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580B1 -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580B1
KR101751580B1 KR1020140163091A KR20140163091A KR101751580B1 KR 101751580 B1 KR101751580 B1 KR 101751580B1 KR 1020140163091 A KR1020140163091 A KR 1020140163091A KR 20140163091 A KR20140163091 A KR 20140163091A KR 101751580 B1 KR101751580 B1 KR 10175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glass fiber
weight
fiber 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907A (ko
Inventor
박준기
주현진
이경환
이수민
조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6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5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사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상이한 2종을 적정량 배합하고 특정 러버를 포함하고 유리섬유로 강화함으로써, 내열성은 유지하면서 유동성과 충격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고내열 용도의 사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Glass fiber reinforced PBT high flow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 molding produ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사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상이한 2종을 적정량 배합하고 특정 러버를 포함하고 유리섬유로 강화함으로써,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자체의 내열성은 유지하면서 유동성과 충격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사출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BT라 함)는 오랜 시간동안 내열성, 빠른 제조 시간 등의 장점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PBT는 수지 측면에서 상온(Room temperature) 충격이 낮고 저온(-1~-50℃)에서 충격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자 다양한 첨가제 및 충격 보강제를 넣은 보강제품의 PBT 소재들이 각광 받고 있으며, 보강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는 주로 glass fiber 및 rubber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충격 강도의 향상은 유동 특성을 저하 시키는 trade-off 관계로 이들 2종 물성간 밸런스를 맞추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고, 이에 PBT 소재의 장점들인 안정적인 물성에 특정 조건(특히 저온)에서의 충격 강도와 더불어 유동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상이한 2종을 적정량 배합하고 특정 러버를 포함하고 유리섬유로 강화함으로써,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자체의 내열성은 유지하면서 유동성과 충격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고내열 용도의 사출품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45,000 내지 70,000 g/mol인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내지 44,900 g/mol인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조성물 100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자체의 내열성은 유지하면서 유동성과 충격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수득된 사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45,000 내지 70,000 g/mol인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내지 44,900 g/mol인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조성물 100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어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각각 중량평균분자량(Mw)이 45,000 내지 70,000 g/mol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내지 44,900 g/mol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각각 중량평균분자량(Mw)이 45,000 내지 50,000 g/mol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0 내지 44,900 g/mol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일례로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 혹은 60 내지 8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자체의 내열성 등을 유지하고 유동성은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일례로, 80:20 내지 20:80의 중량비, 혹은 50:5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유동성과 충격특성이 적절한 밸런스를 갖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일례로, 고유점도(IV)가 0.5-1.5 dl/g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삼중합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버는 충격보강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점도별 수지와 유리섬유간 반응을 통해 내부적으로 충격력을 향상시켜 상온뿐 아니라 저온에서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유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저 분자량의 PBT 수지에서도 충격강도를 유지하면서 유동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삼중합체는 통상 입수가능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러버는 일례로, 상기 수지 조성물 총 100중량% 중 1 내지 10 중량%, 혹은 3 내지 8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러버는 내충격 등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러버의 총 사용량 중 30 중량% 이하, 혹은 10 내지 3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이 유동성과 휨 특성을 개선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내충격 등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는 일례로,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30 내지 60 중량부; 및 스티렌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를 설포네이트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결정화온도(Tm)이 110 내지 130℃인 힌더드 페놀계 및 결정화온도(Tm)이 180 내지 190℃인 포스파이트계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일례로, 상기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혹은 0.1 내지 1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산화방지 및 열 안정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폴리에틸렌계 왁스, 소디움-중화된 에틸렌-메타크릴릭산 공중합체, 및 소디움 중화된 몬타닉산 왁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윤활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 중 0.1 내지 4 중량%, 혹은 0.1 내지 1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상술한 러버와 병용 사용하면 내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용융지수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리섬유는 일례로, 수지 조성물 총 100중량% 중 3 내지 50 중량%, 혹은 15 내지 2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강화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직경이 5 내지 25㎛, 길이가 1 내지 10mm인 실란 표면 처리된 ?h(chop) 타입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구체적인 예로, 직경이 12 내지 15㎛이고, 길이가 3.5 내지 5mm인 실란 표면 처리된 ?h(chop) 타입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 표면 처리는 아미노 실란계 커플링제 혹은 에폭시 실란계 커플링제를 유리섬유 총 100 중량% 기준, 0.5 내지 2 중량%, 혹은 1 내지 1.5 중량% 범위 내로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제조하는 성형품에 효과적인 블랙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케리어(carrier)로 하는 블랙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안료는 일례로,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 기준, 0.1-5 중량부, 혹은(preferably) 0.1-1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염료, 무기충전제, 및 커플링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250℃, 2.16kg 하중하에 측정한 용융지수가 26g/10분 이상이고, ASTM D2240에 따른 스파이럴 휨(spiral flow, 2500Kgf) 특성이 25cm 이상이고,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Izod 충격강도가 상온(23℃) 하에 9 kgf.cm/cm 이상이고, 저온(-40) 하에 5.5 kgf.cm/c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압출 성형구간 200 내지 290 ℃, 사출 성형구간 200 내지 290 ℃ 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품은 일례로, 자동차 고내열 커넥터, 전장 부품, 전기전자 커넥터, 또는 전자제품 하우징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비의 성분을 슈퍼 믹서에서 첨가한 후 혼합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 내지 290℃ 구간에서 용융 혼련하였으며, 혼련한 조성물을 펠릿타이저로 펠릿 형태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펠릿 형태의 조성물을 120℃하에 4시간 이상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80MT ENGEL 사출기를 이용하여 200 내지 290℃ 사출온도 구간에서 물성 시편을 제작하고 그 시편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고로, 본 발명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PBT 1: Mw 45,000 내지 50,000 g/mol, 고유점도 0.8 dl/g, 고분자량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2: Mw 30,000 내지 44,900 g/mol, 고유점도 0.7 dl/g, 저분자량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Rubber 1 : 에틸렌과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30:70의 중량비인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Rubber 1 :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30 내지 60 중량부; 및 스티렌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를 설포네이트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한 공중합체
안정제 : 산화방지제
활제: 폴리에틸렌계 왁스
GF 1 : chopped glass fiber, normal diameter : 14.7um, length : 4mm
안료 : 블랙 안료
구분(단위:wt%)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PBT1 45.8 45.8 76.4 76.4
PBT2 30.6 30.6
Rubber 1 8 5 8 5
Rubber 2 3 3
안정제 0.4 0.4 0.4 0.4
활제 0.2 0.2 0.2 0.2
GF1 15 15 15 15
안료* 0.8 0.8 0.8 0.8
-PBT1:TH6082, PBT2: MCC 5007A, Rubber 1: PTW, Rubber 2:EM500, 안정제 : IR-1010, 활제: LC102N, GF 1 : NEG 183F, 안료 : PBT carrier 50% LC102N으로 구성된 NM9089 (Black).
* PBT1+PBT2+Rubber 1+Rubber 2+안정제+활제+GF1의 총 100 중량부에 기초한 중량부 단위임.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 1 내지 2의 물성 시편을 다음과 같은 시험예로 물성을 측정하고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시험예: 물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사출품에 대한 용융지수,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Izod 충격강도, 스파이럴 흐름특성 등을 측정하였다.
*용융지수(g/10분,250℃,2.16kg): ASTM D1238에 명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Spiral flow (길이 단위, cm): ASTM D 2240에 명시된 방법(2500 Kgf)으로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 및 신율(상온, kgf.cm/cm): ASTM D 638
*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상온, kgf.cm/cm): ASTM D 790
* IZOD 충격강도(23℃, -40℃, kgf.cm/cm): ASTM D 256
*열변형온도(℃, 18.6kgf/cm2):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MI(250℃, 2.16kg) 30 27 19.3 19.2
Spiral flow 27 26 22 23
상온(23℃) 충격강도 10 9 10 9
저온(-40℃) 충격강도 6 5.6 5.5 6
상온 인장강도 91.3 93 91.2 90
상온 인장신율 3.4 3.3 3.5 3.6
상온 굴곡강도 127 129 127 128
상온 굴곡탄성률 4590 4700 4450 4600
HDT(18.6 kgf/cm2) 200 199 201 200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러버 1로서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실시예 1)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미포함한 비교예 1보다 현저히 개선된 유동성과 휨 특성을 제공하였고 물성간 편차도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러버 1로서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내충격 등급의 러버 2를 추가 포함한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실시예 2)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미포함한 비교예 2보다 현저히 개선된 유동성과 휨 특성을 제공하였고 물성간 편차도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비의 성분(GF1을 GF2로 대체)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제공하였다.
참고로, GF2는 다음 사양에 해당한다:
*GF 2: chopped glass fiber, normal diameter : 10.5um, length : 3mm
구분(단위:wt%) 추가 비교예 1 추가 비교예 2
PBT1 76.4 76.4
Rubber 1 8 5
Rubber 2 3
안정제 0.4 0.4
활제 0.2 0.2
GF2 15 15
안료* 0.8 0.8
-PBT1:TH6082, Rubber 1: PTW, Rubber 2:EM500, 안정제 : IR-1010, 활제: LC102N, GF 2 : NEG 187H, 안료 : PBT carrier 50% LC102N으로 구성된 NM9089 (Black).
* PBT1+Rubber 1+Rubber 2+안정제+활제+GF2의 총 100 중량부에 기초한 중량부 단위임.
구분 추가 비교예 1 추가 비교예 2
MI(250℃, 2.16kg) 25 23
Spiral flow 24 22
상온(23℃) 충격강도 9.5 8.5
저온(-40℃) 충격강도 4.5 4.7
상온 인장강도 82 81
상온 인장신율 3.3 3.4
상온 굴곡강도 117 118
상온 굴곡탄성률 4400 4500
HDT(18.6 kgf/cm2) 202 198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러버 1로서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실시예 1,2)은 유리섬유 타입을 달리한 추가 비교예 1,2보다 현저히 개선된 유동성과 휨 특성을 제공하였고 기계적 물성 또한 개선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러버 및 유리섬유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45,000 내지 70,000 g/mol인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내지 44,900 g/mol인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조성물 100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범위 내이며,
    상기 러버는 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내충격 등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되,
    상기 내충격 등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는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30 내지 60 중량부; 및 스티렌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부를 설포네이트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분자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20:8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100중량% 중 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는 내충격 등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러버 사용량 중 30 중량% 이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결정화온도(Tm)이 110 내지 130℃인 힌더드 페놀계 및 결정화온도(Tm)이 180 내지 190℃인 포스파이트계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계 왁스, 소디움-중화된 에틸렌-메타크릴릭산 공중합체, 및 소디움 중화된 몬타닉산 왁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 중 0.1 내지 4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수지 조성물 총 100중량% 중 3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직경이 5 내지 25㎛, 길이가 1 내지 10mm인 실란 표면 처리된 ?h(chop)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케리어(carrier)로 하는 블랙 안료를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 기준, 0.1-5 중량부 범위 내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염료, 무기충전제, 및 커플링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50℃, 2.16kg 하중하에 측정한 용융지수가 26g/10분 이상이고, ASTM D2240에 따른 스파이럴 휨(spiral flow, 2500Kgf) 특성이 25cm 이상이고,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Izod 충격강도가 상온(23℃) 하에 9 kgf.cm/cm 이상이고, 저온(-40℃) 하에 5.5 kgf.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16.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품은 자동차 고내열 커넥터, 전장 부품, 전기전자 커넥터, 또는 전자제품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KR1020140163091A 2014-11-21 2014-11-21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10175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091A KR101751580B1 (ko) 2014-11-21 2014-11-21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091A KR101751580B1 (ko) 2014-11-21 2014-11-21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07A KR20160060907A (ko) 2016-05-31
KR101751580B1 true KR101751580B1 (ko) 2017-06-27

Family

ID=5609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091A KR101751580B1 (ko) 2014-11-21 2014-11-21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076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내장부품
EP4375330A1 (en) 2022-09-29 2024-05-29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utomobile interior part manufactured therefro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374A (ja) * 2012-05-25 2014-01-09 Toray Ind Inc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374A (ja) * 2012-05-25 2014-01-09 Toray Ind Inc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07A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5954B1 (en) Composite of nylon polymer
KR100810966B1 (ko) 폴리아미드계 수지 복합재
CN108342057B (zh) 无卤阻燃pc/pbt合金及其产品
CN102838825A (zh) 高强无卤阻燃长玻纤增强a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TWI726894B (zh) 提高比較追蹤指數的方法以及環氧化合物及乙烯丙烯酸乙酯共聚物的用途
CN107365494B (zh) 一种pa6/pc/pbt三元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51580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유동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102053245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72738B1 (ko)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101766038B1 (ko) 충격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고강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790834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101776990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난연수지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CN104710744A (zh) 增韧高抗冲改性pc/pet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12953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20140092471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KR20120089967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566507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01832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1800588B1 (ko)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CN104292829A (zh) 一种用于加工咖啡机内衬壳体的聚酰胺树脂合金材料
KR101779796B1 (ko) 고화속도가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90017569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083643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KR20170066829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8342064B (zh) 玻璃纤维增强无卤阻燃pc/pbt合金及其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