한 쇼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 내에 투여시 암세포가 일시적으로 활동을 멈추고 검은색의 테두리를 갖는 다각형의 모양으로 조직의 구성이 변화하면서 세포가 터져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수를 자극하여 NK 및 NKT 세포를 생성하고, 이는 T세포, B세포로 분화되어 혈액이 미치는 모든 범위 내에 있는 암세포를 제거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든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하지 못하는 종래의 항암제와 달리, 암세포와 같은 이상 증식된 변이 세포만을 제거하고, 오히려 정상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손상된 정상세포를 복구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의 효과가 나타나는 속도가 매우 빠르며, 암 또는 합병증에 의해 약화된 신체기능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말기암 환자에 대해 유용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 노약자에게 투여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에 잠복해 있는 종양을 제거하고 혈액내 면역세포를 강화하므로 암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모발을 이식하는 데에 소용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심지어 대머리 환자에게도 모발이 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각각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와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각각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와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각각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과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도 7은 세포주 HME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8은 세포주 BJ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도 9는 세포주 MDA-MB-231에 대해 XTT 분석결과 세포생존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시료를 첨가하고 12시간 후, 84시간 후, 108시간 후, 132시간 후를 각각 나타내며, 세로축은 (시료 처리군의 XTT 값 - 블랭크의 XTT 값)을 나타낸다.
도 10은 세포주 TTU-1에 대해 XTT 분석결과 세포생존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시료를 첨가하고 12시간 후, 84시간 후, 108시간 후, 132시간 후를 각각 나타내며, 세로축은 (시료 처리군의 XTT 값 - 블랭크의 XTT 값)을 나타낸다.
도 11은 세포주 A549에 대해 MTT 분석결과 세포생존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시료를 첨가하고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96시간 후를 각각 나타내며, 세로축은 시료 처리군의 MTT 값을 나타낸다.
도 12는 세포주 HepG2 MTT 분석결과 세포생존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시료를 첨가하고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96시간 후를 각각 나타내며, 세로축은 시료 처리군의 MTT 값을 나타낸다.
도 13 내지 15는 세포주 HCT-15 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PBS로 처리하고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에 각각 촬영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 내지 15의 각각에서 위의 사진 2개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로 처리한 군을 H&E로 염색한 것이며, 아래의 사진 2개는 PBS로 처리한 군을 에 의한 H&E로 염색한 것이다.
도 16은 5주령 암컷 누드마우스(BALB/c nu/nu)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지 14일 후에 촬영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7은 5주령 암컷 누드마우스(BALB/c nu/nu)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지 21일 후에 촬영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과에 대해 실시예 및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하려는 취지는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통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계지, 우방자, 만형자, 금은화, 오가피, 내복자, 황기 및 맥아를 준비하고, 이를 저울을 이용하여 함량을 칭량하였다. 이어서, 상기 계지4g, 우방자 2g, 만형자 4g, 금은화 2g, 오가피 2g, 내복자 2g, 황기 2g 및 맥아 4g을 깨끗한 부직포 주머니에 넣고 주머니 입구를 밀봉하였다.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 SS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물 180리터가 있는 추출장치 내에 상기 밀봉된 부직포 주머니를 고정시켰다. 여기에서, 물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방식의 정수 시스템에 의해 정제된 물을 사용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장치를 100~110℃로 가열하였다. 물이 끓기 시작하는데 약 1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로부터 4시간을 더 가열하였다. 이 때, 발생하는 수증기의 일부는 추출장치 상단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켰으며, 수증기의 일부는 냉각기를 통하여 냉각한 후 추출장치에 재주입하였다. 여기에서, 수증기의 일부를 배출하는 것은 생약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유해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4시간의 추가 가열이 완료된 후 수득된 추출액을 공극크기가 10-6m 이하인 필터를 사용하여 100~150℃의 물, 70~100℃의 물, 40~60℃의 물, 15~30℃, -1~15℃의 물에서 연속적으로 여과하였다.
실시예 2
계지 4g, 우방자 2g, 만형자 4g, 금은화 4g, 오가피 2g, 내복자 2g, 황기 2g 및 맥아 4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추출장치를 110~120℃로 가열하고, 물이 끓기 시작한 후로부터 5시간을 더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암 세포주에 속하는 HCC 1419와 정상 세포주에 속하는 HME 50 HT 및 BJ에 대해, 물질대사(XTT 분석법) 및 세포 사멸(셀 카운트)의 변화 정도를 실험하였다. 각각의 세포주에 대해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배양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주 배양배지
HCC 1419 DMEM + 10% 소태아혈청
HME 50 HT 무혈청 배지(Clonetics Co.회사의 SF-171)
BJ DMEM + 10% 소태아혈청
상기 표 1에서 DMEM은 Dulbecco's Minimum Essential Medium의 약자이다.
정상 세포주에 대해서는 20,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암 세포주에 대해서는 10,000-20,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48-웰 Corning CellBind™ 플레이트에 세포를 파종하였으며, 파종으로부터 24 내지 48h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정제수로 20배 희석하여 상기 배양 세포에 첨가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처음 투여된 시간을 0h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처음 투여된 때로부터 3일째 되는 날, 세포배양액을 교체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동일한 농도로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반면, 양성 대조군으로서 탁솔을 파종으로부터 24 내지 48h 후에 2.2e-7M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병행 배양 세포에 첨가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서 배양배지에 어떠한 물질도 첨가하지 않았다.
세포수 측정(cell count):
각 시점에서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세포들을 채취하였다. 각각의 웰에서 총 세포수를 Beckman-Coulter Z1 Particle Characterization Unit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이 세포수의 1/20의 값으로 표시되었다. 세포주에 대해 각각 2개의 48-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웰 내에서 생존 세포의 세포수를 0h, 12h, 24h, 48h, 4d 및 7d에서 측정하였다. 첫번째 플레이트에서, 세포를 0h 및 3d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하고 배지를 교환하였으며, 탁솔은 24h 동안 처리하였다. 이에 따라 제1주의 LC-50 곡선을 얻었다. 두번째 플레이트에서, 제1주(LC-50) 7d는 제2주(회복기) 0h와 동일하다. 회복기 0h에서, LC-50 7d의 잔여물에 대해 배지를 비처리 배지로 교환하였다. 비처리군은 제1주 말기에 과잉생산됨으로 인해 회복기에서 측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제2주의 회복 곡선을 얻었다.
(1) HCC 1419
세포주 HCC 1419는 원발성 유관 상피암 세포주이다. 이 세포는 저분화형이며, Her2-neu 과잉발현, p53을 발현하지 않는다. HCC 1419는 상피세포 특정 마커인 상피 당단백질2(EGP2: epithelial glycoprotein 2)와 시토케라틴 19를 표현하는 반면, 에스트로겐 리셉터 및 프로게스테론 리셉터를 표현하지 않는다.
XTT 세포 생존도 분석(XTT Cell Viability Assay)은 항암제 또는 다른 약학 화합물의 생존도/세포독성에 대한 분석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주에 대해서는 10,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암 세포주에 대해서는 5,000 개의 세포의 밀도로,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세포를 파종하였다. 배양 기간 동안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염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최적의 파장으로서 500nm를 사용하였으며, 0h, 12h, 24h, 48h, 4d 및 7d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정량된 값은 소프트웨어 SoftMax Pro 4.8을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XTT 분석에 의한 세포독성(cytotoxicity) 측정과 관련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른 식을 이용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 각각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세포 생존도를 계산하였다 (블랭크는 배지에 대해서만 XTT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처리군(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탁솔) - 블랭크]/비처리군 x 100%
세포독성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하기와 같이 세포독성을 계산하였다:
[비처리군의 흡수값 - (처리군(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탁솔) - 블랭크)]/비처리군 x 100%
상기 기재된 실험방법을 실험군, 대조군, 비처리군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하고 측정하였다.
세포주 HCC 1419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제2주(회복기)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생존도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제2주(회복기) 동안의 생존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생존도(%)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파장 500nm에서 XTT 분석법을 실시하여, 제1주(LC50)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 5에 나타내었으며, 제2주(회복기) 동안의 세포독성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독성(%)의 1/100의 값을 나타낸다.
(2) HME 50 HT - 정상 상피 세포
인체 유방상피세포인 HME는 인접 정상 조직에서 유래된 세포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처치한 군에서는 어떠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오히려, 정상 상피 세포인 HME 50 HT 세포는 잘 성장하였으며 회복기에는 세포들이 넘칠 정도로 자랐으며 매우 건강하고 스트레스를 받지도 않았다.
세포주 HME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3) BJ - 정상 섬유아 세포
세포주 BJ는 신생아의 정상 표피에서 유래된 것이며, 노화가 오기 전 최대 72번의 세포 분화가 가능하나, 텔로메라아제를 발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처치한 군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세포들은 매우 건강했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으며 강화된 세포 성장이 관찰되었다.
세포주 BJ에 대해, 제1주(LC50) 동안 측정한 세포수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가로축은 배양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세포수의 1/20의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암세포를 처리할 경우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XTT 분석, MTT 분석 및/또는 사진 촬영으로 비교해 봄으로써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1. 실험 대상 및 분석방법(표 2)
실험 세포주 분석방법
MDA-MB-231(유방암 세포주), TTU-1(유방암 세포주) XTT 분석, 사진 촬영
A549(폐암세포주), HepG2(간암 세포주) MTT 분석
HCT-15(대장암 세포주) 사진 촬영
2. 실험방법
(1) XTT 분석
유방암 세포주에 해당하는 MDA-MB-231과 TTU-1 암세포주를 준비하여 소액 배양용 시험관(96-well flat-bottomed microplate)의 각 웰에 5 X 103개씩 분주하여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MDA-MB-231 세포주에 대해서는 DMEM + 10% 소태아혈청을 배양배지로 사용하였으며, TTU-1 세포주에 대해서는 DMEM + 10% 소태아혈청을 배양배지로 사용하였다. 배양 24시간 후에 각 웰에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10 ul/웰이 되도록 첨가하였으며, 그 후 이를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시료 첨가 12시간 후에, XTT 용액을 넣어 2시간을 더 배양하였으며,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Microplat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4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 첨가 3.5일, 4.5일, 5.5일 후에 각각 XTT 용액의 처리에 의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MDA-MB-231과 TTU-1 암세포주를 Annexin-V/PI로 염색하여 사진 촬영을 실시하여 세포의 모양변화를 관찰하였다.
(2) MTT 분석
폐암 세포주에 해당하는 A549와 간암 세포주에 해당하는 HepG2에 대해 상기 XTT 분석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만, XTT 용액을 대신하여 MTT 용액을 처리하였으며, A549에 대해서는 L-글루타민(300mg/L), 25mM HEPES 및 25mM NaHCO3가 포함된 RPMI1640 90%와 열불활성화된 소태아혈청(FBS) 10%를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HepG2에 대해서는 최소 필수 배지, 25mM HEPES 및 25mM NaHCO3 90%와 열불활성화된 소태아혈청(FBS) 10%를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였다. 1일, 2일, 3일, 4일 후에 각각 MTT 값을 측정하였다.
(3) 플라스크에서 배양한 암세포 처리
대장암 세포주에 해당하는 HCT-15를 준비하여 둥근 플라스크에 분주하였으며, 배양배지는 L-글루타민(300mg/L), 25mM HEPES 및 25mM NaHCO3가 포함된 RPMI1640 90%와 열불활성화된 소태아혈청(FBS) 10%를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가 충분히 배양된 후에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로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후 8h, 24h, 48h, 72h에 H&E로 염색하여 사진 촬영을 실시하여 세포의 모양 변화를 관찰하였다.
3. 처리 방법(표 3)
실험세포주 실험군의 처리 농도 대조군의 처리 농도
MDA-MB-231, TTU-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 : 배양액 = 5:5, 6:4, 7:3, 8:2 대조군 1. 배양액 100%
대조군 2. PBS : 배양액 = 5:5, 6:4, 7:3, 8:2
대조군 3. 저농도 탁솔 1.2x 10-7 M (약 투여 24h 후 혈장에서의 농도)
대조군 4. 고농도 탁솔 2.5 x 10-6M (약 투여 3h 후 혈장에서의 농도)
A549, HepG2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 : 배양액 = 5:5, 6:4, 7:3, 8:2 대조군 1. 배양액 100%
대조군 2. PBS : 배양액 = 5:5, 6:4, 7:3, 8:2
대조군 3. 탁솔 35.1 uM/ml
대조군 4. 탁솔 70.2 uM/ml
대조군 5. 5-FU 1,000ppm
HCT-15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 : 배양액 = 7:3 대조군 1. 배양액 100%
대조군 2. PBS : 배양액 = 7:3
4. 실험 결과
하기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한 값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들의 값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MDA-MB-231에 대해 수득된 (시료 처리군의 XTT 값 - 블랭크의 XTT 값)을 하기 표 4 및 도 9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평균값 표준편차
12h 84h 108h 132h 12h 84h 108h 132h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5:5 (A) 0.059 0.073 -0.026 0.021 0.004 0.005 0.015 0.032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6:4 (B) 0.070 0.066 0.005 0.012 0.011 0.011 0.021 0.019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7:3 (C) 0.065 0.049 0.003 -0.006 0.005 0.010 0.025 0.003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8:2 (D) 0.061 0.044 0.006 -0.034 0.009 0.014 0.027 0.008
배지 100% (E) 0.115 0.130 0.059 0.055 0.003 0.033 0.035 0.026
PBS:배지 = 5:5 (F) 0.055 0.128 0.044 0.092 0.010 0.007 0.010 0.005
PBS:배지 = 6:4 (G) 0.051 0.107 0.088 0.049 0.003 0.010 0.012 0.003
PBS:배지 = 7:3 (H) 0.059 0.081 0.057 0.039 0.005 0.005 0.014 0.011
PBS:배지 = 8:2 (I) 0.053 0.069 0.056 0.029 0.007 0.004 0.003 0.032
탁솔 (저농도 1.2x 10-7M 탁솔) (J) 0.074 0.107 -0.006 0.034 0.010 0.004 0.010 0.009
탁솔 (고농도 2.5 x 10-6M 탁솔) (K) 0.076 0.085 0.024 -0.007 0.014 0.010 0.011 0.014
TTU-1에 대해 수득된 (시료 처리군의 XTT 값 - 블랭크의 XTT 값)을 하기 표 5 및 도 10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평균값 표준편차
12h 84h 108h 132h 12h 84h 108h 132h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5:5 (A) 0.069 0.113 0.021 0.078 0.014 0.014 0.012 0.030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6:4 (B) 0.054 0.099 0.011 0.036 0.008 0.008 0.011 0.025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7:3 (C) 0.055 0.088 -0.011 0.001 0.005 0.005 0.012 0.003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8:2 (D) 0.057 0.069 -0.012 -0.009 0.011 0.007 0.007 0.004
배지 100% (E) 0.127 0.155 0.134 0.186 0.013 0.025 0.033 0.037
PBS:배지 = 5:5 (F) 0.071 0.219 0.130 0.193 0.004 0.006 0.012 0.017
PBS:배지 = 6:4 (G) 0.062 0.199 0.108 0.175 0.001 0.015 0.014 0.004
PBS:배지 = 7:3 (H) 0.090 0.154 0.070 0.136 0.018 0.009 0.010 0.004
PBS:배지 = 8:2 (I) 0.079 0.128 0.070 0.071 0.014 0.013 0.006 0.018
탁솔 (저농도 1.2x 10-7 M 탁솔) (J) 0.079 0.123 0.012 0.084 0.010 0.018 0.008 0.018
탁솔 (고농도 2.5 x 10-6M 탁솔) (K) 0.067 0.101 -0.002 0.035 0.009 0.016 0.009 0.013
A549에 대해 수득된 시료 처리군의 MTT 값을 하기 표 6 및 도 1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평균값 표준편차
24h 48h 72h 96h 24h 48h 72h 96h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5:5 (A) 2.988 2.816 2.474 2.595 0.104 0.07 0.403 0.108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6:4 (B) 2.597 2.613 1.698 1.627 0.148 0.176 0.038 0.167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7:3 (C) 1.802 1.24 1.202 0.707 0.108 0.227 0.362 0.209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8:2 (D) 0.449 0.189 0.131 0.175 0.132 0.082 0.023 0.079
배지 100% (24시간 후 배지 교환함) (E) 3.337 0.6813 3.4414 3.3868 0.306      
PBS:배지 = 5:5 (F) 2.588 2.759 2.525 2.905 0.135 0.02 0.194 0.065
PBS:배지 = 6:4 (G)   2.9105 3.639        
PBS:배지 = 7:3 (H)   4 초과 2.7511        
PBS:배지 = 8:2 (I)   4 초과 4 초과 3.2984        
배지 100% (배지 교환 없음) (J) 2.427 2.663 2.721 2.961 0.321 0.49 0.095 0.063
탁솔 (35.1 uM/ml) (K) 2.438 2.753 2.6 2.934 0.281 0.348 0.307 0.024
탁솔 (70.2 uM/ml) (L) 2.488 2.911 2.691 2.98 0.223 0.491 0.299 0.094
5-FU (1,000ppm) (M) 2.298 1.697 0.863 0.42 0.281 0.314 0.211 0.184
HepG2 에 대해 수득된 시료 처리군의 MTT 값을 하기 표 7 및 도 12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평균값 표준편차
24h 48h 72h 96h 24h 48h 72h 96h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5:5 (A) 2.201 2.333 3.033 3.507 0.404 0.366 0.138 0.362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6:4 (B) 1.112 1.267 0.982 0.745 0.232 0.329 0.058 0.085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7:3 (C) 0.611 0.356 0.25 0.214 0.089 0.015 0.027 0.018
본 발명의 추출물:배지 = 8:2 (D) 0.214 0.174 0.18 0.334 0.011 0.03 0.007 0.182
배지 100% (24시간 후 배지 교환함) (E) 2.229 2.8975 4 초과 3.0531 0.298      
PBS:배지 = 5:5 (F) 2.471 2.607 2.086 2.231 0.211 0.192 0.12 0.195
PBS:배지 = 6:4 (G)   2.074 2.4457 2.9809        
PBS:배지 = 7:3 (H)   1.8121 2.2046 3.3468        
PBS:배지 = 8:2 (I)   1.7337 1.5252 1.1556        
배지 100% (배지 교환 없음) (J) 2.761 2.669 2.662 2.735 0.101 0.14 0.263 0.111
탁솔 (35.1 uM/ml) (K) 2.73 2.604 2.506 2.546 0.098 0.236 0.244 0.179
탁솔 (70.2 uM/ml) (L) 2.71 2.595 2.466 2.389 0.156 0.224 0.249 0.112
5-FU (1,000ppm) (M) 2.867 1.998 1.853 0.938 0.111
0.292 0.553 0.033
도 9 내지 12로부터, 실험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값이 0에 가까워지지만, PBS 처리 대조군에서는 값이 증가하고 있으며, 탁솔 처리 대조군에서도 그 값이 다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군에서는 암세포의 생존도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입증된다.
또한, HCT-15 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PBS로 처리하고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에 촬영한 사진을 각각 도13 내지 15에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실험군의 암세포는 핵이 파열되어 세포 전체가 어둡게 염색이 되는 반면, 대조군의 암세포는 핵과 세포질이 잘 발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 누드마우스의 발모
누드마우스는 알비노 계통의 생쥐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누드형질의 유전자형이 nu/nu 호모인 개체는 모낭속 털의 각질화 이상으로 털이 없는 상태로 태어나게 되며, 생후 3∼14주가 지나면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5주령 암컷 누드마우스(BALB/c nu/nu) 5마리에 각각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2주 동안 1일 2회 0.001ml/g(추출물의 부피/쥐의 체중)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유전자 이상으로 털이 없는 누드마우스 5마리 모두에게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털이 생성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2번 누드마우스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지 14일 후의 사진을 도 16에, 4번 누드마우스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지 21일 후의 사진을 도 17에 나타내었다.

Claims (22)

  1. 계지(Cinnamomum aromaticum), 우방자(Arctium lappa), 만형자(Viticis fructus), 금은화(Lonicera japonica), 오가피(Acanthopanax gracilistylis), 내복자(Raphanus sativus),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및 맥아(Hordeum vulgare)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2. 제1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3. 제1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간암, 췌장암, 피부암, 대장암, 골육종 또는 뇌종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우방자, 만형자, 금은화, 오가피, 내복자, 황기 및 맥아가 4~5:2:4~7:2~4:2~3:2~8:2:4~7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2-메틸부티르산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방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악티게닌-4-O-글루코시드, 3,5,7,9-테트라인 또는 알라닌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형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비텍시카르핀 또는 헤스페리딘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루테올린-7-람노글루코시드, 사포닌, 피넨, 트랜스-게라니올, 리나룰 또는 클로로겐산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구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복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시니그린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3'-히드록시포르모노네틴, 캠페롤 또는 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맥아 추출물에 발린 또는 분획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a) 계지(Cinnamomum aromaticum), 우방자(Arctium lappa), 만형자(Viticis fructus), 금은화(Lonicera japonica), 오가피(Acanthopanax gracilistylis), 내복자(Raphanus sativus),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및 맥아(Hordeum vulgare)를 부직포로 밀봉하고, 이를 물과 함께 추출장치 내에 넣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장치를 가열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방식의 정수 시스템에 의해 정제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가열온도가 100~120℃이고, 가열시간이 4~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수득된 추출액을 100~150℃의 물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70~100℃의 물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40~60℃의 물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15~30℃의 물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 이후에, -1~15℃의 물에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에 사용된 필터는 공극크기가 10-6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00067609A 2010-07-13 2010-07-13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1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09A KR101218340B1 (ko) 2010-07-13 2010-07-13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US12/846,289 US20120015056A1 (en) 2010-07-13 2010-07-29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specific plants,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extracts
JP2013519592A JP2013533888A (ja) 2010-07-13 2011-07-13 特定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有する組成物、その用度及び前記抽出物の製造方法{compositioncomprisingextractsorfractionsofspecificplants、usethereofandprocessforpreparingtheextracts}
PCT/KR2011/005167 WO2012008762A2 (en) 2010-07-13 2011-07-13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specific plants,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extra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09A KR101218340B1 (ko) 2010-07-13 2010-07-13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90A true KR20120006890A (ko) 2012-01-19
KR101218340B1 KR101218340B1 (ko) 2013-01-03

Family

ID=4546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609A KR101218340B1 (ko) 2010-07-13 2010-07-13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15056A1 (ko)
JP (1) JP2013533888A (ko)
KR (1) KR101218340B1 (ko)
WO (1) WO201200876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68A (ko)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1170980A (zh) * 2020-01-10 2020-05-19 桂林医学院 一种毛蕊异黄酮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415B2 (en) 2007-08-12 2018-08-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Non-dichroic omnidirectional structural color
CN103285130B (zh) * 2013-06-19 2015-01-07 刘晶晶 治疗肝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5153043A1 (en) 2014-04-01 2015-10-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Non-color shifting multilayer structures
CN104327132B (zh) * 2014-10-23 2017-03-15 桂林莱茵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取黑芥子苷的方法
KR102275550B1 (ko) * 2014-12-31 2021-07-09 (주)아모레퍼시픽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91962B1 (ko) 2015-04-21 2016-02-04 정용선 탈모방지용 친환경 샴푸 조성물제조방법
WO2018070839A1 (ko) * 2016-10-13 2018-04-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날로올, 이오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18433B1 (ko) 2018-05-04 2020-06-03 백주연 항암성 사포닌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꿩의 바람꽃, 인동속 식물 및 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107639B (zh) * 2020-11-13 2021-12-31 青州尧王制药有限公司 一种蔓荆子提取物在制备抗抑郁药物中的应用
CN113024619B (zh) * 2021-03-12 2022-09-09 浙江省立同德医院 一种岩桂蒸馏后叶渣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抗肿瘤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7794A (ko) * 2007-06-08 2008-12-1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568A (ko)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1170980A (zh) * 2020-01-10 2020-05-19 桂林医学院 一种毛蕊异黄酮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11170980B (zh) * 2020-01-10 2022-06-14 桂林医学院 一种毛蕊异黄酮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3888A (ja) 2013-08-29
WO2012008762A3 (en) 2012-07-05
WO2012008762A2 (en) 2012-01-19
US20120015056A1 (en) 2012-01-19
KR101218340B1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340B1 (ko) 특정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용도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Chan et al. Polyphyllin D, a steroidal saponin from Paris polyphylla, inhibits endothelial cell functions in vitro and angiogenesis in zebrafish embryos in vivo
CN100428949C (zh) 一种红豆杉抗癌中药制剂
CN109689078A (zh) 葡萄提取物及与其有关的方法
KR20160084175A (ko)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KR101708165B1 (ko) 자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732586B (zh) 作为抗癌剂的乙酰基丹参酮iia(ata)
CN107213145A (zh) 细锥香茶菜乙素在制备抑制食管鳞癌细胞增殖的产品中的应用
KR102230883B1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CN103768171B (zh) 抗抑郁、杀菌消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201132342A (en) Antrocin 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hibiting cancer cells
KR101579820B1 (ko) 퀘시아 운둘라타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CN108452240B (zh) 一种抗肿瘤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7468684B (zh) 鞣花酸及与雷公藤红素协同在制备抗肺癌药物中的应用
CN100478009C (zh) 一种抗肿瘤的中药药物及其制备方法
CN106237265B (zh) 抗肿瘤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4979053B2 (ja) リンドウ抽出物を含む制癌剤、健康補助食品及び薬用化粧品、並びにリンドウ抽出物の製造方法
CN111214588A (zh) 芫花根中总黄酮及其制备和应用
CN109731019A (zh) 一种具有化疗增效作用的组合物,包括其的药物、制备方法及应用
CN103948859A (zh) 一种抗肿瘤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403941A (zh) 一种治疗胰腺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025336A (ko) 천초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US2012001601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CN101543490A (zh) 染料木素在制备治疗前列腺增生的药物中的应用及产品和制法
CN101690794B (zh) 抗肿瘤药物及制备方法和质量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