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997A - 차량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997A
KR20110131997A KR1020100051766A KR20100051766A KR20110131997A KR 20110131997 A KR20110131997 A KR 20110131997A KR 1020100051766 A KR1020100051766 A KR 1020100051766A KR 20100051766 A KR20100051766 A KR 20100051766A KR 20110131997 A KR20110131997 A KR 2011013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mber
guide
air
intak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720B1 (ko
Inventor
황동우
한중만
정동미
박상규
한영흠
김두훈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72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60H2003/0666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the filter element having non-rectang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프레임이 생략된 필터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수납부에 삽입하면 복원력에 의하여 안쪽은 펼쳐지고 필터 삽입구쪽은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의 A/S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외기유입구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내외기전환도어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와 스크롤케이스의 사이에 필터 커버로 개폐되고 송풍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삽입구의 폭방향으로 수축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와, 상기 필터 삽입구의 폭보다 확장되고 필터부재가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필터 설치부와, 상기 필터부재가 펼쳐지는 필터 설치부를 일정 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송풍장치{AIR BLOWER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이 생략된 필터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수납부에 삽입하면 복원력에 의하여 안쪽은 펼쳐지고 필터 삽입구쪽은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뒤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한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43)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43)과, 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측(44)이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외기전환도어(23)는, 판(Plate)형, 공기의 압력을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한 돔(Dome)형, 원통형, 반구형 등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차량용 송풍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내부에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20)를 구비한다.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부에는,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하도록 송풍팬(35)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Scroll Case:30)가 결합된다.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케이스(30)의 사이에는, 필터부재(50)가 수납되는 수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2)에 삽입 설치되는 필터부재(50)는, 유입된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한다. 이러한 필터부재(50)는, 일정한 형태가 유지되도록 프레임부(26)에 의하여 감싸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케이스(30)에는 송풍팬(35)이 설치되고, 이 송풍팬(35)은 스크롤케이스(30)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36)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50)를 감싸는 프레임부(26)의 일측에는, 필터 커버부재(50a)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 커버(52)는, 수납부(32)를 밀폐하여 누설이 방지되도록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한 필터커버(52)는, 필터부재(50)를 교환할 수 있도록 수납부(32)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 및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내기유입모드시에는, 내외기전환도어(23)에 의하여 내기유입구(21)가 개방되고 외기유입구(22)는 밀폐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송풍팬(35)의 작동으로 벨마우스(31)를 통과한 후 스크롤케이스(30)를 따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그리고, 외기유입모드시에는, 반대로 내외기전환도어(23)에 의하여 내기유입구(21)가 밀폐되고 외기유입구(22)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송풍팬(35)의 작동으로 벨마우스(Bell Mouth:31)를 통과하고 스크롤케이스(30)를 따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상기 내외기가 통과하는 필터부재(50)는, 프레임부(26)로 감싸여 기본 형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프레임부(26)는 삭제될 수도 있다.
상기한 필터부재(50)는 장시간 사용시 청소 및 교환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송풍장치(10)는 글로브 박스 뒤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장치(10)는, 글로브 박스를 제거하면 필터커버(52)가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송풍장치(10)의 설치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실내에서 보았을 때 필터커버(52)가 글로브 박스 설치구(54)에 가려 일부분이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필터부재(50)의 정비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커버(52)를 분리하더라도 글로브 박스 설치구(54)에 필터 삽입구가 일부 가려져 있기 때문에, 수납부(32)에서 필터부재(50)를 인출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50)는, 수납시에는 필터지(f)가 삽입된 분리용 필터트레이(56)(58)를 하나씩 수납부(32)에 수납하고, 인출시에는 필터프레이(56)(58)를 하나씩 분리시켜 꺼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부재(50)는, 필터트레이 제조시 금형을 이원화함으로써, 금형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트레이(56)(58)를 구비한 필터부재(50)의 정비시, 한꺼번에 수납부에서 인출할 수 없어 한 개씩 탈거한 후 정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이 생략된 필터부재를 접은 상태에서 수납부에 삽입하면 복원력에 의하여 안쪽은 펼쳐지고 필터 삽입구쪽은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안쪽은 넓게하고 필터 삽입구 쪽은 좁게 형성함으로써, 수납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가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삽입구 전체가 글로브 박스 설치구내에 드러나도록 하여 필터부재의 정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이 생략된 필터부재를 접어서 수납부에 삽입할 수 있고, 필터부재가 필터삽입구에 압축상태로 있기 때문에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부에 삽입시킨 필터부재가 필터 삽입구에 압축된 상태로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시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외기유입구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내외기전환도어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와 스크롤케이스의 사이에 필터 커버로 개폐되고 송풍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삽입구의 폭방향으로 수축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와, 상기 필터 삽입구의 폭보다 확장되고 필터부재가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필터설치부와, 상기 필터부재가 펼쳐지는 필터설치부를 일정 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 삽입구와 마주하는 안쪽 면에 필터 삽입구보다 긴 폭으로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와; 상기 직선 가이드와 필터 삽입구를 양쪽에서 직선 또는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측면 가이드와; 상기 필터 삽입구, 직선 가이드 및 측면 가이드의 하단 둘레에 필터부재의 삽입을 안내하고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턱에는, 필터부재의 삽입방향을 따라 평형하게 형성되고 필터부재의 골과 골사이에 위치하도록 필터 설치부내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필터 삽입구와 대항되는 일단부를 막도록 절첩 가능한 차단막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부에 필터부재를 접은 상태로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루브 박스 설치구를 통해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부재를 프레임 없이 제조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을 수 있고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부재에 필터 삽입구와 대항되는 일단부를 막고 절첩 가능한 차단막을 더 형성함으로써, 포집된 먼지가 스크롤케이스 낙하되지 않도록 하면서 필터부재를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부를 반원형 등변사다리꼴형으로 형성하여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필터부가 용이하게 확장됨으로써, 필터가 수납부에 정확히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부에 필터부재의 삽입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가이드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압축 및 복원시 가이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송풍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필터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필터부재의 유지 보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수납부에 수납되는 필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
도 8은, 도 5에 나타낸 수납부에 가이드 리브가 형성됨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송풍장치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기유입구(21)(22)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덕트(20)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케이스(30)의 사이에 필터 커버(52)로 개폐되고 송풍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50)가 수납되는 수납부(3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의 필터부재 및 수납부 특징을 도 5 및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필터부재(50)는, 상기 필터 삽입구(56)의 폭방향으로 수축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50)는, 프레임없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면서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된 필터지(f)로만 형성된다.
상기한 필터부재(50)에는, 필터 삽입구(56)와 대항되는 일단부를 막도록 절첩 가능한 차단막(5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막(52)은, 절첩시 용이하게 펴지거나 접힐 수 있는 필터 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막(52)은, 포집된 먼지가 필터부재(50)의 탈거시 스크롤케이스(30)에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50)가 수납되는 수납부(32)는, 필터부재(50)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56)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납부(32)에는, 상기 필터 삽입구(56)의 폭보다 확장되고 필터부재(50)가 펼쳐지도록 하는 필터 설치부(58)가 형성된다.
또한, 수납부(32)에는, 상기 필터부재(50)가 펼쳐지는 필터 설치부(58)를 일정 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부(60)가 형성된다.
상기한 가이드부(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삽입구(56)와 마주하는 안쪽에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62)를 구비한다. 상기한 직선 가이드(62)는, 필터 삽입구(56)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필터부재(50)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6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삽입구(56)와 마주하는 안쪽 면에 필터 삽입구(56)보다 긴 폭으로 직선 가이드(6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60)에는, 상기 직선 가이드(62)와 필터 삽입구(56)를 양쪽에서 직선 혹은 라운드지도록 연결하는 측면 가이드(63)가 연결된다.
상기한 폭이 좁은 필터 삽입구(56), 직선 가이드(62) 및 측면 가이드(63)로 형성되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수납부(32)는, 필터 삽입구(56)를 통해 삽입되는 필터부재(50)가 필터 설치부(58)에서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직선 가이드(62) 및 측면 가이드(63)의 하단 둘레에는 필터부재(50)의 삽입을 안내하고 안착되도록 가이드턱(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턱(66)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50)를 지지하도록 필터 설치부(58)에 필터부재(5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평형하게 가이드리브(6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리브(68)는, 필터부재(50)의 압축 및 복원될 때 골과 골사이로 배치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내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에 의하여 내기유입구(21)는 개방되고 외기유입구(22)는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내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송풍팬(35)의 작동으로 벨마우스(31)를 통과한 후 스크롤케이스(30)를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또한, 외기유입모드시에는, 위와 반대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에 의하여 내기유입구(21)는 밀폐되고 외기유입구(22)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벨마우스(31)를 통과하여 스크롤케이스(30)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상기한 차량용 송풍장치(10)가 내/외기유입모드를 수행하게 되면, 공기를 여과한 필터부재(50)에는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상기한 필터부재(50)에 쌓인 이물질은, 습기와 혼합되어 오염됨으로써 부패한 냄새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부패한 냄새가 발생하는 필터부재(50)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더라도 냄새가 없어지지 않으므로 새로운 필터로 교환하거나 청소를 한뒤에 사용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한 필터부재(50)의 교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인스투르먼트패널(I)에서 글로브박스(도시생략)를 분리한 후 글로브박스 설치구(54)에 나타난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케이스(30) 사이에 있는 수납부(32)의 입구에서 필터 커버(52)를 분리한다.
상기한 수납부(32)에서 필터 커버(52)를 분리한 후에는, 수납부(32)내에서 확장 상태에 있고 필터 삽입구(56)에서 압축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필터부재(50)를 인출하면 된다.
이때 필터부재(50)에 포집된 먼지는, 필터부재(50)의 탈거시 골과 골사이에서 스크롤케이스(30)에 낙하되는 것이 차단막(52)에 의하여 방지된다.
상기 수납부(32)에서 분리된 필터부재(50)는, 재생이 가능하면 세척이나 청소 후 재사용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면 새것으로 교환한다.
상기한 필터부재(50)의 청소 또는 교환이 끝나면, 다시 필터부재(50)를 접은 상태로 수납부(32)의 필터 삽입구(56)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필터부재(50)는, 필터 삽입구(56)부터 가이드턱(66)과 삽입방향을 따라 평형하게 형성된 가이드리브(68)의 안내를 받아 필터 설치부(58)에 삽입된다. 상기한 필터부재(50)는, 필터 삽입구(56)에서부터 펼쳐지고 가이드부(60)를 따라 안내되며 가이드턱(66)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필터 설치부(58)에 삽입되는 필터부재(50)가 필터 삽입구(56)와 마주하는 직선 가이드(62)까지 삽입되면 수납이 완료된다. 상기한 수납부(32)에 필터부재(50)의 수납이 완료되면, 공기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터 커버(52)로 필터 삽입구(56)를 밀폐시킨다.
상기 수납부(32)에 수납된 필터부재(50)는, 필터 설치부(58)내에서 펼쳐진 후 공기 여과시 유동하지 않도록 직선 가이드(62), 직선 및 라운드지게 형성된 측면 가이드(63)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에 따라, 필터부재(50)는, 송풍압력을 받더라도 수납부(32)의 가이드턱(66)과 가이드 리브(68)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글로브 박스 설치구(54)에 전체가 드러나는 필터 삽입구(56) 전체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부재(50)를 접은 상태로 수납부(32)에 인출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재(50)의 정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32)에 삽입되는 필터부재(50)는, 자체의 형태 복원력에 의하여 수납부(32)의 형태에 맞게 펼쳐져 정확히 설치되기 때문에, 송풍공기의 여과성능은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 설치구 안쪽에 수납부의 필터 삽입구 전체가 드러나도록 배치하고, 수납부에서 펼쳐진 필터부재가 필터 삽입구에서 압축 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편리하게 하여 정비가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 차량용 공조장치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20: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21: 내기유입구
22: 외기유입구 23: 내외기전환도어
30: 스크롤케이스(Scroll Case) 32: 수납부
35: 송풍팬 40: 공조케이스
50: 필터부재 56: 필터 삽입구
58: 필터 설치부 60: 가이드부
62: 직선 가이드 63: 측면 가이드

Claims (4)

  1. 내/외기유입구(21)(22)를 개폐하도록 내부에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덕트(20)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케이스(30)의 사이에 필터 커버(52)로 개폐되고 송풍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50)가 수납되는 수납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50)는,
    상기 필터 삽입구(56)의 폭방향으로 수축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32)는,
    필터부재(50)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구(56)와,
    상기 필터 삽입구(56)의 폭보다 확장되고 필터부재(50)가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필터 설치부(58)와,
    상기 필터부재(50)가 펼쳐지는 필터 설치부(58)를 일정 형태로 형성하는 가이드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필터 삽입구(56)와 마주하는 안쪽 면에 필터 삽입구(56)보다 긴 폭으로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62)와;
    상기 직선 가이드(62)와 필터 삽입구(56)를 양쪽에서 직선 또는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측면 가이드(63)와;
    상기 필터 삽입구(56), 직선 가이드(62) 및 측면 가이드(63)의 하단 둘레에 필터부재(50)의 삽입을 안내하고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턱(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66)에는, 필터부재(50)의 삽입방향을 따라 평형하게 형성되고 필터부재(50)의 골과 골사이에 위치하도록 필터 설치부(58)내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50)는, 필터 삽입구(56)와 대항되는 일단부를 막도록 절첩 가능한 차단막(5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100051766A 2010-06-01 2010-06-01 차량용 송풍장치 KR10163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66A KR101634720B1 (ko) 2010-06-01 2010-06-01 차량용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66A KR101634720B1 (ko) 2010-06-01 2010-06-01 차량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97A true KR20110131997A (ko) 2011-12-07
KR101634720B1 KR101634720B1 (ko) 2016-06-29

Family

ID=4550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766A KR101634720B1 (ko) 2010-06-01 2010-06-01 차량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7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099A (ko) * 2013-01-04 2014-07-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필터 조립 구조
KR101534311B1 (ko) * 2013-12-30 2015-07-06 김신성 차량용 바람유도기구
KR102022381B1 (ko) * 2018-10-26 2019-09-18 한국토지주택공사 미세먼지 포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1U (ja) * 1992-06-02 1994-01-11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エアフィルタ構造
JP2001341517A (ja) * 2000-06-02 2001-12-11 Keihin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用ケーシング
JP2010000855A (ja) * 2008-06-19 2010-01-0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フィルタと車両用エアフィルタの組み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1U (ja) * 1992-06-02 1994-01-11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エアフィルタ構造
JP2001341517A (ja) * 2000-06-02 2001-12-11 Keihin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用ケーシング
JP2010000855A (ja) * 2008-06-19 2010-01-0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フィルタと車両用エアフィルタの組み付け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099A (ko) * 2013-01-04 2014-07-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필터 조립 구조
KR101534311B1 (ko) * 2013-12-30 2015-07-06 김신성 차량용 바람유도기구
KR102022381B1 (ko) * 2018-10-26 2019-09-18 한국토지주택공사 미세먼지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720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0533C (en) Air filter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JP2542972B2 (ja) 自動車内部空間用の暖房装置または空気調節装置
JP2001293318A (ja) 自動車の空調用濾過装置
KR20110131997A (ko) 차량용 송풍장치
CN103282096B (zh) 集尘器
JP38911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2176689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エアフィルタ構造
KR100751764B1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 필터
JP512147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419796Y1 (ko) 서랍식 필터 교환구조를 갖는 공기청정기
KR10159036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JP200829671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39556B1 (ko) 바스켓이 구비된 암레스트형 공기청정기
KR101561201B1 (ko) 차량용 송풍장치
JP2006288586A (ja) 手乾燥装置
KR20100127961A (ko) 차량용 송풍장치
EP0955190A1 (en) A ventilation assembly for vehicles, including an interchangeable filter
KR101932175B1 (ko)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KR100911997B1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필터커버 조립체
JP2009213977A (ja) フィルタユニット
JP2005088805A (ja) 内外気送風ユニット
KR20120085991A (ko) 차량용 송풍장치
CN218188529U (zh) 一种方便拆卸清洗的空气滤清器
US11945286B1 (en) Filter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a filter
US20160281657A1 (en) Truck air pre-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