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206A -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206A
KR20100132206A KR1020090050911A KR20090050911A KR20100132206A KR 20100132206 A KR20100132206 A KR 20100132206A KR 1020090050911 A KR1020090050911 A KR 1020090050911A KR 20090050911 A KR20090050911 A KR 20090050911A KR 20100132206 A KR20100132206 A KR 2010013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skin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820B1 (ko
Inventor
김성우
임주혁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8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는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각화를 촉진하고, 피부 투명도 및 피부 거칠기를 개선한다. 또한,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h2, 각질형성세포, 피부, 각화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s Comprising Ginsenoside Rh2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기관으로서, 바깥쪽으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 자극에 대한 방어, 인체 보호, 온도조절기능, 호흡기능, 배설기능 등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표피는 자외선,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 오염물질로부터 신체를 1차적으로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스스로가 일정한 주기를 두고 탈락되어 가면서 순환한다. 이러한 방어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표피의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표피의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이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된다. 각질세포는 표피의 기저층에서 생성되어 점점 표면으로 올라와서 약 14일 후에는 가장 윗부분의 각질층에 도달하 여 핵이 없는 죽은 세포로 지내게 된다. 즉, 각질층은 죽은 세포들의 잔해물이며, 이러한 변화 과정을 각화(keratinization)이라고 한다. 각질층의 잔해물은 약 14일 후에 피부에서 탈락되고 다음의 각질층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즉, 기저층에서 탄생된 세포는 약 4주의 간격으로 표피에서 탁락되며, 표피는 새로운 세포로 교체된다.
이러한 세포의 교체를 "턴-오버"(turn-over)라고 하며, 피부가 노화되거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손상을 입게 되면 기저층의 세포분열 저하로 인해 세포의 교체가 느려져 턴-오버에 소요되는 기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죽은 각질층에 의해 피부는 생기가 없으며 칙칙해 보이고 건조해지며 거칠어지게 되는 등의 피부 트러블이 발생한다. 최근들어 외부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하고, 과도한 청결 생활습관 그리고 각종 질환 및 스트레스에 의한 내인적 요인에 의해 각질형성세포의 세포활성이 낮아지고 각화 능력이 저하됨에 따라 각질층의 피부 보호작용이 비정상적인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오래되고 손상된 최외각 각질층의 피부 세포를 제거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보호기능을 활성화시켜 피부를 더 밝게 보이게 하고, 피부를 더 건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각화 촉진 화장료로 글리콜산 (glycolic acid)과 락트산 (lactic acid)과 같은 박리 효과를 지닌 알파하이드록시산 (Alpha hydroxy acids: AHA) 또는 파파인, 브로멜라닌 등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화학적 박피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AHA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과각질 제거와 함께 피부세 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데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따가움, 가려움, 홍반 등과 같은 피부 자극 등의 문제로 인해 화장품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각질 사이의 연결고리를 잘라 노후 각질층을 제거할 수 있으나, 화장품 내에서 효소 활성의 안정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각화 촉진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화장료 제형 내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물질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인삼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식물로, 그 화학성분은 진세노사이드 3 내지 6%(프로토파낙사디올계 24종,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 11종, 올레아놀린산계 1종), 함질소화합물이 12 내지 16%(단백질, 아미노산, 알칼로이드 등), 지용성 성분 1 내지 2%, 비타민 0.05%, 탄수화물 60 내지 70%, 회분 4 내지 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세노사이드 Rh2(Protopanaxadiol-3-[O-β-D-Glucopyranoside])는 프로토파낙스디올계에 속하는 진세노사이드로 백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증숙 과정을 거쳐 제조된 홍삼에만 약 0.001% 함유된다. 구체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2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로 나타낼 수 있으며, 항암 효과를 갖는다는 여러 연구들이 발표된 바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34773164-PAT00001
상기한 진세노사이드 Rh2의 항암 효과 이외에 피부 화장료로의 용도를 개시한 문헌들이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21505호는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h3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면서,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1 : 1 내지 1 : 5의 비율로 함유된 조성물은 이들 단독 사용한 경우보다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도 없다고 기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68601호는 진세노사이드 Rg2를 함유하는 사포닌 혼합물로 이루어진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g2, Rg3, Re4, Rc, Rd, Rg1, Rb1, Rf 및 Rh2를 함유하며, 자외선 등 외부환경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사멸 및 DNA 손상을 감소시키며,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작용 및 피부보습효과를 나타낸다고 제안하고 있 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외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유효 성분을 발굴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각화 촉진 효과를 나타내면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고 화장료 제형 내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자극 없이 피부 각화를 촉진하고, 피부 밝기 증대와 피부 매끄러움 개선의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는 피부 자극 없이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각화를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피부 밝기 증대, 피부 각질량 감소, 피부 매끄러움 개선의 효과가 있다. 더욱이,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를 나노리포좀화 시킨 경우 피부침투 효과 및 제형의 안정성이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 료 조성물은 피부 외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언급되는 "피부 외관 개선"은 피부 투명도를 증가시키고, 피부 거칠기와 피부 각질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진세노사이드 Rh2는 홍삼에서 분리된 것을 사용하거나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이다. 만약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각질형성세포의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각화 촉진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h2는 각질형성세포 증식능이 매우 우수하여 피부 각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 2를 참조하면, 진세노사이드 Rh2는 피부세포 분화시 각질형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 각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한 제형으로 임상실험을 한 결과 피부 각화가 촉진되어 피부색(실험예 3 참조), 피부결(실험예 4 참조) 및 피부톤(실험예 5 참조)이 개선되었고, 특히 진세노사이드 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한 제형이 이러한 피부 외관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 6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기타 화장료 조성물 함유 성분에 의해 변색이 일어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 7을 참조하면, 진세노사이드 Rh2는 피부 자극이 거의 없어 피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를 나노리포좀에 포접하여 안정화함으로써 피부 침투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는 성분이 안정화되어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경피 흡수율이 증가되어 Rh2 또는 그 유도체로 부터 얻을 수 있는 각질형성세포 증식 및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 발현 촉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이중막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100nm인 리포좀을 말한다. 이때,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직경이 1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침투 효과 및 제형 안정성이 저하된다.
상기 나노리포좀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이다. 또한, 나노리포좀에 포함되는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의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사용하여, 통상적인 나노리포좀화 방법에 따라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것이 사용가능하다. 대표적으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솔비톨, 에리스리톨, 이소프렌글리콜, 자일리톨,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이 가능하다. 이때, 폴리올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로 함유되도록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 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테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등이 가능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등이 가능하다.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나노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의 종류에 따라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로 함유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로서 천연인지질 및 합성 인지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8 중량%로 함유되도록 한다.
상기 유성성분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호호바유, 너트유, 스쿠알란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세레브로사이드;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과 같은 실리콘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 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 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 내지 C40 지방알코올; 세라마이드;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오일 등이 가능하다. 이때, 유성성분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도록 한다.
상기 지방산은 C12 내지 C22 알킬체인의 고급 지방산을 사용하며,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바의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피부 각화를 촉진하거나 피부 외관을 개선하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진세노사이드 Rh 2 의 제조
홍삼 분말 중량의 10배의 70% 에탄올을 가한 다음, 15 내지 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30.4 g을 얻었다. 건조된 홍삼 추출 파우더에서 프랩 엘시 (Waters Co., Ltd. 미국, Delta prep 4000)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h2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2를 HPLC (Waters Co., Ltd. 미국, Waters 2690 Separations Module, Waters 2487 Dual λ Absorbance Detector)로 정성분석한 결과 그 순도는 95% 이상이었다.
제조예 2: 진세노사이드 Rh 2 를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A상에 B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습윤시킨 후, C상을 첨가하고 70~80℃ 까지 가열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을 600~1000bar 조건으로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5~7회 통과 시킨 후 냉각하여 평균 입자 직경 1 내지 100 nm의 나노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A 글리세린 To 100
B 수첨 레시틴 5.0
유동 파라핀 1.0
마카다미아 넛 오일 1.0
스쿠알란 1.0
디메치콘 1.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소듐스테아로일 락테이트 0.5
폴리솔베이트-80 0.5
스테아린산 0.5
C 진세노사이드 Rh2 3.0
수산화 칼륨 적량
증류수 5.0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상기 제조예 1 내지 2에서 얻은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진세노사이드 Rh2 0.3 - - -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
- 10.0 - -
락트산 - - - 2.0
BHT 0.05 0.05 0.05 0.05
친유형모노 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0 2.0
세테아릴알콜 2.2 2.2 2.2 2.2
스테아린산 1.5 1.5 1.5 1.5
밀납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0.6
경화식물유 1.0 1.0 1.0 1.0
스쿠알란 3.0 3.0 3.0 3.0
광물유 5.0 5.0 5.0 5.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5.0
디메치콘 1.0 1.0 1.0 1.0
소듐마그네슘 실리케이트 0.1 0.1 0.1 0.1
글리세린 5.0 5.0 5.0 5.0
베타인 3.0 3.0 3.0 3.0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4.0 4.0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 1: 각질형성세포 증식 효과 확인
인간유래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5x103 세포/웰), 5% 농도(CO2)의 CO2 배양기에서 37 ℃로 48시간 배양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h2가 50 ㎍/ml 함유된 DMEM 배지로 교체하여 6, 12, 24, 36, 48시간 배양한 후 0.2% MTT 용액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을 각 웰당 50㎕씩 첨가하고, 다시 37 ℃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e)을 DMSO(Dimethyl sulfoxide)로 용해시켰다. 용해된 포르마잔의 흡광도를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측정하였다. 세포 증식율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 증식율(%) = [(A ×100) / B]-100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시료 첨가 웰의 흡광도이며, B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흡광도이다)
세포배양 시간(hr) 6 12 24 36 48
세포증식효과(%) 11 29 67 83 92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는 각질형성 세포 증식능이 우수하며,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는 각질형성세포의 세포 활성을 증가시켜 이의 각화 능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2: 각질형성세포의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 발현 촉진 확인
각질형성세포의 각화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인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인간유래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5x103 세포/웰), 5% 농도(CO2)의 CO2 배양기에서 37 ℃로 6시간 배양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h2가 1, 10, 100 ㎍/ml 함유된 DMEM 배지로 교환한 후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70 ℃에서 동결시킨 후, -20 ℃의 아세톤:에탄올(1:1, v/v)을 넣어 4 ℃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유기용매를 증발시킨 후, 1% 우혈청 알부민에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1차 항체(1:500)를 습윤상자에서 4 ℃로 1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HRP(horseradish perosidase) 2차 항체와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OPD(o-phennyldiamine)을 첨가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 발현율(%)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 발현율(%) = [(A ×100) / B]-100
(상기 수학식 2에서, A는 시료 첨가 웰의 흡광도이며, B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흡광도이다)
진세노사이드 Rh2 함량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 발현율 (%)
1 ㎍/ml 23
10 ㎍/ml 87
100 ㎍/ml 136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는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 발현 촉진 효과가 우수하며, 진세노사이드 Rh2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 발현량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는 각질형성세포의 각화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 각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임상 실험을 통한 각화 촉진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각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부 각화가 유발되면 피부색이 개선되므로 피부색의 밝기 변화(ΔL)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각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25~50세의 여성 80명을 4개 군으로 나누어 팔의 상박 2 ×2 cm2의 면적으로 두 부위를 마킹한 후, 댄실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각질층을 염색하였다. 두 부위중 한 부위에 각각의 군에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제형을 매일 2회 적용하였다. 3주 경과 후 각 부위의 피부색의 밝기 변화(ΔL)를 색차계(미놀타)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L*
실시예 1 1.72
실시예 2 3.21
비교예 1 0.89
비교예 2 1.64
*△L = 최종측정치(D21) - 초기측정치(D0)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진세노사이드 Rh2를 포함하는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 및 락트산을 함유하는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 약 28일의 피부재생기간 보다 짧은 기간인 21일 동안 피부색이 개선되어 피부 각화가 촉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화 촉진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실험예 4: 임상 실험을 통한 피부결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부결이 거친 25~50세 성인 여성 80명을 4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4주 동안 1일 2회 피부결이 거친 부위에 도포하도록 한 후, 3D Image Analysis GFM PRIMOS (GFM esstechnik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제품 사용 전과 사용후의 피부 거칠기 변화를 Sm 값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Sm*
실시예 1 38
실시예 2 195
비교예 1 16
비교예 2 32
*△Sm = 최종측정치(D28) - 초기측정치(D0)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진세노사이드 Rh2를 포함하는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락트산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 피부 거칠기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거칠기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실험예 5: 임상 실험을 통한 피부톤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피부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부톤이 어둡고 칙칙한 25~50세 성인 피험자 80명을 4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4주 동안 1일 2회이상 도포하도록 하였다. 효능 평가는 4주 사용후 설문 조사를 통해 개선정도를 본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응답자 수
크게 개선 개선 보통 미흡
실시예 1 3 5 11 2
실시예 2 13 4 3 0
비교예 1 1 2 15 2
비교예 2 3 4 10 3
상기 표 6를 참조하면,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부톤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실험예 6: 제형의 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온도 실험물질 변색 정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45℃ 1 0 0 1.5
4℃ 1.5 0 0 0.5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트산을 함유한 조성물(비교예 2)은 제형의 안정성이 현저히 낮은 반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를 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 2)은 변색이 일어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피부 자극정도 확인
피험자 80명(평균연령 32세, 연령분포 22세 내지 38세)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에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사용성 시험(in-use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 (psoriasis), 습진 (eczema), 기타 피부 병변 보유자나 임산부,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피험자를 20명씩 4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게 상기 화장료를 제공하고, 하루에 2번(오전, 오후), 3주 동안 사용하도록 하고 자극유무나 정도를 설문지에 기재하도록 하였다. 화장료를 사용하도록 하고 1주, 2주, 그리고 3주 후의 피부반응을 판정하였고, 그 시험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간 실험물질의 피부자극 정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주 1 0 0 2
2주 1 1 0 5
3주 2 1 1 7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를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 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한 조성물(실시예 1 내지 2)은 락트산 함유 조성물(비교예 2)에 비해 매우 미약한 자극 정도를 보여 피부에 매우 안전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처방예로서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나노리포좀 0.3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나노리포좀 0.3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겔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나노리포좀 0.3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유니사이드-유 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나노리포좀 0.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하기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나노리포좀 0.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하기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나노리포좀 0.3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유니사이드-유 13 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나노리포좀 0.3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유니사이드-유13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9)

  1.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의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K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는 나노리포좀에 포접되어 안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그 유도체의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직경은 1 내지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50911A 2009-06-09 2009-06-09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0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11A KR101620820B1 (ko) 2009-06-09 2009-06-09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911A KR101620820B1 (ko) 2009-06-09 2009-06-09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206A true KR20100132206A (ko) 2010-12-17
KR101620820B1 KR101620820B1 (ko) 2016-05-23

Family

ID=4350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911A KR101620820B1 (ko) 2009-06-09 2009-06-09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8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14B1 (ko) * 2011-09-19 2013-12-0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1281B1 (ko) * 2012-05-30 2014-11-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20(R)-진세노사이드-Rh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7100758A (zh) * 2023-10-19 2023-11-24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省立医院(山东省立医院) 拟人参皂苷Rh2制备治疗肥胖和/或肥胖并发症的药物的用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14B1 (ko) * 2011-09-19 2013-12-0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1281B1 (ko) * 2012-05-30 2014-11-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20(R)-진세노사이드-Rh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7100758A (zh) * 2023-10-19 2023-11-24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省立医院(山东省立医院) 拟人参皂苷Rh2制备治疗肥胖和/或肥胖并发症的药物的用途
CN117100758B (zh) * 2023-10-19 2024-02-06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省立医院(山东省立医院) 拟人参皂苷Rh2制备治疗肥胖和/或肥胖并发症的药物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820B1 (ko)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991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inseng berry pleurotus ferulae product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9247B1 (ko)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050139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8868A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8029B1 (ko) 라파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0820B1 (ko)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0803925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감초, 산수유, 백하수오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7570B1 (ko) 한드로안수스 임페티기노수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추출방법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6B1 (ko) 녹용을 포함하는 한방 생약 복합 추출물이 내포된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8265B1 (ko) 베타-라파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4B1 (ko) 목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4859A (ko) 카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1351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리소포스파티딜콜린과 노루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