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737A - 서랍의 가이드 기구 - Google Patents

서랍의 가이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737A
KR20110122737A KR1020117020783A KR20117020783A KR20110122737A KR 20110122737 A KR20110122737 A KR 20110122737A KR 1020117020783 A KR1020117020783 A KR 1020117020783A KR 20117020783 A KR20117020783 A KR 20117020783A KR 20110122737 A KR20110122737 A KR 2011012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base
movable body
rail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913B1 (ko
Inventor
요헤이 시미즈
마사노리 다카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2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 중 롤러 탈락 방지편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타방측(예를 들면,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에는, 캐비닛 또는 상기 타방측(예를 들면,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착되며, 상기 타방측(예를 들면,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타방측(예를 들면,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을 슬라이드하는 서랍측 레일의 롤러를 서랍을 꺼낸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타방측(예를 들면,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로 향해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가이드 기구)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서랍의 가이드 기구{GUIDE MECHANISM FOR DRAWER}
본 발명은 서랍의 가이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롤러 탈락 방지편이 없는 캐비닛측 레일에 가이드 수단을 부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서랍에는 가이드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거나(특허문헌 1의 식별번호 [0007], 도 3 및 도 4 참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봉을 부착하거나(특허문헌 1의 식별번호 [0016] 및 도 10 참조), 혹은 수지 블록을 부착하고 있었다(특허문헌의 식별번호 [0018], 도 12 및 도 13참조).
이것에 대해서 캐비닛에는 가이드 롤러나 가이드 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부착하거나(특허문헌 1의 식별번호 [0007], 식별번호 [0016], 도 3, 도 4 및 도 10 참조), 혹은 수지 블록에 맞닿는 압압판 스프링을 부착하고 있었다(특허문헌 1의 식별번호 [0018], 도 12 및 도 1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8-178617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서랍의 가이드 기구에서는 서랍과 캐비닛 양쪽 모두에 부품을 각각 부착할 필요가 있어, 부품수나 부착 공정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바는 롤러 탈락 방지편이 없는 캐비닛측 레일에 가이드 수단을 부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캐비닛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방측에 롤러를 구비한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에 대해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측에 롤러를 구비한 좌우의 서랍측 레일이 전후로 슬라이드함에 의해서 개폐되는 서랍으로서, 상기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 중 일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에만 롤러 탈락 방지편을 가지는 서랍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 중 상기 롤러 탈락 방지편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에는,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착되며,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을 슬라이드하는 상기 서랍측 레일의 상기 롤러를 상기 서랍을 꺼낸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로 향해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가이드 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 편의 길이만큼 서랍을 꺼낸 위치에서 상기 서랍을 닫는 방향으로 향해서 서랍측 레일의 롤러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해서 접촉ㆍ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캐비닛, 서랍, 레일 등의 부품 정밀도 상의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에는 상기 가이드 편을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 편을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장치에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측에서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캐비닛의 전방측에서의 조작에 의해서 가이드 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으로 향해서 적어도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에서 소정량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한 돌출량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에는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접촉ㆍ이탈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편을 가지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동체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슬라이드 홈과 이것에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드 돌기 중 어느 한쪽을 각각에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돌기를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홈폭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와 가동체와의 사이의 슬라이드 홈과 슬라이드 돌기를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함으로써, 서랍측 레일의 롤러에 의해서 가동체의 가이드 편이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눌려졌을 때에, 가동체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의 선단부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의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 편의 선단부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서랍측 레일의 롤러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접촉ㆍ이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 편 및 상기 돌출부를 가지는 가동체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동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가동체를 접촉ㆍ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위치조정장치;를 조립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에는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는 서로 탄성적으로 끼워맞춰지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 기구의 조립체를 캐비닛측 레일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상기 캐비닛의 후방측으로 향해서 돌출량이 감소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 편의 돌출부에 테이퍼면을 형성함으로써, 캐비닛측 레일 내로 서랍측 레일의 롤러를 원활하게 받아 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롤러 탈락 방지편이 없는 캐비닛측 레일에 가이드 수단을 부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을 캐비닛 또는 캐비닛측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만 부착하기만 하면 되고, 서랍에 대한 부품의 부착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수나 부착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이드 기구의 주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서랍의 부착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캐비닛측 레일과 가이드 기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캐비닛측 레일과 가이드 기구의 전방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캐비닛측 레일과 가이드 기구의 후방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캐비닛측 레일과 가이드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캐비닛측 레일과 가이드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스의 전방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가동체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체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체의 전방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체의 후방측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체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동체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스를 배면측에서 본 일부 사시도이다.
도 20은 가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나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8 및 도 2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스와 가동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배면측에서 본 베이스와 가동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스와 가동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위치조정장치에 의한 위치조정 후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이드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스와 가동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위치조정장치에 의한 위치조정 후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이드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스와 가동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9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위치조정장치에 의한 위치조정 후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이드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캐비닛에 고정된 가이드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가이드 기구의 위치조정을 실시하여 가동체를 베이스의 중공부의 내측으로 향해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캐비닛에 고정된 가이드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8은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가동체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0은 가동체의 정면도이다.
도 41은 가동체의 배면도이다.
도 42는 가동체의 평면도이다.
도 43은 가동체의 저면도이다.
도 44는 가동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45는 가동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46은 도 40의 D-D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1의 E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8은 캡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캐비닛측 레일과 가이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0은 가이드 기구를 캐비닛측 레일에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2는 가이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3은 가이드 기구를 캐비닛측 레일에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4는 가이드 기구의 정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서랍〉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캐비닛(도시생략)의 서랍을 나타내며, 캐비닛은 주방에 사용된다.
또한, 캐비닛은 주방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사무기기나 가구 등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좋다.
캐비닛의 좌우의 내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20,30)이 부착된다.
이것에 대해서 서랍(10)의 좌우의 외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서랍측 레일(40,50)이 부착된다.
또, 캐비닛의 좌측의 내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상측에 가이드 기구(60)가 부착된다.
〈캐비닛측 레일(20,30)〉
캐비닛측 레일(20,30)의 캐비닛의 전방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21,3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롤러(21,31)는 후술하는 서랍측 레일(40,5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서랍측 레일(40,50)을 따라서 전동(轉動)한다.
구체적으로는, 캐비닛측 레일(20,30)은 그 단면이 'C'자형 혹은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개방 측면이 마주보도록 캐비닛의 좌우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20,30) 중 일방측에만{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캐비닛측 레일(30)에만} 롤러 탈락 방지편(32)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20,30) 중 타방측에는, 즉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20)에는 롤러 탈락 방지편(32)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롤러 탈락 방지편(32)을 우측의 캐비닛측 레일(30)에만 구비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20)에 구비하고 있어도 되며, 이 때는 우측의 캐비닛측 레일(30)에는 롤러 탈락 방지편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구조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롤러 탈락 방지편(3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캐비닛측 레일(30)의 상측 돌출편을 하측방향으로 단면 L자형으로 굴곡시킴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우측의 캐비닛측 레일(30) 내에는 후술하는 우측의 서랍측 레일(50)의 롤러(51)가 전동하게 되는데, 상기 롤러(51)는 롤러 탈락 방지편(32)의 내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캐비닛측 레일(30)의 개방 측면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좌우의 서랍측 레일(40,50)〉
좌우의 서랍측 레일(40,50)의 캐비닛의 후방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41,5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롤러(41,51)는 캐비닛측 레일(20,3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캐비닛측 레일(20,30)을 따라서 전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랍측 레일(40,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C'자형 혹은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개방 측면이 등지도록 서랍측 레일(40,50)의 좌우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가이드 기구(60)〉
가이드 기구(60)는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 또는 상기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비닛의 좌측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을 슬라이드하는 좌측의 서랍측 레일(40)의 롤러(41)를, 서랍(10)을 꺼낸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로 향해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기구(6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캐비닛의 전방측에 있어서,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상측에 부착된다.
또한, 가이드 기구(60)를 캐비닛에 부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에 부착하여도 좋고, 혹은 캐비닛과 캐비닛측 레일(20) 양자 모두에 부착하여도 좋다. 가이드 기구(60)를 캐비닛측 레일(20)에 부착하도록 한 경우에는 가이드 기구(60)를 캐비닛측 레일(20)에 미리 부착한 후에 상기 캐비닛측 레일(20)을 캐비닛에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캐비닛측 레일(20)과 가이드 기구(60)를 동시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캐비닛의 내부가 좁은 것이 많아 캐비닛측 레일(20)을 부착한 후에 가이드 기구(60)를 부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어, 가이드 기구(60)의 부착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가이드 기구(60)를 캐비닛측 레일(20)의 상측에 부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하측에 부착하여도 좋다.
한편, 가이드 기구(60)는 도 3 내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베이스(70)
(2) 가동체(80)
(3) 위치조정장치(90)
또한, 가이드 기구(60)의 부품은 상기한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70)〉
베이스(70)는 캐비닛의 좌측의 내측면에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70)를 캐비닛에 고정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 혹은 양자 모두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상측에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의 전방측, 즉 롤러(21)가 있는 단부에 하측으로 경사져서 가늘게 되는 단차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베이스(70)는 도 1∼도 3, 도 9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방측 단부가 상기 단차부(22)를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캐비닛의 후방측으로 향해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70)의 전방측 단부를, 도 3 및 도 9에서는 뾰족한 새의 부리모양으로 형성하고, 도 1, 도 2 및 도 18에서는 배의 선두(船頭)모양으로 형성하였으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 베이스(70)에는 도 9,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90)를 구성하는 너트(91)가 압입(壓入)된다. 너트(91)는 베이스(7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1개 씩 합계 2개가 압입된다.
또한, 너트(91)의 압입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개 혹은 3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너트(91)의 고정방법도 압입(壓入)에 한정하지 않는다.
〈가동체(80)〉
가동체(80)는 도 12∼도 17 및 도 20∼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90)를 구성하는 너트(91) 및 나사(92)를 통해서 베이스(70)에 접촉ㆍ이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체(80)는 베이스(70)와 마찬가지로 캐비닛의 후방측으로 향해서 길게 연장된 측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체(80)는 도 12∼도 17 및 도 20∼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가동체(8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가이드 편(81)
가이드 편(81)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편(81)은 가동체(80)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향해서 단면 L자형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편(81)은 하측으로 향해서 돌출시켰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가이드 기구(60)를 캐비닛측 레일(20)의 하측에 부착하도록 한 경우에는 상측으로 향해서 돌출시킨다. 또, 가이드 편(81)의 단면형상으로서 L자형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J자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2) 나사 유지부(82)
나사 유지부(82)는 도 12, 도 13 및 도 20∼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90)를 구성하는 나사(92)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 유지부(82)는 위치조정장치(90)를 구성하는 나사(92)의 머리부를 끼워넣는 홈형상의 것으로, 가동체(80)의 외측면에서 개구되는 조작 개구부(83)를 가진다. 조작 개구부(83)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홈형상의 나사 유지부(82)에 나사(92)의 머리부를 끼워넣으면,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부의 플러스 홈이나 마이너스 홈이 조작 개구부(83)에 면하게 되고, 또 나사(92)의 축부는 베이스(70)로 향해서 돌출된다.
나사 유지부(82)는 도 12, 도 13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8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합계 2개 형성된다.
또한, 나사 유지부(82)의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개 혹은 3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위치조정장치(90)〉
위치조정장치(90)는 도 21∼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70)에 대해서 가동체(80)를 접촉ㆍ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조정장치(90)는 도 21∼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위치조정장치(90)의 부품은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너트(91)
너트(91)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나사(92)가 끼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너트(9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 사용되며, 베이스(7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압입된다.
또한, 너트(91)의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개 혹은 3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2) 나사(92)
나사(92)는 도 21∼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91)에 끼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92)에는 이른바 트리플 스크류(TP)가 사용되며, 축부(나사부), 평와셔, 스프링 와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조정장치(90)를 구성하는 나사(92)로서 트리플 스크류(TP)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나사(92)는 2개 사용되며,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92)의 머리부가 나사 유지부(82)의 홈에 각각 끼워진다.
〈가이드 기구(60)의 동작〉
이어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가이드 기구(6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이드 기구(60)는 도 1∼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의 좌측의 내측면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때, 가이드 기구(60)는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상측의 단차부(22)를 따라서 고정된다.
가이드 기구(60)를 고정하면,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가이드 편(81)이 상측에서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20) 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서랍측 레일(40)의 롤러(41)가 전동하게 되는데, 상기 롤러(41)가 가이드 편(81)에 맞닿음으로써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특히, 가이드 기구(60)는 캐비닛측 레일(20)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꺼내진 서랍(10)을 캐비닛의 후방측(내측)으로 밀어 넣을 때에 롤러(41)가 가이드 편(81)에 맞닿게 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탈락 방지편(32)을 가지는 우측의 캐비닛측 레일(30) 내에는 우측의 서랍측 레일(50)의 롤러(51)가 전동하게 되는데, 상기 롤러(51)를 중심으로 하여 서랍(10)이 회전 혹은 선회하려고 하더라도 상기 롤러(41)가 가이드 편(81)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회전 혹은 선회가 저지된다. 따라서, 서랍(10)을 캐비닛의 개구에 대해서 항상 평행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어 서랍(10)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가이드 기구(60)의 위치조정〉
한편, 가이드 편(81)과 롤러(41)의 대향 간격은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기구(60)의 위치조정장치(90)에 의해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로 조작 개구부(83)를 통해서 나사(92)를 회전시킨다.
나사(92)를 너트(91)에 깊게 끼우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편(81)이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에서 내측으로 향해서 이동하고, 반대로 얕게 끼우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사(92)는 가이드 기구(60)의 길이방향으로 2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나사(92)의 나사 삽입량을 같게 조작하면, 가동체(80)를 베이스(70)에 대해서 평행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반대로, 2개의 나사(92)의 나사 삽입량을 다르게 함으로써, 가동체(80)를 베이스(70)에 대해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비닛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나사(92)를 얕게 끼우고 후방측에 위치하는 나사(92)를 깊게 끼움으로써, 캐비닛의 개구에서의 서랍(1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6∼도 2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첫째로, 가이드 기구(100)의 위치조정장치(130)를 캐비닛의 전방측에서 조작 가능하게 한 점이다.
둘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위치조정장치(130)의 조작부, 즉 나사(132)를 1개로 한 점이다.
셋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위치조정장치(130)의 조작부, 즉 나사(132)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베이스(110)에 대해서 가동체(120)를 접촉ㆍ이탈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점이다.
〈가이드 기구(100)〉
가이드 기구(100)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베이스(110)
(2) 가동체(120)
(3) 위치조정장치(130)
또한, 가이드 기구(100)의 부품은 상기한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110)〉
베이스(11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이 개구된 중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110)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11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슬라이드 홈(111)
슬라이드 홈(111)은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가동체(120)를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홈(111)은 베이스(110)의 중공 상자형의 저판의 상면에 형성되되, 베이스(110)와 가동체(120)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복수개(예를 들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111)의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개 혹은 3개 이상이어도 좋다.
(2) 조작 개구부(112)
조작 개구부(112)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작 개구부(112)를 통해서 삽입된 드라이버에 의해서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130)를 구성하는 나사(132)의 나사 삽입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개구부(112)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중공 상자형의 전면판에 관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개구부(112)는 가이드 기구(100)를 캐비닛에 고정하였을 때에 캐비닛의 개구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있다.
〈가동체(120)〉
가동체(12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중공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체(120)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가동체(12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4)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슬라이드 돌기(121)
슬라이드 돌기(121)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슬라이드 홈(111)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드 홈(111)을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베이스(110)에 대해서 가동체(120)를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돌기(121)는 가동체(120)의 저면에서 돌출되되, 베이스(110)의 슬라이드 홈(111)과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복수개(예를 들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돌기(121)의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개 혹은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 가동체(120)에 슬라이드 돌기(121)를 형성하고 베이스(110)에 슬라이드 홈(111)을 형성하였으나, 반대로 가동체(120)에 홈을 형성하고, 이것에 끼워맞춰지는 돌기를 베이스(110)에 형성하여도 좋다.
(2) 가이드 편(122)
가이드 편(122)은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편(122)은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120)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향해서 단면 L자형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편(122)은 하측으로 향해서 돌출시켰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가이드 기구(100)를 캐비닛측 레일(20)의 하측에 부착하도록 한 경우에는 상측으로 향해서 돌출시킨다. 또, 가이드 편(122)의 단면형상으로서 L자형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J자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3) 너트 유지부(123)
너트 유지부(123)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130)를 구성하는 너트(131)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너트 유지부(123)는 조작 개구부(112)를 가지는 베이스(110)의 전면판에 대향하는 가동체(120)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되며, 너트(131)를 상측에서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4) 긴 구멍(124)
긴 구멍(124)은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유지부(123)에 연이어 통하여 있으며,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130)를 구성하는 나사(132)의 축부가 통과하는 것이다. 나사(132)의 축부는 긴 구멍(124)을 통해서 너트 유지부(123)에 유지된 너트(131)에 끼워진다. 이 때, 나사(132)의 머리부는 베이스(110)의 조작 개구부(112)를 향하고 있다.
〈위치조정장치(130)〉
위치조정장치(130)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위치조정장치(130)의 부품은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너트(131)
너트(131)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나사(132)가 끼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너트(131)는 1개 사용되며, 가동체(120)의 너트 유지부(123)에 끼워져서 유지된다.
(2) 나사(132)
나사(132)는 도 26∼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131)에 끼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132)에는 이른바 트리플 스크류(Tp)가 사용되며, 축부(나사부), 평와셔, 스프링 와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조정장치(130)를 구성하는 나사(132)로서 트리플 스크류(TP)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나사(132)는 1개 사용되며, 그 축부가 가동체(120)의 긴 구멍(124)을 통해서 너트 유지부(123)에 유지된 너트(131)에 끼워진다.
〈가이드 기구(100)의 위치조정〉
가이드 기구(100)의 위치조정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로 조작 개구부(112)를 통해서 나사(132)를 회전시킨다.
나사(132)를 너트(131)에 깊게 끼우면,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120)가 베이스(110)의 내측으로 향해서 이동한다.
즉, 가동체(120)의 슬라이드 돌기(121)가 베이스(110)의 슬라이드 홈(111)을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가동체(120)가 베이스(110)의 내측으로 향해서 비스듬하게 이동한다.
이 때, 가동체(120)의 가이드 편(122)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캐비닛측 레일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측 레일의 홈폭을 좁힌다.
이것에 대해서, 반대로 나사(132)를 너트(131)에 얕게 끼우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120)가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에도, 가동체(120)의 가이드 편(122)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캐비닛측 레일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측 레일의 홈폭을 넓힌다.
≪ 제 3 실시형태≫
도 29∼도 3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첫째로, 도 26∼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가이드 기구(100)를 유니트화한 점이다.
둘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6∼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110)에 슬라이드 홈(111)을 형성하고 가동체(120)에 슬라이드 돌기(121)를 형성한 것에 대해서,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0)에 슬라이드 돌기(212)를 형성하고 가동체(220)에 슬라이드 홈(221)을 형성한 점이다.
셋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6∼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홈(111) 및 슬라이드 돌기(121)에 대해서, 도 29, 도 31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212) 및 슬라이드 홈(221)의 경사방향을 다르게 한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돌기(212) 및 슬라이드 홈(221)의 경사방향을 다르게 한 것은, 서랍(도시생략)에 의해서 가동체(220)가 베이스(2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눌려졌을 때에, 가동체(220)가 베이스(2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가이드 기구(200)〉
가이드 기구(200)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베이스(210)
(2) 가동체(220)
(3) 위치조정장치(230)
(4) 캡(240)
또한, 가이드 기구(200)의 부품은 상기한 (1)∼(4)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210)〉
베이스(210)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이 개구된 중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10)는 적당한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210)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21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4)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중공부(211)
중공부(211)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의 측면이 캐비닛(도시생략)의 중공 내부로 향해서 개방된다. 중공부(211) 내에는 그 개방된 측면 측에서 후술하는 가동체(2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중공부(211)는 일방의 측면이 개방되고 타방의 측면이 폐색되어 있다. 폐색된 타방의 측면이 도시하지 않은 캐비닛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고정되며, 이 고정상태에서 개방된 일방의 측면이 캐비닛의 중공 내부로 향해서 개방된다.
또한, 중공부(211)의 일방의 측면을 개방하고 타방의 측면을 폐색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양 측면을 개방하여도 좋다.
(2) 슬라이드 돌기(212)
슬라이드 돌기(212)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부(211)의 내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가동체(220)를 캐비닛측 레일(도시생략)의 홈폭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돌기(212)는 중공부(211)의 상면 및 하면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됨과 아울러 베이스(210)의 전후에 각 2개씩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돌기(212)는 베이스(210)와 가동체(220)의 대향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하고 있다.
즉, 슬라이드 돌기(212)의 일단부는 중공부(211)의 내측벽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중공부(211)의 개방면과 면일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돌기(212)의 일단부를 캐비닛(도시생략)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타단부를 캐비닛의 전방측(개구 전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중공부(211)의 내측벽에 연결된 슬라이드 돌기(212)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캐비닛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향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돌기(212)의 개수로서 합계 4개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3개 혹은 5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3) 조작 개구부(213)
조작 개구부(213)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작 개구부(213)를 통해서 삽입된 드라이버에 의해서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230)를 구성하는 나사(232)의 나사 삽입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개구부(213)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도시생략)의 전방측(개구 전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210)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개방된 U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단이 중공부(211)의 개방면의 반대측인 베이스(210)의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조작 개구부(213)의 개방된 측면에는 후술하는 캡(240)이 부착된다. 그리고, 조작 개구부(213)의 내경은 후술하는 나사(232)의 머리부의 최대 외경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4) 부착홈(214)
부착홈(214)은 도 29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캡(24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부착홈(214)은 조작 개구부(213)의 상하에 위치하며, 베이스(210)의 상면과 하면에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체(220)〉
가동체(220)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0)의 중공부(2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체(80)는 베이스(210)와 마찬가지로 적당한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체(220)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가동체(22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슬라이드 홈(221)
슬라이드 홈(221)은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0)의 슬라이드 돌기(212)가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드 돌기(212)를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베이스(210)에 대해서 가동체(220)를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홈(221)은 가동체(220)의 상면과 하면에 서로 배향(背向)되게 오목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가동체(220)의 전후에 각 2개씩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홈(221)의 일단부는 베이스(210)로 향해서 개방되고, 타단부는 폐색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221)의 개수로서 4개를 예시하였으나, 슬라이드 돌기(212)와 미찬가지로 4개에 한정하지 않고 1∼3개 혹은 5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가동체(220)에 슬라이드 홈(221)을 형성하고 베이스(210)에 슬라이드 돌기(212)를 형성하였으나, 반대로 가동체(220)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것에 끼워맞춰지는 홈을 베이스(210)에 형성하여도 좋다.
(2) 가이드 편(222)
가이드 편(222)은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도시생략)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편(222)은 도 29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220)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향해서 단면 L자형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편(222)을 가동체(220)의 하단부에서 돌출시켰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가이드 기구(200)를 캐비닛측 레일의 하측에 부착하도록 한 경우에는 상단부에서 돌출시킨다. 또, 가이드 편(222)의 단면형상으로서 L자형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J자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3) 너트 유지부(223)
너트 유지부(223)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위치조정장치(230)를 구성하는 너트(231)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너트 유지부(223)는 캐비닛(도시생략)의 전방측(개구 전면측)에 위치하는 가동체(220)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하며, 너트(231)를 측방에서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 유지부(223)는 가동체(220)를 베이스(210)의 중공부(211)에 끼운 상태에서 베이스(210)의 조작 개구부(213)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 너트 유지부(223)는 베이스(210)와의 대향방향으로 개방되며, 후술하는 너트(23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치조정장치(230)〉
위치조정장치(230)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위치조정장치(230)의 부품은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너트(231)
너트(231)는 도 29∼도 31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나사(232)가 끼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너트(231)는 1개 사용되며, 가동체(220)의 너트 유지부(223)에 끼워져서 유지된다.
한편, 너트(231)는 너트 유지부(223)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31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너트 유지부(223)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즉, 너트(231)에 대해서 후술하는 나사(232)의 나사 삽입량을 가변시켰을 때에, 베이스(210)에 대해서 가동체(220)가 슬라이드한다. 이 때, 너트(231)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너트 유지부(223)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2) 나사(232)
나사(232)는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231)에 끼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232)에는 이른바 트리플 스크류(Tp)가 사용되며, 축부(나사부), 평와셔, 스프링 와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조정장치(230)를 구성하는 나사(232)로서 트리플 스크류(TP)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나사(232)는 1개 사용되며, 베이스(210)의 조작 개구부(213)에서 삽입되어 가동체(220)의 너트 유지부(223)에 유지된 너트(231)에 끼워진다.
〈캡(240)〉
캡(240)은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0)의 조작 개구부(213)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된 측면을 폐색하는 것이다. 캡(240)은 적당한 강성과 탄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캡(240)은 도 29∼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가동체(220)의 각 부분은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나사 가이드부(241)
나사 가이드부(241)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U자형으로 돌출되며, 나사(232)의 축부를 유지하는 것이다. 나사 가이드부(241)의 내경은 나사(232)의 축부의 외경 이상에서 나사(232)의 머리부의 최대 외경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나사 가이드부(241)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기구(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베이스(210)의 조작 개구부(213)와 가동체(220)의 너트 유지부(223)의 사이에 위치한다.
(2) 부착편(242)
부착편(242)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240)의 상하의 단부에서 1쌍 돌출되며,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0)의 부착홈(214)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것 이다.
〈가이드 기구(200)의 사용방법〉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 기구(200)는 미리 조립하여 유니트화한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캐비닛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가이드 기구(200)는 롤러 탈락 방지편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캐비닛측 레일의 전방측 단부의 상측에 부착된다.
상기한 부착상태에서는 가이드 기구(200)의 가이드 편(222)이 도시하지 않은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된다.
캐비닛측 레일에는 서랍측 레일의 롤러가 전동하게 되는데, 상기 롤러는 가이드 기구(200)의 가이드 편(222)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한편, 가이드 기구(200)의 가이드 편(222)이 서랍측 레일의 롤러에 의해서 눌려짐에 의해서 가동체(220)가 베이스(2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눌려지는 일이 있다.
이 때, 서랍측 레일의 롤러에 의해 눌려지는 방향에 대해서 슬라이드 돌기(212) 및 슬라이드 홈(221)이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가동체(220)의 이동이 저지된다.
〈가이드 기구(200)의 위치조정〉
가이드 기구(200)의 위치조정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로 조작 개구부(213)를 통해서 나사(232)를 회전시킨다.
나사(232)를 너트(231)에 깊게 끼우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220)가 베이스(210)의 중공부(211)의 내측으로 향해서 슬라이드한다.
즉, 가동체(220)의 슬라이드 홈(221)이 베이스(210)의 슬라이드 돌기(212)를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가동체(220)의 가이드 편(222)이 캐비닛측 레일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측 레일의 홈폭을 좁힌다.
이것에 대해서, 반대로 나사(232)를 너트(231)에 얕게 끼우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220)가 베이스(210)의 중공부(2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즉, 가동체(220)의 슬라이드 홈(221)이 베이스(210)의 슬라이드 돌기(212)를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가동체(220)의 가이드 편(222)이 캐비닛측 레일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측 레일의 홈폭을 넓힌다.
≪제 4 실시형태≫
도 34∼도 4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첫째로, 가이드 편(422)의 선단부에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422a)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22a)를 형성함으로써, 캐비닛측 레일(20) 내에서 서랍측 레일의 롤러(도시생략)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상기 돌출부(422a)에 도 39, 도 41, 도 43 및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면(422b)을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퍼면(422b)에 의해서 캐비닛측 레일(20) 내로 서랍측 레일의 롤러(도시생략)를 원활하게 받아 들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가이드 기구(400)를 유니트화하고, 상기 가이드 기구(400)의 베이스(410)에 도 34 및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415,416)를 형성한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착부(415,416)를 사용하여 베이스(410)를 캐비닛(300)에 간편하게 나사(도시생략)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가이드 기구(400)〉
가이드 기구(400)는 도 34∼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베이스(410)
(2) 가동체(420)
(3) 위치조정장치(430)
(4) 캡(440)
또한, 가이드 기구(400)의 부품은 상기한 (1)∼(4)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410)〉
베이스(410)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이 개구된 중공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도 29∼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베이스(210)와 거의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다른 점으로서는, 첫째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9의 슬라이드 돌기(212) 대신에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홈(412)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300)(도 35 참조)의 전방측(개구 전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210)의 전방측 단부에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설편(舌片)형상의 제 1 부착부(415)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부착부(415)의 중앙에는 나사(도시생략)가 끼워지는 좌우로 관통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 베이스(210)의 후방측 단부에는 제 2 부착부(416)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부착부(416)의 중앙에도 나사(도시생략)가 끼워지는 좌우로 관통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셋째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홈(414)에 돌기부(414a)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410)에 대해서 후술하는 캡(440)을 돌기부(414a)를 통해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9∼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베이스(210)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400'번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체(420)〉
가동체(420)는 도 39∼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410)의 중공부(4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도 29∼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가동체(220)와 거의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다른 점으로서는, 첫째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9의 슬라이드 홈(221) 대신에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421)를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돌기(421)는 베이스(410)의 슬라이드 홈(4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둘째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편(422)의 선단부에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20)의 개방 측면의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422a)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422a)는 가이드 편(422)의 선단부에서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셋째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9, 도 41, 도 43 및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422a)에 있어서의 캐비닛(300)(도 35 참조)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캐비닛(300)의 후방측으로 향해서 돌출량이 감소하는 테이퍼면(422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9∼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가동체(220)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400'번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조정장치(430)〉
위치조정장치(430)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431)와 나사(432)로 구성되며, 도 29∼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위치조정장치(230)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캡(440)〉
캡(440)은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410)의 조작 개구부(413)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된 측면을 폐색하는 것으로, 도 29∼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캡(240)과 거의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다른 점으로서는, 부착편(442)에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410)의 부착홈(414)의 돌기부(414a)에 끼워지는 부착구멍(442a)을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베이스(410)의 중공부(411)에 가동체(420)를 끼워넣고, 너트(431)와 나사(432)를 장착한 후, 캡(440)의 부착편(442)을 베이스(410)의 부착홈(414)에 맞춰서 끼워넣으면 된다. 부착편(442)을 끼워넣으면, 부착편(442)이 부착홈(414) 내의 돌기부(414a)에 맞닿아서 벌어지게 되고, 그 후 돌기부(414a)가 부착구멍(442a)에 끼워져서 부착편(442)이 복원됨으로써 캡(240)이 베이스(410)에 고정된다. 또, 가동체(420)는 너트(431)와 나사(432)에 의해서 베이스(4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가이드 기구(400)의 사용방법〉
가이드 기구(400)는 조립된 상태로, 베이스(410)의 제 1, 제 2 부착부(415,416)에 나사(도시생략)를 끼우고서 캐비닛(300)의 내측면에 베이스(410)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캐비닛(300)에 고정된다.
가이드 기구(400)의 위치조정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로 조작 개구부(413)를 통해서 나사(432)를 회전시킨다.
나사(432)를 너트(431)에 깊게 끼우면,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420)가 베이스(410)의 중공부(411)의 내측으로 향해서 슬라이드한다.
즉, 가동체(420)의 슬라이드 돌기(421)가 베이스(410)의 슬라이드 홈(412)을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가동체(420)의 가이드 편(422)이 캐비닛측 레일(20)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측 레일(20)의 홈폭을 좁힌다.
이것에 대해서, 반대로 나사(432)를 너트(431)에 얕게 끼우면,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420)가 베이스(410)의 중공부(4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즉, 가동체(420)의 슬라이드 돌기(421)가 베이스(410)의 슬라이드 홈(412)을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가동체(420)의 가이드 편(422)이 캐비닛측 레일(20)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측 레일(20)의 홈폭을 넓힌다.
≪제 5 실시형태≫
도 49∼도 5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첫째로, 가이드 기구(600)를 유니트화하여 도 49∼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500)에 원터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둘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34∼도 4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편(622)의 선단부에 도 53 및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622a)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돌출부(622a)에는 도 34∼도 4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4 실시형태의 테이퍼면(422b)과 같은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이드 기구(600)는 도 34∼도 48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 4 실시형태의 가이드 기구(400)와 거의 같은 구조를 구비하므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600'번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부(510,520,521)〉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500)에는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고정부(510,520,521)를 형성하고 있다.
즉, 고정부(510,520,521)는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예를 들면, 3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510,520,521)를 3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2개 혹은 4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3개의 고정부(510,520,521) 중 1개의 외측 고정부(510)는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500)의 상부 레일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되, 상기 외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향해서 설편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측 고정부(510)는 가이드 기구(600)의 부착위치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측 고정부(510)에는 좌우로 사각형상으로 관통되는 고정구멍(511)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구멍(511)에는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베이스(610)의 탄성 돌조(611)가 끼워진다.
3개의 고정부(510,520,521) 중 나머지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는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500)의 상부 레일의 내측 단부에 위치하되, 상기 내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향해서 설편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는 1개의 외측 고정부(510)와 엇갈리게 돌출되어 있으며,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와 1개의 외측 고정부(510)의 대향 간격은 가이드 기구(600)의 좌우 폭과 같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와 1개의 외측 고정부(510)의 대향 간격 내에 가이드 기구(600)가 끼워지며,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와 1개의 외측 고정부(510)에 의해서 폭방향의 양측에서 협지(挾持)하도록 하여 유지된다.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 중 제 1 내측 고정부(520)는 1개의 외측 고정부(510)를 중심으로 하여 캐비닛의 전방측(개구 전면측)에 위치하고, 제 2 내측 고정부(521)는 캐비닛의 후방측(내측)에 위치하며,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는 1개의 외측 고정부(510)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반대로 보면, 1개의 외측 고정부(510)는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의 사이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510,520,521)를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500)에서 상측으로 돌출시켰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하측으로 돌출시켜서 캐비닛측 레일(500)의 하측에 가이드 기구(600)를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탄성 돌조(611)〉
베이스(610)의 배면에는 도 51 및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고정부(510)의 고정구멍(511)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 돌조(6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610)에 탄성 돌조(611)를 형성하고 외측 고정부(510)에 고정구멍(511)을 형성하였으나, 반대로 베이스(610)에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외측 고정부(510)에 탄성 돌조를 형성하여도 좋다.
〈가이드 기구(600)의 사용방법〉
가이드 기구(600)는 조립된 상태로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캐비닛측 레일(500)의 1개의 외측 고정부(510)와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의 대향 간격에 맞춰서 상측에서 끼워진다.
가이드 기구(600)를 끼우면, 우선 탄성 돌조(611)와 외측 고정부(510)가 맞닿게 되고, 여기서 가이드 기구(600)를 하측으로 누르면, 탄성 돌조(611)가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멍(511)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가이드 기구(600)는 도 50 및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외측 고정부(510)와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의 대향 간격에서 상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캐비닛측 레일(50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탄성 돌조(611)가 고정구멍(511)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 캐비닛측 레일(50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양측에서 1개의 외측 고정부(510)와 2개의 내측 고정부(520,521)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폭방향으로의 이동도 저지된다.
가이드 기구(400)의 위치조정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로 나사(63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2009년 2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28863호, 2009년 4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106090호 및 2009년 6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151038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캐비닛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방측에 롤러를 구비한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에 대해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측에 롤러를 구비한 좌우의 서랍측 레일이 전후로 슬라이드함에 의해서 개폐되는 서랍으로서, 상기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 중 일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에만 롤러 탈락 방지편을 가지는 서랍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캐비닛측 레일 중 상기 롤러 탈락 방지편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에는,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착되며,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을 슬라이드하는 상기 서랍측 레일의 상기 롤러를 상기 서랍을 꺼낸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로 향해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가이드 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해서 접촉ㆍ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에는 상기 가이드 편을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장치에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측에서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으로 향해서 적어도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에서 소정량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에는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접촉ㆍ이탈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편을 가지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동체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체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슬라이드 홈과 이것에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드 돌기 중 어느 한쪽을 각각에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돌기를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홈폭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의 선단부에는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의 개방 측면의 내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9.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접촉ㆍ이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 편 및 상기 돌출부를 가지는 가동체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가동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가동체를 접촉ㆍ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위치조정장치;를 조립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타방측의 캐비닛측 레일에는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는 서로 탄성적으로 끼워맞춰지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상기 캐비닛의 후방측으로 향해서 돌출량이 감소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 기구.
KR1020117020783A 2009-02-10 2010-02-09 서랍의 가이드 기구 KR101289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28853 2009-02-10
JPJP-P-2009-028853 2009-02-10
JP2009106090 2009-04-24
JPJP-P-2009-106090 2009-04-24
JPJP-P-2009-151038 2009-06-25
JP2009151038A JP2010269113A (ja) 2009-02-10 2009-06-25 引出しのガイド機構
PCT/JP2010/051881 WO2010092949A1 (ja) 2009-02-10 2010-02-09 引出しのガイド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737A true KR20110122737A (ko) 2011-11-10
KR101289913B1 KR101289913B1 (ko) 2013-07-25

Family

ID=4256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783A KR101289913B1 (ko) 2009-02-10 2010-02-09 서랍의 가이드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69113A (ko)
KR (1) KR101289913B1 (ko)
CN (1) CN102307496A (ko)
WO (1) WO20100929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170B1 (ko) * 2020-12-01 2021-03-31 베스띠아 주식회사 서랍 측면 간격 조정용 모듈러가 구비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KR20220100566A (ko) * 2016-02-05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2950B2 (ja) * 2011-12-20 2016-08-03 株式会社リコー スライドレール、給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292092B2 (ja) * 2019-04-26 2023-06-16 株式会社Lixil 引出し構造
US11871846B2 (en) * 2021-01-29 2024-01-16 Tenn-Tex Plastics, Inc. Hardware assembly for drawer slide with dampen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2057A (en) * 1959-06-12 1961-07-11 Brammer Mfg Co Adjustable guide means for drawers and the like
AT386938B (de) * 1983-05-03 1988-11-10 Blum Gmbh Julius Ausziehfuehrungsgarnitur fuer schubladen od.dgl.
JPH07303537A (ja) * 1994-05-16 1995-11-21 Takahashi Kanamono Kk 引出しのガイド構造
TWI229592B (en) * 2001-05-10 2005-03-21 Salice Arturo Spa A pullout guide for a drawer
JP2007195802A (ja) * 2006-01-27 2007-08-09 Noda Corp 引出し装置
JP3147973U (ja) * 2008-11-11 2009-01-29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出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566A (ko) * 2016-02-05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34170B1 (ko) * 2020-12-01 2021-03-31 베스띠아 주식회사 서랍 측면 간격 조정용 모듈러가 구비된 서랍기능 수납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7496A (zh) 2012-01-04
WO2010092949A1 (ja) 2010-08-19
JP2010269113A (ja) 2010-12-02
KR101289913B1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913B1 (ko) 서랍의 가이드 기구
US7437831B2 (en) Linear guide apparatus
US20060279187A1 (en) Detent pin bearing retainer lock for a drawer slide
US7708359B2 (en) Latch mechanism for slide rail assembly
KR101406781B1 (ko) 서랍용 슬라이드 탈착장치
US20090167128A1 (en) Device for adjustable mounting of the runner of pull-out guides on drawers
JPH0739430A (ja) 引出しのスライド組立
US20120201484A1 (en) Slide assembly with buffering member for reducing impact and noise
JPWO2005096887A1 (ja)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トッパ装置
US6499819B2 (en) Drawer slide
KR100813330B1 (ko) 슬라이딩 수납장용 3단레일
JP6353283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EP2478795B1 (en) Slide assembly with buffering member for reducing impact and noise
US11859654B2 (en) Carrying rack connecting device
JPH0664542U (ja)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トッパ装置
JP5280746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3040202U (ja) 引出しのスライドレール
JP6689348B1 (ja) 案内装置
WO2013135522A1 (de) AUSSTOßVORRICHTUNG UND AUSSTOßSYSTEM
JP2867587B2 (ja) 引出し装置
WO2010092700A1 (ja) 引出しのガイド機構
WO2005070258A1 (en) Drawer stopper arrangement
JP2016098863A (ja) スライドレール及び遊技機
KR100768936B1 (ko) 슬라이딩 장치
KR10063845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러한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