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413A -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413A
KR20120004413A KR1020117021737A KR20117021737A KR20120004413A KR 20120004413 A KR20120004413 A KR 20120004413A KR 1020117021737 A KR1020117021737 A KR 1020117021737A KR 20117021737 A KR20117021737 A KR 20117021737A KR 20120004413 A KR20120004413 A KR 2012000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eans
cartridge
conveyor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스 이보 반
요프 레오나르뒤스 크넵페르스
리하르트 파트리크 페르스라위이스
흐리스 제이. 엠. 모르만
흐라프 헤르브란트 크리스티안 데
Original Assignee
사라 리/디이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라 리/디이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라 리/디이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0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복수 회분(multiple servings)의 원두를 보유하고 공급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는 커피 음료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 부피를 형성하는 외부 벽과, 그것의 일단의 개구를 갖는다. 영구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분리되지 않는 밀폐 부재는 상기 용기의 일단과 체결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개구를 덮는다. 상기 밀폐 부재의 배출 통로는 상기 내부 부피에서 원두를 이송하는 원두 아웃렛을 형성한다. 상기 밀폐 부재는 주변 공기에 원두 내용물이 노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상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는 커피 음료 시스템에 상기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갖는다. 상기 커피 음료 시스템은 앞에서 정의된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주입 장치, 및 그라인딩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주입 장치는 일회분의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데 요구되는 양에 대응되는 원두의 일부를 받는 측정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and coffee beverage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원두를 수용하는 내부 부피를 갖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커피 음료(coffee bevervages)를 준비하는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며 사용 전에 밀폐하여 봉인된 상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그라인딩(grinding) 장치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기체가 새지 않는 용기에 로스트된(roasted) 원두를 포장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1kg 내지 3kg의 원두를 담도록 디자인된 용기가 상기 시스템에서 효과적이다. 상기 용기의 내용물들은 한가지 타입 또는 단일 블렌드(blend)의 원두일 수 있다. 안목있는 소비자들은 그들의 커피 음료를 위해 신선하게 분쇄된 다양한 원두를 선택하는데 점점 높은 관심을 갖는다. 커피 음료 시스템에 사용되는 잘 알려진 원두 용기들은 원두의 선택이나 원두의 블렌드를 제공하는데 부족한 면이 있다. 일단 이미 알려진 용기가 알려진 커피 추출 장치에 설치되면, 그것이 여러 다양한 또는 블렌드된 원두를 담고 있는 용기에 의해 교체되기 전에 그것은 완전히 비워져야 한다. 국제특허출원 제2004/023956호(WO 2004/023956)에서 단 일회분의 원두를 담는 원두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 해결책은 단점이 없지않다. 패키징과 쓰레기 제어 면에서 경제적이지 않다는 점을 별론으로 하여도, 다양한 원두나 블렌드가 다른 크기나 가득찬 원두 용기들로 추가적으로 제공되지 않으면, 소비자의 특별한 요구에 일회분(single serving)의 정량(dosage)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향상된 원두 주입 장치, 및 위에 언급한 종류의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개선하거나 극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과 동작 면에서 덜 복잡하고 게다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대안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들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원두는 구운 원두/로스팅된 원두로 이해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의 원두는 또한 부서진(fragmented) 원두를 포함하며, 즉 원두 조각들(fragments)은 원하는 커피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그라인딩될 수 있다(ground). 상기 원두는 포장되기 전에 예를 들면 깨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원두 패키지의 원두의 부분은 적어도 30개 또는 그 이하로 나눠지거나, 특히 대략 15개 또는 그 이하, 바람직하게는 10개의 조각 또는 그 이하로 나눠진다. 한 개의 원두 조각은 예를 들면 하나의 원두의 13분의 1 부분, 특히 15분의 1 부분, 이보다 더 10분의 1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원두 조각들은 하나의 원두의 절반 또는 4분의 1을 구비할 수 있다. 온전한 원두에 비해 원두 조각을 이용하는 장점은 원두 조각들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그라인더(grinder)에 공급되며, 그리고/또는 패키지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밀봉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원두 조각들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그런 이유로 상기 패키지와 상기 장치에 개구를 통해 쉽게 들어갈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기 원두 아웃렛(outlet) 및/또는 밀폐 수단을 쉽게 차단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원두가 분쇄되지 않지만 미리 조각들로 나눠짐에 따라, 그 동안에 비교적 더 많은 원두 표면이 온전한 원두의 경우보다 주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반면에, 더 적은 원두 표면이 분쇄된 커피의 경우보다 공기와 접촉하게 되어, 원두 조각들이 분쇄된 원두보다 더 잘 보존된다. 상기 커피 음료를 준비하기 바로 전에만 상기 원두 조각들이 커피 음료를 얻기 위해 분쇄된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에서, 원두는 또한 부서진 원두(fragmented coffee bean)를 포함하고, 부서진 원두는 원하는 커피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분쇄될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두의 복수 회분(multiple servings)을 보유하고 공급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 부피를 형성하는 외부 벽과, 원두 아웃렛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가지며, 적어도 일 회분의 원두를 보유하는 용기; 상기 원두를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배출 개구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커피 추출 장치의 회전하는 모티브 수단(motive means)에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가능하게 결합하는(drivingly coupling) 커플링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동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이 상기 배출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외부에서 구동되는 경우에 유리한다.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원두를 교반 수단을 포함하거나 진동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유리하다.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거나, 회전하도록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회전 표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표면부는 컨베이어 디스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두의 적어도 일 회분에 맞닿는(confronting)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표면은 중앙은 높고 주변은 낮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빠른 회전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는 가이드 수단을 따라 상기 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보통인 회전 속도로 구동되며,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방사형의 릿지(radial ridge)는 상기 원두의 적어도 일 회분에 맞닿는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원두의 적어도 일 회분에 맞닿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표면의 일부분을 덮어씌우며, 상기 디스크에서 상기 배출 개구로 상기 원두를 가이드하는 고정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상기 외부 벽의 적어도 일 단부에 맞는 영구적이고 분리되지 않는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배출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에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내부 부피에서 상기 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배출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밀폐 부재에서의 배출 통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 부재는 주변 공기에 원두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커피 음료 시스템에 상기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는, 그것이 완전히 비워질 때까지, 상기 커피 음료 시스템에 연결된 상태로 남아있을 필요가 있다. 상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옵션에 의해, 그것이 상기 시스템에서 임시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른 내용물을 갖는 원두 카트리지가 중간에서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것은 소비자가, 평행하게 작동하는 고가의 시스템을 여러 대 가질 필요없이,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공받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은 상기 밀폐 부재의 외부에서 구동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배열에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밀폐 수단은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로운 배열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밀폐 수단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밀폐 수단은 상기 밀폐 부재의 외부에서 일반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로운 배열에서,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카트리지의 작동 전에 상기 내부 부피를 밀봉하는 제거 가능한 밀봉부와 결속될 수 있다. 수단이 상기 밀봉부를 파괴하고(disrupting) 변위시키는(displacing) 경우 추가적으로 유리하다. 상기 밀봉부는 밀봉막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파괴하고 변위시키는 수단은 잡아 따는 손잡이일 수 있으며, 그래서 그것은 수동으로 잡을 수 있으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파괴하고 변위시키는 수단은 고리 모양의 그루브(annular groove)에 상기 밀봉막을 밀어 넣는 원통형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밀봉막은 그것의 처리를 용이하게 상기 카트리지에 부착되어 남아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원통형 벽이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밀봉 부재의 제거는 완전히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봉막의 파열은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중심에서 연장된 피어싱 핀(piercing pin)을 더 포함함으로써 도움이 될 것이다. 상기 밀봉막이 그것의 파괴를 제어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약화된 영역을 구비하는 사전 약화된 포일인 경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가 구동 허브를 갖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를 구비하는 경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구동 허브는 상기 피어싱 핀을 운반하여, 상기 밀봉막을 파괴하기 위해, 상기 밀봉막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는 넥 부분(neck portion)을 포함한 용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넥 부분은 상기 밀폐 부재를 고정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릿지(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넥 부분은 고리 모양의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외부 슬리브(sleeve)와 원통형의 내부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막은, 그것의 둘레가 상기 원통형 외부 슬리브에 부착되어 남아있는 동안, 상기 고리 모양의 그루브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외부 슬리브는 상기 밀폐 부재의 구성요소와 결합하는 외부 숫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강체(rigid) 디자인일 수 있으며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용기는 투명할 수 있으며, 그래서 그것의 내용물은 측량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기 용기는 병 모양의 형성 또는 튜브 모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상기 원두에 의해 비워지는 상기 내부 부피의 공간을 채우기 위한 상기 내부 부피 내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비워진 공간을 채우기 위한 상기 수단은 기체 및/또는 팽창 가능한 백(bag)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선택적 측정은 연장된 시간에 걸쳐 상기 내용물을 신선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바닥과 원주 상의 외부 벽을 형성하는 밀폐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열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은 상기 바닥에서 중심 개구를 통해 상기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 장치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바닥에서 중심 개구를 통해 상기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 장치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 및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바닥에서 상기 중심 개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컨베이어 디스크를 갖는 상기 이동가능한 컨베이어 수단를 갖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 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와 연결되는 밀폐 덮개(closing flap)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밀폐 덮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둘레 개구와 원두 아웃렛(outlet) 사이로 연장되는 배출 통로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 통로는 원두가 상기 배출 통로나 원두 아웃렛을 막거나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내에서 원두의 컬럼(column)에서 오프셋(offset)된 캐비티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두 아웃렛이 상기 카트리지에 대해 축 방향으로 향하는 반면에, 상기 둘레 개구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해 방사상으로 향한다. 상기 배출 통로나, 측면으로 오프셋된 캐비티가 적어도 5개의 원두에 대응하는 원두 1그램의 최소값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부피에서 상기 배출 통로나 캐비티는 1 내지 3 밀리미터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원 아웃렛을 폐쇄하는, 회전가능한 밀폐 디스크와 같은, 밀폐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배출 통로 또는 캐비티에 의해 형성되는 버퍼는 원두의 클리핑 이팩트(clipping effect)를 방지할 수 있다. 원두가 상기 원두 아웃렛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폐 디스크의 폐쇄 경로를 방해하는 경우, 상기 클리핑 이팩트는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둘레 개구와 상기 원두 아웃렛을 포함하는, 상기 전체 캐비티와 원두 통로가, 적어도 25㎟의 횡단면을 갖는 경우에 유리하다. 반면에 상기 횡단면 면적이 400㎟보다 더 넓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는, 커피 음료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커피 추출 장치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바요넷(bayonet)을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에 그것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된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와, 제어부와 그것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의 커플링 수단과 맞물리는 모티브(motive) 수단을 구비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주입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회전 구동하는 기간을 결정하는 타이밍(timing)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밍 수단에 반응하여 상기 구동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그라인딩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수단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주입 장치는 커피 음료의 일 회분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원두 주입량에 대응되는 원두의 일부를 받는 측정 챔버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커피 음료의 일 회분은 원두 4 내지 12 그램, 바람직하게는 6 내기 8 그램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그램 사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비움 수단(emptying means)을 더 구비하는 상기 주입 장치를 갖는다. 다른 배열에 따르면 상기 비움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의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바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배열에 따르면, 상기 비움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를 기울이는 티핑 수단(tipping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움 수단의 특정 형태와 관계없이, 상기 비움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보다 유리한 배열의 시스템은 상기 측정 챔버에서 상기 원두의 양을 검출하는 상기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상기 주입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소정 양의 원두가 검출될 때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측정 챔버 내의 특정 수준(a certain level)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측정 챔버에서의 원두의 양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상기 측정 챔버에 대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커플링 수단과 맞물리는 모티브 수단은 구동 수단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구동 샤프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과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또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 센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소정 양의 원두를 검출하자마자 중단하는 상기 구동 수단을 또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을 정지시키기 전에, 원두가 상기 배출 개구를 방해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상기 모티브 수단의 짧은 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역회전에 의해 원두가 상기 배출 개구의 밀폐를 방해하는 위치에 없다는 것이 확인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배출 통로를 폐쇄하거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이 중단되는 것을 확인하자마자, 상기 그라인더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회전은 상기 추출 장치의 구동 샤프트와 상기 카트리지의 구동 디스크의 위상뿐만 아니라 회전 속도까지 검출된다. 제2 센서에 의해 상기 관련 사항이 확인된다. 상기 추가적인 확인은 상기 시스템의 동작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그라인딩 장치는 상기 주입 장치로부터의 측정된 양의 원두를 받을 수 있다. 분쇄된 커피와는 달리 분쇄되지 않은 원두를 측정함에 있어서 커피 오일 및 먼지 입자들이 상기 측정 챔버를 덜 오염시킨다. 이렇게 됨으로써 자투리들(remnants)의 완벽한 제거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그라인딩 장치는 커피 음료가 준비된 후에 자동적으로 비워진다.
원두의 일 부분을 받는 주입 장치의 측정 챔버는 웨이팅부(weighting unit), 원두 카운팅부(counter unit) 및 부피 레벨 검색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닛들은 상기 구동 수단의 제어를 개시하는 상기 제어부와 연통될 수 있다.정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한 개별적인 측정을 체크하는 조합에서 하나 이상의 측정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그라인딩 장치를 추가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질 수 있다.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 시스템은, 분쇄된 커피를 얻기 위해 원두를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딩 장치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 원두를 주입하는 수단,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을 끊을 수 있는(disconnectable)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원두를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에서 상기 그라인딩 장치로 공급하는 원두 입구(entrance)와,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를 상기 커피 추출 시스템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한다. 제어부는 상기 추출 시스템을 제어한다.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그라인딩 장치에서 분쇄된 커피를 추출하여 물을 공급함으로써 커피 음료를 추출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커피 음료를 배달하는 커피 음료 아웃렛을 더 구비한다. 특히 상기 시스템은 상기 카트리지의 존재를 인식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특징은 상기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다양한 원두에 따라 제어부에 상기 추출 과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검출 수단은 독특한 카트리지 식별자를 등록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여러 번 일 회분의 원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에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배열되어 원두 배출 및 원두 입구가 연결되는 반면, 원두를 주입하는 수단은 주입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원두 배출에서 측정 챔버로 오는 소정 양의 원두를 측정하는 측정 챔버를 갖는 측정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과 상기 장치의 원두 입구 중 적어도 하나를 밀폐 개시하는 주입 검출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밀폐 부재의 외부에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 통로와 결속되는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같은 모티브 수단을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덱싱(indexing)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 통로의 선택적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카트리지의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을 이동시키는데 제공된다. 원두는 반 원두(half coffee beans)일 수 있다. 상기 원두는 로스트된 원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두는 상기 로스트된 원두를 형성하기 위해 잘 알려진 방식으로 로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측면은 실시예들에 대한 첨부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커피 음료 시스템을 여러 대 가질 필요없이, 다양한 종류의 원두 커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내의 원두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원두를 주입하고 그라인딩하며, 커피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a는 아직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카트리지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도 2a 및 2b의 원두 카트리지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부분 전개도이며;
도 2d는 사용 전 상태인 상기 제1 실시예의 상기 원두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는 사용 전 상태인 원두 카트리지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와 유사한 단면도이지만, 사용 상태의 원두 카트리지를 나타내며;
도 3c는 도 3a 및 3b의 원두 카트리지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부분 전개도이며;
도 3d는 사용 준비 상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는 사용 전 상태인 원두 카트리지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와 유사한 단면도이지만, 사용 상태의 원두 카트리지를 나타내며;
도 4c는 도 4a 및 4b의 원두 카트리지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부분 전개도이며;
도 4d는 결합된 상태인 원두 카트리지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a는 사용 전 밀폐된 상태인 원두 카트리지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와 유사한 단면도이지만, 개봉된 상태의 원두 카트리지를 나타내며;
도 5c는 반대로 배열된 부분들을 나타내는 상기 원두 카트리지의 제4 실시예의 제1 전개 사시도이며;
도 5d는 정상적으로 배열된 부분들을 나타내는 상기 원두 카트리지의 제4 실시예의 제2 전개 사시도이며;
도 5e는 밀봉막이 제거된 상기 원두 카트리지의 제4 실시예의 저면도이며;
도 5f는 상기 원두 카트리지의 제4 실시예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수정된 밀봉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패키징 카트리지에서 배출된 원두를 측정하는 주입 장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도 7은 원두 주입 장치의 사용에 적합한 측정 원리의 제1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8은 원두 주입 장치의 사용에 적합한 측정 원리의 제2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9는 원두 주입 장치의 사용에 적합한 측정 원리의 제3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10은 원두 주입 장치의 사용에 적합한 측정 원리의 제4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11은 도 1에 따른 상기 시스템의 특별한 실시예의 일부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한 컨베이어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컨베이어 수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4는 컨베이어 수단의 다른 형태를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플렉서블 벨브(flexible valve)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며;
도 16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에서 추가적인 동기화 수단을 사용하는 도 14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이며;
도 17a는 카트리지의 일부분으로서 컨베이어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7b는 도 17a의 상기 카트리지의 투시도이며;
도 18a는 제1 위치에서의 또 다른 컨베이어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8b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도 18a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며;
도 18c는 제2 위치에서 도 18a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며;
도 18d는 상기 제2 위치에서 도 18a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며;
도 19a는 제1 위치에서의 컨베이어 수단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9b는 상기 제2 위치에서의 도 19a의 컨베이어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20은 장치의 부피 측정 주입 챔버와 결합하는 본 발명의 상기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1은 컨베이어 디스크의 변형 형태와 구동 샤프트 커플링 단부를 나타내는 투시 전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따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개 투시도이며;
도 23a는 도 22의 패키징 카트리지의 바닥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전개 투시도이며;
도 23b는 반대 방향에 본 도 23a의 바닥 부분의 전개도이며;
도 24는 조립된 바닥 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며;
도 25는 상기 장치의 디래칭(delatching) 돌출부를 갖는 도 23b의 바닥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는 바닥 사시도이며;
도 26은 변형된 바닥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수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커피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1)을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1)은 커피 추출 장치(coffee brewing apparatus)(2)와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를 포함한다. 연결 수단들(4)은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를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는 원두들을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이들 원두들은 로스트되며 반쯤 로스트된 원두들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에 배치되기 전에,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는 완전 밀폐(closed airtight) 및/또는 진공이 된다. 또한,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는 일회용 패키징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그것이 비게 된 후에는 버려지게 된다. 상기 연결 수단(4)은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과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의 원두 투입구(inlet)(5) 사이에 접속부(interface)를 형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커피 추출 기계(machine)의 대응 부재(corresponding member)와 함께 작동하는(cooperating with)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 연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계와 카트리지는 일 예에서 상기 연결 수단(의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원두 패키징(3)의 원두 배출구(exit opening)(11)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의 원두 투입구(5)에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closing means)(12A)과 정렬된다(in register with). 상기 밀폐 수단(12A)은 예를 들면 전자기 밀폐 기계 장치(12B)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밀폐 기계 장치(12B)는 제어 장치부(13A)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 장치부(13A)는 액추에이션 제어부(13B)에 의해 작동 및또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카트리지(3)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2)로 소정 양의 원두를 이동 주입 장치(dosing device)(23)를 구비한다. 상기 원두는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를 벗어나며 상기 원두 투입구(5)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 장치 내로 들어간다. 상기 주입 장치(23)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의 일부분 또는 상기 카트리지(3)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의 일부분과 상기 카트리지(3)의 일부분의 조 합(combinat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에서 상기 주입 장치는 점선에 의해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커피 추출 장치(2)는 상기 카트리지(3)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2)로 이동되는 원두를 그라인딩하는(grinding) 그라인딩 장치(6)를 구비할 수 있다. 원두 이동 경로(25)는 상기 원두 투입구(5)와 그라인딩 장치(6)의 원두 공급구(supply opening)(29)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그라인딩 장치(6)는 분쇄된 커피(ground coffee)를 커피 추출 장치(7)에 공급한다. 분쇄된 커피 이동 통로(27)는 상기 그라인딩 장치(6)의 분쇄된 커피 배출구(30)와 상기 커피 음료 추출 장치(7)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커피 추출 장치(7)는 상기 분쇄된 커피로부터 커피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물을 공급받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피 음료는 커피 음료 배출구(8)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 장치에서 컵(9) 또는 가정용 그릇으로 흐르게 된다. 물 공급부(10)는 에스프레소 타입 커피 음료에 맞는 압력으로 상기 커피 추출 장치(7)에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되거나 커피 추출 장치(7)에 의해 형성된 추출 시스템(extraction system)에 드립 피드(drip feed)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회전하는 모티브 수단(motive means)(40)을 구동 가능하게(drivingly) 결합하는 커플링 수단(17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가능한 실시예들은 도 2-5를 기초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169)(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됨)은 상기 카트리지(3)의 상기 원두 배출구(11)로 상기 원두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외부로 회전 구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주입 장치(23)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커플링 수단(171)은 상기 원두 컨베이어 수단(169)에 접하고 상기 카트리지(3)의 바닥(151)에서 중심구(central opening)(173)를 통해 연장되는 구동 허브(171)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허브(171)는 상기 음료 시스템(1)으로 또는 상기 음료 시스템(1)에서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172)에 의해 결합되고 구동 샤프트(172)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브 수단(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장치부(13A)는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의 바코드 또는 RFID와 같은 식별부(22)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으로 기능을 하는 제2 센서(21)와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부(13A)는 상기 원두 카트리지(3)의 존재나 부재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내용물 및/또는 상기 카트리지(3)를 식별하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13A)는 상기 그라인더 장치(6), 상기 커피 추출 장치(7), 상기 물 공급 수단(10), 밀폐 장치(12B) 및/또는 상기 주입 장치(23)를 상기 제2 센서(21)에 의해 읽혀지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3A)는 그러므로 상기 그라인딩 장치(6)와 상기 커피 추출 장치(7)에 물 공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 장치부(13A)가 상기 카트리지(3)에 의해 제공된 특별한 원두 제품에 따라 상기 그라인딩과 추출 과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는 상기 식별부(22)에 의해 상기 제어부(13A)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d에 의하면, 원두 카트리지(103)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원두 카트리지(103)은 병 모양의 용기(131)와 밀폐 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 부재(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시스템과 함께 원두 아웃렛(outlet)(111)을 형성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131)는 넥 개구(neck opening)(139)을 상기 용기(131)와 결합하는 넥 부분(neck portion)(137)과 내부 부피(interior volume)를 형성한다. 상기 넥 부분(137)은 원통형의 내부 슬리스(141)와 원통형의 외부 슬리브(143)를 구비하며, 이들 사이에서 고리 모양의 그루브(annular groove)(145)를 형성한다. 상기 원통형의 외부 슬리브(143)는 외부 숫 나사선(147)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의 외부 슬리브(143)과 상기 용기(131)의 주요 부분(major portion) 사이에는 방사선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릿지(ridge)(149)를 구비한다.
상기 밀폐 부재(133)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151)과 환형의 외부 벽(153)을 포함한다. 상기 환형 외부 벽(153)은 위크닝(weakening)(147)의 환형 라인에 의해 상기 외부 벽(153)과 연결되는 환형 개봉 띠(tear strip)(155)를 구비한다. 상기 개봉 띠(155)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탭(pull tap)(15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133)는 제1 원통형 내부 벽(161)과, 상기 원통형 내부 벽(161)과 상기 환형 외부 벽(153) 사이에서 동일 중심을 갖는 제2 내부 원형 벽(16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 원통형 벽(163)은 상기 환형 외부 벽(153)보다 조금 낮지만, 상기 제1 내부 원통형 벽(161)보다 높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부 원통형 벽(163)은 내부 면에 암 나사선(165)을 가지며, 암 나사선은 상기 용기 넥 부분(137)의 숫 나사선(147)과 결합된다. 상기 제1 내부 원통형 벽(161)은 상기 원두 아웃렛(111)과 연결되는 그것의 내부 표면에 둘레 개구(perimeter aperture)(167)를 구비한다. 상기 둘레 개구(167)는 상기 카트리지의 바닥(151) 상에 원두의 컬럼(column)에 비하여 방사상 외부로 오프셋(offset)된 캐비티(cavity)에 의해 상기 원두 아웃렛(111)과 연결된다. 상기 배열은 상기 원두가 제어되지 않은 방법으로 상기 원두 아웃렛(111)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 부재(133)의 바닥(151)과 상기 제1 내부 원통형 벽(161)에 의해 형성된 챔버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169)로서 포함된 원두 컨베이어 수단은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컨베이어 수단(179)을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회전 수단(40)에 결합하는 커플링 수단(171)을 구비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에 부착되며 상기 바닥(151)에서 중심 개구(173)를 통해 연장되는 구동 허브(171)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허브(171)는 도 1의 상기 음료 시스템(1)에서 연장된 구동 샤프트(172)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브 수단(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와 그것들의 연결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 (169)는 적어도 한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둘레 개구(167)를 밀폐하기 위한 그것의 주변부 상에 밀폐 덮개(closing flap)(175)를 구비한다. 상기 밀폐 덮개(175)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허브(171)는 축 방향에서 상부로 연장된 피어싱 핀(piercing pin)(17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주변으로 상기 원두를 이동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형상은 선택적이며 다른 형상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덮개(175)가 상기 둘레 개구(167)를 밀폐하기 위해 원두의 경로를 막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상기 둘레 개구(167)가 상기 덮개(175)에의 부분적으로 차단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정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원두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로부터 가져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175)에 의해 상기 개구(167)를 밀폐하면 남아있는 원두 성분의 손상을 어느 정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덮개는 상기 밀폐 부재(133)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개구(167)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밀폐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밀폐 수단을 가지며,상기 밀폐 상태에서 상기 원두가 상기 카트리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원두 내용물이 기체 형태로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counteract).
또한,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부 원통형 벽(173)은 그것의 자유단(free end)에서 내부 주변 릿지(179)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131)의 상기 넥 부분(137)의 개방단(open end)(139)은 밀봉막(sealing membrane)(181)에 의해 형성된 밀봉 수단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부재(133)는 도 2의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와 연결되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바요넷(bayonet)(183, 185)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요넷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에 상기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바요넷 타입의 연결(183, 185와 같은) 이외의 가능한 수단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추출 장치(2)에 상기 카트리지(103)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a 및 2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용기(131)에 관한 상기 밀폐 부재(133)의 두 개의 축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 상기 카트리지(103)는 이용자에게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품의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135)은 선택된 다양한 로스트 원두로 완전히 채워질 것이다. 상기 내용물의 특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03)의 외부에 부착된 식별부(22)에 전달된다. 상기 넥 개구(139)는 상기 용기(131)의 내용물들이 주위 공기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밀봉막(18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밀봉막(181)은 상기 외부 원통형 슬리브(143)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카트리지(103)을 사용 상태로 가져오기 원한다면, 상기 개봉띠(155)는 상기 손잡이 탭(159)을 잡아 제거하여야 한다. 위크닝(157) 선을 통해 상기 개봉띠(155)는 상기 밀폐 부재(133)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에 이미 연결된 상기 카트리지(10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봉띠(155)가 제거되면, 상기 용기(131)는 상기 밀폐 부재(13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은, 특히 시계 방향의 회전은 상기 숫 나사선과 암 나사선(147, 165)이 축방향으로 상기 용기(131)와 밀폐 부재(133)를 더 가깝게 움직이도록 작용한다. 상기 내부 원통형 벽(161)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넥 부분(137)의 고리 모양 그루브(145)에 들어가는 동안에, 상기 축 움직임에 의해 상기 피어싱 핀(177)은 상기 밀봉막(181)을 뚫을 수 있으며 그것이 상기 개구(139)를 찢게 한다(tear across). 상기 제1 내부 원통형 벽(161)에 의해 형성된 파괴하고 변위시키는 수단에 의한 상기 밀봉막(181)의 움직임은 상기 외부 원통형 슬리브(143)에 그것의 주변(perimeter)을 부착함으로써 도움을 받게 된다. 미리 형성된 절개선을 따라 개봉하기 위해 상기 밀봉막(181)을 준비할 수 있다. 미리 형성된 절개선은 상기 밀봉막 포일(foil)의 부분적인 레이저 커팅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밀봉막(181)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원두는 중력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169)로 들어간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03)가 사용 상태로 작동이 되고, 도 1의 상기 추출 장치에 연결이 되면, 상기 제어부(13A)(도 1)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169)를 회전시킨다. 회전 운동 동안에, 상깅 밀봉 덮개(175)가 상기 둘레 개구(도 2c의 167)를 덮지 못하는 경우, 원두는 방사상 외부로 이동되어 상기 원두 아웃렛(111)을 통해 예를 들면 후술하게 될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측정 챔버로 이동하거나, 상기 그라인딩 장치(6)로 직접 이동한다.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측정 챔버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측정 챔버, 컨베이어 디스크, 및 덮개의 조합이 주입 장치(dosing device)를 형성한다. 상기 주입 장치는 커피 음료를 한 번 이용하는데 요구되는 원두의 주입량에 대응되는 원두의 일부를 받는 측정 챔버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원두를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측정 챔버로 이동하기 위해 배열된다. 상기 주입 시스템은 상기 측정 챔버를 비우기 위한 비움 수단(emptying means)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두가 상기 카트리지에서 직접 상기 그라인더 장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덮개는 상기 제어부의 타이머와 연결되는 상기 주입 장치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일정한 시간 동안에 상기 원두를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동하기 위한 상기 타이머를 구비한다. 사용시 초당 이동되는 원두의 양이 알려진 경우 이동되는 원두의 총량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타이밍 수단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마련되어, 사용시 상기 제어부는 소정량의 원두를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동시키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모티브 수단을 작동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량의 원두는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주입된 원두 량에 대응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측정 챔버가 상기 그라인딩 장치(6)의 하부(downstream)에 위치될 수 있는 상기 추출 장치의 변형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 상기 원두는 상기 카트리지 원두 아웃렛(111)에서 상기 그라인딩 장치로 직접 들어올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서, 상기 내부 주변 릿지(179)는 상기 용기 넥 부분(137)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릿지(149) 뒤에서 스냅-피트된다(snap-fitted). 상기 위치에서 상기 숫 나사산 및 암나사산(147, 165)은 완벽하게 풀리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131)와 밀폐 부재(133)가 뜻하지 않게 도 2a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신선하고 사용되지 않은 카트리지와 커피 추출장치에 사용되기 위해 작동되는 카트리지와의 명확한 차이점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2a-2d는 컨베이어 디스크(169)와, 병 모양의 용기(131) 상에 직접 배치된 밀봉막(181)을 구비하는 밀폐 캡(closure cap)(133)을 갖는 원두 패키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카트리지(103)가 이미 상기 시스템에 연결된 상태에서, 개봉 띠(55)를 갑작스럽게 제거하면 상기 패키징 카트리지는 회전(180도)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레이저로 미리 커팅된 포일일 수 있는 상기 밀봉부는 작동시 제어된 방법으로 개봉되며 상기 병의 테두리(ring)에서 그루브(145) 내로 밀려 들어간다. 상기 동작의 마지막에 상기 밀폐 캡(133)의 내부 링(ring)(163)은, 고리 모양 릿지(149)로 형성된, 상기 병(bottle)의 두꺼운 에지(edge) 너머로 닫히게 되며, 상기 나사선(147, 165)이 풀리기 때문에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다.
도 3a 내지 3D는 용기(231) 및 밀폐 부재(233)를 포함하는 원두 카트리지(203)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밀폐 부재(203)는 고리 모양의 바닥(251)을 가지며, 원두 아웃렛(211)을 구비한다. 상기 고리모양의 바닥(251)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보조 밀폐 부재(256)의 수용을 위한 중앙 구멍(central bore)(254)을 형성한다. 상기 병 모양의 용기(231)는 내부 공간(235)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231)의 일단의 개구(239)를 형성하는 넥 부분(237)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넥 부분(237)은 고리 모양의 그루브(245)를 형성하며,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배치된 내부 및 외부 원통형 슬리브(241, 243)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231)의 개구 단부(239)는 밀봉막(281)에 의해 다시 밀봉되며, 상기 고리 모양의 그루브(245)는 상기 개구(239)에서 제거되는 상기 밀봉막(281)을 모을 수 있다(collect). 상기 밀봉막(281)은 상기 외부 원통형 슬리브(243) 외부 주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 부재(233)는 제1 내부 원통형 벽(261)과 제2 내부 원통형 벽(263)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내부 원통형 벽은 그것의 상부 자유단에서 내부 주변 릿지(279)를 갖는다. 상기 밀폐 부재(233)는 용기(231)의 상기 넥 부분(237)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릿지(249)와 스냅 체결되는(snap-fitting) 상기 내부 주변 릿지(279)에 의해 상기 용기(231)에 연결된다. 상기 스냅 체결(snap-fit) 연결은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상기 밀폐 부재(233)가 상기 용기(231)에서 잘못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밀폐 부재(233)는 그것의 중심 구멍(254) 내에서 원두 아웃렛(211)과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연결되는 캐비티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1 내부 원통형 벽(261)에서 둘레 개구(perimeter aperture)(267)를 구비한다. 상기 방사상 둘레 개구(267) 사이의 캐비티와 상기 축 상의 원두 아웃렛(211)은 상기 아웃렛(211)으로 들어가는 원두나 입자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203) 내에서 원두나 입자들의 컬럼(column)에 대하여 오프셋된다. 상기 내부 원통형 벽(263) 상에서 상기 밀폐 부재(233)는 또한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에서 고리 모양의 외부 벽(262) 상에 숫 나사산(247)과 결합하는 암 나사산(265)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 밀폐 부재는 그것의 바닥에서 컨베이어 디스크(269) 형태의 원두 컨베이어 수단과 원통형 주변 벽(264)을 갖는 컵 모양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주변 벽(264)은 후술하게 될 상방으로 개방된 주변 그루브(266)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고리 모양의 외부 벽(262)을 갖는다.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는 음료 장치의 구동 샤프트와 결합하고 결합 수단(미도시, 종래기술임)을 형성하기 위한 구동 허브(27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허브(271)는 또한 상기 밀봉막(281)과 맞물려서 구멍을 뚫는 피어싱 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의 상기 원통형 주변 벽(264)은 상기 둘레 개구(267)와 정렬되는 4개 중 3개의 주변 윈도우(274A, 274B, 27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윈도우(274A, 274B, 274C)는 벽 부분을 차단함으로써 서로 구분되며, 상기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나타낸다.
사용시, 상기 카트리지(203)는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밀봉 막(281)이 전혀 손상되지 않고 상기 내부 공간(235)의 내용물들을 보호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는 바닥(251)에서 상기 개구(254)를 부분적으로 보호한다. 사용을 위해 상기 카트리지(203)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203)는 상기 밀폐 부재(233)로부터 측면으로 보호되는 바요넷으로 구성되는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커피 추출 장치(2)(도 1)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 허브(271)는 상기 장치에서 탄력 있게 실장된 구동 샤프트와 맞물리고 들어가는 위치(retracted position)으로 탄력있게 이것을 밀 수 있다. 액추에이팅 부분(13B)(도 1 참조)을 통해 상기 추출 장치(2)의 동작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미도시, 종래기술)는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를 회전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숫 및 암 나사선에 의해 상방으로 도 3b에 도시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미도시)는 상기 구동 허브(271)를 따라 탄력있게 편향되고 체결된다.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가장 위까지 다다르면, 상기 나사산(247, 265)은 풀리고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를 반대로 움직여 도 3a의 위치로 가는 것을 막는다. 도 3a의 비활성화 위치에서 도 3의 작동 위치로 상기 보조 밀폐 부재(256)의 움직임 도안에, 상기 피어싱 핀(277)과 상기 보조 부재(256)의 주변 벽(254)은 상기 용기(231)의 상기 넥 부분(237)에서 구비된 상기 고리모양의 그루브(254)의 상기 밀봉막(281)을 밀게 된다. 상기 피어싱 핀(277)과 상기 주변 벽(264)은 상기 밀봉부를 대체하는 수단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중력에 의해 상기 원두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269)로 투입될 수 있으며 회전하는 동안의 정렬에 의해 주변 윈도우(274A, B, 또는 C)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주면 개구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입 장치(23) 및/또는 상기 제어부(도 1의 13A)가 주입이 충분하다고 결정하면, 상기 보조 부재(256)와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269)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추출 장치(도 1의 2)의 동작 메커니즘(mechanism)으로 인하여 상기 보조부재(256)는 상기 둘레 개구(267)와 겹쳐서 상기 주변 윈도우(274A, B, C)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 사이에서 상기 주변 벽(264)의 부분과 항상 함께 회전하게 된다.이것은 원두가 상기 원 아웃렛(211)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231)의 내용물들이 외부 환경과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의 동작 상태에서의 상기 카트리지(203)는 상기 추출 장치에서 안전하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양한 품질의 원두를 갖는 카트리지를 사용하게 하여 다양한 음료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비해,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가 갖는 두드려진 차이점은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가 상기 밀폐 부재의 일부분과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전체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303)의 제2 실시예는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다. 상기 원두 카트리지(303)는 병 모양의 용기(331)와 밀폐 부재(333)를 구비한다. 바닥(351)에서 상기 밀폐 부재(333)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추출 장치(2)와 함께 작동하는 원두 아웃렛(311)을 구비한다. 상기 용기는 원두(미도시, 종래기술)로 채워진 내구 공간(335)을 형성한다. 상기 용기(331)는 넥 개구(339)를 형성하는 넥 부분(337)을 더 구한다. 상기 넥 개구(339)는 상기 용기 (331)의 개방단(open end)을 형성하고 내부 원통형 슬리브(341)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외부 원통형 슬리브(343)에 의해 결합된다. 고리 모양의 그루브(345)는 상기 내부 및 외부 원통형 슬리브(341, 34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가 제3 실시예의 상기 용기(331)는 엄밀하게 동일하지 않지만, 제1 및 2 실시예의 상기 용기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넥 부분(337)은 그것의 자유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외부 원통형 슬리브(143)에서 연장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릿지(350)를 구비한다.
상기 밀폐 부재(333)는 그것의 바닥(352)에서 축방항으로 돌출된 원주의 외부 벽(353)을 포함한다. 제1 내부 원통형 벽(361)과, 상기 제1 내부 원통형 벽(361)과 상기 원주 외부 벽(353) 사이에서 중심이 동일한 제2 내부 원통형 벽(363)은 또한 상기 바닥(351)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 내부 원통형 벽(363)은 상기 밀폐 부재(333)에 부착되는 상기 방사상의 연장 고리 모양 릿지(350)을 상기 용기(331)에 딱 맞게 맞물리도록 하는 내부로 돌출된 주변 릿지(379)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351)에서 중심 개구(373)를 통해 맞물릴 수 있는 구동 허브(371)를 갖는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369)는 상기 바닥(351)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 가능한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369)는 상기 제1 원통형 내부 벽(361)에서 둘레 개구(367)를 밀폐하기 위한 업스탠딩(upstanding) 밀폐 덮개(375)를 구비한다. 상기 둘레 개구(367)는 이미 설명된 목적을 위해 상기 내부 공간(335) 내에서 원두의 컬럼에 비해 오프셋된 캐비티를 통해 상기 원두 아웃렛(311)과 연동된다. 상기 밀폐 덮개(375)는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으로써 기능하다.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369)는,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가이딩 수단의 일부로서, 위로 볼록한 형태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릿지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상기 특징들은, 상기 원두를 위한 교반하고(agitating) 가이드하는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369)의 주변을 향해 상기 원두의 이동을 돕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배열에서 상기 회전 가능한 원두 컨베이어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패들(paddles)이나 베인(vanes)을 갖는 패들 휠(paddle wheel)에 의해 형성된다. 원두가 짓눌리는 것(jamming)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방사상 거리(radial distance)를 패들 힐 또는 임펠러(impeller)의 주변 에지까지 연장된 패들 이나 베인을 갖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베인들은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체 임펠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150 내지 1200N/mm2 범위, 특히 175 내지 800N/mm2 , 바람직하게는 175와 300mm2 사이의 탄성계수(E-modulus)를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움직이지 않는 동안에 원두가 상기 날개 바퀴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상기 둘레 개구의 면적을 고려하여 베인의 개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이동가능한 슬리브(346)는 상기 제1 원통형 내부 벽(361)과 함께 존재하는 상기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369)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슬리브는 외부에 숫 나사선(347)을 구비하며, 상기 숫 나사선(347)은 상기 제1 원통형 내부 벽(361)의 내부 면 상에 형성된 암 나사선과 치합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슬리브(346)는 내부로 향하게 돌출된 노치(notches)를 구비하며, 상기 노치는 밀폐 덮개(375)의 대향하는 업스탠딩 사이드(opposite upstandign sides)들 중 하나와 맞물린다.
작동 상태에서, 상기 원두 카트리지(303)는 바요넷(383, 385)에 의해서 커피 추출 장치(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 (4)에 의한 장치(2)와 같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구동 허브(371) 및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369) 및 업스탠딩 밀폐 덮개(375)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밀폐 덮개(375)는 용기(331)의 상기 외부 원통형 슬리브(343)의 주변과 부착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밀봉 수단을 형성하는 밀봉막(381)을 향해 윗 방향으로 상기 맞물리는 나사선(347, 365)을 따라 상기 이동가능한 슬리브(346)를 이동시키는 상기 노치들(348) 중 관련된 한 개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움직임은 상기 밀봉막(381)을 파열시키고 그것을 상기 고리 모양의 그루브(345)로 밀어 올리다. 그것에 의해 상기 이동가능한 슬리브(346)는 상기 밀봉부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이를 대체하는 수단을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밀봉막(381)은 소정의 약화된 선들을 따라 뜯어져 개봉될 준비가 되어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슬리브(346)의 상방향 이동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상기 밀폐 덮개에 의해 맞물리는 상기 노치(348)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에서부터 풀리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304)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가능한 슬리브(346)의 내부 원주에 한 개의 노치(348)를 구비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확하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밀폐 덮개(375)의 수직한 날개 뒷전(trailing vertical edge)과 맞물리는 상기 제2 노치는 용이한 조립을 위해 구비된다.
상술된 상기 제2, 3 실시예는 모두 상기 시스템의 구동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단 상기 밀봉막이 상기 용기 개구의 밖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 허브의 계속된 회전은 상기 원두의 이동을 촉발시킨다.
도 5a 내지 5e는 원두 패키징 용기(403)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패키징 카트리지(403)는 내부 공간(435)을 형성하는 병 모양의 용기(431)를 포함하고, 넥 부분(437)과 외부 칼라(collar)(442)를 갖는다. 상기 용기(431)에 바람직하게는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된 밀폐 부재(433)는 상기 외부 칼라(442)에 의해 형성된 개방단(439) 내로 수용된다. 상기 외부 칼라(442)의 외부 원주는 바요넷(483,485), 또는 상기 장치(2)와 같은 커피 추출장치와 도 1의 연결 수단(4)을 연결하는 적절한 연결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밀폐 부재(433)는 상기 용기(431)의 상기 넥(437)과 외부 칼라(442)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구 단부(439)와 꼭 맞물리며 접착제나 웰드 본딩법(weld bonding)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433)의 축의 외부 에지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칼라(442)의 상기 외부 축 에지에서 살짝 우묵하게 들어가게 된다(recessed). 상기 밀폐 부재(433)는 또한 원두 아웃렛(41)을 갖는 바닥(451)을 갖는다. 도 5c 및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밀폐 부재(433)는 둘레 개구(467)를 갖는 중심 캐비티 벽(462)을 형성한다 상기 둘레 개구는 상기 내부 공간(435)에 있는 원두의 컬럼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오프셋된 캐비티를 통해 상기 원두 아웃렛(411)과 연통된다(communicates with). 회전 가능한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469)는 캐비티 벽(462)과 바닥(451)에 의해 형성된 중앙 캐비티로 내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둘레 개구(467)를 위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폐 덮개(475)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는 상기 바닥(451)에서 중심 개구(473)를 통해 돌출하는 구동 허브(471)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의 상기 밀폐 부재(433)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용기(431)의 외부와 맞물리도록 디자인된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다. 상기와 같은 변형예에서 상기 바요넷(483, 485)은 상기 용기(431) 보다는 상기 밀폐 부재(433)의 부분일 수 있다.
카트리지(403)의 원두를 보호하기 위해,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을 위한 작동 전에, 밀봉막(481)은 상기 외부 칼라(442)의 상기 축 상의 자유 에지(axial free edge)에 부착된다.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밀봉막(481)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이를 위해 수동의 손잡이 탭(482)은 상기 밀봉 부분을 파괴하고 변위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그것의 개구에서 움푹 들어간 상기 밀폐 부재(433)를 갖는 상기 용기(431) 외부 상의 상기 바요넷(483, 485)의 배열은 상기 베리어 포일(barrier foil) 또는 밀봉막(481)이 상기 용기(431)의 상기 외부 에지에 부착되게 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베리어(481)는 또한 상기 용기(431)와 상기 밀폐 부재(433) 사이의 조인트(joint)를 덮는다. 상기 밀봉 부재 또는 베리어 포일(481)은 원두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운송되는 동안에 외부 공기로부터 보호하여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되기 전까지 내용물을 유지한다. 그러나 신선하게 로스트된 원두는 CO2와 같은 기체를 내뿜을 수 있다. 로스트된 원두를 신선하게 포장하기 위해 상기 밀봉막 또는 베리어 포일(481)은 일 방향 압력 제거 벤팅 벨브(venting valve)(미도시, 종래기술)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동작 중의 상기 제4 실시예의 상기 카트리지(403)는, 상기 밀봉막(481)의 수동 제거 후에, 바요넷(483, 485) 또는 그에 적합한 연결 수단에 의해 도 1의 상기 추출 장치(2)에 결합될 수 있다. 원두를 상기 커피 추출 장치(2)로 이동하는 동작은 다른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일단 상기 추출 장치가 커피를 만들도록 작동하면, 상기 제어부(13A)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의 회전을 일으키고 상기 밀폐 덮개(475)는 상기 둘레 개구(467)에서 떨어져 회전한다.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의 회전은 계속되고 상기 밀폐 덮개(475)는 회전당 한 번씩 상기 둘레 개구(467)와 정렬이 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덮개(475)가 상기 둘레 개구(467)와 정렬되지 않는 동안, 원두는 상기 원두 아웃렛(411)을 향 나와서 상기 추출 장치의 그라인딩 또는 측정부로 나간다. 그라인딩되는데(ground) 필요한 원두의 양이 카트리지(403)에서 나오자마자, 상기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469)는 상기 밀폐 덮개(475)가 상기 둘레 개구(467)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그것의 회전이 멈추게 될 것이다. 원두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수단이 그것에 의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밀폐 경로에 있는 원두가 깨지거나 부서지도록 상기 회전력과, 상기 밀폐 덮개(475) 및 상기 둘레 개구(467)를 구비하는 구성요소의 견고함이 정해져서, 이것들은 둘레 개구(467)의 밀폐에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도 5f는 도 5a 내지 5d의 상기 원두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되는 변형된 밀폐 부재를 도시한다. 도 5f의 밀폐 부재(433A)는 도 5a 내지 D의 상기 용기(431)의 개방단에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된다. 상기 밀폐 부재(433A)의 축 상의 외부 에지는 밀봉막이 상기 용기의 상기 외부 칼라의 축 상의 자유 에지에 부착되도록 하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상기 용기(431)의 외부 칼라의 축 상의 에지에서 살짝 파이게 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433A)는 원두 아웃렛(411A)이 연장된 바닥(45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433A)는 상기 원두 아웃렛(411A)과 연통하는 둘레 개구를 갖는 중앙 캐비티 벽(462A)을 형성한다. 회전가능한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469A)는 캐비티 벽(462A)과 바닥(451A)에 의해 형성된 상기 중심 캐비티에 수용된다. 가이드 수단은 사용시 상기 용기(431)의 내부와 마주하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A)의 상부 표면상의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교대로 형성된 릿지들 및 그루브들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A)의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교대로 형성된 릿지들 및 그루브들은 상기 원두들을 휘젓고 가이드하는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그것의 둘레를 향해 상기 원두들을 이동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A) 상의 평평한 상부 표면은 그것이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5f의 실시예의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배출 개구(411A)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가이드 표면(493)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A)에서 원두를 가이드하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469A)의 상부 표면의 일 부분을 덮는 정지된 가이드 암(stationary guide arm)(491)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10과 관련하여 몇몇 측정 장치를 설명하며 이들은 상술한 상기 원두 카트리지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도 6에서 원두를 주입하는 수단을 구체화하는 주입부(523)의 주요 구성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입부(5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 장치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원들 이동 경로(25) 내에 배치된다. 앞서 설명된 상기 카트리지의 컨베이어 수단은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 장치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커피 추출 장치(2)의 주입부(523)와 상기 카트리지(3)의 컨베이어 수단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의 주입 장치(23)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장치 인터페이스(525)는 캐비티(527)와, 상술한 원두 카트리지에 구비된 바요넷과 협력하는 바요넷(529, 530)을 갖는다. 상술한 카트리지의 컨베이어 디스크의 구동 허브와 맞물리는 회전가능한 구동 허브(531)는 캐비티(527)의 바닥에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525)와 연결될 때 측정 입구(533)는 캐비티(527)의 바닥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구비된다.
상기 측정 입구(533)에 의해 측정 챔버로 접근이 가능하며 또한 주입 챔버(535)와 관련이 있다. 상기 주입 챔버(535)는 그 하단에서 비움 수단(emptying means)의 구성으로서 이동가능한 릴리즈 뚜껑(release lid)(537)을 구비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이동가능한 릴리즈 뚜껑(537)은 슬라이딩이 가능한 게이트이지만, 회전가능한 셔터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릴리즈 뚜껑(537)은 양쪽 화살표(A1)에 의해 지시된 두 개의 대향되는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축정 챔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부 벽을 가지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LED)와 적외선(IR) 센서와 같은 제1 센서 또는 제1 센서 수단인 광학 센서 참지 수단(539)에 의해 통제된다(governed). 상기 광학 센서 탐지 수단은 조절 가능한 탐지 케리어(541)로 이동된다(carred). 상기 탐지 케리어(541)는 상기 양쪽 화살표(A2)에 따라서 주입 챔버(535)의 높이에 따라 그것의 수직 위치를 정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모터(543)(도 1의 모티브 수단(40))는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샤프트(531)(도 1의 샤트프(172))를 구동하는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525)의 밑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545)은 모터(543)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동 모터(543)는 도 1의 상기 시스템의 구동 또는 모티브 수단을 구체화한 것이다. 상기 전기 케이블(545)에는 상기 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하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상기 시스템의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응하여 작동할 수 있다. 작동 중에, 원두는 상술한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원두 컨베이어 디스크를 구동하는 상기 구동 샤프트(5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측정 입구(533)를 통해 상기 주입 챔버(535)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센서 탐지 수단(539)은 미리 상기 주입 챔버(535)의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 탐지 수단(539)은 상기 적절한 사용량에 대응하여 원두의 부피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센서 탐지 수단(539)의 적외선의 차단이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더 긴 시간을 초과할 때, 상기 원두가 상기 적외선을 차단하고 상기 챔버의 원두의 높이는 상기 제1 센서의 높이에 도달한다. 이 경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피 장치의 모티브 수단을 제어하여 컨베이어 수단이 상기 원두를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측정 챔버로 이송시키는 것을 중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작동시켜서 상기 구동 샤프트(531)가 원두 아웃렛과의 연결을 차단하는 위치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를 되돌릴 수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릴리즈 뚜껑(537)는 상기 측정 챔버(535)의 바닥을 계속 밀폐하고, 커피 그라인더 장치(6)에 정확한 주입량을 흘러 보내도록 제어부(도 1의 13A)에 의해 명령을 받으며,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커피 준비를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된 원두의 양을 측정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센서(539)는 상기 제어부(13A)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3A)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된 소정 양의 원두를 측정하자마자 상기 모티브 수단(40)가 멈추도록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 양의 원두는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주입된 원두의 양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된 소정 양의 원두를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측정하자마자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구를 밀폐시키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예를 들면 상기 덮개(375))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 양의 원두는 음료 준비를 위해 주입된 원두의 양에 대응된다.
상기 제1 센서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이 경우 상기 측정 챔버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센서의 높이에 위치함)의 선택된 부분에서 원두를 탐지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측정 챔버의 일부분을 선택하도록 배치되며, 원두는 상기 제1 센서 수단에 의해 탐지되는 상기 측정 챔버 내에서의 대응되는 원두의 양을 선택하는 상기 제1 센서 수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센서(539)와 상기 측정 챔버의 바닥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대신에, 상기 측정 챔버(535) 그 자체는 부피 면에서 텔레스코핑(telescoping) 벽 부분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또한 상기 센서 수단(539)을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챔버에 포함되는 부피를 제한함으로써 도우징(dosing)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비움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의 제거 가능하게 배치된 바닥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비움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를 티핑(tipping)하는 티핑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비움 수단은 상기 제어부(13A)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예에서 소정 양의 원두가 검색되면 상기 제1 센서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에서 어느 수준(a certain level)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소정 양의 원두는 주입되는 원두 량에 대응된다.
도 7은 도 6의 주입 장치(523)와 결하는 변형된 측정 장치를 나타낸다. 활송 장치(chute)(651)는 원두(653)를 상기 주입 입구(도 6의 533)에서 상기 측정 챔버(635)로 인도한다. 수평 LED 빔 발생기(655)와 적외선 검색 센서(657)를 구비한 수평 빔 적외선 광학 검색 시스템은 상기 반투명 또는 투명 측정 챔버(635)를 가로지른다. 케이블(659)에 의해 상기 적외선 센서(657)는 제어부(도 1의 제어 장치(13A)와 같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상기 측정 장치는 수직 LED 빔 발생기(661)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하는 광학 적외선 검색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LED(655) 및 센서(657) 사이의 수평 적외선을 차단하는 것은 원두 각각이 상기 측정 챔버(635)로 떨어지면서 상기 적외선을 차단할 때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수평 적외선의 차단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단지 측정 챔버가 가득 찼다는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수직 광학 검색 시스템이 상기 수평 광학 검색 시스템을 위한 이중 체크로 구비된다. LED 빔 재생기(661)에 의해 발새이된 빔은 수직 방향에 대해 살짝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적외선 검색 센서(663)는 그것이 상기 수평 광학 검색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측정 수준에 일치할 때 상기 적외선의 반사를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또는 상기 적외선 검색 센서(663)는 넓은 범위(wider angle)에 걸쳐, 상기 LED 빔 발생기(661)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적외선의 반사를 검색할 nt 있으며 상기 반사에 필용한 시간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반사의 지연은 상기 측정 챔버(635)가 채워짐에 따라 짧아지게 될 것이다. 케이블(665)을 통해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수평 센서(657)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챔버(635)의 바닥 단부는 양 방향 화살표(A3)를 따라 슬라이딩 또는 회전 운동하기 위해 제어부(도 1의 13A)와 케이블 연결(667)을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릴리즈 뚜껑(637) 형태의 비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 6의 상기 주입 장치(523)와 결합하는데 적합한 측정 장치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주입 입구(도 6의 533)에서 오는 원두(753)를 위한 활송 장치(751)는 적외선에 반투명하거나 투명하다. 상기 LED 타입의 적외선 발생기(761)는 상기 적외선을 차단하는 원두(753)를 카운트하는 적외선 검색 센서와 활송 장치(751)를 통해 연결된다. 케이블(765)은 원두의 양을 카운트하기 위해 도 1의 13A와 같은, 제어부에 상기 차단을 전송한다.
일단 한 번 사용량을 위한 원두(753)의 개수가 카운트되면 상기 제어부(도 1의 13A)는 정치 위치로 되돌리도록 상기 구동 모터(543)을 제어하며 그것에 의해 원두(753)는 더 이상 상기 활송 장치(751)와 측정 챔버(735)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이동가능한 릴리즈 뚜껑(737)으로서 구체화된 비움 수단은 양 방향 화살표(A4)의 관련된 방향에서 상기 리드(737)를 개방하도록 전기 리드(767)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모든 것은 상기 제어부(13A)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상기 측정 챔버는 또한 평평한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카운트된 원두는 소정 양의 원두가 상기 플레이트에 있을 때까지 떨어질 것이다(drop).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일단 소정 양의 원두가 플레이트 상에 있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를 기울이고 상기 원두는 상기 그라인더 장치로 이송된다. 상기 측정 챔버가 제거되어서 카운트된 원두가 도 1의 그라인더 장치로 직접 들어가는 것도 가능한다. 만약 원두의 개수가 소정 양의 원두에 대응되면 원두의 이송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중지된다.
도 9에서 상기 측정 장치의 제3 변형예가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3 변형예의 상기 측정 챔버(835)는 활송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며 원두(853)는 직접 상기 측정 챔버(835)로 떨어진다. 작은 마찰 베이링(low friction bearing)(873)에서 균형이 잡힌(balanced) 바스쿨레이팅 로드 서포트(basculating load support)(871)는 측정 챔버(835)로 돌출된다. 상기 측정 챔버(835)로 돌출된 상기 바쿨레이팅 로드 서포트(871)의 일 부분에 떨어지는 원두(853)의 양이 소정의 주입량의 무게에 도달할 때 상기 바스쿨레이팅 로드 서포트는 상기 작은 마찰 베이링(873)에 대해 기울어지고 로드 검색 센서(875)를 작동시킨다. 상기 로드 검색 센서(875)는 원두가 7그램에 도달 하자마자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 예이며 다른 무게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작동 중에 상기 로드 검색 센서는 전기 리드(877)를 통해 제어부(도 1의 13A)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도 1의 13A)는 전기 연결(867)을 통해 중단 모터(stopping motor)(도 6의 543)와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릴리즈 뚜껑(837)의 오프닝(opening)을 착수시키며 양 방향 화살표(A5)의 적절한 방향으로 상기 측정 챔버를 개방하고 이를 비운다. 그렇게 함으로써 원두(853)의 소정의 주입량이 상기 그라인딩 장치(도 1의 6)로 들어갈 수 있다. 또는 상기 로드 서포트는 비워져 있을 때의 중량이 이미 알려져 있는 측정 챔버를 구비한다. 유닛(875)은 제거될 수 있다. 만약 원두가 상기 측정 챔버로 이송되면 상기 챔버의 무게는 증가하고 상기 베어링을 작동하는 베어링의 힘을 측정하는 힘 측정부(878)의 형태로 제1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유닛(878)은 상기 베어링(871)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측정 결과는 케이블(880)을 통해 유닛(878)에의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13A)로 전달된다. 이런 이유로 상기 힘은 상기 챔버에서 상기 원두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 챔버의 무게에 대응된다. 상기 측정 챔버 무게의 증가가 미리 정해진 양의 원두와 대응된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중지시키며 상기 측정 챔버를 비우기 위한 상기 비움 수단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측정 챔버에 존재하는 원두의 양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와 더 단순화된 측정 장치는 도 10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두(953)는 중력에 의해 위에서부터 중력 방향으로 상기 측정 챔버(935)로 들어간다. 상기 단순화된 실시예에서는 주입량을 측정하는 것과 릴리즈 뚜껑에 의한 비우는 기능은 기계적인 수단만으로 이루어지며, 로드 검색은 작은 마찰 베어링(97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바스쿨레이팅 릴리즈 뚜껑(971)과 결합된다. 상기 바스쿨레이팅 릴리즈 뚜껑(971)의 일 부분은 측정 챔버(935)와 일치하고 그것의 바닥으로써 기능을 한다. 일단 원두(953)의 미리 정의된 로드가 상기 바스쿨레이팅 릴리즈 뚜껑(971)의 부분에 쌍이게 되면, 그것은 상기 작은 마찰 베어링(973)을 틸트시켜 상기 주입량이 그라인딩 장치로 들어가는 통로를 열어준다. 상기 측정 챔버(935)에 대향하는 상기 바스쿨레이팅 릴리즈 뚜껑(971)의 일단에는 주입 무게와 같은 7 그램의 프리셋(preset)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98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981)는 다른 주입량을 위해 다른 값의 무게를 갖도록 교환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981)는 원두의 정확한 측정 무게를 조절하거나 미세 조정하도록 양 방향 화살표(A6)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의 주입 수단으로써의 기계적인 측정은 상기 측정 챔버(935)에 원두(953)를 공급하는 것을 중단시키는 추가적인 수단과 함께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상기 제어부(도 1의 13A)가 적절한 타이밍 및/또는 센서 수단에 반응하여 비활성 위치로 상기 구동 모터(도 6의 543)를 되돌려 놓게 하는, 상기 릴리즈 뚜껑(971)에 의해 작동되는 추가적인 전기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뚜껑(971)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를 개방하도록 기울어지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석처럼 원두가 상기 챔버에서 빠져나오지 않으면서 상기 뚜껑을 계속 기울게 하는 수단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챔버를 비우는데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리드는 다시 상기 챔버를 닫을 수 있다. 상기 바스쿨레이팅 릴리즈 뚜껑(971)를 사용하기보다, 미리 정의된 주입량에 도달하면, 상기 전체 측정 챔버(935)를 기울이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 측정 챔버를 기울이는 것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을 중단시키기 전에, 원두가 상기 배출구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모티브 수단의 반대 방향으로의 작은 회전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짧게 반대로 작동하고 만약 상기 컨베이어 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 덮개를 구비한다면 상기 밀폐 덮개는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구를 결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두의 주입 및/또는 그라인딩을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와 관련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원두의 다중 주입을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단일 벽 부재를 갖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와, 원두를 옮기기 위한 원두 아웃렛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에서 상기 그라인딩 장치로 원두를 공급하기 위한 원두 투입구를 갖는 원두 그라인딩 장치를 더 구비한다. 연결 수단은 상기 장치에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며, 그래서 상기 패키징 카트리지의 원두 아웃렛은 상기 원두 배출구에서 상기 원두 투입구로 소정의 원두를 주입구에 제공할 수 있는 상기 장치의 원두 투입구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장치에서 그리고 상기 장치로 상기 원두 패키징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커플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 전의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는 밀봉되어 원두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막는다. 도 1의 상기 스스템(1)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2)는 분쇄된 원두와 물을 기초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7)을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13A)는,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이 상기 배출 개구를 밀폐시키거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이 중단된 것을 확인 하자마자, 상기 추출 수단(7) 및/또는 그라인더 장치(6)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171)와 같은 회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회전부(171)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모티브 수단(4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시스템(도 11)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모티브 수단(40)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부(161)의 회전 속도 및/또는 위상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9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71)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A)에 연결되는 광학 센서 또는 검출기(904)에 의해 검출되는 광학 마크(902)를 구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회전부(171)가 회전하면 상기 광학 마크(902) 역시 회전하며 상기 마크는 상기 수단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검출기(904)는 상기 회전부(171)의 회전 속도 및 회전 위상을 나타낸다. 상기 모티브 수단(40)은 광학 마크(90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13A)와 연결되는 다른 광항 검출기(908)에 의해 상기 모티브 수단의 회전 속도 및 회전 위상이 측정된다. 상기 예에서 상기 회전부(171)는 상기 모티브 수단에 연결되는 구동 샤프트(172)에 연결된다. 만약 마크(902)와 마크(906)가 서로 (수직한 방향(912)의 직선에서) 수직으로 보여진다면, 상기 회전부(171)와 상기 구동 샤프트(172) 사이의 상기 연결(910)은 상기 샤프트(172)와 관련된 상기 회전부(171)의 회전 위치로 이행된다. 만약 상기 회전부(171)의 검출된 회전 속도는 상기 모티브 수단(40)의 검출된 회전 속도와 같다면 그리고/또는 만약 상기 회전부(171)의 검출된 위상이 상기 모티브 수단(40) 및 상기 구동 샤프트(172)의 검출된 위상과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13A)는 상기 추출 장치 및/또는 상기 그라인딩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2 및 13에서 컨베이어 수단(1069)은 카트리지(1003)의 일부이며 제1 및 제2 고무 원두 바퀴(rubber bean wheels)(1051, 1053)를 회전시키는 카운터(counter)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2 고무 원두 바퀴(1051, 1053) 각각은 그것들의 원주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렉서블한 복수 개의 돌출부를 갖는다. 원두(1055)는 동작 중에 상기 고무 원두 바퀴(1051, 1053) 사이로 이동되지만, 상기 고무 바퀴(1041, 1053)가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의해 정지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카트리지(1003)의 출구는 원두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003)는 커피 추출 장치(100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수단(1069)에 의해 전달되는 원두(1055)는 상기 추출 장치(1002)의 원두 공급 개구(1029)에 들어갈 수 있다. 도 13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부 원두 컨베이어 바퀴(1051)는 제1 나선형의 구동 기어(1057)를 갖는다. 유사하게 상기 제2 고무 컨베이어 바퀴(1053)는 제2 나선형의 구동 기어(1059)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2 나선형 구동 기어(1057, 1059)는 장치 드라이브(1061)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장치 드라이브는 상기 카트리지(1003)라기 보다 상기 장치(1002)의 일부분이다. 상기 구동 커플링은 통상의 샤프트 커플링의 형태가 아닌, 상호 보완적인 기어 부재들의 구동 맞물림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상기 카트리지(1103)의 내부 공간(1135)에서 선형 움직임으로 전환되는 장치(1102)에서 회전 구동을 이용한다. 구동 샤프트(1172)는 화살표(1165)를 따라 리드 스크류(lead screw)(1163)와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리고 화살표(1169)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컨베이어 피스톤(1167)을 움직인다. 이것은 원두(115)가 플렉서블 벨브(1171)를 통과하게 한다. 도 15에 도시된 상기 플렉서블 벨브(1171)는 상대적으로 뻣뻣한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복수 개의 편향된(deflectable) 개별 덮개(1173)를 형성하도록 방사상으로 슬로팅 가공된다(slotted). 방사상의 슬롯들(slots)에 의해 분리된 상기 개별 덮개에, 상기 벨브(1171)의 재료에 의해 주어진 뻣뻣함(stiffness)은 상기 카트리지(1103)에 원두(1155)를 공급하는데 충분히 도움을 준다. 원두(1155)가 산출하는(yieldable) 덮개(1173)를 통해 힘을 받는 것은 상기 컨베이어 피스톤(1167)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한 것이다. 상기 플렉서블 벨브(1171)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벨브(1171)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다면, 상기 컨베이어 피스톤(1167)과 사이에 있는 원두(1155)를 통해, 상기 원두(1155)는 상기 카트리지(1103)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구동 수단(1172)의 회전시 그라인딩 및/또는 추출 장치(1102)와 상기 카트리지(1103)가 맞물리게 된다. 구동 수단(1172)의 회전 중단은 상기 플렉서블 벨브(1171)를 통해 원두(1151)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6의 변형예에서 회전하는 활송 장치(1177)는 화살표(1175)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1172)와 결속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1172)에 의해 구동될 때, 도 16의 카트리지(1103)는 리드 스크류(1163)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밀폐 부재(1179)를 갖는다. 상기 회전 가능한 밀폐 부재(1179)는 상기 회전 활송 장치(1177)와 정렬되는 배출 개구(1181)를 갖는다. 상기 활송 장치(1177)가 상기 장치의 원두 공급 개구(1129)와 정렬된 상태에서 벗어나는 구동 샤프트(1172)를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배출 개구(1181)는 상기 카트리지(1102)에서 형성된 내부 활송 장치(1183)와 정렬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 장치(1102)에 의해 원두(1155)가 카트리지에서 인출되지 않을 때 카트리지(1103)는 추가적으로 밀폐된다. 원두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때 상기 장치(1102)에서 비워지지 않은 카트리지(1103)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연장된 시간 동안에 부분적으로 비워진 카트리지를 채우기 위해 외부 공기에 제한적으로 노출이 있을 수 있지만 상기 카트리지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위해 상기 추가적인 밀폐 부재(1179)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1203)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 17a 및 17b에 도시된다. 상기 카트리지(1203)는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커피 준비 장치(1202)로부터 구동되는 회전 가능한 리드 스크류(1263)를 갖는다. 화살표(1265) 방향으로의 상기 리드 스크류(1263) 회전은 바닥 형성 피스톤(floor forming piston)(1267)을 상승시킨다. 상기 바닥 형성 피스톤(1267)의 상승은 상기 바닥 형성 피스톤(1267)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두(1255)를 내부 활송 장치(1283) 이상의 수준까지 상승시킨다. 암(arms)(1285)은 리드 스크류(1263)와 함께 회전하며 상부면의 원두(1255)를 상기 내부 활송 장치(1263)로 넣는데 도움을 준다. 도 17b에서 상기 바닥 형성 피스톤(1267)에는 상기 내부 활송 장치(1283)와 꼭 맞는 오목한 부분(recess)(1287)이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1203)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용기 형상인 경우, 상기 오목한 부분(1287)은, 다른 회전 방지 수단 없이도, 상기 바닥 형성 피스톤(1267)과 카트리지(1203)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활송 장치(1283)로 전송된 원두(1255)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개구(1229)를 통해 장치(1202)로 들어갈 수 있다.
도 18a 내지 18d에는 카트리지(1303)의 컨베이어 수단의 다른 형태가 도시된다. 카트리지(1303)는 장치(1302)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1302)의 구동 샤프트(1272)와 연결된다. 상기 카트리지(1303)는 상기 장치(1303)의 원두 공급 개구(1329)와 일렬로 정렬된 원두 아웃렛(1311)을 갖는 제1 바닥(1389)을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1303)는 셔틀 슬라이더(1393)와 연결되는 것을 방해하며 가장 낮은 위치에서 깔대기 형상을 하는 제2 바닥(1391)을 구비한다.
상기 셔틀 슬라이더(1393)는, 구동 샤프트(138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방심(excentric)(1395)에 의한 왕복 운동을 가이드한다. 도 18b와 18d를 참조하라. 도 18a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틀 슬라이더(1393)는 미리 정해진 원두(1355)의 양을 담고 있는 주입 캐비티(1397)를 갖는다. 도 18a 및 18b에 도시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셔틀 슬라이더(1393)는 상기 제2 바닥(1391)에 의해 지지되는 원두(1355)의 공급과 연결되는 주입 캐비티(1397)를 갖는다. 화살표(1399) 방향으로의 방심(1395)의 회전은 도 18a 및 18b의 제1 위치에서 도 18c 및 18d의 제2 위치로 상기 셔틀 슬라이더(139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주입 캐비티(1397)는 배출 개구(1311)와 정렬을 이루며 원두는 상기 장치(1302)의 공급 개구(1329)를 통해 통과된다. 도 18a 내지 18d의 실시예가 원두를 장치에 이송하고 주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다. 상기 주입 캐비티(1397)의 용량과 함께, 구동 샤프트(1372)의 회전 수로 인하여 선택된 음료에 맞게 적절한 주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303) 내의 원두들(1355)의 공급이 고정된 셔틀 슬라이더(1395)와 연계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제1 및 2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기 셔틀 슬라이더(1393)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1303)는 밀폐될 것이다.
도 19a 및 19b에 도시된 이송 수단은 티핑(tipping) 부분(1492)에 의해 완성되는 제2 바닥(1491)을 갖는다. 티핑 부분(1492)은 장치(1402)에서 돌츨되는 구동 샤프트(1472)의 부근에서 피벗된다(pivoted). 구동 샤프트(1472)의 맨 위 단부(top end)는 방심으로서 형성되며 팔로어(follower)(1494)는 스프링(1496)에 의해 구동 샤프트(1472)의 맨 위 단부 방심에 대해 편향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1472)의 회전 속도는 진동 움직임이 티핑 부분(1492)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티핑 부분(1492)이 기울어질 때마다 특히, 상기 구동 샤프트(1472)의 각각의 회전시, 한 개의 원두(1455) 만이 활소 장치(1483)에 들어가도록 기하학적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른 배열도 예상될 수 있다. 도 19a 및 19b의 실시예는 상기 티핑 부분(1492)의 개구 위치로 편향되지만, 상기 제2 바닥의 밀폐된 위치로 편향되는 방식으로 상기 티핑 부분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에서 제거될 때 원두가 떨어지지 않는다. 도 20은 커피를 준비하는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용적 측정의(volumetric) 주입 챔버(1536)와 결합된 원두 카트리지(1503)를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503)는 그것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주입 챔버(1536)는 도시된 실제 장치의 유일한 구성 요소이다. 명확성을 위해 도 20에서 상기 장치의 다른 부분은 생략하였다. 상기 장치 상에 위치한 상기 카트리지(1503)와 함께, 배출 개구(1511)는 상기 장치의 주입 챔버(1536)의 상부 개방 단부와 정렬을 이룬다.
상기 배출 개구(1511)와 둘레 개구(1567) 사이에서, 상기 주입 부피의 일부분은 캐비티(1540)에 수용된다. 상기 캐비티(1540)는 용기(1531)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1503)를 형성하고, 도 2a 내지 5e의 실시예와 같이 방사상으로 향하는 둘레 개구(1567)와 축 방향으로 향하는 배출 개구(1511) 사이의 연결 캐비티와 대응되는 밀폐 부재(1533)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 챔버(1536)는 고정된 부피이거나 텔레스코핑(telescoping) 부분(1538)에 의해 부피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것은 선택적이다. 상기 주입 챔버(1536)의 하부 단부가 원두 그라인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티(1540)의 주입 부피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것과 함께하는 상기 측정은 음료를 준비하는 시스템을 형성하는 장치와 카트리지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상기 주입 챔버(1536)는 반전된 깔대기와 같은 플릇 형상(fluted shape)일 수 있다. 원두 경로의 아래 방향에서 상기 형상의 횡단면은 점점 증가한다. 예에서와 같이 상기 주입 부피의 상부 방향의 맨 위 단부는 25㎟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반면에 아래 방향의 맨 아래 단부는 횡단면에서 400㎟일 수 있다. 도 20의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티(1540)와 상기 주입 챔버(1536)에 의해 형성된 주입 부피를 채우는 것은 임펠러(1569)로서 형성된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순전히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임펠러(1569)의 적절한 형태는 도 21에서 자세히 도시된다. 상기 임펠러(1569)가 상기 둘레 개구와 방사상으로 연장된 날개(1579) 사이에서 고정된 원두에 의해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날개(1570)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임펠러(1569)를 생산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임펠러(1569)는 커피 준비 장치의 구동 샤프트 단부(1573)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속이 빈 허브 부분을 갖는다. 상기 구동 샤프트 단부(1573)는 속이 빈 허브(1571)의 내부에서, 대응되는 돌출부 또는 키(keys)(도 21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종래 기술)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키(157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치상에 카트리지를 배치시키자마자 상기 임페러(1569)와 상기 구동 샤프트가 용이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 복수 개의 키들은 상기 구동 샤프트 단부(1573)와 상기 속이 빈 허브(1571)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1570)는 상기 임펠러(1569)의 주변 에지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날개(1570)와 상기 둘레 개구(1567)(도 20) 사이에서 원두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는 또한 플렉서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날개에 유연성을 더하기 위해 상기 날개는 갭(1579)에 의해 상기 임펠러 베이스(1577)와 부착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주입 체적의 대략 20%는 상기 캐비티(1540)로 이루어지고 주입 체적의 대략 80%는 상기 주입 챔버(15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 체적을 채우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임펠러(1569)가 15회 회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불리한 조건 하에서 확실히 채우기 위해서는 총 30 또는 25회의 추가적인 회전이 필요하다. 상기 주입 체적을 채우기 위해 상기 이송 임펠러(1569)는 100 내지 500 rpm, 바람직하게는 250과 300 rpm 사이의 범위에서의 회전 속도를 갖고 회전한다. 일단 상기 주입 체적을 채우는 것이 완료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임페러(1569)를 구동하는 것에서 상기 그라인더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환된다. 상기 임펠러(1569)가 정지되면 상기 주입 챔버(1536)와 캐비티(1540)는 점차 상기 그라인더(미도시되었지만 종래기술임)를 향해 비워지게 된다. 상기 임펠러(1569)가 정지하기 때문에, 원두는 용기(1531)에서 상기 둘레 개구(1567)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한다. 상기 그라인더의 작동으로 인한 상기 장치의 진동에 의해 원두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임펠러(1569)는 위로 선 밀폐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569)가 소정의 위치에서 멈춘 경우 도 4a 내지 4d 및 도 5a 내지 5d와 관련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덮개는 상기 둘레 개구(1567)를 폐쇄한다.
도 22에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가 도 5d와 비교되도록 전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키징 카트리지는 원두를 위한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용기(1631)를 포함한다. 그것의 내용물이 보이도록 상기 용기(1631)는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용기(1631)는 내부의 원두 종류를 표시하도록 프린트되며 또한 상기 용기(1631)의 반투명 부분을 보이도록 뚫린 외부 슬리브(1632)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용기(1631)는 또한 커피 준비 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바요넷(1683, 1685)을 그것의 아랫 부분에 구비한다. 밀폐 부재(1633)는 용기(1631)의 바닥 개구 단부에 삽입된다. 상기 밀폐 부재(1633)는 임펠러(1696)와 베이스 플랜지(base flange)(1636)를 향해 원두를 가이드하기 위한 골이 형성된 깔대기(ribbed funnel)(1634)를 갖는다. 회전가능한 밀폐 디스크(1635)는 상기 밀폐 부재(1633)의 베이스 플랜지(1636)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1633)와 회전 가능한 밀폐 디스크는 커피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장치와 카트리지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형성한다. 조립 카트리지는 상기 용기(1631)의 주변 에지에 부착되는 밀봉막(1681)에 의해 외부 공기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막도록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밀봉막과 베리어 포일(1681)은 신선한 로스트 원두에서 나온 기체에 의한 과도한 압력을 상기 패키징 카트리지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종래의 일 방향 압력 감소 벨브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팅 벨브는 팽창에 의해 상기 용기의 변형을 막기 위해 0.1 바(bar)와 0.5바 사이의 압력에서 개방되어야 한다. 장치 상의 카트리지를 배치하기 전에 상리 밀봉막(1681)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잡아 따는 손잡이(pulling tab)(16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인터페이스는 도 23a 및 3b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3a의 전개도에 도시된 깔대기(1634) 상에 형성된 골(ribbing)은 상기 깔대기(1634)의 표면에 원두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깔대기(1634) 상의 연속적인 립들(ribs)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원두와 깔대기 표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의 기술자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골(ribbing)은 접척 표면을 감소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이며 돌출되어 불룩한 것들(protruding bulges)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깔대기의 경사는 변화될 수 있지만, 30 내지 90도의 각도가 효과적이다.
회전 가능한 밀폐 디스크(1635)는 개구(1612)를 가질 수 있으며, 적절한 회전시에는 상기 개구는 밀폐 부재(1633)(도 23b)의 원두 아웃렛(1611)과 들어맞을 수 있다. 그것의 상부 면 상의 상기 밀폐 디스크(1635)는 그것에서 돌출된 제1 멈춤쇠(detent)(1701)와 제2 멈춤쇠(1703)를 갖는다. 제1 래칭 암(latching arms)(1713)과 제2 래칭 암(1715)은 상기 밀폐 부재(1633)의 베이스 플랜지(1636)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상기 플렉서블한 제1 래칭 암(1713)은 상기 회전 가능한 밀폐 디스크(1635)의 밀폐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멈춤쇠(1701)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멈춤쇠(1703) 및 상기 제2 플렉서블한 래칭 암(1715)은 상기 밀폐 디스크(1635)의 밀폐된 위치에서 서로 결합하며, 이는 선택적이다.
도 24는 상기 제1 플렉서블 암의 수렴하는 플렉서블 암(1713A, 1713B)에 상기 제1 멈춤쇠(1701)가 어떻게 잡히게 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쇠(1701)의 위치는 화살표(1717) 방향에서의 상기 밀폐 부재(1633)에 대한 밀폐 디스크(1635)의 회전에 기인한다. 화살표(1719)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제1 멈춤쇠(1701)와 맞물리는 상기 플렉서블 암(1713A 및 1713B)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가 도 24의 부분적인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위치에 있는 경우 원두를 흘릴 위험 없이도 그것은 상기 장치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칭 배열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밀폐 디스크(1635)의 회전에 의해 잘못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추출 장치의 일부분인 언락킹부(unlocking element)(1721)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화살표(1723)의 방향에서 반원 형상의 슬롯(1705)을 통해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언락킹부(1721)는 상기 한 쌍의 제1 플렉서블 암(1713)의 플렉서블 암들(1713A, 1715B)을 힘으로 서로 멀어지게 하는 V 형상의 상부 윤곽(contour)을 갖는다. 이것은 상기 제1 멈춤쇠(1701)가 서로 떨어진 플렉스블 암(1713A, 1713B) 사이를 관통하게 함으로써 화살표 방향(1719)으로 밀폐 디스크(1635)가 회전하게 한다. 상기 회전 운동은 상기 장치에 대해 수동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요넷(529, 530)과 같이, 상기 장치의 반대 바요넷에 용기(1631)의 바요넷(1683, 1685)을 맞물리게 한다.
상기 한 쌍의 제2 플렉서블 래칭 암(1715)에 대한 제2 멈춤쇠(1703)의 작동은 동일하며, 상기 장치와 맞물리지 않을 때 잘못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보호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6은 밀폐 부재(1833)의 형태에서 바닥 부분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밀폐 부재(1833)는 골이 형성된 깔대기(1834)와, 중심 영역(1851)에 대해 오프셋된 버퍼 캐비티에 접근할 수 있는 둘레 개구(1867)를 갖는다. 바닥 부분의 형태는 도 2a 내지 2d의 실시예의 참조번호 175 또는 도 5a 내지 5d의 실시예의 참조번호 475와 같은 밀폐 덮개를 갖지 않는 임펠러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상기 임펠러(도 2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명됨)가 항상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될 때 상기와 같은 타입의 밀폐 덮개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밀폐 부재(1833)의 실시예는 다른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는 임펠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정지된 위치에서 원두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둘레 개구(1867)는 캐노피(canopy) 돌출부(1868)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가 진동하는 경우에도, 캐노피 돌출부는 상기 임펠러 상의 날개들과 결합하여, 원두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과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명확하다. 본 발명은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의 범위 내에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고려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운동학적인 변경은 개시된 범위 및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내재적으로 고려된다. 상세한 설명이나 첨부된 청구 범위에 사용되는 "구비하는(comprising)"은 배타적이거나 완전한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며 아니며, 오히려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된다. "...을 위한 수단(for means)"과 같은 표현은 "...으로 구성된 구성요소(component configured for...)" 또는 "...으로 구성된 부재(member configured to...)"로 읽히며 개시된 구조에 대한 균등물을 포함된다. "중대한(critical)", "선호하다(preferred)", "특히 선호하다(especially preferred)" 등과 같은 표현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명확하거나 명쾌하게 설명되거나 청구되지 않은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1: 커피 음료 준비 시스템 2: 커피 추출 장치
3: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 연결 수단
5: 원두 투입구 11: 원두 배출 개구
12A: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 12B: 밀폐 장치
13A: 제어 장치부

Claims (100)

  1. 복수 회분(multiple servings)의 원두를 보유하고 공급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 부피를 형성하는 외부 벽과, 원두 아웃렛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가지며, 적어도 일 회분의 원두를 보유하는 용기;
    상기 원두를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배출 개구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컨베이어 수단; 및
    커피 추출 장치의 회전하는 모티브 수단(motive means)에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 가능하게 결합하는(drivingly coupling) 커플링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될 수 있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원두를 교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진동 수단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회전하도록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은 회전 표면부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표면부는 컨베이어 디스크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의 적어도 일 회분에 맞닿는(confronting)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표면은 중앙은 높고 주변은 낮은 볼록한 형상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빠른 회전 속도로 구동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는 가이드 수단을 따라 상기 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보통인 회전 속도로 구동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원두의 적어도 일 회분에 맞닿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방사형의 릿지(radial ridge)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원두의 적어도 일 회분에 맞닿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표면의 일부분을 덮어씌우며, 상기 디스크에서 상기 배출 개구로 상기 원두를 가이드하는 고정 가이드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배출 개구로 상기 원두를 이송하는 것은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회전에 의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벽의 적어도 일 단부에 맞는 영구적이고 분리되지 않는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피에서 상기 원두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배출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밀폐 부재에서의 배출 통로를 더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을 가지며,
    상기 밀폐 부재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원두가 상기 카트리지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기체 형태로 상기 원두의 내용물이 외부 공기로 나는 것을 막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커피 추출 장치에 상기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밀폐 수단은 상기 밀폐 부재의 외부에서 구동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밀폐 수단은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밀폐 수단은 일체로서 형성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밀폐 수단은 상기 밀폐 부재의 외부에서 일반적으로 구동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카트리지의 작동 전에 상기 내부 부피를 밀봉하는 제거 가능한 밀봉부와 결속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기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를 파괴하고(disrupting) 변위시키는(displacing) 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밀봉막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하고 변위시키는 수단은 손잡이 탭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하고 변위시키는 수단은 고리 모양의 그루브(annular groove)에 상기 밀봉막을 밀어 넣는 원통형의 벽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6. 제7항 및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하고 변위시키는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의 중심에서 연장된 피어싱 핀(piercing pin)을 더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는 구동 허브를 갖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허브는 제25항의 피어싱 핀을 운반하여, 상기 밀봉막을 파괴하기 위해, 제22항의 상기 밀봉막과 상호 작용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넥 부분(neck portion)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넥 부분은 방사상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릿지(ridge)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넥 부분은 고리 모양의 그루브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외부 슬리브(sleeve)와 원통형의 내부 슬리브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외부 슬리브는 외부 숫 나사산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3. 제23항 및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은 상기 고리 모양의 그루브로 접히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강체(rigid)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병 모양의 형상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 모양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 부피에 상기 원두에 의해 비워지는 상기 내부 부피의 공간을 채우는 수단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원두에 의해 비워지는 상기 내부 부피의 공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내부 부피를 감소시키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39. 제37항에 있어서,
    비워진 공간을 채우기 위한 상기 수단은 기체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0. 제37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비워진 공간을 채우기 위한 상기 수단은 팽창 가능한 백(bag)을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바닥과 원주 상의 외부 벽을 형성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2. 제16항 및 제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밀폐 수단은 상기 바닥에서 중심 개구를 통해 상기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 장치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바닥에서 중심 개구를 통해 상기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 장치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4. 제42항 및 제43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밀폐 수단 및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바닥에서 상기 중심 개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구동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5.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회전 가능한 컨베이어 디스크이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밀폐 수단은, 상기 배출 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와 연결되는 밀폐 덮개(closing flap)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 덮개는 상기 컨베이어 디스크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6. 제15항 내지 제20항 또는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는 둘레 개구와, 원두 아웃렛(outlet)을 형성하는 상기 배출 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은 그것의 파괴를 제어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약화된 영역을 갖는 미리 약화된 포일인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8.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피 추출 장치에 상기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수단은 커피 추출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커피 추출 장치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바요넷부(bayonet element)를 포함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49.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회전시에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샤프트와 같은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상기 모티브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50. 제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의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및
    커피 추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원두를 상기 배출 개구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하는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하는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의 상기 커플링 수단과 연결 상태에서 맞물리는 모티브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되는 원두를 주입하는 주입 장치를 더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을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3. 제50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타이밍 수단(timing means)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사용시, 소정 양의 원두를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에 상기 모티브 수단을 작동시키며, 상기 소정 양의 원두는 음료 준비를 위해 주입되는 원두의 양에 대응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4. 제50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원두의 양을 측정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되는 소정 양의 원두를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하자마자 중단하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소정 양의 원두는 음료 준비를 위한 원두 주입량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되는 소정 양의 원두를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하자마자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제15항의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을 제어하며, 소정 양의 상기 원두는 음료 준비를 위한 원두 주입량에 대응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6. 제51항, 제52항 또는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장치는 커피 음료의 일 회분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원두 주입량에 대응되는 원두의 일부를 받는 측정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시스템은 소정 양의 원두를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측정 챔버로 이송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측정 챔버를 비우는 비움 수단(emptying means)를 더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비움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의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바닥을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비움 수단은 상기 측정 챔버를 기울이는 티핑 수단(tipping means)을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0. 제5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움 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1. 제54항, 제56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측정 챔버에서 상기 원두량을 검출하는 상기 제1 센서를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측정 챔버에 존재하는 상기 원두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발생시키는 커피 음료 시스템.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측정 챔버에 존재하는 상기 원두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커피 음료 시스템.
  64.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소정 양의 원두가 검출될 때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측정 챔버 내의 특정 수준(a certain level)에 대응되는 신호 및 중단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며, 상기 소정 양의 원두는 상기 원두의 주입량에 대응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5. 제6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모티브 수단 및/또는 제15항의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 및/또는 제55항의 상기 비움 수단을 제어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상기 측정 챔버에서 소정 양의 원두를 검출하자마자 중단하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소정 양의 원두는 음료 준비를 위한 원두 주입량에 대응되며, 또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 양의 원두를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상기 측정 챔버에서 검출하자마자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소정 양의 원두는 음료 준비를 위한 원두 주입량에 대응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을 정지시키기 전에, 원두가 상기 배출 개구를 방해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상기 모티브 수단의 짧은 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8. 제50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되는 원두를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더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그라인더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6항의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밀폐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배출 통로를 폐쇄하거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이 중단되는 것을 확인하자마자, 상기 그라인더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70.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상기 모티브 수단뿐만 아니라 제49항의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 및/또는 위상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만약 상기 회전부의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가 상기 모티브 수단의 검출된 회전 속도와 동일하다면 그리고/또는 상기 회전부의 검출된 위상이 상기 모티브 수단의 검출된 위상과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라인더 장치를 작동시키는 커피 음료 시스템.
  71. 제50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분쇄된 원두, 깨진 원두, 또는 온전한 원두 및 물의 공급으로부터 시작하여, 분쇄된 커피를 기초로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5항의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밀폐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거나 상기 컨베이어 수단이 중단되는 것을 확인하자마자, 상기 추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73.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상기 모티브 수단뿐만 아니라 제49항의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와 위상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만약 상기 회전부의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가 상기 모티브 수단의 검출된 회전 속도와 동일하다면 그리고/또는 상기 회전부의 검출된 위상이 상기 모티브 수단의 검출된 위상과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커피 음료 시스템.
  74.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그리고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커피 추출 장치의 상기 모티브 수단뿐만 아니라 제49항의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와 위상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만약 상기 회전부의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가 상기 모티브 수단의 검출된 회전 속도와 동일하다면 그리고/또는 상기 회전부의 검출된 위상이 상기 모티브 수단의 검출된 위상과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라인더 장치 및 상기 추출 수단을 작동시키는 커피 음료 시스템.
  75. 제68항 내지 제70항 또는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장치는 상기 주입 장치로부터 측정된 원두 양을 받는 커피 음료 시스템.
  76. 제68항 내지 제70항, 제74항, 또는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자동적으로 비워지는 커피 음료 시스템.
  77. 제68항 내지 제70항, 제74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그라인더 장치를 비우는 커피 음료 시스템.
  78. 제62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측정 챔버의 선택된 부분에서 원두를 검출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측정 챔버의 일 부분을 선택하며, 원두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측정 챔버에서 대응되는 원두의 양을 선택하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79. 제62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측정 챔버에서 상기 원두의 양을 측정하는 웨이팅부(weighting unit)를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팅부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와 연통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1. 제62항 내지 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측정 챔버로 이송되는 원두의 수를 세는 원두 카운팅부(counting unit)를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2.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 카운팅부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와 연통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3. 제62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측정 챔버에 존재하는 원두의 부피를 측정하는 부피 검출부를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 검출부는 상기 모티브 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와 연통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5. 제68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원두를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에서 상기 그라인딩 장치로 공급하는 원두 입구(entrance)를 구비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커피 음료 시스템에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를 분리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6. 제68항 내지 제70항,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그라인딩 장치에서 분쇄된 커피를 추출하여 물을 공급함으로써 커피 음료를 추출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커피 음료를 배달하는 커피 음료 아웃렛을 더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7. 제50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존재를 인식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는 제2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와 연결되는 상기 카트리지를 검출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89. 제87항 또는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식별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회수를 등록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카트리지 식별자와, 상기 카트리지가 원두 일 회분을 공급한 회수를 등록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1.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식별자를 구비하는 바코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바코드를 읽으며, 그리고/또는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식별자를 구비하나 RFID 라벨과 같은 전자 라벨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전자 라벨을 읽는 커피 음료 시스템.
  92. 제54항 및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커피 추출 장치로 이송되는 소정의 원두의 양을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하자마자 상기 장치의 상기 원두 입구를 폐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브 수단은 상기 밀폐 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배출 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4. 제50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과 구동 가능하게 맞물리는(drivingly engaging) 상기 모티브 수단은 상기 커플링 수단의 자동 정렬과 구동 가능한 맞물림(driving engagement)을 제공하는 탄력 변형하는 카운터 커플링 수단(resiliently yieldable counter coupling means)을 가지며, 상기 모티브 수단의 카운터 커플링 수단은 회전하기 시작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5. 제50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배출 통로의 선택적인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제15항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의 이동 가능한 상기 밀폐 수단을 이동시키는 인덱싱(indexing) 수단을 더 구비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6.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장치는 상기 주입 장치에서 측정된 양만큼의 원두를 받으며, 상기 그라인더 장치의 소비 전력은 상기 측정된 양이 제공되는 음료에 충분한지 그리고/또는 그것이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에서 마지막으로 측정된 것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사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의 마지막으로 완전하지 않았던 주입의 준비를 중단하거나, 상기 마지막으로 완전하지 않았던 주입에서 부족한 것을 보충하기 위해 물을 공급하는 선택 중에서 결정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8. 제50항에 있어서,
    일 회분을 위한 상기 주입된 커피의 양은 주입 챔버의 고정되거나 조절이 가능한 부피의 만충(complete fill)에 의해 결정되는 커피 음료 시스템.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부피의 대략 20%는 상기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의 캐비티에 의해 채워지고, 상기 주입 부피의 대략 80%는 상기 커피 추출 장치 내에서 주입 챔버로 채워지는 커피 음료 시스템.
  10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컨베이어 수단을 향해 상기 원두를 가이드하는 골이 형성된 깔대기를 갖는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KR1020117021737A 2009-02-17 2010-02-17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KR20120004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2542 2009-02-17
NL2002542 2009-02-17
NL2002719 2009-04-06
NL2002719 2009-04-06
NL2002764 2009-04-17
NL2002764 2009-04-17
NL2003184 2009-07-10
NL2003184 2009-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13A true KR20120004413A (ko) 2012-01-12

Family

ID=4204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737A KR20120004413A (ko) 2009-02-17 2010-02-17 원두 패키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20120024160A1 (ko)
EP (2) EP2403386B1 (ko)
JP (2) JP5620413B2 (ko)
KR (1) KR20120004413A (ko)
CN (1) CN102395304B (ko)
AU (1) AU2010216509B2 (ko)
BR (1) BRPI1008720A2 (ko)
CA (2) CA2950519C (ko)
DK (1) DK2403386T3 (ko)
ES (2) ES2434262T3 (ko)
MX (2) MX340297B (ko)
NZ (1) NZ594670A (ko)
RU (1) RU2576014C2 (ko)
WO (1) WO201009593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317A (ko) * 2012-06-29 2017-04-10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음료 분배 기계 내 자동화된 탐지를 위한 시스템
KR20190062484A (ko) * 2016-09-27 2019-06-05 일리카페 에스.피.에이. 맞춤형 커피의 혼합물을 얻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88370A (ko) * 2018-01-18 2019-07-26 주식회사 동구전자 원두에 대한 전자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커피머신
WO2021076967A1 (en) * 2019-10-18 2021-04-22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38727C (en) * 2008-09-17 2018-01-02 Sara Lee/De N.V. System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DK2403386T3 (da) 2009-02-17 2013-11-11 Koninkl Douwe Egberts Bv Kaffebønneemballagepatron samt kaffedriksystem indeholdende denne
NL2006237C2 (en) 2010-02-17 2012-08-07 Sara Lee De Nv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JP5903052B2 (ja) 2010-02-17 2016-04-13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コーヒー飲料装置、そのような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第二のコーヒー豆包装カートリッジ、そのような装置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方法、そのような第二のコーヒー豆包装カートリッジからコーヒーを調製する方法及びコーヒー豆を供給する方法
KR20190016607A (ko) 2010-07-22 2019-02-18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식별자를 갖는 포션 캡슐
US9510710B1 (en) 2011-07-15 2016-12-06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Food grinder with automatic off controller and method
CA2788283C (en) 2011-09-01 2019-11-26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US8944354B2 (en) * 2011-09-30 2015-02-03 Starbuck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grinding a material
WO2013057625A2 (en) * 2011-10-21 2013-04-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for separating two spaces from one another
AU2012338982B2 (en) * 2011-11-15 2017-08-0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Optical readable code support and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having such code support providing an enhanced readable optical signal
EP2682029B1 (en) * 2012-07-05 2015-04-29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movable mixing chamber
US10213047B2 (en) * 2012-09-15 2019-02-26 Seva Coffee Corporation Coffee preparation system
CN104837387B (zh) * 2012-09-21 2018-12-1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具有用于可移除的原料容器的连接器的饮料生产机器
EP2730523B1 (en) 2012-11-12 2016-04-06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and process and system for making same
US9783361B2 (en) 2013-03-14 2017-10-10 Starbucks Corporation Stretchable beverage cartridges and methods
CN105263375A (zh) 2013-04-03 2016-01-20 2266170安大略公司 胶囊机器和部件
WO2014186897A1 (en) 2013-05-23 2014-11-27 2266170 Ontario Inc. Capsule housing
US10611507B2 (en) 2013-08-20 2020-04-07 2266170 Ontario Inc. Capsule with control member
US10314319B2 (en) * 2013-11-20 2019-06-11 2266170 Ontar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or controlled degassing of roasted coffee
CH709141A2 (de) * 2014-01-08 2015-07-15 Mte Engineering Ag Dosiervorrichtung, Mahlwerk und Kaffeezubereitungsautomat.
US9474406B2 (en) * 2014-01-17 2016-10-25 Keurig Green Mountain, Inc. Apparatus with beverage cartridge holder having movable outlet
US10442610B2 (en) 2014-03-11 2019-10-15 Starbucks Corporation Pod-based restrictors and methods
US10336531B2 (en) 2014-03-21 2019-07-02 2266170 Ontario Inc. Capsule with steeping chamber
DE102014107647B4 (de) * 2014-05-30 2017-01-05 Eugster/Frismag Ag Kaffeebohnenbehälter
BR112017006510B1 (pt) 2014-09-29 2023-02-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Etiqueta de rfid de rastreamento de pneus
JP6220104B1 (ja) * 2014-11-14 2017-10-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コーヒー加工装置及び方法
DK3232872T3 (da) * 2014-12-15 2020-07-13 Douwe Egberts Bv System til tilberedning af drikkevarer
NL2013985B1 (en) 2014-12-15 2016-10-11 Douwe Egberts Bv Ceramic valve unit for a beverage machine.
NL2013984B1 (en) 2014-12-15 2016-10-11 Douwe Egberts Bv Dosing pump device for dosing metered amounts of a liquid product.
US9877495B2 (en) 2015-01-09 2018-01-30 Starbuck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weetened soluble beverage product
ES2726883T3 (es) * 2015-01-12 2019-10-10 Illycaffe S P A Con Unico Socio Aparato para el suministro dosificado de granos de café
FR3031441A1 (fr) * 2015-01-12 2016-07-15 Soc De Construction Electromecanique Distributeur automatique de produits en vrac avec variation automatique des volumes distribues
ES2579978B2 (es) * 2015-02-16 2017-04-07 Smart Spirits, S.L. Infusor de bebidas alcohólicas
CN107743368B (zh) * 2015-06-19 2020-09-0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从如存在于咖啡室中的一定量的咖啡颗粒找回香味的方法
EP3328251B1 (en) * 2015-07-30 2020-05-13 Koninklijke Philips N.V. Selector unit and coffee machine
PT3135161T (pt) 2015-08-26 2019-07-11 Bernd Ma¿Ller Recipiente de grãos de café, aparelho de preparação de café compreendendo mesmo e método de preparação de café
PL3361917T3 (pl) * 2015-10-12 2020-06-29 Koninklijke Philips N.V. Jednostka mieląca i ekspres do kawy
US20170119200A1 (en) * 2016-01-19 2017-05-04 Anthony David Bressi Automated beverage and fragrance synthesizers
TWM521433U (zh) * 2016-02-17 2016-05-11 Chouki Internat Company Ltd 沖泡材料磨碎機
ITUA20161566A1 (it) * 2016-03-11 2017-09-11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da caffè incorporante un macinino
FR3052044B1 (fr) * 2016-06-02 2018-05-18 Seb S.A. Distributeur de mouture pour machine a cafe muni d'une turbine a pales curvilignes
JP7177049B2 (ja) 2016-11-09 2022-11-22 ペプシコ・インク 炭酸飲料メーカ、方法、及びシステム
DK3878769T3 (da) * 2016-12-01 2023-09-11 Bedford Systems Llc Container and opening arrangement for beverage production
IT201600122725A1 (it) * 2016-12-02 2018-06-02 Gruppo Cimbali Spa Metodo e macchina per erogare dosi di caffè macinato
TWI733955B (zh) * 2016-12-02 2021-07-21 義大利商辛巴利集團公司 具有用於經研磨咖啡的劑量裝置的研磨劑量機器
US20180192816A1 (en) * 2017-01-12 2018-07-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Beverage dispenser with a moisture removal device
DE102017209018A1 (de) 2017-05-30 2018-12-06 BSH Hausgeräte GmbH Getränkeautomat mit optischer Messvorrichtung
RU2676824C1 (ru) * 2017-08-22 2019-01-11 Альберт Джемалович Аджикелямов Возвратный ограничитель
IT201700106755A1 (it) 2017-09-25 2019-03-25 Telecom Italia Spa Metodo e sistema per il riconoscimento di capsule di caffè
BR112020012729A2 (pt) * 2017-12-22 2020-12-01 Creatrix Ag unidade de um aparelho de café e módulo de contêiner
AU2019239294A1 (en) 2018-03-22 2020-11-19 Bedford Systems Llc Pod assembly for beverage machine
JP7429198B2 (ja) * 2018-05-31 2024-02-07 クレアトリックス アーゲー コーヒー器具用のユニット
IT201800006050A1 (it) * 2018-06-05 2019-12-05 Dispositivo per la conservazione e l'erogazione di caffe' in grani
GB2590819B (en) * 2018-07-06 2022-10-19 Newell Australia Pty Ltd Foodstuff processing system
WO2020014608A1 (en) 2018-07-12 2020-01-16 Walmart Apollo, Llc Automated storage retrieval system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protocol
WO2020014615A1 (en) 2018-07-12 2020-01-16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ssignment at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GB2578279B (en) * 2018-08-17 2021-06-16 Lavazza Professional Uk Ltd Beverage vessel support apparatus
CN109850400A (zh) * 2018-12-30 2019-06-07 天津方雅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出药装置及其使用方法
US10757857B2 (en) 2019-02-01 2020-09-01 Cnh Industrial Canada, Ltd. Meter roller insert system
US10736264B1 (en) 2019-02-01 2020-08-11 Cnh Industrial Canada, Ltd. Modular meter roller shaft system
US10750665B1 (en) 2019-02-01 2020-08-25 Cnh Industrial Canada, Ltd. Meter roller system
EP3721757A1 (en) * 2019-04-08 2020-10-14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utomatic system for dispensing roasted coffee beans and related method
TWI697308B (zh) * 2019-05-03 2020-07-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萃取裝置與萃取方法
CN110192772A (zh) * 2019-05-10 2019-09-03 罗梦 多功能水杯
JP7451914B2 (ja) 2019-09-24 2024-03-19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N110664253A (zh) * 2019-09-27 2020-01-10 珠海市卡法利尔科技有限公司 咖啡机系统及其用于连接咖啡罐和咖啡机的连接结构
IT201900023256A1 (it) * 2019-12-06 2021-06-06 Gruppo Cimbali Spa Macinadosatore
ES2893050A1 (es) * 2020-07-28 2022-02-07 Cecotec Res And Development Dosificacion precisa en maquina de preparacion de bebidas
US11597589B2 (en) * 2021-03-15 2023-03-07 Remcon Plastics Incorporated Dry bulk hopper system
CN113080710B (zh) * 2021-04-16 2022-11-29 邹平双飞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咖啡计量结构
AU2022285802A1 (en) * 2021-06-01 2023-12-14 Jura Elektroapparate Ag Device and method for grinding material to be ground
CN113576256A (zh) * 2021-07-07 2021-11-02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射频识别功能的自助咖啡贩卖机
CN113662428A (zh) * 2021-07-09 2021-11-19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提高精准识别效率的射频设别咖啡机
IT202100026711A1 (it) * 2021-10-19 2023-04-19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al caffè
US11805946B2 (en) * 2021-11-16 2023-11-07 Daito Giken, Inc. Coffee machine
IT202200000164A1 (it) * 2022-01-07 2023-07-07 De Longhi Appliances Srl "apparato e procedimento di macinazione, relativi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Family Cites Families (1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7355A (en) 1933-07-11 brand
US2704468A (en) 1955-03-22 Power transmission
US1429487A (en) 1920-12-07 1922-09-19 Emma I Budlong Deep-well pump
US1604058A (en) 1924-05-26 1926-10-19 Mager Herbert Arrangement for roasting, grinding, and cooking coffee or the like
US1769776A (en) 1924-09-08 1930-07-01 Stimpson Coffee mill
US1755430A (en) 1927-08-01 1930-04-22 C A Dunham Co Differential vacuum pump
US1752006A (en) 1927-10-08 1930-03-25 Continental Motors Corp Pump
US1869720A (en) 1930-02-26 1932-08-02 Anne Foley Phelps Beverage making machine
US2131034A (en) 1930-02-28 1938-09-27 William J Beck Automatic weighing scale
US1981025A (en) 1932-06-17 1934-11-20 Union Steam Pump Company Pump
US2296701A (en) 1939-01-21 1942-09-22 Bristol Aeroplane Co Ltd Gas turbine
BE465428A (ko) 1945-05-04
US2610468A (en) 1946-06-24 1952-09-16 Donald W Green Rotary hydraulic torque converter
US2552167A (en) 1947-02-17 1951-05-08 Vernon E Gleasman Vane type fluid drive
US2769393A (en) 1951-03-23 1956-11-06 Sundstrand Machine Tool Co Hydraulic pump and control
US2856753A (en) 1955-04-19 1958-10-21 Herzog Richard Internal-combustion turbine engine
US2930216A (en) 1955-06-07 1960-03-29 Kenig Cazzaniga Y Cia Soc De R Vertical shaft washing machines
US2917076A (en) 1955-09-06 1959-12-15 Abington Textile Mach Works Surge control device and pneumatic systems containing the same
US2884269A (en) 1956-11-19 1959-04-28 J And R Specialties Inc Pump shaft housing repair kit
US2962220A (en) 1958-01-03 1960-11-29 Harry P Woods Rotary lawn sprinkler
US3007352A (en) 1958-04-09 1961-11-07 Goodman Mfg Co Planetary drive mechanisms for excavating machines or the like
DE1201207B (de) 1959-08-12 1965-09-16 Stephan & Soehne Zerkleinerungsmaschine fuer Fleisch od. dgl.
US3036551A (en) 1959-10-19 1962-05-29 George W Shreckhise Apparatus for coating fabrics
US3115097A (en) 1960-08-03 1963-12-24 Wilfley & Sons Inc A Corrosion resistant centrifugal pump
US3263968A (en) 1964-02-19 1966-08-02 Sahlstrom Nils Johan Slurry handling apparatus
GB1140676A (en) 1965-04-29 1969-01-22 Elemelt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glass feeding furnaces
US3356097A (en) 1965-05-21 1967-12-05 Schaap Theodore Combination disposal and washer
US3490685A (en) 1967-05-22 1970-01-20 Luwa Ltd Self-cleaning fan
US3683790A (en) 1971-04-16 1972-08-15 Vendo Co Recirculation coffee brewer
US3871112A (en) 1972-08-21 1975-03-18 Marvin Glass & Associates Coordinated visual an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US3921178A (en) 1974-02-11 1975-11-18 Charles F Weisgerber Time utilization monitor
US3981234A (en) 1974-05-09 1976-09-21 University Of Illinois Foundatio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a soybean beverage base
GB1452820A (en) 1974-07-02 1976-10-20 Mobil Oil Ltd Heat exchange apparatus
JPS5517956A (en) 1978-07-27 1980-02-07 Toshiba Corp Secondary electron multiplying target
US4326114A (en) 1978-12-11 1982-04-20 Gerling-Moore, Inc. Apparatus for microwave roasting of coffee beans
DE2926389A1 (de) * 1979-06-29 1981-01-15 Bosch Siemens Hausgeraete Kaffeemuehle
US4305328A (en) 1979-08-29 1981-12-15 Umc Industries, Inc. Coffee vendor
US4271753A (en) 1979-11-23 1981-06-09 Refreshment Machinery Incorporated Brewing mechanism
JPS57194178A (en) 1981-05-27 1982-11-29 Mitsubishi Heavy Ind Ltd Columnar structure
DE3126630A1 (de) 1981-07-06 1983-01-20 Maxs Ag, Sachseln Zentrifugenkorb
US4555984A (en) 1982-05-19 1985-12-0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Coffee maker
DE3400567C3 (de) 1984-01-10 1994-07-28 Krups Fa Robert Elektrisch betriebene Espressomaschine
IT1181556B (it) 1984-05-30 1987-09-30 Valentino Gasparella Dosatore volumetrico di caffe' in grani
DE3576007D1 (de) 1984-11-05 1990-03-15 Ascom Autelca Ag Kassentresor.
JPS61232176A (ja) * 1985-03-26 1986-10-16 大石 秀治 粉体供給器
US5209909A (en) * 1986-02-06 1993-05-11 Steris Corporation Two compartment cup for powdered sterilant reagent components
IT209821Z2 (it) 1987-01-15 1988-11-04 Tedioli Pier Giorgio Apparecchio elettrico a macina, per macinare pepe o sale.
US4865089A (en) * 1987-08-10 1989-09-12 Graha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olumetrically metering a food chunk/liquid mixture in a predetermined ratio of food chunks to liquid
US4791859A (en) 1987-08-27 1988-12-20 King Alan M Coffee brewer
US4843956A (en) 1987-11-19 1989-07-04 Transfresh Corporation Systems for providing and delivering preservative gases to enclosures containing perishable products
GB2219194B (en) 1988-05-30 1992-08-05 Toshiba Kk Siphon coffee maker
US4936515A (en) * 1989-08-17 1990-06-26 Unidynamics Corporation Coffee bean delivery and grinding system
FR2660847B1 (fr) 1990-04-12 1994-06-03 Grouard Freres Sa Moulin a cafe et machine a cafe equipee d'un tel moulin.
US5094153A (en) 1990-04-23 1992-03-10 Edward Helbling Coffee machine with product selectivity
DE4038273A1 (de) 1990-11-30 1992-06-04 Mls Gmbh Vorrichtung zum ausloesen und/oder foerdern chemischer und/oder physikalischer prozesse
JPH05154053A (ja) 1991-12-04 1993-06-22 Kazuo Enomoto コーヒーメーカ
US5217108A (en) 1992-01-02 1993-06-08 Grindmaster Corporation Auger portioning device for a coffee bean grinder
CA2061106A1 (en) 1992-02-12 1993-08-13 Rodney Lewis Baxter Beverage preparing assemblies
NZ251260A (en) 1992-04-09 1996-09-25 John De Courcey Milne Skateboard with front wheels mounted outboard of board and interconnected for steering by tilting of board
JPH0646437A (ja) 1992-07-24 1994-02-18 Hitachi Ltd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US5351604A (en) 1992-09-01 1994-10-04 Zuma Coffee Technologies, Inc. Coffee brewer method and apparatus
US5241898B1 (en) 1992-09-25 1999-02-09 Grindmaster Corp Coffee dispenser and brewer apparatus
DE59306035D1 (de) 1993-01-08 1997-05-07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Kaffeemaschine
IT1263828B (it) 1993-01-27 1996-09-03 Cimbali Spa Macchina automatica per caffe' in bevanda,erogabile da solo o, combinato con latte,in forma di cappuccino
US5312637A (en) 1993-06-21 1994-05-17 Bunn-O-Matic Corporation One-cup brewer
FR2713906B1 (fr) * 1993-12-20 1996-08-30 Moulinex Sa Distributeur automatique de mouture.
US5386944A (en) * 1994-02-17 1995-02-07 Bunn-O-Matic Corporation Weight controlled grinder and method of grinding coffee beans
US5406882A (en) 1994-03-30 1995-04-18 Shaanan Holdings Inc. Brewer
US5609097A (en) 1995-04-24 1997-03-11 Newnan; Brian D. Coffee bean roaster with visual display column
US5632449A (en) * 1995-05-08 1997-05-27 Sandolo; Raffael Customized coffee blending apparatus
US5632499A (en) 1995-06-06 1997-05-27 Gtmax, Inc. Wheel chair system
IT237195Y1 (it) 1995-10-05 2000-09-05 Il Caffe Del Professore S R L Apparecchio elettronico per il controllo della macinazione e deldosaggio di caffe'
NL1001989C2 (nl) * 1995-12-22 1997-06-24 Gerrit Jan Van Den Top Verkoopautomaat.
CA2205627A1 (en) 1997-05-16 1998-11-16 Timothy S. Mackinnon Beverage brewer chamber assembly
US6067864A (en) * 1997-11-25 2000-05-30 Peterson; Roger Multiport valve system through which sample gas continuously flows in selected and non selected ports
DE29800175U1 (de) 1998-01-08 1998-04-02 Eugster/Frismag Ag, Romanshorn Kaffeemaschine mit Dosiersignalanordnung
US6339985B1 (en) 1998-02-03 2002-01-22 Robert R. Whitney Coffee maker
US6095032A (en) 1998-11-06 2000-08-01 La Marzocco International L.L.C. Coffee grinding, portioning, and pressing device
US6176172B1 (en) 1999-09-14 2001-01-23 Crane Co. Table-top coffee vending machine and method
US6783089B2 (en) 1999-09-17 2004-08-31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Food ingredient grinder assembly and method
IT1307830B1 (it) * 1999-12-23 2001-11-19 Vales Maria Pilar Perez Attrezzatura automatizzata per la vendita di prodotti granulari comeil caffe' od altro.
CA2300446C (en) 2000-03-10 2009-05-19 Stan Mcclean Beverage brew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and semi-automatic brewing modes
US6663031B2 (en) * 2001-01-12 2003-12-16 Wki Holding Company, Inc. Spice grinding and dispensing mill
US7094409B2 (en) 2001-01-19 2006-08-22 Cytos Biotechnology Ag Antigen arrays for treatment of allergic eosinophilic diseases
CA2440047A1 (en) 2001-03-16 2002-09-26 Anne Marie Westbrook Beverage brewing system
US6572036B2 (en) 2001-04-20 2003-06-03 Appliance Development Corporation Coffee grinder with storage and dispensing means
ITMI20011974A1 (it) 2001-09-21 2003-03-21 Illycaffe Spa Sistema per trasferire singole confezioni di caffe' da un contenitorealla camera di estrazione di una macchina per fare caffe' espresso
US7067168B1 (en) 2002-02-13 2006-06-27 Le-Nature's, Inc. Tea brewing system
US6889599B2 (en) 2002-04-16 2005-05-10 Koslow Technologies Corporation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US6840157B2 (en) 2002-08-08 2005-01-11 Dong Ming Wang Coffee apparatus with vacuum-fresh coffee beans
JP2004073533A (ja) 2002-08-20 2004-03-11 Shirouma Science Co Ltd ミル付容器
NL1021341C2 (nl) 2002-08-27 2004-03-01 Smitdesign Bv Koffiedoseerinrichting.
GB2392899A (en) 2002-09-12 2004-03-17 Beancounter Coffee Company Ltd Device for containing and grinding coffee beans
US7318374B2 (en) 2003-01-21 2008-01-15 Victor Guerrero Wire cloth coffee filtering systems
DE20300933U1 (de) 2003-01-22 2004-05-27 Wik Far East Ltd. Kaffeemühle sowie Kaffeeautomat mit einer Kaffeemühle
DE20300928U1 (de) 2003-01-22 2004-05-27 Wik Far East Ltd. Kaffeebohnenbehälter für einen Kaffeeautomaten
ATE416658T1 (de) 2003-05-02 2008-12-15 Schaerer Ag M Einrichtung zur ausgabe von milch und/oder milchschaum
EP1624780B1 (en) 2003-05-19 2008-12-03 Aroma Fresh, Llc Coffee brewer
US7340991B2 (en) 2003-05-19 2008-03-11 Aroma Fresh, Llc Coffee brewer
US7461587B2 (en) 2004-01-21 2008-12-09 Victor Guerrero Beverage container with wire cloth filter
MY138658A (en) * 2004-02-20 2009-07-31 Nestec Sa System for dispensing short and long coffee beverages
DE102004024713A1 (de) 2004-05-19 2005-12-15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Mahlvorrichtung für Kaffeebohnen
JP4366271B2 (ja) 2004-08-03 2009-11-18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作動油タンクのサクションフィルタ固定装置
US7032322B1 (en) 2004-11-04 2006-04-25 Sterassure Solutions, L.L.C. Method for processing infectious waste and system for the same
JPWO2006064567A1 (ja) * 2004-12-16 2008-06-12 テイコクメディックス株式会社 ゲル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内容物と気体を封入した包装物
ATE368413T1 (de) 2005-03-08 2007-08-15 Saeco Ipr Ltd Kaffeemaschine
US20060254428A1 (en) * 2005-05-14 2006-11-16 Glucksman Dov Z Coffee making apparatus
EP1890580A2 (en) 2005-06-14 2008-02-27 Torben Malykke Automatic dosage unit
US20070137495A1 (en) 2005-12-16 2007-06-21 Talbert Lewis M Coffee maker with grinder
US8601937B2 (en) * 2006-02-23 2013-12-10 Carl James Campetella Apparatus for making coffee
FR2902629B1 (fr) 2006-06-26 2010-12-17 Seb Sa Distributeur de produit pulverulent a reservoir amovible
US20080098901A1 (en) 2006-10-25 2008-05-01 Main Power Electrical Factory Ltd. Coffee mill
TWI315382B (en) 2006-12-26 2009-10-01 Ind Tech Res Inst The rotor mechanism of the centrifugal compressor
CN201005518Y (zh) 2007-02-13 2008-01-16 罗世君 磨豆泡咖啡机
DE102007008898A1 (de) * 2007-02-23 2008-08-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nehmbarer Bohnenbehälter mit selbsttätigem Verschluss
DE102007008900A1 (de) 2007-02-23 2008-08-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bnehmbarer Bohnenbehälter mit Drehverschluss
GB2447678A (en) 2007-03-21 2008-09-24 Dyson Technology Ltd Dispensing ingredients from hoppers
WO2009047590A1 (en) 2007-10-12 2009-04-16 Bich Francois Grinding system, grinding mill for such grinding system and reload cartridge for such grinding system.
FR2931051B1 (fr) 2008-05-16 2010-04-23 Seb Sa Distributeur automatique de cafe moulu
ATE504229T1 (de) 2007-12-06 2011-04-15 Seb Sa Automat für gemahlenen kaffee
JP2009160188A (ja) 2007-12-28 2009-07-23 Satako:Kk コーヒーマシン
WO2009086613A1 (en) 2008-01-04 2009-07-16 Technologies Coffea Inc. Infusion brewing device and method
CN102083344B (zh) 2008-03-24 2015-12-02 班奥麦迪克公司 带主动冲泡机构和临时贮存器的活塞压缩冲泡物型冲泡系统
US20100080886A1 (en) 2008-10-01 2010-04-01 Astra Manufacturing, Inc. Coffee dispensing machine
US8047124B2 (en) 2009-02-11 2011-11-01 Uni-Splendor Corp. Automatic beverage maker
DK2403386T3 (da) * 2009-02-17 2013-11-11 Koninkl Douwe Egberts Bv Kaffebønneemballagepatron samt kaffedriksystem indeholdende denne
US8056845B2 (en) 2009-09-28 2011-11-15 Simatelex Manufactory Co. Ltd. Combination coffee grinder and coffee storage device
US8383180B2 (en) 2009-10-28 2013-02-26 Dean J. Vastardis Vacuum brewed beverage method
NL2006237C2 (en) 2010-02-17 2012-08-07 Sara Lee De Nv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317A (ko) * 2012-06-29 2017-04-10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음료 분배 기계 내 자동화된 탐지를 위한 시스템
KR20190062484A (ko) * 2016-09-27 2019-06-05 일리카페 에스.피.에이. 맞춤형 커피의 혼합물을 얻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88370A (ko) * 2018-01-18 2019-07-26 주식회사 동구전자 원두에 대한 전자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커피머신
WO2021076967A1 (en) * 2019-10-18 2021-04-22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US11097873B2 (en) 2019-10-18 2021-08-24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CN114901987A (zh) * 2019-10-18 2022-08-12 快欧泊特股份有限公司 蒸气塞保持条带
GB2604067A (en) * 2019-10-18 2022-08-24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CN114901987B (zh) * 2019-10-18 2023-08-01 快欧泊特股份有限公司 蒸气塞保持条带
US11713167B2 (en) 2019-10-18 2023-08-01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GB2604067B (en) * 2019-10-18 2024-03-13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4260A1 (en) 2013-11-20
CA2950519C (en) 2019-07-16
CA2752745C (en) 2017-01-17
US20150157166A1 (en) 2015-06-11
EP2664260B1 (en) 2016-04-20
MX340297B (es) 2016-07-05
US10499763B2 (en) 2019-12-10
ES2434262T3 (es) 2013-12-16
RU2011138190A (ru) 2014-04-20
ES2583846T3 (es) 2016-09-22
NZ594670A (en) 2014-04-30
AU2010216509A1 (en) 2011-10-06
US9980599B2 (en) 2018-05-29
CA2752745A1 (en) 2010-08-26
JP5976062B2 (ja) 2016-08-23
US20120024160A1 (en) 2012-02-02
MX2011008604A (es) 2011-12-06
JP2012517879A (ja) 2012-08-09
EP2403386A1 (en) 2012-01-11
AU2010216509B2 (en) 2016-10-13
JP5620413B2 (ja) 2014-11-05
CA2950519A1 (en) 2010-08-26
US20180317696A1 (en) 2018-11-08
CN102395304B (zh) 2016-06-29
JP2015027536A (ja) 2015-02-12
RU2576014C2 (ru) 2016-02-27
DK2403386T3 (da) 2013-11-11
EP2403386B1 (en) 2013-08-07
MX370728B (es) 2019-12-20
BRPI1008720A2 (pt) 2016-03-08
WO2010095937A1 (en) 2010-08-26
CN102395304A (zh)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763B2 (en)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and coffee beverage system including same
JP5903052B2 (ja) コーヒー飲料装置、そのような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第二のコーヒー豆包装カートリッジ、そのような装置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方法、そのような第二のコーヒー豆包装カートリッジからコーヒーを調製する方法及びコーヒー豆を供給する方法
US9277838B2 (en) Coffee beverage system using a coffee bean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