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791A - 컨베이어 장치 및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의 반송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치 및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의 반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791A
KR20110124791A KR1020117022939A KR20117022939A KR20110124791A KR 20110124791 A KR20110124791 A KR 20110124791A KR 1020117022939 A KR1020117022939 A KR 1020117022939A KR 20117022939 A KR20117022939 A KR 20117022939A KR 20110124791 A KR20110124791 A KR 2011012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belt
suction
conveyor apparatus
cro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909B1 (ko
Inventor
히로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6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0Advancing webs by a feed band against which web is held by fluid pressure, e.g. suction or air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 B65H2301/44336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using suction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1Bending, buckling, curling, bringing a curvature
    • B65H2301/51214Bending, buckling, curling, bringing a curvature parallel to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57Diaper manufa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dvancing Webs (AREA)
  • Belt Conveyo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에서는, 벨트(100)에 벨트(110)를 관통하는 복수의 흡인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110)는, 교차방향(CD)으로 인접하는 흡인부(111)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흡인부(111)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112)로부터 융기하는 융기부(113)를 구비한다. 웹(7)이 벨트(110)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흡인부(111)는 융기부(113)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흡인부와 서로 연통된다. 웹(7)이 벨트(110)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벨트(110)에 있어서 교차방향(CD)의 맨끝 부분(110A)에 위치하는 흡인부(111)가 외부와 연통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 및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의 반송방법{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YING CONTINUOUS, AIR-PERMEABLE WEB}
본 발명의 내용은 복수의 롤러 둘레로 회전하는 무단 벨트 상에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을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컨베이어 장치와,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팬티형 기저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 등과 같은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조립 라인에서 행해진다.
예를 들어, 흡수성 물품을 형성하는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를 포함하는 연속 웹이,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웹의 반송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반송된다.
그 후에, 반송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반송되고 있는 웹 상에, 개더(신축성을 갖는 부재)나 방수 필름 등과 같은 구성 부재를 적층한다.
한편, 개더 또는 방수 필름 등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구성 부재가 배치되는 곳에서, 웹은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교차방향(소위 웹의 폭방향)으로 신장 혹은 수축될 수도 있다.
특히, 착용자의 허리선에 맞춰지는 한 쌍의 허리선 부분이 반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로 웹이 반송되는 반송방법(소위 가로방향의 반송방법)에서, 반송중의 웹은 대개 웹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이고, 웹의 폭방향의 중심을 향해 수축된다.
이러한 정황하에서, 발명자(들)는 웹의 폭방향으로의 신축 가능성을 억제하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는, 복수의 롤러 둘레로 회전하는 무단 벨트와, 벨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기구, 그리고 흡인 기구를 포함한다. 벨트에는 웹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흡인 기구는 흡인 구멍을 통해 웹을 벨트 상에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컨베이어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구체적으로, 흡인 기구는 웹과 흡인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웹을 벨트 상에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웹의 일부가 흡인 구멍에 들어간다. 웹의 일부가 흡인 구멍에 들어간 상태에서 구성 부재(예를 들어, 흡착체)가 웹 상에 적층되는 경우에, 웹과 구성 부재의 사이에 에어 포켓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제조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45485호(2페이지~4페이지, 도 1 및 도 2)
웹을 벨트 상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웹의 그 폭방향으로의 신축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에어 포켓의 형성으로 인한 제조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와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술하는 양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통기성을 갖는 시트의 연속체를 포함하는 웹을, 복수의 롤러 둘레로 회전하는 무단 벨트 상에 흡착하면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상기 웹은 웹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교차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벨트에는 벨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흡인부가 마련되며; 상기 벨트는, 상기 교차방향으로 인접하는 흡인부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흡인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로부터 융기하는 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흡인부는 상기 융기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흡인부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벨트에 있어서 상기 교차방향의 맨끝 부분에 위치하는 흡인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통기성을 갖는 시트의 연속체를 포함하는 웹을, 복수의 롤러 둘레로 회전하는 무단 벨트 상에 흡착하면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상기 웹은 웹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교차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벨트 상에 다공질 부재로 형성되는 다공질부가 마련되며; 상기 다공질부의 상기 교차방향에서의 측부 가장자리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통기성을 갖는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통기성을 갖는 시트의 연속체를 포함하는 웹을, 컨베이어에 마련된 무단 벨트 상에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웹은 웹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교차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벨트에는 상기 웹을 흡인하며 벨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흡인부가 마련되며; 상기 벨트는, 상기 교차방향으로 인접하는 흡인부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흡인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로부터 융기하는 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흡인부는 상기 융기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흡인부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벨트에 있어서 상기 교차방향의 맨끝 부분에 위치하는 흡인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와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웹을 벨트 상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웹의 그 폭방향으로의 신축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에어 포켓의 형성으로 인한 제조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관련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도 3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5의 (c)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변형예 1에 따른 여러 구성의 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2에 따른 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3에 따른 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와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그 밖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나 부분을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하라. 또한, 별도로 기술되어 있는 한, 도면은 개략적이고 축척을 맞춰 도시된 것이 아님을 유의하라.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은 구성요소의 실제 치수 관계나 비율을 반영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은 구성요소의 실제 치수 관계나 비율을 반영할 필요는 없다.
우선, 흡수성 물품(1)의 부분 절결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구조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흡수성 물품(1)은 성인용의 1회용 팬티형 기저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주로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흡수체(4) 및 방수 시트(5)로 구성된다.
표면 시트(2)는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하는 사람(이하에서는 "착용자"라 함)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로서, 부직포나 구멍이 난 플라스틱 필름 등의 액투과성 시트가 사용된다.
표면 시트(2)의 외측에는 이면 시트(3)가 마련되어 있고, 즉 이면 시트(3)는 표면 시트(2)보다 착용자로부터 먼 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면 시트(3)로서,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사이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흡수체(4)로서,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의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방수 시트(5)는 이면 시트(3)와 흡수체(4)의 사이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배설물의 투과를 허용하지 않는다. 방수 시트(5)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전방 허리선에 맞춰진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착용자의 후방 허리선에 맞춰진 후방 허리선 부분(20), 그리고 착용자의 가랑이에 맞춰진 가랑이 부분(30)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가랑이 부분(30)의 측부에는 다리 포위 개구(40)가 각각 형성되고, 착용자의 다리는 다리 포위 개구(40)를 통해 삽입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은 접합부(50)에 의해 일체화되어, 착용자의 몸통에 들어맞는 허리선 부분(60)을 형성한다.
신축성을 갖는 고무 스트랜드 등으로 제조된 허리 개더(6A)가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둘레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에 허리 개더(6A)가 마련됨으로써, 전방 허리선 부분(10)으로부터 후방 허리선 부분(20)으로 연장되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전방 허리선 부분 및 후방 허리선 부분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되어 교차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질 수도 있다.
가랑이 부분(30)은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사이에 마련된다.
가랑이 부분(30)의 각 측부에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 스트랜드 등으로 각각 제조된 다리 개더(6B)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가랑이 부분(30)에 다리 개더(6B)가 마련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의 전후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가랑이 부분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되어 흡수성 물품(1)의 전후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의 관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인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허리선 형성 단계(S1)와, 흡수체 전사 단계(S2)와,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S3)와, 폴딩 단계(S4)와, 접합 단계(S5), 그리고 절단 단계(S6)를 포함한다.
허리선 형성 단계(S1)에서는, 웹(7A)과 웹(7B)의 사이에 개더[허리 개더(6A) 및/또는 다리 개더(6B)]를 배치함으로써 웹(7)이 형성된다. 이 웹(7)은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으로 가공된다.
반송 중인 웹(7)[웹(7A, 7B)]은, 웹(7)의 반송방향(MD;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교차 방향(CD;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는 것을 유의하라.
또한, 웹(7)은, 웹(7)의 교차 방향(CD)으로 폭을 이분하고 웹(7)의 반송방향(MD)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L)에 대하여 비대칭이다.
흡수체 전사 단계(S2)에서는, 허리선 형성 단계(S1) 후에, 웹(7) 상에, 구체적으로는,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사이에, 가랑이 부분(30)으로 가공되는 가랑이부 부재(30A)를 전사한다. 가랑이부 부재(30A)가 이면 시트(3)와 흡수체(4)로 형성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S3)에서는, 흡수체 전사 단계(S2) 후에, 웹(7)[웹(7A, 7B)]을 절단함으로써, 다리 포위 개구(40)(소위, 다리 구멍)를 형성한다.
다리 포위 개구(40)는 웹(7)[웹(7A, 7B)]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가랑이부 부재(30A)를 형성하는 이면 시트(3)를 웹(7A) 및 웹(7B)과 함께 절단함으로써도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여기서, 흡수체 전사 단계(S2)와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S3)를 순서를 바꾸어 실행할 수도 있다.
폴딩 단계(S4)에서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S3) 후에, 웹(7)에서의 전방 허리선 부분(10)의 측부 가장자리(10A)를 웹(7)에서의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측부 가장자리(20A)를 향하게 함으로써, 웹(7)의 반송방향(MD)으로 연장되는 폴딩 라인을 따라 웹(7)을 반으로 접는다.
특히,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폴딩 라인이 중심선(CL)과 동일하다는 것을 유의하라. 또한, 폴딩 라인이 중심선(CL)과 일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중심선(CL)으로부터 측부 가장자리(10A) 또는 측부 가장자리(20A) 쪽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접합 단계(S5)에서는, 폴딩 단계(S4) 후에, 웹(7)의 폴딩된 부분이 초음파 처리나 가열 처리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접합부(50)로 가공되는 접합 영역(50A)에 접합된다.
접합 영역(50A)은 가상선(SL)의 반송방향(MD) 양측에 있는 영역을 각각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하라. 가상선(SL)은 교차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절단선을 나타낸다.
절단 단계(S6)에서는, 접합 단계(S5) 후에, 접합 영역(50A)이 접합된 웹(7)을 가상선(SL)을 따라 절단한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이 제조된다.
웹(7)은 각 단계(S1 내지 S6) 사이에서 후술하는 컨베이어 장치(100)에 의해 반송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웹(7)은 적어도 웹(7)의 교차방향(CD)[소위 웹(7)의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이어서, 전술한 단계(S1 내지 S6)에서 사용된 컨베이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의 (도 3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장치(100)가 여러 단계(S1 내지 S6) 중 어느 한 단계에서 및/또는 임의의 두 단계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S3)와 폴딩 단계(S4)의 사이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100)는 벨트(110) 상에 웹(7)을 흡착한 상태로 웹(7)을 반송한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 장치(100)는 벨트(110)와, 구동 기구(120), 그리고 흡인 기구(130)를 포함한다.
벨트(110)는 구동 기구(120)의 복수의 롤러[예를 들어, 구동 롤러(121)와 도시 생략된 롤러들] 둘레로 회전하는 무단 벨트이다. 벨트(110)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구동 기구(120)는 벨트(110)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구(120)는 전술한 복수의 롤러와 구동 유닛(122)을 포함한다.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121)는 구동 유닛(122)에 의해 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구동 유닛(122)은 축(121A) 등을 통해 구동 롤러(121)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모터를 구비한다.
흡인 기구(130)는 후술하는 흡인부(111)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흡인 기구(130)는 벨트(110) 상에 위치하는 웹(7)의 일부를 벨트(110) 상에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전술한 벨트(11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110)의 확대 사시도임을 유의하라. 도 5의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110)의 평면도이다. 도 5의 (c)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110)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10)에는 벨트(110)를 관통하는 복수의 흡인부(개구)(110)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110)는 흡인부(111)의 가장자리부(112)로부터 각각 융기되어 있는 융기부(113)를 더 포함한다.
웹(7)의 교차방향(CD)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흡인부(111) 사이에 융기부(113)가 마련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별법으로서, 웹(7)의 반송방향(MD)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흡인부(111) 사이에 융기부(113)가 마련된다.
벨트(110)의 평면도에서, 융기부(113)의 전체 면적은 흡인부(111)의 전체 면적보다 작다.
흡인부(111)와 융기부(113)는 코드(114)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짜는 것을 통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각 융기부(113)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코드(114)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 중의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코드(114) 위로 지나가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벨트(110)의 1 인치당 10 내지 20 메시의 코드(11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몇몇 실시형태에서, 코드(114)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염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드(114)의 직경은 0.02 mm 내지 1.9 mm로 설정될 수 있다. 흡인 압력은, 웹(7)을 유지할 수 있고 웹(7)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레벨로 설정되어야 한다. 벨트(110)가 코드(114)에 의해 형성되므로, 흡인 압력은 종래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코드(114)는 제1 코드(114A) 및 제2 코드(114B)를 포함한다. 제1 코드(114A)는 웹(7)의 반송방향(MD)으로 연장된다. 제2 코드(114B)는 제1 코드(114A)와 교차하고, 웹(7)의 교차방향(CD)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각 제1 코드(114A)는 한 가닥 걸러서 제2 코드(114B)에 교대로 짜여진다.
한편, 각 제2 코드(114B)는 한 가닥 걸러서 제1 코드(114A)에 교대로 짜여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흡인부(111)와 융기부(113)는 웹(7)의 반송방향(MD)과 교차방향(CD) 모두에 있어서 서로 인접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웹(7)이 벨트(110) 상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융기부(1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흡인부(111)는 서로 연통된다.
또한, 웹(7)이 벨트(110) 상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벨트(110)에 있어서 교차방향(CD)의 맨끝 부분(110A)에 위치하는 흡인부(111)는 외부와 연통된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웹(7)의 교차방향(CD)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흡인부(111) 사이에 융기부(1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웹(7)의 교차방향(CD)으로 신축성을 갖는 웹(7)이 융기부(113)에 의해 붙들릴 것이다.
따라서, 웹(7)과 융기부(113)의 사이에 발생되는 저항에 의해, 웹(7)이 웹(7)의 교차방향(CD)(소위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특히 폭방향의 중심을 향해 수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웹(7)이 벨트(110) 상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융기부(1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흡인부(111)는 서로 연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웹(7)이 흡인 구멍을 통해서만 벨트(110) 상에 흡착되는 경우에 비해, 공기가 한 곳(하나의 흡인 구멍)에 남아있을 가능성이 낮다. 이로써, 웹(7)의 일부가 흡인부(111)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웹(7)이 벨트(110) 상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벨트(110)에 있어서 폭방향의 맨끝 부분(110A)에 위치하는 흡인부(111)는 외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폭방향의 맨끝 부분(110A)에 위치하는 흡인부(111)를 통해 공기가 항상 들어가서(도 3에서 화살표 Ar로 표시), 흡인부(111)와 웹(7)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흡인부(111)의 위에 위치한 웹(7)의 일부가 뜨게 되어, 웹(7)의 일부는 흡인부(11)에 들어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웹(7)의 일부가 흡인부(111)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구성 부재[예를 들어, 흡수체(4)]가 웹(7) 상에 적층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웹(7)과 구성 부재의 사이에 생성되는 에어 포켓으로 인한 제조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웹(7)의 반송방향(MD)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흡인부(111) 사이에 융기부(1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웹(7)이 융기부(113)에 의해 붙들리는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웹(7)과 융기부(113)의 사이에 발생되는 저항에 의해, 웹(7)이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특히 폭방향의 중심을 향해 수축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벨트(110)의 1 인치당 10 내지 20 메시의 코드(114)가 마련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1 인치당 코드(114)의 메시 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웹(7)과 융기부(113)의 사이에 발생되는 저항이, 웹(7)의 폭방향으로의 신축을 억제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1 인치당 코드(114)의 메시 수가 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흡인부(111)의 면적이 너무 작아서, 흡인 기구(130)에 의하여 흡인부(111)를 통해 발생되는 흡인력이 웹(7)을 벨트(110) 상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코드(114)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염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이로써, 벨트(11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벨트(110)의 수명이 늘어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벨트(110)의 평면도에 있어서, 융기부(113)의 전체 면적이 흡인부(111)의 전체 면적보다 작다.
이로써, 융기부(113)의 전체 면적이 흡인부(111)의 전체 면적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웹(7)을 벨트(110) 상에 흡착하는 흡인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웹(7)이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특히 폭방향의 중심을 향해 수축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110)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전술한 내용과의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는 것을 유의하라.
변형예 1
우선, 변형예 1에 따른 여러 구성의 벨트(210A)의 평면도인 도 6의 (a)와 (b)를 참조하여, 변형예 1에 따른 벨트(210A)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각 제2 코드(114B)는 한 가닥 걸러서 제1 코드(114A)에 교대로 짜여진다.
이에 반해, 변형예 1에서는, 각 제2 코드(114B)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닥 걸러서 제1 코드(114A)에 짜여진다.
별법으로서, 각 제2 코드(114B)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닥 걸러서 제1 코드(114A)에 짜여진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각 제1 코드(114A)는 N개의 제2 코드(114B) 위에 짜여진 후 다음 M개의 제2 코드(114B) 아래에 짜여질 수 있으며, 여기서 M과 N은 1보다 큰 정수이고, M과 N은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다. 마찬가지로, 각 제2 코드(114B)는 P개의 제1 코드(114A) 위에 짜여진 후 다음 Q개의 제1 코드(114A) 아래에 짜여질 수 있으며, 여기서 M, N, P, Q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변형예 2
이어서, 변형예 2에 따른 벨트(210B)의 구성에 대해, 벨트(210B)의 평면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벨트(110)의 평면도에 있어서, 융기부(113)의 전체 면적이 흡인부(111)의 전체 면적보다 작다.
이에 반해, 변형예 2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10B)의 평면도에 있어서, 융기부(113)의 전체 면적이 흡인부(111)의 전체 면적보다 크다.
융기부(111)의 전체 면적이 흡인부(111)의 전체 면적보다 커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흡인부(111)의 전체 면적과 같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라.
변형예 3
이어서, 변형예 3에 따른 벨트(210C)의 구성에 대해, 벨트(210C)의 평면도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웹(7)의 반송방향(MD)과 교차방향(CD) 모두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각의 흡인부(111) 사이에 융기부(1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코드(114)가 웹(7)의 반송방향(MD)과 교차방향(CD) 모두에 있어서 서로 짜여져 있다.
이에 반해, 변형예 3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7)의 교차방향(CD)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흡인부(111) 사이에만 융기부(1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코드(114)는 웹(7)의 교차방향(CD)으로만 서로 짜여져 있다. 이와 유사하게, 코드(114)는 웹(7)의 반송방향(MD)으로만 서로 짜여져 있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A)의 구성에 대해, 컨베이어 장치(100A)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전술한 내용과의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는 것을 유의하라.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는 벨트(110)와, 구동 기구(120), 그리고 흡인 기구(130)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하라.
반면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의 구성에 추가하여 다공질부(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부(150)는 다공질 부재(예를 들어, 스펀지)로 형성된다. 다공질부(150)는 벨트(110) 상에 마련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다공질부는 연통 기공의 입체적 조직을 갖는다.
소정의 흡인 압력의 발생을 야기하는 공극률을 갖는 다공질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흡인 압력은, 웹(7)을 유지할 수 있고 웹(7)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것이다.
이는, 웹(7)과 벨트(110)의 사이에 다공질부(150)가 개재된 상태로 웹(7)이 벨트(110) 상에 흡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공질부(150)의 폭방향의 측부 가장자리(151)는, 외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또한 다공질부의 다른 기공과도 연통되는 것으로 파악되는 기공을 갖는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110)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을 취하거나, 또는 흡인 구멍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외부와 연통할 뿐만 아니라 다공질부의 다른 기공과도 연통되는 기공이, 다공질부(150)의 측부 가장자리(151)에 마련된다.
이로써,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유익한 효과와 마찬가지로, 웹(7)의 일부가 다공질부(150)의 기공에 들어갈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A)에 의해 웹(7)이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웹(7)과 웹(7) 상에 적층되는 구성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 포켓으로 인한 제조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의 세부 사항을 예시적으로 개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여러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추가적인 실시형태를 예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은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 그리고 가랑이 부분(30)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단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이용됨은 물론이다.
또한, 1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컨베이어 장치(100)는 이러한 용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장치(100)는 1회용 오픈형 기저귀, 생리대 및 팬티 라이너 등과 같은 임의의 착용 물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컨베이어 장치(100)는 흡수성 물품(1)의 제조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교차방향(CD)으로 신축 가능한 임의의 웹을 반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르면, 웹을 벨트 상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웹의 그 폭방향으로의 신축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에어 포켓의 형성으로 인한 제조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와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여러 실시형태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적절히 기초한 것으로 여겨지는 청구범위에서의 본 발명의 구성 요소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48445호(2009년 3월 2일자로 출원됨)와 제2010-041940호(2010년 2월 26일자로 출원됨)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웹을 벨트 상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웹의 그 폭방향으로의 신축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에어 포켓의 형성으로 인한 제조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와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흡수성 물품에 대한 제조 기술로서 유용하다.
1: 흡수체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5: 방수 시트
6: 다리 개더
6A: 허리 개더
6B: 다리 개더
7, 7A, 7B: 웹
10: 전방 허리선 부분
10A: 제1 측부 가장자리
20: 후방 허리선 부분
20A: 제2 측부 가장자리
30: 가랑이 부분
40: 다리 포위 개구
50: 접합부
50A: 접합 영역
60: 허리 개구
100, 100A: 컨베이어
110(210A 내지 210C): 벨트
110A: 맨끝 부분
111: 흡인부
112: 가장자리부
113: 융기부
114: 코드
114A: 제1 코드
114B: 제2 코드
120: 구동 기구
121: 구동 롤러
121A: 축
122: 구동 유닛
130: 흡인 기구
150: 다공질부
151: 측부 가장자리

Claims (8)

  1. 웹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교차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복수의 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복수의 흡인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무단 벨트와,
    웹의 반송 중에 상기 흡인부를 통해 웹을 상기 벨트 상에 흡착하는 흡인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교차방향으로 인접하는 흡인부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흡인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융기되는 융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흡인부는 상기 융기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흡인부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벨트에 있어서 상기 교차방향의 맨끝 부분에 위치하는 흡인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인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반송방향으로 인접하는 흡인부들 사이에 각각 더 마련되는 것인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와 상기 융기부는, 코드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반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코드와, 상기 제1 코드와 교차하며 상기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코드를 포함하는 것인 컨베이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1 인치당 10 내지 20 메시의 코드가 마련되는 것인 컨베이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전체 면적이 상기 흡인부의 전체 면적보다 작은 것인 컨베이어 장치.
  7. 웹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교차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복수의 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복수의 흡인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무단 벨트와,
    웹의 반송 중에 상기 흡인부를 통해 웹을 상기 벨트 상에 흡착하는 흡인 기구, 그리고
    상기 벨트 상에 마련되며 다공질 부재로 형성되는 다공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질부의 상기 교차방향에서의 측부 가장자리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인 컨베이어 장치.
  8. 웹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교차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을 반송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복수의 흡인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무단 벨트 상에 상기 웹을 놓는 단계와,
    웹의 반송 중에 상기 흡인부를 통해 웹을 상기 벨트 상에 흡착하기 위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교차방향으로 인접하는 흡인부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흡인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융기되는 융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흡인부는 상기 융기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흡인부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웹이 벨트 상에 흡착된 상태에서, 벨트에 있어서 상기 교차방향의 맨끝 부분에 위치하는 흡인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인 웹 반송방법.
KR1020117022939A 2009-03-02 2010-03-02 컨베이어 장치 및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의 반송방법 KR101617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8445 2009-03-02
JP2009048445 2009-03-02
JPJP-P-2010-041940 2010-02-26
JP2010041940A JP5513167B2 (ja) 2009-03-02 2010-02-26 コンベア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791A true KR20110124791A (ko) 2011-11-17
KR101617909B1 KR101617909B1 (ko) 2016-05-03

Family

ID=4270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939A KR101617909B1 (ko) 2009-03-02 2010-03-02 컨베이어 장치 및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의 반송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155664B2 (ko)
EP (1) EP2403790B1 (ko)
JP (1) JP5513167B2 (ko)
KR (1) KR101617909B1 (ko)
CN (1) CN102356035A (ko)
AR (1) AR075641A1 (ko)
AU (1) AU2010221068B2 (ko)
BR (1) BRPI1006568B1 (ko)
CA (1) CA2753333C (ko)
CL (1) CL2011002147A1 (ko)
CO (1) CO6501173A2 (ko)
EA (1) EA201101249A1 (ko)
MX (1) MX2011009140A (ko)
NZ (1) NZ595089A (ko)
WO (1) WO2010101286A1 (ko)
ZA (1) ZA2011067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223A1 (ja) * 2014-11-14 2016-05-19 株式会社瑞光 着用物品におけるシート状物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CN109952260B (zh) * 2016-12-16 2022-08-02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真空机头辊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301A (en) * 1975-10-30 1978-03-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ttaching discrete, stretched elastic strands to predetermined isolated portions of disposable abosrbent products
JPS59164722U (ja) * 1983-04-19 1984-11-05 株式会社 太洋商会 製袋機における袋素材帯移送装置
JP3491918B2 (ja) * 1993-02-12 2004-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ライタ
JP3519094B2 (ja) * 1993-01-11 2004-04-12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574978B2 (ja) * 1993-02-24 1997-01-22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0828299A (ja) 1994-07-12 1996-01-30 Toshiba Corp 石炭ガス化発電プラント
JPH08282899A (ja) * 1995-02-14 1996-10-29 Gunze Ltd シート材搬送装置
JP2984575B2 (ja) * 1995-03-17 1999-11-29 大和紡績株式会社 無端状コンベアベルトの継手部の構造
JP3688341B2 (ja) * 1995-05-11 2005-08-24 花王株式会社 多孔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多孔性シート並びに該多孔性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3688340B2 (ja) * 1995-05-11 2005-08-24 花王株式会社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多孔性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H08311791A (ja) * 1995-05-19 1996-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抄紙機のプレス装置
US5706994A (en) 1995-06-26 1998-01-13 Marquip, Inc. Vacuum assisted web drive for corrugator double backer
US6149994A (en) 1996-06-21 2000-11-21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Polymerisable polyamide derivatives
JP3883276B2 (ja) * 1997-12-05 2007-02-2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上層織物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工業用2層織物
US6253983B1 (en) * 1999-08-10 2001-07-03 Voith Sulzer Papiertechnik Patent Gmbh Vacuum conveyor
US20030010438A1 (en) * 1999-08-26 2003-01-16 Tharpe John M. Apparatus having a core orientor and methods of orienting portions of a disposable undergarment
JP2001151319A (ja) * 1999-11-30 2001-06-05 Nippon Filcon Co Ltd 防汚性衛生用不織布製品加工用ベルト
JP4495393B2 (ja) 2001-08-29 2010-07-07 株式会社瑞光 物品の製造方法
JP4086674B2 (ja) * 2002-07-26 2008-05-14 花王株式会社 立位での装着が容易なおむつ
JP4116840B2 (ja) * 2002-08-15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表示要素形成方法
JP4166541B2 (ja) * 2002-09-24 2008-10-15 シキボウ株式会社 工業用織物の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38769A1 (de) 2004-08-09 2006-02-23 Voith Fabrics Patent Gmbh Vorrichtung zur Bahnstabilisierung
DE602007008615D1 (de) * 2007-01-02 2010-09-30 Fameccanica Data Spa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filmmaterial, z.b. zur herstellung von sanitärartikeln
JP5210914B2 (ja) 2009-02-05 2013-06-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装置、及び通気性部材の製造方法
DE102012201725B4 (de) 2012-02-06 2016-02-25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ktiver Schalldämp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909B1 (ko) 2016-05-03
US9155664B2 (en) 2015-10-13
CN102356035A (zh) 2012-02-15
MX2011009140A (es) 2011-09-26
ZA201106724B (en) 2012-08-28
AR075641A1 (es) 2011-04-20
CA2753333A1 (en) 2010-09-10
AU2010221068B2 (en) 2016-01-14
CA2753333C (en) 2017-10-31
EP2403790B1 (en) 2016-09-21
NZ595089A (en) 2013-06-28
BRPI1006568B1 (pt) 2021-01-12
EP2403790A1 (en) 2012-01-11
BRPI1006568A2 (pt) 2020-01-28
AU2010221068A1 (en) 2011-09-29
WO2010101286A1 (en) 2010-09-10
JP5513167B2 (ja) 2014-06-04
JP2010228913A (ja) 2010-10-14
EP2403790A4 (en) 2013-08-14
CL2011002147A1 (es) 2012-02-03
CO6501173A2 (es) 2012-08-15
EA201101249A1 (ru) 2012-04-30
US20110049209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012B (zh) 一次性穿着物品
CA2753855C (en) Method of folding absorbent article
JP4679208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1723000A (zh) 用于制造一次性尿布的方法
EP1419755A1 (en) Absorbent Article
KR101570026B1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AU2010221058B2 (en) Web convey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KR20110124791A (ko) 컨베이어 장치 및 통기성을 갖는 연속 웹의 반송방법
JP2008043444A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7725A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2011235020A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4208363A1 (ja) 吸収性物品とその製造方法
JP6057472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139774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9136434A (ja)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9112703A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