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635A - 내부전압생성회로 - Google Patents

내부전압생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635A
KR20110134635A KR1020100054317A KR20100054317A KR20110134635A KR 20110134635 A KR20110134635 A KR 20110134635A KR 1020100054317 A KR1020100054317 A KR 1020100054317A KR 20100054317 A KR20100054317 A KR 20100054317A KR 20110134635 A KR20110134635 A KR 2011013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pull
internal voltage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330B1 (ko
Inventor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10005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330B1/ko
Priority to US13/096,540 priority patent/US8390368B2/en
Publication of KR2011013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내부전압생성회로는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는 공급전압구동부와, 상기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내부전압구동부와, 상기 제2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풀업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제3 풀업신호로 선택하여, 상기 공급전압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부전압생성회로{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전압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메모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을 인가받아 내부동작에 필요한 내부전압을 생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메모리 장치의 내부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는 메모리 코어영역에 공급하는 코어전압(VCORE), 워드라인을 구동하거나 오버드라이빙 시에 사용되는 고전압(VPP), 코어영역의 앤모스트랜지스터의 벌크(bulk)전압으로 공급되는 백바이어스전압(VBB) 등이 있다.
한편, 프리차지 동작 시 비트라인쌍(BL,/BL)을 프리차지하기 위해 공급되는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메모리셀에 공급되는 셀플레이트전압(VCP)은 코어전압(VCORE)을 인가받아 구동된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구동회로는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 및 셀플레이트전압(VCP)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전류를 빠른 속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개수로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의 코어전압(VCORE)구동회로는 액티브 동작이 수행될 때 코어전압(VCORE)을 구동하고, 액티브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한다. 그런데, 액티브 동작 수행 중이더라도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 및 셀플레이트전압(VCP)이 목표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 및 셀플레이트전압(VCP)을 생성하기 위해 코어전압(VCORE)이 인가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종래의 코어전압(VCORE)구동회로는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 및 셀플레이트전압(VCP)의 생성에 코어전압(VCORE)이 인가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코어전압(VCORE)을 구동하므로,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내부전압의 레벨에 따라 공급전압을 구동하는 구동력을 조절하여 전류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내부전압생성회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는 공급전압구동부와, 상기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내부전압구동부와, 상기 제2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풀업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제3 풀업신호로 선택하여, 상기 공급전압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는 공급전압구동부와, 상기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1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1 내부전압구동부와, 상기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3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2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2 내부전압구동부와, 상기 제2 및 제3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풀업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제4 풀업신호로 선택하여, 상기 공급전압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내부전압구동부와, 상기 제1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와, 상기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공급전압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풀업신호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내부전압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1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1 내부전압구동부와,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2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2 내부전압구동부와, 상기 제1 및 제2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와, 상기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공급전압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풀업신호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내부전압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부전압생성회로에 포함된 멀티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공급전압구동부(10), 내부전압구동부(11) 및 구동제어부(12)로 구성된다.
공급전압구동부(10)는 노드(nd11)와 노드(nd13) 사이에 직렬연결되어 공급전압인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노드(nd12)로 출력하는 다이오드소자들(D10, D11)과, 노드(nd12)의 신호와 바이어스전압(VBIAS)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PU1)를 생성하는 비교기(100)와, 제1 풀업신호(PU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코어전압(VCORE)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10)와, 액티브동작 시 로직하이레벨인 액티브신호(VINT_ACT)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제1 풀업신호(PU1)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구동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11)와, 액티브신호(VINT_ACT)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노드(nd13)을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급전압구동부(10)는 액티브동작 시에는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생성된 노드(nd12)의 신호가 바이어스전압(VBIAS)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PMOS 트랜지스터(P10)를 턴온시켜 코어전압(VCORE)을 풀업구동한다. 한편, 공급전압구동부(10)는 액티브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는 PMOS 트랜지스터(P11)를 턴온시켜 제1 풀업신호(PU1)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내부전압구동부(11)는 내부전압인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하한기준전압(VBLPL)을 비교하여 제2 풀업신호(PU2)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110)와,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상한기준전압(VBLPH)을 비교하여 풀다운신호(PD)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111)와, 제2 풀업신호(PU2)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12)와, 풀다운신호(PD)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내부전압구동부(11)는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2 풀업신호(PU2)를 생성하여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하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제2 풀업신호(PU2)를 생성하여 코어전압(VCORE)에 의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을 중단한다.
구동제어부(12)는 제2 풀업신호(PU2)를 반전버퍼링하여 제1 제어신호(CTR1)를 출력하는 버퍼로 동작하는 인버터(IV10)와, 제1 제어신호(CTR1)에 따라 전원전압(VDD) 또는 제1 풀업신호(PU1)를 제3 풀업신호(PU3)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120)와, 제3 풀업신호(PU3)에 응답하여 코어전압(VCORE)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13)로 구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멀티플렉서(120)는 제1 제어신호(CTR1)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전원전압(VDD)을 제3 풀업신호(PU3)로 전달하는 제1 전달게이트(T10)와, 제1 제어신호(CTR1)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제1 풀업신호(PU1)를 제3 풀업신호(PU3)로 전달하는 제2 전달게이트(T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제어부(12)는 로직하이레벨의 제1 제어신호(CTR1)가 생성되는 경우 제1 풀업신호(PU1)를 제3 풀업신호(PU3)로 전달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유지하고, 로직로우레벨의 제1 제어신호(CTR1)가 생성되는 경우 전원전압(VDD)을 제3 풀업신호(PU3)로 전달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되, 액티브 동작 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와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2)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은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된다. 이때, 구동제어부(12)의 제1 제어신호(CTR1)는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되어 제1 풀업신호(PU1)를 제3 풀업신호(PU3)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 풀업신호(PU1)의 레벨에 따라 코어전압(VCORE)이 구동된다.
다음으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2)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은 중단된다. 이때, 구동제어부(12)의 제1 제어신호(CTR1)는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되어 전원전압(VDD)이 제3 풀업신호(PU3)로 전달된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의 레벨에 관계없이 PMOS 트랜지스터(P13)가 턴오프되어 코어전압(VCORE)을 구동하는 구동력이 감소된다.
이상 살펴본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액티브동작 수행 중이라도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높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코어전압(VCORE)을 구동하는 구동력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절감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공급전압구동부(20), 제1 내부전압구동부(21), 제2 내부전압구동부(22) 및 구동제어부(23)로 구성된다.
공급전압구동부(20)는 노드(nd21)와 노드(nd23) 사이에 직렬연결되어 공급전압인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노드(nd22)로 출력하는 다이오드소자들(D20, D21)과, 노드(nd22)의 신호와 바이어스전압(VBIAS)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PU21)를 생성하는 비교기(200)와, 제1 풀업신호(PU2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코어전압(VCORE)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20)와, 액티브동작 시 로직하이레벨인 액티브신호(VINT_ACT)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제1 풀업신호(PU21)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구동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21)와, 액티브신호(VINT_ACT)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노드(nd23)을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급전압구동부(20)는 액티브동작 시에는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생성된 노드(nd22)의 신호가 바이어스전압(VBIAS)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PMOS 트랜지스터(P20)를 턴온시켜 코어전압(VCORE)을 풀업구동한다. 한편, 공급전압구동부(20)는 액티브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는 PMOS 트랜지스터(P21)를 턴온시켜 제1 풀업신호(PU21)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제1 내부전압구동부(21)는 내부전압인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하한기준전압(VBLPL)을 비교하여 제2 풀업신호(PU22)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210)와,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상한기준전압(VBLPH)을 비교하여 제1 풀다운신호(PD21)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211)와, 제2 풀업신호(PU22)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22)와, 제1 풀다운신호(PD2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내부전압구동부(21)는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2 풀업신호(PU22)를 생성하여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하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제2 풀업신호(PU22)를 생성하여 코어전압(VCORE)에 의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을 중단한다.
제2 내부전압구동부(22)는 내부전압인 셀플레이트전압(VCP)과 제2 하한기준전압(VCPL)을 비교하여 제3 풀업신호(PU23)를 생성하는 제3 비교기(220)와, 셀플레이트전압(VCP)과 제2 상한기준전압(VCPH)을 비교하여 제2 풀다운신호(PD22)를 생성하는 제4 비교기(241)와, 제3 풀업신호(PU23)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셀플레이트전압(VCP)을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23)와, 제2 풀다운신호(PD22)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셀플레이트전압(VCP)을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내부전압구동부(22)는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3 풀업신호(PU23)를 생성하여 셀플레이트전압(VCP)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하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제3 풀업신호(PU23)를 생성하여 코어전압(VCORE)에 의한 셀플레이트전압(VCP)의 구동을 중단한다.
구동제어부(23)는 제2 풀업신호(PU22) 및 제3 풀업신호(PU23)가 모두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2 제어신호(CTR2)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230)와, 제2 제어신호(CTR2)에 따라 전원전압(VDD) 또는 제1 풀업신호(PU21)를 제4 풀업신호(PU4)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231)와, 제4 풀업신호(PU4)에 응답하여 코어전압(VCORE)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24)로 구성된다. 제어신호생성부(230)는 제2 풀업신호(PU22)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20)와, 제3 풀업신호(PU23)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21)와, 인버터들(IV20, IV2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제2 제어신호(CTR2)를 생성하는 오어게이트(OR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제어부(23)는 로직하이레벨의 제2 제어신호(CTR2)가 생성되는 경우 제1 풀업신호(PU21)를 제4 풀업신호(PU4)로 전달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유지하고, 로직로우레벨의 제2 제어신호(CTR2)가 생성되는 경우 전원전압(VDD)을 제4 풀업신호(PU4)로 전달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되, 액티브 동작 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와,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및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의 레벨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22)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은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된다. 이때, 구동제어부(23)의 제2 제어신호(CTR2)는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되어 제1 풀업신호(PU21)를 제4 풀업신호(PU4)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 풀업신호(PU21)의 레벨에 따라 코어전압(VCORE)이 구동된다.
다음으로,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 제3 풀업신호(PU23)에 의해 셀플레이트전압(VCP)은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된다. 이때, 구동제어부(23)의 제2 제어신호(CTR2)는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되어 제1 풀업신호(PU21)를 제4 풀업신호(PU4)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 풀업신호(PU21)의 레벨에 따라 코어전압(VCORE)이 구동된다.
다음으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22)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은 중단되고,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 제3 풀업신호(PU23)에 의해 셀플레이트전압(VCP)의 구동은 중단된다. 이때, 구동제어부(23)의 제2 제어신호(CTR2)는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되어 전원전압(VDD)이 제4 풀업신호(PU4)로 전달된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의 레벨에 관계없이 PMOS 트랜지스터(P24)가 턴오프되어 코어전압(VCORE)을 구동하는 구동력이 감소된다.
이상 살펴본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액티브동작 수행 중이라도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가져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 이상의 레벨을 가져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코어전압(VCORE)을 구동하는 구동력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절감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공급전압구동부(30), 내부전압구동부(31) 및 제어신호생성부(32)로 구성된다.
공급전압구동부(30)는 노드(nd31)와 노드(nd33) 사이에 직렬연결되어 공급전압인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노드(nd32)로 출력하는 다이오드소자들(D30, D31)과, 노드(nd32)의 신호와 바이어스전압(VBIAS)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PU30)를 생성하는 비교기(300)와, 제1 풀업신호(PU30)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코어전압(VCORE)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30)와, 제3 제어신호(CTR3)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제1 풀업신호(PU30)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구동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31)와, 제3 제어신호(CTR3)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노드(nd33)을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급전압구동부(30)는 제3 제어신호(CTR3)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생성된 노드(nd32)의 신호와 바이어스전압(VBIAS)을 비교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결정한다. 즉, 노드(nd32)의 신호가 바이어스전압(VBIAS)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PMOS 트랜지스터(P30)를 턴온시켜 코어전압(VCORE)을 풀업구동한다. 한편, 제3 제어신호(CTR3)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공급전압구동부(30)는 PMOS 트랜지스터(P31)를 턴온시켜 제1 풀업신호(PU30)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내부전압구동부(31)는 내부전압인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하한기준전압(VBLPL)을 비교하여 제2 풀업신호(PU31)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310)와,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상한기준전압(VBLPH)을 비교하여 풀다운신호(PD31)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311)와, 제2 풀업신호(PU3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32)와, 풀다운신호(PD3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내부전압구동부(31)는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2 풀업신호(PU31)를 생성하여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하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제2 풀업신호(PU31)를 생성하여 코어전압(VCORE)에 의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을 중단한다.
제어신호생성부(32)는 파워업신호(PWRUPB)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30)와, 제2 풀업신호(PU31)와 인버터(IV3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부정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제3 제어신호(CTR3)를 생성하는 노어게이트(NR30)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워업신호(PWRUPB)는 파워업구간에서 로직로우레벨이고, 파워업구간 종료 후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신호생성부(32)는 파워업구간 또는 제2 풀업신호(PU31)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3 제어신호(CTR3)를 생성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되, 액티브 동작 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와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31)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은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된다. 이때, 제어신호생성부(32)는 로직하이레벨의 제3 제어신호(CTR3)를 생성하여 공급전압구동부(30)의 PMOS 트랜지스터(P31)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은 제1 풀업신호(PU30)의 레벨에 따라 구동된다.
다음으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31)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은 중단된다. 이때, 제어신호생성부(32)는 로직로우레벨의 제3 제어신호(CTR3)를 생성하여 공급전압구동부(30)의 PMOS 트랜지스터(P31)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의 레벨에 관계없이 PMOS 트랜지스터(P30)가 턴오프되어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이 중단된다.
이상 살펴본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액티브동작 수행 중이라도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높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절감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공급전압구동부(40), 제1 내부전압구동부(41), 제2 내부전압구동부(42) 및 제어신호생성부(43)로 구성된다.
공급전압구동부(40)는 노드(nd41)와 노드(nd43) 사이에 직렬연결되어 공급전압인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노드(nd42)로 출력하는 다이오드소자들(D40, D41)과, 노드(nd42)의 신호와 바이어스전압(VBIAS)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PU40)를 생성하는 비교기(400)와, 제1 풀업신호(PU40)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코어전압(VCORE)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40)와, 제4 제어신호(CTR4)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제1 풀업신호(PU40)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는 구동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41)와, 제4 제어신호(CTR4)를 입력받아 턴온되어 노드(nd43)을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급전압구동부(40)는 제4 제어신호(CTR4)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코어전압(VCORE)을 전압분배하여 생성된 노드(nd42)의 신호와 바이어스전압(VBIAS)을 비교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결정한다. 즉, 노드(nd42)의 신호가 바이어스전압(VBIAS)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PMOS 트랜지스터(P40)를 턴온시켜 코어전압(VCORE)을 풀업구동한다. 한편, 제4 제어신호(CTR4)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공급전압구동부(40)는 PMOS 트랜지스터(P41)를 턴온시켜 제1 풀업신호(PU40)를 전원전압(VDD)으로 풀업구동하여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제1 내부전압구동부(41)는 내부전압인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하한기준전압(VBLPL)을 비교하여 제2 풀업신호(PU41)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410)와,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과 제1 상한기준전압(VBLPH)을 비교하여 제1 풀다운신호(PD41)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411)와, 제2 풀업신호(PU4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42)와, 제1 풀다운신호(PD41)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내부전압구동부(41)는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2 풀업신호(PU41)를 생성하여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하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제2 풀업신호(PU41)를 생성하여 코어전압(VCORE)에 의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을 중단한다.
제2 내부전압구동부(42)는 내부전압인 셀플레이트전압(VCP)과 제2 하한기준전압(VCPL)을 비교하여 제3 풀업신호(PU42)를 생성하는 제3 비교기(420)와, 셀플레이트전압(VCP)과 제2 상한기준전압(VCPH)을 비교하여 제3 풀다운신호(PD42)를 생성하는 제4 비교기(421)와, 제3 풀업신호(PU42)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셀플레이트전압(VCP)을 풀업구동하는 PMOS 트랜지스터(P43)와, 제2 풀다운신호(PD42)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셀플레이트전압(VCP)을 풀다운구동하는 NMOS 트랜지스터(N4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내부전압구동부(42)는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3 풀업신호(PU42)를 생성하여 셀플레이트전압(VCP)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하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제3 풀업신호(PU42)를 생성하여 코어전압(VCORE)에 의한 셀플레이트전압(VCP)의 구동을 중단한다.
제어신호생성부(43)는 제2 풀업신호(PU41)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40)와, 제3 풀업신호(PU42)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41)와, 파워업신호(PWRUPB)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42)와, 인버터들(IV40~IV4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제4 제어신호(CTR4)를 생성하는 오아게이트(OR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신호생성부(43)는 파워업구간이 종료되고, 제2 풀업신호(PU41) 및 제3 풀업신호(PU42)가 모두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제4 제어신호(CTR4)를 생성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전압생성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되, 액티브 동작 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와,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및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의 레벨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41)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은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된다. 이때, 제어신호생성부(43)는 로직하이레벨의 제4 제어신호(CTR4)를 생성하여 공급전압구동부(40)의 PMOS 트랜지스터(P41)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은 제1 풀업신호(PU40)의 레벨에 따라 구동된다.
다음으로,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생성된 제4 풀업신호(PU42)에 의해 셀플레이트전압(VCP)은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된다. 이때, 제어신호생성부(43)는 로직하이레벨의 제4 제어신호(CTR4)를 생성하여 공급전압구동부(40)의 PMOS 트랜지스터(P41)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은 제1 풀업신호(PU40)의 레벨에 따라 구동된다.
다음으로,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갖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 제2 풀업신호(PU41)에 의해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의 구동은 중단되고,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된 제3 풀업신호(PU42)에 의해 셀플레이트전압(VCP)의 구동은 중단된다. 이때, 제어신호생성부(43)는 로직로우레벨의 제4 제어신호(CTR4)를 생성하여 공급전압구동부(40)의 PMOS 트랜지스터(P41)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코어전압(VCORE)의 레벨에 관계없이 PMOS 트랜지스터(P40)가 턴오프되어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이 중단된다.
이상 살펴본 본 실시예의 내부전압생성회로는 액티브동작 수행 중이라도 비트라인프리차지전압(VBLP)이 제1 하한기준전압(VBLPL) 이상의 레벨을 가져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고, 셀플레이트전압(VCP)이 제2 하한기준전압(VCPL) 이상의 레벨을 가져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코어전압(VCORE)의 구동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절감시킨다.
<도 1>
10: 공급전압구동부 11: 내부전압구동부
110: 제1 비교기 111: 제2 비교기
12: 구동제어부 120: 멀티플렉서
<도 3>
20: 공급전압구동부 21: 제1 내부전압구동부
22: 제2 내부전압구동부 23: 구동제어부
230: 제어신호생성부 231: 멀티플렉서
<도 4>
30: 공급전압구동부 31: 내부전압구동부
32: 제어신호생성부
<도 5>
40: 공급전압구동부 41: 제1 내부전압구동부
42: 제2 내부전압구동부 43: 제어신호생성부

Claims (26)

  1.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는 공급전압구동부;
    상기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내부전압구동부; 및
    상기 제2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풀업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제3 풀업신호로 선택하여, 상기 공급전압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압구동부는 액티브동작 시 상기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가 상기 바이어스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내부전압이 하한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내부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내부전압이 상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상기 내부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내부전압이 하한기준전압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우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제3 풀업신호로 전달하여 상기 공급전압의 구동을 중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2 풀업신호를 버퍼링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전압 또는 상기 제1 풀업신호를 상기 제3 풀업신호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3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상기 공급전압을 상기 전원전압으로 구동하는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7.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는 공급전압구동부;
    상기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1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1 내부전압구동부;
    상기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3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2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2 내부전압구동부; 및
    상기 제2 및 제3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풀업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제4 풀업신호로 선택하여, 상기 공급전압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압구동부는 액티브동작 시 상기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가 상기 바이어스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1 내부전압이 제1 하한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내부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1 내부전압이 제1 상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내부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제1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2 내부전압이 제2 하한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2 내부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3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2 내부전압이 제2 상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2 내부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제2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1 내부전압이 제1 하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이거나 상기 제2 내부전압이 제2 하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일 때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제3 풀업신호로 전달하여 상기 공급전압의 구동을 중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2 풀업신호 및 제3 풀업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전압 또는 상기 제1 풀업신호를 상기 제4 풀업신호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4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상기 공급전압을 상기 전원전압으로 구동하는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5.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내부전압구동부;
    상기 제1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 및
    상기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기 위한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공급전압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풀업신호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내부전압이 하한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내부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내부전압이 상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상기 내부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생성부는 파워업구간이 종료되고, 상기 내부전압의 레벨이 하한기준전압의 레벨 이상인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압구동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2 풀업신호를 전원전압으로 구동하는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0.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1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1 내부전압구동부;
    공급전압을 인가받아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여 제2 내부전압을 구동하는 제2 내부전압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풀업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 및
    상기 공급전압을 전압분배한 신호와 바이어스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공급전압을 구동하기 위한 제3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공급전압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풀업신호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1 내부전압이 하한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내부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1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1 내부전압이 상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1 내부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2 내부전압이 하한기준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2 내부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2 풀업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전압구동부는 상기 제2 내부전압이 상한기준전압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 상기 제2 내부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풀다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생성부는 파워업구간이 종료되고, 상기 제1 내부전압의 레벨이 제1 하한기준전압의 레벨 이상이며, 상기 제2 내부전압의 레벨이 제2 하한기준전압의 레벨 이상인 경우 디스에이블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전압구동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3 풀업신호를 전원전압으로 구동하는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내부전압생성회로.
KR1020100054317A 2010-06-09 2010-06-09 내부전압생성회로 KR10111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317A KR101113330B1 (ko) 2010-06-09 2010-06-09 내부전압생성회로
US13/096,540 US8390368B2 (en) 2010-06-09 2011-04-28 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317A KR101113330B1 (ko) 2010-06-09 2010-06-09 내부전압생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35A true KR20110134635A (ko) 2011-12-15
KR101113330B1 KR101113330B1 (ko) 2012-02-27

Family

ID=4509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317A KR101113330B1 (ko) 2010-06-09 2010-06-09 내부전압생성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90368B2 (ko)
KR (1) KR101113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781A (ko) * 2012-05-21 2013-11-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내부전압생성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035A (ko) * 2013-09-30 2015-04-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내부전압 생성회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3722B1 (en) * 2003-01-30 2004-06-22 Xilin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regulation within an integrated circuit
JP3967722B2 (ja) * 2004-01-15 2007-08-2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KR100695419B1 (ko) * 2004-11-04 2007-03-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원 발생장치
KR100930394B1 (ko) 2008-10-02 2009-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생성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781A (ko) * 2012-05-21 2013-11-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내부전압생성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90368B2 (en) 2013-03-05
KR101113330B1 (ko) 2012-02-27
US20110304384A1 (en)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1937A1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KR100812936B1 (ko) 스탠바이 모드에서 누설전류가 감소된 내부전원전압발생회로
US796979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113330B1 (ko) 내부전압생성회로
US8212609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KR20100064902A (ko) 버퍼인에이블신호 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입력회로
US8649232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1226275B1 (ko) 내부전압생성회로
KR20150030502A (ko) 내부전압생성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KR20150104297A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US20150121109A1 (en) Voltage regulator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30394B1 (ko) 내부전압 생성회로
KR20150037035A (ko) 내부전압 생성회로
KR20160107842A (ko)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20220019323A (ko) 파워게이팅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KR100924345B1 (ko) 내부전압 생성회로
KR101897239B1 (ko) 내부전압생성회로
KR20070056661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코어 전압 제어 회로
KR20100064896A (ko) 워드라인신호 생성회로
KR20150095968A (ko) 반도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37034A (ko) 반도체 장치
US8253480B2 (en) Internal voltage control circuit
US7545204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30076584A (ko) 내부전압 생성회로
KR100642398B1 (ko) 센스엠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