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557B1 -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557B1
KR102099557B1 KR1020180101722A KR20180101722A KR102099557B1 KR 102099557 B1 KR102099557 B1 KR 102099557B1 KR 1020180101722 A KR1020180101722 A KR 1020180101722A KR 20180101722 A KR20180101722 A KR 20180101722A KR 102099557 B1 KR102099557 B1 KR 10209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sheet
hydrogel
body member
fixing pla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007A (ko
Inventor
송재호
한석영
Original Assignee
송재호
한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호, 한석영 filed Critical 송재호
Priority to KR102018010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5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4Details of grippers; Actuating-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3Details of suck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공 압력이 가해지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입구멍이 형성된 몸체부재; 연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노즐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입노즐부재; 진공에 의해 흡착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노즐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터짐방지부재;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가 흡착되도록 상기 터짐방지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흡착판부재;를 마련하여 픽업장치의 내부에 터짐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진공 압력에 의해 흡착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시킬 수 있고,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의 상승 높이를 제한시킴에 따라 하이드로겔 시트의 터짐이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 시트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하이드로겔 시트를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하이드로겔 시트의 이송에 따른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하이드로겔 시트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Pick-up Device for Hydrogel Shee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고체 상태로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시트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안전하게 흡착시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 마스크 팩은 부직포 소재의 베이스 시트에 화장수를 첨가하거나 각종 기능성 성분들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간단한 방법으로 피부보습, 피부진정 등을 가능하게 하는 마스크 팩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부직포 소재의 베이스 시트를 화장수 등의 첨가제에 적셔서 지속적인 화장수의 흡수를 유도한 제형의 경우에는 사용 후 10분 내지 15분이 경과하면 수분이 모두 증발되어 말라 버려서, 화장수에 포함된 미용성분들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킬 수 없고, 건조해진 시트가 피부에 침투된 수분성분을 다시 흡수하여 미용효과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제형의 경우에는 화장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글리세린 등의 증점 보습제를 상당량 첨가해야 하는데, 이는 보습 효과를 주기는 하지만 과량 사용 시 피부로부터 오히려 수분을 빼앗아 피부 호흡을 저해하며 피부를 더 거칠게 하는 단점을 가진다.
최근에는 종래의 부직포 소재의 마스크팩 시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분 유지력이 향상된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마스크 팩이 제안되어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정제수를 분산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면서도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나타내므로, 상처 드레싱, 콘텍트 렌즈, 약제, 화장품, 보형물, 폐수 처리제 등을 포함하는 여러 의약, 미용, 환경 산업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하이드로겔에 함유 성분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방출특성(Controlled Release)이나 pH, 온도, 전기장 및 빛 등의 자극에 의해 팽창하거나 오그라드는 감응성의 특성을 부여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하이드로겔은 인체의 세포 기질과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어 불활성이면서 탄성이 우수하고 산소 및 영양분 투과율이 뛰어나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나타내므로 의약 및 미용 산업에서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미용 분야의 경우 하이드로겔의 탄성, 피부 밀착성, 수분 보유력 및 부드러운 촉감을 이용하여 사용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조절을 통한 여러 보습 및 영양 공급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이드로겔은 필요한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인체 활성성분 예를 들어 보습, 탄력, 주름, 기미, 주근깨, 아토피피부 등 다양한 미용 효과 및 피부트러블 개선에 필요한 활성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화장품의 마스크팩, 부분팩, 미용팩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시중에 시판 중인 하이드로겔 시트(Sheet)의 두께는 대체로 0.7~0.8mm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통상적으로 0.5~1.0mm이내의 두께로 제조되어 시판 중에 있다.
이처럼 하이드로겔 시트의 두께가 얇은 이유는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부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두께가 1.0mm 이상인 하이드로겔로 된 시트를 얼굴에 부착할 경우 이들 하이드로겔의 낮은 부착력으로 인해서 얼굴에서 제품이 미끄러져 떨어지므로 원하는 시간 동안 제품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판 중인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얼굴에 적용 할 경우 낮은 부착력으로 인해서 두께가 1.0mm 이하로 제조되고 있다.
한편 하이드로겔 시트는 커팅기에 의해 설정된 형태로 커팅 성형되어 피부에 부착되는 미용패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미용재료의 하이드로겔이 도포된 겔시트를 상기 커팅기로 공급하는 미용패치용 겔시트 제조 자동화 장치에 의해 성형된다.
상기 하이드로겔이 분사되며 분사된 상기 하이드로겔을 고형화시키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겔시트를 형성하는 고형화유닛과 상기 고형화유닛에서 고형화된 겔시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이송된 겔시트를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재단유닛, 상기 재단유닛에서 재단된 겔시트를 적재트레이에 복수층으로 적층하는 적층유닛,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고형화유닛, 상기 이송유닛, 상기 재단유닛 및 상기 적층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고형화유닛, 상기 이송유닛, 상기 재단유닛 및 상기 적층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적재트레이를 탑재한 상태로 상기 재단된 갤시트의 길이에 대응하는 행정거리로 상기 적재트레이를 왕복 운동시키면서 겔시트가 설정된 수량으로 적재됨에 따라 상기 적재트레이를 상기 커팅기로 이송시키는 적재 컨베이어와 상기 적재 컨베이어의 출구 부분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트레이가 놓여지며, 상기 적재트레이를 상기 적재 컨베이어로 인계하는 대기 컨베이어와 상기 적재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대기 컨베이어와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재 컨베이어에서 적재가 완료된 상기 적재트레이를 인계받는 운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도 1은 하이드로겔 제조장치에는 재단유닛에 의해 재단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진공 흡착하는 흡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흡착부재에 의해 흡착된 하이드로겔 시트가 파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재는 하이드로겔 시트를 흡착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로 전환되면서 하이드로겔 시트를 흡착하게 되고, 이때 진공 압력에 따라 하이드로겔 시트는 도 2에서와 같이, 흡착부재의 내측으로 빨려들어가면서 진공 압력에 의해 하이드로겔 시트의 최정점에서 하이드로겔 시트가 터지거나 찢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이드로겔 시트가 터지거나 찢어지게 됨에 따라 하이드로겔 시트의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하이드로겔 시트의 이송 작업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적층형 하이드로겔 자동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적층형 하이드로겔 자동제조장치는 하이드로겔 제형이 컨베이어 상에 도포된 후 겔시트로 건조 냉각되는 겔시트제조유닛, 상기 겔시트제조유닛에 의해 제조된 겔시트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유닛, 상기 커팅유닛에 의해 절단된 겔시트를 단계적으로 간격을 이격시켜 가면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30)에 의해 이송되는 겔시트를 일정 거리만큼 정역회전을 반복하는 적층컨베이어 상에 적층시켜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적층유닛 및 상기 적층유닛에 의해 적층된 하이드로겔을 워크테이블로 이송하는 전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층유닛은 지면에 설치되고 양측 상단가장자리에 암나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하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봉이 구비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상부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일정 거리를 왕복 이동되는 적층컨베이어,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상부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며 양단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의 외주면에 맞물려지는 전동부가 구비되는 회전구동봉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901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156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이드로겔 시트의 이송 중에 하이드로겔 시트의 파손이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에 의해 흡착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흡착 높이를 제한시켜 하이드로겔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소정 높이까지 흡착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는 진공 압력이 가해지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입구멍이 형성된 몸체부재; 연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노즐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입노즐부재; 진공에 의해 흡착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노즐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터짐방지부재;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가 흡착되도록 상기 터짐방지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흡착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짐방지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직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짐방지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재가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에 제2 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의 각 가장자리에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구멍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에 의하면, 픽업장치의 내부에 터짐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진공 압력에 의해 흡착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시킬 수 있고,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의 상승 높이를 제한시킴에 따라 하이드로겔 시트의 터짐이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 시트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하이드로겔 시트를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하이드로겔 시트의 이송에 따른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하이드로겔 시트의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종래의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에 의해 하이드로겔 시트가 파손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에 하이드로겔 시트가 진공 흡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는 진공 압력이 가해지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입구멍(11)이 형성된 몸체부재(10), 연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노즐부재(20),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입노즐부재(30), 진공에 의해 흡착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노즐부재(30)의 외측에 설치되는 터짐방지부재(40),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가 흡착되도록 상기 터짐방지부재(40)의 외측에 설치되는 흡착판부재(50)를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는 반고체 상태로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안정되게 흡착하여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는 진공 압력이 가해지도록 마련되는 몸체부재(10),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노즐부재(20),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흡입노즐부재(30), 상기 흡입노즐부재(30)의 외측에 결합되는 터짐방지부재(40) 및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에 밀착되는 흡착판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재(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재(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재(10)는 진공장치(미도시)에 의한 진공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흡입구멍(1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는 진공장치와 연결되도록 연결노즐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노즐부재(20)는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노즐부재(20)의 상단에는 압착홈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압착홈부(21)에는 연결호스(미도시)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홈부(21)에는 진공장치에서 발생된 진공압력이 가해지도록 연결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호스는 진공장치와 연결노즐부재(20) 사이에 서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는 흡입노즐부재(30)가 몸체부재(10)의 흡입구멍(11)에 결합된다. 상기 흡입노즐부재(30)는 몸체부재(10)의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노즐부재(30)는 중공의 본체(31)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노즐부재(3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부본체(31)와 하부본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본체(31)에는 몸체부재(10)의 진공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흡입구멍(3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33)의 내측에는 공간부(34)가 형성된다.
아울러 흡입노즐부재(30)의 외면에는 터짐방지부재(40)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노즐부재(30)의 외면에는 하이드로겔 시트가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도록 하이드로겔 시트의 흡입 시 적정 높이로 흡입되도록 하는 터짐방지부재(40)가 설치된다.
이러한 터짐방지부재(40)는 흡입노즐부재(30)의 외면 및 저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몸제부재(10)의 진공 압력에 의해 하이드로겔 시트가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터짐방지부재(40)는 상기 몸체부재의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터짐방지부재(40)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져 흡입노즐부재(30)의 저면 및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직물로 이루어진 터짐방지부재(40)는 직물의 위사와 경사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진공 압력이 하이드로겔 시트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터짐방지부재(40)는 상기 몸체부재(10)의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터짐방지부재(4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합성수지 재질에는 하이드로겔 시트에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터짐방지부재(40)의 외면에는 흡착판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판부재(50)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6은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에서와 같이, 픽업장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6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60)는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플레이트(60)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크기에 따라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60)에는 다수의 픽업장치가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구멍(61)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구멍(61)은 픽업장치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장치의 몸체부재(10)에는 다수의 너트(12)가 체결되며, 상기 몸체부재(10)의 외면에는 너트(12)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는 연결호스가 연결되도록 연결노즐부재(2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는 흡입노즐부재(30)가 결합된다.
이들 연결노즐부재(20) 및 흡입노즐부재(30)는 몸체부재(10)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거나 진공 압력이 새지 않도록 몸체부재(10)에 강제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부재(30)의 외면에는 터짐방지부재(40)를 설치한다. 이러한 터짐방지부재(40)가 직물 재질인 경우, 상기 터짐방지부재(40)는 흡입노즐부재(30)보다 큰 크기로 절단되고, 이렇게 절단된 터짐방지부재(40)를 흡입노즐부재(30)의 외측으로 감싼 다음 상기 흡착판부재(50)를 끼워 터짐방지부재(40)를 안정되게 결합시킨다.
즉, 터짐방지부재(40)는 흡입노즐부재(30)의 저면 및 외면을 감싼 상태에서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흡착판부재(50)를 덧씌워 줌으로써, 상기 흡착판부재(50)에 의해 터짐방지부재(4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재(10)에 연결노즐부재(20), 흡입노즐부재(30), 터짐방지부재(40) 및 흡착판부재(50)가 결합된 픽업장치를 고정플레이트(60)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픽업장치의 몸체부재(10)에는 고정플레이트(60)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몸체부재(10)의 하부에 하나 또는 2개의 너트(12)를 체결하게 되고, 상기 몸체부재(10)를 고정구멍(61)에 끼우게 된다.
상기 고정구멍(61)에 끼워진 몸체부재(10)의 상부에는 하나 또는 2개의 너트(12)를 체결하게 되며,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너트(12)가 체결되어 고정플레이트(6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몸체부재(10)는 하부측의 너트(12)와 상부측의 너트(12)에 의해 고정플레이트(60)에 설치된다.
도 7은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를 도시한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고정플레이트(60)는 제1 고정플레이트(65)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의 가장자리에 크기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6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6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65),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에 제2 고정플레이트(66)가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67),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의 각 가장자리에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66),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66)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구멍(6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공(68)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65)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의 각 가장자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67)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66)에는 고정구멍(67)에 대응되는 장공(68)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66)의 장공(68)은 고정구멍(67)에 비하여 제2 고정플레이트(66)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66)는 제1 고정플레이트(65)의 각 변에 대응되게 4개로 이루어지는데, 길이 방향에 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66)는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장공(68)이 형성되고, 폭 방향에 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66)는 폭 방향과 직각으로 장공(68)이 형성된다.
아울러 장공(68)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픽업장치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에 하이드로겔 시트가 진공 흡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는 하이드로겔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시트를 재단유닛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게 되고, 재단된 하이드로겔 시트는 컨베이어(미도시)를 따라 이송된다.
이렇게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하이드로겔 시트는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된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이 적재유닛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는 픽업장치에 의해 흡착된다.
즉, 픽업장치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상면으로 이동되고, 상기 픽업장치의 하강과 함께 진공장치에 의해 픽업장치의 몸체부재(10)는 진공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60)는 컨베이어의 상면으로 하강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60)에 설치된 픽업장치는 진공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강된 픽업장치는 흡착판부재(50)가 하이드로겔 시트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진공상태인 몸체부재(10)에 의해 하이드로겔 시트가 흡착판부재(50)에 밀착된다.
상기 흡착판부재(50)에 흡착된 하이드로겔 시트는 진공장치의 진공 압력에 의해 흡착판부재(50)의 상면에 설치된 터짐방지부재(40)에 밀착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는 흡착판부재(50)의 내측으로 흡입되는데,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는 터짐방지부재(40)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의 상승이 터짐방지부재(40)에 의해 그 상승되는 높이가 제한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는 대략 '∩'자 형상으로 터짐방지부재(40)의 저면에 밀착됨에 따라 하이드로겔 시트가 터지거나 찢어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픽업장치에 흡착된 하이드로겔 시트는 픽업장치의 이동에 따라 적재유닛으로 안전하게 이송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몸체부재 11: 흡입구멍
12: 너트
20: 연결노즐부재 21: 압착홈부
30: 흡입노즐부재 31: 상부본체
32: 하부본체 33: 흡입구멍
34: 공간부 35: 돌기부
40: 터짐방지부재 50: 흡착판부재
60: 고정플레이트 61: 고정구멍
65: 제1 고정플레이트 66: 제2 고정플레이트
67: 고정구멍 68: 장공

Claims (5)

  1. 진공 압력이 가해지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입구멍(11)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너트(12)가 처겔되도록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재(10);
    연결호스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압착홈부(21)가 형성된 연결노즐부재(20);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상부본체(31)와 하부본체(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본체(31)에는 몸체부재(10)의 진공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흡입구멍(3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32)의 내측에는 공간부(34)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5)가 형성된 흡입노즐부재(30);
    진공에 의해 흡착되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며, 하이드로겔 시트의 흡입 시 적정 높이로 흡입되도록 상기 흡입노즐부재(30)의 외측에 설치되는 터짐방지부재(40);
    상기 하이드로겔 시트가 흡착되도록 상기 터짐방지부재(40)의 외측에 설치되는 흡착판부재(50);
    상기 몸체부재(10)가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61)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짐방지부재(40)는 상기 몸체부재(10)의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직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짐방지부재(40)는 상기 몸체부재(10)의 진공 압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65);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에 제2 고정플레이트(66)가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67);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의 각 가장자리에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66);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66)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6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구멍(67)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공(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KR1020180101722A 2018-08-29 2018-08-29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KR10209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22A KR102099557B1 (ko) 2018-08-29 2018-08-29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22A KR102099557B1 (ko) 2018-08-29 2018-08-29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07A KR20200025007A (ko) 2020-03-10
KR102099557B1 true KR102099557B1 (ko) 2020-05-15

Family

ID=6980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722A KR102099557B1 (ko) 2018-08-29 2018-08-29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5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33B1 (ko) * 2010-04-27 2012-04-09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JP2016533988A (ja) * 2014-04-14 2016-11-04 ヴイテ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パッド分離型吸着カ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471B2 (ja) * 1994-11-07 2000-06-05 高浜工業株式会社 窯業成形物用の吸着装置
KR101750114B1 (ko) 2015-07-30 2017-06-26 (주)뷰티화장품 겔시트 제조 자동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789011B1 (ko) 2017-05-17 2017-10-23 장광양 적층형 하이드로겔 자동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33B1 (ko) * 2010-04-27 2012-04-09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JP2016533988A (ja) * 2014-04-14 2016-11-04 ヴイテ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パッド分離型吸着カ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07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542B2 (en) Foam wound inserts with regions of higher and lower densities, wound dressings, and methods
EP3661448B1 (en) Systems for wound debridement
AU2019264671A1 (en) Foam structure wound inserts for directional granulation
JP5037753B2 (ja) 層状製品の製造方法
KR101706718B1 (ko) 엠보싱 필름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US9486553B2 (en) Method
WO2013108918A1 (ja)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WO20171277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an airway
KR101782470B1 (ko)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미용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960007519B1 (ko) 이탈층과 운반층을 구비하는 히드로겔 도포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9557B1 (ko) 하이드로겔 시트용 픽업장치
GB2375485A (en) A wound dressing
CN2462923Y (zh) 水凝胶美容护肤贴
KR100708763B1 (ko) 은이 코팅된 마스크 팩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마스크 팩
KR101789011B1 (ko) 적층형 하이드로겔 자동제조장치
KR102099558B1 (ko) 하이드로겔 적재트레이용 배출장치
KR101681920B1 (ko) 금박 적층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JP5264128B2 (ja) ゲル状組成物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331166A1 (en) Advanced Wound Dressing For Incisional Wounds That Provides Apposition Forces As A Result Of Fluid Absorption
CN114042012A (zh) 湿敷结构及包括该结构的输液面膜
CN113693951A (zh) 一种多层长效护肤面膜及其使用方法
KR101549964B1 (ko) 3d 엠보싱 화장솜의 제조 장치, 제조 방법
KR20170080072A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0371990Y1 (ko) 일체형 습포제
US20190358090A1 (en) Film applica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