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94A - 책자 매체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책자 매체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594A
KR20120001594A KR1020110035844A KR20110035844A KR20120001594A KR 20120001594 A KR20120001594 A KR 20120001594A KR 1020110035844 A KR1020110035844 A KR 1020110035844A KR 20110035844 A KR20110035844 A KR 20110035844A KR 20120001594 A KR20120001594 A KR 20120001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ooklet
main body
page turning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406B1 (ko
Inventor
히로카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4Built-up elements
    • B65H2404/1141Built-up elements covering a part of the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6Opened bookl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과제) 통장의 두께나 상태에 변동이 있더라도, 통장의 푸시업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프레셔 본체(11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130)에 지지된다. 샤프트(190)의 회동 동작은, 프레셔 가이드(120)와, 프레셔 가이드(120)와 프레셔 본체(110)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0)을 통하여 프레셔 본체(110)에 전달된다. 프레셔는, 반송면으로부터 진출한 상태로, 푸시업 대상이 되는 통장과 접촉한다. 이 때, 프레셔 본체(110)에 미리 정해진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면, 스프링(130)의 탄성 변형(압축)에 의해 프레셔 본체(110)의 회동량은, 샤프트(190), 프레셔 가이드(120)의 회동량보다 작게 제한된다.

Description

책자 매체 취급 장치{BOOKLET MEDIUM-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책자 매체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 등에 설치되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 현금 자동 입출금기)이나 통장 발행기는, 통장의 정해진 페이지에 인자를 행하기 위해, 또는 접수한 통장을 덮고 반환하기 위해 페이지 터닝 장치를 구비한다.
페이지 터닝 장치는, 반송로의 하면측으로부터 통장을 밀어 올리는 프레셔 기구를 포함하여, 통장을 만곡시켜 페이지 터닝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은, 관련기술인 페이지 터닝 기구에서의 프레셔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페이지 터닝 기구(80)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반송 롤러(82, 86)와, 반송 롤러(83, 84)를 포함한다.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80)는, 반송 롤러(82)와 동축 상에 터닝 롤러(81)를, 반송 롤러(82, 86)와 반송 롤러(83, 84) 사이이며 반송로 하면측에 프레셔(85)를 포함한다.
프레셔(85)는, 통장(90)을 아래로부터 밀어 올림으로써 통장을 구부려, 터닝 롤러(81)에 의한 페이지 터닝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통장(90)의 벤딩 폭은, 프레셔(85)가 밀어 올리는 통장(90)의 푸시업 부분의 두께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꼭 바람직한 상태로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장(90)의 푸시업 부분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예를 들어, 표지와 속지를 포함하여 10장), 통장(90)의 벤딩 폭(d3)은 비교적 크게 된다(도 18(a)). 그리고, 통장(90)의 푸시업 부분의 두께가 얇은 경우(예를 들어, 표지만 1장), 통장(90)의 벤딩 폭(d4)은 비교적 작은 것이 된다(도 18(b)).
또, 관련기술로서, 페이지 터닝을 실행하는 페이지의 두께 분포를 검지하여, 검지한 페이지의 두께 분포에 이상이 있을 때, 페이지 터닝 동작을 프레셔에 의해 보조하는 페이지 터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9-66686호 공보
그러나, 프레셔에 의한 통장의 푸시업량은, 통장의 두께나 상태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 때문에, 터닝 롤러와 터닝 대상 페이지의 관계는, 터닝 동작할 때마다 상이하게 된다.
프레셔에 의한 통장의 푸시업량은, 지나치게 작으면 터닝 롤러가 터닝에 실패할 우려가 생기고, 지나치게 크면 2장을 터닝시킬 우려가 생기기 때문에, 적당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장의 두께나 상태에 변동이 있더라도, 통장을 안정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책자 매체 취급 장치는, 책자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하면측으로부터 책자 매체를 밀어 올리는 프레셔 기구를 포함하고, 프레셔 기구는, 구동부와, 본체부와, 베이스부와, 변위량 제한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책자 매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다. 베이스부는 구동부와 연결된다. 변위량 제한부는, 구동부에 의한 푸시업 동작에 따른 베이스부의 변위를 본체부에 전달하고, 책자 매체의 푸시업 부하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본체부의 변위량을 베이스부의 변위량보다 제한한다.
상기 책자 매체 취급 장치에 의하면, 통장의 두께나 상태에 변동이 있더라도, 통장을 안정적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장치의 반송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장치의 프레셔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장치의 프레셔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프레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의 회동량의 제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프레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프레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관련기술의 페이지 터닝 기구에서의 프레셔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페이지 터닝 장치(책자 매체 취급 장치)의 개관을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장치의 반송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장치의 프레셔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장치의 프레셔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페이지 터닝 장치(1)는, 페이지 터닝 기구를 구비하며, 페이지 터닝 유닛으로서,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통장 발행기에 탑재된다. 또는, 페이지 터닝 장치(1)는, 인쇄 기구를 더 구비하며, 기장 프린터 유닛으로서,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통장 발행기에 탑재된다. 페이지 터닝 장치(1)는, 반송로에 투입된 통장(책자 매체)의 페이지를 터닝시키는 장치이다.
페이지 터닝 장치(1)는, 지지 케이싱(2), 가동 가이드(3, 4), 반송면(5), 샤프트(20), 터닝 롤러(21a, 21b, 21c), 반송 롤러(22a, 22b), 샤프트(30), 반송 롤러(31a, 31b), 프레셔(100a, 100b, 100c)를 포함한다.
지지 케이싱(2)은, 도시 생략한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기구, 샤프트(20, 30), 그 외의 구동력 전달 기구, 반송면(5) 등을 지지한다. 가동 가이드(3, 4)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클로즈 상태와 오픈 상태로 전환 가능하며, 클로즈 상태에서 반송로의 상면을 형성하고, 오픈 상태에서 턴업된 페이지를 지지한다. 가동 가이드(3, 4)는, 샤프트(20)를 사이에 두고 반송로에 배치된다. 반송면(5)은, 가동 가이드(3)의 클로즈 상태에서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가동 가이드(3)와 대향한다.
샤프트(20)는, 터닝 롤러(21a, 21b, 21c), 반송 롤러(22a, 22b)를 피봇 지지한다. 터닝 롤러(21a, 21b, 21c)[각각 후술하는 터닝 롤러(21)에 대응]는, 샤프트(20)에 고정되어, 샤프트(2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한다. 반송 롤러(22a, 22b)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반송 롤러[구동 롤러: 각각 후술하는 반송 롤러(51)에 대응]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종동 롤러이다.
샤프트(30)는, 반송 롤러(31a, 31b)[각각 후술하는 반송 롤러(31)에 대응]를 피봇 지지한다. 반송 롤러(31a, 31b)는, 샤프트(30)에 고정되어, 샤프트(30)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구동 롤러이다. 반송 롤러(31a, 31b)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반송 롤러(종동 롤러 : 도시하지 않음)와 대향한다.
프레셔(100a, 100b, 100c)[각각 후술하는 프레셔(100)에 대응]는, 도시하지 않은 샤프트에 피봇 지지되어, 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회동한다. 프레셔(100a, 100b, 100c)는, 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반송면(5)으로부터 반송로로 진출(돌출)하거나 또는 후퇴한다. 프레셔(100a, 100b, 100c)는, 반송면(5)으로부터 진출했을 때, 통장(90)을 하면으로부터 밀어 올림으로써 구부려, 터닝 롤러(21a, 21b, 21c)에 의한 통장(90)의 페이지 터닝을 용이하게 한다. 프레셔(100a, 100b, 100c)는,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통장(90)의 폭 내에 위치하도록 라인(L1, L2, L3) 상에 배치된다. 프레셔(100b)는, 통장(90)의 폭방향 중앙부(라인 L2)에 위치하고, 프레셔(100a, 100c)는, 통장(90)의 폭방향 단부(라인 L1, L3)에 위치한다. 프레셔(100c)는, 통장(90)의 자기 스트라이프(91) 상의 라인(L3)에 위치한다. 라인(L1, L2, L3)은, 라인(L1, L2) 사이에 비하여 라인(L2, L3) 사이를 좁게 한 부등 배치이다. 또한, 라인(L1, L2, L3) 상에는, 각각 터닝 롤러(21a, 21b, 21c)가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통장(90)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경질의) 표지에, 비교적 강성이 낮은 (연질의) 복수의 속지를 철해 넣은 책자형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통장(90)은, 철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진 상태이며, 표지에는 정해진 두께를 가지며 띠형상을 갖는 자기 스트라이프(91)가 포함된다. 자기 스트라이프(91)는, 소요의 정보를 기록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은 리더/라이터에 의해 정보의 판독과 기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페이지 터닝 장치(1)가 갖는 페이지 터닝 기구의 개략 구성에 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형태의 페이지 터닝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모식도이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통장(90)의 반송 기구로서, 반송면(5), 구동 롤러인 반송 롤러(31, 51, 61)와, 종동 롤러인 반송 롤러(41, 22, 71)를 포함한다. 반송 롤러(61)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반송 롤러(71)와 대향하며, 반송 롤러(51)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반송 롤러(22)와 대향하고, 반송 롤러(31)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반송 롤러(41)와 대향한다.
또한, 반송로는, 반송로 상면과 반송로 하면에 의해 형성되고, 반송로 상면은 가동 가이드(3, 4) 및 가이드(6)에 의해 형성되고, 반송로 하면은 반송면(5) 및 프레셔(100, 200)에 의해 형성된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가동 가이드(3), 반송면(5), 가이드(6), 터닝 롤러(21), 반송 롤러(22, 31, 41, 51), 프레셔(100)를 포함하고, 하나의 페이지 터닝 기구(제1 페이지 터닝 기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가동 가이드(4), 반송면(5), 가이드(6), 터닝 롤러(21), 반송 롤러(22, 51, 61, 71), 프레셔(200)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페이지 터닝 기구(제2 페이지 터닝 기구)를 구성한다. 즉,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롤러(21), 반송 롤러(22, 51)를 공유하는 2개의 페이지 터닝 기구를 갖는다.
이후,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동작을 하는 제2 페이지 터닝 기구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1 페이지 터닝 기구에 관해 설명한다. 제1 페이지 터닝 기구와 제2 페이지 터닝 기구는, 한쪽이 페이지를 보내는 페이지 터닝을 분담하고, 다른 한쪽이 페이지를 복귀시키는 페이지 터닝을 분담한다. 예를 들어, 제1 페이지 터닝 기구는, 페이지를 보내는 페이지 터닝을 분담하고, 제2 페이지 터닝 기구는, 페이지를 복귀시키는 페이지 터닝을 분담한다.
반송 롤러(51)는,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도시 생략)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반송 롤러(51)는, 반송로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고, 반송시에 롤러면을 통장(90)에 접촉시켜 반송 롤러(22)와의 사이에서 누르고, 회동시킴으로써 통장(90)을 반송로를 따라서 이동시킨다.
반송 롤러(22)는, 샤프트(20)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반송 롤러(51)의 회동에 종동한다. 터닝 롤러(21)는, 반송 롤러(22)를 피봇 지지하는 샤프트(20)에 고정된다. 터닝 롤러(21)는, 비교적 마찰력이 높은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주요 부분은 대략 부채꼴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그 부채꼴 형상의 곡면 부분이 터닝 대상 페이지에 대한 마찰 접촉면이 된다. 이 터닝 롤러(21)는, 샤프트(20)의 회동에 따라, 곡면형의 마찰 접촉면을 터닝 대상 페이지에 접촉시켜 마찰이 발생한다. 터닝 롤러(21)는, 샤프트에 동일한 부착 각도로 복수(예를 들어, 3개) 구비되어, 통장(90)을 동시에 복수 개소(예를 들어, 좌우 중의 3개소)에서 누른다. 또, 마찰 접촉면으로부터 샤프트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반송 롤러(22)의 반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면(5)은, 터닝 롤러(21)와 간섭하지 않도록, 터닝 롤러(21)의 근방에서 오목부를 갖는다.
반송 롤러(31)는,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3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반송 롤러(31)는, 반송시에 롤러면을 통장(90)에 접촉시켜 반송 롤러(41)와의 사이에서 누르고, 회동함으로써 통장(90)을 반송로를 따라서 이동시킨다. 반송 롤러(41)는, 샤프트(도시 생략)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반송로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고 있고, 반송 롤러(31)의 회동에 종동한다.
프레셔(100)는,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감합되어, 반송로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셔(100)는, 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프레셔 본체부를 터닝 대상 페이지에 대응하는 통장(90)의 표지 부분에 접촉시켜 통장(90)을 밀어 올린다. 프레셔(100)에 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동 가이드(3)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클로즈 상태와 오픈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클로즈 상태에서 반송로의 상면을 형성한다. 가동 가이드(3)는, 오픈 상태에서 프레셔(100)에 의해 밀어 올려진 통장(90)과의 간섭이 회피된다. 또한, 가동 가이드(3)는, 터닝 롤러(21)에 의해 턴업된 페이지를 지지한다. 반송면(5), 가이드(6)는, 고정된 통장 슬라이딩면이다. 고정된 통장 슬라이딩면은, 가동 부재와의 간섭 영역을 피하여 반송로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어 반송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프레셔 기구에 관해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의 프레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의 회동량의 제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프레셔 기구는, 프레셔(100)와 프레셔(100)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구동부; 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셔(100)는, 프레셔 본체(110), 프레셔 가이드(베이스부; 120), 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셔 본체(110)는,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116)에 샤프트(190)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샤프트(19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다. 프레셔 본체(110)는, 반송면(5)을 향한 측의 면에, 접촉면(111), 반송면(112), 테이퍼면(113), 반송면(114), 테이퍼면(115)을 갖는다. 반송면(112), 테이퍼면(113), 반송면(114)은, 프레셔(100)가 반송로로부터 후퇴한 상태에서, 반송면(5)과 대략 동일한 면이 된다. 테이퍼면(113)과 테이퍼면(115)은, 통장(90)의 반송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반송면(114)에 대하여 정해진 경사를 갖는다. 접촉면(111)은, 프레셔(100)가 반송면(5)으로부터 반송로로 진출한 상태로, 푸시업 대상이 되는 통장(90)과 접촉한다.
프레셔 가이드(120)는, 절곡 가공된 판형의 판금 부재로서, 중앙부에 단면 U자형의 제1 오목부(123)를 가지며, 제1 오목부(123)에 인접하는 일단에 단면 U자형의 제2 오목부(124)를 가지며, 타단에 설형(舌形)의 스프링 배치부(125)를 갖는다. 제1 오목부(123)는, 오목부 바닥면의 양측에 스토퍼부(121)를 포함한다. 제1 오목부(123)는, 프레셔(100)가 반송면(5)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가동 부재의 구동축(샤프트)과의 간섭을 피한다. 제2 오목부(124)는, 오목부 바닥면에 가이드 구멍(122)을 갖는다. 프레셔 가이드(120)는, 제2 오목부(124)에 샤프트(190)를 통과시키고, 가이드 구멍(122)에 작은 나사(140)를 삽입 관통시켜 나사 구멍(202)에서 나사 결합함으로써 샤프트(190)에 고정된다. 스프링 배치부(125)는, 스프링(130)을 배치(지지)한다.
프레셔 본체(11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130)에 지지된다. 샤프트(190)의 회동 동작은, 프레셔 가이드(120)와, 프레셔 가이드(120)와 프레셔 본체(110)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30)을 통하여 프레셔 본체(110)에 전달된다. 이 때, 프레셔 본체(110)에 정해진 이상의 부하가 가해져 있으면, 스프링(130)의 탄성 변형(압축)에 의해 프레셔 본체(110)의 회동량 R2는, 샤프트(190), 프레셔 가이드(120)의 회동량 R1보다 작게 제한된다. 따라서, 스프링(130)은, 프레셔 본체(110)의 회동량을 제한하는 회동량(변위량) 제한부로서 기능한다. 스프링(130)은, 토션 스프링이나 인장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그 밖의 스프링이어도 좋고, 탄성 변형에 의해 변위량을 제한하는 것이라면,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 부재일 수도 있다.
제한량 규제부(117)는, 프레셔 본체(110)에 개방된 섀시로서, 섀시 내를 이동하는 스토퍼부(121)와 접촉함으로써, 프레셔 가이드(120)에 대한 프레셔 본체(110)의 상대적인 회동량 R3을 규제한다. 제한량 규제부(117)는, 프레셔 본체(110)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섀시 하단에서 스토퍼부(121)와 접촉하고, 프레셔 본체(110)에 정해진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는 섀시 상단에서 스토퍼부(121)와 접촉한다.
스프링(130)이 정해진 양 이상의 압축을 한 상태에서 제한량 규제부(117)와 섀시 상단에서 접촉한 스토퍼부(121)는, 프레셔 본체(110)를 스프링(130)과 함께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한량 규제부(117)는, 스프링(130)이 제한하는 프레셔 본체(110)의 회동 제한량을 정해진 범위로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프레셔 본체(110)는, 접촉면(111)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서 프레셔 가이드(120)에 대한 상대적인 회동량 R3이 커지기 때문에, 프레셔 본체(110)가 밀어 올리는 통장(90)의 벤딩량을 정해진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셔 본체(110)가 밀어 올리는 통장(90)의 두께가 작을 때, 접촉면(111)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기 때문에, 프레셔 본체(110)는, 프레셔 가이드(120)와 동일한 정도로 회동한다. 프레셔 본체(110)가 밀어 올리는 통장(90)의 두께가 두꺼울 때, 접촉면(111)에 가해지는 부하가 크기 때문에, 프레셔 본체(110)는 프레셔 가이드(120)보다 회동량이 작아진다.
다음으로, 프레셔 본체(110)에 대한 부하에 의한 회동량의 변화에 관해, 도 8,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프레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프레셔 기구의 사시도이다.
프레셔 본체(110)가 통장(90)을 밀어 올렸을 때 프레셔 본체(110)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은 경우, 스프링(130)은 거의 압축되지 않는다(도 8). 따라서, 프레셔 본체(110)는, 샤프트(190)를 회동축으로 하여 프레셔 가이드(120)와 동일한 정도로 회동한다.
프레셔 본체(110)가 통장(90)을 밀어 올렸을 때 프레셔 본체(110)에 가해지는 부하가 큰 경우, 스프링(130)은 압축된다(도 9). 따라서, 프레셔 본체(110)는, 샤프트(190)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지만, 프레셔 본체(110)의 회동량은, 프레셔 가이드(120)의 회동량과 비교하여 작게 된다.
부하가 없는 상태 또는 매우 작은 경우에 있어서는, 프레셔 가이드(120)의 스토퍼부(121)가 제한량 규제부(117)에 접촉하여 프레셔 본체(110)를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해진 범위의 부하가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130)이 압축되어 프레셔 가이드(120)를 눌러, 스토퍼부(121)가 제한량 규제부(117)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프레셔 본체(110)를 지지한다.
프레셔 본체(110)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은 경우란, 예를 들어, 통장(90)을 철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푸시업측의 페이지수가 적은 경우, 통장(90)의 종이 두께가 얇은 경우 등이 있다. 한편, 프레셔 본체(110)에 가해지는 부하가 큰 경우란, 예를 들어, 통장(90)을 철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푸시업측의 페이지수가 많은 경우, 통장(90)의 종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 표지에 자기 스트라이프나 시일이 점착되어 표지의 두께가 늘어난 경우 등이 있다.
다음으로, 프레셔(100)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10)의 동작예에 관해, 도 10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110)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레셔(100)에 가해지는 부하가 클 때로서, 프레셔(100)가 밀어 올리는 통장(90)이 두꺼울 때의 예에 기초하여, 페이지 터닝 기구(10)가 행하는 페이지 터닝 동작을 설명한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도면 중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통장(90)을 펼친 상태로 하여 페이지 터닝에 적합한 정해진 위치까지 반송한다(도 10(a)). 이 때, 터닝 롤러(21)의 아래에는,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가 위치한다. 프레셔(100)의 위에는, 철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진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위치한다. 도시하는 통장(90)은, 철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진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31)를 잠근다(도 10(b)).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31)와, 반송 롤러(31)에 대향하는 반송 롤러(41)의 사이에서 통장(90)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에 의해 통장(90)을 밀어 올릴 때 통장(90)이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가동 가이드(3)를 오픈 상태로 전환한다(도 10(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에 의해 밀어 올려진 통장(90)과 가동 가이드(3)의 간섭을 회피한다. 또,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51)를 반송로로부터 후퇴시킨다(도 10(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51)가 통장(90)의 구부림을 방해하는 것을 피한다.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를 반송로로 진출시켜 통장(90)을 밀어 올린다(도 10(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통장(90)을 구부려 터닝 롤러(21)에 의한 페이지 터닝을 용이하게 한다.
이 때,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기 때문에, 얇을 때에 비해 프레셔(100)에 가해지는 부하가 비교적 크다. 프레셔(100)는, 부하에 따라서 스프링(130)을 압축함으로써 통장(90)의 푸시업량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통장(90)의 푸시업량을 억제하더라도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기 때문에, 반송 롤러(22)와 프레셔(100)를 지점으로 하여 구부러지는 통장(90)의 벤딩 폭(d1)은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롤러(2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터닝 대상 페이지를 터닝시킨다(도 11(a)).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롤러(21)에 의해 터닝 대상 페이지를 유지한다.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를 반송로로부터 후퇴시킨다(도 11(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밀어 올린 통장(90) 중 터닝 대상 페이지 이외의 벤딩을 해제함으로써 2매 터닝을 방지한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롤러(21)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시킴으로써 터닝 대상 페이지를 터닝 롤러(21) 위에 턴업시킨다(도 12(a)). 또,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로로부터 후퇴했던 반송 롤러(51)를 반송로에 진출시킨다(도 12(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51)와, 반송 롤러(51)에 대향하는 반송 롤러(22) 사이에서 통장(90)을 유지한다. 그리고,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도면 중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통장(90)을 반송한다(도 12(b)).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가동 가이드(3)를 클로즈 상태로 전환하고, 반송 롤러(31)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자신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도 13).
이와 같이,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통장(90)을 바람직하게 페이지 터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프레셔(100)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10)의 동작예에 관해, 도 1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실시형태의 프레셔 본체(110)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의 페이지 터닝 기구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레셔(100)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을 때로서, 프레셔(100)가 밀어 올리는 통장(90)이 얇을 때 페이지 터닝 기구(10)가 행하는 페이지 터닝 동작을 설명한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도면 중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통장(90)을 펼친 상태로 하여 페이지 터닝에 적합한 정해진 위치까지 반송한다(도 14(a)). 이 때, 터닝 롤러(21)의 아래에는,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가 위치한다. 프레셔(100)의 위에는, 철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진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위치한다. 도시하는 통장(90)은, 철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진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갖는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31)를 잠근다(도 14(b)).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31)와, 반송 롤러(31)에 대향하는 반송 롤러(41)의 사이에서 통장(90)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에 의해 통장(90)을 밀어 올릴 때 통장(90)이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가동 가이드(3)를 오픈 상태로 전환한다(도 14(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에 의해 밀어 올려진 통장(90)과 가동 가이드(3) 사이의 간섭을 회피한다.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51)를 반송로로부터 후퇴시킨다(도 14(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51)가 통장(90)의 구부러짐을 방해하는 것을 회피한다.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를 반송로로부터 진출시켜 통장(90)을 밀어 올린다(도 14(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통장(90)을 구부려 터닝 롤러(21)에 의한 페이지 터닝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두꺼울 때에 비해 프레셔(100)에 가해지는 부하가 비교적 작다. 프레셔(100)는, 부하가 작기 때문에 스프링(130)을 압축하지 않고 통장(90)을 밀어 올린다. 이때, 프레셔(100)는, 푸시업량을 억제하지 않고 통장(90)을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이,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통장(90)의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갖는 경우에도, 통장(90)의 푸시업량을 억제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 롤러(22)와 프레셔(100)를 지점으로 하여 구부러지는 통장(90)의 벤딩 폭(d2)은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롤러(2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터닝 대상 페이지를 터닝시킨다(도 15(a)).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롤러(21)에 의해 터닝 대상 페이지를 유지한다.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를 반송로로부터 후퇴시킨다(도 15(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밀어 올린 통장(90) 중 터닝 대상 페이지 이외의 벤딩을 해제함으로써 2매 터닝을 방지한다.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롤러(21)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시켜 터닝 대상 페이지를 터닝 롤러(21) 위에 턴업시킨다(도 16(a)).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로로부터 후퇴했던 반송 롤러(51)를 반송로에 진출시킨다(도 16(b)). 이에 따라,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반송 롤러(51)와, 반송 롤러(51)에 대향하는 반송 롤러(22)의 사이에서 통장(90)을 유지한다. 그리고,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도면 중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통장(90)을 반송한다(도 16(b)).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가동 가이드(3)를 클로즈 상태로 전환하고, 반송 롤러(31)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자신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도 17).
이와 같이,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터닝 대상 페이지를 포함하는 측이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갖는 통장(90)을 바람직하게 페이지 터닝시킬 수 있다.
또,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통장의 두께나 상태에 변동이 있더라도, 통장의 안정적인 푸시업을 행할 수 있어, 바람직한 페이지 터닝을 실현한다.
또한, 페이지 터닝 기구(10)는, 프레셔(100)의 가동 범위(상승 범위)를, 예를 들어, 종래에는 3 ㎜ 내지 5 ㎜로 했지만, 2 ㎜ 내지 8 ㎜로 할 수 있는 등, 통장의 두께나 상태의 변동에 대한 대응 범위가 확장된다.
스프링(130)은, 프레셔 본체(110)의 회동량을 제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프레셔 본체가,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의 직선 운동을 하는 경우, 직선 방향의 이동량(변위량)을 제한하도록 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실시형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다수의 변형, 변경이 당업자에게 가능하며,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페이지 터닝 장치
2 : 지지 케이싱
3, 4 : 가동 가이드
5 : 반송면
6 : 가이드
10 : 페이지 터닝 기구
20, 30 : 샤프트
21 : 터닝 롤러
22, 31, 41, 51, 61, 71 : 반송 롤러
100, 100a, 100b, 100c, 200 : 프레셔
110 : 프레셔 본체
111 : 접촉면
112, 114 : 반송면
113, 115 : 테이퍼면
116 : 샤프트 삽입 관통 구멍
117 : 제한량 규제부
120 : 프레셔 가이드
121 : 스토퍼부
122 : 가이드 구멍
123 : 제1 오목부
124 : 제2 오목부
125 : 스프링 배치부
130 : 스프링
190 : 샤프트

Claims (7)

  1. 책자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책자 매체를 밀어 올리는 프레셔 기구를 구비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로서,
    상기 프레셔 기구는,
    구동부와,
    상기 책자 매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한 푸시업 동작에 따른 상기 베이스부의 변위를 상기 본체부에 전달하고, 상기 책자 매체의 푸시업 부하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의 변위량을 상기 베이스부의 변위량보다 작게 제한하는 변위량 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변위량 제한부가 정해진 양 이상의 탄성 변형을 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의 변위를 상기 본체부에 전달하는 제한량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샤프트이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변위량 제한부는, 상기 샤프트의 회동 동작에 의한 상기 베이스부의 회동을 상기 본체부에 전달하고, 상기 책자 매체의 푸시업 부하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동량을 상기 베이스부의 회동량보다 작게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회동 반경 방향의 길이를 갖는 판형 부재이며, 일단을 상기 샤프트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변위량 제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하고, 중간부에 상기 제한량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향하는 제1 반송 롤러쌍과,
    상기 제1 반송 롤러쌍 중 상기 반송로의 상측에 위치하는 반송 롤러와 동축이며, 상기 책자 매체의 페이지를 터닝시키는 터닝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1 반송 롤러쌍 중 상기 반송로의 하측에 위치하는 반송 롤러가 상기 반송로로부터 후퇴한 상태로, 상기 제1 반송 롤러쌍 중 상기 반송로의 상측에 위치하는 반송 롤러와 함께 상기 책자 매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롤러쌍과 반송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져 상기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향하는 제2 반송 롤러쌍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1 반송 롤러쌍과, 상기 책자 매체를 사이에 유지하는 상기 제2 반송 롤러쌍 사이에서 상기 책자 매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책자 매체는, 폭방향으로 두께가 상이한 부위를 가지며,
    상기 프레셔 기구는, 상기 책자 매체의 폭방향으로 두께가 상이한 부위에 대응하여 복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매체 취급 장치.
KR1020110035844A 2010-06-28 2011-04-18 책자 매체 취급 장치 KR101253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6613 2010-06-28
JP2010146613A JP5462087B2 (ja) 2010-06-28 2010-06-28 冊子媒体取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94A true KR20120001594A (ko) 2012-01-04
KR101253406B1 KR101253406B1 (ko) 2013-04-11

Family

ID=4411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844A KR101253406B1 (ko) 2010-06-28 2011-04-18 책자 매체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99754B1 (ko)
JP (1) JP5462087B2 (ko)
KR (1) KR101253406B1 (ko)
ES (1) ES243243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8737B2 (ja) * 2013-09-30 2016-05-1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頁捲り機構を備えた冊子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0258A (en) * 1986-03-19 1989-09-26 Hitachi, Ltd. Page turning apparatus
KR940009386B1 (ko) * 1990-05-30 1994-10-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책자류 프린터 및 페이지 교체장치
JPH04272897A (ja) * 1991-02-27 1992-09-29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改頁機構
JP3420805B2 (ja) * 1993-11-10 2003-06-30 株式会社 沖情報システムズ 自動改頁機構
JPH0966686A (ja) 1995-08-31 1997-03-11 Omron Corp 帳票類の頁めくり装置
JPH09207473A (ja) * 1996-01-29 1997-08-12 Ncr Internatl Inc 冊子閉じ装置
JP2002219886A (ja) * 2001-01-26 2002-08-06 Shinko Seisakusho Co Ltd 通帳頁めくり装置
JP3809098B2 (ja) * 2001-12-11 2006-08-16 株式会社新興製作所 頁めくり装置
JP5592605B2 (ja) * 2008-11-28 2014-09-17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ページ捲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406B1 (ko) 2013-04-11
EP2399754A3 (en) 2012-09-12
JP5462087B2 (ja) 2014-04-02
ES2432436T3 (es) 2013-12-03
EP2399754A2 (en) 2011-12-28
EP2399754B1 (en) 2013-10-16
JP2012006345A (ja)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7918B1 (en) Dual hopper assembly
JP2006227951A (ja) 鑑別装置及びローラ
WO2017002726A1 (ja) 頁めくり装置
EP2888115B1 (en) Booklet guide and clamp system in a booklet processing mechanism
KR101253406B1 (ko) 책자 매체 취급 장치
KR100424224B1 (ko) 페이지 넘김 장치 및 페이지 넘김 방법
KR100896023B1 (ko) 프린터
JP5462100B2 (ja) 冊子媒体取扱装置
EP0503476B1 (en) Booklet printer page turning means
JP5546261B2 (ja) 媒体取扱装置
US6511237B1 (en) Printer assembly and printer
JP5659725B2 (ja) 磁気ヘッド駆動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JP2853368B2 (ja) 冊子類プリンタ及びページ替え装置
US9744791B2 (en) Booklet spine guidance system in a booklet processing mechanism
JPH03221492A (ja) ローラおよびこれを用いるページ替え機構
JP4354606B2 (ja) 磁気ストライプ読み取り書き込み装置
US11117400B2 (en) Paper processing device
JP2569136B2 (ja) ページ替え装置
JP4784331B2 (ja) 自動改頁機構
JP4192788B2 (ja) シート状媒体取扱装置
KR20140052584A (ko) 통장류 표지이월장치
JP5611107B2 (ja) 媒体幅寄せユニット
JP2013145535A (ja) 媒体搬送装置
KR20170100853A (ko) 다권종 매체 저장 장치
JPH06270576A (ja) 冊子類取扱い装置及び冊子類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