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652A -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652A
KR20110121652A KR1020117022573A KR20117022573A KR20110121652A KR 20110121652 A KR20110121652 A KR 20110121652A KR 1020117022573 A KR1020117022573 A KR 1020117022573A KR 20117022573 A KR20117022573 A KR 20117022573A KR 20110121652 A KR20110121652 A KR 2011012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surrounding opening
leg surrounding
siz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4Cutting-out; Stamping-out using rotating dru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6Blan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65Cutting motion of tool has component in direction of moving work
    • Y10T83/4766Orbital motion of cutting blade
    • Y10T83/4795Rotary tool
    • Y10T83/483With cooperating rotary cutter or backup
    • Y10T83/4838With anvil back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는 L 사이즈 개구(40L)에 해당하는 웹(7)의 미리 정해진 영역(44)을 절단하는 블레이드(112)가 설치된 외주면을 구비하고, 단일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하는 경우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커터 롤러(110)와, 웹(7)을 사이에 두고 커터 롤러(110)와 대향하는 앤빌 롤러(120)와, 커터 원주 속도(c)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는 경우에 커터 원주 속도(c)를 웹(7)의 반송 속도(v)와 같게 하고,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터 원주 속도(c)를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높게 하는 식으로 커터 원주 속도(c)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LEG-SURROUNDING OPENING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연속 웹에 상이한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는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하는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전방 허리에 대응하는 전방 허리선 부분과, 착용자의 후방 허리에 대응하는 후방 허리선 부분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부분을 포함한다.
착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 포위 개구는 가랑이 부분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에서, 흡수성 물품의 구성요소인 흡수체를 내부에 유지한 채로 연속해서 반송되는 웹에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는 커터 롤러와 앤빌 롤러(anvil roller)를 포함한다.
커터 롤러의 외주에는, 다리 포위 개구에 해당하는 웹의 미러 정해진 영역을 절단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된다. 앤빌 롤러는 웹을 사이에 두고 커터 롤러와 대향한다.
블레이드와 앤빌 롤러 사이에서 웹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압박함으로써, 반송중인 웹에 다리 포위 개구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에서는, 웹의 반송 속도와,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 및 앤빌 롤러의 원주 속도가 모두 같다.
따라서, 균일한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S 사이즈, M 사이즈 및 L 사이즈와 같이 상이한 사이즈로 제조된다.
제조될 흡수성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웹의 반송 방향에서의 다리 포위 개구의 크기가 변한다.
그러나, 커터 롤러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다리 포위 개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없다.
이 경우, 절단될 다리 포위 개구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터 롤러 등의 유닛을 교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커터 롤러가 1 회전하는 동안, 블레이드가 웹과 접촉할 때(즉, 웹을 절단하는 중)에,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변화시키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커터 롤러에 설치된 한 사이즈의 커터로 복수 사이즈의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와 웹의 반송 속도가 달라야 한다. 즉, 커터 롤러가 1 회전하는 동안에, 웹의 반송 속도에 대한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이 점에 있어서, 본원 발명자는 전술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커터 롤러의 중량과 회전 속도로 인해, 커터 롤러를 회전시키는 기어와 모터 등의 구동 기구에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의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블레이드가 웹과 접촉할 때에 웹에 주름(꼬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안정된 형상의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일부 흡수성 물품에 제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2003-145485호(2∼4 페이지, 도 1 및 도 2)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상이한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하는 경우에, 장치의 고장을 경감하면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불량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적어도 다리 포위 개구가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 가공될 연속 웹에, 흡수성 물품의 제1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과, 흡수성 물품의 제2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2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로서 개괄될 수 있는데, 이 장치는, 상기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웹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절단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된 외주면을 구비하며, 단일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커터 롤러와, 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커터 롤러와 대향하는 앤빌 롤러와, 적어도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웹의 반송 속도와 같게 하고, 상기 제2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웹의 반송 속도보다 높게 하는 식으로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부분적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관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의 (도 3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측면도이다.
도 5는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터 롤러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의 (a)와 (b)는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다리 포위 개구의 (도 3의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본)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 및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표시한다. 또,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이 현실의 것과는 다름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이 구성요소의 실제와 다른 치수 관계 및 비율을 반영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먼저,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구조에 관해서, 흡수성 물품(1)을 도시하는 부분적 절단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은 어른용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흡수성 물품(1)은 L 사이즈(제1 사이즈) 및 M 사이즈(제2 사이즈)와 같이 상이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주로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와, 흡수체(4)와, 방수 시트(5)로 구성된다.
표면 시트(2)는 흡수성 물품(1) 착용 대상자(이하, "착용자"라고 함)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표면 시트(2)로서는, 부직포나 개구 플라스틱 필름 등의 액투과성 시트가 사용된다.
이면 시트(3)는 표면 시트(2)의 바깥쪽, 즉 표면 시트(2)보다 착용자로부터 더 떨어진 측에 제공된다. 이면 시트(3)로서는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제공되고, 착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흡수체(4)로서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방수 시트(5)는 이면 시트(3)와 흡수체(4) 사이에 제공되고, 착용자의 배설물이 투과되지 않게 한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측에서부터 순서대로 표면 시트(2), 흡수체(4), 방수 시트(5), 이면 시트(3)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전방 허리에 대응하는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착용자의 후방 허리에 대응하는 후방 허리선 부분(20)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응하는 가랑이 부분(30)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가랑이 부분(30)의 양측에는 다리 포위 개구(40)가 각각 형성되고, 착용자의 다리가 그 다리 포위 개구(40)를 통과하여 삽입된다.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이 접합부(50)에 의해 일체화되어,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대응하는 허리선 개구(60)를 형성한다.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주연부에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실 등으로 이루어지는 허리 개더(6A)가 제공된다.
예컨대,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은, 허리 개더(6A)가 제공됨으로써, 전방 허리선 부분(10)으로부터 후방 허리선 부분(20)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을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신축될 수도, 또는 이들 부분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됨으로써 교차 방향으로 신축될 수도 있다.
가랑이 부분(30)은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 사이에 제공된다.
가랑이 부분(30)의 양측부 각각에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실 등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리 개더(6B)가 제공된다.
예컨대, 가랑이 부분(30)은 다리 개더(6B)가 제공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될 수도, 또는 가랑이 부분(30)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에 대해,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의 관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허리선 형성 단계 S1과, 흡수체 전사 단계 S2와,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과, 폴딩 단계 S4와, 접합 단계 S5와, 절단 단계 S6을 포함한다.
허리선 형성 단계 S1에서는, 웹(7A)과 웹(7B) 사이에 개더[허리 개더(6A) 및/또는 다리 개더(6B)]를 배치함으로써, 웹(7)을 형성한다. 이 웹(7)은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으로 가공되는 것이다.
또, 반송중인 웹(7)[웹(7A, 7B)]은 그 웹(7)의 반송 방향(MD)(머신 방향)과 직교하는 교차 방향(CD)(폭 방향)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다.
또한, 웹(7)은 웹(7)의 교차 방향(CD)에서 폭을 양분하며 웹(7)의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L)에 대하여 비대칭적이다.
흡수체 전사 단계 S2에서는, 허리선 형성 단계 S1 후에, 웹(7) 상에, 구체적으로는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사이에, 가랑이 부분(30)으로 가공되는 가랑이 부분 부재(30A)를 전사한다. 가랑이 부분 부재(30A)는 이면 시트(3)와 흡수체(4)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에서는, 흡수체 전사 단계 S2 후에, 후술하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가 웹(7)[웹(7A, 7B)]을 가랑이 부분 부재(30A)를 구성하는 이면 시트(3)와 함께 절단하여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한다.
여기서, 다리 포위 개구(40)의 형성은 웹(7)[웹(7A, 7B)]과 이면 시트(3)를 절단하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 웹(7A, 7B)만 절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에서는 웹(7)에, L 사이즈(제1 사이즈)의 흡수성 물품(1)에 대응하는 L 사이즈 개구(40L)[제1 다리 포위 개구, 도 7의 (a) 참조], 또는 M 사이즈(제2 사이즈)의 흡수성 물품(1)에 대응하는 M 사이즈 개구(40M)[제2 다리 포위 개구, 도 7의 (b) 참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웹(7)의 반송 방향(MD)에서의 L 사이즈 개구(40L)의 크기(L1)[도 7의 (a) 참조]는 웹(7)의 반송 방향(MD)에서의 M 사이즈 개구(40M)의 크기(L2)[도 7의 (b) 참조]보다 크다.
여기서, 흡수체 전사 단계 S2와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은 역순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폴딩 단계 S4에서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 후에, 웹(7)의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을 따라, 웹(7)의 후방 허리선 부분(20)의 측 가장자리(20A) 쪽에 웹(7)의 전방 허리선 부분(10)의 측 가장자리(10A)를 올림으로써 반으로 포갠다.
또,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접는 선이 중심선(CL)이다. 한편, 접는 선은 중심선(CL)과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중심선(CL)으로부터 측 가장자리(10A) 쪽으로 어긋날 수도 또는 제2 측 가장자리(20A)쪽으로 어긋날 수도 있다.
접합 단계 S5에서는, 폴딩 단계 S4 후에, 웹(7)의 포개진 부분을 초음파 처리나 가열 처리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접합부(50)로 가공되는 접합 영역(50A)에 접합한다.
접합 영역(50A)은 반송 방향(MC)으로 가상 선(SL)의 양측에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가상 선(SL)은 폭 방향(CD)으로 연장되는 절단 선을 나타낸다.
절단 단계 S6에서는, 접합 단계 S5 후에, 접합 영역(50A)이 접합된 웹(7)을 가상 선(SL)을 따라 절단한다. 이에, 흡수성 물품(1)이 제조된다.
이하, 예컨대 전술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단계 S3에 이용되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는 웹(7)에 L 사이즈 개구(40L)와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는 커터 롤러(110)와, 앤빌 롤러(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커터 롤러(110)는 반송중인 웹(7)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터 롤러(110)는 웹(7B)측에 설치된다. 웹(7B)측은 흡수체(4)가 배치되는 측이다. 커터 롤러(110)는 그 커터 롤러(1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와 모터 등의 구동 기구(110A)에 의해 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커터 롤러(110)의 외주에는, L 사이즈 개구(40L)에 해당하는 웹(7)의 미리 정해진 영역(44)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블레이드(112)가 설치된다.
각 블레이드(112)는 커터 롤러(110)의 외주면에서 곡면 형상, 즉 L 사이즈 개구(40L)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웹(7)의 반송 방향(MD)에서의 블레이드(112)의 크기(L3)는 웹(7)의 반송 방향(MD)에서의 L 사이즈 개구(40L)의 크기(L1)와 같다(도 5 및 도 7 참조).
커터 롤러(110)는 동일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40)[즉, L 사이즈 개구(40L) 또는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앤빌 롤러(120)는 반송중인 웹(7)을 사이에 두고 커터 롤러(110)와 대향하는 위치[즉, 웹(7)의 하측]에 설치된다.
앤빌 롤러(120)는 그 앤빌 롤러(1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기어와 모터 등의 구동 기구(120A)에 의해 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어부(130)는 구동 기구(110A)를 통해 커터 롤러(110)에 연결되고, 구동 기구(120A)를 통해 앤빌 롤러(120)에 연결된다.
제어부(130)는 커터 롤러(110)의 원주 속도[이하, 커터 원주 속도(c)라고 함]와 앤빌 롤러(120)의 원주 속도[이하, 앤빌 원주 속도(a)라고 함]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표 1과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어부(130)가 수행하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1은 커터 원주 속도(c)와 그 밖의 속도, 즉 앤빌 원주 속도(a)와 웹 반송 속도(v)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의 (a)와 (b)는 일 또는 다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다리 포위 개구(40)의 (도 3의 화살표 B를 따라 본)평면도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앤빌 원주 속도(a)를 커터 원주 속도(c)와 같게 하는 제어(a=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서로 ±5% 차이를 갖는 회전 속도 a와 c는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또,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기 위한 웹(7)의 반송 속도(v)는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는 경우의 웹 반송 속도와 같다. 웹(7)의 주어진 반송 속도(v)에 대하여, L 사이즈 개구(40L)에 해당하는 웹(7)의 미리 정해진 영역(44)을 절단하도록 블레이드(112)가 선택된다.
그렇기 때문에, 웹(7)의 반송 방향(MD)에서의 각각의 블레이드(112)의 크기(L3)는 웹(7)의 반송 방향(MD)에서의 L 사이즈 개구(40L)의 크기(L1)와 같다(도 5 및 도 7 참조).
따라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기준 개구 사이즈가 L 사이즈이다. 표 1에서는 이것을 "L 사이즈 기준"이라고 표기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와 같을 때(c=v), 블레이드(112)에 의해 절단된 개구의 사이즈가 기준 개구 사이즈이다. 여기서, 웹(7)의 반송 속도(v)의 ±5%의 속도차 내에 있는 커터 원주 속도(c)는 반송 속도(v)와 "같다"고 간주된다.
제어부(130)는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터 원주 속도(c)를 웹(7)의 반송 속도(v)와 같게 하는 제어(c=v)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어 하에서,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는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터 원주 속도(c)를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높게 하는 제어(c>v)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어 하에서,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는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는 경우에,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와 같다(c=v).
한편,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높다(c>v).
이들 속도에서, 단일 커터 롤러(110)는 상이한 크기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터 롤러(110)를 교환하는 일 없이 웹(7)의 반송 방향(MD)에서의 다리 포위 개구(4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는 경우에,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높기 때문에(c>v), 기준 개구 사이즈보다 작은 다수의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하는 동안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낮은 일은 없다.
그렇게 설정된 커터 원주 속도(c)에 의해,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낮은 경우에 비해, 웹(7)의 미리 정해진 영역(44)을 보다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또 웹(7)과 블레이드(112)의 접촉으로 인해 웹(7)에 생기는 주름(꼬임)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절단 단계 S6에서는, 웹(7)의 교차 방향(CD)으로 연장되는 가상 선(SL)을 따라 웹(7)을 절단하기 위해 커터 롤러(도시 생략)의 외주에는, 가상 선(SL)에 대응하는 직선형 블레이드가 설치된다.
이 직선형 블레이드는 웹(7)의 교차 방향(CD)으로 연장되어, 웹(7) 절단 시에 웹(7)과의 접촉이 잠시뿐이다.
따라서, 그러한 직선형 블레이드를 장착한 커터 롤러의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낮은 경우에도, 한번의 절단 동작으로 웹(7)의 교차 방향(CD)에서 웹(7)이 완전히 절단된다.
반면에, 전술한 각각의 블레이드(112)는 커터 롤러(110)의 외주에서 L 사이즈 개구(40L)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즉, 블레이드(112)는 웹(7)의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에, 블레이드(112)는 직선형 블레이드에 비해, 웹(7) 절단 시에 웹(7)과의 접촉 시간이 길다.
게다가, 웹(7) 절단 시에, 블레이드(112)가 웹(7)의 미리 정해진 영역(44)만 절단하기 때문에,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으로 형성될 웹(7)의 부분은 블레이드(112)에 의해 절단되지 않게 되어 인장된 상태가 된다.
예컨대, 커터 원주 속도(c)가 반송 속도(v)보다 낮다면, 블레이드(112)가 웹(7)의 미리 정해진 영역(44)만 절단하여 웹(7)은 전방 허리선 부분(10) 및 후방 허리선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절단되지 않은 채 인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속도차에 의해 웹(7)에 주름(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터 원주 속도(c)가 웹(7)의 반송 속도(v)보다 낮지 않게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웹(7)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터 롤러(110)는 단일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 경우, 커터 롤러(110)가 1 회전하는 동안에 커터 원주 속도(c)는 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커터 롤러(110)가 1 회전하는 동안 커터 원주 속도(c)가 변하는 경우와 비교해, 커터 롤러(110)가 무거운 경우일지라도 커터 원주 속도(c)가 일정한 회전의 경우에는 구동 기구(110A)에 부하가 걸리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구동 기구(110A) 또는 그 밖의 부분에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의 고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커터 롤러(110)가 일정한 속도로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터 롤러(110)가 1 회전하는 동안에 커터 원주 속도(c)가 변하는 경우와 달리, 웹(7)과 블레이드(112)와의 접촉으로 인한 웹(7)의 주름(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다리 포위 개구(40)를 안정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조된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제조 불량을 방지하거나 최소한 줄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앤빌 원주 속도(a)가 커터 원주 속도(c)와 같다. 이에, 웹(7)의 커터 롤러(110)측 면과, 웹(7)의 앤빌 롤러(120)측 면에서 롤러 간의 속도차가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웹(7)과 블레이드(112)/앤빌 롤러(120)와의 접촉으로 인한 웹의 주름을 방지하여, 다리 포위 개구(40)를 안정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기 위한 웹(7)의 반송 속도(v)가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기 위한 웹(7)의 반송 속도(v)와 같다.
즉, 흡수성 물품(1)의 사이즈를 변경하더라도, 웹(7)의 반송 속도(v)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속도를 변경하는 일 없이,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를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
표 2는 변형예에 따른 커터 원주 속도(c)와 그 밖의 속도, 즉 앤빌 원주 속도(a)와 웹 반송 속도(v)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에서와 동일 요소 및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지정하며, 상이한 요소 및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가 두가지 상이한 사이즈(L 사이즈 및 M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 변형예에서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가 세가지 상이한 사이즈(L 사이즈, M 사이즈 및 S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3가지 이상의 사이즈도 본 실시형태의 개시 범위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개구 사이즈는 L 사이즈이다.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기 위한 속도를 기준이라고 하면, 예컨대 제어부(130)는 S 사이즈에 대응하는 다리 포위 개구(40)(S 사이즈 개구)를 형성하는 위한 커터 원주 속도(c)를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기 위한 커터 원주 속도(c)보다 높게 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속은 중속보다 1∼5% 높고, 초고속은 중속보다 6∼10% 높은 것이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개시하였다. 이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는 설명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을 용이하게 발상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추가 실시형태들을 구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 포위 개구(4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100)는 이러한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오픈형과 같은 임의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의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은 전방 허리선 부분(10)과, 후방 허리선 부분(20)과, 가랑이 부분(30)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1)은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러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이 이용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앤빌 원주 속도(a)를 커터 원주 속도(c)와 같게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어부(130)가 전술한 방식대로 항상 a=c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앤빌 원주 속도(a)와 커터 원주 속도(c)를 서로 다르게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는 경우와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는 경우에 동일한 웹(7) 반송 속도(v)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웹(7) 반송 속도(v)가 반드시 동일한 것이 아니라, 사이즈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예컨대, M 사이즈 개구(40M)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L 사이즈 개구(40L)를 형성하는 경우에 웹(7)의 반송 속도(v)를 더 높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하지 않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타당한 것으로 간주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을 정의하는 사항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48416호(2009년 3월 2일 출원) 및 제2010-041926호(2010년 2월 26일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즈가 상이한 다리 포위 개구를 형성할 경우에, 장치의 고장을 경감하면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불량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5: 방수 시트 6A: 허리 개더
6B: 다리 개더 7, 7A, 7B: 웹
10: 전방 허리선 부분 10A: 제1 측 가장자리
20: 후방 허리선 부분 20A: 제2 측 가장자리
30: 가랑이부 30A: 가랑이부 부재
40: 다리 포위 개구 40L: L 사이즈 개구
40M: M 사이즈 개구 44: 미리 정해진 영역
50: 접합부 50A: 접합 영역
60: 몸통 포위 개구 100: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110: 커터 롤러 111: 축
112: 블레이드 120: 앤빌 롤러
120A: 구동 기구 121: 축심
130: 제어부

Claims (4)

  1. 적어도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 가공되는 연속 웹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1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2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2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웹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절단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된 외주면을 구비하고, 단일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커터 롤러와,
    상기 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커터 롤러와 대향하는 앤빌 롤러(anvil roller)와,
    적어도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웹의 반송 속도와 같게 하고, 상기 제2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웹의 반송 속도보다 높게 하는 식으로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 롤러의 원주 속도는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와 같은 것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의 반송 속도는 상기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와 상기 제2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동일한 것인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4. 적어도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1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 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제2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2 다리 포위 개구 영역 중 하나를, 흡수성 물품으로 가공되는 연속 웹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웹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절단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된 외주면을 구비하고, 단일 사이즈의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커터 롤러와,
    상기 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커터 롤러와 대향하는 앤빌 롤러와,
    적어도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웹의 반송 속도와 같게 하고, 상기 제2 다리 포위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웹의 반송 속도보다 높게 하는 식으로 상기 커터 롤러의 원주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17022573A 2009-03-02 2010-03-02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20110121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8416 2009-03-02
JP2009048416 2009-03-02
JP2010041926A JP2010227544A (ja) 2009-03-02 2010-02-26 脚周り形成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JP-P-2010-041926 2010-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652A true KR20110121652A (ko) 2011-11-07

Family

ID=4270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573A KR20110121652A (ko) 2009-03-02 2010-03-02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10162497A1 (ko)
EP (1) EP2403457A4 (ko)
JP (1) JP2010227544A (ko)
KR (1) KR20110121652A (ko)
CN (1) CN102341076B (ko)
AU (1) AU2010221063A1 (ko)
BR (1) BRPI1006551A2 (ko)
CA (1) CA2753295A1 (ko)
CL (1) CL2011002148A1 (ko)
CO (1) CO6501178A2 (ko)
EA (1) EA201101217A1 (ko)
MX (1) MX2011009135A (ko)
NZ (1) NZ595085A (ko)
WO (1) WO2010101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2432B2 (en) * 2011-10-19 2015-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separating a discrete portion from a web
JP5786056B1 (ja) * 2014-03-27 2015-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3230293B1 (en) * 2014-12-10 2019-10-16 Gelest Technologies Inc. High speed moisture-cure hybrid siloxane/silsesquioxane-urethane and siloxane/silsesquioxane-epoxy systems with adhesive properties
JP6429734B2 (ja) * 2015-06-12 2018-11-28 株式会社Isowa スリッタ、およびスリッタ制御プログラム
EP3541708B1 (en) * 2016-11-15 2022-05-11 Mespack Cloud, Llc Machine for cutting pouches with shaped perimeter edge, method and pouch
JP7289791B2 (ja) * 2017-11-14 2023-06-12 株式会社瑞光 吸収性物品の加工装置
JP7203071B2 (ja) * 2020-09-25 2023-01-12 花王株式会社 カッター装置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393B2 (ja) * 2001-08-29 2010-07-07 株式会社瑞光 物品の製造方法
US6895649B2 (en) * 2001-08-29 2005-05-24 Zuiko Corporation Article production method
JP2004016611A (ja) * 2002-06-19 2004-01-22 Kao Corp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311946B2 (ja) * 2003-02-07 2009-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ロータリダイカッ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切断方法
US7438779B2 (en) * 2003-07-11 2008-10-21 Zuik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wearing article
CN1930068B (zh) * 2004-03-05 2010-11-24 株式会社瑞光 织物变速装置
JP4965157B2 (ja) * 2006-04-19 2012-07-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318490B2 (ja) * 2008-08-07 2013-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53295A1 (en) 2010-09-10
CN102341076B (zh) 2013-10-16
WO2010101281A1 (en) 2010-09-10
MX2011009135A (es) 2011-09-22
CO6501178A2 (es) 2012-08-15
BRPI1006551A2 (pt) 2018-02-14
CN102341076A (zh) 2012-02-01
EA201101217A1 (ru) 2012-04-30
AU2010221063A1 (en) 2011-09-29
EP2403457A4 (en) 2013-08-07
US20110162497A1 (en) 2011-07-07
CL2011002148A1 (es) 2012-02-03
NZ595085A (en) 2013-04-26
EP2403457A1 (en) 2012-01-11
JP2010227544A (ja)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1652A (ko) 다리 포위 개구 형성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5498082B2 (ja) ウエブ搬送装置
JP5789730B1 (ja)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10122864A (ko) 접합 장치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US20120077661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 sheet member
JP5830624B1 (ja)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U2010221058B2 (en) Web convey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AU2010221064B2 (en) Convey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JP5351649B2 (ja) 切断転写装置及び切断転写方法
JP2004141636A (ja) 使い捨ておむつの股下折曲装置および股下折曲方法
JP5615001B2 (ja) 搬送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485904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2004141637A (ja) 使い捨ておむつの股下折曲装置および股下折曲方法
JP5366697B2 (ja) ウェブ接合装置及びウェブ接合方法
MX2010010854A (es)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articulos absorbentes y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articulos absorbentes.
WO2012120931A1 (ja) 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