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368A -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368A
KR20110117368A KR1020100036783A KR20100036783A KR20110117368A KR 20110117368 A KR20110117368 A KR 20110117368A KR 1020100036783 A KR1020100036783 A KR 1020100036783A KR 20100036783 A KR20100036783 A KR 20100036783A KR 20110117368 A KR20110117368 A KR 2011011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oil
hole
plate
b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식 filed Critical 김대식
Priority to KR102010003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7368A/ko
Publication of KR2011011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은 구이판이 안정되게 몸체부에 안착될 뿐만 아니라 구이 부재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안전하게 안내하여 기름 보관홈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원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요입홈이 각각 격벽을 사이에 두고 분할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통공을 커버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이부재가 올려 놓여지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진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통공과 요입홈 사이에는, 통공을 감싼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부재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통공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내부단턱과, 상기 내부단턱을 감싼 상태로 구이판재에 올려진 구이부재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받아 모아주는 기름 모음통로와, 상기 기름 모음통로의 바깥쪽에 돌출 형성되어 기름 모음통로에 모아진 기름이 각 요입홈 중 특정 요입홈으로만 안내되어 배출되게 하면서 다른 특정 요입홈으로는 배출되지 않게 막아줌과 함께 구이판이 동심원 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그 외곽둘레면 일부를 잡아주는 외부단턱이 구비된다.

Description

구이용 불판 {Grill for Rosting Meat}
본 발명은 육류나 어류와 같은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기로는, 구워지는 고기 자체의 기름이 구이용 불판에 형성된 부재료 보관홈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몸체부에 불판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숯불 등을 사용하여 육류나 어류 등을 굽는 구이용 불판은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의 한 예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위치된 금속제 원판의 상부면 일측에 구이 부재가 올려 놓여지고 열원의 가열에 의해 구이 부재가 구워지는 구이판(10)과, 상기 구이판(10)이 얹어 놓여지는 몸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11)는 중앙에 원판 형상의 통공(12)이 형성되고 통공(12)의 외곽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구이판(10)이 얹어 놓여지는 단턱부(13)와, 상기 단턱부(13)의 외측에 동심원상으로 2 개 이상 분할하여 형성된 부재료 보관홈(14,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이용 불판은 상기 몸체부(11)에 구이판(10)을 얹은 후, 상기 구이판(10) 위에 육류나 어류 등의 구이 부재(도시생략)를 올려놓고, 숯불이나 가스불을 열원으로 하여 상기 구이 부재를 구우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 부재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구이판(10)의 가장자리를 거쳐 몸체부(11)의 단턱부(13)를 통하여, 부재료 보관홈(14,15)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부재료 보관홈(14,15)에 놓여있는 마늘, 파, 양파 등의 부재료로 기름이 들어가서 이들 부재료를 지저분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판(10)은 몸체부(11)의 단턱부(13) 위에 얹어 놓여져야 하므로, 구이판(10)이 단턱부(13)에 올바르게 올려지기 힘들고, 굽는 도중에 구이판(10)이 미끄러져서 단턱부(13)를 벗어나게 되어 통공(12)을 통과한 열원의 열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닿게 되어 화상이나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구이판이 안정되게 몸체부에 안착될 뿐만 아니라, 구이판 위에 얹어 놓여진 구이 부재로부터 나오는 기름을 안전하게 안내하여 기름 보관홈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부에 원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요입홈이 각각 격벽을 사이에 두고 분할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통공을 커버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이부재가 올려 놓여지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진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통공과 요입홈 사이에는, 통공을 감싼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부재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통공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내부단턱과, 상기 내부단턱을 감싼 상태로 구이판재에 올려진 구이부재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받아 모아주는 기름 모음통로와, 상기 기름 모음통로의 바깥쪽에 돌출 형성되어 기름 모음통로에 모아진 기름이 각 요입홈 중 특정 요입홈으로만 안내되어 배출되게 하면서 다른 특정 요입홈으로는 배출되지 않게 막아줌과 함께 구이판이 동심원 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그 외곽둘레면 일부를 잡아주는 외부단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에 의하면, 구워지는 구이 부재 자체로부터 나오는 기름이 기름 모음통로를 통하여 기름 보관홈으로만 흘러 보관하게 되므로 부재료 보관홈에 보관되어 있는 부재료에 흘러넘쳐 섞이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구이판도 몸체부의 외부단턱에 의해 유동됨이 없도록 놓여지므로 구이판이 몸체부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되게 몸체부에 안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구이판과 몸체부를 분리하여 전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구이판과 몸체부를 결합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 - 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 - 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구이용 불판의 구이판과 몸체부를 분리하여 전개한 사시도, 및
도 6은 종래의 구이용 불판의 사용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은, 화기 발생 기구(도시하지 않음) 위에 위치하고, 상기 화기 발생기구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육류나 생선 등의 구이 부재를 요리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금속제 원판의 상부면의 일측에 육류나 생선 등의 구이 부재(도시 안됨)가 올려 놓여서 상기 열원의 가열에 의해 구이 부재가 구워지는 구이판(20)과, 상기 구이판(20)이 안정되게 얹어 놓여지는 몸체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이판(20)은 통상의 원판 형상의 구이판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통공(21)가 형성되고 통공(21) 사이에는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요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0)는 중심부에 화기 발생 기구의 열원이 통과될 수 있도록 원형의 통공(31)이 형성되어 있고, 통공(31)의 둘레에 따라 상기 통공(31)을 감싼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구이판(20)에 올려진 구이부재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통공(31)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내부단턱(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단턱(32)을 감싸도록 내부단턱(3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기름 모음통로(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름 모음통로(33)의 외측으로는 구이판(20)의 외곽 둘레면 일부를 잡아주어 상기 구이판(30)이 몸체부(30)에 유동없이 놓여지도록 외부단턱(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이판(20)은 저면이 내부단턱(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외곽둘레면이 상기 외부단턱(34)과 구이판(20) 사이에서 일정한 간극(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몸체부(30)에 올려진다.
상기 몸체부(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심원상으로 복수개의 요입홈(36)이 격벽(37)에 의해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입홈(36)이 4개가 마련되고, 상기 요입홈(36) 중, 2 개는 상기 기름 모음통로(33)와 소통되게 하여 기름 보관홈(36a)을 형성하고, 나머지 2 개는 상기 외부단턱(34)에 의해 상기 기름 모음통로(33)와 차단되게 하여 부재료 보관홈(36b)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름 모음통로(33)와의 소통은 외부단턱(34)에 의해 결정된다. 즉, 외부단턱(34)이 형성된 부분에 해당되는 요입홈은 기름 모음통로와의 소통이 단절되어 부재료 보관홈(36b)이 되고, 외부단턱(3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해당하는 요입홈은 기름 모음통로(33)와 소통되어 기름 모음통로(33)의 기름이 배출되도록 하는 기름 보관홈(36a)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은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에 구이판(20)을 안착시키면, 구이판(20)이 몸체부(30)의 구이판 안착부(35) 내에 동심원 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놓여지게 되고, 구이판 안착부(35)의 외부단턱(34)에 구이판(20)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면서 구이판(20)이 몸체부(30)를 이탈하여 벗어나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안착된다.
또한, 구이판(20)이 몸체부(3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이판(20)에 구이부재를 올려놓고 조리를 하게 되면, 조리과정에서 구이부재로부터 기름이 발생되는데, 이 기름은 구이판(20)을 따라 기름 모음통로(33)로 흘러내리게 되며, 기름 모음통로(33)으로 흘러 내린 기름들은 내부단턱(33)과 외부단턱(34)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다가 기름 보관홈(36a)으로 배출되어 모이게 된다.
이때, 마늘, 파, 양파 등의 부재료가 놓여 있는 부재료 보관홈(36b)은 상기 외부단턱(34)에 의해 상기 기름 모음통로(33)와 차단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름 보관홈(36a)와는 격벽(37)에 의해 격리되어 있으므로 부재료 보관홈(36b)으로 기름이 흘러들어가는 일은 없다.
20 : 구이판 30 : 몸체부
31 : 통공 21 : 개구부
22 : 요홈 32 : 내부단턱
33 : 기름 모음통로 34 : 외부단턱
35 : 구이판 안착부 36 : 요입홈
36a : 기름 보관홈 36b : 부재료 보관홈
37 : 격벽 40 : 간극

Claims (1)

  1. 중심부에 원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요입홈이 각각 격벽을 사이에 두고 분할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통공을 커버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지지되어 구이부재가 올려 놓여지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진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통공과 요입홈 사이에는, 통공을 감싼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부재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통공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내부단턱과, 상기 내부단턱을 감싼 상태로 구이판재에 올려진 구이부재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받아 모아주는 기름 모음통로와, 상기 기름 모음통로의 바깥쪽에 돌출 형성되어 기름 모음통로에 모아진 기름이 각 요입홈 중 특정 요입홈으로만 안내되어 배출되게 하면서 다른 특정 요입홈으로는 배출되지 않게 막아줌과 함께 구이판이 동심원 방향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그 외곽둘레면 일부를 잡아주는 외부단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KR1020100036783A 2010-04-21 2010-04-21 구이용 불판 KR20110117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83A KR20110117368A (ko) 2010-04-21 2010-04-21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83A KR20110117368A (ko) 2010-04-21 2010-04-21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68A true KR20110117368A (ko) 2011-10-27

Family

ID=4503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783A KR20110117368A (ko) 2010-04-21 2010-04-21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736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58B1 (ko) * 2012-03-26 2014-08-11 주식회사 이바돔 다용도 및 다기능 불판
KR20160008684A (ko) 2014-07-14 2016-01-25 임영석 명판이 구비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667013B1 (ko) * 2015-11-04 2016-10-17 윤명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80051989A (ko) * 2016-11-09 2018-05-17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ih)
KR20210090813A (ko) * 2020-01-13 2021-07-21 함필수 구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58B1 (ko) * 2012-03-26 2014-08-11 주식회사 이바돔 다용도 및 다기능 불판
KR20160008684A (ko) 2014-07-14 2016-01-25 임영석 명판이 구비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667013B1 (ko) * 2015-11-04 2016-10-17 윤명식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80051989A (ko) * 2016-11-09 2018-05-17 윤명식 인덕션 레인지용 불판(ih)
KR20210090813A (ko) * 2020-01-13 2021-07-21 함필수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7368A (ko) 구이용 불판
AU2017258917A1 (en) Grilling Oven
US1899682A (en) Gridiron
KR20140000916A (ko)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KR101297203B1 (ko) 직화구이기
US3228319A (en) Vertical broiler
KR20120077885A (ko) 직화구이용 불판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160122404A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147287B1 (ko) 튀김 기름용 여과장치
KR200375631Y1 (ko) 직화구이 불판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200196698Y1 (ko) 숯불구이용 로스터
US20090056559A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1775149B1 (ko) 고기구이판
JP6084736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及び網焼き器
JP3134472U (ja) 調理用具
JP6076650B2 (ja) 無煙ロースター
KR101453838B1 (ko)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KR20160086614A (ko) 석쇠형 불판
KR200332180Y1 (ko) 훈증기능의 배기부를 가지는 불판
KR101532039B1 (ko) 직화구이 장치
KR102432107B1 (ko) 구이용 불판
KR101251739B1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