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589A -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589A
KR20110118589A KR1020110037995A KR20110037995A KR20110118589A KR 20110118589 A KR20110118589 A KR 20110118589A KR 1020110037995 A KR1020110037995 A KR 1020110037995A KR 20110037995 A KR20110037995 A KR 20110037995A KR 20110118589 A KR20110118589 A KR 20110118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matitis
extract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718B1 (ko
Inventor
정지훈
손원록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1011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은 집진드기 항원을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아토피 동물 모델 NC/Nga 마우스에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현저하게 개선하였고, 혈청내 IgE 항체 농도를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ALN)에서 측정되는 IFN-γ, IL-4, IL-10의 Th1 및 Th2 사이토카인의 양을 모두 감소시켰다. 또한, 진드기 추출물 및 DNFB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고, 뛰어난 피부 보습 효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은 피부보습용, 또는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품 및 화장품 등으로 개발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or Treating Dermatitis or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 from Phragmitis Rhizoma}
본 발명은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라는 용어는 어원상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이란 의미를 갖는 용어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대부분 유아기나 소아 때 발생하여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비교적 흔한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아토피의 개인 또는 가족력, 심한 가려움증 및 습진의 3가지 특징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감염, 정신적인 스트레스, 계절과 기후변화, 자극 및 알레르기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및 관리를 위해, 대부분의 피부과 진료 시 피부 표면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보습제와 함께 염증반응을 호전시키기 위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즉, 국소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동시에 처방하는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국소 부신피질호르몬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위축, 혈관 확장, 색소 탈실 및 팽창 선조의 발생 등 다양한 피부 부작용을 야기 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항염증 효능을 보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원료나 제약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알러지(allergy) 반응은 면역계의 이상에서 비롯되며, 원인이 되는 알러젠(allergen)에 대한 면역 반응은 Th2 반응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러젠에 의해 활성화된 Th2 림프구는 IL-4, IL-5, IL-13을 생산하고 이들 사이토카인(cytokine)은 호산성백혈구(eosinophil), 호염기구(basophil), 비만세포(mast cell)과 같은 과립 세포를 염증 부위로 모이게 한다. 염증 부위에 모인 과립 세포들은 단독 또는 IgE에 의해 활성화되어 염증성 과립을 다량 방출함으로 알러지 또는 아토피(atopy)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Th2 림프구에서 생산된 IL-4와 IL-13은 B 림프구의 항체 생성을 증가시키며, 특히 IgE로의 이소타입 스위칭(isotype switching)을 유도하므로 IgE 생성이 증가하여 과립 세포들을 크게 활성화시키게 된다 (도 1 참조).
Th1과 Th2 림프구에서 각각 생산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은 상대편의 분화를 억제한다. 즉, Th2 림프구의 분화 및 증식은 Th1 사이토카인에 의하여 억제되는데, 특히 Th1 반응을 촉진하는 IFN-γ는 Th2 사이토카인인 IL-4의 발현을 억제하여 B 림프구에서 항체 생산 및 IgE로의 이소타입 스위칭(isotype switching)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Th1과 Th2 균형 조절을 통하여 알러지 및 아토피 반응을 경감시키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노근은 키가 큰 갈대(Phragmitis communis Trin.)의 근경(根莖)을 말한다. 말린 노근은 납작하고 원기둥 모양으로 표면에 광택이 있고 황백색이며 마디부분은 비교적 단단하고 또렷한 황홍색이며 마디 사이에 세로주름이 있고, 늦은 봄이나 초여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진흙과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피막(皮膜)을 벗겨서 신선할 때 쓰거나 볕에 말려 사용한다. 노근의 약효로는 열을 내리고 진액을 생기게 하여 구역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고, 열병에 의한 구토, 식도암, 폐농양을 치료하고 복어독을 해독하는데 사용되어왔다. 그리고, 자외선 차단작용을 하고,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두발을 검고 윤기 있게 하며 미백 크림으로 사용하면 피부에 미백작용 및 영양을 공급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노근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우선 추출물 대상으로는 혈청내 포도당, 인슐린 및 지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되었고, streptozotocin 투여에 의한 랑게르한스선 A 세포내 글루카곤 과립들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작용과 B세포내 인슐린 탈과립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Phragmitis communis의 근경 메탄올 추출물이 혈중 콜레스테롤과 포도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도 보고되어 있다. Phragmitis communis의 근경 메탄올 추출물이 고중성지질혈증과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당뇨병성 고지혈증 흰쥐에 대하여 중성지방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β-sitosterol과 ρ-coumaric acid가 혈중 지방 농도개선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로부터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노근(Phragmitis Rhizoma)의 추출물이 아토피 동물 모델을 사용한 육안, 조직학 및 면역학적 실험에서 피부염과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현저히 개선하고 치료하는 효능과, 뛰어난 피부 보습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근(Phragmitis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로부터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노근(Phragmitis Rhizoma)의 추출물이 아토피 동물 모델을 사용한 육안, 조직학 및 면역학적 실험에서 피부염과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현저히 개선하고 치료하는 효능과 피부 보습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근 추출물은 집진드기 항원을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아토피 동물 모델 NC/Nga 마우스에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현저하게 개선하였고, 혈청내 IgE 항체 농도를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ALN)로부터 분리한 면역세포에서 집진드기 항원에 의해 유도되는 IFN-γ, IL-4, IL-10의 Th1 및 Th2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감소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노근추출물은 진드기 추출물 및 DNFB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고, 뛰어난 피부 보습 효능을 가졌다.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노근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용매로는 통상적인 추출공정에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노근 추출물은 노근의 수추출물이다. 본 발명에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가장 뛰어난 치료 효능을 갖는 추출물은 노근의 수추출물이다. 상기 노근의 물에 의한 추출은 열을 가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노근의 열수추출물이다. 물에 의한 추출시 가열되는 물의 온도는 특정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90-100℃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노근의 열수 추출물은 수용성 당류(sugar)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다당체 (polysaccharide)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노근 추출물의 함유량은 피부 보습,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 0.1 -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15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포도씨유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은 포도씨유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보습 효능,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능이 상승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 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적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조성물의 투여는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외용 제형을 갖는다. 피부외용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또는 에어로졸 제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용 화장품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은 집진드기 항원을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아토피 동물 모델 NC/Nga 마우스에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현저하게 개선하였고, 혈청내 IgE 항체 농도를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ALN)에서 측정되는 IFN-γ, IL-4, IL-10의 Th1 및 Th2 사이토카인의 양을 모두 감소시켰다. 또한, 진드기 추출물 및 DNFB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고, 뛰어난 피부 보습 효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품 및 화장품 등으로 개발될 수 있다.
도 1은 아토피 질환 발생의 세포 및 분자적 기전을 보여준다.
도 2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모델의 구축 및 실험 물질의 적용 일정을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은 아토피 피부염 질환 유발 NC/Nga 마우스의 피부염 증상 점수를 보여준다.
도 4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유발 28일 후에 NC/Nga 마우스의 피부 긁음(scratch) 횟수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 유발 28일 후에 촬영한 NC/Nga 마우스 피부의 사진이다.
도 6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 피부에서 표피의 두께와 염증 세포 침투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패널 A는 아토피 피부염 비유도(non-induction) 대조군, 패널 B는 아토피 피부염 유도 대조군, 패널 C는 아토피 피부염 유도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이다.
도 7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NC/Nga 마우스 피부에서 비만세포(mast cell)의 세포수이다. 패널 A는 아토피 피부염의 유도 대조군이고, 패널 B는 아토피 피부염 유도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이다.
도 8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NC/Nga 마우스 피부에서 신경 섬유의 개수를 보여준다. 패널 A는 아토피 피부염 비유도(non-induction) 대조군, 패널 B는 아토피 피부염 유도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이다.
도 9는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NC/Nga 마우스 혈청에서 IgE 항체의 농도 변화를 보여준다. "C"는 아토피 피부염의 유도 대조군이고, "N"은 아토피 피부염 유도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이다.
도 10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NC/Nga 마우스에서 추출한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ALN)의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다. 왼쪽 사진은 아토피 피부염 비유도(non-induction) 대조군 사진이며, 가운데 사진은 아토피 피부염 유도군 사진이고, 오른쪽 사진은 아토피 피부염 유발시킨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의 사진이다.
도 11은 Dfb로 자극하여 배양한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ALN) 세포와 비장세포에서의 IFN-γ의 생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C"는 아토피 피부염의 유도 대조군이고, "N"은 아토피 피부염 유도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이다.
도 12는 Dfb로 자극하여 배양한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세포와 비장세포에서의 IL-10의 생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C"는 아토피 피부염의 유도 대조군이고, "N"은 아토피 피부염 유도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이다.
도 13은 Dfb로 자극하여 배양한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세포와 비장세포에서의 IL-4의 생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C"는 아토피 피부염의 유도 대조군이고, "N"은 아토피 피부염 유도 마우스에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이다.
도 14는 NC/Nga 마우스에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을 도포하여 피부염을 유발하고, 양성 대조군 약물로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을 5mg/kg 체중의 용량으로, 실험군으로서 노근 추출물(Nk)을 250 mg/kg 체중의 용량으로, 음성 대조군으로서는 약물 전달체(vehicle)을 각각 경구투여한 후, 피부염의 완화 효과를 피부염 유발지수 스코어링(scoring)을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 p<0.05 vs. vehicle (D19: 아토피 유발 종료일, D27: 투여종료일).
도 15는 NC/Nga 마우스에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을 도포하여 피부염을 유발하고, 양성 대조군 약물로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Dex)을 5mg/kg 체중의 용량으로, 실험군으로서 노근 추출물(Nk)을 250 mg/kg 체중의 용량으로, 음성 대조군으로서는 약물전달체(vehicle)을 각각 경구투여한 후, 피부염의 완화 효과를 긁음(scratching) 횟수 측정을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 p<0.05 vs. vehicle (D19: 아토피 유발 종료일, D27: 투여종료일).
도 16은 C57BL/6 생쥐를 0.5% DNFB(2,4-dinitro-1-fluorobenzene) 25μL로 감작시킨 후 5일 후, 0.2% DNFB를 다시 귀의 피하에 주사하여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고, 노근 수추출물을 투여하여 귀의 부종(염증)을 억제하는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17은 NC/Nga 마우스에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를 도포하여 피부염을 유발하고, 노근 수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여 경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을 억제하는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노근 수추출물의 성분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결과이다. 노근의 수추출물을 노근의 알코올 추출물의 성분과 비교 분석하였다. 레인 1은 수추출물이며, 레인 2는 알코올 추출물이다. 조건 1은 chloroform : methanol : water = 70 : 30 : 4의 전개용매, 조건 2는 ethyl formate : formic acid : water = 70 : 10 : 10의 전개용매, 조건 3은 butanol : isopropanol : acetic acid : water = 3 : 1 : 1 : 1의 전개용매를 사용하여 약 10cm 전개한 다음 UV 254nm (패널 A), UV 365nm (패널 B), 10% 황산(sulfuric acid)발색(패널 C)과, 닌히드린(ninhydrin) 발색(패널 D) 후 반점들의 Rf값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 재료 및 방법
실시예 1: 노근 추출물 및 실험 동물모델의 준비
노근(갈대뿌리, Phragmitis Rhizoma)을 준비하여 적합한 크기로 절단한 후 노근 1000g에 대해 물 4ℓ를 가하여 침지시킨 후, 100℃의 온도로 2시간 동안 가열하는 열수 추출하여 1ℓ를 만들고, 그 추출액을 농축 여과(100℃, 4시간)하여 최종 추출액 100 ml로 만들었다. 제조한 노근 열수 추출액과 포도씨유를 10 : 90의 비율로 혼합한 후 적당한 부형제를 가하여 최종적으로 노근이 1-20 중량% 포함된 혼합물을 만들고, 이를 암갈색의 크림 또는 로션제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4 주령의 암컷 NC/Nga 마우스를 구입하여 사육실의 실내온도를 24ㅁ2℃으로 유지시키고, 명암주기도 12 시간 간격을 유지하였다. 사료는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분말 사료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유발
NC/Nga 마우스의 등쪽, 귓 바퀴 윗부분까지 최대한 제모기로 제모하고, 제모크림을 이용하여 털을 완벽히 제거하였다. 도포할 부위에 4% SDS 수용액을 분무하여 피부의 지방 성분을 제거하고, 약 1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시킨 후 편편한 스틱을 이용하여 Biostir AD (아토피 피부염 유발 시약, 집먼지진드기) 연고 100 mg을 등쪽, 귓바퀴부분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Biostir AD 연고 도포는 주 2회로 4주간 총 8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노근 추출물 연고의 적용
실험 동물 모델에 아토피 피부염을 4주 간에 걸쳐 유발한 후, 3주 동안 아토피 유발 조직에 노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연고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관찰 하였다. 도 2는 아토피 동물 모델의 구축 및 노근 추출물 연고의 적용 일정을 보여준다. 실험군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지 않은 대조군,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대조군, 및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고 노근 추출물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으로 각각 나누어 진행하였다. 각 군마다 마우스를 8 마리씩 배정하였다. 필요한 경우에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지 않은 군과 비교하였다(표 1 참조).
실험군 실험물질 아토피 피부염 유발
비유도군 (non-induction) - X
대조군(아토피) (control-atopy) - O
처리군(treatment) O O
실시예 4: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평가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한 후, 매주 1 회 마다 피부염 증상을 다음 4가지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다. (ⅰ) 홍반/출혈(Erythema/hemorrhage), (ⅱ) 흉터형성/건조(scarring/dryness), (ⅲ) 표피박리/짓무름(excoriation/erosion), (ⅳ) 부종(edema)의 네 가지 항목에 대하여 각각 0 (none), 1 (mild), 2 (moderate), 3 (severe) 점수로 판단 후 개체마다 합산하였다.
실시예 5: 긁음(Scratch) 횟수 측정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한 직후, 3주에 걸쳐 5일 간격으로 총 5회 동안 마우스가 아토피 피부염 부위를 긁는 횟수를 1시간 동안 측정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실시예 6: 조직 염색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후 35일 후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등 피부를 적출하여, Accustain formalin-free fixative 용액으로 조직을 고정한 후,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제작하였다. 5μm 두께로 얇게 자른 후 헤마톡시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을 시행하여, 표피 및 진피층의 두께 변화를 관찰하고, 염증 조직 내의 림프구(lymphocyte)의 축적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비만 세포(mast cell) 확인을 위해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으로 염색하고, 호산성 백혈구(eosinophil) 확인을 위해 콩고 레드(Congo red)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 하에서 2 X 2 mm 범위에서 관찰하여 표피에서부터 근육 조직 사이 피부에 존재하는 비만 세포(mast cell) 또는 호산성 백혈구(eosinophil) 세포수를 계수하였다.
피부 조직 내 신경 섬유의 침입을 면역조직염색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고정시킨 조직에 신경섬유를 인식하는 anti-protein gene product (PGP9.5) 항체를 반응시키고, 이어서, 비오틴-컨쥬게이트된 고우트 항-래빗 (biotin-conjugated goat anti-rabbit) 항체 및 퍼옥시다아제-컨쥬게이트된 스트렙타비딘(peroxidase-conjugated streptavidin)을 순서대로 반응시키고,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효소 반응으로 발색시켰다.
실시예 7: 혈청 IgE 측정
아토피 피부염 유발시킨 후 0, 14, 28일에 마우스 눈 부위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혈청 내 존재하는 IgE 항체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정제한 항-마우스 IgE 항체를 96 웰-플레이트에 코팅하고 3% BSA/PBS 용액으로 블로킹한 후, 1:400으로 희석한 마우스의 혈청을 넣고 배양하였다. 그 후, 비오티닐화된 항-마우스(biotinylated anti-mouse) IgE 항체와 아비딘-알카라인 포스파타아제(avidin-alkaline phosphatase)를 순서대로 반응시키고 pNPP 기질로 발색시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8: 액와림프절 세포 및 비장림프구의 사이토카인 생성능 측정
아토피 피부염 유발 마우스의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과 비장림프구(splenocyte)로부터 얻은 각 조직의 단일 세포 부유액을 24 웰-플레이트에 각 5 X 106 세포씩 분주하고 집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body, Dfb) 추출물을 최종 농도 10μg/ml이 되도록 넣어주었다. 37℃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에 상층액을 취하여 IFN-γ, IL-4, IL-5, IL-6, IL-10, IL-12 생성량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9: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 유발 피부염 완화능 측정
9주령 NC/Nga 마우스에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을 주 2회씩 총 6회 도포하여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도포 개시일부터 주 5회 4 주간, 양성 대조군 약물로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5mg/kg 체중의 용량으로, 실험군으로서 노근 추출물을 250 mg/kg 체중의 용량으로, 음성 대조군으로서는 전달체(vehicle)을 각각 경구투여한 후, 피부염의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0: DNFB 유발 피부염 완화 효능 측정
C57BL/6 생쥐를 0.5% DNFB (2,4-dinitro-1-fluorobenzene) 25μL로 감작시킨 후 5일 후 0.2% DNFB를 다시 귀의 피하에 주사하여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DNFB 항원을 주사한 후 약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5 mg/kg체중의 투여량으로, 실험군으로서 노근추출물을 250 mg/kg체중으로 2시간 후에 주사하고, 이후 3일간 1일 3회 경구 투여 한 후 귀의 부종을 측정하여 염증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보습 효능 평가
노근 추출물에 포도씨유를 혼합하여 최종 노근 추출물의 함유량이 5중량% 가 되도록 외용제로 제형화하였다. 제조한 노근 추출물 외용제를 총 60명의 피험자에게 3일간 도포하도록 한 후, 적용전과 적용후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 형태로 수령하여 보습 효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NC/Nga 마우스에서 보습 효능 측정
9 주령 NC/Nga 마우스에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을 주 2회씩 총 6회 도포하여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5 mg/kg체중의 투여량으로, 실험군으로서 노근추출물을 250 mg/kg체중의 투여량으로, 진드기 추출물의 도포 개시일로부터 주 5회 4주간 경구 투여한 후, 경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노근 열수추출물의 성분 분석
노근의 물추출물과 알코올추출물을 TLC 기법을 이용하여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분석하였다. 노근의 물추출물과 알코올추출물 분말 1mg을 정확히 측정하여 50% 메탄올(methanol) 1 mL를 넣고 녹인 후, 이 액들을 검액으로 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검액을 10 ㎕씩을 Kieselgel 60 F254 (Merck)에 점적하였고, chloroform : methanol : water = 70 : 30 : 4 (condition 1), ethyl formate : formic acid : water = 70 : 10 : 10 (condition 2), butanol : isopropanol : acetic acid : water = 3 : 1 : 1 : 1 (condition 3)을 전개용매로 하여 약 10cm 전개한 다음 UV 254nm, UV 365nm, 10% 황산(sulfuric acid)과, 닌히드린(ninhydrin)을 이용하여 발색시킨 후 반점들의 Rf값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2에 TLC 분석 조건을 기재하였다.
고정상
(Stationary phase)
박층 그로마토그래프용 실리카겔 (Kieselgel 60 F254 (Merck))
이동상
(Mobile phase)
chloroform : methanol : water = 70 : 30 : 4
ethyl formate : formic acid : water = 70 : 10 : 10
butanol : isopropanol : acetic acid : water = 3 : 1 : 1 : 1
검출자 (Detector) UV 254nm, UV 365nm, 10% 황산 발색, 닌히드린 발색
실험 결과
실험예 1: 아토피 피부염 유발 및 피부염의 증상 평가
NC/Nga 마우스에 Biostir AD (아토피 피부염 유발 시약, 집먼지진드기) 연고를 4주 동안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켰다.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지 않은 비-유도(non-induction) 군에서는 4주 동안 피부염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마우스에서는 유발 첫 주에 미약한 건조, 홍반, 출혈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최종 4주 차에 심각한 표피 박리, 짓무름, 흉터, 부종까지 관찰되었다.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증상이 심각하지 않아 피부염 평가 점수가 절반 정도로 유지되었다(도 3 참조).
실험 마우스가 아토피 피부염 부위를 긁는 정도를 측정한 긁음(scratch) 횟수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의 항-아토피 피부염 효과가 잘 나타났다. 즉,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대조군(control)의 경우 피부염을 유발시킨 후 3주 동안에 점점 더 긁는 횟수가 증가하다가, 10 일 이후로 긁는 정도가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에서는 긁는 정도가 투여 직후 부터 개선되어 치료 종료시에는 긁는 횟수가 거의 정상 수준까지 감소하였다(도 4 참조).
아토피 피부염 유발 21일 후에 실험 마우스의 실제 피부를 관찰하였다. 도 5의 피부염 부위의 피부를 촬영한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대조군은 심한 건조와 표피박리, 홍반, 흉터 등의 피부염 증상이 관찰된 반면,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은 외관상으로 대조군에 비해 매우 가벼운 정도의 건조와 표피 박리만 관찰되었으며, 그 정도도 매우 양호하였다(도 5 참조).
실험예 2: 조직염색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반복되는 염증 반응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증가하고, 림프구(lymphocyte), 단핵세포(monocyte), 호산성백혈구(eosinophil), 비만세포(mast cell) 등 주요 면역 세포가 조직 내로 많이 침윤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신경 섬유가 비정상적으로 표피층까지 확장되므로 가려움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C/Nga 마우스의 피부를 적출하여 H&E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대조군에서는 100μm 정도의 피부 두께가 나타나는 반면,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 적용 실험군에서는 절반 수준인 50μM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 참조).
림프구 및 단핵구의 침윤을 관찰하였을 때 대조군에서는 수많은 면역 세포들이 보라색으로 염색되어 나타났으나(도 6의 패널 B 참조), 노근 추출물 연고 적용 실험군에서는 매우 적은 수의 면역 세포만 관찰되었다(도 6의 패널 C참조). 염증 조직 내 비만세포(mast cell)의 침윤을 확인하기 위해,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 염색을 시행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 유발 대조군이 비-유도군 보다 비만세포수가 증가하였으나, 노근 추출물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비만세포수가 감소하였다.
실제의 염색 사진에서도 아토피 피부염 유발 대조군에서 많은 수의 비만세포(mast cell)가 관찰된 반면, 노근 추출물 연고 적용군에서는 적은 수의 세포가 관찰되었다(도 7 참조).
면역조직 염색 방법으로 신경 섬유의 침투를 확인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하지 않은 비-유도(non-induction)군에서는 침투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아토피 피부염 유발 대조군(control)에서는 갈색의 신경 섬유가 다수 나타났고, 노근 추출물 연고 적용군은 피부에 침투한 신경 섬유의 개수가 감소하였다(도 8 참조).
실험예 3: 혈청 IgE 측정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IgE 항체 농도가 증가하여 비만세포(mast cell)의 활성화를 유도하게 되는데, 비만세포(mast cell)는 활성화되면 염증을 매개하는 활성이 매우 뛰어난 과립들을 방출하여 심각한 면역 반응과 과민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 유발 11일 및 21일 후에 혈청에서 IgE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아토피 유도 대조군에 비하여 노근 추출물 연고 적용군에서 항체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도 9 참조).
실험예 4: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 크기 측정
액와림프절(axillary lymph node)은 피부 염증에 참여하는 면역 세포들을 모으고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면역 조직이며,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ALN의 크기와 세포수가 증가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심각한 만성 아토피 환자의 경우 ALN의 크기가 증가되었다는 보고가 있고, 집먼지 진드기로 유발된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 NC/Nga 마우스를 사용한 많은 연구 보고에서도 ALN을 직접적인 타겟 림프절(target LN)로 정하여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 5주 동안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후 희생시킨 마우스에서 ALN는 물론 주요 면역 기관인 비장을 적출하여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액와림프절은 아토피 피부염 유발 대조군 군에서 크기가 정상군에서 보다는 증가하였으며, 노근 추출물 적용 실험군에서는 그 크기가 정상 쥐만큼은 아니지만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도 10 참조).
실험예 5: 사이토카인 생성능 측정
면역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을 생성능을 평가하여 아토피 유발에 대한 면역반응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Th1 림프구에서 생성되는 IFN-γ는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Th2 림프구의 분화와 활성을 억제한다. NC/Nga 마우스에서 적출한 ALN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Dfb로 48 시간 동안 자극시킨 후, Th1 사이토카인인 IFN-γ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 아토피 유발 대조군에 비하여 노근 추출물 적용 실험군은 ALN의 IFN-γ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도 11).
IL-4와 IL-10은 Th2 림프구에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으로써 Th1 림프구의 분화와 대식세포(macrophage)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B 림프구에 영향을 주어 IgE 항체 생성을 증가시킨다. 액와림프절(ALN) 세포 배양에서 IL-4와 IL-10은 모두 노근 추출물 투여군에서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도 12 및 13 참조).
실험예 6: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 유발 피부염 완화 효능
NC/Nga 마우스에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을 도포하여 피부염을 유발한 후 노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여 피부염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평가하였다. 노근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피부염 유발지수가 음성대조군(vehicle 투여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어 항-피부염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4 참조). 또한 아토피 증상에 대한 긁음(scratching) 회수도 양성대조군(dexamethasone 투여군)과 유사한 정도로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15 참조).
실험예 7: DNFB 유발 피부염 완화 효능 측정
노근 추출물이 DNFB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노근 추출물은 음성대조군(vehicle 투여군)과 비교하여 DNFB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에 의한 귀 부종(ear swelling)을 억제하는 효과가 훨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16 참조).
실험예 8: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보습 효능 측정
노근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총 6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형태로 수행하였다.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노근 추출물은 음성대조군(vehicle)과 비교하여 뛰어난 보습효과를 나타내었다(표 3 참조).
매우좋다 좋다 그저 그렇다 나쁘다
전달체(vehicle) 2 2 12 4
노근추출물 8 8 4 0
실험예 9: NC/Nga 마우스에서 보습 효능 측정
피부염이 발생하면 수분이 소실되어 피부 건조가 나타난다. NC/Nga 마우스에 진드기 추출물(mite extract)을 도포하여 유발된 피부염에서 노근추출물이 수분손실 방지하는 효능을 갖는지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노근 추출물은 피부염에서 수분의 손실을 억제하여 피부 보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다(도 17 참조).
실험예 10: 노근 수추출물의 성분 분석
노근의 수추출물의 성분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노근의 에틸알코올 추출물의 성분과 비교하였다. 전개용매를 달리한 3 가지의 조건(condition 1 내지 3)으로 분석한 결과, 수추출물의 성분이 알코올추출물의 성분에 비해 성분의 구성이 단순하였다. 특히, 수추출물에서는 조건 3에서 Rf 0.4 부근에 당류(sugar)로 추정되는 반점만이 관찰되어, 수용성 단당류 또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당류 성분이 주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노근의 알코올추출물은 페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 또는 이들의 중합체(lignan)로 추정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8 참조).
실험 결과의 요약
본 발명의 실험에서는 아토피 동물 모델 NC/Nga 마우스에 집진드기 항원을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후 노근 추출물 연고를 적용하여 육안 및 조직학적 관찰과 함께 마우스 체내 면역반응 인자의 양상을 평가하였다. 노근 추출물 함유 연고 적용에 의해 피부의 건조, 염증반응, 홍반, 부종, 피부 박리등의 증상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조직을 염색하여 면역세포의 침윤 등을 확인한 실험에서도 노근 추출물적용군은 피부 두께, 염증세포의 침윤, 비만세포 침윤, 신경 섬유 침투 등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노근 추출물은 혈청내의 IgE 항체 농도를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ANL에서 IFN-γ, IL-4, IL-10의 Th1 및 Th2 사이토카인의 양을 모두 감소시켰다. 또한, 진드기 추출물 및 DNFB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고, 뛰어난 피부 보습 효능을 가졌다.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노근 추출물은 피부보습효과,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노근(Phragmitis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근 추출물은 노근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근의 열수 추출물은 수용성 당류(sugar)를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써 포도씨유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또는 에어로졸 제형의 피부 외용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용 화장품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10037995A 2010-04-23 2011-04-22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151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7685 2010-04-23
KR1020100037685 2010-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89A true KR20110118589A (ko) 2011-10-31
KR101151718B1 KR101151718B1 (ko) 2012-06-15

Family

ID=4483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995A KR101151718B1 (ko) 2010-04-23 2011-04-22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1718B1 (ko)
WO (1) WO2011132986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13B1 (ko) * 2013-07-09 2014-02-14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함초 및 노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4065457A1 (ko) * 2012-10-22 2014-05-01 셀루스 주식회사 갈대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샴푸 조성물
KR20160054669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노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JP2018183105A (ja) * 2017-04-27 2018-11-22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皮膚刺激評価方法
KR101941221B1 (ko) * 2017-12-14 2019-01-22 (주)솔빛피앤에프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황반변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1942A (ko) *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이롬 노근 추출물 및 포도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4160A (ko) 2022-11-04 2024-05-13 한국한의약진흥원 항염활성 및 지질대사조절활성이 증가된 노근 추출물의 생물전환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500B1 (ko) * 2016-02-18 2018-01-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2309B1 (ko) * 2016-08-24 2019-04-30 대한민국 갈대 내생균 배양액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94885B1 (ko) * 2017-09-08 2018-09-05 김태근 찜질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838A (ko) * 2003-12-01 2005-06-07 주식회사 태평양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42378B1 (ko) * 2005-05-17 2007-07-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051362B1 (ko) * 2007-08-31 2011-07-22 (주)콤비메드 생약재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또는예방용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457A1 (ko) * 2012-10-22 2014-05-01 셀루스 주식회사 갈대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샴푸 조성물
KR101363413B1 (ko) * 2013-07-09 2014-02-14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함초 및 노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669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노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JP2018183105A (ja) * 2017-04-27 2018-11-22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皮膚刺激評価方法
KR20190021942A (ko) *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이롬 노근 추출물 및 포도씨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1941221B1 (ko) * 2017-12-14 2019-01-22 (주)솔빛피앤에프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황반변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4160A (ko) 2022-11-04 2024-05-13 한국한의약진흥원 항염활성 및 지질대사조절활성이 증가된 노근 추출물의 생물전환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718B1 (ko) 2012-06-15
WO2011132986A2 (ko) 2011-10-27
WO2011132986A3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718B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878069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960154A1 (en) Functional composition containing immortalized stem cell-derived exosome-rich culture medium and rosebu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US10588931B2 (en) Daphne laureola extracts in the treatment of dermopathies
KR102144568B1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22608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6642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노화 방지용 조성물
KR20220133476A (ko)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75849B1 (ko) 흑효모 균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998920B1 (ko)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47641B1 (ko) 피라칸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6671B1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34436B1 (ko)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00132206A (ko)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6644B1 (ko) 그라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8329B1 (ko) 자주방아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53894B1 (ko) 캄페롤 배당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2416652B1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4342442A1 (en) Composition with endothelin inhibiting effect,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0847278B1 (ko) 라폰티신과 라폰티제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150037204A (ko) 대복피 추출물 포함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20230067034A (ko) 항산화, 미백, 항염증, 피부보호 등의 기능을 갖는 락토페린 유도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KR20160082113A (ko) 컴파운드 k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23403A (ko)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