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750A - 광학 유리 - Google Patents

광학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750A
KR20110136750A KR1020110057539A KR20110057539A KR20110136750A KR 20110136750 A KR20110136750 A KR 20110136750A KR 1020110057539 A KR1020110057539 A KR 1020110057539A KR 20110057539 A KR20110057539 A KR 20110057539A KR 20110136750 A KR20110136750 A KR 2011013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ess
content
glass
optical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아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7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광학 유리는 각각 소정의 비율로 SiO2, B2O3, Al2O3, BaO, CaO, ZnO, La2O3, Gd2O3 및 Y2O3을 포함한다. 또한, 광학 유리는 하기의 조건식(1) 및 (2)을 만족하고, SiO2의 함유율은 A, B2O3의 함유율은 B, La2O3, Gd2O3 및 Y2O3의 합계 함유율은 C, SiO2 및 B2O3의 합계 함유율은 D이다.
0.35<A/B<0.70 ... (1)
0.80<C/D<1.0 ... (2)
상기 구성에 의해, 고굴절률 및 저분산이 확보되고, 동시에 변형 온도(및 유리 전이온도)가 저하한다. Al2O3을 포함함으로써 유리 구조는 안정화되고, 프레스 성형시에 있어서의 클라우디 등의 외관 불량이 생기기 어렵다.

Description

광학 유리{OPTICAL GLASS}
본 발명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고정밀한 프레스 성형에 적합한 광학 유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 (Charge Coupled Device) 및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취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카메라 탑재 휴대전화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화질을 달성하기 위해서 큰 화소를 갖는 촬상 소자가 개발되어왔고, 이러한 경향에 따라 촬상 렌즈에 대해서도 높은 광학 성능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소형화의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 상기 촬상 렌즈로서 다수의 경우에 고정밀한 치수를 갖는 금속 몰드에 의해 프레스 성형된 유리 몰드 렌즈가 채용된다. 이러한 프레스 성형에 의하면, 연마에 의한 가공에 비하여 비구면을 갖는 광학렌즈 및 마이크로 치수의 광학렌즈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 성형은 원료로서의 광학 유리의 변형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행해지므로, 열 및 응력 등의 물리적 부하를 크게 받는 금속 몰드는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상기 광학 유리의 변형 온도가 높아질수록, 금속 몰드에의 물리적 부하가 증대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금속 몰드의 수명 연장의 목적으로 상기 광학 유리의 변형 온도를 가능한 한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고굴절률 및 저분산을 갖는 광학 유리는 촬상 렌즈의 소형화 및 광각화를 진행시키기 위해서도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고굴절률 및 저분산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낮은 변형 온도(및 유리 전이온도)를 갖는 일부의 광학 유리가 개발되어 왔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168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119036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01-1309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168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119036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01-130924호 공보에는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및 산화 란탄(La2O3)으로 주로 이루어진 광학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촬상 렌즈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광학 유리의 고굴절률화, 저분산화 및 가공 용이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굴절률 및 보다 낮은 분산값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리 제조 공정에서의 양산성 및 프레스 성형성이 보다 뛰어난 광학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유리는 10중량% 이상 17중량% 이하의 SiO2, 23중량% 이상 30중량% 이하의 B2O3, 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의 Al2O3, 2중량% 이상 3.5중량% 이하의 Li2O, 1중량% 이상 4중량% 이하의 BaO,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의 CaO, 0.5중량% 이상 6중량% 이하의 ZnO, 22중량% 이상 30중량% 이하의 La2O3, 0.5중량% 이상 7중량% 이하의 Gd2O3, 및 5중량% 이상 11중량% 이하의 Y2O3를 포함하고, 이하의 조건식(1) 및 (2)을 만족한다.
0.35<A/B<0.70 ...(1)
0.80<C/D<1.0 ...(2)
여기서, A는 SiO2의 함유율(중량%), B는 B2O3의 함유율(중량%), C는 La2O3, Gd2O3 및 Y2O3의 합계 함유율(중량%), 및 D는 SiO2 및 B2O3의 합계 함유율(중량%)이다.
상기 광학 유리는 상기 각 성분을 소정의 조성비로 포함하고, 그 결과 고굴절률 및 저분산이 확보된다. 또한, 액상 온도 L.T가 990℃ 이하로 억제되기 때문에, 유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결정화에 의한 실투(devitrification)가 발생하기 어렵고, 유리 구조가 안정하게 유지되어 뛰어난 양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성형 시 유리의 변형 온도 Ts 이상의 프레스 성형 온도 영역에서 유리가 가열되는 경우, 유리의 표면에 약간의 결정이 생김으로써 소위 미세 실투에 의한 클라우디 등의 불량이 생기기 어렵다. 여기서, 프레스 성형 온도 영역은 유리의 변형 온도 Ts로부터 Ts를 대략 50℃를 초과하는 온도 이하를 포함하는 온도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각종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광학 유리는 임의의 성분으로서 Na2O, K2O, SrO, ZrO2, Nb2O5, WO3 및 Sb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NaO2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 K2O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 SrO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5중량% 이하, ZrO2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4중량% 이하, Nb2O5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 WO3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 및 Sb2O3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1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 유리에 의하면, 주성분으로서의 SiO2, B2O3 및 La2O3 이외에 Al2O3, Li2O, BaO, CaO, ZnO, Gd2O3 및 Y2O3을 함유함으로써 굴절률 특성 및 분산 특성이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 온도(및 유리 전이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d선에 대한 굴절률을 1.68 ~1.70 정도로 높고, 아베수가 54를 초과하도록 확보하면서, 유리 전이온도를 570℃ 미만으로 억제할 수 있다.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프레스 성형은 이러한 광학 유리를 사용하면 가능해지기 때문에, 소형임에도 높은 광학 성능을 갖는 몰드 렌즈의 양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Al2O3을 소량 첨가함으로써, 프레스 성형시에 미세 실투로 인한 클라우디 등의 불량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액상 온도 L.T가 990℃ 이하로 억제되기 때문에, 유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결정화에 의한 실투가 생기기 어렵고, 유리 구조가 안정하게 유지되어 뛰어난 양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유리는 종래 사용된 비소(As), 납(Pb), 및 텔루륨(Te)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있으므로,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학 유리는,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은 염 카메라, 또는 휴대 전화용 모듈 카메라에 탑재되는 촬상 렌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광학 유리는 구성 성분으로서 산화 규소(SiO2), 산화 붕소(B2O3),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리튬(Li2O), 산화 바륨(BaO), 산화 칼슘(CaO), 산화 아연(ZnO), 산화 란타늄(La2O3), 산화 가돌리늄(Gd2O3), 및 산화 이트륨(Y2O3)을 포함하고, 하기 조건식(1) 및 (2)을 만족한다. 하기 조건식에 있어서, A는 SiO2의 함유율(중량%), B는 B2O3의 함유율(중량%), C는 La2O3, Gd2O3, 및 Y2O3의 합계 함유율(중량%)이고, D는 SiO2 및 B2O3의 합계 함유율(중량%)이다.
0.35<A/B<0.70 ... (1)
0.80<C/D<1.0 ... (2)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포함하고 조건식(1) 및 (2)을 만족함으로써 유리 전이온도 Tg 및 변형 온도 Ts가 보다 낮은 값으로 억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굴절률 및 보다 낮은 분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리 구조가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유리 제조 공정시의 실투 및 프레스 성형시의 클라우디 등의 제조상의 불량이 생기기 어렵다. 조건식(1)에 있어서, A/B를 0.35 이상 0.70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유리 구조의 골격은 가장 안정되고, 액상 온도 L.T는 990℃ 이하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조건식(2)에 있어서, C/D가 0.80 이하인 경우 아베수가 저하(분산 증대)하기 용이하고, C/D가 1.0 이상인 경우 굴절률이 저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하에, 본 발명의 광학 유리를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SiO2는 유리 구조의 골격을 형성하는 주성분이다. SiO2의 함유율은 10중량% 이상 17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율을 10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리 구조는 안정화된다. 상기 함유율을 17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유리의 용해성이 유지된다.
또한, B2O3은 상기 유리 구조의 골격을 형성하는 주성분이다. B2O3의 함유율은 23중량% 이상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함유율을 23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리 구조가 안정화되고, 상기 함유율을 3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고굴절률이 쉽게 실현되기 때문이다(예를 들면, d선에 대한 굴절률 nd는 대략 1.68~1.70 정도임).
Al2O3은 유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Al2O3은 유리의 점성을 증가시키고 결정의 성장을 감소시킴으로써 프레스 성형 온도 영역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미세 실투로 인한 클라우디와 같은 불량이 초래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Al2O3의 함유율을 전체 함유율의 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기능은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Al2O3의 함유율이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미세 실투로 인한 클라우디가 더 발생하기 쉽다.
Li2O는 주로 유리 전이온도 Tg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량은 굴절률의 저하 및 액상 온도 L.T의 상승으로 이어져, 유리는 유리 제조 공정시 결정화로 인해 실투되기 쉽다. Li2O의 함유율은 2중량% 이상 3.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BaO는 고굴절률 및 저분산의 광학 상수를 얻으면서 유리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Ba(NO3)2의 형태의 원료를 첨가함으로써 원료로부터 제거된 기포에 의해 유리 제조시에 탈포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다량의 BaO가 첨가되는 경우, 반대로 액상 온도 L.T가 상승하므로 유리는 유리 제조 공정시 결정화로 인해 실투되기 쉽다. 따라서, 소망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BaO의 함유량을 1중량% 이상 4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O는 고굴절률 및 저분산의 광학 상수를 얻으면서 유리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매우 크다. 그러나, CaO가 다량으로 첨가하면, 액상 온도 L.T가 반대로 상승하므로 유리는 유리 제조 공정시 결정화로 인해 실투되기 쉽다. 따라서, CaO의 함유율은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ZnO는 유리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함유율을 0.5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함유율을 6중량% 이하로함으로써 고굴절률이 쉽게 실현된다(예를 들면, d선에 대한 굴절률 nd는 대략 1.68~1.70임). 따라서, ZnO의 함유율은 0.5중량% 이상 6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La2O3은 광학 유리의 굴절률을 높이는 동시에 분산을 작게 하는(즉, 아베수를 증가시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성분이다. 함유율이 22중량% 이상임으로써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그러나, La2O3이 과잉량으로 첨가되는 경우, 유리 전이온도 Tg를 570℃ 이하로 낮추는 것은 어려워지므로, 상기 함유율이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La2O3의 함유율은 22중량% 이상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Gd2O3은 La2O3와 마찬가지로 광학 유리의 굴절률을 높이는 동시에 분산을 작게 하는(즉, 아베수를 증가시킴) 효과를 유발하는 성분이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Gd2O3를 0.5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이 필수이다. 그러나, 상기 함유율이 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액상 온도 L.T가 상승하므로 유리는 유리 제조 공정시 결정화로 인해 실투되기 쉽다. 따라서, Gd2O3의 함유율은 0.5중량% 이상 7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Y2O3은 굴절률을 높이고 분산을 작게 하는(즉, 아베수를 증가시킴) 성분이다. Y2O3의 함유율을 전체 함유율의 5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그러나, Y2O3이 과잉량으로 첨가되는 경우, 액상 온도 L.T가 증가하므로, 유리는 유리 제조 공정시 결정화로 인해 실투되기 쉽다. 따라서, Y2O3의 함유율은 5중량% 이상 1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유리는 광학 성분으로서 산화 나트륨(Na2O), 산화 칼륨(K2O), 산화 스트론튬(SrO),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니오븀(Nb2O5), 산화 텅스텐(WO3) 및 산화 안티모니(Sb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해도 좋다.
Na2O 및 K2O는 Li2O와 마찬가지로 유리 전이온도 Tg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주로 발휘하는 성분이고, 임의 성분으로서 첨가되어도 좋다. 함유율은 광학 상수의 조정 및 Li2O와 치환을 고려하여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rO는 BaO 및 CaO와 마찬가지로 고굴절률 및 저분산의 광학 상수를 얻으면서 내실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고, 임의의 성분으로서 BaO 및 CaO로 치환될 수 있다. 소망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SrO의 함유량은 0중량% 이상 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ZrO2는 굴절률을 더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그러나, 과잉 첨가는 내실투성의 악화로 이어진다. 첨가량은 0중량% 이상 4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Nb2O5는 고굴절률을 얻기 위한 유효 성분이다. Nb2O5의 함유율을 합계 함유율의 3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용해성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WO3은 고굴절률을 얻기 위한 유효 성분이다. WO3의 함유율을 합계 함유율의 3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용해성을 쉽게 얻을 수 있다.
Sb2O3은 탈포 기능 및 소색 기능을 갖는 성분이다. Sb2O3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0.3중량% 이하이다.
광학 유리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혼합 원료를 상술한 각 구성 성분의 원료 파우더를 소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얻는다. 이어서, 상기 혼합 원료를 대략 1,100℃~1,350℃로 가열한 도가니에 소정량씩 투입하고, 도가니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순차 용융시킨다(용융 처리). 또한, 도가니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용융된 혼합 원료를 소정 시간에 걸쳐 교반하고(교반 처리), 이어서 정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포를 제거한다(정화 처리). 마지막으로, 도가니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도가니로부터 유리를 유출시키고, 사전에 소정 온도로 가열한 몰드에 캐스팅하고, 서서히 냉각하여 실시 형태의 광학 유리를 얻는다.
또한, 광학 유리로 렌즈를 형성할 경우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광학 유리를 프레스 성형하는 광학 소자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광학 유리를 소망의 크기 및 형상으로 가공하여 프리폼을 형성한다. 이어서, 고정밀로 가공된 금속 몰드에 상기 프리폼을 삽입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이때, 상기 몰드와 프리폼 모두의 온도를 프리폼의 변형 온도 부근까지 승온시킨 후에 가압하고, 이어서 가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를 유리 전이온도 이하로 강온한다. 상기 프레스 성형된 렌즈를 금속 몰드로부터 꺼낸 후, 필요에 의해 아닐링과 같은 소정의 공정을 행함으로써 렌즈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유리에 의하면 상술한 각 성분을 소정량으로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고굴절률 및 저분산이 확보되고, 동시에 변형 온도(및 유리 전이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d선에 대한 굴절률 nd를 1.68~1.70 정도로 높게 하고, 아베수 vd를 54 초과로 확보하면서, 유리 전이온도 Tg를 570℃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리의 변형 온도 Ts 부근의 온도에서 프레스 성형을 행했을 경우에도, 미세 실투로 인한 클라우디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액상 온도 L.T는 990℃ 이하로 억제되므로, 유리 제조 공정시 결정화에 인한 실투가 초래되기 어렵고, 뛰어난 양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Sb2O3을 첨가함으로써 실용상 방해가 되는 착색 및 기포 오염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광학 유리를 이용하여 양호한 광학 특성을 갖는 몰드 렌즈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유리의 프레스 성형에 사용하는 금속 몰드에 가해지는 열부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 유리의 사용은 금속 몰드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유리는 비소(As), 납(Pb) 및 텔루륨(Te) 등의 환경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유리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1 및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광학 유리(실시예 1~12)를 구성하는 성분 및 상기 각 성분의 함유율(중량%)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12의 광학 유리의 각종 특성값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d선에 대한 굴절률 nd, 아베수 vd, 유리 전이온도 Tg(℃), 변형 온도 Ts(℃), 액상 온도 L.T(℃), 및 프레스 성형시 클라우디 하드니스(hardness to be cloudy)를 각각 나타낸다.
<클라우디 하드니스의 평가 시험>
각 렌즈 1~12에 콘덴싱 램프(condensing lamp)로부터 광조사하고, 클라우디 하드니스를 하기의 기준에 의해 표면의 반사도로 평가했다. 광이 투과하는 영역에서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클라우디를 가진 샘플은 "A"이다. 빛이 투과하는 영역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는 클라우디를 가진 샘플은 "B"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광학 유리는 소정의 함유율로 SiO2, B2O3, Al2O3, Li2O, BaO, CaO, ZnO, La2O3, Gd2O3 및 Y2O3을 포함한다.
SiO2: 10중량% 이상 17중량% 이하
B2O3: 23중량% 이상 30중량% 이하
Al2O3: 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
Li2O: 2중량% 이상 3.5중량% 이하
BaO: 1중량% 이상 4중량% 이하
CaO: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
ZnO: 0.5중량% 이상 6중량% 이하
La2O3: 22중량% 이상 30중량% 이하
Gd2O3: 0.5중량% 이상 7중량% 이하
Y2O3: 5중량% 이상 11중량% 이하
또한, 실시예 7~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광학 유리는 Na2O, K2O, SrO, ZrO2, Nb2O5, 및 W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각 성분의 함유율은 다음과 같다.
Na2O: 1.5중량%
K2O: 1.5중량%
SrO: 4중량%
ZrO2: 3중량%
Nb2O5: 2중량%
WO3: 2중량%
실시예 1~12에 있어서의 각각의 광학 유리는 1중량% 이하의 Sb2O3을 포함한다.
실시예 1~12에 있어서의 임의의 광학 유리는 상기 조건식(1) 및 (2)을 만족한다.
표 1 및 2에 나타낸 각종 데이터로부터 명백해 지듯이, 실시예 1~12에서는 1.68~1.70 정도로 높은 굴절률 nd 및 54를 초과하는 고아베수 vd를 확보하고, 또한 570℃ 미만의 유리 전이온도 Tg가 얻어진다. 또한, 유리가 프레스 몰딩 온도 영역에 유지되어도 미세 실투로 인한 클라우디가 발생하기 어렵고, 액상 온도 L.T가 990℃ 이하로 억제되고, 유리가 유리 제조 공정시 결정화로 인해 실투되지 않아서,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유리는 굴절률 nd, 아베수 vd, 및 유리 전이온도 Tg의 발랜스가 매우 우수하고, 또한 프레스 몰딩시 미세 실투로 인한 클라우디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유리는 유리 제조 공정시 양산성이 우수하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 유리는 양산성이 우수하고, 고정밀한 프레스 성형이 광학 유리를 이용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가능하고, 또한 높은 광학 성능을 갖는 렌즈의 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유리의 성분은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값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값이 취해질 수 있다.

Claims (2)

  1. SiO2를 10중량% 이상 17중량% 이하;
    B2O3을 23중량% 이상 30중량% 이하;
    Al2O3을 0.1중량% 이상 1중량% 이하;
    Li2O를 2중량% 이상 3.5중량% 이하;
    BaO를 1중량% 이상 4중량% 이하;
    CaO를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
    ZnO를 0.5중량% 이상 6중량% 이하;
    La2O3을 22중량% 이상 30중량% 이하;
    Gd2O3을 0.5중량% 이상 7중량% 이하; 및
    Y2O3을 5중량% 이상 11중량% 이하 포함하는 광학 유리로서:
    하기 조건식(1) 및 (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리.
    0.35<A/B<0.70 ... (1)
    0.80<C/D<1.0 ... (2)
    [여기서 A는 SiO2의 함유율(중량%), B는 B2O3의 함유율(중량%), C는 La2O3, Gd2O3 및 Y2O3의 합계 함유율(중량%), 및 D는 SiO2 및 B2O3의 합계 함유율(중량%)임]
  2. 제 1 항에 있어서,
    Na2O, K2O, SrO, ZrO2, Nb2O5, WO3, 및 Sb2O3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NaO2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이고, 상기 K2O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이고, 상기 SrO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이고, 상기 ZrO2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4중량% 이하이고, 상기 Nb2O5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이고, 상기 WO3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3중량% 이하이고, 상기 Sb2O3의 함유율은 0중량% 이상 1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유리.
KR1020110057539A 2010-06-15 2011-06-14 광학 유리 KR20110136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6660A JP5501109B2 (ja) 2010-06-15 2010-06-15 光学ガラス
JPJP-P-2010-136660 2010-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750A true KR20110136750A (ko) 2011-12-21

Family

ID=4500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539A KR20110136750A (ko) 2010-06-15 2011-06-14 광학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99371B2 (ko)
EP (1) EP2404881B1 (ko)
JP (1) JP5501109B2 (ko)
KR (1) KR20110136750A (ko)
CN (1) CN102295410B (ko)
TW (1) TWI4929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9591B2 (ja) * 2013-07-31 2016-12-21 株式会社オハラ 光学ガラス、プリフォーム材及び光学素子
WO2016068124A1 (ja) * 2014-10-27 2016-05-06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光学素子および光学ガラス素材
JP6576040B2 (ja) * 2015-01-07 2019-09-18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光学素子および光学ガラス素材
WO2017002956A1 (ja) * 2015-07-02 2017-01-05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および光学素子
TWI731991B (zh) * 2016-06-29 2021-07-01 日商小原股份有限公司 光學玻璃、預成形材以及光學元件
JP2017171578A (ja) * 2017-06-23 2017-09-28 株式会社オハラ 光学ガラス及び光学素子
JP6735402B2 (ja) * 2019-08-20 2020-08-05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光学素子および光学ガラス素材
US11802073B2 (en) 2020-09-10 2023-10-31 Corning Incorporated Silicoborate and borosilicate glasses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low density
US11976004B2 (en) 2020-09-10 2024-05-07 Corning Incorporated Silicoborate and borosilicate glasses having high refractive index and high transmittance to blue ligh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1338A (ja) * 1984-04-12 1985-11-06 Ohara Inc 光学ガラス
CN1155528C (zh) * 1997-09-01 2004-06-30 株式会社小原 光学玻璃
JP3059719B2 (ja) 1998-04-28 2000-07-04 ホーヤ株式会社 光学ガラス、それを用いた精密プレス成形用素材および光学部品
US6251813B1 (en) * 1998-04-28 2001-06-26 Hoya Corporation Optical glass and its use
JP3377454B2 (ja) 1998-10-12 2003-02-17 株式会社オハラ モールドプレス用光学ガラス
JP2001130924A (ja) 1999-10-28 2001-05-15 Hoya Corp 精密プレス成形用ガラス、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82752B2 (ja) * 2002-07-03 2007-09-26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および光学素子
JP4410733B2 (ja) * 2005-07-29 2010-02-03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精密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とその製造方法、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4847769B2 (ja) * 2006-03-24 2011-12-28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精密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51225B2 (ja) * 2006-03-28 2011-08-17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精密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光学素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671298B2 (ja) * 2007-02-21 2011-04-13 Hoya株式会社 光学ガラス、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および光学素子
JP5727691B2 (ja) * 2008-04-30 2015-06-03 株式会社オハラ 光学ガラス、光学素子及び光学機器
JP2010136660A (ja) 2008-12-11 2010-06-24 Japan Health Science Foundation Gタンパク質制御カリウムチャネルの変異型の検出による不整脈検査方法及び不整脈改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44247A (en) 2011-12-16
US20110306487A1 (en) 2011-12-15
EP2404881A1 (en) 2012-01-11
EP2404881B1 (en) 2013-08-21
TWI492912B (zh) 2015-07-21
CN102295410B (zh) 2015-04-08
JP2012001382A (ja) 2012-01-05
CN102295410A (zh) 2011-12-28
US8399371B2 (en) 2013-03-19
JP5501109B2 (ja)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6750A (ko) 광학 유리
TWI752046B (zh) 光學玻璃、預成形材以及光學元件
CN109081578B (zh) 光学玻璃、其预制件、光学元件和光学仪器
JP5427460B2 (ja) 光学ガラス
WO2019131123A1 (ja) 光学ガラス、プリフォーム及び光学素子
JP5835642B2 (ja) 光学ガラス
CN106167354B (zh) 一种光学玻璃以及光学元件
JP2017190280A (ja) 光学ガラス
JP6694229B2 (ja) ガラス
EP2161245B1 (en) Bismuth borate optical glass
JP5824070B2 (ja) 光学ガラス、光学素子、および光学機器
JP6721087B2 (ja) 光学ガラス、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および光学素子
JP6792566B2 (ja) 光学ガラス、光学素子、及び光学装置
TWI659004B (zh) Optical glass, preforms and optical components
WO2020262014A1 (ja) 光学ガラス、プリフォーム及び光学素子
JP6771365B2 (ja) 光学ガラス、光学素子、及び光学装置
CN110963700A (zh) 光学玻璃、其预制件、光学元件和光学仪器
JP2021534063A (ja) 光学ガラス、光学ガラスで製造されるガラスプリフォーム又は光学素子及び光学機器
JP6864731B2 (ja) 光学ガラス、光学ガラスを用いた光学素子、光学装置
JP2019119633A (ja) 光学ガラス、光学素子およびプリフォーム
JP2022138242A (ja) 光学ガラス及び光学素子
TW202317490A (zh) 光學玻璃、預成形體以及光學元件
JPWO2009116645A1 (ja) 光学ガラス、それを用いた精密プレス成形用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素子
JP2008169076A (ja) プレス成形用光学ガラス及び光学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