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521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521A
KR20120000521A KR1020110061338A KR20110061338A KR20120000521A KR 20120000521 A KR20120000521 A KR 20120000521A KR 1020110061338 A KR1020110061338 A KR 1020110061338A KR 20110061338 A KR20110061338 A KR 20110061338A KR 20120000521 A KR20120000521 A KR 20120000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pool
fishing
detec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105B1 (ko
Inventor
히로아키 쿠리야마
히로카즈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2000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20Line length or dept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S1에 있어서, 초기 설정이 행하여진다. S2에 있어서, 스풀 축(2)의 토크를 검출한다. S3에서는, 온도 센서(76)에 의하여 검출 코일(75b)의 온도를 검출한다. S4에서는,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센서 기판의 온도를 검출한다. S5에서는, 토크 센서(75)로부터 검출된 스풀 축(2)의 검출 토크를 낚싯줄에 작용하는 산출 장력으로 변환하고, 온도 센서(76)로부터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 및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보정 장력을 연산한다. S6에서는, 낚시용 릴(100)의 표시부(79)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보정 장력을 표시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줄을 감거나 방출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과,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 축에 장착되고, 핸들은, 스풀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핸들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낚시용 릴에서는, 예를 들어, 핸들 축에 장착되는 스타 드래그(star drag)나 스풀 축에 장착되는 레버 드래그 등의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와,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torque)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를 더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여기에서는, 토크 센서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낚시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부나, 릴 본체 상부에 배치한 카운터 케이스의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 즉 물고기가 걸렸는지 여부의 정보나 물고기의 당김 상태 등의 현재의 낚시 상황을 실시간으로 또한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70017호
상기 종래의 낚시용 릴은,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드래그 기구는, 복수의 드래그 판을 접촉시켰을 때에 생기는 접촉 마찰에 의하여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드래그 기구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물고기의 당김이 매우 센 경우에는, 드래그 판의 접촉 마찰이 증대하여, 드래그 판이 발열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드래그 기구가 발열하면, 드래그 기구의 근방에 배치되는 토크 센서의 온도가 상승하여, 토크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검출 토크가 올바르지 않게 될 우려가 생긴다. 이와 같이 검출 토크가 올바르지 않게 되면, 검출 토크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산출 장력이 크게 어긋나 버리게 되고, 이 때문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없는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줄을 감거나 방출하는 낚시용 릴이고, 릴 본체와 스풀과 핸들과 장력 검출 수단과 온도 검출 수단과 검출 장력 보정 수단과 보정 장력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된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감는다. 핸들은, 릴 본체에 설치되어 스풀을 회전시킨다. 장력 검출 수단은,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수단이다. 온도 검출 수단은, 장력 검출 수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검출 장력 보정 수단은,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수단이다. 보정 장력 출력 수단은,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장력을 출력 가능한 수단이다.
이 낚시용 릴에서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과, 장력 검출 수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검출 장력 보정 수단과,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장력을 출력하는 보정 장력 출력 수단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에 따라 올바르게 보정하고, 보정 장력 출력 수단에 의하여,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장력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장력 보정 수단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고 하여도,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1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장력 검출 수단은, 스풀에 작용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를 가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풀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풀 축에 토크 센서를 설치하고, 스풀에 작용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에 작용하는 토크에 대응하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2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장력 검출 수단은, 스풀에 작용하는 토크에 의하여 투자율(透磁率)이 변화하는 자왜 소자(磁歪素子)와, 자왜 소자의 주위에 설치되어 투자율의 변화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코일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스풀 축이나 핸들 축에 박막(薄膜) 등으로 구성 가능한 자왜 소자를 설치하고, 그 주위에 검출 코일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토크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부분에 전기 소자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비접촉으로 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토크 센서로의 전기 배선이 용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토크 센서의 구성이 콤팩트해진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3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온도 검출 수단은, 검출 코일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온도 검출 수단의 센서부를 장력 검출 수단의 검출 코일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토크 센서의 온도를 상세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한층 더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장력 검출 수단은,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를 검출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핸들 축에 장착되는 스타 드래그나 스풀 축에 장착되는 레버 드래그 등의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에 대응하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드래그 기구의 발열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근방에 배치되는 토크 센서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여도,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5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 가능한 원웨이 클러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장력 검출 수단은, 원웨이 클러치와 드래그 기구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원웨이 클러치와 드래그 기구 간의 스풀 축이나 핸들 축에 토크 센서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을 산출하는 줄 감기 직경 산출 수단과, 줄 감기 직경 산출 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줄 감기 직경과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에 기초하여 산출 장력을 산출하는 산출 장력 산출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과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에 의하여, 산출 장력을 산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7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과 스풀의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계 테이블을 읽어내는 관계 테이블 독출(讀出) 수단과, 스풀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줄 감기 직경 산출 수단은, 관계 테이블 독출 수단에 의하여 읽어내진 소정의 관계 테이블과,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을 산출한다. 이 경우, 기억부에 미리 기억된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과 스풀의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계 테이블에 의하여,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릴 본체에 취부되어 장력 검출 수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되어 기판의 온도를 검출하는 기판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검출 장력 보정 수단은,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 및 기판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기판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기판의 온도도 검출하는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 및 기판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다 올바르게 보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보정 장력 출력 수단에 의하여,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장력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장력 보정 수단이나 기판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고 하여도,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과, 장력 검출 수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검출 장력 보정 수단과,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장력을 출력하는 보정 장력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에 따라 올바르게 보정하고, 보정 장력 출력 수단에 의하여,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장력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낚시용 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낚시용 릴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낚시용 릴의 좌측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낚시용 릴의 토크 센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상기 낚시용 릴의 표시부의 평면도.
도 6은 낚시 정보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상기 낚시용 릴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상기 낚시용 릴의 검출 장력 보정 연산 출력 처리에 관한 제어 플로차트.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상기 낚시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낚시용 릴(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롤링(trolling)에 이용되는 대형의 양베어링 릴이다. 낚시용 릴(100)은, 통상(筒狀)의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축(2)과, 스풀 축(2)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3)과, 릴 본체(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핸들(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낚시용 릴(100)은, 핸들(4)의 회전을 스풀(3)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6)와, 스풀(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드래그 기구(7)와, 스풀(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9)를 릴 본체(1)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금속제의 좌우 한 쌍의 바닥이 있는 통상인 제1 측판(側板)(10) 및 제2 측판(11)과, 제1 측판(10) 및 제2 측판(11)이 양단(兩端)에서 인롱(印龍) 결합(낚시대의 연결 방법의 하나. 일방의 장대에 심을 끼우고 타방의 장대를 꽂아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동심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고정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 금속제의 구멍 뚫린 통상의 릴 보디(12)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10) 및 제2 측판(11)은, 그 대략 중심부에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가능하게 스풀 축(2)의 양단을 지지한다.
릴 보디(12)와 제1 측판(10) 및 제2 측판(11) 간의 상부에는 릴 하니스(reel harness)에 장착하기 위한 하니스 러그(harness lug, 13)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릴 보디(12)의 하부에는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취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1)의 제1 측판(10)의 상부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형 형상의 카운터 케이스(70)가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70)의 상면(上面)에는,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나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이나 채비의 방출 속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79)와, 표시부(79)의 앞쪽에 배치되어 표시부(79)의 표시를 바꾸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77)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1)의 제1 측판(10)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판상(圓板狀)의 취부 기판(10a)이 장착 고정되어 있다. 취부 기판(10a)에는,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73)(도 7 참조)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78)(도 7 참조)나, 후술하는 스풀 센서(71)(도 7 참조), 스풀 카운터(72)(도 7 참조)를 구성하는 리드 스위치나, 후술하는 취부 기판(10a)의 센서 기판의 온도를 검출하는 기판 온도 센서(69)(도 7 참조)나, 백업용의 배터리 등이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취부 기판(10a)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토크 센서(75)의 검출 코일(75b)이나, 온도 센서(76)를 보지(保持)하기 위한 보지 케이스(75c)가 장착되어 있다. 보지 케이스(75c)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2)을 관통하는 대략 원통상(圓筒狀)의 케이스 부재이고, 취부 기판(10a)에 형성된 나사 구멍(10b)에 취부 나사(10c)를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 고정되어 있다.
스풀 축(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31a, 31b)에 의하여 릴 본체(1)의 제1 측판(10) 및 제2 측판(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스풀(3)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베어링(32a, 32b)에 의하여 스풀(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풀 축(2)의 좌단(左端)의 베어링(31a)의 내륜(內輪)의 우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 기구(9)의 후술하는 래칫 휠(50)이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고 있다. 스풀(3)을 지지하는 좌측 베어링(32a)의 내륜의 좌측에는, 레버 드래그 기구(7)의 후술하는 마찰 디스크(26)가 당접하고 있다. 스풀 축(2)의 역회전 방지 기구(9)의 래칫 휠(50)과 레버 드래그 기구(7)의 마찰 디스크(26) 간의 외주(外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통상 부재(2a)가 장착되어 있고, 통상 부재(2a)의 외주에는, 토크 센서(75)의 자왜 소자(75a)가 취부되어 있다. 자왜 소자(75a)가 취부된 통상 부재(2a)의 외주 측에는, 취부 기판(10a)에 장착 고정된 보지 케이스(75c)에 보지된 토크 센서(75)의 검출 코일(75b)이나, 온도 센서(76)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부재(2a)의 양 단부(端部)에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캡 부재(2b, 2c)가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함)되어 있다. 캡 부재(2b)의 좌단은, 역회전 방지 기구(9)의 래칫 휠(50)의 우단(右端)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통상 부재(2a)의 좌단이 역회전 방지 기구(9)의 래칫 휠(50)의 우단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장 부재이다. 캡 부재(2c)의 우단은, 레버 드래그 기구(7)의 마찰 디스크(26)의 좌단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어, 통상 부재(2a)의 우단이 레버 드래그 기구(7)의 마찰 디스크(26)의 좌단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장 부재이다.
스풀(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감기 몸통부(3a)와, 줄 감기 몸통부(3a)의 양단에 일체 형성된 플랜지부(3b)를 가지고 있다.
핸들(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2)의 하방(下方)에 스풀 축(2)과 평행하게 배치된 통상의 핸들 축(5)의 돌출 단(端)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 축(5)은, 보스부(11a)의 하방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베어링(33a, 33b)에 의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저 2속으로 전환 가능한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전달 기구(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4)의 핸들 축(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고속 감기용의 제1 기어(16) 및 저속 감기용의 제2 기어(17)와, 제1 기어(16) 및 제2 기어(17)에 각각 맞물리는 상태로 스풀 축(2)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3 기어(18) 및 제4 기어(19)와, 제1 기어(16) 및 제2 기어(17)의 어느 일방(一方)과 핸들 축(5)을 결합하고, 회전을 전달하는 계합(係合, 걸어 맞춤)편(20)과, 계합편(20)의 양측에서 계합편(20)을 위치 결정하는 2개의 압축 용수철(21a, 21b)과, 계합편(20)의 위치를 설정하는 조작 축(22)을 가지고 있다. 조작 축(22)은, 핸들 축(5) 내부에서 핸들 축(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여 있다. 외부로 돌출한 조작 축(22)의 우측 단부에는, 슬라이드형의 스토퍼(stopper, 23)가 핸들(4)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전달 기구(6)에서는, 조작 축(22)을 도 2 좌측으로 밀어 넣으면, 제2 기어(17)에 계합편(20)이 배치되고 핸들(4)의 회전이 제2 기어(17)를 통하여 제4 기어(19)로 전달되어 스풀 축(2) 및 스풀(3)이 저속 회전한다. 한편, 슬라이드형의 스토퍼(23)를 슬라이드시켜 조작 축(22)을 도 2 우측으로 끌어내면, 제1 기어(16)에 계합편(20)이 배치되고 핸들(4)의 회전이 제1 기어(16)를 통하여 제3 기어(18)로 전달되어 스풀 축(2) 및 스풀(3)이 고속 회전한다.
레버 드래그 기구(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의 좌측에 장착된 제동 디스크(25)와, 제동 디스크(25)의 좌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마찰 디스크(26)와, 스풀(3) 및 제동 디스크(25)를 스풀 축(2)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29)를 가지고 있다.
제동 디스크(2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제의 와셔상(washer狀)의 원판 부재이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취부 핀에 의하여, 스풀(3) 좌측의 플랜지부(3b)의 단면(端面)에 스풀(3)과 접리(接離, 접근하거나 떨어지거나)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스풀(3)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디스크(25)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스풀 축(2)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풀 축(2)에 장착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6)의 제동 디스크(25)에 대향하는 면에는, 예를 들어 카본 그라파이트(carbon graphite)나 섬유 강화 수지 등의 내마모성 소재로 만들어진 링상의 마찰 판(26a)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6) 내주부(內周部)의 우단면(右端面)은, 이동 기구(29)의 코일 용수철(47)을 통하여 스풀(3) 내주부의 베어링(32a)의 내륜이 당접하고 있다. 마찰 디스크(26) 내주부의 좌단면(左端面)은, 캡 부재(2c), 통상 부재(2a) 및 캡 부재(2b)를 통하여 역회전 방지 기구(9)의 래칫 휠(50)이 당접하고 있다. 래칫 휠(50)은, 캡 부재(2b)의 외주면(外周面)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50)은, 베어링(31a)의 내륜에 당접하고 있다. 베어링(31a)의 외륜(外輪)은 제1 측판(10)에 당접하고 있다. 그 결과, 마찰 디스크(26)는, 스풀 축(2)의 축 방향 외방(外方)(도 2 좌방(左方))으로 이동 불가능한 것과 함께, 래칫 휠(50)에 의한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또한, 역회전 방지 기구(9)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래칫 휠(50)과, 래칫 휠(50)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선단이(先端) 톱니를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하는 래칫 멈춤쇠(51)를 가지는 멈춤쇠식의 것이다. 래칫 멈춤쇠(51)는, 제1 측판(10)의 내측면에 요동(搖動, 흔들려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인장(引張) 용수철에 의하여 톱니를 계지하는 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6)의 외측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커버(41)에 의하여 덮여 있다. 드래그 커버(41)는, 예를 들어 방열 성능을 고려한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중심에 원형의 개구(開口)를 가지는 접시상의 커버 본체(41a)와, 커버 본체(41a)의 외주면에 일체 형성된 링상의 취부부(41b)를 가지고 있다. 커버 본체(41a)는, 내부에 마찰 디스크(26)나 제동 디스크(25)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 커버 본체(41a)의 좌측면에는, 스풀 센서(71)(도 7 참조), 스풀 카운터(72)(도 7 참조)를 구성하는 리드 스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스풀 센서(71)(도 7 참조), 스풀 카운터(72)(도 7 참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석이 장착되어 있다. 취부부(41b)는, 복수 개의 나사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스풀(3)의 플랜지부(3b)의 단면에 고정되어 있고, 드래그 커버(41)는 스풀(3)과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 기구(2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동 조작 레버(45)와, 제동 조작 레버(45)의 시계 방향의 요동에 따라 스풀(3) 및 제동 디스크(25)를 압압(押壓)하여 도 2 좌방으로 이동시키는 압압 기구(46)와, 마찰 디스크(26)를 압박하여 제동 조작 레버(45)의 반시계 방향의 이동에 따라 스풀(3) 및 제동 디스크(25)를 도 2 우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 용수철(47)을 가지고 있다. 코일 용수철(47)은, 마찰 디스크(26)와 스풀(3) 내주부의 베어링(32a)의 사이에 있어서 스풀 축(2)의 외주 측에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마찰 디스크(26)와 스풀(3)을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제동 조작 레버(4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 제동 해제 위치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 최대 제동 위치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 조작 레버(45)는, 보스부(11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부(45a)와, 레버부(45a)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부(45b)를 가지고 있다. 레버부(45a)의 기단부(基端部)는, 압압 기구(46)를 구성하는 제1 캠 부재(6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압압 기구(46)는, 보스부(11a)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1 캠 부재(60)와, 제1 캠 부재(60)의 회동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캠 부재(61)와, 제2 캠 부재(61)에 연동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압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캠 부재(60)는, 제동 조작 레버(45)의 요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대소(大小) 2단의 통상 부재이다. 대경(大徑)의 기단 측의 단면에는 경사 캠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캠 부재(61)는, 통상의 부재이고, 보스부(11a)의 내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캠 부재(61)의 제1 캠 부재(60)에 대향하는 외주 측의 단면에는, 제1 캠 부재(60)의 경사 캠에 계합하는 경사 캠이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경사 캠의 상대(相對) 회동에 의하여 제1 캠 부재(60)의 회동 운동이 제2 캠 부재(61)의 축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제2 캠 부재(61)가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캠 부재(61)의 내주면은, 압압 부재(62)에 나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캠 부재(61)와 압압 부재(62)의 축 방향의 상대 위치 관계를 조정할 수 있어, 제동 조작 레버(45)의 소정 위치에서의 드래그력을 조정할 수 있다.
릴 본체(1)의 제1 측판(10)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73)(도 7 참조)가 취부되는 취부 기판(10a)이 장착 고정되어 있다. 제어부(73)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센서(71), 스풀 카운터(72), 토크 센서(75), 온도 센서(76), 통신부(74), 조작부(77), 기억부(78), 표시부(79), 기판 온도 센서(69) 및 다른 입출력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73)는, 취부 기판(10a)에 배치된 CPU, RAM, ROM, I/O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73)는, 기억부(78)에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통신부(74)의 통신 제어 처리나, 표시부(79)의 표시 제어 처리나, 스풀 센서(71), 스풀 카운터(72)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채비의 방출 속도를 산출하는 제어 처리나, 토크 센서(75)로부터 검출된 토크 데이터와 온도 센서(76) 및 기판 온도 센서(69)로부터 검출된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 토크를 보정하여 보정 토크를 산출하는 제어 처리 등의 각종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기억부(78)는,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줄 길이 산출 시에 사용하는 맵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스풀 센서(71)는,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리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 스위치는, 자석 휠에 장착된 2개의 자석을 검출한다. 이 검출 펄스를 스풀 카운터(72)에서 계수(計數)하는 것으로 릴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리드 스위치가 먼저 검출 펄스를 발하였는지에 의하여 스풀(3)의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스풀 카운터(72)는, 스풀 센서(71)의 온, 오프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이며, 이 계수치(計數値)에 의하여 스풀 회전수에 관한 회전 위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스풀 카운터(72)는, 스풀(3)이 정회전(줄 방출 방향의 회전)하면 계수치가 감소하고, 역회전하면 증가한다.
토크 센서(7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왜식(磁歪式)의 센서이고, 역회전 방지 기구(9)의 래칫 휠(50)과 레버 드래그 기구(7)의 마찰 디스크(26) 간의 스풀 축(2)의 외주에 장착된 통상 부재(2a)에 장착된 자왜 소자(75a)와, 자왜 소자(75a)의 주위에 배치되고 취부 기판(10a)에 장착 고정된 보지 케이스(75c)에 보지된 검출 코일(75b)을 가지고 있다. 자왜 소자(75a)는, 예를 들어 어모퍼스(amorphous) 합금박으로 이루어지는 연자성체(軟磁性體)로 구성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스풀 축(2)에 감아 고정되어 있다. 자왜 소자(75a)의 표면에는, 자기 이방성(磁氣異方性)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른 각도로 경사한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다. 검출 코일(75b)은, 자왜 소자(75a)를 둘러싸도록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풀 축(2)의 뒤틀림에 의한 자왜 소자(75a)의 투자율의 변화에 따라 자기 인덕턴스(自己 inductance)가 변화한다. 이 검출 코일(75b)은, 제어부(73)(도 7 참조)에 접속되어 있어, 검출 코일(75b)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가 제어부(73)로 보내진다. 또한, 검출 코일(75b)의 양측에는, 검출 코일(75b)의 온도를 검출하는 2개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온도 센서(76)가 배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7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 코일(75b)에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미스터(thermistor)이고, 검출 코일(75b)의 좌측에 배치된 제1 온도 센서(76a)와, 검출 코일(75b)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온도 센서(76b)를 가지고 있다. 제1 온도 센서(76a) 및 제2 온도 센서(76b)는, 검출 코일(75b)과 함께, 취부 기판(10a)에 장착 고정된 보지 케이스(75c)에 보지되어 있다. 이들 제1 온도 센서(76a) 및 제2 온도 센서(76b)는, 제어부(73)(도 7 참조)에 접속되어 있어, 제1 온도 센서(76a) 및 제2 온도 센서(76b)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가 제어부(73)로 보내진다.
기판 온도 센서(69)(도 7 참조)는, 토크 센서(75)나 온도 센서(76)가 접속되는 센서 회로가 취부되는 센서 기판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취부 기판(10a)의 센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 온도 센서(69)는, 제어부(73)(도 7 참조)에 접속되어 있어,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가 제어부(73)로 보내진다.
제어부(73)는, 표시부(79)나 통신부(74)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것과 함께, 채비의 수심 정보를 연산하는 수심 연산 처리를 행한다. 수심 연산 처리는, 스풀 카운터(72)에 의하여 계수된 스풀(3)의 회전수와, 기억부(78)에 보지된 맵 데이터를 대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3)의 회전수를 채비의 수심 정보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채비의 수심 정보는, 수치 정보로서 표시부(79)나 통신부(74)로 보내진다.
또한, 제어부(73)는, 스풀(3)의 회전 속도를 연산하는 회전 속도 연산 처리를 행한다. 회전 속도 연산 처리는, 스풀 카운터(72)에 의하여 계수된 스풀(3)의 회전수와, 제어부(73)의 내부 클록(internal clock)으로부터 얻어지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3)의 단위 시간당의 회전 속도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스풀(3)의 회전 속도 정보는, 수치 정보로서 표시부(79)나 통신부(74)로 보내진다.
나아가, 제어부(73)는, 토크 센서(75)로부터 검출된 스풀 축(2)의 검출 토크를 산출 장력으로 변환하고, 온도 센서(76)로부터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 및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것에 의하여 보정 장력을 연산하고 출력하는 검출 장력 보정 연산 출력 처리를 행한다. 검출 장력 보정 연산 출력 처리는, 스풀 축(2)의 검출 토크를 스풀(3)이나 레버 드래그 기구(7)의 직경이나 마찰 등에 기초하여 산출 토크로 환산하고, 나아가 줄 감기 직경에 따라 산출 토크를 보정하여 보정 장력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는 검출 장력 보정 연산 출력 처리에 관한 제어 플로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조작부(77)를 소정 시간 동안 길게 누르면,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스텝 S1에 있어서 초기 설정이 행하여진다. 스텝 S1의 초기 설정에서는, 각종 변수나 플래그를 리셋하거나, 표시부(79)에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스텝 S2에 있어서, 스풀 축(2)의 토크를 검출한다. 스텝 S2에서는, 토크 센서(75)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를 기억부(78)에 기억하고, 스텝 S3로 이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온도 센서(76)에 의하여 검출 코일(75b)의 온도를 검출한다. 스텝 S3에서는, 온도 센서(76)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를 기억부(78)에 기억하고, 스텝 S4로 이행한다.
스텝 S4에서는,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센서 기판의 온도를 검출한다. 스텝 S4에서는,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를 기억부(78)에 기억하고,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5에서는, 토크 센서(75)로부터 검출된 스풀 축(2)의 검출 토크를 산출 장력으로 변환하고, 온도 센서(76)로부터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 및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것에 의하여 보정 장력을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기억부(78)에 미리 기억된 스풀(3)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과 스풀(3)의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계 테이블과, 스풀 카운터(72)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3)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스풀(3)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토크 센서(75)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를, 기억부(78)에 미리 기억된 온도 센서(76)로부터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 및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와 토크 센서(75)에 의하여 검출된 보정 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계 테이블을 읽어내는 것에 의하여, 보정 토크로 변환한다. 그리고, 산출된 스풀(3)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과, 변환된 보정 토크에 기초하여 보정 장력을 산출한다. 스텝 S5에서 산출된 보정 장력을 기억부(78)에 기억하고, 스텝 S6로 이행한다.
스텝 S6에서는, 기억부(78)에 기억된 보정 장력을 읽어내어 수치 정보로서 표시부(79)나 통신부(74)에 출력되고, 표시부(79)나 통신부(74) 및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통신부(86)를 통하여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보정 장력이 표시된다.
표시부(79)는,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쪽에서 뒤쪽의 순으로,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를 표시하는 줄 길이 표시 영역(79a)과,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을 표시하는 토크 표시 영역(79b)과, 채비의 방출 속도 등을 표시하는 속도 표시 영역(79c)을 가지는 세그먼트(segment) 액정이다. 줄 길이 표시 영역(79a)은,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예를 들어 줄 길이가 120.0m인 것을 나타내는 「120.0」이 표시되어 있다. 토크 표시 영역(79b)은,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장력(Tension)을 의미하는 「T」의 문자와, 예를 들어 보정 토크가 15.0kg인 것을 나타내는 「15.0」이 표시되어 있다. 속도 표시 영역(79c)은, 채비의 방출 속도(스풀(3)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속도(Speed)를 의미하는 「S」의 문자와, 예를 들어 속도가 10.0km/h인 것을 나타내는 「10.0」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부(77)는, 대략 타원형의 압압식의 버튼이며, 표시부(79)의 표시 설정을 바꾸거나 표시 내용을 리셋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표시부(79)의 표시 설정은, 낚시용 릴(100)의 외부에 설치된 후술하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도 6 및 도 7 참조)에 설치된 조작부(84)에 의해서도 전환 가능하고, 낚시용 릴(100)에 설치된 통신부(74)(도 7 참조)와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에 설치된 통신부(86)(도 7 참조)가 무선 통신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통신부(8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릴(100)로부터 얻어지는 채비의 수심 정보나, 어군 탐지기(90)로부터 얻어지는 어군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85)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통신부(7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릴(100)의 외부에 설치된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통신부(86)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다. 통신부(74)는, 채비의 수심 정보나, 스풀(3)의 회전 속도 정보나,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 정보를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통신부(86)로 송신 가능하다.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어군 탐지기(90)로부터 얻어지는 어장 바닥의 수심이나 어군의 위치를 나타내는 물고기 서식층의 위치를 에코(echo) 표시 가능한 것과 함께, 낚시용 릴(100)로부터 얻어지는 채비의 수심 정보를 에코 표시된 바닥의 수심이나 물고기 서식층의 위치와 함께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의 세로형의 본체 부재(81)와, 본체 부재(81)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부(86)와, 본체 부재(81)에 장착된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85)와, 표시부(85)의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84)를 가지고 있다.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83)가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83)는, 본체 부재(81) 내에 배치된 CPU, RAM, ROM, I/O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83)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낚시용 릴(100) 및 어군 탐지기(90)로부터의 정보를 표시부(85)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나, 낚시용 릴(100)로 각종 지령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86)의 각종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83)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84)의 각종 스위치와, 표시부(85)와, 통신부(86)와, 다른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84)는, 표시부(85)의 표시 제어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스위치이다. 조작부(8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85)의 하측에 4개의 버튼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결정」, 「캔슬(되돌아간다)」, 「위」, 「아래」의 기능을 가지는 스위치이다. 이들 조작부(8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각종 설정이 행하여진다. 조작부(84)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 측의 제어뿐만 아니라, 낚시용 릴(100) 측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표시부(85)는,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이고, 예를 들어 컬러 TFT(thin film transistor)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표시부(85)는, 낚시용 릴(100)의 표시부(79)에서 표시 가능한 수심 정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 채비의 방출 속도 등을 표시 가능한 것과 함께, 어군 탐지기(90)로부터 얻어지는 각종 정보도 표시 가능하다. 표시부(8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의 순으로,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를 표시하는 줄 길이 표시 영역(85a)과,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을 표시하는 토크 표시 영역(85b)과, 채비의 방출 속도 등을 표시하는 속도 표시 영역(85c)을 가지는 도트 매트릭스 액정이다. 줄 길이 표시 영역(85a)은,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예를 들어 줄 길이가 120.0m인 것을 나타내는 「120.0」이 표시되어 있다. 토크 표시 영역(85b)은,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장력(Tension)을 의미하는 「T」의 문자와, 예를 들어 보정 토크가 15.0kg인 것을 나타내는 「15.0」이 표시되어 있다. 속도 표시 영역(85c)은, 채비의 방출 속도(스풀(3)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속도(Speed)를 의미하는 「S」의 문자와, 예를 들어 속도가 10.0km/h인 것을 나타내는 「10.0」이 표시되어 있다.
통신부(8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릴(100)의 통신부(74)와, 어군 탐지기(90)의 통신부와 각종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하다. 통신부(86)는, 낚시용 릴(100)의 통신부(74)로부터 채비의 수심 데이터나, 스풀(3)의 회전 속도 정보나,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 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낚시용 릴(100)의 통신부(74)로 각종 지령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86)는, 어군 탐지기(90)의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고, 바닥의 수심이나 어군의 위치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어군 탐지기(90)는, 물고기 서식층의 위치, 무리의 상황 및 무리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통신부(86)에 어군 정보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어군 탐지기(90)의 다른 구성은 일반적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어군 탐지기(90)의 다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낚시용 릴(100)에서는, 토크 센서(75)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를, 온도 센서(76)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 및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정 토크로 보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 코일(75b)이나 센서 기판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고 하여도,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100)의 외부에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를 설치하여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표시시키고 있었지만, 낚시용 릴(100)의 표시부(79)에만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나 어군 탐지기(90)를 설치하는 일 없이, 낚시용 릴(100) 단체(單體)의 구성에 있어서도,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파악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토크 센서(75)는, 역회전 방지 기구(9)의 래칫 휠(50)과 레버 드래그 기구(7)의 마찰 디스크(26) 간의 스풀 축(2)의 외주에 장착된 통상 부재(2a)에 장착된 자왜 소자(75a)와, 자왜 소자(75a)의 주위에 배치되고 취부 기판(10a)에 장착 고정된 보지 케이스(75c)에 보지된 검출 코일(75b)을 가지고 있었지만, 토크 센서(75)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온도 센서(76)는, 검출 코일(75b)의 좌측에 배치된 제1 온도 센서(76a)와, 검출 코일(75b)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온도 센서(76b)를 가지고 있었지만, 온도 센서(76)의 배치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1개의 낚시용 릴(100)에 관한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 채비의 방출 속도를 1개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었지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낚시용 릴(100)로부터 얻어진 복수의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복수의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 복수의 채비의 방출 속도를 1개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의 가로형의 본체 부재(81)와, 본체 부재(81)의 내부에 배치된 통신부(86)와, 본체 부재(81)의 표면 중앙부에 배치된 터치 패널식의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85)와, 표시부(85)의 표면에 배치된 터치 패널(84a)과 표시부(85)의 측부에 배치된 압압식의 전원 스위치(84b)로 이루어지는 조작부(84)를 가지고 있다. 터치 패널(84a)은, 복수의 낚시용 릴(100)의 표시부(79)의 표시 설정을 바꾸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원 스위치(84b)는 표시부(85)의 표시를 온 오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는, 도시하지 않는 전지구 측위 시스템(GPS) 모듈이 내장되어 있고, 터치 패널(84a)의 전환 조작에 의하여, 표시부(85)에 GPS로부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는, 본체 부재(81)의 양 측부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취부되는 암상(arm狀)의 취부대(87)에 장착되어 있고, 본체 부재(81)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표시부(85)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는, 도시하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의 정보 입출력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정보 입출력 단자(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입출력 단자)를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기억부에 기억된 낚시용 릴(100)에 관한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 채비의 방출 속도의 각종 로그 정보를, USB 메모리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USB 입출력 단자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의 기억부에 입력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에 낚시용 릴(100)에 관한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 채비의 방출 속도의 각종 로그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부(85)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행 3열의 각 영역에 6개의 낚시용 릴(100)에 관한 6개의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6개의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 6개의 채비의 방출 속도를 1개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표시시키도록 되어 있고, 도 10에서는, 3개의 낚시용 릴(100)이 1개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에 접속되어 있어, 3개의 낚시용 릴(100)에 관한 3개의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3개의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 복수의 채비의 방출 속도를 1개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표시시키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85)의 2행 3열의 각 영역(왼쪽 위에서부터 제1 영역, 오른쪽 아래를 향하여 제6 영역)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의 순으로,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를 표시하는 줄 길이 표시 영역(85a)과,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을 표시하는 토크 표시 영역(85b)과, 채비의 방출 속도 등을 표시하는 속도 표시 영역(85c)을 가지는 도트 매트릭스 액정이다. 제1 영역의 줄 길이 표시 영역(85a)은,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DISTANCE」의 문자와, 예를 들어 줄 길이가 120.0m인 것을 나타내는 「120.0m」이 표시되어 있다. 제1 영역의 토크 표시 영역(85b)은,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LINE TENSION」의 문자와, 예를 들어 보정 토크가 15.0kg인 것을 나타내는 「15.0kg」이 표시되어 있다. 제1 영역의 속도 표시 영역(85c)은, 채비의 방출 속도(스풀(3)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LINE SPEED」의 문자와, 예를 들어 속도가 10.0km/h인 것을 나타내는 「10.0km/h」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낚시용 릴(100)로부터 얻어진 복수의 채비의 수심 정보(줄 길이), 복수의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보정 토크), 복수의 채비의 방출 속도를 1개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에 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복수의 낚시용 릴(100)의 정보를 1개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80)의 표시부(85)를 보는 것만으로, 물고기가 걸렸는지 여부의 정보나 물고기의 당김 상태 등의 현재의 낚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취부 기판(10a)의 센서 기판의 온도를 검출하는 기판 온도 센서(69)를 설치하여, 토크 센서(75)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를, 온도 센서(76)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 및 기판 온도 센서(69)에 의하여 검출된 센서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정 토크로 보정하고 있었지만, 기판 온도 센서(69)를 설치하지 않고, 토크 센서(75)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를, 온도 센서(76)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코일(75b)의 온도에만 따라 보정 토크로 보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1: 릴 본체
2: 스풀 축
2a: 통상 부재
2b: 캡 부재
2c: 캡 부재
3: 스풀
3a: 줄 감기 몸통부
3b: 플랜지부
4: 핸들
5: 핸들 축
6: 회전 전달 기구
7: 레버 드래그 기구
9: 역회전 방지 기구
10: 제1 측판
10a: 취부 기판
10b: 나사 구멍
10c: 취부 나사
11: 제2 측판
11a: 보스부
12: 릴 보디
13: 하니스 러그
14: 장대 취부부
16: 제1 기어
17: 제2 기어
18: 제3 기어
19: 제4 기어
20: 계합편
21a: 압축 용수철
21b: 압축 용수철
22: 조작 축
23: 스토퍼
25: 제동 디스크
26: 마찰 디스크
26a: 마찰판
29: 이동 기구
31a: 베어링
31b: 베어링
32a: 베어링
32b: 베어링
33a: 베어링
33b: 베어링
41: 드래그 커버
41a: 커버 본체
41b: 취부부
45: 제동 조작 레버
45a: 레버부
45b: 손잡이부
46: 압압 기구
47: 코일 용수철
50: 래칫 휠
51: 래칫 멈춤쇠
60: 제1 캠 부재
61: 제2 캠 부재
62: 압압 부재
69: 기판 온도 센서
70: 카운터 케이스
71: 스풀 센서
72: 스풀 카운터
73: 제어부
74: 통신부
75: 토크 센서
75a: 자왜 소자
75b: 검출 코일
75c: 보지 케이스
76: 온도 센서
76a: 제1 온도 센서
76b: 제2 온도 센서
77: 조작부
78: 기억부
79: 표시부
79a: 줄 길이 표시 영역
79b: 토크 표시 영역
79c: 속도 표시 영역
80: 낚시 정보 표시 장치
81: 본체 부재
83: 제어부
84: 조작부
84a: 터치 패널
84b: 전원 스위치
85: 표시부
85a: 줄 길이 표시 영역
85b: 토크 표시 영역
85c: 속도 표시 영역
86: 통신부
87: 취부대
90: 어군 탐지기
100: 낚시용 릴

Claims (9)

  1.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줄을 감거나 방출하는 낚시용 릴이고,
    상기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낚싯줄을 감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을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과,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검출 장력 보정 수단과,
    상기 검출 장력 보정 수단에 의하여 보정된 보정 장력을 출력 가능한 보정 장력 출력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은, 상기 스풀에 작용하는 토크(torque)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를 가지는, 낚시용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은, 상기 스풀에 작용하는 토크에 의하여 투자율(透磁率)이 변화하는 자왜 소자(磁歪素子)와, 상기 자왜 소자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투자율의 변화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코일을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수단은, 상기 검출 코일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은, 상기 드래그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낚시용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 가능한 원웨이 클러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은, 상기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드래그 기구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낚시용 릴.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을 산출하는 줄 감기 직경 산출 수단과,
    상기 줄 감기 직경 산출 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줄 감기 직경과, 상기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토크에 기초하여, 산출 장력을 산출하는 산출 장력 산출 수단을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과 상기 스풀의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소정의 관계 테이블을 읽어내는 관계 테이블 독출(讀出) 수단과,
    상기 스풀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줄 감기 직경 산출 수단은, 상기 관계 테이블 독출 수단에 의하여 읽어내진 상기 소정의 관계 테이블과,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스풀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상기 스풀에 감긴 낚싯줄의 줄 감기 직경을 산출하는, 낚시용 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되어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온도를 검출하는 기판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 장력 보정 수단은, 상기 장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장력을,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장력 검출 수단의 온도 및 상기 기판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기판의 온도에 따라 보정하는 수단인, 낚시용 릴.
KR1020110061338A 2010-06-25 2011-06-23 낚시용 릴 KR10174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5183A JP5654270B2 (ja) 2010-06-25 2010-06-25 釣り用リール
JPJP-P-2010-145183 2010-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21A true KR20120000521A (ko) 2012-01-02
KR101747105B1 KR101747105B1 (ko) 2017-06-14

Family

ID=4411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338A KR101747105B1 (ko) 2010-06-25 2011-06-23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98011B2 (ko)
EP (1) EP2399454B1 (ko)
JP (1) JP5654270B2 (ko)
KR (1) KR101747105B1 (ko)
CN (1) CN102293187B (ko)
MY (1) MY167156A (ko)
SG (1) SG177063A1 (ko)
TW (1) TWI5220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084A (ko) * 2017-11-09 2019-05-1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5803A1 (en) * 2010-06-25 2011-12-29 Lorens George Hlava Harness lug ring for offshore fishing reel
JP6085447B2 (ja) * 2012-10-19 2017-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ITMI20130495A1 (it) * 2013-03-29 2014-09-30 Atlas Copco Blm Srl Dispositivo elettronico di controllo e comando per sensori
JP6227286B2 (ja) * 2013-06-11 2017-11-0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制御装置
JP6352756B2 (ja) * 2014-09-30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KR101697222B1 (ko) * 2014-10-22 2017-01-17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스플 잠금용 스냅버튼을 구비한 낚시릴
JP6433791B2 (ja) * 2015-01-14 2018-12-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6655402B2 (ja) * 2016-01-22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7163886A (ja) * 2016-03-15 2017-09-21 山田電器工業株式会社 釣り糸情報設定方法、および、釣り糸情報設定プログラム
DE102016205784A1 (de) 2016-04-07 2017-10-12 Robert Bosch Gmbh Drehmomenterfassungseinrichtung und Fahrzeug
WO2018081988A1 (zh) * 2016-11-03 2018-05-1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智能鱼竿及智能鱼竿的控制方法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95986B2 (ja) * 2017-12-22 2022-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12306B2 (ja) * 2018-10-05 2022-08-0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JP7305010B2 (ja) * 2018-10-05 2023-07-0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JP7166895B2 (ja) * 2018-11-28 2022-11-08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制動調整装置及びリール制動調整プログラム
CN110068369A (zh) * 2019-05-30 2019-07-30 宁波海伯集团有限公司 一种摇轮性能检测装置及性能检测方法
US11523597B2 (en) 2019-10-29 2022-12-13 Lindgren-Pitman, Inc. Dredge position controller
JP7455649B2 (ja) 2020-04-23 2024-03-2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具
JP7390994B2 (ja) * 2020-08-27 2023-12-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20110305A1 (en) * 2020-10-08 2022-04-14 KOBO Labs LLC Motor-driven fishing reel
WO2024012204A1 (zh) * 2022-07-10 2024-01-18 施兆洲 渔线轮电磁制动装置、渔线及测速机构
CN115005170A (zh) * 2022-07-10 2022-09-06 施兆洲 渔线轮电磁制动装置及渔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993A (en) * 1979-11-06 1982-09-07 W. J. Industries, Incorporated Tension monitor means and system
JP2739963B2 (ja) * 1988-09-20 1998-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ープ移送装置の制御装置
JPH0430866U (ko) * 1990-07-04 1992-03-12
JPH04295735A (ja) * 1991-03-25 1992-10-20 Yaskawa Electric Corp トルク検出方法
JP2894414B2 (ja) * 1993-08-02 1999-05-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2813634B2 (ja) * 1993-03-29 1998-10-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釣糸張力計測装置
US5581930A (en) * 1993-07-13 1996-12-10 Langer; Alexander G. Remote activity sensing system
JP2967910B2 (ja) * 1994-10-05 1999-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糸張力計測装置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US5637984A (en) * 1994-10-20 1997-06-10 Nanotechnology, Inc. Pseudo-mechanical system incorporating ohm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and electrical generator
US20040124297A1 (en) * 1996-07-12 2004-07-01 Steer Steven Lance Fishing indicator device
JP3515881B2 (ja) * 1997-07-29 2004-04-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2080151A (ja) * 2000-03-28 2002-03-19 Canon Inc ウェブ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並びに電析装置及び電析方法
JP2002027878A (ja) * 2000-07-13 2002-01-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JP4054540B2 (ja) * 2001-03-12 2008-02-27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US7225102B2 (en) * 2001-04-27 2007-05-29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Reel mechanism with watertight electronics module
JP4141186B2 (ja) * 2002-06-18 2008-08-27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SG125114A1 (en) * 2003-05-13 2006-09-29 Shimano Kk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fishing equipment
JP4366146B2 (ja) * 2003-08-28 2009-11-1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2005117902A (ja) * 2003-09-18 2005-05-12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US7784724B2 (en) * 2005-01-26 2010-08-31 Beckham James P Zero-backlash baitcast fishing reel with non-contact backlash sensing
WO2006081509A2 (en) * 2005-01-26 2006-08-03 Beckham James P Zero-backlash baitcast fishing reel
JP2010145183A (ja) 2008-12-17 2010-07-01 Mitsubishi Heavy Ind Ltd 管内面観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084A (ko) * 2017-11-09 2019-05-1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0475A (en) 2012-03-16
JP5654270B2 (ja) 2015-01-14
EP2399454A3 (en) 2013-01-16
JP2012005430A (ja) 2012-01-12
SG177063A1 (en) 2012-01-30
CN102293187A (zh) 2011-12-28
MY167156A (en) 2018-08-13
EP2399454A2 (en) 2011-12-28
US8398011B2 (en) 2013-03-19
EP2399454B1 (en) 2017-03-15
CN102293187B (zh) 2015-04-01
US20110315802A1 (en) 2011-12-29
KR101747105B1 (ko) 2017-06-14
TWI522036B (zh) 201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521A (ko) 낚시용 릴
JP2012005430A5 (ko)
KR101169353B1 (ko) 낚시용 릴, 낚시 정보 표시 장치 및 낚시 정보 표시 시스템
JP4535742B2 (ja)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5764014B2 (ja) 両軸受リールの張力表示装置
JP2013048594A5 (ko)
JP2017163886A (ja) 釣り糸情報設定方法、および、釣り糸情報設定プログラム
JP5707074B2 (ja) 電動リール
JP2012005428A (ja) 釣り用リール
JP2012005429A (ja)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
EP3959974A1 (en) Fishing reel,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and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JP6792460B2 (ja) 魚釣用リール
TWI698176B (zh) 電動捲線器
JP5777867B2 (ja) 釣り用リール
JP5748438B2 (ja) 電動リール
JP2017163888A5 (ko)
KR102666364B1 (ko) 낚시용 릴 및 이것을 구비한 이력 데이터 관리 시스템
JP7133265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7202530A (ja) 魚釣用リール
JP2013013334A (ja) 魚釣用リール
JPH04262725A (ja) 釣り用リール
JPH04104750A (ja) 釣り用リール
JPH05192058A (ja) 釣り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