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793A - 밀폐형 혼련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혼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1793A KR20120001793A KR1020117025704A KR20117025704A KR20120001793A KR 20120001793 A KR20120001793 A KR 20120001793A KR 1020117025704 A KR1020117025704 A KR 1020117025704A KR 20117025704 A KR20117025704 A KR 20117025704A KR 20120001793 A KR20120001793 A KR 201200017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ubricant
- weight
- shaft member
- kneader
- reservo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 B29B7/2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in mixers having more than one rotor and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with feeding plu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00—Co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parts of machines or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lubr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밀폐형 혼련기는, 혼련실과 그 혼련실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재료 투입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재료 투입구에 투입된 재료를 상기 혼련실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상기 웨이트가 연결되어 그 웨이트와 함께 승강하는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사이에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저류부를 향하여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로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혼련기에 투입된 재료를 혼련실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웨이트를 구비한 밀폐형 혼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혼련기에 투입된 재료를 혼련식측으로 압박하는 웨이트를 구비한 밀폐형 혼련기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혼련기 본체의 혼련실을 향하여 재료를 압박 가능한 플로팅 웨이트와, 플로팅 웨이트에 연결되고, 이 플로팅 웨이트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재를 구비한 밀폐형 혼련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형 혼련기에 있어서는, 플로팅 웨이트 내에 해당 플로팅 웨이트와 축부재의 마찰 등을 경감하기 위한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밀폐형 혼련기에서는, 플로팅 웨이트 내의 윤활제를 교체하거나, 플로팅 웨이트 내에 윤활제를 충전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플로팅 웨이트를 재료 공급용의 호퍼 도어의 부근까지 상승시켜 정지시킨 후, 호퍼 도어를 열고나서 플로팅 웨이트 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작업을 행해야 하였다. 즉, 종래에는, 플로팅 웨이트에 대하여 윤활제를 공급할 때, 축부재의 승강 동작을 멈추고 웨이트가 완전하게 정지한 것을 확인하고 나서, 윤활제의 공급 작업을 행할 수 있었다. 또한, 호퍼 내에 있어서의 윤활제의 공급 작업은 대단히 번잡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 밀폐형 혼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이트로의 윤활제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밀폐형 혼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국면을 따른 밀폐형 혼련기는, 혼련실과 그 혼련실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재료 투입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재료 투입구에 투입된 재료를 상기 혼련식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상기 웨이트가 연결되어 그 웨이트와 함께 승강하는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사이에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저류부를 향하여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밀폐형 혼련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웨이트의 우측면이다.
도 3은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축부재에 윤활제 배출로를 설치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팬을 설치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팬을 설치한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팬을 설치한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좌측면이다.
도 8은 웨이트와 축부재의 연결 부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웨이트의 우측면이다.
도 3은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축부재에 윤활제 배출로를 설치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팬을 설치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팬을 설치한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팬을 설치한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좌측면이다.
도 8은 웨이트와 축부재의 연결 부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웨이트의 정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밀폐형 혼련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밀폐형 혼련기(1)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혼련실(3) 내에 강제적으로 압입하고, 그 재료를 혼련실(3) 내에서 회전하는 혼련 로터(2)에 의해 혼련하는 패치식의 혼련기이다. 이 밀폐형 혼련기(1)는, 한 쌍의 혼련 로터(2)와, 하우징(3a)과, 호퍼(5)와, 웨이트(6)와, 축부재(7)와, 호퍼 도어(9)와, 유압 실린더(10a)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a)의 내부에는, 좌우 한 쌍의 혼련 로터(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혼련실(3)이 설치되어 있다. 혼련실(3)은, 혼련 로터(2)의 축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안경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혼련실(3)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좌우 한 쌍의 구멍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부 겹친 상태로 연결된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혼련실(3) 중 좌우의 대략 원형 구멍 형상의 부분에 각각 혼련 로터(2)가 수용되어 있다. 한 쌍의 혼련 로터(2)는, 동일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하우징(3a) 중 혼련실(3)의 상부의 위치에는, 혼련실(3)에 연통하는 재료 투입구(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재료 투입구(4)는, 혼련실(3)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호퍼(5)는, 사각형의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호퍼(5)는, 그 내부의 공간이 재료 투입구(4)에 연통하도록 하우징(3a)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호퍼(5)의 일측 벽(도 1에 있어서의 우측 벽)에는, 호퍼(5) 내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구(8)가 형성되어 있다. 호퍼(5)의 재료 공급구(8)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유압 실린더(10a) 등의 신축에 의해 개폐 동작하는 호퍼 도어(9)가 설치되어 있다. 재료 공급구(8)는, 이 호퍼 도어(9)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웨이트(6)는, 소위 플로팅 웨이트이며, 재료 투입구(4)에 투입된 재료를 혼련실(3)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웨이트(6)는, 호퍼(5)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축부재(7)는, 웨이트(6)를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축부재(7)는, 웨이트(6)의 승강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웨이트(6)는, 축부재(7)의 선단부(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축부재(7)의 상단부측은, 승강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 장치(11)는, 유압 실린더(10b)를 구비하고 있고, 그 유압 실린더(10b)의 신축을 이용하여 축부재(7)를 승강시킨다. 이 승강 장치(11)에 의한 축부재(7)의 승강에 의해, 축부재(7)에 장착된 웨이트(6)가 승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웨이트(6)와 축부재(7)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웨이트(6)는, 혼련 로터(2)의 축심 방향을 따라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웨이트(6)의 하부는, 앞이 가는 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웨이트(6)의 하부의 추 형상의 부분은, 웨이트(6)가 최하 위치까지 강하했을 때에, 혼련실(3)을 형성하는 하우징(3a)의 내면의 형상을 거의 따르는 듯한 형상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6)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은, 재료 공급구(8)와 반대측인 좌측으로부터 재료 공급구(8)측인 우측으로 감에 따라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웨이트(6)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오목해진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재(7)의 선단부(하단부)는, 이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웨이트(6)와 축부재(7)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6)의 상면에 재료 공급구(8)측으로 감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웨이트(6)를 재료 공급구(8)의 부근에 배치하면, 호퍼 도어(9)를 열어 개방한 재료 공급구(8)를 통하여, 웨이트(6)와 축부재(7)의 연결부분 근처의 청소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6)의 오목부(12)와 축부재(7)의 선단부는, 서로 밀착하도록 끼워 맞춰져 있지 않고, 오목부(12)의 내면과 축부재(7)의 선단부의 외면의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웨이트(6)가 최하 위치까지 강하했을 때에 혼련 로터(2)에 의한 재료의 혼련력을 받았을 경우에도, 그 혼련력에 기인하는 굽힘 응력이 축부재(7)에 작용하지 않는다. 웨이트(6)의 오목부(12)의 내면과 축부재(7)의 선단부의 외면의 사이의 공극은,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14)로 되어 있다. 저류부(14)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저류됨으로써, 웨이트(6)의 오목부(12)의 내면과 축부재(7)의 선단부의 외면이 접촉하였다고 해도 그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등이 저감된다.
축부재(7)는, 주축부(16)와, 잘록부(17)와, 최단부(18)를 갖는다. 주축부(16)는, 호퍼(5) 내에 배치된 부분이며, 해당 호퍼(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잘록부(17)는, 주축부(16)의 선단부(하단부)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잘록부(17)는, 주축부(16)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최단부(18)는, 잘록부(17)의 선단부(하단부)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최단부(18)는, 잘록부(17)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잘록부(17)의 외경은, 주축부(16)의 외경보다도 작게 됨과 동시에, 최단부(18)는, 잘록부(17)보다도 외경이 큰 대경 부분을 갖고 있다. 또한, 최단부(18)는, 대경 부분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면이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갖는다. 그리고, 잘록부(17)의 주위에는, 웨이트(6)의 오목부(12)로부터의 축부재(7)의 선단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빠짐 방지 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즉, 잘록부(17)는, 링 형상의 빠짐 방지 부재(19)에 내삽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부재(7)에 웨이트(6)의 오목부(12)로부터 잡아당기는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최단부(18)가 빠짐 방지 부재(19)에 접촉하여 축부재(7)의 선단부가 웨이트(6)의 오목부(12)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세하게는, 최단부(18)의 최외경은, 웨이트(6)의 오목부(12)의 내경보다도 약간 소경으로 되어 있다. 이 최단부(18)가 오목부(12)에 삽입된 후, 잘록부(17)의 주위에 빠짐 방지 부재(19)가 배치되고, 그 위에서 빠짐 방지 부재(19)는, 웨이트(6)의 오목부(12)의 개구부 주위에 형성된 평탄면(21)에 볼트 등의 체결구(2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축부재(7)의 잘록부(17)의 외면과 빠짐 방지 부재(19)의 내면의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극도 저류부(14)의 일부로 되어 있다. 또한, 빠짐 방지 부재(19)는, 잘록부(17)의 외주를 둘러쌀 수 있도록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잘록부(17)의 상측에 위치하는 주축부(16)의 외주에는, 해당 주축부(16)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의 시일 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26)는, 해당 시일 부재(26)의 주위에 배치된 시일 지지 부재(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시일 지지 부재(25)는, 볼트 등의 체결구(27)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19)에 체결되어 있다. 시일 지지 부재(25)의 상측에는, 주축부(16)의 외주를 덮는 더스트 커버(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스트 커버(28)는, 컵이 거꾸로 되어 그 천장부에 주축부(16)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재(7)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저류부(14)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로(30)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윤활제 공급로(30)는, 축부재(7)의 주축부(16)의 기단부(상단부)로부터 선단부(하단부)에 걸쳐 축심 방향으로 연장하여 주축부(16)를 관통함과 동시에, 주축부(16)에 이어서 잘록부(17) 및 최단부(18)도 축심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윤활제 공급로(30)는, 최단부(18)에 있어서 복수로 분기하여 그 각 분기로가 최단부(18)의 직경 방향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최단부(18)의 테이퍼면에 있어서 개구되고 있다. 이에 의해, 윤활제 공급로(30)는, 저류부(14)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윤활제 공급로(3O)는, 승강 장치(11)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 장치(11)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승강 장치(11)의 상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윤활제 공급로(30)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35)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급 부재(35)는, 예를 들어 호스나 배관 등으로 이루어진다. 공급 부재(35)는, 윤활제를 송출하는 펌프(P)에 접속되어 있다. 해당 펌프(P)를 구동함으로써, 윤활제가 자동적으로 공급 부재(35) 내의 유로를 통하여 윤활제 공급로(30)에 공급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밀폐형 혼련기(1)에서는, 승강 장치(11)에 의한 축부재(7)의 승강에 따라, 윤활제 공급로(30)의 높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공급 부재(35)의 상하 위치가 변화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트(6)와 축부재(7)의 연결 부분에는, 웨이트(6)와 축부재(7)의 사이에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14)가 형성되고, 축부재(7)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저류부(14)를 향하여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로(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웨이트(6)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축부재(7)에 설치된 윤활제 공급로(3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저류부(14)에 간단하게 윤활제의 공급을 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웨이트(6) 내의 윤활제를 교체하거나, 웨이트(6) 내에 윤활제를 충전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 도어(9)의 부근까지 웨이트(6)를 상승시켜 정지시킨 후, 호퍼 도어(9)를 열고나서 웨이트(6) 내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작업을 행해야 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웨이트(6)에 대하여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해, 축부재(7)의 승강 동작을 멈추고 웨이트(6)가 완전하게 정지한 것을 확인한 후, 호퍼(5) 내에서 윤활제의 공급 작업을 행해야 하여, 대단히 번잡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러한 번잡한 공급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윤활제의 공급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윤활제의 공급 작업을 위해 혼련기를 장시간 정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 종래의 구성으로 생산성을 유지하려고 하면, 윤활제의 공급 작업을 최대한 자제해야 하고, 그렇게 하면, 웨이트(6) 및 축부재(7)의 고장율이 상승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제의 공급 작업을 위해 밀폐형 혼련기(1)를 장시간 정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윤활제의 공급 작업에 기인하는 생산성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제의 공급 작업을 최대한 자제할 필요가 없고, 그 결과, 웨이트(6) 및 축부재(7)의 고장율의 상승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저류부(14)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윤활제 배출로(45)가 축부재(7)의 내부에 설치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활제 배출로(45)는, 윤활제 공급로(30)와는 다른 위치에서 축부재(7)를 관통하고 있고, 빠짐 방지 부재(19)의 근방의 저류부(14)에 연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윤활제 배출로(45)는, 윤활제 공급로(30)로부터 축부재(7)의 직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축부재(7)의 주축부(16)의 기단부(상단부)로부터 선단부(하단부)에 걸쳐 축부재(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잘록부(17)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윤활제 배출로(45)는, 잘록부(17)에 있어서 직각으로 굴곡하고, 잘록부(17)의 측면에 개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윤활제 배출로(45)는, 윤활제 공급로(30)가 저류부(14)에 연통하는 위치보다도 상방에 있어서 저류부(14)에 연통하고 있다. 즉, 웨이트(6) 내부에 있어서, 윤활제 공급로(30)의 출구보다도 윤활제 배출로(45)의 입구 쪽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양자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윤활제 배출로(45)는, 승강 장치(11)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 장치(11)의 상단부까지 연장되고 있다. 이 승강 장치(11)의 상단부에는, 저류부(14)로부터 윤활제 배출로(45)를 통하여 배출되는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부재(46)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출 부재(46)는, 예를 들어, 호스나 배관 등으로 이루어진다. 배출 부재(46)는, 저류부(14)로부터 배출된 사용이 끝난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용기(T)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저류부(14) 내의 사용이 끝난 윤활제를 배출 부재(46)를 통하여 용기(T)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장치(11)에 의한 축부재(7)의 승강에 따라, 윤활제 배출로(45)의 높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배출 부재(46)의 상하 위치가 변화된다.
도 4의 변형예에서는, 축부재(7)의 내부에는, 저류부(14)에 연통하고, 그 저류부(14)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윤활제 배출로(45)가 설치되고, 윤활제 배출로(45)는, 축부재(7)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축부재(7)의 기단부(상단부)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저류부(14) 내의 윤활제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류부(14) 내에 윤활제를 공급했을 경우, 원래 충전되어 있었던 저류부(14) 내의 윤활제(사용이 끝난 윤활제)가 윤활제 배출로(45)로 흐르게 된다. 즉, 윤활제 배출로(45)가 저류부(14)로부터의 윤활제가 빠지는 구멍이 된다. 이로 인해, 저류부(14) 내에 완전하게 새로운 윤활제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윤활제의 교환 시기마다 펌프(P)에 의해 윤활제를 저류부(14)에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펌프(P)의 운전을 윤활제의 교환 시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제어하면, 윤활제 공급로(30)에서 저류부(14)를 거쳐 윤활제 배출로(45)에 윤활제를 자동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도 5는, 윤활제 배출로(45)를 설치하지 않고, 팬(50)을 설치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변형예에 의한 밀폐형 혼련기는, 시일 지지 부재(25)와, 시일 부재(26)와, 팬(50)을 구비하고 있다. 시일 지지 부재(25)는, 빠짐 방지 부재(19)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고, 시일 부재(26)는, 시일 지지 부재(2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26)는, 저류부(14)와 웨이트(6)의 외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팬(50)은, 누출된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것이고, 시일 부재(26)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팬(50)은, 새로운 윤활제가 저류부(14)에 공급됨으로써 상방으로 보내져 시일 부재(26)와 주축부(16)의 사이로부터 배어 나온 윤활제를 저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50)은, 시일 지지 부재(25)의 상측에 설치된 통 형상의 더스트 커버(28)의 내부에 있어서 시일 지지 부재(25)의 상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팬(50)은, 볼트 등의 체결구(27)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19)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51)와, 이 베이스부(51)의 주연으로부터 상측으로 기립하는 주위벽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51)의 중앙부에는, 축부재(7)의 주축부(16)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주위벽부(52)는, 더스트 커버(28)의 하부의 측벽을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5의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팬(50), 즉, 윤활제 수용 부분(5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윤활제 공급로(30)를 통하여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저류부(14)에 공급했을 때에, 저류부(14)의 상부에 체류하는 윤활제가 시일 부재(26)와 주축부(16)의 사이로부터 배어 나와 팬(50)의 삽입 관통 구멍(53)을 통과한 경우에는, 그 윤활제를 베이스부(51)와 주위벽부(52)에 의해 구성된 윤활제 수용 부분(54)에 의해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윤활제 수용 부분(54)에 의해, 시일 부재(26)측(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나오는 윤활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저류부(14)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나 윤활제 배출로(45)를 설치하지 않아도, 팬(50)을 이용함으로써, 윤활제를 저류부(14)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윤활제 수용 부분(54)과는 다른 구성의 윤활제 수용 부분을 설치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19)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윤활제 배출 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윤활제 배출 구멍(60)은, 저류부(14)의 상부에 연통하고 있어, 해당 윤활제 배출 구멍(60)을 통하여 저류부(14) 내의 윤활제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윤활제 배출 구멍(60)은, 빠짐 방지 부재(19)의 상면에 형성된 홈을 시일 지지 부재(25)에 의해 덮음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빠짐 방지 부재(19)에 드릴 구멍을 뚫음으로써 윤활제 배출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한쪽이 개구된 상자(61)가 윤활제 배출 구멍(60)을 덮도록 빠짐 방지 부재(19)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자(61)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62)와, 이 베이스부(62)의 주연으로부터 한쪽으로 돌출되는 주위벽부(63)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위벽부(63)에는, 빠짐 방지 부재(19)의 외주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상자(61) 중 베이스부(62)가 빠짐 방지 부재(19)의 외주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해당 상자(61)의 주위벽부(63)에 설치된 걸림부가 빠짐 방지 부재(19)의 외주면에 설치된 홈 등에 걸려져 있다. 이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19)의 외주면 중 윤활제 배출 구멍(60)의 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 상자(61)에 의해 덮어져 있다. 그 결과, 베이스부(62)와 주위벽부(63)와 빠짐 방지 부재(19)의 외주면에 의해 구성된 윤활제 수용 부분(65)에 의해, 윤활제 배출 구멍(60)으로부터 배출된 윤활제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윤활제 수용 부분(65)에 의해 윤활제 배출 구멍(60)으로부터 배출된 윤활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저류부(14)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윤활제 배출로(45)를 축부재(7)에 설치하지 않아도, 윤활제를 저류부(14)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웨이트(6)와 축부재(7)의 연결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재(7)의 선단부에 잘록부(17)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변형예에서는, 축부재(7)에 잘록부(17)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이 변형예에서는, 오목부(12)의 내경보다도 약간 외경이 작은 축부재(7)의 선단부가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있고, 이 선단부의 외면과 오목부(12)의 내면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극은,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14)로 되어 있다. 축부재(7)의 선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핀 구멍(70)이 설치되어 있다. 웨이트(6) 중 이 핀 구멍(7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12)로부터 해당 웨이트(6)의 외면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변형예에 의한 밀폐형 혼련기는, 웨이트(6)와 축부재(7)를 관통하고, 그들 양자를 연결하는 핀(7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핀(72)은, 축부재(7)의 핀 구멍(70) 및 웨이트(6)의 관통 구멍(71)에 삽입되어 있고, 웨이트(6)의 오목부(12)로부터 축부재(7)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핀(72)은, 축부재(7)와 웨이트(6)를 연결한 상태로, 그 양단부에 있어서 웨이트(6)의 관통 구멍(71)의 양쪽 출구에 설치된 나사 삽입 플러그(73)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축부재(7)는, 핀(72)에 대하여 가동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7)에는, 윤활제 공급로(30)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윤활제 공급로(30)는, 축부재(7)의 주축부(16)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축심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핀 구멍(70)에 연통하고 있다. 핀 구멍(70)의 내경은, 핀(72)의 외경보다도 훨씬 커져 있다. 이에 의해, 핀 구멍(70)은, 윤활제 공급로(30)의 일부로 되어 있다. 즉, 핀 구멍(70)은, 윤활제 공급로(30)의 일부로 겸용화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축부재(7)에 윤활제 배출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웨이트(6) 중 오목부(12)의 상측의 위치에는, 저류부(14)와 웨이트(6)의 외부를 연통하는 윤활제 배출 구멍(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윤활제 배출 구멍(60)은, 저류부(14)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윤활제 배출 구멍(60)은, 웨이트(6)의 상부에 형성된 홈을 시일 지지 부재(25)에 의해 덮음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웨이트(6)에 드릴 구멍을 뚫음으로써 윤활제 배출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도 8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웨이트(6)와 축부재(7)를 관통하는 핀(72)이 웨이트(6)와 축부재(7)를 연결함과 동시에, 축부재(7)에 형성된 핀 구멍(70)이 윤활제 공급로(30)의 일부로 겸용화되어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웨이트(6)에 홈을 설치함으로써 윤활제 배출 구멍(60)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는, 가공의 공정수나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기재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실시 형태의 개요]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를 요약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즉,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에 따른 밀폐형 혼련기는, 혼련실과 그 혼련실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재료 투입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재료 투입구에 투입된 재료를 상기 혼련식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상기 웨이트가 연결되어 그 웨이트와 함께 승강하는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사이에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저류부를 향하여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 공급로는, 상기 축부재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의 상단부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저류부에 연통하고, 그 저류부 내의 윤활제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윤활제 배출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윤활제 배출로는, 상기 축부재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의 상단부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축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상기 축부재의 외면의 사이에는, 상기 저류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형 혼련기는,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를 관통하고, 그들 양자를 연결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핀 구멍이 상기 윤활제 공급로의 일부로 겸용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형 혼련기는, 상기 저류부와 상기 웨이트의 외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고, 누출된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팬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에 의하면, 웨이트로의 윤활제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7)
- 혼련실과 그 혼련실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재료 투입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재료 투입구에 투입된 재료를 상기 혼련실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하단부에 상기 웨이트가 연결되어 그 웨이트와 함께 승강하는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의 사이에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저류부를 향하여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공급로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혼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공급로는, 상기 축부재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의 상단부에 도달하고 있는, 밀폐형 혼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저류부에 연통하고, 그 저류부 내의 윤활제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윤활제 배출로가 설치되어 있는, 밀폐형 혼련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배출로는, 상기 축부재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축부재의 상단부에 도달하고 있는, 밀폐형 혼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축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내면과 상기 축부재의 외면의 사이에는, 상기 저류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혼련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와 상기 축부재를 관통하고, 그들 양자를 연결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핀 구멍이 상기 윤활제 공급로의 일부로 겸용화되어 있는, 밀폐형 혼련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와 상기 웨이트의 외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고, 누출된 윤활제를 저류하기 위한 팬을 구비하는, 밀폐형 혼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82048A JP5322731B2 (ja) | 2009-03-30 | 2009-03-30 | 密閉型混練機 |
JPJP-P-2009-082048 | 2009-03-30 | ||
PCT/JP2010/001823 WO2010116617A1 (ja) | 2009-03-30 | 2010-03-15 | 密閉型混練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1793A true KR20120001793A (ko) | 2012-01-04 |
KR101234501B1 KR101234501B1 (ko) | 2013-02-18 |
Family
ID=4293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5704A KR101234501B1 (ko) | 2009-03-30 | 2010-03-15 | 밀폐형 혼련기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8485714B2 (ko) |
EP (1) | EP2407290B1 (ko) |
JP (1) | JP5322731B2 (ko) |
KR (1) | KR101234501B1 (ko) |
CN (1) | CN102378672B (ko) |
BR (1) | BRPI1012632B1 (ko) |
ES (1) | ES2531981T3 (ko) |
PL (1) | PL2407290T3 (ko) |
TW (1) | TWI383838B (ko) |
WO (1) | WO20101166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810756B1 (en) * | 2009-01-13 | 2016-03-30 |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 Internal batch mixer |
JP6062283B2 (ja) * | 2013-02-22 | 2017-01-18 |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混練機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516488A (en) * | 1922-02-23 | 1924-11-25 | Birmingham Iron Foundry | Machine for treating rubber and other heavy plastic material |
GB852173A (en) * | 1958-03-20 | 1960-10-26 | Farrel Birmincham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plastic material in a mixing device |
JPS577238A (en) * | 1980-06-13 | 1982-01-14 | Kobe Steel Ltd | Supply controller for material to be mixed in enclosed type mixer |
EP0353782B1 (de) * | 1986-12-20 | 1991-09-25 |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 Innenmischer |
US4750409A (en) * | 1987-01-20 | 1988-06-14 | Michael Ladney, Jr. | Apparatus for compressing a gas |
IT1217518B (it) * | 1988-05-06 | 1990-03-22 | Domini Farrel Spa |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alimentazione,con recupero dell'energia di sollevamento,per attuatori di pressatura |
JPH0775659B2 (ja) * | 1989-06-13 | 1995-08-16 | 鈴鹿エンヂニヤリング株式会社 | 密閉加圧混練機 |
CN2122716U (zh) * | 1992-03-17 | 1992-11-25 | 黄柏丰 | 自动馈送发泡料的搅拌机 |
JP3137894B2 (ja) * | 1996-01-31 | 2001-02-26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密閉式混練機 |
US5715911A (en) * | 1996-03-22 | 1998-02-10 | Reynolds Metals Company | Laminar flow lubrication |
JP3474725B2 (ja) | 1997-01-30 | 2003-12-08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密閉式混練機におけるウエイト装置 |
JPH10244143A (ja) * | 1997-03-04 | 1998-09-14 | Bridgestone Corp | 混練装置 |
TW371919U (en) | 1997-10-23 | 1999-10-11 | Yuan Yung Kuang Machine Works Co Ltd | Leaking-proof structure for the working shaft of the high speed mixer |
US6422733B1 (en) | 1998-01-05 | 2002-07-23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 | Internal mixer with wide throat and wear plates |
DE69810159T2 (de) * | 1998-01-05 | 2003-07-17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 Akron | Innenmischer mit breiten einlass |
JP4214596B2 (ja) | 1999-01-29 | 2009-01-2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無塵ゴム練り機 |
JP4236963B2 (ja) | 2003-03-12 | 2009-03-11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密閉式混練機 |
JP2005014520A (ja) * | 2003-06-27 | 2005-01-20 | Sumitomo Rubber Ind Ltd | 密閉式混練機 |
US8047701B2 (en) | 2005-07-26 | 2011-11-01 | Kobe Steel, Ltd. | Batch mixer |
JP4724632B2 (ja) | 2006-09-29 | 2011-07-13 | 日本製紙株式会社 | ニーダー |
EP2810756B1 (en) | 2009-01-13 | 2016-03-30 |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 Internal batch mixer |
-
2009
- 2009-03-30 JP JP2009082048A patent/JP532273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3-15 KR KR1020117025704A patent/KR1012345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3-15 EP EP10761325.9A patent/EP240729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0-03-15 PL PL10761325T patent/PL2407290T3/pl unknown
- 2010-03-15 US US13/260,112 patent/US8485714B2/en active Active
- 2010-03-15 BR BRPI1012632 patent/BRPI1012632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3-15 WO PCT/JP2010/001823 patent/WO201011661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3-15 CN CN201080015146.3A patent/CN10237867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3-15 ES ES10761325.9T patent/ES2531981T3/es active Active
- 2010-03-24 TW TW099108703A patent/TWI38383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378672B (zh) | 2015-04-08 |
BRPI1012632A2 (pt) | 2016-03-29 |
EP2407290A1 (en) | 2012-01-18 |
US8485714B2 (en) | 2013-07-16 |
WO2010116617A1 (ja) | 2010-10-14 |
TWI383838B (zh) | 2013-02-01 |
JP5322731B2 (ja) | 2013-10-23 |
BRPI1012632B1 (pt) | 2019-12-10 |
ES2531981T3 (es) | 2015-03-23 |
CN102378672A (zh) | 2012-03-14 |
PL2407290T3 (pl) | 2015-07-31 |
EP2407290B1 (en) | 2015-02-25 |
US20120020181A1 (en) | 2012-01-26 |
TW201034744A (en) | 2010-10-01 |
KR101234501B1 (ko) | 2013-02-18 |
EP2407290A4 (en) | 2013-06-12 |
JP2010234537A (ja) | 2010-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4501B1 (ko) | 밀폐형 혼련기 | |
CN101795942A (zh) | 润滑剂用筒形罐 | |
US7445062B2 (en) | Grease filling arrangement in a cutter for a boring head | |
CN104863851A (zh) | 涡旋式压缩机 | |
JP7434355B2 (ja) | コーンクラッシャ | |
EP3222851B1 (en) | Scroll-type fluid machine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 |
CN102482942A (zh) | 具有分离式混合和排出头的锚杆 | |
KR20190059476A (ko) | 유체가속 스마트펌프 | |
CN215860255U (zh) | 一种防溢浆自胀自封套及柔性注浆锚杆 | |
JP2001278571A (ja) |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 |
CN104549635B (zh) | 圆锥式破碎机 | |
KR200380118Y1 (ko) | 자동 구리스 주입장치 | |
KR101942964B1 (ko) | 유압식 그리스 자동 공급장치 | |
EP0974729B1 (en) | A screw drilling device | |
KR102660401B1 (ko) | 구리스 및 에어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갖는 선회드라이브 | |
FI108560B (fi) | Teräpää porauspäätä varten, lämmön vaikutuksesta laajenevan voiteluaineen sovittamiseksi oleva laite ja menetelmä teräpäässä olevien laakereiden voitelemiseksi | |
JP6567298B2 (ja) | 旋動式破砕機の給油構造 | |
KR20150126533A (ko) | 압축기 및 스크롤 압축기 | |
AU2014304881A1 (en) | Positive displacement pump | |
CN219468608U (zh) | 一种安全高效型水泥筒仓底部自动清罐机构 | |
JPS5949389A (ja) | スクロール圧縮機 | |
KR101828957B1 (ko) | 스크롤 압축기 | |
CN104549629B (zh) | 一种多缸圆锥破碎机底架 | |
KR200406976Y1 (ko) | 유압식 비료 살포기 | |
JP2020189657A (ja) | 押込装置、及び圧送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