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779A - 단자 피팅 - Google Patents

단자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779A
KR20110112779A KR1020110029625A KR20110029625A KR20110112779A KR 20110112779 A KR20110112779 A KR 20110112779A KR 1020110029625 A KR1020110029625 A KR 1020110029625A KR 20110029625 A KR20110029625 A KR 20110029625A KR 20110112779 A KR20110112779 A KR 2011011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stabilizer
stabilizers
terminal fitting
rear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523B1 (ko
Inventor
사토루 니시데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단자 피팅에 있어서 이물질이 인접 스태빌라이저들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단자 피팅(10)에 있어서는, 사각형 관부(11)가 와이어 접속부(12)의 앞에 설치되어 있고, 이 사각형 관부(11)를 구성하는 우측벽부(19; 벽부)로부터 연장되는 부재를 밀착되게 접음으로써 사각형 관부(11) 상에 형성되고, 리브 형태로 돌출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단판 형태의 진입 규제부(35)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단자 피팅{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단자 피팅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H11-219744호 공보에 개시된 단자 피팅에 있어서는, 와이어 접속부의 앞에 사각형 관부가 배치되고, 사각형 관부를 구성하는 벽부로부터 연장되는 판형부를 밀착되게 접음으로써, 리브와 유사하게 돌출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관부의 가장자리 라인에 형성되어 있다. 판형부를 밀착되게 접음으로써 스태빌라이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고 작업이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단자 피팅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스태빌라이저를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스태빌라이저의 길이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우수하고, 스태빌라이저를 형성할 때에 치수 정밀도가 높다.
특허문헌 : 일본 특허 공개 제H11-219744호 공보
그러나 2개의 스태빌라이저를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면, 이들 두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오목부가 존재하고, 이 오목부에 다른 부재가 걸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단자 피팅에 있어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접속부; 상기 와이어 접속부의 앞에 설치된 관부; 상기 관부의 벽부로부터 리브 형태로 돌출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단자 피팅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단판(單板)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진입 규제부가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이 제공된다.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들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려고 할 경우에도, 진입 규제부에 의해 이물질의 진입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스태빌라이저들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벽부로부터 연장되는 부재를 밀착되게 접음으로써 관부에 형성된다.
다른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 접속부; 상기 와이어 접속부의 앞에 설치된 사각형 관부; 상기 사각형 관부를 구성하는 벽부로부터 연장되는 부재를 밀착되게 접음으로써 상기 사각형 관부에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리브 형태로 돌출하는 복수의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단자 피팅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단판 형태의 진입 규제부가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진입 규제부는, 진입 규제부의 전후에서 이 진입 규제부에 인접하는 스태빌라이저와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다.
진입 규제부와, 진입 규제부의 전후에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서로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기 때문에, 진입 규제부가 보강되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벽부와는 별개의 다른 벽부의 측부 가장자리가, 상기 벽부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접촉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벽부의 측부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마주하고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는 외측으로부터, 관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에서,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벽부와는 별개의 다른 벽부의 측부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고, 마주하고 있기 때문에,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벽부 및 다른 벽부가 분리될 우려가 없으므로, 관부는 특정(미리 정해진 또는 미리 정해질 수 있는) 형상으로 유지된다.
특히,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복수의 단자 피팅을 번들 상태로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다른 단자 피팅의 스태빌라이저가 걸릴 가능성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입 규제부는 스태빌라이저 뿐 아니라, 상기 벽부에도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벽부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로부터의 상기 진입 규제부의 돌출 높이는, 스태빌라이저의 제1 평탄부(32)의 돌출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및/또는 스태빌라이저(31)의 전체 높이보다 짧다.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전방의 스태빌라이저의 치수와 후방의 스태빌라이저의 치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벽부의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탄부와, 제1 평탄부의 말단 가장자리에서 관부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부와, 실질적으로 굴곡부로부터 다른 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평탄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평탄부는 제1 평탄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평탄부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는 외측으로부터 다른 벽부와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사이에 작은 간극을 두고 다른 벽부와 실질적으로 마주한다.
특히, 상기 와이어 접속부와 관부 사이에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와이어 접속부의 기판부에 연결된 바닥벽부와, 바닥벽부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거나 및/또는, 와이어 접속부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단자 피팅에 있어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피팅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단자 피팅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단자 피팅의 부분 단면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단자 피팅이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선 Z-Z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단자 피팅(10)은 특히, 전반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길고 협소한 암형의 단자 피팅으로서, 그 전단 또는 전단 근처의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부(11)와, 후단 또는 후단 근처의 와이어 접속부(12)와,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부(11)와 와이어 접속부(12)를 결합하는 결합부(13)를 구비한다. 단자 피팅(10)은 특정(미리 정해진 또는 미리 정해질 수 있는) 형상으로 절삭되거나 펀칭 가공된 도전성(특히 금속) 판 재료에 벤딩, 폴딩 및/또는 엠보싱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와이어 접속부(12)는 특히, 와이어 배럴부(12F) 및/또는 이 와이어 배럴부(12F)의 후단에 연결된 절연 배럴부(12R)로 구성되거나, 이들 배럴부를 포함하며, 와이어 배럴부(12F)와 절연 배럴부(12R) 각각은, 기판부(14)(특히 실질적으로 양측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거나 기립하고 있는 한 쌍의 크림핑 부재(15)로 구성된 공지의 개방 배럴 형상을 갖는다. 와이어(40)의 전단부 또는 그 근방에서 노출된 코어(41)는 크림핑, 폴딩, 벤딩 또는 변형에 의해 와이어 배럴부(12F)에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고정되거나, 및/또는 절연 코팅(42)에 의해 덮인 영역에 있어서의 와이어(40)의 전단부는 크림핑, 폴딩, 벤딩 또는 변형에 의해 절연 배럴부(12R)에 고정된다.
결합부(13)는 와이어 접속부(12)의 기판부(14)에 연결된 바닥벽부(16)와, 바닥벽부(16)[특히 실질적으로 양측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거나 기립하고 있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측벽부(19)로 구성되거나, 이들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특히, 와이어 배럴부(12F)의 크림핑 부재(15)에 연결된다. 바닥벽부(16)로부터의 측벽(17)의 돌출 거리는 특히, 후술하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측벽부(19L, 19R)의 높이보다 짧다.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는 특히, 결합부(13)의 바닥벽부(16)에 연결된 하부벽부(18)와, 하부벽부(18)[특히, 양측의 좌측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돌출하거나 기립하고 있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측벽부(19L, 19R)와,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 형상을 갖도록 특히 좌우 측벽부(19L, 19R)의 상단 가장자리(연장 단부 가장자리) 사이에서 하부벽부(18)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부벽부(20)(박스형 또는 사각형 관부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구성하는 다른 벽부)로 구성되거나, 이들 벽부를 포함한다.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형성하는 하부벽부(18), 좌우 측벽부(19L, 19R) 및 상부벽부(20)는, 후술하는 끼워맞춤부(24), 내부벽부(25) 및 지지벽부(26)에 의해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 형상을 구성하거나 형성하도록 유지된다.
하부벽부(18)의 후단은 특히, 결합부(13)의 바닥벽부(16)와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으며, 좌우 측벽부(19L, 19R)의 후단은 결합부(13)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측벽(17)과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다. 하부벽부(18)로부터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측벽부(19L, 19R)의 돌출 거리가 특히 결합부(13)의 측벽(17)의 돌출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길기 때문에, 사각형 관부(11)의 후단부와 결합부(13)의 전단부 사이의 경계부는 단차지거나 또는 오프셋되어 있다. 뒤로부터 리테이너(54)가 결합되는 로킹부(21)는, 위와 같이 단차진 형상 또는 오프셋된 형상에 의해 사각형 관부(1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중앙보다 앞에 있어서 상부벽부(20)의 우측 가장자리의 영역은 위로부터 (특정 벽부로서의) 우측벽부(19R)의 상단면과 접촉하고 있다. 전후 방향으로 중앙보다 앞쪽에 또는 이 중앙에 인접하여 상부벽부(20)의 상면(외면)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부를 약간 오목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V" 또는 "U" 형상의 오목부(22)가 형성되고, 상부벽부(20)의 상면의 우측 가장자리부 중에서 적어도 오목부(22)에 의해 둘러싸이는 돌출부가 끼워맞춤 돌기(23)로서 작용한다. 우측벽부(19R)의 상단 가장자리(연장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대략 "V" 또는 "U" 형상의 끼워맞춤부(24)가 위로부터 이들 오목부(22) 및 끼워맞춤 돌기(23)에 결합된다. 상부벽부(20)는, 끼워맞춤부(24)의 결합에 의해, 우측벽부(198R)에 대해 상향으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좌측으로, 및/또는 우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전후 방향으로 중앙보다 뒤에 또는 중앙에 인접한 상부벽부(20)의 우측 가장자리의 영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벽부(19R)의 내면의 상단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벽부(25)는 상부벽부(20)의 우측 가장자리의 후단부로부터 우측벽부(19R)의 내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벽부(26)는, 내부벽부(25)의 하단 가장자리(연장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벽부(18)의 상면(내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좌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벽부(26)의 좌단 가장자리는 특히, 좌측벽부(19L)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지지벽부(26)의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로킹 돌기(27)는 좌측벽부(19L)의 로킹 구멍(28)과 맞물린다. 상부벽부(20)는, 이들 내부벽부(25)와 지지벽부(26)에 의해 좌우 측벽부(19L, 19R) 및 하부벽부(18)에 대하여 하향으로, 좌측으로 및/또는 우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탭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때에, 상대 수형 단자(도시 생략)의 탭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29)은, 하부벽부(18)로부터 간격을 두고, 지지벽부(26)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특히 캔틸레버 형태로)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전후 방향으로 중앙보다 약간 뒤에 또는 중앙 부근에 있어서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상부벽부(20)의 영역에는, (특히 대략 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된다. 유지 구멍 또는 오목부(30)가 상부벽부(20)의 외면(상면)으로부터 내면(하면)을 관통하고, 후술하는 로킹 랜스(52; locking lance)가 상기 유지 구멍 또는 오목부(30)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유지 구멍(30)의 위치는 특히, 상부벽부(20)의 상대 변위를 방지하도록 내부벽부(25)와 지지벽부(26)의 앞에 또는 이들 벽부에 인접해서, 및/또는 끼워맞춤부(24)의 뒤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단자 피팅(10)은 삽입측으로부터, 특히 대략 뒤로부터 커넥터 하우징(50)에 형성된 공동(5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공동(51)에는, 실질적으로 공동(51)의 상부벽면을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는] 로킹 랜스(52)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 랜스(52)는 통상, 로킹 랜스(52) 자체의 강성에 기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로킹 위치에 유지되어 있지만, 로킹 위치로부터 공동(51)의 위에 위치한 언로킹 위치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로킹 랜스(52)의 하면(내면)에 유지 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10)을 공동(5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유지 돌기(53)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상면(외면)과 간섭하여, 로킹 랜스(52)가 언로킹 위치로, 또는 언로킹 위치를 향하여 후퇴하거나 변위된다. 단자 피팅(10)이 적절하게 삽입되면, 로킹 랜스(5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유지 돌기(53)를 유지 구멍(30)에 결합시키고, 단자 피팅(10)은 이러한 로킹 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로킹 랜스(52)에 더하여 단자 피팅(10)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의 리테이너(54)는 특히, 커넥터 하우징(50)에 장착된다. 리테이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51)에 위치된 유지부(55)를 구비하고, 도 4에 도시된 완전 로킹 위치와 도 4에서 측방향으로 또는 상측으로 후퇴함으로서 도달되는 부분 로킹 위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또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어, 단자 피팅(10)을 공동(51) 내로 삽입할 수 있다. 단자 피팅(10)이 적절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리테이너(54)가 완전 로킹 위치를 향하여, 또는 완전 로킹 위치로 이동하면, 유지부(55)는 단자 피팅(10)의 로킹부(21)와 맞물리고, 단자 피팅(10)은 이러한 로킹 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에는, 단자 피팅(10)이 후술하는 커넥터 하우징(5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때에, 단자 피팅(10)이 부적절한 자세(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역전된 자세)로 원치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외면으로부터 리브 형태로 외측으로 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는 특히,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복수(예컨대 4개)의 코너 가장자리 중에서 실질적으로 상부 측방향 (우측) 코너 가장자리(36)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단자 피팅(10)이 적절한 자세로 공동(5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에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부(56)가 커넥터 하우징(50)에 있어서 공동(51)의 천장벽 또는 측방향 벽을 따라 형성된다.
스태빌라이저(31F, 31R)는 특히, 전후 방향으로 중앙보다 뒤에, 또는 중앙 부분에 인접한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영역[상부벽부(20)의 우단 가장자리가 우측벽부(19R)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태빌라이저(31F)는 전후 방향으로 유지 구멍(30)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후방 스태빌라이저(31R)는 전후 방향으로 내부벽부(25)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태빌라이저(31F, 31R)는, 측방향 (예컨대 우측의) 측벽부(19R)의 상단 또는 말단 가장자리(연장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또는 상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측방향 (우측의) 측벽부(19R)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제1 평탄부(32)와, 특히 대략 반원형의 원호를 형성하면서 제1 평탄부(32)의 상단 또는 말단 가장자리에서 좌측으로[(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굴곡부(33)와, 굴곡부(33)로부터 실질적으로 측방향 하향 또는 내측으로[또는 상부벽부(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평탄부(34)를 구비한다. 제2 평탄부(34)는 특히, 제1 평탄부(32)의 좌측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즉, 약간 경사지고) 및/또는 제2 평탄부(34)[스태빌라이저(31F, 31R)]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34E)(하단 가장자리)는 특히, 위로부터 또는 외측으로부터 상부벽부(20)의 우측 가장자리부의 상면(외면)과 접촉하고 있거나, 사이에 작은 간격을 두고 상면과 실질적으로 마주하고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면, 이들 두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에 오목부가 존재하고, 다른 부재가 이 오목부에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른 부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진입 규제부(35)가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에 일체로 또는 하나로 형성된다. 진입 규제부(35)는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형성되어 있는 측방향 (우측의) 측벽부(19R)의 상단 또는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상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특히 단판(單板)의 형태로 측방향 (우측의) 측벽부(19R)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진입 규제부(35)의 전단은 특히, 전방 스태빌라이저(31F)의 제1 평탄부(32)와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으며 및/또는 그 후단은 후방 스태빌라이저(31R)의 제1 평탄부(32)와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부(19R)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사각형 관부(11)의 상면]로부터의 진입 규제부(35)의 돌출 높이는 특히,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제1 평탄부(32)의 돌출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전체 높이[굴곡부(33)의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보다는 짧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전방의 스태빌라이저(31F)의 치수와 후방의 스태빌라이저(31R)의 치수는 특히 대략 동일하거나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두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의 거리는 특히, 전후 방향으로 하나의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길이보다 짧다. 달리 말하면, 전후 방향으로 진입 규제부(35)의 길이는 특히 하나의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의 거리는, 전후 방향으로 리테이너(54)의 유지부(55)의 길이보다 짧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자 피팅(10)에 있어서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가 와이어 접속부(12)의 앞에 설치되어 있고, [특히,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형성하는 측방향 (우측의) 측벽부(19R)로부터 연장되는 판부를 밀착하게 접음으로써 형성되는] 리브 형태로 돌출하는 2개의 전방 및 후방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가장자리 라인(36)]에 배치되어 있다.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형성하는 측방향 (우측의) 측벽부(19R)로부터 (특히 단판의 형태로) 연장되는 진입 규제부(35)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에 형성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이물질이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로 진입하려고 해도, 진입 규제부(35)에 의해 진입이 규제되므로, 이물질이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입 규제부(35)는 특히, 진입 규제부(35)의 전후에 이들 진입 규제부에 인접하는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제1 평탄부(32)와 실질적으로 연속되고 동일 평면에 있기 때문에, 진입 규제부(35)가 보강되어 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특히 진입 규제부(35)가 스태빌라이저(31F, 31R) 뿐 아니라, 측방향 (우측의) 측벽부(19R)에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진입 규제부(35)의 강도는 더욱 높아진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에 걸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진입 규제부(35)가 단판의 형태이고 구부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자 피팅(10)을 그만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우측벽부(19R)와는 별개의 벽부로서의 상부벽부(20)의 우측 가장자리를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연장되는 우측벽부(19R)와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접촉하게 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배치되어 있는 가장자리 라인(36)이 형성되고,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34E)는 외측으로부터 측방향 벽부 또는 상부벽부(20)의 측방향 (우측의) 가장자리부와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접촉하거나 인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벽부(20)가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34E)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압박되면, 상부벽부(20)가 상향으로 변위되어 가장자리 라인(36)에 간극을 형성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가 특정의 형상으로 유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스태빌라이저(31F)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34E)는, 유지 구멍(30)의 형성으로 인하여 강성이 약화되는 상부벽부(20)의 영역을 유효하게 압박한다.
또한, 특히 전후 방향으로 스태빌라이저(31F, 31R)의 길이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복수의 단자 피팅(10)을 번들 상태로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 다른 단자 피팅(10)의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에 걸릴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단자 피팅에 있어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들 사이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 피팅(10)에 있어서, (특히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11)가 와이어 접속부(12)의 앞에 설치되고, 리브 형태로 돌출하며, 관부(11)의 일부를 형성하는 측방향 (우측의) 측벽부(19R)(벽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밀착하게 접음으로써 관부(11)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단판 형태의 진입 규제부(35)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31F, 31R) 사이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히 진입 규제부와 진입 규제부의 전후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실질적으로 연속되어 있고 서로 동일 평면에 있지만, 이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그 대신에 진입 규제부와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작은 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태빌라이저의 제1 및 제2 평탄부 중에서 베이스측의 제1 평탄부가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벽부(우측벽부)와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지만, 제1 평탄부는,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벽부(우측벽부)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2개 또는 그 이상의 진입 규제부가 설치될 수 있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진입 규제부와 진입 규제부의 전후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가 공통의 벽부(우측벽부)로부터 연장되고 있지만, 이들이 서로 다른 벽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진입 규제부가 이웃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웃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복수의 진입 규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태빌라이저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는 외측으로부터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구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에서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벽부(우측벽부)와 상이한 다른 벽부(상부 벽부)의 측부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마주하고 있지만, 연장 단부 가장자리가, 스태빌라이저가 연장되는 다른 벽부(우측벽부)와는 별개의 벽부(상부벽부)의 측부 가장자리부로부터 큰 거리를 두고 있거나 및/또는 실질적으로 마주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벽부(상부벽부)와 실질적으로 마주하지 않을 수도 있다.
(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태빌라이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 사이의 거리보다 길지만, 스태빌라이저의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도 있다.
(8)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태빌라이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으로 진입 규제부의 길이보다 길지만, 스태빌라이저의 길이는 진입 규제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도 있다.
(9)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으로 전방의 스태빌라이저의 치수와 후방의 스태빌라이저의 치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이들 치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10)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의 외면(가장자리 라인)으로부터의 진입 규제부의 돌출 거리가 스태빌라이저의 돌출 거리보다 짧지만, 스태빌라이저의 돌출 거리와 동일할 수도 있다.
(1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진입 규제부가 실질적으로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구성하는 우측벽부로부터 연장되고 있지만, 진입 규제부가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를 구성하는 벽부로부터 연장되지 않고 스태빌라이저와 연속적으로 되기만 할 수도 있다.
(1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대 단자의 탭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에 삽입되는 암형 단자 피팅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탭을 갖는 수형 단자 피팅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 단자 피팅
11 : 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부(관부)
12 : 와이어 접속부
19R : 우측벽부(벽부)
20 : 상부벽부(다른 벽부)
31F : 전방 스태빌라이저
31R : 후방 스태빌라이저
34E : 연장 단부 가장자리
35 : 진입 규제부
36 : 가장자리 라인

Claims (13)

  1. 와이어 접속부(12);
    상기 와이어 접속부(12)의 앞에 설치된 관부(11);
    상기 관부(11)의 벽부(19R)로부터 리브 형태로 돌출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스태빌라이저(31)
    를 포함하는 단자 피팅(10)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31) 사이에 단판(單板)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진입 규제부(35)가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태빌라이저(31)는, 상기 벽부(19R)로부터 연장되는 부재를 밀착되게 접음으로써 관부(11)에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규제부(35)는, 진입 규제부(35)의 전후에서 이 진입 규제부(35)에 인접하는 스태빌라이저(31)와 연속하고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인 단자 피팅.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31)가 연장되는 벽부(19R)와는 별개의 다른 벽부(20)의 측부 가장자리가, 상기 벽부(19R)와 직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인 단자 피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31)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34E)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벽부(20)의 측부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고, 마주하는 것인 단자 피팅.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3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태빌라이저(31)들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인 단자 피팅.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규제부(35)는 스태빌라이저(31) 뿐 아니라, 상기 벽부(19R)에도 연결되는 것인 단자 피팅.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19R)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로부터의 상기 진입 규제부(35)의 돌출 높이는, 스태빌라이저(31)의 제1 평탄부(3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구성과, 스태빌라이저(31)의 전체 높이보다 짧은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단자 피팅.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전방의 스태빌라이저(31F)의 치수와 후방의 스태빌라이저(31R)의 치수는 동일한 것인 단자 피팅.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3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벽부(19R)의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평탄부(32)와, 제1 평탄부(32)의 말단 가장자리에서 관부(11)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부(33)와, 굴곡부(33)로부터 다른 벽부(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평탄부(34)를 구비하는 것인 단자 피팅.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탄부(34)는 제1 평탄부(32)와 평행한 구성과, 상기 제2 평탄부(34)의 연장 단부 가장자리(34E)는 외측으로부터 다른 벽부(20)와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사이에 작은 간극을 두고 다른 벽부(20)와 마주하는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단자 피팅.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접속부(12)와 관부(11) 사이에 결합부(13)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는, 와이어 접속부(12)의 기판부(14)에 연결된 바닥벽부(16)와, 바닥벽부(16)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돌출하는 구성과, 와이어 접속부(1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15)에 연결되는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갖는 것인 하나 이상의 측벽부(17)를 갖는 것인 단자 피팅.
KR1020110029625A 2010-04-07 2011-03-31 단자 피팅 KR101202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8527 2010-04-07
JP2010088527A JP5510010B2 (ja) 2010-04-07 2010-04-07 端子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79A true KR20110112779A (ko) 2011-10-13
KR101202523B1 KR101202523B1 (ko) 2012-11-16

Family

ID=4406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625A KR101202523B1 (ko) 2010-04-07 2011-03-31 단자 피팅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66494B2 (ko)
EP (1) EP2375507B1 (ko)
JP (1) JP5510010B2 (ko)
KR (1) KR101202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8785B2 (ja) * 2011-04-20 2015-10-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電線カバー構造
JP2013143303A (ja) * 2012-01-11 2013-07-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雌型端子
JP5955448B2 (ja) 2013-02-12 2016-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01940B2 (ja) 2013-11-13 2017-09-2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6132207B2 (ja) 2014-03-13 2017-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US9780477B1 (en) * 2016-06-01 2017-10-03 Lear Corporation Box terminal with insertion limiter
JP2018010818A (ja) * 2016-07-15 2018-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構造
DE102016125764A1 (de) * 2016-12-28 2018-06-28 Lear Corporation Zweistückige elektrische clean-body-anschlussbuchse
DE112018000476B4 (de) * 2017-01-23 2023-06-15 Molex, Llc Elektrischer Anschlusskontakt und Verbinderanordnung damit
WO2018172406A1 (de) * 2017-03-22 2018-09-27 Hirschmann Automotive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JP6979314B2 (ja) * 2017-09-20 2021-12-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089834A (ja) * 2019-12-04 2021-06-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N112467494B (zh) * 2020-12-14 2022-02-08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汽车连接器端子折弯裁切机
EP4268330A1 (en) * 2020-12-22 2023-11-01 Molex, LLC Electrical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56Y2 (ko) * 1986-09-29 1991-03-07
JP3724610B2 (ja) * 1996-10-21 2005-12-0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のカバー
DE69804938T2 (de) * 1997-02-10 2002-11-14 Whitaker Corp Einstückiges polarisiertes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JPH11219744A (ja) 1997-11-25 1999-08-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防水コネクタ
JP3936465B2 (ja) * 1998-03-27 2007-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JP2000215941A (ja) * 1999-01-26 2000-08-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2重係止コネクタ
JP2002100434A (ja) * 2000-09-26 2002-04-0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DE10161514B4 (de) * 2000-12-18 2007-04-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Anschlussbuchse
DE10163307A1 (de) * 2000-12-25 2003-05-15 Sumitomo Wiring Systems Anschlußpaßstück und Verbinder
JP4273681B2 (ja) * 2001-08-28 2009-06-0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069780B2 (ja) * 2003-03-28 200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79042B2 (ja) * 2003-06-11 2008-04-2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238746B2 (ja) * 2004-03-09 2009-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56567B2 (ja) * 2004-09-09 2009-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16321A (ja) * 2005-02-02 2006-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456494B2 (ja) * 2005-02-02 2010-04-2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552781B2 (ja) * 2005-07-05 2010-09-2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7280850A (ja) * 2006-04-10 2007-10-2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5105170B2 (ja) * 2008-01-17 2012-1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22213A (ja) 2011-11-04
US8366494B2 (en) 2013-02-05
EP2375507A1 (en) 2011-10-12
JP5510010B2 (ja) 2014-06-04
EP2375507B1 (en) 2015-12-02
US20110250805A1 (en) 2011-10-13
KR101202523B1 (ko)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523B1 (ko) 단자 피팅
US8348707B2 (en) Terminal fitting
US7938695B2 (en) Terminal fitting
JP4574692B2 (ja) 電気コネクタ
US7938694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with the connector terminal
US7204728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CN108376851B (zh) 带止动件的连接器
US8740645B2 (en) Terminal fitting
KR101221769B1 (ko)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136300A1 (en) Stacked connector
US7101233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US7001214B2 (en) Connector
CN110581370B (zh) 端子和连接器
US7361066B2 (en) Terminal fitting and a blank therefor
US6585544B2 (en) Terminal fitting
JP7256961B2 (ja) コネクタおよび端子金具
EP1391970B1 (en) A connector
JP6447272B2 (ja) 端子金具
JP5272934B2 (ja) コネクタ
JP7216896B2 (ja) 雄端子、および雄コネクタ
US7455551B2 (en) Connector housing
JP5836623B2 (ja) コネクタ
US11728589B2 (en) Connector
CN115443582A (zh) 阴端子零件
CN115332857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