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059B1 -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059B1
KR102451059B1 KR1020220065976A KR20220065976A KR102451059B1 KR 102451059 B1 KR102451059 B1 KR 102451059B1 KR 1020220065976 A KR1020220065976 A KR 1020220065976A KR 20220065976 A KR20220065976 A KR 20220065976A KR 102451059 B1 KR102451059 B1 KR 10245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am
transfer channel
bla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남섭
Original Assignee
배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남섭 filed Critical 배남섭
Priority to KR102022006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6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carriers, e.g. belts
    • B65G25/065Reciprocating floo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두개의 강판이 마주보는 형상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롤러 상부에 설치되며,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찬넬,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의 일단이 상기 이송찬넬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찬넬을 전후진시키는 찬넬무버 및 상기 이송찬넬 상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앵글실린더, 상기 앵글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설치되는 판형캠축, 상기 판형캠축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캠로드, 상기 캠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앵글실린더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캠, 상기 캠에 연결되어 상기 캠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회전을 반복하되, 상기 이송찬넬 상단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사료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이송찬넬 상에 투하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서 투하된 사료를 상기 블레이드부 측으로 밀어내는 푸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블레이드부의 동력전달방식을 체인이 아닌 캠식으로 바꾸는 것으로 체인이 늘어져 발생하는 고장 및 유지비용 과다소모 등의 문제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체인방식의 동력전달 구조를 캠식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제작단가를 절감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Livestock feed transfer device using c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가축사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찬넬을 따라 사료가 이동할 때, 찬넬무버 및 앵글실린더의 전후진에 따라 블레이드부가 이송찬넬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 상태를 반복하고, 이송찬넬의 전후진을 교차로 반복하면서 사료를 한 피치씩 움직여 사료를 이송시키되, 상기 블레이드부는 캠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소음이 적고, 정밀·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는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축산시설의 자동화를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사료 급이 장치는 전자동화가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기존 사용되는 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915170호에 사료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사료를 가축 등에게 전달하기 위한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일정간격 이격되는 이송디스크를 다수 개 형성하여 사료를 운반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내삽되어 가축이 수용된 복수의 사육실을 경유하도록 한 사료공급관을 구비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이며 상기 이송디스크와 맞물려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이송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크류 구동스프라켓 휠과, 상기 이송디스크가 사료공급관의 내부를 주행하도록 하는 구동 스프라켓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료 공급 이송 장치이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던 기술은 가축 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와이어로프로 당기는 방식은 사료이송닥트와 이송원판의 간격이 넓어 펠렛이나 옥수수 등의 곡물 사료가 부서지고 특히, 90도의 반향전환용 코너를 통과할때는 압력이 크게 작
용하여 사료분가루가 더 많이 발생하며, 스크류 콘베어방식은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스크류 날개 사이에 압력이 작용하여 이송과정에서 사료가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펠렛형 사료의 파쇄율은 평균적으로 사료 전량의 최소 5% 내지 최대 30%에 달한다.
상기 문제점은 사료 분가루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한 분가루가 기존의 사료에 섞여 들어가 가축이 섭취하게되면 분가루가 가축의 폐에 흡입되어 가축의 장기 손상이나 호흡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2394591호를 게시한 바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는 사료 자동급이기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닥트에 여러 종류의 사료가 다수의 요철 홈을 통해 이동할 때, 상기 공압실린더의 공압실린더 로드 전진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닥트과 수직으로 위치하고, 상기 공압실린더의 공압실린더 로드가 후진하면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닥트는 수평이 되며, 상기 이송닥트에 있던 사료는 상기 공압실린더가 후진하면 한 피치씩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압실린더가 전진하면서 사료가 후진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이송닥트와 수직상태가 되면서 사료의 후진을 막아 사료의 이동간 사료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사료 분가루가 발생하지 않는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체인과 체인스프라켓을 동력전달장치로 활용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체인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직운동과 수평운동에 정확성이 결여되어 시간이 지연되고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했을 뿐더러, 블레이드가 수직으로 정렬되는 과정에서 블에이드와 이송닥트 사이에 펠렛 사료가 RL임으로 인해 정숙한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또한, 이송닥트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심해 블레이드 수명이 짧고, 마모로 인한 철가루 등이 사료에 혼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고장이 적으면서도, 정확하고 정교하게 제어가 가능한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15170호(2009. 03. 17.) 국내등록특허 제10-2394591호(2022. 05. 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블레이드부의 동력전달방식을 체인이 아닌 캠식으로 바꾸는 것으로 체인이 늘어져 발생하는 고장 및 유지비용 과다소모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를 이용해 체인을 회전시킬때 소음이 발생하여 축사에서 기르는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앵글실린더와 앵글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판형캠축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축사료 이송장치 작동간 소음을 줄인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 하단에 탄성고무 또는 우레탄 등을 포함하는 재질의 커버를 부착하는 것으로, 블레이드와 이송찬넬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사료 깨짐을 방지하는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두개의 강판이 마주보는 형상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롤러 상부에 설치되며,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찬넬,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의 일단이 상기 이송찬넬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찬넬을 전후진시키는 찬넬무버 및 상기 이송찬넬 상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앵글실린더, 상기 앵글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설치되는 판형캠축, 상기 판형캠축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캠로드, 상기 캠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앵글실린더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캠, 상기 캠에 연결되어 상기 캠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회전을 반복하되, 상기 이송찬넬 상단에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사료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이송찬넬 상에 투하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서 투하된 사료를 상기 블레이드부 측으로 밀어내는 푸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하단에 탄성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의 커버가 부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마모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호퍼는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1개 내지 4개 설치되어, 각각의 호퍼에 서로 다른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사료의 투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호퍼는 호퍼 내측에 형성되는 투하판, 상기 투하판과 연결되어 투하판 상부에 위치한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하판 상부에 소정량의 사료가 위치하면 상기 로드셀에서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기준중량에 이르르면 상기 투하판이 젖혀지면서 상기 투하판 상부에 위치한 사료가 이송찬넬 상에 투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찬넬은 상기 이송찬넬 상에 사료가 하부로 투하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투하구를 형성하되, 상기 투하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게이트실린더를 상기 이송찬넬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게이트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는 게이트가 상기 투하구에 설치되어 사료가 정량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는 상기 이송찬넬을 따라 사료가 이동할 때, 상기 호퍼에서 사료가 상기 이송찬넬로 투하되고, 상기 앵글실린더가 전진하면서 블레이드부는 상기 이송찬넬과 수평상태가 되어 사료의 전진을 원활하게하고, 상기 이송찬넬에 투하된 사료는 상기 푸시실린더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부 측으로 전진하고, 상기 찬넬무버가 후진하면서 상기 이송찬넬 상에 위치한 사료가 한 피치 앞으로 이동하고, 상기 앵글실린더가 후진하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이송찬넬과 수직상태가 되고, 상기 찬넬무버가 전진하면서 상기 이송찬넬이 후진할 때, 상기 이송찬넬 상에 위치한 사료는 상기 이송찬넬과 수직상태가 된 상기 블레이드부에 의해 사료의 후진이 방지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사료가 한 피치씩 앞으로 이동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하단에 높이조절자가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자를 사용해 장치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부의 동력전달방식을 체인이 아닌 캠식으로 바꾸는 것으로 체인이 늘어져 발생하는 고장 및 유지비용 과다소모 등의 문제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체인방식의 동력전달 구조를 캠식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제작단가를 최소 20% 내지 최대 40%까지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를 이용해 체인을 회전시킬때 소음이 발생하여 축사에서 기르는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앵글실린더와 앵글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판형캠축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축사료 이송장치 작동간 소음을 줄인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 하단에 탄성고무 또는 우레탄 등을 포함하는 재질의 커버를 부착하는 것으로, 블레이드와 이송찬넬과의 마찰로 인한 블레이드마모, 마모로 인한 금속가루 사료유입 및 사료 깨짐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작동순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의 캠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작동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의 캠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두개의 강판이 마주보는 형상의 측벽부(11), 상기 측벽부(11)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12),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 상기 롤러(12) 상부에 설치되며,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찬넬(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의 일단이 상기 이송찬넬(2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찬넬(20)을 전후진시키는 찬넬무버(29)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12)는 이송찬넬(20)이 상기 롤러(12) 상부에서 움직일 때, 움직임이 원활하게 보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는 하단에 높이조절자가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자를 사용해 장치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축사 규격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부(13)상에 수평계를 설치하는 것으로 지지부(13)가 수평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찬넬무버(29)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 설치 및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실린더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하우징 내측에 상기 찬넬무버(29)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는 이송찬넬(20) 상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부(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는 앵글실린더(39), 상기 앵글실린더(39)의 실린더로드에 설치되는 판형캠축(31), 상기 판형캠축(31)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캠로드(32), 상기 캠로드(32)에 연결되며, 상기 앵글실린더(39)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캠(33), 상기 캠(33)에 연결되어 상기 캠(3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회전을 반복하되, 상기 이송찬넬(20) 상단에 설치된 회전축(34), 상기 회전축(34) 상에 형성된 블레이드(3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34)는 상기 이송찬넬(20)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34)의 양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측벽부(11)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캠로드(32)는 상기 판형캠축(31)상에 형성되되, 상기 캠(33)이 이탈하지 않도록 로드커버를 씌우거나, 상기 캠로드(32) 상단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캠(33)은 블레이드(35)의 수직상태를 기준으로 사료 전진방향 측으로 42° 내지 48°기울어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앵글실린더(39)가 전진하면, 상기 캠(33)은 상기 판형캠축(31)의 전진방향으로 90°회전하게되고, 이 때, 상기 회전축(34)도 같이 상기 판형캠축(31)의 전진방향으로 90°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35)가 상기 이송찬넬(20)과 수평상태가 되며, 상기 앵글실린더(39)가 후진하면, 상기 캠(33)이 상기 판형캠축(31)의 후진방향으로 90°회전하고, 상기 캠(33)에 연결된 회전축(34)도 같이 상기 판형캠축(31)의 후진방향으로 90°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35)가 상기 이송찬넬(20)과 수직상태가 된다.
상기 블레이드(35)는 휘어짐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때,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4)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볼트 또는 키 등으로 고정하여 작동 중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35)는 상기 블레이드(35) 하단에 탄성고무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커버(70)가 볼트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블레이드(35)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찬넬(20) 상에서 이동하는 사료에 금속마모에 의한 금속가루 유입을 방지한다.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어 사료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투하하는 호퍼(40), 상기 호퍼(40)에서 투하된 사료를 상기 블레이드부(30) 측으로 밀어내는 푸시실린더(5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호퍼(40)는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1개 내지 4개 설치되어, 각각의 호퍼(4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사료의 투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호퍼(40)는 호퍼(40) 내측에 형성되는 투하판(41), 상기 투하판(41)과 연결되어 투하판(41) 상부에 위치한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4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하판(41) 상부에 소정량의 사료가 위치하면 상기 로드셀(42)에서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설정된 기준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투하판(41)이 젖혀지면서 상기 투하판(41) 상부에 위치한 사료가 이송찬넬(20) 상에 투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로드셀(42)은 출력신호에 따라 공압형, 유압형, 전기형 또는 무게감지방식에 따라 벤딩형(bending type), 전단형(shear type), 압축형(compression type) 또는 인장형(tension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출력신호에 따른 유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로드셀(42)은 유압식 로드셀(Hydraulic load cell), 공압식 로드셀(Pneumatic load cell), 스트레인 게이지 로드셀(Strain-gage load cel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료의 무게 및 위생이 요구되는 축사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공압식 로드셀(4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압식 로드셀(42)은 힘-균형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로드셀(42) 내부를 채운 유체의 압력 변화를 통해 무게를 측정하는 원리를 적용하며, 측정되는 압력 및 무게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컨트롤패널에 표시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컨트롤패널을 사용하여 상기 투하판(41)이 젖혀지는 기준중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찬넬(20)은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사료가 하부로 투하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투하구(60)를 형성하되, 상기 투하구(6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게이트실린더(61)를 상기 이송찬넬(20)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게이트실린더(61)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는 게이트(62)가 상기 투하구(60)에 설치되어 사료가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 하부에 설치되는 자동급이기 또는 급이통 등에 공급된다.
이 때, 상기 게이트(62)에 무게감지센서를 설치하되, 상기 게이트(62) 및 다른 게이트(62)에 설치된 무게감지센서를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에 설치된 모든 게이트(62) 상부에 사료가 위치하여 무게가 감지되었을때, 상기 게이트실린더(61)가 장동하여 상기 게이트(62)가 개방되는 것으로 사료가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 하부에 설치되는 자동급이기 또는 급이통 등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내용으로 본원 발명의 가축사료 이송장치를 이용한 이송방법을 설명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료통에 저장된 사료가 상기 호퍼(40)에 투입되면, 호퍼(40)에 설치된 상기 로드셀(42)과 로드셀(42)과 연결된 투하판(41)에 의해 사료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료의 중량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투하판(41)이 젖혀지면서 상기 투하판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사료들이 상기 호퍼(40)를 통과하여 상기 이송찬넬(20) 측으로 투하된다.
상기 앵글실린더(39)가 전진하면서 블레이드(35)는 상기 이송찬넬(20)과 수평상태가 되어 사료의 전진을 원활하게하고, 상기 이송찬넬(20)에 투하된 사료는 상기 푸시실린더(5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35) 측으로 전진하고, 상기 찬넬무버(29)가 후진하면서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위치한 사료가 한 피치 앞으로 이동하고, 상기 앵글실린더(39)가 후진하면서, 상기 블레이드(35)는 상기 이송찬넬(20)과 수직상태가 되고, 상기 찬넬무버(29)가 전진하면서 상기 이송찬넬(20)이 후진할 때,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위치한 사료는 상기 이송찬넬(20)과 수직상태가 된 상기 블레이드(35)에 의해 사료의 후진이 방지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사료가 한 피치씩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용어 '피치'는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위치한 상기 블레이드(35)와 인접한 다른 블레이드(35)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며, 이때, '피치'의 너비는 30cm 내지 80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실린더(50), 상기 앵글실린더(39) 및 상기 찬넬무버(29)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타이머릴레이를 사용하여 실린더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 각각의 실린더 동작은 1초 내지 2초의 지연시간을 두고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푸시실린더(50), 상기 앵글실린더(39) 및 상기 찬넬무버(29)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터, 노트북, 컨트롤패널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제어부에서 PLC제어를 하는 것으로 각각의 실린더 동작을 타임테이블로 작성, 수정, 삭제 및 관리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에 설치된 모든 게이트(62) 상부에 사료가 위치하여 무게가 감지되었을때, 상기 게이트실린더(61)가 장동하여 상기 게이트(62)가 개방되는 것으로 사료가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 하부에 설치되는 자동급이기 또는 급이통 등에 공급된다.
상기 내용에서 본 발명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다.
100 : 가축사료이송장치
10 : 베이스프레임 11 : 측벽부
12 : 롤러 13 : 지지부
20 : 이송찬넬 29 : 찬넬무버
30 : 블레이드부 39 : 앵글실린더
31 : 판형캠축 32 : 캠로드
33 : 캠 34 : 회전축
35 : 블레이드 40 : 호퍼
41 : 투하판 42 : 로드셀
50 : 푸시실린더 60 : 투하구
61 : 게이트실린더 62 : 게이트
70 : 커버

Claims (7)

  1.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두개의 강판이 마주보는 형상의 측벽부(11);
    상기 측벽부(11)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12);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
    상기 롤러(13) 상부에 설치되며,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찬넬(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의 일단이 상기 이송찬넬(2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찬넬(20)을 전후진시키는 찬넬무버(29); 및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부(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는 앵글실린더(39);
    상기 앵글실린더(39)의 실린더로드에 설치되는 판형캠축(31);
    상기 판형캠축(31)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캠로드(32);
    상기 캠로드(32)에 연결되며, 상기 앵글실린더(39)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캠(33);
    상기 캠(33)에 연결되어 상기 캠(3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회전을 반복하되, 상기 이송찬넬(20) 상단에 연결된 회전축(34);
    상기 회전축(34)에 설치되는 블레이드(35);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어 사료통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투하하는 호퍼(40);
    상기 호퍼(40)에서 투하된 사료를 상기 블레이드부(30) 측으로 밀어내는 푸시실린더(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5)는 상기 블레이드(35) 하단에 탄성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의 커버(70)가 부착되어 상기 블레이드(35)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40)는 베이스프레임(10) 상부에 1개 내지 4개 설치되어, 각각의 호퍼(4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사료의 투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40)는 호퍼(40) 내측에 형성되는 투하판(41), 상기 투하판(41)과 연결되어 투하판(41) 상부에 위치한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4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하판(41) 상부에 소정량의 사료가 위치하면 상기 로드셀(42)에서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설정된 기준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투하판(41)이 젖혀지면서 상기 투하판(41) 상부에 위치한 사료가 이송찬넬(20) 상에 투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찬넬(20)은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사료가 하부로 투하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투하구(60)를 형성하되,
    상기 투하구(6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게이트실린더(61)를 상기 이송찬넬(20)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게이트실린더(61)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는 게이트(62)가 상기 투하구(60)에 설치되어 사료가 정량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100)는 상기 이송찬넬(20)을 따라 사료가 이동할 때,
    상기 호퍼(40)에서 사료가 상기 이송찬넬(20)로 투하되고,
    상기 앵글실린더(39)가 전진하면서 블레이드(35)는 상기 이송찬넬(20)과 수평상태가 되어 사료의 전진을 원활하게하고,
    상기 이송찬넬(20)에 투하된 사료는 상기 푸시실린더(5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35) 측으로 전진하고,
    상기 찬넬무버(29)가 후진하면서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위치한 사료가 한 피치 앞으로 이동하고,
    상기 앵글실린더(39)가 후진하면서, 상기 블레이드(35)는 상기 이송찬넬(20)과 수직상태가 되고,
    상기 찬넬무버(29)가 전진하면서 상기 이송찬넬(20)이 후진할 때, 상기 이송찬넬(20) 상에 위치한 사료는 상기 이송찬넬(20)과 수직상태가 된 상기 블레이드(35)에 의해 사료의 후진이 방지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사료가 한 피치씩 앞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지지부(13) 하단에 높이조절자가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자를 사용해 장치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가축사료 이송장치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KR1020220065976A 2022-05-30 2022-05-30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76A KR102451059B1 (ko) 2022-05-30 2022-05-30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76A KR102451059B1 (ko) 2022-05-30 2022-05-30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059B1 true KR102451059B1 (ko) 2022-10-04

Family

ID=8360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976A KR102451059B1 (ko) 2022-05-30 2022-05-30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0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05A (ko) * 1996-09-30 1998-07-06 게라드 반 루이젠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및 그 밸브
KR100915170B1 (ko) 2007-09-12 2009-09-03 문기환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KR20110128563A (ko) * 2010-05-24 2011-11-30 정길동 이송기
KR101383372B1 (ko) * 2011-12-16 2014-04-18 대한민국 섬유질 배합 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102041486B1 (ko) * 2018-09-07 2019-11-06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축산 원형 베일 절단 및 자동 급이 장치
KR102394591B1 (ko) 2020-07-01 2022-05-04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05A (ko) * 1996-09-30 1998-07-06 게라드 반 루이젠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및 그 밸브
KR100915170B1 (ko) 2007-09-12 2009-09-03 문기환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KR20110128563A (ko) * 2010-05-24 2011-11-30 정길동 이송기
KR101383372B1 (ko) * 2011-12-16 2014-04-18 대한민국 섬유질 배합 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102041486B1 (ko) * 2018-09-07 2019-11-06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축산 원형 베일 절단 및 자동 급이 장치
KR102394591B1 (ko) 2020-07-01 2022-05-04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21958U (zh) 一种精确配料活化给料机
CN106719031B (zh) 滚筒式投食装置的定量投食方法
CN105417097A (zh) 一种精确配料活化给料机
CN107324070A (zh) 智能动态计量预料系统
US20120255834A1 (en) Bulk material leveling and volumetric measuring and feeding apparatus
KR102451059B1 (ko)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4223653U (zh) 垂直提升物料的斗式提升机
CN105059962A (zh) 牲畜饲喂撒料试验台
KR100675791B1 (ko) 육상어류양식장용 자동먹이공급시스템
CN206654473U (zh) 一种能够定量的加料装置
CN219859138U (zh) 均衡储料、稳定输出煤仓及煤矿井下物料仓储系统
CN201217567Y (zh) 一种改进的给料机
CN110934078B (zh) 一种自动投料装置及猪舍
US3029791A (en) Bunk feeder control mechanism
KR102394591B1 (ko)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3205859A (en) Oscillating conveyor bunk feeder
CN219193377U (zh) 一种皮带输送机头部同步调整装置
CN217597461U (zh) 一种混凝土搅拌站上料提升机构
US3810537A (en) Novel belt feeder
CN220000411U (zh) 一种自动喂料装置
CN213355999U (zh) 一种饲料加工用的螺旋输送机
CN211811793U (zh) 一种用于植物精油生产的物料输送装置
CN214051219U (zh) 一种农业育苗用基质搅拌机的出料装置
CN220412192U (zh) 一种用于保温砌块生产的配料转移装置
CN216465408U (zh) 一种混凝土搅拌站计量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