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388U -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388U
KR20120006388U KR2020120001759U KR20120001759U KR20120006388U KR 20120006388 U KR20120006388 U KR 20120006388U KR 2020120001759 U KR2020120001759 U KR 2020120001759U KR 20120001759 U KR20120001759 U KR 20120001759U KR 20120006388 U KR20120006388 U KR 20120006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upper thread
hook
pat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460Y1 (ko
Inventor
엔스 요한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06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은 윗실(9)용 공급부를 갖는다. 재봉 바늘(8)을 가지는 바늘 바아(7)는 재봉될 제품을 통해 윗실(9)을 안내하는데 이용된다. 후크(10)는 바늘땀 형성 동안 윗실(9)을 잡는데 이용된다. 윗실 클램프(14)는 후크(10)와 실 레버(18) 사이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윗실 인장 장치(21)는 윗실 클램프(14) 앞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실 인출 장치(24)는 실 레버(18)와 윗실 인장 장치(21) 사이에 배치 있다. 이 실 인출 장치는 제어 하에 중립 위치와 실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실 인출 위치에서 윗실(9)의 경로는 중립 위치에서보다 실 경로 차이만큼 더 길다. 그 결과 안정된 동작으로 재봉틀에서 재봉될 제품으로부터 돌출하는 윗실 조각이 솔기 시작부에서 짧아지게 된다.

Description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SEWING A BEGINNING OF A SEAM WITH A SEWING MACHINE OF THIS TYPE}
본 발명은 하우징, 윗실을 위한 공급부,재봉될 제품을 통해 윗실을 안내하기 위해 재봉 바늘을 가지는 바늘 바아, 이 경우 재봉 바늘은 수직으로 상하 운동을 하며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에서 구동되며, 바늘땀 형성 동안 윗실을 잡기 위한 후크, 윗실의 루프를 인출하기 위한 실 레버,후크와 실 레버 사이에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있는 작동가능한 윗실 클램프,작동된 상태에서 윗실이 일정한 실 인장력을 실 레버에 의해 받기 전에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있는 윗실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재봉틀은 EP 2 028 311 A2와 DE 102 34 251 A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정된 동작으로 솔기의 시작부에서 재봉될 제품으로부터 돌출하는 짧은 윗실을 보장하며 구조상 저비용으로 이루어지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윗실이 실 레버와 윗실 주 인장 유닛 사이 제 1 실 경로를 취하는 중립 위치와, 제 1 실 경로와 비교해 실 경로 차이만큼 더 긴, 윗실이 실 레버와 윗실 주 인장 유닛 사이 제 2 실 경로를 취하는 실 인출 위치, 이 양 위치 사이에서 제어를 통해 운동될 수 있는, 윗실 인장 장치의 하나 이상의 윗실 주 인장 유닛과 실 레버 사이 윗실 경로에 있는 실 인출 장치를 포함하는 재봉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파악된 점은 실 레버와 윗실 인장 장치 사이 실 인출 장치가 실 레버의 하향 운동 동안 만들어진 실 잉여분을 뒤로 인출하는 가능성을 야기하고 그 후 실 레버에 의해,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동안, 윗실의 자유단이 솔기의 시작부에서 재봉될 제품으로부터 약간 돌출할 정도로 재봉될 제품에서 윗실을 뒤로 인출하는 가능성을 야기한다. 윗실은, 프로세스에서, 실 인출 장치에 의해 야기된 실 경로 차이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뒤로 인출된다. 또한, 윗실의 시작부를 나타내는 윗실의 자유단은 재봉될 제품 아래로 인출되므로, 이는 재봉된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 결과 윗실의 돌출한 자유단을 컷오프함으로써 이를 단축시킬 필요없이 솔기의 시작부가 시각적으로 만족스럽다. 그 장점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인테리어 요소에서 가죽을 재봉할 때 시각적인 솔기 품질이 특히 주목받는 응용분야에 있다. 윗실 인장 장치는 윗실 주 인장 장치와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 또는 추가적인 인장 장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실 레버와 함께, 실 인출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윗실 경로의 영역을 미리 정하는 윗실 주 인장 유닛은 윗실 주 인장 장치의 요소이며 다시 말하면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 또는 추가적인 인장 장치의 요소는 아니다.
연장 암의 단부에 실 아이릿이 배치되어 있으며, 실 경로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피봇운동되는 피봇운동가능한 연장 암을 가지는 실 인출 장치는 구조상 저비용으로 윗실 가이드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 경로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는 실 아이릿을 가지는 실 인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실 아이릿을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리프팅 실린더 또는 리프팅 마그넷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 인출 장치의 연장 암을 위한 포지셔닝 구동 장치는 스테핑 모터를 가질 수 있다.
중립 위치의 실 아이릿은 하우징에 고정된 2개의 실 안내 아이릿 사이 윗실 경로에 배치된 아이릿 배치는 실 인출 장치의 실 인출 효과를 최적화시킨다. 하우징에 고정된 2개의 실 안내 아이릿은 피봇운동가능한 실 아이릿 가까이 실 경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립 위치의 피봇운동가능한 실 아이릿과 하우징에 고정된 2개의 실 안내 아이릿 사이 공간은 2cm보다 더 작어도 되며 1cm보다 더 작어도 된다.
정확하게 말해서 하나의 윗실 클램프는 구조적 비용의 감소와 재봉틀의 작동 동안 제어 비용의 감소를 가져온다.
윗실 인장 장치(21)가 실 인출 장치(24)와 윗실 공급부 사이 실 경로에만 배치되는 윗실 인장 장치의 배치는 실 인출 장치를 동작시킬 때 작동 순서를 용이하게 하는데, 실 인출 장치의 동작과 윗실 인장 장치의 동작을 동기화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다수의 윗실 주 인장 유닛 구성이 가능하여, 윗실 인장 장치가 다수의 윗실 주 인장 유닛, 정확하게 말하면 실 레버와 실 인출 장치 사이 실 경로에 배치된 윗실 주 인장 유닛 중 하나를 갖는다. 윗실 인장 장치의 이런 유형의 디자인은 재봉 작동 동안 신뢰성 있는 일정한 실 인장력을 야기한다. 이 실 인출 장치는 윗실 주 인장 유닛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설치 공간은 실 인출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하기의 단계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의 장점은 장치와 함께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과 일치한다:
윗실 루프를 형성하는 단계,
회전 그리핑 위치에서 후크의 후크 팁으로 윗실 루프를 잡는 단계,
이 회전식 그리핑 위치 반대편 역회전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후크의 후크 하우징 둘레에서 후크 팁의 적어도 반회전 동안 후크의 후크 팁으로 윗실을 인출하는 단계,
후크의 후크 팁의 역회전 위치에 도달한 후,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하기의 단계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의 장점은 장치와 함께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과 일치한다:
하사점로부터 진행하여, 재봉 바늘로 하사점와 상사점 사이 루프 리프트 위치 쪽으로 바늘 바아를 올려 윗실 루프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 올림은 개방된 윗실 클램프로 그리고 중립 위치에 있는 실 인출 장치로 이루어지고,
바늘 바아의 루프 리프트 위치에 도달한 후 윗실 클램프의 실 클램핑 위치를 기동하고 후크에 의해 붙잡혀 꺼내진 후 후크 회전의 적어도 일부분 동안 윗실 클램프의 실 클램핑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윗실이 꺼내지고,
내려진 실 레버로, 윗실이 실 레버와 윗실 주 인장 유닛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실 인출 장치를 중립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
역회전 위치는 회전 그리핑 위치 후 적어도 180°후크 팁의 회전 후 예를 들어 240° 또는 245°후크 팁의 회전 후 달성될 수 있다. 후크로 윗실을 잡은 후 후크 회전의 적어도 일부분 동안 실 클램핑 위치의 유지 때문에 솔기의 시작부에서 윗실 단부는 재봉될 제품을 통해 후크에 의해 아래로 인출된다.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를 이동시킬 때 윗실의 팽팽한 인출이 야기하는 사실은 실 레버가 윗실 클램프가 해제될 때 나중에 다시 올려지는 때 실 인출 장치의 운동에 의해 야기되는 윗실의 경로 차이만큼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솔기의 시작부에서 윗실을 뒤로 인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의 이동은 솔기의 시작부의 제 1의 바늘땀 동안 이루어진다. 이 이동은 제 2의 바늘땀 동안, 제 3의 바늘땀 동안 또는 솔기 시작부의 재봉 동안 훨씬 뒤의 바늘땀 동안 대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 인출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실 인출 장치의 복귀는 또 다른 재봉 동안 점차로 작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복귀 역시 재봉 프로세스의 끝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립 위치로의 운동은 예를 들어 커팅 기계의 마지막 실 커팅 프로세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를 이동시킬 때, 실 레버와 실 인출 장치 사이 윗실 주 인장 유닛이 정상 인장력 위치로부터 더 작은 인장력 위치로 이동되는 방법에서 보장되는 점은 실 인출 장치가 실 레버로부터 윗실을 인출하므로 원하는 대로 윗실을 재봉될 제품으로부터 뒤로 인출하는 것이다. 더 작은 인장력 위치에서, 실 레버와 실 인출 장치 사이 윗실 주 인장 유닛은 정상 인장력과 비교해 감소된 잔여 실 인장력 밑으로 윗실을 가져온다.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를 이동시킬 때, 실 레버와 실 인출 장치 사이 윗실 주 인장 유닛은 완전히 비작동될 수 있다.
재봉틀의 제품 프레셔는 적어도 윗실을 인출하는 시작 동안 압력으로부터 해방되는 제품 프레셔의 압력으로부터의 해방은 윗실이 재봉될 제품을 통해 윗실을 후크에 의해 아래로 인출하는 동안 제품 프레셔에 의해 원하지않게 클램핑되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에 의해, 솔기의 시작부에서 재봉될 제품으로부터 돌출하는 짧은 윗실을 짧게할 수 있고 구조상 저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재봉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비해 확대된, 암 샤프트 위치 "0°바늘 바아 상사점"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의 상세도.
도 3은 도 1에 비해 확대된, 암 샤프트 위치 "205°루프 리프트"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의 상세도.
도 4는 윗실 자유단과 함께 솔기 시작부가 보이고, 윗실과 아래실에 의해 정해진 솔기 평면을 따라 재봉될 2겹 제품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비해 확대된, 암 샤프트 위치 "후크에 의한 300°비작동 윗실 클램프 및 윗실 인장(하사점에 있는 실 레버)"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의 상세도.
도 6은 도 1에 비해 확대된, 암 샤프트 위치 "325°작동된 실 인출 장치"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의 상세도.
도 7은 도 1에 비해 확대된, 암 샤프트 위치 "60°실 레버 상사점"에서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윗실 안내의 상세도.
도 8 내지 도 12는 도 2, 3 및 5 내지 7에 상응하는 암 샤프트 위치의 순서대로 부가의 윗실 주 인장 유닛을 가지는 재봉틀의 다른 실시예의 윗실 안내의 상세도.
재봉틀(1)은 C 형상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스탠드(4)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측 암(2)과 하측 하우징 유사 베이스 플레이트(3)를 갖는다. 암(2)에 장착된 암 샤프트(5)(도 2 참고)는 스탠드(4) 안에 들어있는 벨트 드라이브를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 모터에 연결된 중앙 제어 장치(6)는 도 1의 상측 암(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재봉틀(1)과 관련해 외부에도 배치될 수도 있어 예를 들면 케이블 하니스에 의해 재봉틀에 연결될 수 있다. 암 샤프트(5)에서 시작하여, 바늘 바아(7)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동되고 바늘(8)은 바늘 바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윗실(9)은 바늘(8) 눈을 통해 지나간다(도 2 참고).
종래 방식대로 암 샤프트(5)에서 시작하여, 수직 회전축(11)(도 2 참고)에서 회전 구동되는 루퍼 또는 후크(10)가 베이스 플레이트(3)에 배치되어 있다. 아래실(13)(도 4 참고)을 위한 공급부는 보빈 또는 후크(10)의 실 권취 하우징(12) 안에 위치한다(도 4 참고).
도 2는 재봉틀(1) 윗실(9)의 안내에 대한 확대 상세도이다. 제 1 윗실 클램프(14)의 본체(16)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클램핑 판(15)을 가지는 제 1 윗실 클램프(14)는 바늘(8) 눈으로부터 윗실 이송 방향 반대쪽에 다시 말하면 상류에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윗실 클램프(14)는 제어 장치(6)에 대해 신호 접속부를 가지며 윗실(9)이 제 1 윗실 클램프(14)의 위치에 클램핑되어 있는 실 클램핑 위치와 제 1 윗실 클램프(14)가 윗실(9)을 풀어주는 실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윗실(9)은 제 1 윗실 클램프(14)의 영역으로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지나간다.
제 1 윗실 클램프(14)를 지나는 윗실(9)의 통과 위치는 본체(16) 내 다수의 실 통과 개구들(17)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윗실(9)은 실 이송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총 5개의 실 통과 개구들 중 오른쪽으로부터 두번째 실 통과 개구(17)를 지나고 있다.
제 1 윗실 클램프(14)의 하류에 실 레버(18)가 배치되고, 이의 상하 운동도 이미 공지된 그 자체 방식대로 암 샤프트(5)로부터 파생된다. 윗실(9) 역시 도 2에서 본체(16) 상단부에 제공된 안내 아이릿(20)을 관통해 실 레버(18)의 자유단에 배치된 실 레버 아이릿(19)과 제 1 윗실 클램프(14) 사이를 지나간다.
실 레버(18)의 상류에서, 윗실(9)은 윗실 주 인장 장치(21)를 지나간다.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후자는 주 텐셔너(22)의 형태로 이미 공지된 방식대로 동작하는 윗실 주 인장 유닛을 갖는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는 중앙 제어 장치(6)에 대한 신호 접속부를 갖는다. 주 텐셔너(22)는 작동 시, 다시 말하면 실 인장 벤틸레이터 실린더로부터 빠져나올 때, 제어 장치(6)에 의해 윗실(9)이 미리 정해진 실 인장력을 받도록 한다. 실 인장 벤틸레이터 실린더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주 텐셔너(22) 역시 주 텐셔너(22)의 위치에서 윗실(9)을 클램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와 실 레버(18) 사이에서, 윗실(9)은 다른 변위가능 안내 아이릿(23)을 지나가고, 안내 아이릿은 윗실 이송 장치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안내 아이릿(23)과 윗실 주 인장 장치(21) 사이에서, 윗실(9)은 실 인장 스프링 유닛(23a)을 지나간다.
실 레버(18)와 윗실 주 인장 장치(21) 사이에서, 더 정확하게 말하면 실 인장 스프링 유닛(23a)과 윗실 주 인장 유닛(22) 사이에서, 실 인출 장치(24)는 윗실(9)의 경로에 배치되어 있다. 실 인출 장치(24)는 회전가능한 연장 암(25)을 가지며, 이는 암(2)에 고정된 장착판(26a)에서 피봇 조인트(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 인출 장치(24)는 장착판(26a)에 장착되어 있다. 이의 자유단에서, 실 인출 장치(24)의 연장 암(25)은 실 아이릿(27)을 가지며, 실 아이릿은 하우징에 고정되어 장착판(26a)에 부착된 2개의 안내 아이릿(28) 사이에서 윗실(9)의 실 경로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향해 있다. 연장 암(25)은 도 2에 도시된 중립 위치와 도 6에 도시된 실 인출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며, 실 인출 위치에서 윗실(9)은 하우징에 고정된 2개의 안내 아이릿(28) 사이에서 실 경로를 취하므로 실 레버(18)와 윗실 인장 장치(21) 사이에서 실 경로를 취하는 것이며, 이 경로는 중립 위치에 있는 연장 암(25)을 지나는 윗실(9)의 실 경로보다 실 경로 차이만큼 더 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 경로 차이는 예를 들어 20밀리미터이다.
2개의 안내 아이릿(28)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는 것은 연장 암(25)이 실 인출 위치에 또는 중립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윗실(9)이 하우징에 고정된 2개의 아이릿(28) 사이의 경로 밖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 경로를 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장 암(25)은 중립 위치와 실 인출 위치 사이에서 전자기 구동장치에 의해 운동하고, 전자기 구동장치는 제어 장치(6)에 대해 신호 접속부를 갖는다. 전자기 구동장치 대안으로, 연장 암(25) 역시 공압으로 또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의 상류에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29)가 배치되어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동작하며 제어 장치(6)에 대해 신호 접속부를 가질 수도 있다. 주 텐셔너(22)를 가지는 윗실 주 인장 장치(21) 및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29)는 암(2)에 설치된(도 1 참고) 장착판(26a)에 부착되어 있다.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29)의 상류에서, 윗실(9)은 도 2에서 장착판(26a)의 상측 에지 영역에 형성된 실 통과 개구(31)를 통과하여 약 90°전방으로 꺽여 있다. 실 통과 개구(31)의 상류에 윗실 보빈이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윗실 공급부로서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암 샤프트(5)의 현재 회전 위치를 나타낸다. 암 샤프트(5)의 단부에 고정 연결된 핸드 휠(32)에 회전식 앵글 스케일(33)이 배열되어 있으며 360 각도로 분할된 암 샤프트(5)의 총 회전을 보여준다. 각각의 경우에 하기에서 회전식 앵글 스케일(33)의 각도 위치가 참고가 될 것이다.
재봉될 제품의 평면은 재봉틀(1)의 바늘 플레이트(35) 상에서 (도 4 참고) 재봉될 제품(34)의 잔여 위치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도 2는 0° 암 샤프트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암 샤프트 위치에서, 바늘 바아(7)는 상사점에 있다. 이 위치는 재봉의 시작부에서 다시 말하면 솔기의 시작부에서 선택되는데, 재봉될 제품(34)을 삽입하기 위해 바늘(8) 아래에 통로가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0°위치에서, 윗실 클램프(14)는 실 해제 위치에 있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가 작동된다. 실 인출 장치(24)는 중립 위치에 있다.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29)가 작동된다. 실 레버(18)는 하사점으로부터 위로 진행된다.
도 3에는 205°위치에 있는 암 샤프트(5)가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바늘 바아(7)는 180°에 도달된 하사점으로부터 다시 약간 복귀했으므로,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윗실 루프가 바늘(8)의 눈 옆에 형성된다. 205°위치에서, 역시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후크(10)의 후크 팁은 윗실 루프와 결합해 윗실(9)을 가져간다.
205°위치에서, 윗실 클램프(14)의 실 클램핑 위치로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가 작동된다. 실 인출 장치(24)는 중립 위치에 있다.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29)는 작동된다. 실 레버(18)는 하사점으로 진행된다. 실 레버(18)는 이의 상사점로부터 이미 제거되었으므로, 실 잉여분은 윗실 클램프(14)와 윗실 주 인장 장치(21) 사이에서 결과하는, 다시 말해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거기에서 실은 인장력을 받지 않고 있다. 이 실 잉여분은 도 2에 도시된 205°위치에서 실 레버(18)의 상사점으로부터 실 레버 아이릿(19) 경로의 약 2배이다. 205°위치로부터, 후크(10)는 윗실 루프와 결합하고 있는 후크 팁을 통해 윗실을 인출하기 시작한다. 실 클램핑 위치에 있는 윗실 클램프(14) 때문에, 윗실(9)은 위로부터 추가적으로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후크 팁에 의해 윗실 루프를 인출하는 동안 윗실(9)의 자유단(36)은 재봉될 제품(34)을 지나 아래로 당겨진다. 재봉될 제품(34) 상에서 윗실(9)의 자유단(도 4 참고)을 제품 프레셔 풋(37)이 클램핑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압력으로부터 프레셔 풋(37)의 해방은 205°위치에서 작동되므로, 프레셔 풋(37)은 하중없이 재봉될 제품(34) 위에 놓이게 된다.
도 5에는 300° 암 샤프트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300°위치에서, 실 레버 아이릿(19)은 하사점의 영역에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윗실 인장은 후크(10)에 의해 여기에서도 계속된다. 이 암 샤프트 위치에서, 윗실(9)은 후크(10)에 의해 재봉될 제품을 지나 아래로 인출된다. 300°암 샤프트 위치에서, 프레셔 풋(37)은 다시 하중을 받는, 다시 말해서 205°와 300°암 샤프트 위치 사이에서 작동 상태인 압력으로부터 프레셔 풋(37)의 해방이 이제는 다시 비작동된다.
윗실 클램프(14)는 이제 실 해제 위치로 이송된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는 작동되고 인장력으로 윗실을 잡는다.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29)가 작동된다. 300°위치에서, 윗실(9)의 자유단(36)은 후크(10)에 의해 다시 아래로 인출되었다.
205°암 샤프트 위치와 300°암 샤프트 위치 사이 경로 상에서, 후크(10)는 재봉될 제품(34)을 지나 아래로 윗실(9)의 자유단(36)을 인출한다. 암 샤프트 회전의 다른 경로에서, 실 레버(18)는 재봉될 제품(34) 안 윗실(9)을 뒤로 인출하며, 이는 하기 설명에서 점차 명확해진다. 그 후 자유단(36)은 재봉될 제품(34)으로부터 더 적은 양의 실 길이 만큼 돌출한다.
도 6에는 다음 바늘땀에 있는 325°암 샤프트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따른 위치와 비교해, 암 샤프트(5)는 다시 재봉 동작 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120°(실제로 480°) 회전되었다.
325°위치에서, 윗실 클램프(14)는 실 해제 위치에 있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는 작동된다. 실 인출 장치(24)의 연장 암(25)은 이제 실 인출 위치로 이동된다.
실 레버 아이릿(19)은 325°위치에서 하사점 후에 상향 운동을 시작한다. 실 인출 장치(24)의 실 인출 위치로의 운동 때문에, 도 2에 따른 위치에서 실 레버 아이릿(19)의 영역에 아직 있는 윗실 잉여분은 이제 실 인장 장치(24)의 실 아이릿(27) 쪽으로 인출되었다. 실 레버 아이릿(19)과 윗실 클램프(14) 사이에서, 이제 윗실(9)이 윗실 잉여분의 헐거움 없이 존재하는 다시 말해서 도 6에서 수직방향으로 팽팽해진다.
325°위치에서, 후크(10) 역시 도 3에 따른 위치에 상대적으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특히 회전축(11)을 중심으로 240°(실제로 960°) 다시 회전되었다. 바늘땀 형성 영역에서 윗실(9)은 암 샤프트 회전의 다른 경로에서 실 레버(18)에 의해 뒤로 당겨지는, 특히 윗실(9)이 이제 실 인출 장치(24)의 영역에서 연장 실 경로를 취하는 만큼 당겨진다.
도 7에는 60°암 샤프트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바늘(8)은 하향 경로에 있다. 윗실 클램프(14)는 해제 위치에 있다. 윗실 주 인장 장치(21)가 작동된다. 윗실 프리텐셔닝 장치(29)가 작동된다. 실 인출 장치(24)는 실 인출 위치에 있다. 실 인출 장치(24)는 솔기 형성의 다른 전체 경로 동안 실 인출 위치에 남게 된다. 그 대안으로 각각의 경우에 솔기의 다른 형성 동안 중립 위치의 방향으로 증분만큼, 실 인출 위치와 중립 위치 사이에 실 인출 장치의 전체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증분만큼 실 인출 장치(24)를 바늘땀 단위로 뒤로 안내할 수 있다. 바늘땀마다 이 증분은 작으므로, 실 인출 장치(24)의 증분 운동 프로세스마다 실 경로가 복귀하며 바늘땀 길이보다 더 작다. 그 결과 실 인출 위치로 이동된 실 인출 장치(24)를 거쳐 윗실(9)의 우회로를 지나 제공되는 부가적인 실 경로는 다른 솔기 형성에서 다른 효과를 가지지 않고 실 레버(18)의 운동에 의해 다시 복귀된다.
실 인출 장치(24)의 동작은 윗실(9)의 풀려진 다시 말해서 자유로운 단부(36)와 함께 도 2에 따른 0°암 샤프트 위치에서 시작한다. 이 위치에서, 재봉될 2겹 제품(34)이 삽입된다. 상태 정보 "솔기의 시작"은 제어 장치(6)에 저장되어 있다. 도 2에 따른 위치로부터 진행하여, 재봉될 제품(34)에서 솔기의 재봉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시작한다. 바로 그 제 1 순서로, 그리고 그 후에만, 실 인출 장치(24)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 인출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설명에 따라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24)의 운동은 제 2 바늘땀에서 이루어진다. 이어지는 모든 바늘땀에서, 실 인출 장치(24)는 계속적으로 실 인출 위치에 남게 된다. 325°암 샤프트 위치에서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24)가 작동하므로 윗실(9)의 자유단(36)이 재봉될 제품(34)을 지나 실 레버(18)로 뒤로 인출되어 짧아진다. 그 대안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24)의 운동은 제 1 바늘땀에서, 제 3 바늘땀에서 또는 휠씬 더 뒤의 바늘땀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24)의 제 1 왕복 운동 프로세스 후, 상태 정보 "솔기의 시작"은 제어 장치(6)에서 "솔기 중"으로 바뀐다. "솔기의 시작"으로의 새로운 전환은 제어 장치(6)에 의해 실 컷오프 프로세스 후에 이루어진다. 이 상태 정보는 다른 재봉 프로세스 동안 요구된다. 실 인출 장치(24)는 상태 정보 "솔기의 시작"이 있을 때만 작동된다. 재봉 프로세스의 끝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실이 컷오프된 후, 실 인출 장치(24)는 중립 위치로 복귀된다. 이는 또한 이미 전술한 것처럼 솔기 형성 동안 증분 단위로 이루어진다.
재봉될 제품(34) 위로 돌출하는 자유단(36)의 길이는 실 인출 위치에서 연장 암(25)의 각도 위치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제어 장치(6)에서, 특히 연장 암(25)이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될 때, 다수의 시작 실 길이는 미리 선택될 수 있다. 미리 선택된 시작 실 길이에 따라서, 제어 장치(6)에 의해 작동되는 연장 암(25)의 각도 위치는 실 인출 위치에서 결과한다. 시작 실 길이에 상응하는 실 인출 길이는 연장 암(25)을 위한 기계적 정지부에 의해 대안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실 인출 장치(24)가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왕복운동하는 동안 솔기의 시작부에서 제 1 바늘땀의 전체 순서는 암 샤프트(5)의 회전 동작 속도에 비해 감소된 고정 회전 암 샤프트 속도에서 이루어진다. 이 감소된 회전 암 샤프트 속도도 제어 장치(6)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다시 말하면,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에 상술된다: 먼저, 윗실 루프가 형성된다. 그 후 윗실 루프는 후크 팁의 회전식 그리핑 위치에서 후크(10)의 후크 팁으로 잡힌다. 그 후 윗실(9)은, 회전식 그리핑 위치 반대편 역회전 위치가 이를 때까지, 약 240°내지 250°, 특히 245° 후크(10)의 후크 하우징 둘레에서 후크(10)의 후크 팁의 회전 동안 후크(10)의 후크 팁으로 인출된다. 회전식 그리핑 위치로부터, 후크(10)의 후크 팁이 역회전 위치로 회전하는, 다시 말해서 후크(10)의 후크 하우징 둘레에서 적어도 반회전만큼 회전한다. 후크(10)의 후크 팁의 역회전 위치에 도달한 후, 실 인출 장치(24)는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운동된다.
중립 위치와 실 인출 위치 사이에서 연장 암(25)의 운동에 의해 야기되는 실 경로 차이는 재봉될 제품(34) 두께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재봉될 제품(34)의 두께는 이용자에 의해 조정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두께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재봉될 제품의 두께 측정값을 처리하고 원하는 실 경로 차이값을 실 인출 장치(24)로 보내기 위해, 제어 장치(6)가 재봉될 제품의 두께 센서에 대해 신호 접속부를 가질 수도 있다.
주 텐셔너(22)는 재봉 프로세스의 끝에서 실 컷오프 프로세스를 위해 벤틸레이트되므로, 주 텐셔너(22)의 위치에서 실 인장력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재봉 프로세스 동안, 주 텐셔너(22)는 재봉을 위해 요구되는 실 인장력을 만들어낸다.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24)의 운동과 상호작용하여, 주 텐셔너(22)는 실 클램핑 위치로 이송되므로, 윗실(9)이 자유단(36)으로부터 뒤로 확실히 인출된다. 주 텐셔너(22)의 실 클램핑 기능은 윗실(9)이 재봉될 제품에서 높은 마찰을 받기 쉬운 재봉 업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서, 재봉틀의 윗실 안내의 또 다른 실시예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며, 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술하였던 윗실 안내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술하였던 요소 및 기능들은 같은 도면 부호를 가지며 다시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의 윗실 주 인장 장치(38)는 주 텐셔너로서 함께 구성된 2개의 윗실 주 인장 유닛(39, 40)을 갖는다. 2개의 윗실 주 인장 유닛 중 하나인 윗실 주 인장 유닛(40)은 실 레버(18)와 실 인출 장치(24) 사이 윗실 경로에 배치된다. 이 윗실 주 인장 유닛(40)은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주 인장 장치(21)와 비교해 추가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2개의 윗실 주 인장 유닛 중 다른 하나인 윗실 주 인장 유닛(39)은 윗실 주 인장 유닛(22)이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배치된 곳에 배치되어 있다.
윗실(9)의 자유단(36)이 재봉될 제품(34)을 통해 아래에서 인출된 후 실 레버(18)가 실 인출 장치(24)의 이용 때문에 재봉될 제품(34)에서 윗실(9)을 뒤로 인출하는 솔기의 시작부의 재봉이 정확히 말해서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처럼 도 8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원칙적으로 이루어진다. 325°암 샤프트 위치에서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24)의 운동 바로 전에, 윗실 주 인장 유닛(40)은 실 인출 장치(24)와 실 레버(18) 사이에서 정상 인장력 위치로부터 더 작은 인장력 위치로 운동된다. 그 후 윗실(9)은 실 인출 장치(24)와 실 레버(18) 사이 윗실 주 인장 유닛(40)에 의해 잔여 실 인장력으로 하중을 받으며, 이 잔여 실 인장력은 윗실 정상 인장력보다 더 작다. 이를 통해 보장되는 점은 실 인출 장치(24)가 실 레버(18)로부터 윗실을 뒤로 인출하고 윗실 공급부로부터는 바라지 않는 것처럼 인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잔여 실 인장력은 윗실(9)이 실 인출 장치(24)에 의해 이 윗실(9)의 전방 인출 동안 가속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 인출 장치(24)의 실 인출 위치와 중립 위치 사이에서 윗실(9)의 실 경로 차이 때문에 공급받는 것보다 더 많은 윗실(9)이 뒤로 인출된다. 실 인출 장치(24)의 실 인출 위치로의 운동 후, 윗실 주 인장 장치(40)는 다시 작동된다.
그렇지 않으면, 도 8 내지 도 12에 따른 윗실 안내를 가지는 재봉틀의 동작은 전술한 것처럼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재봉틀의 그것과 일치한다. 또한 도 4에 따라 재봉될 2겹 제품(34)의 단면은 도 8 내지 도 12에 따른 윗실 안내를 가지는 재봉틀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1 재봉틀
9 윗실
10 후크
14 윗실 클램프
18 실 레버
24 실 인출 장치
25 연장 암
27 실 아이릿

Claims (10)

  1. 하우징(2, 3, 4),
    윗실(9)을 위한 공급부,
    재봉될 제품(34)을 통해 윗실(9)을 안내하기 위해 재봉 바늘(8)을 가지는 바늘 바아(7), 이 경우 재봉 바늘(8)은 수직으로 상하 운동을 하며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에서 구동되며,
    바늘땀 형성 동안 윗실(9)을 잡기 위한 후크(10),
    윗실(9)의 루프를 인출하기 위한 실 레버(18),
    후크(10)와 실 레버(18) 사이에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있는 작동가능한 윗실 클램프(14),
    작동 상태에서 윗실(9)이 일정한 실 인장력을 실 레버(18)에 의해 받기 전에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있는 윗실 인장 장치(21; 38)를 포함하는 재봉틀(1)에 있어서,
    윗실(9)이 실 레버(18)와 윗실 주 인장 유닛(22; 39) 사이 제 1 실 경로를 취하는 중립 위치와,
    제 1 실 경로와 비교해 실 경로 차이만큼 더 긴, 윗실(9)이 실 레버(18)와 윗실 주 인장 유닛(22; 39) 사이 제 2 실 경로를 취하는 실 인출 위치,
    이 양 위치 사이에서 제어 방식으로 운동될 수 있는, 윗실 인장 장치(21; 38)의 하나 이상의 윗실 주 인장 유닛(22; 39)과 실 레버(18) 사이 윗실 경로에 있는 실 인출 장치(24)를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실 인출 장치(24)는 피봇운동가능한 연장 암(25)을 가지며, 실 경로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피봇운동될 수 있는 연장 암의 단부에 실 아이릿(2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2항에 있어서, 중립 위치에 있는 실 아이릿(27)은 하우징에 고정된 2개의 실 가이드 아이릿(28) 사이 윗실 경로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 1항에 있어서, 정확히 말해서 공급부 측 윗실 경로에 있는 하나의 윗실 클램프(14)를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윗실 인장 장치(21)는 실 인출 장치(24)와 윗실 공급부 사이 실 경로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윗실 인장 장치(38)는 다수의 윗실 주 인장 유닛(39, 40), 더 정확하게 말하면 실 레버(18)와 실 인출 장치(24) 사이 실 경로에 배치된 윗실 주 인장 유닛 중 하나(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윗실 루프를 형성하는 단계,
    회전식 그리핑 위치에서 후크(10)의 후크 팁으로 윗실 루프를 잡는 단계,
    이 회전식 그리핑 위치 반대편 역회전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후크(10)의 후크 하우징 둘레에서 후크 팁의 적어도 반회전 동안 후크(10)의 후크 팁으로 윗실(9)을 인출하는 단계,
    후크(10)의 후크 팁의 역회전 위치에 도달한 후,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가지는 제 1 항에 따른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
  8. 하사점로부터 진행하여, 재봉 바늘(8)로 하사점와 상사점 사이 루프 리프트 위치 쪽으로 바늘 바아(7)를 올려 윗실 루프(36)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 올림은 개방된 윗실 클램프(14)로 그리고 중립 위치에 있는 실 인출 장치(24)로 이루어지고,
    바늘 바아(7)의 루프 리프트 위치에 도달한 후 윗실 클램프(14)의 실 클램핑 위치를 작동하고 후크(10)에 의해 잡혀 인출된 후 후크 회전의 적어도 일부분 동안 윗실 클램프(14)의 실 클램핑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윗실(9)이 인출되고,
    실 레버(18)가 내려져, 윗실(9)이 실 레버(18)와 윗실 주 인장 유닛(22; 39)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실 인출 장치(24)를 이동시키는 단계,
    실 인출 장치(24)를 중립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를 가지는 제 7항에 따른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
  9. 윗실 인장 장치(38)는 다수의 윗실 주 인장 유닛(39, 40), 더 정확하게 말하면 실 레버(18)와 실 인출 장치(24) 사이 실 경로에 배치되어 있는 윗실 주 인장 유닛 중 하나(40)를 가지는 재봉틀을 참고로 제 8항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실 인출 장치(24)를 중립 위치로부터 실 인출 위치로 이동시킬 때, 실 레버(18)와 실 인출 장치(24) 사이 윗실 주 인장 유닛(40)이 정상 인장력 위치로부터 더 적은 인장력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재봉틀(1)의 제품 프레셔(37)는 적어도 윗실(9)의 인출 시작 동안 압력으로부터 해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기 위한 방법.
KR2020120001759U 2011-03-07 2012-03-07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KR2004824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5198.8 2011-03-07
DE102011005198A DE102011005198A1 (de) 2011-03-07 2011-03-07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88U true KR20120006388U (ko) 2012-09-17
KR200482460Y1 KR200482460Y1 (ko) 2017-01-25

Family

ID=4565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59U KR200482460Y1 (ko) 2011-03-07 2012-03-07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97852B1 (ko)
JP (1) JP3175658U (ko)
KR (1) KR200482460Y1 (ko)
CN (1) CN202530278U (ko)
DE (1) DE102011005198A1 (ko)
TW (1) TWM4455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172U (ko) * 2012-11-19 2014-05-28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1060B3 (de) 2012-11-19 2014-02-06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DE102017201240A1 (de) * 2017-01-26 2018-07-26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einer in Nähgut auszubildenden Naht mit einem definierten Soll-Nahtüberstand sowie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DE102017206499B3 (de) * 2017-04-18 2018-05-03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196B2 (ja) * 1987-07-13 1994-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計測器等のノイズ障害軽減回路
KR100515898B1 (ko) * 2004-01-15 2005-09-21 코베스트 주식회사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90020495A (ko) * 2007-08-22 2009-02-26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4883A (en) * 1970-05-14 1972-04-11 Union Special Machine Co Thread control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DE2815297C2 (de) * 1978-04-08 1983-01-13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Gesteuerte, im Bereich zwischen dem Fadenhebel u. dem Nadelöhr angeordnete, auf mindestens einen Nadelfaden einwirkende Fadenklemme einer Nähmaschine
US4566396A (en) * 1984-09-27 1986-01-28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Thread feed mechanism in sewing machine
DE3604299A1 (de) * 1985-04-16 1986-10-16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Verfahren zum ziehen des freien fadenendes eines nadelfadens von der oberseite eines naehguts auf dessen unterseite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DE4132991C1 (en) * 1991-10-04 1992-12-03 Duerkopp Adler Ag, 4800 Bielefeld, De Producing seam having short thread ends on bottom of workpiece - involves drawing back needle thread from underside of workpiece so that only short thread piece remains on underside
JPH06134162A (ja) * 1992-10-28 1994-05-17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供給制御装置
US5931107A (en) * 1997-12-22 1999-08-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dvanced stitching head for making stitches in a textile article having variable thickness
DE10234251C1 (de) 2002-07-27 2003-10-09 Duerkopp Adler Ag Verfahren zum Ziehen des freien Fadenendes eines Nadelfadens von der Oberseite eines Nähgutteils auf dessen Unterseite und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8245731A (ja) * 2007-03-29 2008-10-16 Juki Corp ミシ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196B2 (ja) * 1987-07-13 1994-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計測器等のノイズ障害軽減回路
KR100515898B1 (ko) * 2004-01-15 2005-09-21 코베스트 주식회사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20090020495A (ko) * 2007-08-22 2009-02-26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172U (ko) * 2012-11-19 2014-05-28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5658U (ja) 2012-05-24
KR200482460Y1 (ko) 2017-01-25
TWM445592U (zh) 2013-01-21
EP2497852B1 (de) 2013-11-13
DE102011005198A1 (de) 2012-09-13
CN202530278U (zh) 2012-11-14
EP2497852A1 (de)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571B1 (ko)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20120006388U (ko)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JP3522866B2 (ja) ミシン
JP6975533B2 (ja) 短い目標−シーム突出と共にシーム−開始上糸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構成グループ、及びこのような構成グループを有するミシン
KR101862871B1 (ko)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US3738298A (en) Tension device for needlethread of a sewing machine
JP5544056B2 (ja) 飾り縫いミシン
US9267223B2 (en) Single- or multiple-head embroidery machine having a double-lock-stitch rotating gripper
KR20210044870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를 공급하는 장치 그리고 코드 안내체
JP2002177678A (ja) ミシン
KR20210044869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 컷 장치
CN110295463A (zh) 缝纫机
KR102481545B1 (ko) 정의된 공칭 초과 실 길이를 가지고 섬유 조각 내에서 꿰매어질 솔기의 솔기 시작 바늘 실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재봉틀
JP2006068380A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KR101033076B1 (ko) 재봉틀
CN105283596B (zh) 具有至少一个双锁式针迹旋梭的刺绣机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CN110656447A (zh) 缝纫机
JP3022651B2 (ja) ミシンの制御装置
JP5420606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CN106245237B (zh) 嵌条缝制缝纫机
JPH0521600B2 (ko)
JPH03109095A (ja) 糸切りミシン
KR20210052476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의 박음질 시작을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