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235A -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235A
KR20110119235A KR1020100038833A KR20100038833A KR20110119235A KR 20110119235 A KR20110119235 A KR 20110119235A KR 1020100038833 A KR1020100038833 A KR 1020100038833A KR 20100038833 A KR20100038833 A KR 20100038833A KR 20110119235 A KR20110119235 A KR 2011011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ress material
rod
material transfer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3433B1 (ko
Inventor
한재형
Original Assignee
한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형 filed Critical 한재형
Priority to KR102010003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43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1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pneumatic or magnetic engagemen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76Noise or vibration isol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를 흡착 및/또는 탈착한 다음 프레스기로 반입/반출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틸팅구조에 의해 프레스 소재의 다양한 형상이나 흡착면의 기울기 등에 따라 소재 흡/탈착 수단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프레스 소재가 정확하고 확실히 흡착되며, 종래처럼 유니트 아암을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비용 및 시간이 크게 절감되며, 간단한 구조로 무게와 진동 및 제조비용을 줄이고 표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탄지봉과 소재 흡/탈착 수단이 스프링에 의해 완충 및 탄지되므로 프레스 소재가 흡착될 때 충격이 흡수되며,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STRUCTURE FOR TILTING A TRANSFER APPARATUS OF MATERIALS PRESS}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를 흡착 및/또는 탈착한 다음 프레스기로 반입/반출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무게와 진동 및 제조비용을 줄이고 표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기 주변, 또는 프레스 라인에는 프레스 소재를 흡착 및/또는 탈착한 다음 프레스기로 반입하거나 반출시키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는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유니트 아암과 상기 유니트 아암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스 소재 흡/탈착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재 흡/탈착 수단에 의해 프레스 소재가 흡착되면 유니트 아암에 의해 프레스 소재가 금형으로 이동 및 탈착되고, 프레스 소재가 탈착된 소재 흡/탈착 수단은 복귀하여 대기하고, 금형으로 반입된 프레스 소재의 타발이 이루어지면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소재 흡/탈착 수단 또는 다른 소재 흡/탈착 수단이 금형 상부로 진입하여 타발된 프레스 소재를 흡착한 다음 후(後)공정으로 이송시켜 탈착시킨 후 복귀하게 된다.
상기 유니트 아암에 설치되는 프레스 소재 흡/탈착 수단으로는 자력(磁力)을 이용하는 전자석(電磁石) 또는 진공(眞空)을 이용하는 진공흡착구 등이 있으며, 프레스 소재의 재질이 대부분 철금속이므로 소재 흡/탈착 수단으로는 전자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프레스 소재가 비철금속이거나 철금속이더라도 표면 긁힘(스크래치)이나 흡착 흔적 등이 남는 것을 원치 않는 경우에는 진공흡착구가 이용된다.
상기 프레스 소재는 여러 번의 타발 공정을 거치면서 매우 다양한 형상을 띄게 되며, 소재 흡/탈착 수단에 의해 흡착되는 면(흡착면)의 형태 또한 매우 다양하다. 이를테면, 흡착면이 평면형인 경우도 있지만 소정 기울기의 경사형이거나 곡면형, 요입형이거나 요철형, 또는 이들의 복합형이며, 평면형이더라도 여러 번의 타발에 의해 굴곡이 있는 곡면형이거나 다면형, 경사형 또는 이들의 복합형으로 변화되는 반면, 소재 흡/탈착 수단에는 프레스 소재의 형상이나 흡착면의 형태에 따라 틸팅되는 수단이나 관절기능이 없어서 프레스 소재의 완전한(확실한) 흡착이 어렵고, 프레스 소재의 완전한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프레스 소재가 이송 도중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되며, 심한 경우 프레스 소재가 소재 흡/탈착 수단으로부터 분리 낙하되어 프레스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프레스 소재의 흡착면이 매우 다양함을 감안하여 소재 흡/탈착 수단의 기울기를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컨대, 소재 흡/탈착 수단의 기울기나 소재 흡/탈착 수단이 고정된 유니트 아암의 각도에 맞춰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는 각도가 세팅된 유니트 아암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프레스 소재의 흡착면들이 단차에 의해 높이 차이가 나는 경우 복수로 구성되는 소재 흡/탈착 수단의 높낮이를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세팅 및/또는 교환비용과 그에 따른 시간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에 간단한 구성의 틸딩수단을 구비시켜 소재 흡/탈착 수단의 기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있도록 하고, 프레스 소재의 흡착면 형태에 따라 이송장치의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프레스 소재가 확실히 흡착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무게와 진동 및 제조비용을 줄이고 표준화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완충수단을 구비시켜 완충 및 진동 흡수와, 양호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지지바 타측에 형성되는 절개홈 및 결합공과, 상기 절개홈 양측의 협지부와, 상기 양측 협지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결합공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지지봉 상단의 구형부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탄지봉과, 상기 탄지봉의 하부에 체결되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지지바 타측에 형성되는 절개홈 및 결합공과, 상기 절개홈 양측의 협지부와, 상기 양측 협지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결합공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지지봉 상단의 구형부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탄지봉과, 상기 탄지봉의 길이방향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기공과, 상기 기공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진공호스의 결합부와, 상기 탄지봉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진공흡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소공과, 상기 단턱부와 소공에 헐겁게 결합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에 형성되는 외향 돌출테 및 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관통공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싱과, 상기 지지링에 고정되는 탄지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봉에 형성되는 결합공의 내경은 중앙부에서 상부 및 하부로 이행할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구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일측 협지부에 형성되는 수평공과, 타측 협지부에 형성되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일측 협지부에 형성되는 요입홈을 형성하여 볼트의 머리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지봉은,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 상부에 형성되는 큰 외경의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보다 큰 외경의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탄지봉에 체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일측에 체결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무게와 진동 및 제조비용이 줄어들고, 표준화에 의해 부품별로 교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으로 구성된 틸팅구조에 의해 적절히 틸팅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소재가 확실히 흡/탈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지봉과 소재 흡/탈착 수단이 스프링에 의해 완충 및 탄지되므로 프레스 소재가 흡착될 때 충격이 흡수되며,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의 흡착면 형태가 바뀌면 틸팅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서 종래처럼 소재 흡/탈착 수단 및 유니트 아암을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비용 및 시간이 크게 절감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4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5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7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완충 상태 단면도.
도 9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틸팅 상태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틸팅 상태 단면도.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1)의 틸팅구조를 도시한 단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단면도로,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유니트 아암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지지바(2) 일측에 장공(3)이 형성되고, 지지바(2)의 타측에 절개홈(5)을 갖는 결합공(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4)의 내측면에는 구형(求刑)의 결합면(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면(12)에는 지지봉(13)의 상단에 형성된 구형부(求刑部)(14)가 결합되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면(12)은 구형부(14)의 기울기는 허용하면서 이탈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형(求刑)이지만 지지바(2)의 두께만큼 형성되는 부분 구형이며, 따라서 결합공(4)의 내경은 중앙부에서 상부 및 하부로 이행할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구조이며, 따라서 결합면(12)과 구형부(14)는 면접촉 방식으로 밀착된다.
상기 절개홈(5)은 지지바(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절개홈(5) 양측에는 협지부(2a)(2b)가 형성되고, 일측 협지부(2a)에는 수평공(6)이 형성되고, 타측 협지부(2b)에는 나사공(7)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공(6)과 나사공(7)에는 나사부(11)가 형성된 볼트(10)를 끼워 체결시키면 협지부(2a)(2b)가 오무려지면서 결합면(12)이 구형부(14)를 가압하게 되어 지지봉(13)과 소재 흡/탈착 수단인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가 도 10, 도 11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소재 흡/탈착 수단인 전자석(28)의 기울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구형부(14)가 회전 또는 기울어질 수 있도록 볼트(10)를 풀어 협지부(2a)(2b)를 다소 이완시킨 다음 지지봉(13)을 적절한 기울기로 기울인 후 다소 이완시켰던 상기 볼트(10)를 체결시키면 협지부(2a)(2b)가 오무려지면서 결합면(12)이 구형부(14)를 가압하여 회전이 억제되므로 지지봉(13)과 소재 흡/탈착 수단인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가 도 10, 도 11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기울기 조정이 완료된다.
상기 절개홈(4)의 폭은 협지부(2a)(2b)가 오무려지면서 구형부(14)가 가압 고정된 후에도 2~5㎜ 정도의 여유가 있는 정도이면 만족하며, 일측 협지부(2a)에는 요입홈(8)이 형성되어 볼트(10)의 머리부 및 와셔(9)가 돌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지바(2)의 경량화에 일조한다.
지지봉(13)의 길이방향 내부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고, 관통공(15) 하부에는 단턱부(16)에 의해 내경이 작아진 소공(17)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6)와 소공(17)에는 외향 돌출테(19)가 형성된 지지링(18)이 헐겁게 결합되어 관통공(15)을 승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돌출테(19)는 외향 돌출되어 단턱부(16)에 걸림되며, 지지링(18)의 외경은 관통공(15)의 외경보다 조금 작아 헐겁게 결합되며, 지지링(18)의 길이방향으로는 통공(2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5)에는 소재(S)가 흡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기타 외부 압력 등을 흡수하는 스프링(21)이 결합되고, 관통공(15) 상부에는 스프링(21)이 상승 이탈하지 않도록 부싱(22)이 억지결합되어 고정되고, 하부 지지링(18)은 스프링(21)에 의해 탄지된다.
상기 지지봉(13)의 관통공(15)에는 탄지봉(23)이 승강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탄지봉(23)은 하부에 나사부(24)가 형성되고 상부에 보다 큰 외경의 걸림부(25)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5)의 상부에 걸림부(25)보다 큰 외경의 머리부(26)가 형성된다.
상기 탄지봉(23)의 하부에는 지지링(18)의 통공(20)이 억지결합되어 탄지봉(23)을 따라 승강하게 되며, 걸림부(25)는 부싱(22)에 헐겁게 결합되고, 나사부(24)는 지지링(18) 하부로 돌출된 다음 풀림방지너트(27)와 전자석(28) 상부 중앙에 형성된 나공(29)에 체결되어 전자석(28)이 고정되며, 상기 풀림방지너트(27)에 의해 나사부(24)와 전자석(28)간의 견고한 체결이 유지되어 전자석(28)의 풀림이 방지되며, 나사부(24)의 상단은 지지링(18)의 통공(20) 부분에 억지결합되어 완충이나 외압 등에 의해 지지링(18)이 탄지봉(23)을 따라 승강 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21)의 상부는 부싱(22)의 저부면에 지지되고 스프링(21)의 하부는 돌출테(19) 상부면에 지지되며, 상기 부싱(22)은 지지봉(13)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링(18)은 탄지봉(23)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지봉(23)이 하향 탄지된다.
상기 지지링(18)과 탄지봉(23) 및 전자석(28)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동시에 승강운동하게 되며, 스프링(21)은 도 8과 같이 소재(S)가 흡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기타 외부 압력 등을 흡수 및 완충하게 된다.
상기 전자석(28)은 전자력(電磁力)으로 소재(S)를 흡착하는 코어(32)와, 내부 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31)과, 전원선(31)이 인출되는 인출부(3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25)의 외경은 부싱(22) 내부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승강할 수 있게 구성되며, 평소에는 스프링(21)의 탄지력에 의해 머리부(26)의 저부는 구형부(14)의 상부면에 걸림되어 하강 상태가 유지되고, 소재 흡/탈착 수단이 프레스 소재(S)를 흡착하거나 외압 등이 작용되어 완충되는 경우 도 8과 같이 소재 흡/탈착 수단과 탄지봉(23)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의 틸팅각도는 탄지봉(23)을 중심으로 ±45°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레스 소재(S)를 흡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틸팅각도(θ)가 45°미만인 경우 다양한 형상과 기울기의 프레스 소재(S)를 흡착할 수 없으며, 45°를 초과하는 경우 탄지봉(23)이나 소재 흡/탈착 수단 등이 파손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45°범위가 바람직하다.
도 4 ~ 도 7은 본 발명 전자석(28) 대신 진공흡착구(33)를 이용하여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1a)의 틸팅구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지봉(23)의 길이방향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기공(35)이 형성되고, 탄지봉(23)의 나사부(24)에는 흡착패드(34)가 구비된 진공흡착구(33)가 체결되고, 기공(35)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35)에는 진공호스(39)의 결합부(37)가 체결되어 진공흡입력으로 소재(S)를 흡착할 수 있게 구성되며, 부호 (36)은 진공호스 체결부이고, (38)은 호스 연결부이고, (40)은 진공해제 구멍이다.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측면도로, 전자석(28) 부근에 근접스위치 또는 근접센서(43)를 설치하여 프레스 소재(S)의 접근 및/또는 흡착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근접센서(43)는 탄지봉(24)에 체결된 브라켓(42) 일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와셔(44) 및 너트(45)(46)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센싱 정도를 감안하여 상하 너트(45)(46)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부호(47)은 신호선 및 전원선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전자석(28)을 이용한 틸팅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진공흡착구(33)를 이용한 틸팅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평면도로,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1)(1a)는 프로파일(50)에 설치되어 구동수단(59)과 동력전달수단(60)(61)에 의해 프로파일(50)을 따라 왕복 이동 및/또는 승강하는 유니트 아암(52)과, 상기 유니트 아암(52)에 설치되는 연결바(53)(54)의 장공(55)(56)과, 상기 장공(55)(5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3)의 장공(3)을 일치시킨 다음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57)(58)으로 체결시켜 사용하게 되며, 소재 흡/탈착 수단인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로 프레스 소재(S)를 흡착시킨 다음 구동수단(59)으로 유니트 아암(52)을 이동시켜 프레스 소재(S)가 금형으로 진입되면 탈착시킨 후 복귀하게 되며, 금형으로 반입된 프레스 소재(S)의 타발이 이루어지면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1)(1a)에 의해 상기 소재 흡/탈착 수단 또는 다른 소재 흡/탈착 수단이 금형 상부로 진입하여 타발된 프레스 소재를 흡착한 다음 후(後)공정으로 이송시켜 탈착시킨 후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흡착되는 프레스 소재(S)의 흡착면이 평면형인 경우도 있지만 소정 기울기의 경사형이거나 곡면형, 요입형이거나 요철형, 또는 이들의 복합형, 또는 평면형이더라도 여러 번의 타발에 의해 굴곡이 있는 곡면형이거나 다면형, 경사형 또는 이들의 복합형으로 변화되면, 프레스 소재(S)의 흡착면과 직각이 되게 소재 흡/탈착 수단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프레스 소재(S)의 완전한 흡착이 이루어지며, 이송 도중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되지 않아 정확한 이송이 달성되며,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는 프레스 소재(S)의 흡착면 형태를 감안하여 적절히 기울여 사용하게 된다.
즉,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로 구성되는 소재 흡/탈착 수단의 기울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구형부(14)가 회전 또는 기울어질 수 있게 볼트(10)를 풀어 협지부(2a)(2b)를 다소 이완시킨 다음 지지봉(13)의 기울기로 적절히 조절한 다음 다소 이완시켰던 볼트(10)를 체결시키면 협지부(2a)(2b)가 오무려지면서 결합면(12)이 구형부(14)를 가압하게 되어 지지봉(13)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프레스 소재(S)의 흡착면이 기울어지거나 곡면이더라도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와 소재(S)의 흡착면이 직각 상태이므로 가장 효율적인 면접촉으로 흡착된다.
또한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가 프레스 소재(S)를 흡착할 때, 도 8과 같이 완충스프링(21)에 의해 탄지봉(23)이 완충되면서 충격 등이 흡수되며, 이에 따라 프레스 소재(S)가 흡착되는 부분에 다소 높이차이(단차)가 있더라도 확실히 흡착되며, 흡착된 프레스 소재(S)는 흔들림이나 유동없이 소재 흡/탈착 수단을 따라 소망하는 위치로 이송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무게와 진동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각 부품을 표준화할 수 있어서 교체가 용이하며, 완충수단에 의해 완충 및 진동 흡수와, 양호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의 체결높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지지바(2)를 절곡시켜 전자석(28) 또는 진공흡착구(33)의 흡/탈착 높이(또는 위치)를 맞출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09. 3. 4. 특허출원된 바 있는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특허출원 제10-2009-18558호)"이 참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1a)--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2)--지지바
(2a)(2b)--협지부 (3)--장공
(4)--결합공 (5)--절개홈
(6)--수평공 (7)--나사공
(8)--요입홈 (9)(44)--와셔
(10)--볼트 (11)(24)--나사부
(12)--결합면 (13)--지지봉
(14)--구형부 (15)--관통공
(16)--단턱부 (17)--소공
(18)--지지링 (19)--돌출테
(20)--통공 (21)--스프링
(22)--부싱 (23)--탄지봉
(25)--걸림부 (26)--머리부
(27)--풀림방지너트 (28)--전자석
(29)--나공 (30)--인출부
(31)--전원선 (33)--진공흡착구
(34)--진공패드 (35)--기공
(38)--호스 연결부 (39)--진공호스
(43)--근접센서 (45)(46)--너트
(S)--프레스 소재

Claims (8)

  1.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지지바 타측에 형성되는 절개홈 및 결합공;
    상기 절개홈 양측의 협지부;
    상기 양측 협지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기 결합공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면;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지지봉 상단의 구형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탄지봉;
    상기 탄지봉의 하부에 체결되는 전자석;
    을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2.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지지바 타측에 형성되는 절개홈 및 결합공;
    상기 절개홈 양측의 협지부;
    상기 양측 협지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기 결합공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면;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는 지지봉 상단의 구형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탄지봉;
    상기 탄지봉의 길이방향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기공;
    상기 기공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진공호스의 결합부;
    상기 탄지봉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진공흡착구;
    를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소공;
    상기 단턱부와 소공에 헐겁게 결합되는 지지링;
    상기 지지링에 형성되는 외향 돌출테 및 통공;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관통공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싱;
    상기 지지링에 고정되는 탄지봉;
    을 더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결합공의 내경은 중앙부에서 상부 및 하부로 이행할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구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체결수단은,
    일측 협지부에 형성되는 수평공;
    타측 협지부에 형성되는 나사공;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
    를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 협지부에 형성되는 요입홈;
    을 더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탄지봉은,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 상부에 형성되는 큰 외경의 걸림부;
    상기 걸림부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보다 큰 외경의 머리부;
    를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탄지봉에 체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일측에 체결되는 근접센서;
    를 더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KR1020100038833A 2010-04-27 2010-04-27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KR10113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833A KR101133433B1 (ko) 2010-04-27 2010-04-27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833A KR101133433B1 (ko) 2010-04-27 2010-04-27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235A true KR20110119235A (ko) 2011-11-02
KR101133433B1 KR101133433B1 (ko) 2012-04-09

Family

ID=453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833A KR101133433B1 (ko) 2010-04-27 2010-04-27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4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1305A (zh) * 2011-11-19 2013-05-29 扬州锻压机床集团有限公司 二次元机械手送料到位缓冲机构
WO2013125895A1 (ko) * 2012-02-23 2013-08-29 Han Jae Hyeong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KR101317483B1 (ko) * 2012-02-22 2013-10-11 한재형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CN106239502A (zh) * 2015-06-08 2016-12-21 罗普伺达有限公司 粘贴零件的机器人控制系统及方法
CN108788245A (zh) * 2018-09-05 2018-11-13 南通承悦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多面吸力轻便式组合型直流磁座钻
CN114368620A (zh) * 2021-12-20 2022-04-19 苏州得奥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指推线自动上料设备
KR102484768B1 (ko) * 2022-08-25 2023-01-09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터칭 로봇
EP4201551A1 (en) * 2021-12-27 2023-06-28 Fagor Arrasate, S.Coop. Conveyor apparatus for a press instal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727B1 (ko) 2012-05-03 2013-07-16 임병기 진공 리프팅 이송장치의 틸팅유닛
KR102099557B1 (ko) * 2018-08-29 2020-05-15 송재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509Y2 (ja) * 1993-09-24 1997-10-22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材料吸着装置
JP4467720B2 (ja) 2000-06-15 2010-05-26 株式会社アルバック 基板搬送装置
KR200396062Y1 (ko) 2005-06-15 2005-09-16 한태동 회전방지 처리 고정구와 회전방지 처리 클램프로 이루어진진공흡착부 고정장치
KR100956034B1 (ko) * 2009-03-04 2010-05-07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1305A (zh) * 2011-11-19 2013-05-29 扬州锻压机床集团有限公司 二次元机械手送料到位缓冲机构
KR101317483B1 (ko) * 2012-02-22 2013-10-11 한재형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WO2013125895A1 (ko) * 2012-02-23 2013-08-29 Han Jae Hyeong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CN106239502A (zh) * 2015-06-08 2016-12-21 罗普伺达有限公司 粘贴零件的机器人控制系统及方法
CN108788245A (zh) * 2018-09-05 2018-11-13 南通承悦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多面吸力轻便式组合型直流磁座钻
CN108788245B (zh) * 2018-09-05 2024-02-06 南通承悦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多面吸力轻便式组合型直流磁座钻
CN114368620A (zh) * 2021-12-20 2022-04-19 苏州得奥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指推线自动上料设备
EP4201551A1 (en) * 2021-12-27 2023-06-28 Fagor Arrasate, S.Coop. Conveyor apparatus for a press installation
KR102484768B1 (ko) * 2022-08-25 2023-01-09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터칭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433B1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433B1 (ko)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KR101019111B1 (ko) 프레스 소재 흡착용 전자석의 틸팅장치
KR20120042135A (ko) 진공 흡착장치
CN210255327U (zh) 网片吸附装置
KR20120047370A (ko) 소재 이송용 그립퍼
CN210064456U (zh) 一种纸箱搬运防掉落装置
KR101405081B1 (ko) 프레스 소재 회전억제장치
CN212372210U (zh) 一种自适应吸料机械手
CN102225393A (zh) 一种振动筛筛网拉紧装置
CN210943871U (zh) 一种带有去真空装置的吸盘夹具
KR101471834B1 (ko) 프레스 소재 회전억제장치
CN201685741U (zh) 茶杯夹紧保持装置
CN214352521U (zh) 一种显示屏过压报警装置
KR101397143B1 (ko) 너트 자동용접기의 하부전극장치
KR101347862B1 (ko) 프레스 소재 흡/탈착 장치의 탈/부착 구조
CN210059688U (zh) 一种液晶电视机背板铆钉压合前序装载转运装置
CN210232662U (zh) 一种镜片磨边机夹持装置
CN211108913U (zh) 一种永磁吸盘吸附式托架
CN206598756U (zh) 一种车用水杯座
KR20110077638A (ko) 공기분사수단이 구비된 프레스 소재 흡착장치
CN217577338U (zh) 吸附组件
CN210550906U (zh) 一种螺钉取放装置
CN211227602U (zh) 一种预成型针刺装置
CN211869301U (zh) 一种线束固定装置
CN220165174U (zh) 一种吸盘缓冲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