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170B1 -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170B1
KR100915170B1 KR1020070092814A KR20070092814A KR100915170B1 KR 100915170 B1 KR100915170 B1 KR 100915170B1 KR 1020070092814 A KR1020070092814 A KR 1020070092814A KR 20070092814 A KR20070092814 A KR 20070092814A KR 100915170 B1 KR100915170 B1 KR 10091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asing
cable
livestock
sprocke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529A (ko
Inventor
문기환
Original Assignee
문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환 filed Critical 문기환
Priority to KR102007009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1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이송디스크를 다수개 형성하여 사료를 운반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이 내삽되어 가축이 수용된 복수의 사육실을 경유하도록 한 사료공급관을 구비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이 연통되는 케이싱 및 사료가 최초공급되어 임시저장되는 사료수용조와, 상기 사육실을 경유하여 회수된 사료가 상기 임시저장소로 유입되도록 하는 회수판과, 상기 임시저장소에 저장된 사료를 케이싱의 유출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디스크와 맞물려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이송스크류를 회전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과, 상기 이송디스크가 사료공급관의 내부를 주행하도록 하는 구동스프로킷휠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료수용조에 각 사육실에 분배될 사료를 공급하기 전, 회수된 사료를 사료수용조에 1차적으로 회수하여, 분배될 사료와 회수된 사료를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용 사료공급장치{FEEDING DEVICE FOR PIGS}
본 발명은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은 선출원으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출원번호 20-2001-0032376, 2001년 10월 23일)를 기출원하였으며, 본원발명은 상기 고안을 개량한 발명이다.
기출원한 상기 발명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이 속하는 배경기술을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료공급관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는, 축사(10)에 사료(13)를 공급할 수 있도록 축사(10)를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사료공급관(21)과, 사료공급관(21)의 내부에 주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블(23)과, 케이블(23)에 소정의 피치(P)를 가지고 결합되어 사료(13)를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디스크(25)와, 내부에 사료(13)가 수용되는 사료저장조(41)와, 사료저장조(41)의 하측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공급될 사료(13)가 일시 수용되는 사료수용조(43)와, 사료수용조(43)의 일측에 배치되는 케이싱(45)과, 사료수용조(43)를 사이에 두고 케이싱(45)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공급 초과시 회수된 사료(13)가 수용되는 회수사료수용조(48)와, 일단은 회수사료수용조(48)에 배치되고 타단은 케이싱(45)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함으로써 회수사료수용조(48) 및 사료수용조(43)의 내부의 사료(13)를 케이싱(45)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65)와, 이송스크류(65)의 일측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이송디스크(25)와 맞물림 되어 이송스크류(65)를 회전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발명자가 기 출원했던 발명은 회수된 사료를 따로 저장하기 위한 회수사료수용조 공간을 더 구비함으로써 공간의 낭비가 심하고, 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료회수관이 케이싱 내부 형성되는 등 구성이 복잡하여 내부에 잔고장이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치 전체를 보수해야 한다는 점과 함께, 그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의 초과 공급시 사육실을 경유하여 회수된 사료가 우선적으로 사료수용조에 공급되도록 한 후, 상기 사료수용조로 유입되는 사료와 함께 공급가능하도록 케이싱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내부에 사료의 운반경로가 형성되며 가축이 수용되는 복수의 사육실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사료공급관과, 상기 사료공급관의 내부에 주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소정의 피치를 가지고 형성되어 사료를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디스크를 구비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관의 일단이 연통결합되는 유입부와, 상기 사료공급관의 타단이 연통결합되는 유출부를 일측에 천공하고, 사료공급관의 양단이 연통결합되는 제 1, 2회동부를 타측에 천공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각 사육실로 저장될 사료가 임시 저장되는 사료수용조와; 상기 사료수용조 일측에서 사료공급관의 일단을 통해 케이싱 내부로 이송된 미수거된 사료를 상기 사료수용조로 이송시키도록 유입부 하측에서 상기 사료수용조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회수판과; 상기 사료수용조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사료수용조로 최초유입되는 사료 및 회수판으로부터 유입된 미수거 사료를 상기 유출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둘레에 상기 이송디스크의 피치에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디스크의 상측에서 상기 치형부와 상기 이송디스크가 상호 맞물림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과; 둘레에 상기 이송디스크와 맞물림 가능하게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고 회전축이 상기 이송스크류의 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디스크가 상기 사료공급관의 내부를 주행되도록 하는 구동스프로킷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가 공급 초과시 회수된 사료를 케이싱 내부로 유입될 시, 상기 케이싱 내부를 유동하지 않고 유입부측에서 바로 사료수용조로 이송되도록 상기 유입부 하측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함으로써, 공급 초과시 회수된 사료와 사료저장조로부터 유입되는 사료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및 이송디스크 등 부품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스프로킷휠 및 장력조절휠을 단일의 케이싱내에 배치하되, 상기 내부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이 적절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1의 사료공급관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6의 평면사시도와 우측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사시도.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의 저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 축사 11 : 통로
12 : 사육실 21, 21' : 사료공급관
23 : 케이블 24 : 관통공
25 : 이송디스크 31 : 수직공급관
35 : 감지센서 41 : 사료저장조
43 : 사료수용조 45 : 케이싱
49a : 유입부 49a' : 유입공
49b : 유출부 49b' : 유출공
49c : 제 1회동부 49c' : 제 1회동공
49d : 제 2회동부 49d' : 제 2회동공
51 : 구동스프로킷휠 55 : 콘트롤러
57 : 장력조절휠 59 : 가이드부재
61 : 스프링부재 63 : 케이블절단감지스위치
65 : 이송스크류 69 : 사료걸름틀
70 : 회수판 80 : 제 1거치부
81 : 제 2거치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컨대,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과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사료의 운반경로가 형성되며 가축이 수용되는 복수의 사육실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사료공급관과, 상기 사료공급관의 내부에 주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소정의 피치를 가지고 형성되어 사료를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디스크를 구비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관의 일단이 연통결합되는 유입부와, 상기 사료공급관의 타단이 연통결합되는 유출부를 일측에 천공하고, 사료공급관의 양단이 연통결합되는 제 1, 2회동부를 타측에 천공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각 사육실로 저장될 사료가 임시 저장되는 사료수용조와; 상기 사료수용조 일측에서 사료공급관의 일단을 통해 케이싱 내부로 이송되는 사육실을 경유하여 회수된 사료를 상기 사료수용조로 이송시키도록 유입부 하측에서 상기 사료수용조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회수판과; 상기 사료수용조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사료수용조로 최초유입되는 사료 및 회수판으로부터 유입된 미수거 사료를 상기 유출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둘레에 상기 이송디스크의 피치에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디스크의 상측에서 상기 치형부와 상기 이송디스크가 상호 맞물림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과; 둘레에 상기 이송디스크와 맞물림 가능하게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고 회전축이 상기 이송스크류의 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디스크가 상기 사료공급관의 내부를 주행되도록 하는 구동스프로킷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는 구동스프로킷휠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디스크와 맞물림 가능하게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구동스프로킷휠의 일측에 상기 구동스프로킷휠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배치되는 장력조절휠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장력조절휠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축지지부재가 상기 구동스프로킷휠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신축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부재와, 일단은 상기 축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축지지부재가 상기 구동스프로킷휠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프링부재 및 상기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절단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케이블절단감지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사료공급모드를 가지며 설정된 사료공급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는 구동스프로킷휠과 장력조절수단에 순차적으로 맞물려 이동되는 케이블을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사료공급관을 통해 제 1회동부에서 제 2회동부로 이송시킨 후, 상기 유출부를 통해 각 사육실로 이송가능토록 하되, 상기 사료공급관의 각 절곡구간에는 케이블 및 이송디스크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각 가이드부는 둘레면에 이송디스크의 피치에 대응되게 맞물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휠과, 상기 가이드휠을 내부에 수용하는 휠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스크류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일측 전면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는 축사 내부의 각 사육실을 유동하며 사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이송디스크의 케이블이 내삽된 사료공급관을 구비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사육실에 사료가 초과 공급이 발생되어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45), 사료수용조(43), 회수판(70), 이송스크류(65), 스크류구동스크로킷휠(67), 구동스프로킷휠(51)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요부확대 정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6의 평면사시도와 우측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의 저면사시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10)의 중앙영역에는 통로(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로(11)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는 복수의 사육실(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사육실(12)에는 사료(13)가 공급될 수 있도록 사료공급관(21)이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각 사육실(12)에는 사료공급관(21)을 통해 이송된 사료(13)가 낙하할 수 있도록 수직공급관(31)이 구비되어 있다. 각 수직공급관(31)의 하측에는 급이조(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블(23)의 주행방향에 대해 최종에 배치되는 사육실(12)의 수직공급관(31)내에는 충전된 사료(13)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35)가 구비되어 있다.
사료공급관(21)의 내부에는 사료공급관(21)의 내부를 반복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는 케이블(23)이 수용되어 있으며, 케이블(23)에는 사료공급관(21)의 내부를 따라 사료(13)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전 길이구간에 걸쳐 소정의 피치(P)를 가지고 복수의 이송디스크(25)가 결합되어 있다. 사료공급관(21)은 방향이 전환되는 복수의 절곡구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절곡구간에는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케이싱(45)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케이싱(45)을 설명하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케이싱(45)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사료가 최초유입되어 임시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사료수용조(43)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45)의 일측 상부영역에는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4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45)의 내부로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를 내삽하여 이송시키는 사료공급관(21)이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도록 하여 유입부(49a)를 형성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유입공(49a')이 형성된 케이싱(45)의 일측 하부영역, 즉, 상기 케이싱(45)의 일측에서 유입공(49a')과 대각선 방향에는 상기 케이싱(45)의 내/외부를 경유한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49b')을 형성하며, 상기 유출공(49b')에서 케이싱(45)의 내측으로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를 내삽하여 이송시키는 사료공급관(21)을 일정길이 이상 삽입하여 유출부(49b)를 형성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케이싱(45)은 유입공(49a') 및 유출공(49b')이 형성된 반대편인 타측에, 상기 유입공(49a')과 유출공(49b')과 마찬가지로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를 내삽하여 이송시키는 사료공급관(21')이 이송될 수 있도록 제 1, 2회동공(49c', 49d')를 각각 천공하고, 상기 사료공급관(21)'을 각각의 회동공에 일정길이 이상 삽입시켜 제 1회동부(49c)와 제 2회동부(49d)를 각각 형성하도록 하여 케이싱(45)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유입공(49a')을 통해 케이싱(45)의 내부로 유입된 사료공급관(21)은 제 1회동공(49c')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 후, 다수의 절곡부위를 형성하는 사료공급관(21')을 통해 다시 제 2회동공(49d')을 통해 상기 케이싱(45)의 내부를 다시 거친 다음 유출공(49b')을 통해 유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케이싱(45)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공(49a') 및 유출공(49b')은 각각 일측 상, 하부측에 형성되되 상호간 대각선 형태를 유지하여 천공되고, 상기 케이싱(45)의 타측에 형성된 제 1, 2회동공(49c', 49d')은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며 각각 유입공(49a')과 유출공(49b')에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45)의 타측 하부측에 천공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45)의 내부로 유입공(49a')을 통해 삽입되어 일정길이의 유입부(49a)를 형성하는 사료공급관(21)의 저면에는 각 사육실(12)에 사료(13)가 초과 공급되어 각 사육실(12)로 공급되지 못하고 사료공급관(21)을 통해 케이싱(45)의 유입부(49a)로 유입된 사료(13)가 낙하될 수 있도록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관통공(24)의 저면에는 사육실(12)로 공급되지 못하고 관통공(24)으로 낙하된 상기 사료(13)가 상기 사료수용조(43)를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사료수용조(43)를 향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회수판(70)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사료수용조(43)에는 새로운 사료(13)가 투입되기 전, 각 사육실(12)로 공급되지 못한 미배치 사료(13)가 먼저 1차적으로 투입되도록 한 후, 하기에서 설명될 상기 사료수용조(43)의 저면에 위치되는 이송스크류(65)를 통해 이동 후, 2차적으로 새로운 사료(13)와 섞여 유출부(49)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케이블(23)의 주행방향을 따라 유입부(49a)의 일측에는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둘레면에 이송디스크(25)의 피치(P)에 대응되게 치형부가 형성된 구동스프로킷휠(51)이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스프로킷휠(51)의 회전축에는 구동모터(54)에 연결된 감속기(53)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모터(54)의 일측에는 구동모터(54)를 제어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55)가 배치되어 있으며, 콘트롤러(55)는 복수의 사료공급모드, 예를 들면 하루당 공급횟수, 공급시간, 공급량 등을 선택 또는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스프로킷휠(51)의 일측에는 이송디스크(25)와 맞물림 가능하게 둘레면에 이송디스크(2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그루브형상의 가이드면이 형성된 장력조절휠(57)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장력조절휠(57)은 이송디스크(25)의 피치(P)에 대응되게 치형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장력조절휠(57)의 배후에는 장력조절휠(57)이 구동스프로킷휠(51)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장력조절휠(57)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59)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이드부재(59)에는 장력조절휠(57)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재(6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9)의 상측에는 가이드부재(59)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한 인장코일스프링형태의 스프링부재(6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부재(61)의 타단에는 일단이 장력조절휠(57)의 축지지부재(60)에 고정된 와이어(64)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재(61)의 고정단은 케이싱(45)에 대해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스프링부재(61)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64)의 일측에는 케이블(23)의 절단시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54)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케이블절단감지스위치(63)가 구비되어 있다.
장력조절휠(57)의 후면측으로는 상기 관통공(24)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 및 사료수용조(43)로 유입되는 사료(13)를 상기 케이싱(45)의 내부 및 외부를 통과하는 이송디스크(25)의 경로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65)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스크류(65)는 상기에서 설명되었던 사료수용조(43)의 저면에서 위치되되, 상기 장력조절휠(57)의 후면측에 거치된다.
이송스크류(65)는 지지축(66a)과, 지지축(66a)의 둘레에 소정의 외경을 가지도록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지지축(66a)의 회전시 사료(13)를 축선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날개부(66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66a)의 일단은 회수판(70)의 최하측 내벽에 베어링(6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이송스크류(65)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은 유출부(49b)가 형성되는 제 2거치부(81)에 위치되는 것이고, 상기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이송되는 사료(13)중의 이물질 또는 공급에 적합하지 않은 사료덩어리 등을 분리해 낼 수 있도록 사료걸름틀(69)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송스크류(65)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유출부(49b)의 일 영역에는 사료걸름틀(69)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및 곰팡이 등에 의해 덩어리진 비적합 사료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방출구(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선택된 사료공급모드, 예를 들면 아침, 점심 및 저녁 시간에 소정 시간 동안 사료(13)를 공급하도록 설정된 모드에 따라 콘트롤러(55)가 구동모터(5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면, 구동모터(54)의 회전력은 감속기(53)를 통해 구동스프로킷휠(51)의 회전축에 전달된다. 구동스프로킷휠(51)이 회전을 개시하면 구동스프로킷휠(51)에 맞물림된 이송디스크(25) 및 케이블(23)이 주행을 개시하게 되고, 이송디스크(25) 및 케이블(23)은 사료공급관(21')을 지나 제 2회동부(49d)로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구동스프로킷휠(51)이 회전을 개시하면 이와 거의 동시에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이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과 함께 이송스크류(65)가 회전을 개시하면 사료수용조(43) 내부의 사료(13)는 이송스크류(65)에 의해 축선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공급에 적합한 사료(13)는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과 일체로 회전되는 사료걸름틀(69)의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이물질 및 사료 덩어리 등은 사료걸름틀(69)에 의해 방출구(47)를 통해 케이싱(45)의 외부로 배출된다.
사료걸름틀(69)의 하측으로 낙하한 사료(13)는 이송디스크(25)에 의해 케이블(23)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유출부(49b)를 통해 사료공급관(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사육실(12)로 이송된 후 각 사육실(12)의 수직공급관(31)을 차례로 충전시키게 된다. 케이블(23)의 주행방향을 따라 최종에 배치된 사육실(12)의 수직공급관(31)내에 배치된 감지센서(35)에 의해 사료(13)의 충전이 완료된 것이 감지되면 콘트롤러(55)는 더 이상 사료(13)가 공급되지 않도록 구동모터(54)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한편, 감지센서(35)의 고장 또는 오작동이 발생되면, 사료공급관(21)을 따라 이송되는 사료(13)는 더 이상 각 사육실(12)에 제공되지 못하고 사료공급관(21)을 따라 케이싱(45)의 유입부(49a)측으로 이송된다. 사료공급관(21)의 삽입측 단부로 이송된 사료(13)는 저부에 형성된 관통공(24)을 통해 낙하되고 상기 관통공(24) 저면에 형성된 회수판(70)을 따라 사료수용조(43)로 이송되어 모이게 된다.
사료수용조(43)로 이송된 사료(13)는 이송스크류(65)의 날개부(66b)사이에 개재되어 축선방향을 따라 이송되어 사료걸름틀(69)의 하측으로 낙하된 후 이송디스크(25)에 의해 사료공급관(21)의 내부로 이송된다. 이 때, 이송스크류(65)의 날개부(66b) 사이에는 회수판(70)으로부터 이동되어 투입된 사료(13)가 먼저 채워지고, 이렇게 날개부(66b)사이에 사료(13)가 채워진 상태로 이송스크류(65)가 회전하게 되면 사료수용조(43)의 사료(13)는 축선방향을 따라 거의 이송됨이 없이 사료수용조(43)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콘트롤러(55)는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각 사육실(12)의 수직공급관(31)이 충전 완료되는 시간에 소정의 여유시간을 더한 시간 동안 구동모터(54)를 동작시킨 후 구동모터(54)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의 내부에 구동스프로킷휠 및 장력조절휠이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과 동시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구동스프로킷휠 및 장력조절휠을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과 별개의 케이싱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내부에 사료(13)의 운반경로가 형성되며 가축이 수용되는 복수의 사육실(12)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사료공급관(21)과, 상기 사료공급관(21)의 내부에 주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블(23)과, 상기 케이블(23)에 소정의 피치(P)를 가지고 형성되어 사료(13)를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디스크(25)를 구비한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관(21)의 일단이 연통결합되는 유입부(49a)와, 상기 사료공급관(21)의 타단이 연통결합되는 유출부(49b)를 일측에 천공하고, 사료공급관(21')의 양단이 연통결합되는 제 1, 2회동부(49c, 49d)를 타측에 천공하는 케이싱(45)과;
    상기 케이싱(45)의 내부에 일정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각 사육실(12)로 저장될 사료(13)가 임시 저장되는 사료수용조(43)와;
    상기 사료수용조(43) 일측에서 사료공급관(21)의 일단을 통해 케이싱(45) 내부로 이송되는 사육실(12)을 경유하여 회수된 사료(13)를 상기 사료수용조(43)로 이송시키도록 유입부(49a) 하측에서 상기 사료수용조(43)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회수판(70)과;
    상기 사료수용조(43)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사료수용조(43)로 최초유입되는 사료(13) 및 회수판(70)으로부터 회수된 사료(13)를 상기 유출부(49b)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65)와;
    둘레에 상기 이송디스크(25)의 피치(P)에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디스크(25)의 상측에서 상기 치형부(52)와 상기 이송디스크(25)가 상호 맞물림되어 상기 이송스크류(65)를 회전구동시키는 스크류구동스프로킷휠(67)과;
    둘레에 상기 이송디스크(25)와 맞물림 가능하게 복수의 치형부(52)가 형성되고 회전축이 상기 이송스크류(65)의 축선과 평행하게 상기 케이싱(45)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디스크(25)가 상기 사료공급관(21)의 내부를 주행되도록 하는 구동스프로킷휠(51);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는 구동스프로킷휠(51)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둘레에 상기 이송디스크(25)와 맞물림 가능하게 복수의 치형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45)의 내부에 상기 구동스프로킷휠(51)의 일측에 상기 구동스프로킷휠(51)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배치되는 장력조절휠(57)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23)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장력조절휠(57)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재(60)와, 상기 축지지부재(60)가 상기 구동스프로킷휠(51)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9)와, 상기 가이드부재(59)의 일측에 신축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부재(61)와, 일단은 상기 축지지부재(6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부재(61)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6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축지지부재(60)가 상기 구동스프로킷휠로(51)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와이어(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61) 및 상기 와이어(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23)의 절단시 상기 구동모터(54)의 구동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케이블절단감지스위치(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료공급모드를 가지며 설정된 사료공급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54)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용 사료공급장치는 구동스프로킷휠(51)과 장력조절수단에 순차적으로 맞물려 이동되는 케이블(23)을 상기 케이싱(45)의 외부에서 상기 사료공급관(21')을 통해 제 1회동부(49c)에서 제 2회동부(49d)로 이송시킨 후, 상기 유출부(49b)를 통해 각 사육실(12)로 이송가능토록 하되, 상기 사료공급관(21')의 각 절곡구간에는 케이블(23) 및 이송디스크(25)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7)가 형성되도록 하며, 각 가이드부(27)는 둘레면에 이송디스크(25)의 피치(P)에 대응되게 맞물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휠(28)과, 상기 가이드휠(28)을 내부에 수용하는 휠하우징(29)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65)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45)의 일측 전면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방출구(4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KR1020070092814A 2007-09-12 2007-09-12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KR10091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14A KR100915170B1 (ko) 2007-09-12 2007-09-12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14A KR100915170B1 (ko) 2007-09-12 2007-09-12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29A KR20090027529A (ko) 2009-03-17
KR100915170B1 true KR100915170B1 (ko) 2009-09-03

Family

ID=4069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814A KR100915170B1 (ko) 2007-09-12 2007-09-12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1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420A (ko) 2015-03-19 2016-09-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비육종 가축 사료 공급장치용 디스크 와이어
KR20180051985A (ko)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사료 급이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가축용 사료 급이 시스템
KR20220003326A (ko) 2020-07-01 2022-01-10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059B1 (ko) 2022-05-30 2022-10-04 배남섭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266B1 (ko) * 2015-04-08 2015-11-23 박용열 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1693466B1 (ko) 2016-03-31 2017-01-06 김유림 휀스형 사료 및 음수 자동 급이시스템
KR102326428B1 (ko) * 2021-04-05 2021-11-12 윤정덕 사료 자동급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32Y1 (ko) * 2001-10-23 2002-01-19 문기환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JP2003235381A (ja) * 2002-02-14 2003-08-26 Fujii Shokai:Kk 飼料供給装置
KR200401374Y1 (ko) * 2005-08-18 2005-11-15 홍광의 가축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의 구동장치
JP2007119207A (ja) * 2005-10-31 2007-05-17 Fujii Shokai:Kk 飼料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32Y1 (ko) * 2001-10-23 2002-01-19 문기환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JP2003235381A (ja) * 2002-02-14 2003-08-26 Fujii Shokai:Kk 飼料供給装置
KR200401374Y1 (ko) * 2005-08-18 2005-11-15 홍광의 가축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의 구동장치
JP2007119207A (ja) * 2005-10-31 2007-05-17 Fujii Shokai:Kk 飼料搬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420A (ko) 2015-03-19 2016-09-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비육종 가축 사료 공급장치용 디스크 와이어
KR20180051985A (ko) 2016-11-09 2018-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용 사료 급이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가축용 사료 급이 시스템
KR20220003326A (ko) 2020-07-01 2022-01-10 배남섭 가축사료 자동급이기 사료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059B1 (ko) 2022-05-30 2022-10-04 배남섭 캠을 이용한 가축사료 이송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29A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170B1 (ko)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EP26614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fluid-based product distribution
KR101932076B1 (ko) 냉장고
CN101520259B (zh) 冰箱的制冰装置
US20180056216A1 (en) Filter cartridge
CN102997536A (zh) 冰箱
KR20140141277A (ko) 비정형 정제 디스펜싱 장치
CN110202626A (zh) 一种多管自动切割的机械加工装置
CN110024714A (zh) 一种移动蛋车式孵化机
US20180056215A1 (en) Filter cartridge
JP2006258192A (ja) 転がり軸受装置および回転装置
US8141718B2 (en) Separation device
JP2013117352A (ja) アイスディスペンサ
KR200261132Y1 (ko) 축사용 사료공급장치
CN105745151B (zh) 药剂供给单元
JP5748679B2 (ja) 複連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切離装置
JP2021061752A (ja) コンバイン
JPS63283528A (ja) 飼料を家禽飼育場の直線状トラフに供給するための改良トロリー
CN111028426A (zh) 自动补货机构及自动售卖机
JP2006262970A (ja) 球払出装置の球抜き機構及びパチンコ遊技機
KR100656183B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CN113007090B (zh) 一种污泥螺杆泵保护装置
CN109801725B (zh) 应用于球床堆的单通器
EP1359326B1 (en) Centrifugal drive device for automatic opening of fan louvers
CN107444837A (zh) 具有磁性离合器的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