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563A - 이송기 - Google Patents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563A
KR20110128563A KR1020100048080A KR20100048080A KR20110128563A KR 20110128563 A KR20110128563 A KR 20110128563A KR 1020100048080 A KR1020100048080 A KR 1020100048080A KR 20100048080 A KR20100048080 A KR 20100048080A KR 20110128563 A KR20110128563 A KR 20110128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onveyor
top soil
capacity hopp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326B1 (ko
Inventor
정길동
Original Assignee
정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동 filed Critical 정길동
Priority to KR102010004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3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토나 곡물 등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많은 량의 상토나 곡물 등의 이송물을 일정 높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상토를 이송하는 상토투입장치의 상토 투입구 전방에 상토를 콘베어벨트로 이송하여 상토 투입구로 투입하는 콘베어장치를 체결하고, 상기 콘베어장치의 상부에 상토를 채우는 대용량 호퍼를 체결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대용량 호퍼에 채워진 다량의 상토가 콘베어장치의 콘베어벨트를 타고 상토투입장치의 투입구로 투입되어 상토채움장치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송기{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상토나 곡물 등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많은 량의 상토나 곡물 등의 이송물을 일정 높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상자를 투입하면 자동적으로 육묘상자에 상토를 깔고 물을 뿌린 후 볍씨를 파종하고 다시 볍씨를 상토로 덮어준 후 배출되게 하는 파종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된 파종장치는 최소 3인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최초 육묘상자를 집어서 상토채움장치로 투입시키는 사람과, 상토채움장치의 호퍼에 상토를 보충하기 위한 사람과, 볍씨뿌림장치에 볍씨를 보충하는 한편 상토뿌림장치로 볍씨를 덮어주는 상토를 보충하는 사람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상토채움장치에서 육묘상자에 채워지는 상토는 현재 포장되어 공급되는 상토포대(통상 20Kg)를 찢은 후 상토채움장치의 호퍼에 채워주어야 하나, 상기 상토채움장치의 호퍼에는 많은 량의 상토를 채워주지 못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상토포대에 담긴 상토를 보충해주는 한편 높은 곳으로 상토를 들어 올려야 한다.
그러나, 상기의 상토 보충작업은 힘이 드는 작업이라 작업자가 꺼려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실용신안등록 20-0194183호 '볍씨 파종기용 흙투입장치'(이하 상토투입장치라 칭함)를 개발하여 낮은 위치로 상토를 퍼 올리면 상기 상토투입장치에서 높은 곳으로 상토를 이동시켜 상토채움장치의 호퍼로 투입되게 함으로써 힘이 드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선등록 상토채움장치는 바닥에 위치한 호퍼로 상토를 투입하면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버켓에 상토를 채워 상부로 이동한 후 상토채움장치의 호퍼로 투입함으로써 상토를 높은 곳으로 퍼 올려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는 상토를 높은 곳으로 퍼올리지 않고 낮은 곳으로 퍼올려 힘이 적게 들도록 할 수는 있는 반면 지속적으로 상토를 퍼 올려야 하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즉, 기존과 같이 상토채움장치의 호퍼로 상토를 퍼올리는 량과, 상기 선등록 상토채움장치의 호퍼로 상토를 퍼올리는 량은 변화가 없게 되므로, 작업자는 힘이 덜 들뿐 상토를 퍼 올리는 작업시간에는 변함이 없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20-0194183호(2000. 06. 19 등록)
본 발명은 볍씨 파종장치의 상토채움장치로 상토를 채워주기 위하여 선등록 상토투입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토를 퍼올리는 높이가 낮아져 상토를 퍼올리기 위한 힘은 크게 절감할 수 있으나, 상토를 상토투입장치로 퍼 올리는 량은 변하지 않아 작업자는 항시 상토투입장치의 일측에서 상토를 투입하는 작업을 반복해야만 하므로, 상토투입장치로 상토를 투입하는 작업 인력이 쉴 수 있는 시간이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상토를 이송하는 상토투입장치의 상토 투입구 전방에 상토를 콘베어벨트로 이송하여 상토 투입구로 투입하는 콘베어장치를 체결하고, 상기 콘베어장치의 상부에 상토를 채우는 대용량 호퍼를 체결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대용량 호퍼에 채워진 다량의 상토가 콘베어장치의 콘베어벨트를 타고 상토투입장치의 투입구로 투입되어 상토채움장치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용량 호퍼에 채워진 상토가 소진 될 때까지 상당시간동안 작업자가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토투입장치의 투입구에 체결되는 콘베어장치는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대용량 호퍼도 콘베어장치의 상부에 체결하되 대용량 호퍼도 착탈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대용량 호퍼의 상부에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상토포대가 투입되지 않도록 하고, 콘베어장치에는 배출량을 조절하는 한편 이동이 용이하게 바퀴를 설치한다.
본 발명은 볍씨 파종장치의 상토채움장치로 상토를 보충하는 상토투입장치의 투입구로 대용량 호퍼에 담긴 상토가 콘베어벨트를 타고 투입되게 하되 콘베어벨트가 구비된 콘베어장치와 대용량 호퍼가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용량 호퍼에 담긴 상토가 소진 될 동안 작업자가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한편 분해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용량 호퍼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받침대를 설치하여 받침대에 상포포대를 올려놓은 후 포대를 찢어 상토가 투입되게 함으로써 손쉽게 상토 투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을 설치하여 콘베어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임으로써 상토가 정체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토투입장치의 배출구에 보조배출구를 설치하여 상토 배출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베어장치와 대용량 호퍼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베어장치와 대용량 호퍼를 분리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배출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의 부분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배출구를 사용하는 상태의 부분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토 배출량 조절 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은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통의 내부에 회전하는 체인을 설치하되 상기 체인에는 일정 간격으로 버켓을 고정시킴으로써 투입구로 투입되는 상토를 버켓에 담아 볍씨 파종장치의 상토채움장치로 상토를 투입하는 상토투입장치에 있어서, 상토투입장치의 투입구에 콘베어벨트로 상토를 공급하는 콘베어장치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콘베어장치의 상측에는 대용량의 상토를 채우는 대용량 호퍼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대용량 호퍼에 담긴 상토가 콘베어벨트를 타고 상토투입장치를 통하여 소진 될 동안 작업자가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토를 상토채움장치로 이송하는 공지의 상토투입장치에서 상토가 투입되는 투입구에 콘베어벨트로 상토가 투입되게 하는 콘베어장치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콘베어장치에는 상측으로 상토가 담기는 대용량 호퍼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대용량 호퍼에 담긴 상토가 상토투입장치로 이송된 후 상토채움장치로 이송될 동안 작업자가 상토를 채워주어야 하는 작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공지의 상토투입장치(100)의 상토 투입구(110)에 콘베어벨트(210)로 상토를 투입하는 콘베어장치(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하고, 상기 콘베어장치(200)의 상측으로 많은 량의 상토를 채울 수 있는 대용량 호퍼(3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대용량 호퍼(300)에 담겨진 상토가 콘베어장치(200)의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로 투입된 후 상토채움장치(10)로 이송되게 되며, 많은 량의 상토가 채워져 있어 상당시간 동안 작업자가 상토를 채우는 작업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토투입장치(100)는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통(120)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 스프라켓(130)(131)을 설치하되 체인(140)을 걸어주고, 스프라켓(130)에는 모터(150)의 회전력을 벨트(151)로 전달하여 체인(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체인(140)에는 상토를 담아주는 버켓(16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이송통(120)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상토를 투입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이송통(120)의 상측에는 상토를 배출하는 배출구(170)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이송통(120)은 하부에 설치된 바퀴(180)를 이용하여 이동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에는 외측으로 결합편(11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콘베어장치(200)에 형성된 결합편(201)과 볼트(20)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분리하거나 체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에 형성된 결합편(111)에 콘베어장치(200)의 결합편(201)을 볼트(20)로 체결하여 콘베어장치(200)를 결합시키되 콘베어장치(200)의 콘베어벨트(210)로 이송되는 상토가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로 투입되게 한다.
본 발명의 콘베어장치(200)에는 하측으로 바퀴(23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퀴(23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바퀴(230)(180)를 이용하여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콘베어장치(200)의 바닥에 설치된 콘베어벨트(210)에는 스프라켓(130)에서 벨트(211)로 동력을 전달받도록 함으로써, 콘베어장치(200)를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에 체결할 때 벨트(211)를 걸어주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벨트(211)는 필요에 따라 체인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콘베어장치(200)에는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이송되는 상토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판(250)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판(250)은 가이드(251)를 타고 상하 이동되며 상토의 량을 조절하되 상기 조절판(250)은 고정볼트(252)에 의해 이동이 완료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볼트(252)는 장홈(253)을 타고 이동되게 된다.
상기 콘베어장치(200)에는 상측으로 대용량 호퍼(30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콘베어장치(200)의 상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판(202)을 형성시킨 후 대용량 호퍼(30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결합판(301)과 볼트(30)로 체결되게 한다.
즉, 볼트(30)를 이용하여 콘베어장치(200)와 대용량 호퍼(300)를 체결하게 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콘베어장치(200)와 대용량 호퍼(300)를 볼트(30)로 체결하지 않고 용접하여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대용량 호퍼(300)의 상부에는 상토가 담긴 포대(40)를 올려놓은 후 상토포대(40)를 찢어서 상토가 대용량 호퍼(300)에 채워지게 하되 상토포대(40)는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31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대용량 호퍼(300)의 내부에 상토의 하중을 줄여주는 단면이 삼각형태를 갖는 하중 완화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송통(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토채움장치(10)로 상토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70)에는 회동 가능한 보조배출구(171)를 설치하여 배출구(170)의 길이가 짧을 경우 보조배출구(171)를 펼쳐서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인(140)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곡물 이송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인 또는 기어를 사용할 경우 곡물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곡물을 이송시킬 경우는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곡물 깨짐 현상을 없애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볍씨 파종장치에서 육묘상자에 상토를 채워주는 상토채움장치(10)의 후방으로 상토투입장치(100)를 설치하여 상토투입장치(100)로 상토채움장치(10)의 호퍼에 연속적으로 장시간 상토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에 콘베어벨트(210)가 구비된 콘베어장치(200)를 체결하되 상기 콘베어장치(200)의 상부에는 상토가 채워지는 대용량 호퍼(300)를 체결하는 것으로, 대용량 호퍼(300)에 채워진 상토가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로 투입되어 상토채움장치(10)로 장시간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토투입장치(100)와 콘베어장치(200) 및 대용량 호퍼(300)는 볼트(20)(30)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대용량 호퍼(300)의 상측에 설치된 받침대(310)에 상토가 포대(40)에 담긴 상토포대를 올려놓은 후 상토포대(40)를 찢어 상토포대에 담긴 상토는 대용량 호퍼(300)에 채워지게 하고, 포대는 받침대(31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토포대에 담긴 상토를 쉽게 대용량 호퍼(300)에 채울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받침대(310)가 없을 경우에는 상포포대(40)의 상부를 찢은 상태에서 대용량 호퍼(300)에 상토를 채우게 되므로, 잘못하는 경우 포대가 대용량 호퍼(300)에 빠지게 되는 한편 상토가 흘리지 않도록 상토포대(40)를 들어올리기도 쉽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310)는 대용량 호퍼(300)의 상측에서 일정 거리만큼 하측으로 설치함으로써 받침대(310)에 상토포대(40)가 올려지면 다시 떨어지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다.
대용량 호퍼(300)에 충분한 량의 상토가 채워지면 스위치를 이용하여 모터(150)를 구동시키도록 하되 본 발명의 스위치는 배출구(170)에 설치하거나, 상토채움장치(10)의 호퍼 일측면에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되게 하거나, 무선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모터(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의 설치위치와 방식의 차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적인 변경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터(150)가 구동하면 스프라켓(130)이 회전하여 버켓(160)이 고정된 체인(140)이 회전하는 동시에 벨트(211)로 동력이 전달되는 콘베어벨트(210)가 작동하여 대용량 호퍼(300)에 담긴 상토를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콘베어벨트(210)가 작동하면 콘베어벨트(210)에 얹혀진 상토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이동하는 상토는 투입구(110)로 투입되어 버켓(160)에 담겨져 이동하게 되며, 버켓(160)에 담겨진 상토는 배출구(170)로 배출되어 상토채움장치(10)의 호퍼로 공급되므로, 상토채움장치(10)에서 육묘상자에 상토를 채워줄 수 있게 된다.
대용량 호퍼(300)에 담겨진 상토는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투입구(110)로 투입되나, 조절판(250)을 이용하여 대용량 호퍼(300)에서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배출되는 상토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상토채움장치로 연속하여 상토를 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고스러움 없이 한 번에 많은 량의 상토를 대용량 호퍼(300)에 채워주게 되면, 대용량 호퍼(300)에 채워진 상토가 이송되어 소진되는 동안 작업자가 상토를 채워주는 작업에서 벗어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가끔 상토포대(40)에 담긴 상토를 대용량 호퍼(300)에 채워주면 되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구(170)에는 보조배출구(171)를 설치하여 배출구(170)의 길이가 짧을 경우 늘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용량 호퍼(300)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상토의 하중을 줄이기 위한 하중 완화판을 설치하여 상토가 정체되지 않고 배출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토를 이송하는데만 사용되지 않고 곡물을 이송하는데도 사용하거나, 사료 등의 특정물을 이송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으며, 곡물 또는 사료 등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이송통이나 콘베이어의 동력 전달이 체인이나 기어 등을 사용할 경우 곡물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0 : 상토채움장치 100 : 상토투입장치
110 : 투입구 120 : 이송통
140 : 체인 150 : 모터
160 : 버켓 170 : 배출구
171 : 보조배출구 200 : 콘베어장치
210 : 콘베어벨트 300 : 대용량 호퍼
310 : 받침대

Claims (4)

  1.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통(120)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 스프라켓(130)(131)을 설치하되 체인(140)을 걸어주고, 상기 스프라켓(130)에는 모터(15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체인(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체인(140)에는 상토를 담는 버켓(16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이송통(120)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상토를 투입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이송통(120)의 상측에는 상토를 배출하는 배출구(170)를 설치하며, 상기 이송통(120)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180)가 설치된 상토투입장치(100)를 구비하고;
    상기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 전방으로 콘베어장치(200)를 착탈되게 결합하고, 상기 콘베어장치(200)의 하측으로 콘베어벨트(210)를 설치하되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이송되는 상토가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로 투입되게 하며, 상기 콘베어장치(200)에는 콘베어벨트(210)를 타고 이송되는 상토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판(250) 구비하며;
    상기 콘베어장치(200)의 상측에는 다량의 상토가 채워지는 대용량 호퍼(300)를 착탁 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상기 대용량 호퍼(300)의 상측에는 받침대(31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토투입장치(100)의 투입구(110)에 형성된 결합편(111)과 콘베어장치(20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편(201)은 볼트(20)로 체결하고, 콘베어장치(20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편(202)과 대용량 호퍼(300)의 하부에 형성되 결합편(301)은 볼트(30)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
  3. 제1항에 있어서, 콘베어장치(200)에는 상측으로 대용량 호퍼(300)를 용접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
  4. 제1항에 있어서, 배출구(170)에는 보조 배출구(171)로 길이 조절하게 설치하되 상기 보조배출구(171)는 배출구(170)에 회동되며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
KR1020100048080A 2010-05-24 2010-05-24 이송기 KR10119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080A KR101198326B1 (ko) 2010-05-24 2010-05-24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080A KR101198326B1 (ko) 2010-05-24 2010-05-24 이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563A true KR20110128563A (ko) 2011-11-30
KR101198326B1 KR101198326B1 (ko) 2012-11-08

Family

ID=4539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080A KR101198326B1 (ko) 2010-05-24 2010-05-24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3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435B1 (ko) * 2014-12-22 2016-06-03 임용일 육묘판에 흙을 공급하는 흙 자동 공급장치
CN106665217A (zh) * 2016-12-05 2017-05-17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利用驱避蔬菜的绿色生态防控蜗牛方法与装置
KR20220003326A (ko) * 2020-07-01 2022-01-10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059B1 (ko) * 2022-05-30 2022-10-04 배남섭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399B1 (ko) * 2021-02-08 2021-05-26 임용일 볍씨 파종기의 볍씨 자동 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5318B2 (ja) * 1999-02-02 2008-06-25 株式会社スズテック 育苗容器用土供給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435B1 (ko) * 2014-12-22 2016-06-03 임용일 육묘판에 흙을 공급하는 흙 자동 공급장치
CN106665217A (zh) * 2016-12-05 2017-05-17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利用驱避蔬菜的绿色生态防控蜗牛方法与装置
KR20220003326A (ko) * 2020-07-01 2022-01-10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059B1 (ko) * 2022-05-30 2022-10-04 배남섭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326B1 (ko)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326B1 (ko) 이송기
US5465829A (en) Pallet with hopper and augue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articular material
JP5667582B2 (ja) 播種機
CN201296390Y (zh) 全自动食品称量包装设备
KR102382289B1 (ko) 승용 수전 작업기
JP5092499B2 (ja) 播種ユニット及び播種方法
JP2024026581A (ja) 用土補給装置および用土補給方法
JP4926561B2 (ja) 移植機
TWI516199B (zh) The spreader of the transplanter
JP2009261364A (ja) 農作業機
CN113207488A (zh) 一种自走式育苗钵装填摆码机
JP2013048609A (ja) 田植機
KR101260865B1 (ko) 상토 이송기
CN210634791U (zh) 一种破壁中药加工的灌装装置
KR101080272B1 (ko) 포트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상토충전기
JP6666833B2 (ja) 播種機
KR200451630Y1 (ko)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JP2008265963A (ja) 種芋等供給機
CN201758596U (zh) 自动上料拌料及装袋机
JP2008118937A (ja) 移植機
CN215500731U (zh) 自动上土机
CN207185172U (zh) 一种多功能水稻种植设备
KR200194183Y1 (ko) 볍씨파종기용 흙투입장치
KR102387377B1 (ko) 파종기용 상토 공급장치
KR101289351B1 (ko) 약 도라지 재배용 토사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