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175B1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 Google Patents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175B1
KR101932175B1 KR1020130027018A KR20130027018A KR101932175B1 KR 101932175 B1 KR101932175 B1 KR 101932175B1 KR 1020130027018 A KR1020130027018 A KR 1020130027018A KR 20130027018 A KR20130027018 A KR 20130027018A KR 101932175 B1 KR101932175 B1 KR 10193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inclined portion
protrus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673A (ko
Inventor
이세민
박태용
김주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17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차량용 및 가정용 공기청정기 등에 사용되며, 수축/팽창/밴딩 등이 가능한 에어 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AIR FILTER}
본 발명은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차량용 및 가정용 공기청정기 등에 사용되며, 실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에 관한 것이다.
대기 환경이 열악해짐에 따라,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실제로, 먼지, 분진, 꽃가루 등의 세균성 미립자와, 배기가스로부터 배출되는 벤젠, 톨루엔 등의 각종 유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특히 날씨가 춥거나 습한 날에 히터나 에어콘을 가동하게 되면, 각종 유해물질이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공조장치 또는 가정용 공기청정기 등에는, 상기와 같은 세균성 미립자나 유해물질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필터들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생물 등의 악취물질 또는 부패성 물질 등이 필터외측 및 필터에 흡착될 수 있어 주기적으로 에어 필터를 교체하고 관리해야 한다.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필터를 탈거할 때 필터의 삽입부에 이물질이 걸리는 등 필터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를 경유하는 경로 이외의 경로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차량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필터에 걸린 이물질이 튀어 올라 실내로 유입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 톱 커버(COWL TOP COVER)(10)의 카울 톱 커버 홀(COWL TOP COVER HOLE)(11)을 통해 낙엽 등 이물질 유입되어 카울 톱 아우터 패널(COWL TOP OUTER PANEL)(20)을 지나 카울 로어 패널(COWL LOWER PANEL)(50)에 잔존 할 수 있고, 카울 로어 패널(50)에 잔존하는 이물질은 주행 또는 프레쉬 모드(FRESH MODE)에서 블로어 모터(BOLWER MOTOR)(70)작동과 함께 필터(FILTER)(60)에 도달할 수 있다. 또, 필터(60)에 쌓인 이물질이 도어(DOOR)의 작동 등의 이유로 인해 필터 삽입부(61) 외의 경로로 내기 측으로 유입(도 2 참조)되어 크래쉬 패드(CRESH PAD)(30) 하부에 위치한 글러브 박스(GLOVE BOX)(40)나 카펫 등 실내로 유입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낮은 비용으로 유지 관리가 편리한 에어 필터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에어 필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가 일본공개특허 제2001-293317호(2001.10.23, 명칭 :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에어 필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개시된 바 있으나, 프레임과 필터여지의 접합면적 증가로 인한 필터 여지의 필터링 효과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여전히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93317호(2001.10.23, 명칭 : 에어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에어 필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에 있어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차량용 및 가정용 공기청정기 등에 사용되며, 실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의 탈거 시 이물질이 필터 출입부에 걸려서 이탈될 우려가 없는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로서, 제1 경사부(111) 및 제2 경사부(112)에 의해 복수의 산(101)과 골(102)이 지그재그 식으로 연속되게 주름져 형성되는 여과부(100); 및 상기 여과부(100)의 산(101)에 돌출 형성되는 필터 돌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돌기(200)는 상기 산(101)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필터 돌기(20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돌기(200)의 높이는 인접한 산(101)과 산(101)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또,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여과부재(10)가 제1 절곡폭(W111)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 경사부(111); 상기 제1 경사부(111)에 절곡 연장되며, 제2 절곡폭(W112)을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절곡 면(113)이 면 접합되는 필터 돌기(200); 및 상기 한 쌍의 절곡 면(113)에 절곡 연장되며, 제1절곡폭(W111)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 경사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111), 상기 필터 돌기(200) 및 제2 경사부(112)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최 외곽에 위치한 제1 경사부(111) 및 제2 경사부(112) 각각에 절곡 연장되는 가이드부(11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차량용 및 가정용 공기청정기 등에 사용되며, 필터 돌기에 의해 이물질이 튀어 올라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 돌기가 산의 수직방향을 유지하여 풍량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 필터의 장착 또는 탈거 시 필터 돌기가 접힘으로써, 기존 필터 출입부를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 돌기에 일정한 텐션을 제공함으로써 원래의 형태로 복원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필터의 탈거 시 필터 돌기가 필터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가둠으로써 이물질이 필터 출입부에 걸려서 이탈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필터 여지를 이용하여 제작이 용이함으로써, 여과부와 필터 돌기를 별도로 제작하여 연결시키는 공정에 비해 제작 단가를 낮추고, 공정을 최소화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필터 출입부 및 필터가 장착되는 끝단부와 밀착 가능하여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필터에 걸린 이물질이 튀어 올라 실내로 유입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가 장착되고 필터 돌기에 의해 이물질의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가 탈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필터의 여과지 전개 단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가 장착되고 필터 돌기에 의해 이물질의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가 탈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필터의 여과지 전개 단면도 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로서, 여과부(100) 및 필터 돌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과부(100)는 제1 경사부(111) 및 제2 경사부(112)에 의해 복수의 산(101)과 골(102)이 지그재그 식으로 연속되게 주름져 형성된다. 다시 말해, 지그재그 식으로 접히면서 복수의 산(101)과 골(102)이 연속되게 형성되면서, 제1 경사부(111) 및 제2 경사부(112)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코루게이트(corrugate) 형상으로 주름져 연속된 W형상을 이루며 접힌 형태로 구성된다.
필터 돌기(200)는 상기 필터(100)의 산(101)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 형성된 상기 필터 돌기(200)에 의해 이물질이 튀어 올라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필터 돌기(200)는 상기 산(101)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필터(100)의 산(101)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산(101)을 이루는 선을 따라 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돌기(200)가 산(101)의 수직방향을 유지하며, 공기의 진행방향과 수평하게 상기 필터 돌기(200)가 형성되어 풍량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돌기(20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필터(100)와 상기 필터 돌기(200)가 연결되는 부분이 접히며 외부의 힘이 없을 경우 상기 필터(100)의 산(101)에 수직인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의 장착 또는 탈거 시 상기 필터 돌기(200)가 접힘으로써, 기존 필터 출입부(61)를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를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를 필터 출입부(61)로 밀어 넣을 경우, 상기 필터 돌기(200)가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면서 삽입되게 되며, 상기 필터 돌기(200)가 접히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상기 필터 삽입부(61)의 크기를 확장 시킬 필요가 없다. 이러게 삽입된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돌기(200)에 일정한 텐션을 제공함으로써 원래의 형태로 복원이 가능하며 이물질이 튀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를 탈거시키기 위해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를 필터 출입부(61)로부터 외부로 잡아당길 경우, 상기 필터 돌기(200)가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가 토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면서 탈거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 돌기(200)가 상기 여과부(10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가두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물질이 필터 출입부(61)에 걸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 돌기(200)의 높이는 인접한 산(101)과 산(101)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접한 산(101)과 산(101) 사이의 길이가 n일 경우 상기 필터 돌기(200)의 높이는 n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 돌기(200)의 높이를 인접한 산(101)과 산(101) 사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필터 돌기(200)가 접히더라도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의 여과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필터 돌기(200)가 접혀 인접한 필터 돌기(200)와 겹쳐져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의 장착 및 탈거 시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의 두께가 두꺼워져 필터의 장착 및 탈거가 어렵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제1 경사부(111), 필터 돌기(200) 및 제2 경사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111), 상기 필터 돌기(200) 및 제2 경사부(112)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11)는 여과부재(10)가 제1 절곡폭(W111)을 갖도록 절곡된다.
필터 돌기(200)는 상기 제1 경사부(111)에 절곡 연장되며, 제2 절곡폭(W112)을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절곡 면(113)이 면 접합된다.
제2 경사부(112)는 상기 한 쌍의 절곡 면(113)에 절곡 연장되며, 제1절곡폭(W111)을 갖도록 절곡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필터 여지를 사용하여 하나의 필터 여지를 절곡하고 한 쌍의 절곡 면(113)을 면 접합 하여 필터 돌기(200)를 형성하며, 상기 제1 경사부(111)와 상기 제2 경사부(112)가 필터의 여과부(100)를 형성하도록 제작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상기 여과부(100)와 상기 필터 돌기(200)를 별도로 제작하여 연결시키는 공정에 비해 제작이 용이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추고, 공정을 최소화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최 외곽에 위치한 제1 경사부(111) 및 제2 경사부(112) 각각에 절곡 연장되는 가이드부(11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15)는 필터 출입부 및 필터가 장착되는 끝단부와 밀착 가능함으로써,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카울 톱 커버 11: 카울 톱 커버 홀
20: 카울 톱 아우트 패널 30: 크래쉬 패드
40: 글러브 박스 50: 카울 로어 패널
60: 필터 61: 필터 출입부
70: 블로어 모터
100: 여과부 101: 산
102: 골 111: 제1 경사부
112: 제2 경사부 113: 절곡 면
115: 가이드부 200: 필터 돌기
1000: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Claims (6)

  1.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로서,
    제1 경사부(111) 및 제2 경사부(112)에 의해 복수의 산(101)과 골(102)이 지그재그 식으로 연속되게 주름져 형성되는 여과부(100); 및
    상기 여과부(100)의 산(101)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산(101)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공기의 진행방향과 수평한 면의 형상을 갖는 필터 돌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상기 여과부(100)가 기존 필터 출입부(61)에 삽입 및 토출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 돌기(200)가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상기 기존 필터 출입부(61)에 삽입 및 토출 시 상기 필터 돌기(200)가 접히며, 다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돌기(200)의 높이는
    인접한 산(101)과 산(101)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여과부재(10)가 제1 절곡폭(W111)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1 경사부(111);
    상기 제1 경사부(111)에 절곡 연장되며, 제2 절곡폭(W112)을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절곡 면(113)이 면 접합되는 필터 돌기(200); 및
    상기 한 쌍의 절곡 면(113)에 절곡 연장되며, 제1절곡폭(W111)을 갖도록 절곡되는 제2 경사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111), 상기 필터 돌기(200) 및 제2 경사부(112)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1000)는
    최 외곽에 위치한 제1 경사부(111) 및 제2 경사부(112) 각각에 절곡 연장되는 가이드부(11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KR1020130027018A 2013-03-14 2013-03-14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KR10193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018A KR101932175B1 (ko) 2013-03-14 2013-03-14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018A KR101932175B1 (ko) 2013-03-14 2013-03-14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673A KR20140112673A (ko) 2014-09-24
KR101932175B1 true KR101932175B1 (ko) 2018-12-24

Family

ID=5175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018A KR101932175B1 (ko) 2013-03-14 2013-03-14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1436A1 (en) * 2015-09-25 2017-03-30 Varroc Polymers Pvt. Ltd. Improved panel air filter 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056A (ja) * 2011-02-04 2011-06-23 Toyobo Co Ltd 復元性フィルター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056A (ja) * 2011-02-04 2011-06-23 Toyobo Co Ltd 復元性フィルター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673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425B1 (ko) 핸들을 구비한 필터부재
US8414674B2 (en) Collapsible extended surface filter and air cleaner system using collapsible extended surface filter
US7905936B2 (en) Filter arrangements; housing; assemblies; and, methods
KR20190034534A (ko) 복합 공기 필터 및 그 방법
US6203592B1 (en) Filter media configuration
KR101932175B1 (ko)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US6544320B2 (en) Air-cleaning apparatus
EP3552686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KR102176182B1 (ko) 차량용 캐빈필터
CN112169485A (zh) 一种汽车空气过滤器及挠性连接部件
JPH1176729A (ja) 室内空気処理用のフィルタ部材
JP2588807B2 (ja) 自動車の新鮮空気吸込み通路
KR20140089118A (ko)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KR101634720B1 (ko) 차량용 송풍장치
US20220016560A1 (en) Air purifier
KR100376908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설치구조
KR102018575B1 (ko) 공조장치용 필터조립체
JP2010148996A (ja) フィルタ構造
JP2015062881A (ja) 集塵装置
JP2002103961A (ja) 空気清浄装置
JPH05245320A (ja) 空気浄化装置
KR20200002427U (ko) 필터
JPH06277429A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装置
CN100431665C (zh) 空气净化器
KR200326127Y1 (ko) 에어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