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920B1 -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920B1
KR100998920B1 KR1020080081652A KR20080081652A KR100998920B1 KR 100998920 B1 KR100998920 B1 KR 100998920B1 KR 1020080081652 A KR1020080081652 A KR 1020080081652A KR 20080081652 A KR20080081652 A KR 20080081652A KR 100998920 B1 KR100998920 B1 KR 10099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ound healing
dihydroxyphenyl
bute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073A (ko
Inventor
최병욱
이봉호
노석선
이민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9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로부터 분리된 신규 창상 치유성분, 좀더 상세하게는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4-(3,4-dihydroxyphenyl)-3-buten-2-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개민들레, 버섯류 등에서 분리되며, 창상 치유의 핵심 기전인 TGF-β의 분비와 세포이동 촉진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 창상 치유, 피부 외용제, TGF-β, 콜라겐 생합성, 세포이동

Description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A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본 발명은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 등 크게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층의 피부 조직은 피부의 여러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세포들과 이를 둘러싼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가 손상을 입었을 경우 손상부위가 세균과 외부의 독소에 의해 침입을 받게 되고, 이에 대한 피부의 방어기능으로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창상 치유를 위해서는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함과 동시에 세균 등 외부 인자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창상 치유(wound healing)는 손상된 피부에 대한 조직의 반응으로 조직회복 과정으로 화학주성, 세포의 분화 및 복제, 지질 단백질의 합성, 혈관생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
창상 치유 과정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물질 중의 하나로 성장인자들을 들을 수 있는데 이들은 창상 치유과정 전반에 걸쳐 세포의 성장, 분화 및 대사 등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여 창상 치유의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성장인자들은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s)로서, 창상 부위에 있는 여러 활성세포에 의해 분비되어 세포증식, 세포이동, 또는 세포의 생합성을 자극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으로 특정 세포에서 생산되어서 주위의 목표세포(target cell)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와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이다. 이 중 특히 TGF-β는 여러 세포들이 성장과 분화에 관여하는 물질로 성장조절, 면역반응 조절 및 창상 치유 촉진 등의 여러 가지 복잡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창상 초기에 혈관의 손상 부위에서 분비되어 대식세포, 섬유아세포 등 창상 치유에 관련된 여러 세포들을 창상 부위 내로 끌어들여 창상 치유를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메카니즘을 활용한 창상 치료제의 개발이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 생체 단백질 총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또한 최근의 많은 연구로부터 피부 내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피부강화, 상처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종래에는 피부조직에 콜라겐을 공급할 목적으로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었으나,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화장품의 특성상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는 거의 기대할 수 없어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었다. 기존의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등의 화학물질과 클로렐라 추출물(JP 9-40523, JP 10-36283)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레티노인산의 경우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피부 부작용으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는 상황이다.
손상된 피부에 대한 조직 회복과정은 세포의 증식과 함께 손상된 피부부위를 회복시키기 위한 세포 이동과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즉 손상된 피부조직을 복구하기 위해 피부 세포 생성이 활발해지고 새롭게 생성된 세포를 손상된 부위로 이동시켜 새로운 피부조직을 형성하게 하는 과정을 거친다(Cai A.Q., Landman K.A., and Hughes B.D., Multi-scale modeling of a wound-healing cell migration assay,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Vol.245:576-594, 2006). 따라서 창상 치유를 위해서는 피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생성된 피부 세포가 손상된 피부 부위로 이동되는 것을 조절하는 작용을 담당하는 약물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종래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상처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연고나 비스테로이드 항염 연고가 연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상처발생에 따라 수반되는 염증 현상을 억제시켜 주는 효능을 지녔지만 상처치유를 더디게 하고, 상처치유과정의 섬유아세포로부터의 콜라겐 합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해 신중한 사용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상품화되고 있는 보습드레싱은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 시켜주어 세포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일부 성장인자를 첨가시켜 상처치유를 돕는 장점을 지녀 점차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진물의 발생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해 주어야하는 등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현재 미세한 창상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고제의 경우 피부재생을 위한 오일을 이용한 것과 센틸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라는 수입약재를 활용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상처치유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TGF-β의 분비를 촉진함과 동시에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고 손상된 부위로의 세포이동(cell migration)을 활성화하는 약재를 이용한 제품은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창상 치유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처치유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TGF-β의 분비를 촉진함과 동시에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고 손상된 부위로의 세포이동을 활성화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물 유래 창상 치유 성분을 이용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한의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약재들을 대상으로 TGF-β의 분비를 촉진하는 효능을 지닌 약재를 검색하던 중 개민들레, 차가버섯 등 버섯류에 함유된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 [4-(3,4-dihydroxyphenyl)-3-buten-2-one]이 사람의 섬유아세포에서 TGF-β의 분비를 촉진하고 상처치유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체 피부 세포 증식 및 세포 이동(cell migration)을 촉진함으로써 창상 치유에 효과적임을 발견하고 이를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 효능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TGF-β 생성촉진 효능을 보인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대상으로 콜라겐합성 효능 평가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창상치유를 위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섬유아세포에서 TGF-β의 분비 촉진, 콜라겐 합성과 함께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기 위한 세포이동(cell migration)이 핵심적인 과정이다(McDougall S., Dallon J., Sherratt J., Maini P., Fibroblast migration and collagen deposition during dermal wound healing: mathematical modelling and clinical implications. Philos Transact A Math Phys Eng Sci. 364:1385-1405, 2006).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TGF-β 생성촉진 효능과 콜라겐합성 효능을 지닌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대상으로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기 위한 세포이동(cell migration) 효능이 있는 지의 여부를 실험한 결과, 이 성분이 세포이동 역시 촉진하는 효능을 지녔음을 발견하고 이 성분을 주요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를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TGF-β1의 분비 촉진, 콜라겐 합성 촉진 및 손상된 부위의 세포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창상 회복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어 창상 치유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약재들, 특히 개민들레, 차가버섯 등의 버섯류를 대상으로 상처 치유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GF-β 분비를 촉진하는 성분을 탐색한 결과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이 사람의 섬유 아세포 에서 탁월한 TGF-β의 분비를 촉진효과를 보였고, 상처치유과정에서 중요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뿐만 아니라 세포이동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한의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약재 중 생리활성이 우수한 200여종을 선별하여 TGF-β의 분비 촉진능 실험을 통해 버섯 추출물 및 개민들레 추출물을 선정하였다. 계속된 실험에서 분리한 성분들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이 TGF-β의 분비 촉진과 함께 콜라겐 합성 및 세포이동 촉진제로 작용함을 최종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함유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이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건조중량 기준 0.01~1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0.01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제제화에 어려움이 있고 함량 증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이 피부 세포 내에서 TGF-β 생성, 콜라겐 생합성 및 세포 이동(cell migration)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이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고,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 성분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통상 1일 0.0001~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10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비롯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도포제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서 크림형 도포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수중유형(O/W) 또는 유중수형(W/O)의 크림 베이스에 본 발명의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함유시키고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한편,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데, pH 조절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부가하여 통상의 화장료 제조 방법으로 화장수, 젤, 수용성 파우더, 지용성 파우더, 수용성 리퀴드, 크림 또는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주요 활성성분인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도 1과 같은 화학 구조를 갖는다.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페닐부타노이드(phenylbutanoid) 계열의 물질로 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Phytochemistry, 1989)와 차가버섯(KP10-0609486-0000)에서 분리된 적이 있었으나, 이 물질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의 창상 치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창상 치유 작용기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GF-β의 분비와 콜라겐 합성 및 세포이동에 효과기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의 효과가 우수함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의 분리 정제
차가버섯 등 버섯류 600g을 분쇄기로 파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든 다음 100% 메탄올(4ℓ)로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3회에 걸쳐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여과액은 회전증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10g을 모두 취하여 80% 메탄올로 용해시켜 n-헥산으로 용매 분배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여분의 활성 분획 80% 메탄올 층은 다시 30%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층으로 나누었고, 이때 클로로포름층의 농축된 양은 약 1.9g였다. 클로로포름층 1.9g은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ODS flash chromatography) [이동상; 0%, 40%, 60%, 80%, 100% 메탄올(MeOH)]를 행하여 다섯 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 중 40% 메탄올 분획 437㎎을 일련의 실리카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ilica flash chromatography) [CHCl3/MeOH/H2O(9:1:0.1)]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TM LH-20) [n-hexane/CH2Cl2)/MeOH(4:2:1)]를 이용하여 순수한 단일 성분 화합물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 10㎎을 얻었다. EI-MS로 분자량을 측정하고, 1H-NMR 및 13C-NMR 분석을 실시하여 정제된 물질이 도 3과 같은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임을 확인하였다.
ESI-MS(m/z) 179 (M+H), 163, 145, 135, 117, 89, 77
1H-NMR(CDCl3, 400 MHz) 2.33(3H, s), 6.54(H, d, 16.4), 6.78(H, d, 8.4), 6.99(H, dd, 2, 8.4 ), 7.07(H, d, 2), 7.51(H, d, 16.4),
13C-NMR(CDCl3, 400 MHz) 27.17, 115.37, 116.63, 123.58, 124.79, 127.81, 146.86, 146.94, 150.01, 201.59
<실시예 2> 창상 치유효과 평가
실험 1: TGF -β의 분비 촉진 효과 평가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10%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rles Medium) 배지가 들어 있는 48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37℃, 5%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고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넣은 후 48시간 후에 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세포배양액 중에 함유된 TGF-β의 양은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450㎚의 파장에서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측정한 흡광도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각 시료가 첨가된 세포 배양액의 TGF-β1 생성량을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계산된 TGF-β1 생성량을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TGF-β1 생성 촉진율을 구하였다. 실험 결과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100%로 하였으며, 결과는 표 1에 정리하였다.
TGF-β1 생성 촉진율(%)= (A/B×100)-100
[A, 시료를 첨가한 세포 배양액의 TGF-β1 생성량; B,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TGF-β1 생성량]
시료 TGF-β1 생성량 TGF-β1 증가율
대조군 (무첨가) 127±17 pg/ml 100%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50ug/ml) 248±38 pg/ml 195%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25ug/ml) 227±19 pg/ml 179%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10ug/ml) 181±19 pg/ml 143%
표 1을 참조하면,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농도의존적으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TGF-β1의 생성을 촉진하며, 특히 50㎍/㎖에서는 TGF-β1의 생성을 95% 증가시키는 등 탁월한 효능을 보였다.
실험 2.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는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마르텐스의 방법(Martens MF, Huyben CM, Hendriks T., Collagen synthesis in fibroblasts from human colon: regulatory aspects and differences with skin fibroblasts. Gut 33:1664-1670, 1992)을 응용하였다. 즉,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우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 37℃, 5% CO2 조건하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2회 세척하였다. 1% 우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 위의 실시예 1에서 얻어진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0.001%로 처리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지한 아미노산(2,3-3H 프롤린) 2μCi, 아스콜빈산을 30㎍/ml 첨가하였다. 37℃, 5% CO2 조건하에서 24 시간 배양 후 배양을 종료하였다. 배양 종료 후 위의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 씩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콜라게나제를 처리한 후 TCA(trichloroacetic acid)로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생합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100%로 하였으며, 결과는 표 2 에 정리하였다.
시료 생합성된 콜라겐양(cpm) 증가율
대조군 (무첨가) 486± 82 100%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50ug/ml) 782±117 161%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25ug/ml) 630±121 130%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10ug/ml) 564± 93 116%
표 2를 참조하면,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농도의존적으로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실험 3. 세포이동( cell migration ) 평가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인간 섬유아세포에 스크래치(scratch)를 낸 후 본 발명의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이 스크래치된 세포 부위를 채우기 위해 이동하는 활성을 평가하는 실험실적 스크래치법(in vitro scratch assay; Nat. Protoc. 2007)를 이용해 실험하였다. 즉, 신생 남아에서 획득한 피부조직(foreskin)으로부터 초대 배양한 피부 섬유아세포를 10% 우태아혈청을 함유한 DMEM으로 배양하여 배양밀도가 80%에 도달하면 배지를 제거하고 현미경 하에서 황색팁(yellow tip)으로 스크래치를 내었다. 시험군의 경우 우태아 혈청이 배제된 DMEM에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50㎍/㎖를 첨가한 배지를, 대조군의 경우 우태아 혈청이 배제된 DMEM만을 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스크래치된 부분에서 일어나는 세포이동현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2, 도 3과 같다.
도면과 같이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함유한 시험군 세포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스크래치된 부분으로의 세포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4 및 비교예 1]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 (중량%) 비교예
(중량%)
1 2 3 4 1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
-디에틸 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바셀린
10
8
5
6
적량
to 100
1
8
5
6
적량
to 100
0.1
8
5
6
적량
to 100
0.01
8
5
6
적량
to 100
-
8
5
6
적량
to 100
[제조예 5~8 및 비교예 2]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제조예 (중량%) 비교예
(중량%)
5 6 7 8 1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
-스테아린산
-세탄올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향
-정제수
10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1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0.1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0.01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실험 4. 창상치유 효과 평가
상기 제조예 1-4 및 비교예 1의 연고제에 대하여 창상 치유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창상 치유효과 비교를 위하여 30마리의 뉴질랜드 백색 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의 등에 지름 조직절편 제작용 펀치(biopsy punch)로 창상 4곳을 만들고, 각 창상에 도포한 연고 내용물에 따라 5개의 실험군으로 분리하여 상기 제조예와 비교예의 제형을 하루 1g씩 도포하여 3주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후 0, 7, 14, 21일째 창상의 크기를 영상분석장치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창상수축률은 아래의 수학식 2에 대입하여 구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100%로 하였으며, 결과는 표 5에 정리하였다.
창상 수축률(%)= (A-B)/A×100
[A, 실험 개시시의 창상 면적; B, 측정일의 창상 면적]
시료 7일 14일 21일
제조예 1 37±8%* 65±9%* 82±4%*
제조예 2 32±6% 61±9% 79±5%*
제조예 3 30±7% 59±8% 76±6%*
제조예 4 27±5% 56±7% 75±4%*
비교예 1 25±5% 53±6% 66±4%
실험 결과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10% 포함한 제조예 1의 경우 실험개시 7일부터 의미 있는 수준의 우수한 창상 치유효과를 보이는 등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함유한 처방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창상 치유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은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은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이 인체섬유아세포의 세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스크래치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대조군 사진, 도 3은 시험군 사진이다.

Claims (10)

  1.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을 함유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의 건조분말을 0.01~1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개민들레 또는 버섯류에서 유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에서 TGF-β 생성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에서 세포 이동(cell migration)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4-(3,4-디하이드록시페닐)-3-부텐-2-온은 버섯을 파쇄하고, 100% 메탄올 추출하고, 농축한 후 80% 메탄올을 부가하여 추출하고, n-헥산 추출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한 후 30%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분획하고, 클로로포름 층을 취하여 0%, 40%, 60%, 80%, 100% 메탄올로 분획한 후 40% 메탄올 분획을 취하여 크로마토그래피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또는 에센스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80081652A 2008-08-21 2008-08-21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98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52A KR100998920B1 (ko) 2008-08-21 2008-08-21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52A KR100998920B1 (ko) 2008-08-21 2008-08-21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073A KR20100023073A (ko) 2010-03-04
KR100998920B1 true KR100998920B1 (ko) 2010-12-09

Family

ID=4217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652A KR100998920B1 (ko) 2008-08-21 2008-08-21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6424B (zh) * 2017-10-12 2022-06-14 四川好医生攀西药业有限责任公司 一类酚性化合物的制备方法及应用
WO2021118292A2 (ko) 2019-12-13 2021-06-17 서울대학교병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457562B1 (ko) 2019-12-13 2022-10-21 랩인큐브 주식회사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약학회지 Vol.38(2):164~169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073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5641A (ko)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의 화합물의 용도
KR20200088074A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6193975B1 (en) Use of potentilla erecta extract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2304B1 (ko)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KR100998920B1 (ko) 창상 치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8776B1 (ko)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773318B1 (en) Topical preparation containing ngf for inducing skin pigmentation and for the treatment of cutaneous dyschromias and vitiligo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53874B1 (ko) 데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3073B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627823B1 (ko) 우유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흉터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20220075109A (ko) 각질세포 단백질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75664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kunk cabbage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for wrinkle relief
KR102453894B1 (ko) 캄페롤 배당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2541402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EP3977978A1 (en) Intense skin hydr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80108253A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5A (ko) 파리신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9504B1 (ko) 사이토카인 조합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61084A (ko) 휴매닌 또는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28293A (ko) 3,4―디하이드록시벤조산 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