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107A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107A
KR20110108107A KR1020100027418A KR20100027418A KR20110108107A KR 20110108107 A KR20110108107 A KR 20110108107A KR 1020100027418 A KR1020100027418 A KR 1020100027418A KR 20100027418 A KR20100027418 A KR 20100027418A KR 20110108107 A KR20110108107 A KR 2011010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arts
methacr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210B1 (ko
Inventor
정헌규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2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21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N,N'-1,6-헥산디일비스(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벤젠프로판아미드와 2,4-비스(1,1-디메틸에틸)페놀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조성물은 장시간 고온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물성 변화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전기, 전자 통신용 부품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POLYAMID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고온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물성 변화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전기, 전자 통신용 부품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통신용 부품, 특히 전선(electric wire)은 적용되는 분야의 특성상 다양한 조건의 외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에, 온도, 수분 또는 빛 등에 의하여 피복된 수지가 분해될 수 있고,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전선 자체에 파손이 생길 수 있다. 종래의 전선은 구리선, 알루미늄선 또는 은선 등의 도체 선을 에나멜, 고무 또는 비닐 등의 절연체로 코팅하여 제조되었으나, 이러한 전선은 충분한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갖지 못하였으며, 고온환경에서 내아크성 및 전기절연성이 떨어지고,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접착성 및 기계적 내구성이 저하되어 코팅 피복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전선 코팅 재료가 제안되어 왔다. 특히 폴리아미드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범용수지에 비해 내열성 또는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내오일성 또는 내약품성 등의 화학적 성질도 우수하고, 각종 첨가제를 보강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조성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전선 코팅 재료로서 사용이 제안되었다.
다만, 폴리아미드 수지 자체만으로는 전선 코팅용 소재로서 요구되는 물성, 예를 들어, 내열성, 내마모성, 유연성, 내가솔린성 또는 내충격성 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소제, 내충격제, 내열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거나 가공온도 조건을 조절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가소제 또는 내충격제 등을 첨가하면 수지의 유연성은 증가되나 장기내열성이 떨어지고, 내충격제를 첨가하면 수지의 유연성 또는 내열성이 떨어졌으며, 이들을 혼합하여도 상승효과가 미미하거나 하나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폴리아미드 수지 자체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내충격성, 장기내열성 및 유연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 코팅용 재료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장시간 고온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물성 변화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전기, 전자 통신용 부품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0.2 내지 7중량부; 및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나일론6, 나일론66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상대 점도 2.5 내지 3.5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를 1:2 내지 2: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형제, 내열 보완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초기 인장 강도가 500 내지 800㎏/㎠이고, ASTM D638에 의거하여 150oC에서 200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한 인장 강도가 상기 초기 인장 강도의 90% 이상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초기 인장 신도가 100 내지 200%이고, ASTM D638에 의거하여 150oC에서 200시간 방치한 후의 측정한 인장 신도가 상기 초기 인장 신도의 60% 이상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STM D256에 의한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Notched, 23±2℃)가 13 내지 70 Kgㆍcm/cm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선 코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선 피복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수지;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N,N'-Hexane-1,6-diyl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e)]}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의 혼합물;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건물의 내,외장 또는 발열선 등의 분야에 사용되는 전선은 고온 다습한 외부 환경이나 오일 또는 가솔린 등의 유기 용매에 장시간 노출될 수 있고, 설치 또는 유지 과정에서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마모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오일성 및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설치되어 있어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장기내열성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 코팅용 폴리아미드 수지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적정한 물성을 갖지 못하였고, 폴리아미드 수지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를 적용하는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상기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오일성 및 장기 내열성 등의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키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미드 수지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특정의 내열제 및 내충격제, 즉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장시간 고온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물성의 변화를 거의 일으키지 아니하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전기, 전자 통신용 부품 분야, 특히 가혹한 조건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전선의 코팅 재료로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아미드(amide) 그룹(-CONH-)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의미하는데,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나일론 6, 나일론66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2.5 내지 3.5의 상대점도(20℃ 96% 황산 100 ㎖ 중 수지성분 1 g)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상대점도가 2.5 미만이면 강성,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5를 초과하면 성형기 내에서의 스크류와 수지간의 과다한 마찰열이 발생하고 수지가 분해되거나 성형을 위해 고압의 압력이 필요하게 되어 성형기와 금형에 무리를 발생시켜 사출성형이 어려워질 수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폴리 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후술하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와 함께 적용되어 장기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는 하기 화학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pat00001
또한, 상기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또는 2,4-비스(1,1-디메틸에틸)페놀 포스파이트 [2,4-bis(1,1-dimethylethyl)phenol phosphate])는 하기 화학식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2]
Figure pat00002
한편, 상기 혼합물은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를 1:2 내지 2:1의 중량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율이 1:2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 시 폴리머의 분해가 일어날 수 있으며, 2:1 초과인 경우에는 장기 내열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장기내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7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어도 내열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적용되는 사출 성형 단계에서는, 고온에서 휘발한 가스에 의하여 발생한 열 분해물이 금형에 부착되어 최종 제품의 이형성 또는 표면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적용하면, 최종 제품의 내충격성 및 장기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사출 성형 과정에서 원료의 유연성 및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우수한 품질의 최종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는 0.95 내지 0.97g/㎤의 밀도(ASTM D79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는 70 내지 90wt%의 폴리에틸렌과 10 내지 30wt%의 메타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과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크릴산은 아연(Zinc)에 의하여 중화(neutralized)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Surlyn 9020(Dupont) 등이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3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충격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15 중량부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장기내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충격성, 유연성 및 장기내열성 등의 물성이 향상되는 정도가 미미한데 반하여, 함께 적용되는 경우 장기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이형제, 내열 보완제,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로는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몬탄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내열 보완제로 Cu계 또는 K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안료로는 색상에 따른 필요에 따라 통상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험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500 내지 800㎏/㎠의 초기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150oC에서 200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한 인장 강도가 상기 초기 인장 강도의 9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100 내지 200%의 초기 인장 신도를 가질 수 있으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150oC에서 200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한 인장 신도가 상기 초기 인장 신도의 6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13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Kgㆍcm/cm의 ASTM D256에 의한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Notched, 23±2℃)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하여도 인장 강도 및 인자 신도가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기 때문에, 전선 코팅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240 내지 265℃에서 용융 혼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의 온도가 240℃미만인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의 녹는점과 거의 유사해져 용융 혼련이 충분히 일어날 수 없고, 265℃초과인 경우에는 첨가제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가 열분해 되거나 휘발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이 불투명해져서 품질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융 혼련 방법 및 기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용융 혼련에 사용되는 기기의 구체적인 예로 1축 또는 2축 스크류 압출기가 있으며, 이러한 압출기는 원료의 균일한 혼련을 위하여 2 이상의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투입구를 구비한 1축 또는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는 경우, 제1투입구로는 폴리아미드 수지 및 내열제를 투입하고, 제2 투입구로는 내충격제를 투입하는 것이 압출기 내에서 스크류의 쉐어에 의한 균일한 혼련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용융 혼련 시 첨가제의 휘발을 줄이고 조성물의 물성을 최대화하며 최종 제품의 투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압출기 등의 기기 내에서의 체류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형제, 내열 보완제,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1차 투입구를 통해 첨가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및 후술하는 실험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되어도 인장 강도 및 인장 신도의 물성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높은 장기내열성을 갖으며 매우 우수한 내충격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이용한 성형품, 특히 전선 코팅 재료는 현저히 우수한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고온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물성 변화가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전기, 전자 통신용 부품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11
240~265℃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의 1차 원료 투입구에, 나일론 6수지(상대점도 2.75),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내열제(BB98240, 미원), 내충격제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Surlyn 9020, Dupont) 및 이형제인 스테아르산 칼슘을 하기 표1의 조성으로 투입하고, 열용융 혼련 공정을 통해 폴리 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용융 혼련 후,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칩 상태로 만들어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8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1에 성분별 함량을 조절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칩상태로 만들어 건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조성
구분 성분별 함량(중량부)
Nylon 6 내열제 내충격제 이형제
실시예1 100 0.5 7 0.3
실시예2 100 0.5 5 0.3
실시예3 100 1 5 0.3
실시예4 100 2 5 0.3
실시예5 100 0.5 10 0.3
실시예6 100 0.5 15 0.3
실시예7 100 0.5 10 0.1
실시예8 100 0.5 10 0.5
실시예9 100 0.5 10 1
실시예10 100 5 5 0.3
실시예11 100 5 10 0.3
비교예1 100 1 0 0.3
비교예2 100 0 7 0.3
< 실험예 : 장기내열성 및 충격강도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1 : 장기내열성 측정실험
ASTM D638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1내지 11 및 비교예 1내지 2에서 얻어진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측정용 1/8인치 덤벨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시편의 초기 물성값을 측정한 후, 상기 시편을 UL오븐(TOYOSEIKI 사)에 넣고 150oC에서 200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리고, 50mm/분의 측정속도로 상기 시편의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값을 측정하여 장기내열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예2 : 충격강도 측정실험
ASTM D256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1내지 11 및 비교예 1내지 2에서 얻어진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1/4인치 시편을 제작하고,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Notched, 23±2℃)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장기내열성 및 충격강도 측정실험결과
구 분 장기내열성 충격강도
(Kgㆍcm/cm)
초기 인장강도
㎏/㎠
150℃ x 200hr후
인장강도
유지율
(%)
초기 인장신도
(%)
150℃ x 200hr후
인장신도
유지율
(%)
실시예1 690 712 103.2 138 122 88.4 24
실시예2 720 745 103.5 112 75 67.0 18
실시예3 718 750 104.5 110 88 80.0 16
실시예4 712 756 106.2 123 109 88.6 15
실시예5 574 556 96.9 150 114 76.0 32
실시예6 512 489 95.5 186 112 60.2 48
실시예7 583 562 96.4 161 129 80.1 31
실시예8 587 552 94.0 158 124 78.5 34
실시예9 564 525 93.1 155 122 78.7 29
실시예10 720 735 102.1 106 92 86.8 17
실시예11 624 631 101.1 160 142 88.8 23
비교예1 735 756 102.9 43 37 86.0 7
비교예2 702 8 1.1 134 5 3.7 25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및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되어도 인장 강도 및 인장 신도의 물성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며, 우수한 내충격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초기 인장 강도가 500 내지 800㎏/㎠이고, ASTM D638에 의거하여 150oC에서 200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한 인장 강도가 상기 초기 인장 강도의 90% 이상이며,
    초기 인장 신도가 100 내지 200%이고, ASTM D638에 의거하여 150oC에서 200시간 방치한 후의 측정한 인장 신도가 상기 초기 인장 신도의 60% 이상이고,
    ASTM D256에 의한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Notched, 23±2℃)가 13 내지 70 Kgㆍcm/cm인 전선 코팅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0.2 내지 7중량부;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은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를 1:2 내지 2: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전선 코팅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이형제, 내열 보완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 코팅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은 폴리아미드6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와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상기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상기 첨가제를 합한 3.2 내지 19중량부를 포함하는 전선 코팅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00027418A 2010-03-26 2010-03-2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49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7418A KR101495210B1 (ko) 2010-03-26 2010-03-2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7418A KR101495210B1 (ko) 2010-03-26 2010-03-2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107A true KR20110108107A (ko) 2011-10-05
KR101495210B1 KR101495210B1 (ko) 2015-02-24

Family

ID=4502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7418A KR101495210B1 (ko) 2010-03-26 2010-03-26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2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6450A (zh) * 2012-07-31 2012-11-28 南京工程学院 一种外调色尼龙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774458A (zh) * 2018-06-27 2018-11-09 深圳市广南电子有限公司 一种低温直焊型聚氨酯包线漆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564B1 (ko) * 1985-08-28 1991-07-31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CA2014335C (en) * 1989-04-12 1999-10-19 Jeffrey R. Janssen Molded article adapted to be adhered to a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ES2242754T3 (es) * 2000-06-03 2005-11-16 Membrana Gmbh Membrana de poliamida con estabilidad reforzada frente a la hidrolisis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6450A (zh) * 2012-07-31 2012-11-28 南京工程学院 一种外调色尼龙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N102796450B (zh) * 2012-07-31 2015-04-15 南京工程学院 一种外调色尼龙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774458A (zh) * 2018-06-27 2018-11-09 深圳市广南电子有限公司 一种低温直焊型聚氨酯包线漆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210B1 (ko)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2707B2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insert-molded article
CN88101373A (zh) 增强模塑树脂组合物
CA2072195C (en) Non-tarnishing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US5173524A (en) Conductive polysulfone resine composition and high-heat-resistant, conductive semi-conductor article molded from same
KR10149521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753136B1 (ko) 우수한 저온충격강도 및 높은 굴곡 모듈러스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하여 제작된 헬멧
CN113736229A (zh) 一种高后收缩率的pbt/pc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8270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03073808A (zh) 一种低成本高流动耐候环保溴系阻燃asa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40092471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JP4004741B2 (ja) 耐トラッキング性が良好な強化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KR101751580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CN103102633A (zh) 一种高耐候环保高分子量溴系阻燃asa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7512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2007847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90037488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79796B1 (ko) 고화속도가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828655B1 (ko) 밴드 케이블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806625B1 (ko)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KR10089977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60083643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JPH01236270A (ja) 樹脂組成物
JPS6069129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127642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193370B1 (ko) 저광택 고무변성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