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941A -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941A
KR20110118941A KR1020100038356A KR20100038356A KR20110118941A KR 20110118941 A KR20110118941 A KR 20110118941A KR 1020100038356 A KR1020100038356 A KR 1020100038356A KR 20100038356 A KR20100038356 A KR 20100038356A KR 20110118941 A KR20110118941 A KR 2011011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tting
setting
user
screen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영
박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8941A/ko
Priority to US13/034,294 priority patent/US20110261395A1/en
Priority to EP11162981A priority patent/EP2388696A1/en
Priority to CN2011101045519A priority patent/CN102238305A/zh
Publication of KR2011011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8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pdating job settings at the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9Backup restor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7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2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grouping or ganging j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백업 파일이 선택되면, 저장 매체로부터 선택된 백업 파일을 독출하는 독출 단계, 독출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화면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받는 선택 단계,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세팅을 좀 더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Setting apparatus for set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storing setting file and method for set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설정 항목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적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무 환경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가정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화상형성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란, 화상을 종이나, 각종 기록 매체 상에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이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은 사용자가 적절히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최근 보급되는 화상형성장치는 단순 프린팅이나 스캐닝 이외에, 잡 관리, 인증, 이메일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적절히 세팅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다.
한편, 사용자가 세팅에 이용한 값, 즉, 세팅 정보는 백업 파일 형태로 백업, 즉,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저장한 백업 파일을 추후에 복원하여, 해당 백업 파일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세팅할 수 있다.
하지만, 백업 파일을 복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백업 파일에서 어떠한 사용자 설정 항목들이 설정된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전에 설정하였던 항목을 그대로 모두 적용하지 않고 일부만 적용하여 세팅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세팅을 좀 더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백업 파일을 복원함에 있어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세팅 장치 및 세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백업 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항목 설정 및 복원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방법은,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백업 파일이 선택되면,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선택된 백업 파일을 독출하는 독출 단계, 상기 독출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화면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받는 선택 단계,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은,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분류하는 그룹들의 그룹 명 각각의 일 측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 각각의 일 측에는 선택을 위한 체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룹 명의 일 측에 표시된 체크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설정 항목 전체가 일괄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은,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과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전체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항목 각각의 일 측에는 선택을 위한 체크 영역이 표시되며, 상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체크 영역의 체크 상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팅 방법은, 상기 단계들 이외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세팅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UI 화면 상에서 사용자 설정 항목 각각에 대한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지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백업 파일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I 화면은 상기 각 사용자 설정 항목이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세팅 방법은,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 설정하는 제1 백업 모드 및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 백업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2 백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항목을 그 특성에 따라 그룹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백업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백업 파일은 파일 자체 또는 그룹 별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 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세팅을 위한 백업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은,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UI 화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각 그룹 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백업 파일 저장 방법은,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 설정하는 제1 백업 모드 및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 백업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I 화면은, 상기 제2 백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 중 적어도 일부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는 UI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은 디렉토리 또는 태그 단위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업 파일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 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백업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화면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면은,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분류하는 그룹들의 그룹 명 각각의 일 측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 각각의 일 측에는 선택을 위한 체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그룹 명의 일 측에 표시된 체크 영역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설정 항목 전체가 일괄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과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전체 항목을 표시하며, 상기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체 항목 각각의 일 측에는 선택을 위한 체크 영역이 표시되며, 상기 저장된 항목의 체크 영역의 체크 상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세팅 요청이 입력되면, 항목 별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UI 화면 상에서 각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입력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설정 값이 기록된 백업 파일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세팅 요청이 입력되면,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 설정하는 제1 백업 모드 및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 백업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제2 백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항목을 그 특성에 따라 그룹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화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체 항목 또는 상기 부분 항목이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 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세팅하기 위한 백업 파일을 보다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복원 및 저장하여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업 파일 저장 및 복원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7은 백업 파일을 복원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백업 파일을 백업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세팅 장치의 다양한 세부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업 파일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시스템은, 호스트 장치, 제1 및 제2 화상형성장치, 웹 서버 등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웹 서버는 하나의 독립적인 장치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에 내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시스템은 두 개의 화상형성장치 및 하나의 호스트 장치만을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 호스트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액세스하여 호스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기, 예를 들어, PC, 노트북 PC, PDA 기타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백업 파일이란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의 온/오프 여부, 적용 수준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 즉, 세팅 정보가 저장되는 파일을 의미한다. 다르게는, 세팅 파일 또는 컨피규레이션 파일(configuration file)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에 따르면,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를 이용하거나, 화상형성장치 그 자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세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단 호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세팅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기능 세팅은 전체 항목을 모두 표시한 후, 사용자가 하나씩 확인해가면서 직접 세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기 저장된 백업 파일을 복원하여, 복원된 내용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자동 세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백업 파일을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 설정되어 백업된 백업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를 선택하여 백업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백업 파일은 호스트 장치 자체에 내장된 메모리, 화상형성장치 자체에 내장된 메모리, 호스트 장치나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서버, 임베디드 서버 등)등으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백업 파일의 파일 명을 직접 입력하여 백업 파일을 선택하거나, 백업 파일의 리스트를 확인하여 그 중에서 백업 파일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복원할 백업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 저장된 백업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하면,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들에 대한 정보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화면 상에는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 중 백업 파일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 즉, 사용자가 기 설정해 둔 사용자 설정 항목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이 표시되되,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가능한 활성화 상태로 표시되고, 미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불가능한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확인하여, 복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설정 항목 중에서 일부 사용자 설정 항목만을 선택적으로 복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호스트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만을 복원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세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형성장치에 대응되는 셋업 파일 중 소스 파일에서,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응되는 소스를 독출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호스트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이 밖에, 로컬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와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도, 상술한 방식으로 백업 파일을 복원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 자체 또는 웹 서버 상에서 세팅이 시도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백업 파일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복원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세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도 2의 세팅 장치(100)는 시스템 내에서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장치, 웹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세팅 장치에 구비되어,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LCD, CRT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백업 파일을 이용한 복원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백업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이 경우, 백업 파일은 세팅 장치(100) 자체에 구비된 저장 매체, 세팅 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 저장 매체, 외부 기기(예를 들어, 타 호스트 장치나 타 화상형성장치 등)자체에 구비된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저장 매체 등으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130)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키 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화면 상에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직접 터치하여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방식 등으로 사용자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한다. 복원되는 사용자 설정 항목에 관련되는 설정 값들은 화상형성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등에 포함되는 데이터 파일로부터 독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복원할 백업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UI 화면(10) 상에는 백업 파일 명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20), 입력된 백업 파일 명에 대응되는 백업 파일을 로딩하도록 요청하는 메뉴(30), 복원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옵션 선택 영역(4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옵션 선택 영역(40)에는 백업 파일 내에 저장된 모든 사용자 설정 항목을 그대로 적용하여 복원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메뉴(41), 백업 파일 내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복원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메뉴(42)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메뉴의 기능에 따라, 제1 메뉴(41)는 전체 항목 복원 옵션으로 명명할 수도 있으며, 제2 메뉴(42)는 선택 항목 복원 옵션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제1 메뉴(41)가 선택되는 경우, 백업 파일 내에서 기 저장되어 있던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바로 복원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백업 파일 내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메뉴(41)가 선택되면, UI 화면(10)은 도 4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는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적용하여 세팅하기 위한 UI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따르면, 제1 메뉴(41)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즉, System, Eco, Printer, Copy, System Administrator, IP Sec, Authentication method)과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Fax, Scan to XXX, Network setting, Feature management, Digital certificate, Network filtering, Authentication server, Accounting method, Programs)이 같이 표시된다. 이 중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활성화 상태로 표시되고, 나머지 사용자 설정 항목은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된다.
또한, 각 사용자 설정 항목들은 그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 항목들은 트리 구조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그룹 분류는 화상형성장치나 드라이버 프로그램의 제작자에서 직접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백업 파일 생성하는 과정에서 그룹 분류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에 따르면, 그룹은 Machine settings, Network setting, System security, Network security, User Access Control, Programs 등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항목들 중 System, Eco, Printer, Copy, FAX, Scan to XXX 등은 화상형성장치 자체 기능에 관련된 것으로 Machine settings 그룹에 포함되고, System Administrator, Feature management 등은 시스템의 보안 유지와 관련된 것으로 System security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의 사용자 설정 항목도 각각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그룹 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그룹의 그룹 명의 일측 또는 각 사용자 설정 항목의 일 측에는 체크 영역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체크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크 상태 또는 미체크 상태로 교번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체크 영역 등을 직접 터치하거나, 커서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체크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메뉴(41)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 전체가 체크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메뉴(41)는 사용자가 기 저장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한 메뉴이므로, 체크 영역을 굳이 표시하지 않거나, 체크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해서도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메뉴(42)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 및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모두 포함하는 화면(5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화면 상에서도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 만이 선택 가능한 활성화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50) 상에서 자신이 복원하고자 하는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하여, 선택적인 복원 및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도 체크 영역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화면(50) 상에서,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의 각 체크 영역의 초기 체크 상태는 실시 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전부 체크된 상태로 표시되거나, 또는, 체크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전부 체크된 상태로 표시된 경우, 화면(50)은 도 4와 동일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복원하지 않고자 하는 항목의 체크 상태를 삭제할 수 있다. 반대로, 전부 체크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된 경우라면, 사용자는 자신이 복원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체크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각 그룹의 그룹 명에 제공된 체크 영역을 선택하여 체크하거나 또는 삭제하는 경우, 해당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적으로 체크 상태로 변경하거나, 미 체크 상태로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그룹을 일괄적으로 복원 또는 취소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룹 분류는 디렉토리 별로 이루어지거나, 태그 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UI 화면(50)을 통해 사용자 설정 항목을 확인하거나 설정을 수행한 후, 복원을 위한 메뉴(51)를 선택하여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6은 도 4 또는 도 5에서 복원 메뉴(51)가 선택된 상태의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화면(60) 상에는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이를 확인받거나 취소하기 위한 메뉴들(OK, Cancel)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복원하고자 했던 사용자 설정 항목이 적절히 선택된 상태로 판단되면, OK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복원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메시지는 복원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세팅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백업 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최초 설정된 후, 저장, 즉, 백업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 이하에서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따르면, 사용자가 백업 파일 생성을 위한 메뉴 또는 세팅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따르면, 백업 파일의 파일 명을 입력하는 입력 영역(81), 백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뉴(82), 백업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영역(83)이 표시된다. 선택 영역(83) 내에는 다양한 백업 옵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선택 영역(83)에는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 설정하는 제1 백업 모드로 지정하는 제1 메뉴(84)와,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 백업 모드로 지정하는 제2 메뉴(85)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메뉴(84)가 선택될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세팅할 수 있는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들이 일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메뉴(85)가 선택될 경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들 중 사용자가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이 제공된다.
도 9는 제2 메뉴(85)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따른 UI 화면(90)은 그룹 별로 분류된 각종 사용자 설정 항목들이 표시되고, 각 사용자 설정 항목의 일 측 및 그룹 명의 일 측에는 각각 선택 영역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룹 분류는 디렉토리 기준 또는 태그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 기준인 경우라면, 화면 상에는 디렉토리 별로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 파일들을 표시한다. 태그 기준인 경우라면, XML 등을 이용하여 그룹을 태그로 분류한다. 한편, 각 그룹은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분되어, 상위 그룹 및 하위 그룹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 9와 같은 화면(90)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세팅하고자 하는 사용자 설정 항목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 명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 내의 세부 사용자 설정 항목들이 일괄적으로 선택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9와 화면(90)의 최초 선택 상태는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들이 모두 선택되어 있거나, 모두 미선택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 또는 백업하고자 하는 항목들을 전부 선택한 후, "Backup"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백업 파일이 생성되어,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도 10과 같이 백업 완료 메시지(95)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백업 파일 저장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호스트 장치나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서 세팅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오퍼레이션 패널을 통해서 사용자 설정 백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상에는 도 8 및 도 9와 같은 UI 화면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백업 파일 생성이 이루어진다. 생성된 백업 파일은 화상형성장치 자체에 내장된 메모리, 연결되는 메모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에서 세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의 로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또는 외부에 마련된 서버에 백업 파일을 저장하거나, 화상형성장치 자체에 내장된 메모리에 백업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외부 기기에 백업 파일을 저장하는 경우, 백업 파일을 생성한 장치에서는 생성된 백업 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기 설정된 통신 규약에 따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내장된 웹 서버 또는 별도로 마련된 웹 서버에 접근하여, 세팅 및 백업 파일 저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과 같이, 저장 매체는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기타 장치들에 내장 또는 외장 연결된 메모리 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백업 파일은 그 파일 자체로 압축되거나, 그룹 별로 압축되어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업 파일에 대한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백업 파일의 생성 및 저장은 도 2에 도시된 세팅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세팅 장치(100)와 별개의 장치에서 항목 별 특성에 따라 그룹을 분류한 후, 해당 그룹 내에 사용자 설정 항목들을 배치하는 구조로 세팅 화면을 표시하고, 그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들을 백업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세팅 장치(100)는 백업 파일을 전송받아 복원시킬 수 있다.
도 11은 세팅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세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압축부(150), UI 생성부(160),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O/S(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드라이버 프로그램 등과 같은 각종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세팅 명령, 백업 파일 저장 명령, 백업 파일 복원 명령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세팅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팅 명령이나 백업 파일 저장 명령 등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UI 생성부(160)를 제어하여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세팅 또는 저장하고자 하는 항목들을 선택 완료하면, 제어부(120)는 선택된 항목들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거나, 세팅과는 별도로 백업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압축부(150)를 제어하여, 백업 파일을 파일 그 자체 또는 그룹별로 압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압축부(150)와 같은 구성은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백업 파일 복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백업 파일을 독출하여,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UI 생성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이 경우, 백업 파일은 반드시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수신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설정하면, 제어부(120)는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복원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즉, 인터페이스부(170)는 로컬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제어부(120)에 의해 복원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 및 그 항목들을 세팅하도록 하는 세팅 코맨드를 화상형성장치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 자체가 세팅 장치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한 세팅 코맨드 전송은 수행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도 11은 세팅 장치(100)가 백업 파일 저장 및 복원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두 가지 동작이 반드시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1의 세팅 장치(100)는 백업 파일 생성 및 저장을 위한 용도로만 구현되거나, 백업 파일 복원을 위한 용도로만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실시 예에 따라 전부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다. 특히, 도 11의 세팅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로 구현된 경우에는, 프린팅 유닛, 스캐닝 유닛 등과 같은 엔진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는, 기 생성된 백업 파일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 생성된 백업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S1210). 이 경우, 백업 파일 명을 직접 입력하거나, 백업 파일 리스트 상에서 백업 파일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백업 파일 리스트에서는 각 백업 파일을 아이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는 도 3과 같은 UI 화면을 이용하여 백업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백업 파일을 복원하는 옵션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그대로 반영하여 복원시키거나,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백업 파일이 선택되면, 저장 매체로부터 선택된 백업 파일을 독출한다(S1220). 저장 매체는 본 세팅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자체에 내장되거나, 연결된 메모리가 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장치에 내장 또는 외장 연결된 메모리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독출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1230).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선택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 설정 항목은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백업 파일의 복원 여부를 재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복원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세팅한다(S1240).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백업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더하여, 사용자 설정 항목을 임의로 선택하여, 선택적으로 복원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업 파일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세팅을 위한 메뉴, 즉, 세팅 명령이나 백업 파일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S1310), 세팅을 위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1320). 구체적으로는 도 8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적 설정을 위한 백업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전체 설정을 위한 백업 모드를 선택하면(S1330 : N),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그대로 포함하는 백업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1340).
반면, 선택적 설정을 위한 백업 모드가 선택되면(S1330 : Y), 그룹 별로 분류된 사용자 설정 항목들을 표시한다(S1350). 사용자 설정 항목은 도 9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 항목을 선택 완료하면(S1360),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백업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137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여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설정 항목은 그룹 별로 분류되어 설정된 후 백업될 수 있으며, 추후 복원 시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세팅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세팅과 관련하여 백업 파일을 저장하고, 이를 복원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백업 파일의 저장 및 복원과 이를 이용한 세팅 작업은 반드시 화상형성장치 만을 대상으로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화상형성장치 이외의 다양한 주변 장치 또는 가전 제품 등의 기능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구성을 이용하여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제어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압축부 160 : UI 생성부
170 :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방법에 있어서,
    복원하고자 하는 백업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백업 파일을 저장 매체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화면 상의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 중에서 복원하고자 하는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만을 복원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단계;를 포함하는 세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원 옵션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팅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원 옵션이 전체 항목 복원 옵션이면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그대로 복원하고, 상기 선택된 복원 옵션이 선택 항목 복원 옵션이면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분류하는 그룹들의 그룹 명 각각의 일 측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 각각의 일 측에는 선택을 위한 체크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체크 영역의 체크 상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과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전체 항목을 표시하며,
    상기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세팅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UI 화면 상에서 사용자 설정 항목 각각에 대한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지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백업 파일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UI 화면은 상기 각 사용자 설정 항목이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 설정하는 제1 백업 모드 및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 백업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2 백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항목을 그 특성에 따라 그룹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백업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트리 구조로 분류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파일은 파일 자체 또는 그룹 별로 압축되어 저장되며,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 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방법.
  9. 화상형성장치의 세팅을 위한 백업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에 있어서,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UI 화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각 그룹 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 설정하는 제1 백업 모드 및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 백업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UI 화면은,
    상기 제2 백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 중 적어도 일부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값을 입력할 수 있는 UI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은 디렉토리 또는 태그 단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파일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 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파일 저장 방법.
  13.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에 있어서,
    복원하고자 하는 백업 파일을 선택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백업 파일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화면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체 항목 복원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그대로 복원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항목 복원 옵션이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선택적으로 복원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분류하는 그룹들의 그룹 명 각각의 일 측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 각각의 일 측에는 선택을 위한 체크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체크 영역의 체크 상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과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전체 항목을 표시하며,
    상기 미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 항목은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세팅 요청이 입력되면, 항목 별 특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UI 화면 상에서 각 항목에 대한 사용자 설정이 입력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설정 항목이 기록된 백업 파일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세팅 요청이 입력되면,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일괄 설정하는 제1 백업 모드 및 상기 전체 사용자 설정 항목을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2 백업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 화면 상에서 상기 제2 백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체 사용자 항목을 그 특성에 따라 그룹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 설정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체 항목 또는 상기 부분 항목이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트리 구조로 표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 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팅 장치.
KR1020100038356A 2010-04-26 2010-04-26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 KR20110118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356A KR20110118941A (ko) 2010-04-26 2010-04-26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
US13/034,294 US20110261395A1 (en) 2010-04-26 2011-02-24 Setting apparatus for setting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storing backup file and setting method thereof
EP11162981A EP2388696A1 (en) 2010-04-26 2011-04-19 Setup apparatus to set up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storing backup file and setup method thereof
CN2011101045519A CN102238305A (zh) 2010-04-26 2011-04-26 设置装置、存储备份文件的方法及设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356A KR20110118941A (ko) 2010-04-26 2010-04-26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941A true KR20110118941A (ko) 2011-11-02

Family

ID=4411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356A KR20110118941A (ko) 2010-04-26 2010-04-26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61395A1 (ko)
EP (1) EP2388696A1 (ko)
KR (1) KR20110118941A (ko)
CN (1) CN1022383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2489A (zh) * 2020-03-31 2020-08-18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用户态文件系统热升级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2402B2 (en) 2011-12-19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forming operations on deleted items using deleted property information
US9536227B2 (en) 2011-12-19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toring deleted items with context
CN103336653B (zh) * 2013-07-23 2016-12-2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便捷式恢复操作方法及终端设备
JP6197450B2 (ja) * 2013-07-31 2017-09-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633051B1 (en) 2013-09-20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Backup of partitioned database tables
US9632878B1 (en) * 2013-09-20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Verification of database table partitions during backup
JP6631107B2 (ja) * 2015-09-14 2020-01-15 株式会社リコー 印刷システム、その印刷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07307A (ja) * 2015-12-08 2017-06-15 株式会社リコー 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791551A (zh) * 2016-02-25 2016-07-2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设置移动终端上设置项的方法及移动终端
JP6673151B2 (ja) * 2016-11-09 2020-03-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80080519A (ko) 2017-01-04 2018-07-1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을 백업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05739B2 (en) 2018-09-05 2021-05-11 Richard K. Ste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esenting network data
CN111767166A (zh) * 2019-04-01 2020-10-13 广州精选速购网络科技有限公司 数据备份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9237B2 (ja) * 1990-10-10 1999-10-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制御装置のバックアップ方式
US20040201613A1 (en) * 2001-08-27 2004-10-14 Simpson Shell S. Methods and systems for arranging content for printing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JP4551784B2 (ja) * 2005-02-10 2010-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スタムプリンタドライバインストーラ
US20070092282A1 (en) * 2005-10-26 2007-04-26 Hideya Takenoshita Image forming device
US7519784B2 (en) * 2006-03-31 2009-04-14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space in memory
US7676689B1 (en) * 2006-06-30 2010-03-09 Emc Corporation Browsing and selecting items in recovery storage groups to perform recovery onto production server
CN101106769A (zh) * 2006-07-14 2008-01-16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移动设备上进行信息快速备份/还原的装置及方法
US8311988B2 (en) * 2006-08-04 2012-11-13 Apple Inc. Consistent back up of electronic information
JP4799342B2 (ja) * 2006-09-25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印刷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5064092B2 (ja) * 2007-04-13 2012-10-31 株式会社Pfu 画像情報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スキャナ装置、および、画像情報管理方法
US8468136B2 (en) * 2007-06-08 2013-06-18 Apple Inc. Efficient data backup
US9720782B2 (en) * 2008-12-08 2017-08-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ing a backup image with bifurcated stor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2489A (zh) * 2020-03-31 2020-08-18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用户态文件系统热升级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111552489B (zh) * 2020-03-31 2022-04-26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用户态文件系统热升级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1395A1 (en) 2011-10-27
CN102238305A (zh) 2011-11-09
EP2388696A1 (en)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8941A (ko) 화상형성장치를 세팅하는 세팅 장치와, 그 백업 파일 저장 방법 및 세팅 방법
JP5278047B2 (ja) 情報処理装置とプログラムと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40223325A1 (en) Dynamic user interface for device management system
JP2012064220A (ja) ホスト装置及びホスト装置の画面キャプチャー制御方法
JP2010231406A (ja) 情報配信装置、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配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1294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interface customization
JP2012244602A (ja) アカウント管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524164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110113076A1 (en) Method of managing fi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06196951A (ja) 事務機器の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事務機器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事務機器のセキュリティ管理プログラム
US92865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8015498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2199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40765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編集プログラム、及び編集システム
JP6736982B2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ー及びプログラム
JP4556965B2 (ja) 文書管理装置
US104255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implementing one or more user customized MFP interfaces
JP649783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US9578197B2 (en) Method of managing programs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901324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JP7282626B2 (ja) 多機能周辺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181256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49872A (ko) 통합주소록을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제공 방법
JP2011076554A (ja) 画像処理装置、同装置における表示画面の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カスタマイズプログラム
JP201901078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