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019A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019A
KR20110118019A KR1020100037567A KR20100037567A KR20110118019A KR 20110118019 A KR20110118019 A KR 20110118019A KR 1020100037567 A KR1020100037567 A KR 1020100037567A KR 20100037567 A KR20100037567 A KR 20100037567A KR 20110118019 A KR20110118019 A KR 2011011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fixture
continuous
bon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342B1 (ko
Inventor
박광범
류경호
손규석
손준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8345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1801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0003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342B1/ko
Priority to PCT/KR2010/009603 priority patent/WO2011132843A2/ko
Priority to EP13173577.1A priority patent/EP2647349B3/en
Priority to ES10850326.9T priority patent/ES2567728T3/es
Priority to ES13173577T priority patent/ES2595034T7/es
Priority to PL13173577T priority patent/PL2647349T6/pl
Priority to CN201080066351.2A priority patent/CN102869313B/zh
Priority to PT131735771T priority patent/PT2647349T/pt
Priority to JP2013506059A priority patent/JP5913290B2/ja
Priority to EP10850326.9A priority patent/EP2561825B1/en
Priority to US13/642,570 priority patent/US10758325B2/en
Priority to CN201510608371.2A priority patent/CN105193513B/zh
Priority to LTEP13173577.1T priority patent/LT2647349T/lt
Priority to PL10850326.9T priority patent/PL2561825T3/pl
Publication of KR2011011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019A/ko
Publication of KR10113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4/877,176 priority patent/US9579167B2/en
Priority to JP2015219647A priority patent/JP6101772B2/ja
Priority to US16/907,167 priority patent/US116072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61C8/0071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with a self-locking taper, e.g. morse t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스템은, 제1 몸체부와, 제1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 및 제1 몸체부와 동일한 제2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제1 연속 나사부와는 상이한 외경을 갖는 제2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다양한 종류의 픽스츄어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치유 지대주(미도시)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임플란트의 한 구성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히 식립되어야만 한다.
이에,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 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나사산)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는 치조골에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임플란트 시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을 천공한 후, 천공된 홀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어 골융합이 진행되면 픽스츄어에 지대주를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인공치아를 씌우는 단계로 진행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시술 조건에 따라 픽스츄어는 그 사이즈(나사산의 최대 직경)가 서로 다른 것이 선택되어 사용되는데, 이때는 드릴 역시 서로 다른 것이 사용될 수밖에 없다. 통상적으로 사이즈가 큰 픽스츄어는 사이즈가 큰 드릴을 사용하고, 사이즈가 작은 픽스츄어는 사이즈가 작은 드릴을 사용한다. 이는 픽스츄어의 몸체부가 픽스츄어의 사이즈별로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처럼 픽스츄어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드릴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경우나, 또는 치조골에 이미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보다 큰 사이즈의 픽스츄어 식립을 위해 다시 천공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수밖에 없다. 특히, 초기 픽스츄어 식립이 실패한 경우 다음 픽스츄어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몸체부가 초기 픽스츄어와 다르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드릴로 다시 천공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을 종래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경우, 픽스츄어가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도록 나사부의 일정 구간을 단절시킨 후, 즉 나사부가 연속되지 않도록 단절시키고 이 영역에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를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나 이처럼 나사부를 단절시켜 형성한 커팅 에지부로 인해 오히려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그리고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있어서는, 나사부가 픽스츄어의 몸체부의 외면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홀의 입구가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등에 있어서 몸체부의 외면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나사부로 인해 홀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골(치조골)이 손상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픽스츄어에 형성되어 왔던 커팅 에지부로 인해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지는 현상을 저지시켜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픽스츄어처럼 몸체부의 외면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나사부로 인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홀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켜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동일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와는 상이한 외경을 갖는 제2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속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속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픽스츄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속 나사부로 인해 상기 제1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1 골 손상 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픽스츄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속 나사부로 인해 상기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2 골 손상 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속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곽라인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경사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과 상기 제2 연속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은 상호간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속 나사부 각각은, 수직 또는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되 식립 시의 저항 토크를 감소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픽스츄어는 상기 제1 골 손상 저지부의 반대편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진입 방향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픽스츄어는 상기 제2 골 손상 저지부의 반대편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부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진입 방향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1 골 손상 저지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동일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2 골 손상 저지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픽스츄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픽스츄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 나사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곽라인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경사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과 상기 제2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은 상호간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는 모두,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상에서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연속 나사부 및 제2 연속 나사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의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속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속 나사부로 인해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골 손상 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에서 상기 연속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골 손상 저지부의 반대편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곽라인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경사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속 나사부는, 수직 또는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되 식립 시의 저항 토크를 감소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선단부를 기준으로 그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곡면부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내부 영역에는 지대주(Abutment)가 결합되는 지대주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지대주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차로 함몰되는 1차 함몰부; 상기 1차 함몰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깊게 2차로 함몰 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2차 함몰부; 및 상기 2차 함몰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지대주의 결합을 위한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가 체결되는 스크루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골 손상 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의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내부 영역에는 지대주(Abutment)가 결합되는 지대주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지대주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차로 함몰되는 1차 함몰부; 상기 1차 함몰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깊게 2차로 함몰 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2차 함몰부; 및 상기 2차 함몰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지대주의 결합을 위한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가 체결되는 스크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픽스츄어에 형성되어 왔던 커팅 에지부로 인해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지는 현상을 저지시켜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픽스츄어처럼 몸체부의 외면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나사부로 인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홀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켜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사이즈의 치조골의 홀에 사이즈가 다른 4개의 픽스츄어가 식립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1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제1 픽스츄어의 사시도, 측면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픽스츄어 및 제2 픽스츄어의 연속 나사부 영역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9는 제1 픽스츄어에 결합될 수 있는 지대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동일한 사이즈의 치조골의 홀에 사이즈가 다른 4개의 픽스츄어가 식립된 상태의 이미지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1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먼저 참조하면, 잇몸(11)에는 많은 수의 치아(12)가 배열되어 있다. 치아(12)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위장으로 보내는 1차적 소화수단으로 사람마다 상이할 수는 있지만 보통 28개 정도가 갖춰진다.
이러한 치아(12)들 중에서 어느 한 치아(12)가 상실될 경우(구치부가 결손되는 경우), 상실된 치아(12)로 인해 심미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씹는데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실된 치아(12)의 잇몸(11)에 치아(12)의 치근(12a)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제1 픽스츄어(100)를 식립하게 된다.
물론, 제1 픽스츄어(100)의 사이즈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제1 픽스츄어(100)를 빼고, 그 자리에 제2 픽스츄어(200)를 식립하게 된다. 제1 픽스츄어(100)와 제2 픽스츄어(200)는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 Titanium) 또는 티타늄(Ti)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픽스츄어(100)와 제2 픽스츄어(200)는 필요에 따라 선택된 후에 잇몸(11) 내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데, 최초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을 위해 드릴 작업이 선행된다. 즉 치조골의 소정 위치에 드릴링된 홀(H, hole)이 가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스템은, 크게 2개의 제1 픽스츄어(100)와 제2 픽스츄어(2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픽스츄어(100)는 치조골에 형성된 홀(H, 도 3 참조)에 식립되며, 제2 픽스츄어(200)는 제1 픽스츄어(100)의 사이즈가 헐거울 때 제1 픽스츄어(100)를 빼고 그 자리에 그대로 식립된다. 물론, 동일한 조건으로 제2 픽스츄어(200)보다 사이즈가 큰 제3 픽스츄어(미도시), 제4 픽스츄어(미도시) 등이 해당 홀(H)에 식립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픽스츄어(100)가 식립되었던 그 자리에 별도의 드릴 가공 없이, 또한 주변의 치조골 손상 없이 제2 픽스츄어(200)가 식립되기 위해서는 제1 픽스츄어(100)와 제2 픽스츄어(200)가 일정한 공통 조건을 가져야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제1 픽스츄어(100)와 제2 픽스츄어(200)는 몇몇 부분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 픽스츄어(200)에 대한 구조 설명은 대체적으로 생략하는 대신 제1 픽스츄어(100)에 대한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필요에 따라 제1 픽스츄어(100)와 상이한 부분의 제2 픽스츄어(200)에 대해 해당 위치에서 부연하도록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제1 픽스츄어(100)는 최초의 임플란트 시술 시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시술 실패 시 손상된 부위에 소정의 골대체 재료를 보충하지 않고 해당하는 치조골에 직접 식립할 때 사용되는 응급용일 수도 있다. 이러한 사항은 제2 픽스츄어(200) 역시 동일하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제1 픽스츄어의 사시도, 측면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은 제1 픽스츄어 및 제2 픽스츄어의 연속 나사부 영역의 확대 구조도이며, 도 9는 제1 픽스츄어에 결합될 수 있는 지대주의 사시도이다.
도 1을 포함하여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스템의 한 구성을 담당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1 픽스츄어(100)는, 양단부에 제1 골 손상 저지부(170)와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가 형성되는 제1 몸체부(120)와, 제1 몸체부(12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연속 나사부(130)를 구비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스템의 한 구성을 담당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2 픽스츄어(200) 역시, 양단부에 제2 골 손상 저지부(270)와 제2 진입 방향 안내부(260)가 형성되는 제2 몸체부(220)와, 제2 몸체부(22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2 연속 나사부(23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제1 및 제2 몸체부(120,2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
우선, 제1 몸체부(120)는, 본 실시예의 제1 픽스츄어(100)에서 중심 스템(stem)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1 픽스츄어(100)가 식립되기 때문에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20)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된다. 이는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몸체부(220)에도 공통으로 적용된다.
실제,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픽스츄어의 몸체부(미도시)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직경이 모두 동일한 원기둥 타입의 일자형 구조였던 반면,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픽스츄어(100,200)에서 제1 및 제2 몸체부(120,220)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식립이 용이해진다.
이때, 제1 및 제2 몸체부(120,220)는 그 외면의 전 영역에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고, 혹은 일부 구간만이 테이퍼진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라면 도 1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몸체부(120,220)의 상단부에서 중앙 영역에 이르는 구간은 테이퍼진 기울기를 형성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마치 원기둥과 같은 직선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초기 식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 코너 영역에는 제1 베벨부(121)가 형성되다. 제1 베벨부(121)는 치조골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강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1 베벨부(121)가 형성된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 내부 영역에는 지대주(150, Abutment, 도 9 참조)가 결합되는 제1 지대주 결합부(140)가 마련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지대주(150)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지대주(150)는 절두원추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관통공(151a)이 형성되는 지대주몸체(151)와, 지대주몸체(15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1차 결합부(152)와, 1차 결합부(15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육각 형상의 2차 결합부(153)를 구비한다.
1차 결합부(152)는 후술할 지대주 결합부(140)의 1차 함몰부(141)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부분이고, 2차 결합부(153)는 지대주 결합부(140)의 2차 함몰부(142)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부분이다.
후술하는 것처럼 1차 함몰부(141)의 내벽은 테이퍼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 역시 그 외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2차 결합부(153)의 형상은 2차 함몰부(142)의 형상과 동일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의 지대주(150)가 결합되는 제1 지대주 결합부(140)는,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서 제1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차로 함몰되는 1차 함몰부(141)와, 1차 함몰부(141)의 타단부에서 제1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깊게 2차로 함몰되되 육각 형상을 갖는 2차 함몰부(142)와, 2차 함몰부(142)의 중앙 영역에서 제1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지대주(150)의 결합을 위한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 미도시)가 체결되는 스크루홈(143)을 구비한다.
1차 함몰부(141)는 지대주(150, 도 9 참조)의 1차 결합부(152)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때,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는 제1 픽스츄어(100)의 1차 함몰부(141) 내에서 강한 결합 또는 밀착 결합되어야 하는데, 강한 결합이 이루어져야 결합이 잘 풀리지 않게 되며, 또한 밀착 결합되어야 실링(sealing)이 됨으로써 감염의 우려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에, 1차 함몰부(141)의 내벽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의 경사 각도는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의 외면 경사 각도와 마찬가지로 2도 내지 6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범위로서 1차 함몰부(141)의 내벽을 가공하고 이 곳에 지대주(150)를 결합시키면 테이퍼진 1차 함몰부(141)에서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가 강한 결합 또는 밀착 결합될 수 있다.
2차 함몰부(142)는 1차 함몰부(141)를 통과한 지대주(150)의 2차 결합부(153)가 형상맞춤되게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50)의 2차 결합부(153)가 마치 육각 너트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되게 형상맞춤될 수 있도록 2차 함몰부(142) 역시 육각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처럼 2차 함몰부(142)가 육각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에 형상맞춤되게 지대주(150)의 2차 결합부(153)가 끼워지면서 결합됨으로써 지대주(15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루홈(143)은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 및 2차 결합부(153)가 지대주 결합부(140)의 1차 함몰부(141) 및 2차 함몰부(142)에 각각 끼워지면서 결합된 경우, 지대주(150)의 관통공(151a)을 통과한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 미도시)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스크루홈(143)은 지대주(150)의 관통공(151a)과 동일한 사이즈로 제작된다.
다음으로, 제1 몸체부(1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 골 손상 저지부(170)와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골 손상 저지부(170)는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1 픽스츄어(100)가 홀(H, 도 3 참조)에 식립될 때 제1 연속 나사부(130)로 인해 홀(H)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 골 손상 저지부(170)는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 외면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며,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제1 몸체부(120)에 일체로 형성되다. 특히, 제1 골 손상 저지부(170)는 도 5에 확대된 부분처럼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갖는다.
이처럼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에 제1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으로서의 제1 골 손상 저지부(170)가 마련되면, 종래처럼 제1 몸체부(120)의 일단부(도면상 상단부) 끝까지 형성되는 나사부(미도시)으로 인해 홀(H)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픽스츄어(200)에도 제1 골 손상 저지부(170)와 동일한 구조로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골 손상 저지부(270)가 형성된다.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제1 골 손상 저지부(170)의 반대편 제1 몸체부(120)의 타단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제1 몸체부(120)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제1 몸체부(120)의 선단부로부터 제1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제1 몸체부(120)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종래기술처럼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를 만들지 않고,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 영역까지 제1 연속 나사부(130)를 가공하게 되면 제1 연속 나사부(130)의 특성으로 인해 식립 진입 방향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연속 나사부(130)가 없는 비나사구간으로서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를 마련하면 적어도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만큼은 홀(H, 도 3 참조)로 그대로 삽입될 수 있어 식립 진입 방향이 틀어질 우려가 없으며, 이 상태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에 의존하여 제1 픽스츄어(100)를 식립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20)의 타단부(도면상 하단부) 영역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비나사구간은 제1 픽스츄어(100)의 제작 시 일체로 가공되도록 하여도 좋고, 제1 몸체부(120)의 외면 전영역에 제1 연속 나사부(130)를 만든 다음에 후가공을 통해 가공해도 좋다. 이러한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몸체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1 mm 내지 3 mm의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수평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제1 평탄부(161)와, 제1 평탄부(161)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반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162)와, 제1 경사부(162)와 제1 연속 나사부(130)를 연결하되 적어도 일 영역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1 만곡부(16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만곡부(163)와 제1 경사부(162)는 도면과 달리 하나의 아크(arc) 라인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픽스츄어(200)에도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와 동일한 구조로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진입 방향 안내부(260)가 형성된다.
한편, 제1 연속 나사부(130)는 제1 픽스츄어(100)가 나사 방식에 의해 식립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2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제1 픽스츄어(100)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는 단절되는 구간 없이 제1 몸체부(120)의 외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부연하면, 종래의 픽스츄어(미도시)의 몸체부 외면에는 나사부의 일정 구간을 단절시킨 후, 즉 나사부가 연속되지 않도록 단절시키고 이 영역에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를 하나 또는 다수 개 형성하였지만, 커팅 에지부의 날카로운 수직 선단부로 인해 오히려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질 우려가 높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제1 픽스츄어(100)에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가 없기 때문에 제1 몸체부(120)의 외면에는 단절되지 않은 연속된 제1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연속 나사부(130)로 인해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제1 연속 나사부(130)는 제1 골 손상 저지부(170)와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 영역을 제외하고 제1 몸체부(12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사항은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연속 나사부(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제1 연속 나사부(130)의 형상적 또는 구조적인 특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과 관련해서는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연속 나사부(230)와 비교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속 나사부(130)는 수직 또는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1 선단부(131a)와, 제1 선단부(131a)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 상부 곡면부(131b)와, 제1 선단부(131a)의 하면을 형성하는 제1 하부 곡면부(131c)를 구비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산의 형상,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의 형태는 통상적인 삼각나사나 사각나사의 형태에서 벗어나 제1 선단부(131a)를 기준으로 그 상면 및 하면이 직선이 아닌 볼록한 형태로 가공된다.
부연하면, 제1 선단부(131a)는 실질적으로 거의 수직인 직선형으로 마련되는데 반해, 제1 선단부(131a)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볼록한(다른 쪽에서 보면 오목한) 형태의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곡면부(131b,131c)를 형성한다. 물론,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곡면부(131b,131c)는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선단부(131a)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적 또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질 경우,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 시 저항 토크가 적게 걸려 식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곡면부(131b,131c)를 이루는 가상의 직선 라인(도 8의 점선 참조)이 상호 벌어진 각도(θ)는 대략 30도 정도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또한 위에서는 제1 상부 및 하제1 부 곡면부(131b,131c)가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다고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곡면부(131b,131c)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 하부 곡면부(131c)가 더 두꺼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곡면부(131b,131c)는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 시 저항 토크가 적게 걸려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므로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곡면부(131b,131c)의 상호 벌어진 각도, 그리고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곡면부(131b,131c)의 대칭 또는 비대칭 구조는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연속 나사부(230) 역시 전술한 제1 픽스츄어(100)의 제1 연속 나사부(1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연속 나사부(230) 역시 제2 선단부(231a)와, 제2 선단부(231a)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제2 상부 곡면부 및 제2 하부 곡면부(231c)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1 연속 나사부(130)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P)과 제2 연속 나사부(230)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P)은 상호간 동일하다. 그리고 제2 연속 나사부(230)의 단부 영역(도 8의 해칭된 부분, △H)은,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선단부(131a)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상면 또는 하면 곡면부(131b,131c)와 동일하게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제1 픽스츄어(100)가 식립되었던 그 자리의 홀(H, 도 3 참조)에 별도의 드릴 가공 없이, 또한 주변의 치조골 손상 없이 제2 픽스츄어(200)를 그대로 식립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외곽라인을 살펴보면 제1 골 손상 저지부(170) 쪽에서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에 이르도록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곽라인은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경사라인을 형성한다. 이러한 사항은 제2 연속 나사부(2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물론, 제1 연속 나사부(130) 및 제2 연속 나사부(230)의 외곽라인이 전 영역에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고, 혹은 일부 구간만이 테이퍼진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스템과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다시 정리하면, 제1 픽스츄어(100)와 제2 픽스츄어(200)는 대부분 공통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픽스츄어(100)의 제1 몸체부(120)와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몸체부(220)는 서로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170,270) 쪽에서 제1 및 제2 진입 방향 안내부(160,260)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렇지만 제1 픽스츄어(100)의 제1 연속 나사부(130)와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연속 나사부(230)를 비교해보면 제1 연속 나사부(130)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P)과 제2 연속 나사부(230)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P)은 상호간 동일하고, 제2 연속 나사부(230)의 단부 영역(도 8의 해칭된 부분, △H)이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선단부(131a)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상면 또는 하면 곡면부(131b,131c)와 동일하게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때문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픽스츄어(100)의 제1 몸체부(120)와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몸체부(220)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치조골에 홀(H, 도 3 참조)을 천공할 때 공용 드릴(미도시) 하나만 이용하면 된다.
또한 도 1에서, 공용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H, 도 3 참조)을 형성한 다음에 제1 픽스츄어(100)를 식립한 경우,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인 제2 픽스츄어(200)를 이미 천공되어 있는 홀(H, 도 3 참조)에 식립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 픽스츄어(100)의 제1 몸체부(120)와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몸체부(220)가 서로 동일하고, 제1 및 제2 연속 나사부(130,230)의 사이즈만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부연하면, 공용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H, 도 3 참조)을 천공한 후에, 직경 사이즈가 4.0 인 예컨대 제1 픽스츄어(100)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시술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직경 사이즈가 4.5 인 예컨대 제2 픽스츄어(200)를 식립하면 된다. 물론, 제2 픽스츄어(200)도 실패하면 직경 사이즈가 5.0 및 5.5인 제3 및 제4 픽스츄어(미도시)를 그 자리에 그대로 식립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토대로 임플란트 시술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정의 공용 드릴(미도시)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드릴 홈(H)을 형성한다. 이때, 드릴 홈(H)의 직경은 제1 몸체부(120)의 최대 직경 부분 폭 정도로 형성하면 된다.
다음, 식립위치에 먼저 제1 픽스츄어(100)를 배치하고 제1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의 드릴 홈(H)에 삽입하여 식립한다.
이처럼 제1 픽스츄어(100)를 식립하면, 우선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의 길이까지 홀(H, 도 3 참조)로 그대로 삽입될 수 있어 식립 진입 방향이 틀어질 우려가 없다. 다시 말해,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1 진입 방향 안내부(160)에 의해 식립의 방향이 잡아지면, 계속해서 제1 픽스츄어(100)를 회전시켜 가면서 식립한다. 그러면 제1 연속 나사부(130)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식립이 용이해지며, 식립이 완료되면 제1 픽스츄어(100)는 치조골에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된다. 이때, 제1 픽스츄어(100)의 일단부, 즉 도면상 상단부에 위치되는 제1 골 손상 저지부(170)로 인해 홀(H)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된다.
한편, 위와 같이 제1 픽스츄어(100)를 식립하고 일정 기간 기다리는 것이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경우에 따라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이 실패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인 제2 픽스츄어(200)를 이미 천공되어 있는 홀(H, 도 3 참조)에 위의 과정대로 식립하면 된다.
이는 계속 반복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픽스츄어(100)의 제1 몸체부(120)와 제2 픽스츄어(200)의 제2 몸체부(220)가 서로 동일하며, 특히 제1 연속 나사부(130)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P)과 제2 연속 나사부(230)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P)은 상호간 동일하고, 제2 연속 나사부(230)의 단부 영역(도 8의 해칭된 부분, △H)이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선단부(131a)에서 제1 연속 나사부(130)의 상면 또는 하면 곡면부(131b,131c)와 동일하게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만약,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이 실패 없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을 경우에는, 제1 픽스츄어(100)에 대한 골융합이 진행된 후에, 제1 픽스츄어(100)의 제1 지대주 결합부(140)에 지대주(150, 도 9 참조)를 결합시킨다.
우선 제1 지대주 결합부(140)에 지대주(150)를 결합시키면,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 및 2차 결합부(153)가 제1 지대주 결합부(140)의 1차 함몰부(141) 및 2차 함몰부(142)에 각각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이 경우, 지대주(150)의 2차 결합부(153)와 제1 지대주 결합부(140)의 2차 함몰부(142) 간의 결합에 의해 지대주(150)의 회전은 방지된다. 그리고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와 제1 지대주 결합부(140)의 1차 함몰부(141) 간에 강한 결합 또는 밀착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결합이 잘 풀리지 않아 유리할 뿐만 아니라 밀착 결합되어 실링(sealing)이 됨으로써 감염의 우려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지대주(150)의 1차 결합부(152) 및 2차 결합부(153)가 제1 지대주 결합부(140)의 1차 함몰부(141) 및 2차 함몰부(142)에 각각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나면 지대주(150)의 관통공(151a)으로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 미도시)를 삽입하여 스크루홈(143)에 체결함으로써 지대주(150)의 결합을 완료한다. 그런 다음에, 지대주(150)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은 완료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초기 제1 픽스츄어(100)의 식립이 실패하더라도 다시 천공 작업 없이 바로 다음 픽스츄어인 제2 픽스츄어(200)를 식립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임플란트 시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0,200)에 따르면, 종래의 픽스츄어에 형성되어 왔던 커팅 에지부(미도시)로 인해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지는 현상을 저지시켜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0,200)에 따르면, 종래의 픽스츄어처럼 몸체부의 외면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나사부(미도시)로 인해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홀(H, 도 3 참조)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켜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100,200 : 픽스츄어 120 : 몸체부
130 : 연속 나사부 140 : 지대주 결합부
150 : 지대주 160 : 진입 방향 안내부
161 : 평탄부 162 : 경사부
163 : 만곡부 170 : 골 손상 저지부

Claims (29)

  1.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동일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와는 상이한 외경을 갖는 제2 연속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속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속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스츄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속 나사부로 인해 상기 제1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1 골 손상 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픽스츄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속 나사부로 인해 상기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2 골 손상 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속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곽라인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경사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속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과 상기 제2 연속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은 상호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속 나사부 각각은,
    수직 또는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되 식립 시의 저항 토크를 감소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픽스츄어는 상기 제1 골 손상 저지부의 반대편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진입 방향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픽스츄어는 상기 제2 골 손상 저지부의 반대편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부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진입 방향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0.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1 골 손상 저지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동일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2 골 손상 저지부를 구비하는 제1 픽스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스츄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픽스츄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부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제1 나사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 나사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곽라인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경사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과 상기 제2 나사부의 나사산들 사이의 피치 간격은 상호간 동일하며,
    상기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는 모두,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상에서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연속 나사부 및 제2 연속 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의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골 손상 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17.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속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속 나사부로 인해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골 손상 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에서 상기 연속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상 저지부의 반대편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되며,
    상기 연속 나사부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곽라인은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경사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나사부는,
    수직 또는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되 식립 시의 저항 토크를 감소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는 상기 선단부를 기준으로 그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곡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내부 영역에는 지대주(Abutment)가 결합되는 지대주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대주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차로 함몰되는 1차 함몰부;
    상기 1차 함몰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깊게 2차로 함몰 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2차 함몰부; 및
    상기 2차 함몰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지대주의 결합을 위한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가 체결되는 스크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6.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가 식립되는 홀(hole)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골 손상 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외면의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상 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 내부 영역에는 지대주(Abutment)가 결합되는 지대주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대주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1차로 함몰되는 1차 함몰부;
    상기 1차 함몰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깊게 2차로 함몰 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2차 함몰부; 및
    상기 2차 함몰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지대주의 결합을 위한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가 체결되는 스크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100037567A 2010-04-22 2010-04-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KR10113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67A KR101134342B1 (ko) 2010-04-22 2010-04-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JP2013506059A JP5913290B2 (ja) 2010-04-22 2010-12-30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及びそれを備え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US13/642,570 US10758325B2 (en) 2010-04-22 2010-12-30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ES10850326.9T ES2567728T3 (es) 2010-04-22 2010-12-30 Sistema de implante dental
ES13173577T ES2595034T7 (es) 2010-04-22 2010-12-30 Elemento de fijación para un implante dental
PL13173577T PL2647349T6 (pl) 2010-04-22 2010-12-30 Element mocujący do implantu zębowego
CN201080066351.2A CN102869313B (zh) 2010-04-22 2010-12-30 牙科植体固定装置以及包含所述牙科植体固定装置的植体系统
PT131735771T PT2647349T (pt) 2010-04-22 2010-12-30 Elemento de fixação para um implante dentário
PCT/KR2010/009603 WO2011132843A2 (ko) 2010-04-22 2010-12-30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EP10850326.9A EP2561825B1 (en) 2010-04-22 2010-12-30 Dental implant system
EP13173577.1A EP2647349B3 (en) 2010-04-22 2010-12-30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CN201510608371.2A CN105193513B (zh) 2010-04-22 2010-12-30 牙科植体固定装置以及包含所述牙科植体固定装置的植体系统
LTEP13173577.1T LT2647349T (lt) 2010-04-22 2010-12-30 Danties implanto tvirtinimo įtaisas
PL10850326.9T PL2561825T3 (pl) 2010-04-22 2010-12-30 System implantu zębowego
US14/877,176 US9579167B2 (en) 2010-04-22 2015-10-07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15219647A JP6101772B2 (ja) 2010-04-22 2015-11-09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US16/907,167 US11607294B2 (en) 2010-04-22 2020-06-19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67A KR101134342B1 (ko) 2010-04-22 2010-04-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19A true KR20110118019A (ko) 2011-10-28
KR101134342B1 KR101134342B1 (ko) 2012-04-09

Family

ID=4483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567A KR101134342B1 (ko) 2010-04-22 2010-04-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758325B2 (ko)
EP (2) EP2647349B3 (ko)
JP (2) JP5913290B2 (ko)
KR (1) KR101134342B1 (ko)
CN (2) CN102869313B (ko)
ES (2) ES2595034T7 (ko)
LT (1) LT2647349T (ko)
PL (2) PL2561825T3 (ko)
PT (1) PT2647349T (ko)
WO (1) WO201113284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939A (ko) * 2018-04-06 2018-04-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42B1 (ko) * 2010-04-22 2012-04-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EP2497441B1 (en) * 2011-03-10 2016-03-09 Megagen 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System
ES2728135T3 (es) 2011-07-20 2019-10-22 Univ Brigham Young Materiales de hidrogel que incorporan un compuesto de elución de ceragenina
KR101470972B1 (ko) * 2012-11-01 2014-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제작 시스템
WO2014107740A2 (en) 2013-01-07 2014-07-10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reducing cellular proliferation and treating certain diseases
EP2970280B1 (en) 2013-03-15 2021-07-07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ion, autoimmune disorders and pain
US10568893B2 (en) 2013-03-15 2020-02-25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ion, autoimmune disorders and pain
US11524015B2 (en) 2013-03-15 2022-12-13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ion, autoimmune disorders and pain
US11690855B2 (en) 2013-10-17 2023-07-04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lung infections and inflammation
US20150203527A1 (en) 2014-01-23 2015-07-23 Brigham Young University Cationic steroidal antimicrobials
WO2015115692A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A2844321C (en) 2014-02-27 2021-03-16 Brigham Young University Cationic steroidal antimicrobial compounds
US10238665B2 (en) 2014-06-26 2019-03-26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fungal infections
US10441595B2 (en) 2014-06-26 2019-10-15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fungal infections
US10227376B2 (en) 2014-08-22 2019-03-12 Brigham Young University Radiolabeled cationic steroid antimicrobials and diagnostic methods
US10155788B2 (en) 2014-10-07 2018-12-18 Brigham Young University Cationic steroidal antimicrobial prodru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10370403B2 (en) 2015-04-22 2019-08-06 Brigham Young University Methods for the synthesis of ceragenins
US10226550B2 (en) 2016-03-11 2019-03-12 Brigham Young University Cationic steroidal antimicrobi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ermal tissue
KR101833388B1 (ko) 2016-12-22 2018-03-02 신세기메디텍(주) 임플란트용 픽스쳐
US10959433B2 (en) 2017-03-21 2021-03-30 Brigham Young University Use of cationic steroidal antimicrobials for sporicidal activity
KR102082120B1 (ko) * 2017-10-11 2020-02-28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2096885B1 (ko) * 2017-12-04 2020-04-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FR3075030B1 (fr) * 2017-12-18 2021-10-01 Anthogyr Sa Implant dentaire a penetration transmucosale partielle, et ensemble prothetique comportant un tel implant
KR101841747B1 (ko) * 2017-12-22 2018-03-23 왕제원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을 위한 방향확인 핀과 가이드 탭 드릴 키트
FR3085834B1 (fr) * 2018-09-14 2022-04-29 Euroteknika Systeme d'implants dentaire
USD1032849S1 (en) * 2021-10-07 2024-06-25 Truabutment Korea, Inc. Fixture for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569A (en) * 1977-10-19 1979-10-23 Star Dental Manufacturing Co., Inc. Dental pin
GB8625174D0 (en) * 1986-10-21 1986-11-26 Edwards Barry Noel Dental prostheses
US4904187A (en) * 1988-04-13 1990-02-27 Tri-Stage, Inc. Dental implant
DK0438048T3 (da) 1990-01-15 1994-06-20 Friatec Keramik Kunststoff Tandimplantat
US5209659A (en) * 1990-09-05 1993-05-11 Impla-Med Incorporated Method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US5116225A (en) * 1990-10-17 1992-05-26 Riera Juan C A Angulated abutment for osseointegrated implants
US5433606A (en) * 1993-07-28 1995-07-18 Core-Vent Corporation Interlocking, multi-part endosseous dental implant systems
US5342199A (en) * 1993-10-08 1994-08-30 Imtec Corporation Cylindrical dental implant
US5642996A (en) * 1993-10-20 1997-07-01 Nikon Corporation Endosseous implant
DE4342415C2 (de) 1993-12-13 1998-04-16 Haerle Anton Spannungsoptimiertes Gewindeprofil
US6406296B1 (en) * 1993-12-27 2002-06-18 Bio-Lok International, Inc. Implant with enlarged proximal segment
US6149432A (en) * 1993-12-27 2000-11-21 Biolok International, Inc. Buttress thread dental implant
IT1269482B (it) * 1994-01-26 1997-04-01 New Line Srl Impianto protesico per implantologia odontoiatrica
JP2837094B2 (ja) 1994-05-23 1998-12-14 神蔵 ▲つとむ▼ 歯科用インプラント構成体
JP3342960B2 (ja) * 1994-07-07 2002-11-11 根本企画工業株式会社 人工歯根
JP3101185B2 (ja) 1995-08-01 2000-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打ち込みボルト
SE507360C2 (sv) * 1996-09-24 1998-05-18 Nobel Biocare Ab Anordning vid system med sortiment av dentala skruvar samt sortiment av dentala skruvar
US5795160A (en) * 1997-02-06 1998-08-18 Hahn; Jack A. Tapered dental implant in a stepped orifice
US6332777B1 (en) 1997-05-24 2001-12-25 Franz Sutter Device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US6217331B1 (en) * 1997-10-03 2001-04-17 Implant Innovations, Inc. Single-stage implant system
US5967783A (en) 1998-10-19 1999-10-19 Ura; Robert S. Threaded dental implant with a core to thread ratio facilitating immediate load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NL1010409C2 (nl) * 1998-10-27 2000-05-03 Ronald Peter Joannes Wils Stelsel tandheelkundige implantaten alsmede daarvoor gebruikt tandheelkundig implantaat.
ATE197389T1 (de) * 1998-12-11 2000-11-11 Dinkelacker Wolfgang Zahnimplanta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U5615299A (en) * 1999-09-22 2001-04-24 Lipat Consulting Ag Screw-type intraossal dental implant
AR019513A1 (es) * 2000-03-21 2002-02-27 Levisman Ricardo IMPLANTE DE FIJACIoN.
ES2171112B1 (es) * 2000-03-22 2003-10-16 Micerium S R L Tornillo para implantes dentales.
FR2806903B1 (fr) * 2000-03-31 2003-05-02 Jean Claude Yeung Prothese dentaire
IT1314729B1 (it) * 2000-05-10 2003-01-03 Physioplant S R L Dispositivo protesico per impianti dentali intraossei
US6726689B2 (en) * 2002-09-06 2004-04-27 Roger P. Jackson Helical interlocking mating guide and advancement structure
US6402515B1 (en) * 2001-01-10 2002-06-11 Sulzer Dental Inc. Dental implant with variable profile thread
US6939135B2 (en) * 2002-06-03 2005-09-06 Schubert L. Sapian Growth factor releasing biofunctional dental implant
EP1524948B2 (de) * 2002-07-26 2018-05-02 Bredent Dentalgeräte und Materialien Fach- und Organisationsberatung Peter Brehm Dentalimplantat mit verankerungskopf und schraubkörper
IL156033A0 (en) *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US20050276676A1 (en) * 2004-06-15 2005-12-15 Ofer Mardinger Orthodpedic or dental device
WO2006011693A1 (en) 2004-07-27 2006-02-02 Jeil Medical Corporation Bone screw for medical treatments
KR100542043B1 (ko) * 2005-01-31 2006-01-10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
US7677891B2 (en) * 2005-02-01 2010-03-16 Implant Direct Int'l, Inc. Tapered endosseous dental implants with external multiple lead threads
ATE502596T1 (de) 2005-02-08 2011-04-15 Biotechnology Inst I Mas D Sl Schmales zahnimplantat und zugeordnete teile
US7396231B2 (en) * 2005-03-07 2008-07-08 Niznick Gerald A Flared implant extender for endosseous dental implants
ES2307352B1 (es) * 2005-04-12 2009-09-18 Bti, I+D, S.L. Implante dental y piezas destinadas a ser conectadas a un implante dental, y la conexion interna entre el implante dental y cada pieza.
JP2006296558A (ja) 2005-04-18 2006-11-02 Yoshioka:Kk 生体インプラント材
US8430668B2 (en) * 2005-06-17 2013-04-30 Zimmer Dental, Inc. Dental restorative system and components
ITMI20051207A1 (it) * 2005-06-27 2006-12-28 Dott Giorgio Lorenzon Struttura implantare per protesi dentaria
ATE474520T1 (de) * 2005-08-22 2010-08-15 Riemser Arzneimittel Ag Zahnimplantat
PT1931277E (pt) * 2005-09-02 2012-02-03 Dentsply Friadent Gmbh Implantes dentários para carga imediata
EP1792580A1 (en) * 2005-09-27 2007-06-06 Ziterion GmbH Two-part dental implants made of biocompatible ceramics
JP2007135751A (ja) 2005-11-16 2007-06-07 Gc Corp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0416306Y1 (ko) 2006-02-22 2006-05-12 (주)덴타임 치과용 임플란트
ES2315100B1 (es) * 2006-05-23 2010-01-05 Vogul, S.L. Implante dental de cono interno.
KR200429575Y1 (ko) * 2006-07-29 2006-10-25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의 내부결합형 픽스츄어
US20080187886A1 (en) * 2007-02-07 2008-08-07 Robb T Tait Dental implant with constant thread crest width
EP1967157A1 (en) * 2007-03-05 2008-09-10 Ziterion GmbH Hybrid two-part dental implant
US20080241790A1 (en) * 2007-03-30 2008-10-02 Gittleman Neal B CIP of Expanding Ball Lock Oral Prosthesis Alignment Apparatus
JP2008245994A (ja) 2007-03-30 2008-10-16 Tokyo Medical & Dental Univ 歯科用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US20080261174A1 (en) * 2007-04-23 2008-10-23 Gittleman Neal B Expanding Ball Lock Oral Prosthesis Alignment Apparatus
BRPI0809733B8 (pt) * 2007-04-17 2021-06-22 Indi Implant Systems Ug sistema de implante dentário
FR2915085A1 (fr) 2007-04-19 2008-10-24 Wai Ping Jean Claude Yeung Implants dentaires a visser muni d'une extremite de guidage
US8038442B2 (en) * 2007-04-23 2011-10-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ES2317789B1 (es) * 2007-10-02 2010-02-25 Francisco J. GARCIA SABAN Sistema de doble funcion para implantes dentales.
US8221119B1 (en) * 2007-10-09 2012-07-17 Maurice Val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ES2321573B1 (es) * 2007-12-07 2010-03-26 Juan Carlos Garcia Saban Implante dental post-extraccion.
WO2009097218A1 (en) 2008-01-28 2009-08-06 Biomet 3I, Llc Implant surface with increased hydrophilicity
KR20080033221A (ko) * 2008-03-26 2008-04-16 윤장훈 보조나사를 이용한 즉시 장착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US20090263763A1 (en) * 2008-04-16 2009-10-22 Shepard John S Denture Abutment & Retention System
US20090280454A1 (en) * 2008-05-11 2009-11-12 Raouf Hanna Dental Implant with Bone and Gingival Tissue Preservation Collar
US8758012B2 (en) * 2008-07-14 2014-06-24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act dental implant
CA2732090A1 (en) * 2008-07-24 2010-01-28 Pinchas Kfir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ation
KR100981719B1 (ko) * 2008-08-20 2010-09-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00119993A1 (en) * 2008-11-11 2010-05-13 Cagenix, Inc. Dental implant
US20100291507A1 (en) * 2009-05-13 2010-11-18 Custom Spine, Inc. Polyaxial Dental Implant
US8602782B2 (en) * 2009-11-24 2013-12-10 Zimmer Dental, Inc. Porous implant device with improved core
KR101134342B1 (ko) * 2010-04-22 2012-04-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US8998612B2 (en) * 2011-03-10 2015-04-07 Megagen 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939A (ko) * 2018-04-06 2018-04-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58325B2 (en) 2020-09-01
ES2567728T3 (es) 2016-04-26
US20200315748A1 (en) 2020-10-08
PL2561825T3 (pl) 2016-09-30
EP2647349B1 (en) 2016-09-14
ES2595034T7 (es) 2022-05-26
JP5913290B2 (ja) 2016-04-27
CN102869313A (zh) 2013-01-09
JP6101772B2 (ja) 2017-03-22
LT2647349T (lt) 2016-12-27
US20130040265A1 (en) 2013-02-14
JP2013524926A (ja) 2013-06-20
EP2647349B8 (en) 2016-12-07
EP2647349B3 (en) 2022-02-09
KR101134342B1 (ko) 2012-04-09
WO2011132843A3 (ko) 2011-12-22
EP2561825A4 (en) 2014-02-19
WO2011132843A2 (ko) 2011-10-27
CN102869313B (zh) 2016-09-14
PT2647349T (pt) 2016-10-28
PL2647349T6 (pl) 2022-07-04
CN105193513B (zh) 2017-12-26
EP2561825A2 (en) 2013-02-27
CN105193513A (zh) 2015-12-30
US11607294B2 (en) 2023-03-21
ES2595034T3 (es) 2016-12-27
US20160022384A1 (en) 2016-01-28
US9579167B2 (en) 2017-02-28
EP2561825B1 (en) 2016-03-23
EP2647349A3 (en) 2014-02-19
PL2647349T3 (pl) 2017-03-31
EP2647349A2 (en) 2013-10-09
JP2016047265A (ja)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34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KR10098171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TWI508707B (zh) 用於植牙之人工牙根
US20110294094A1 (en) Implant and method
KR10109231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JP6639286B2 (ja) 貫通固定される多数の義歯
US8998612B2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121914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23456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092310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500190B1 (ko) 보철물 어버트먼트, 임플란트와 내부 스크류 사이에 하이브리드 연결부 및 평행 이중 원뿔 로킹을 구비하는 고도의 셀프 태핑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20100090006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20046697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EP2497441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0429575Y1 (ko)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의 내부결합형 픽스츄어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RU2720486C2 (ru) Набор для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включающи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 протезные компоненты,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фиксации одиночного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в верхней и нижней челюстях пациента
KR2019004369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070022656A (ko) 나사조임식 에노살 치과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