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64B1 -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64B1
KR910005564B1 KR1019850006204A KR850006204A KR910005564B1 KR 910005564 B1 KR910005564 B1 KR 910005564B1 KR 1019850006204 A KR1019850006204 A KR 1019850006204A KR 850006204 A KR850006204 A KR 850006204A KR 910005564 B1 KR910005564 B1 KR 910005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lend
polyamide
carboxylic acid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196A (ko
Inventor
엘. 그라함 스테펜
에이. 켈리 로라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차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차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riority to KR101985000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64B1/ko
Publication of KR87000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및 카복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에틸렌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블렌드(blend)에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혼화제를 가하여 상기 블렌드의 혼화성 및 열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및 그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조단위가 아미드기-(CO-CH)- 또는 -(CO-R-NH)-에 의해 연결된 폴리아미드는 시판되는 폴리머로 공지되어 있다.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낸 준-일반적 용어 "나일론"으로 명명된 폴리아미드 같은 몇몇 폴리아미드들은 그들의 섬유 형성능에 대해 알려져 있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 및 R1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틸렌기이며, n은 분자량을 지시하는 복수이다.
상기의 나일론 수지는 디아민과 디산을 중합반응시켜 제조한다 : 이 부류에 속하는 예는 나일론 6/6, 6/9, 6/10 및 6/12가 있다.
그밖의 나일론, 예를들어, 나일론, 6,11 및 12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중합시켜 제조한다. 극히 통상적인 나일론 6는 6-탄소 아미노산 유도체, 카프로락탐으로부터 중합시킨다.
Figure kpo00002
폴리(아미드-이미드)로서 공지된 그 밖의 폴리아미드는 트레멜리트산 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의 반응을 기본으로 하는 중합체이다.
카복실-함유 에틸렌 공중합체와 폴리아미드수지의 블렌드를 제조하여 우수한 모둘러스(modulus), 인성(toughness) 및 연신율(elongation) 등의 특성이 수득되거나 다양한 고용융 점착물 및 피복용으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점착성이 수득된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484,403호; 제4,018,733호; 제4,105,709호; 제4,132,690호 및 제 4,478,978호; 영국 특허 제2,052,528호 및 벨기에 특허 제641,952호를 참조한다. 그러나, 상기의 블렌드는 그들의 고유한 열적 불안정도 및 각성분의 불혼화성에 기인하여 그의 활용이 제한된다. 용융 상태(예를들어 149℃ 이상의 배합 및 적용온도)에서, 폴리아미드의 아민작용성이 자유롭게 되어 중합체 상의 부속 카복실기와 반응하여, 가교결합을 형성한다. 이러한 현상은 겔 형성 및 높은 점성을 유발하여 무익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렌드의 혼화성 및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효량으로 최소한 한가지 유기 카복실산 화합물을 소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최소한 한가지의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최소한 하나의 에틸렌 중합체로 구성되는 블렌드이다.
본 발명은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혼화성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된 방법이 독특하다는 점에 있어서 선행의 기술과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으로 수시간동안 열을 가하여도 가동점성을 갖도록 폴리아미드 및 카복실-함유 에틸렌 중합체의 신규한 블렌드의 개질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제품을 사용하기전 용융저장하는 시스템에 이상적이다. 필요한 시스템상태로 용융시키는 경우에 정체된 고온의 용융물이 장치내에 남아있어, 나중에 새로운 물질과 함께 반응되며, 저장소내에서 상호작용 또는 겔화를 방지하거나 잔류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단계가 없으면 오염이 일어나는 공간이 시스템내에 생길 수 있다. 약간의 유해한 효과도 나타남이 없이 물질을 용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종종 "포트-수명 연장"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가 카복실-함유 작용성 중합체와 혼합될때, 혼화성 및 열안정성의 향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분자량의 일-, 이- 또는 다-작용성 산(예를들어, 카복실산)을 폴리아미드/카복실 작용성 중합체 블렌드에 가하여 겔화현상(gelation)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함을 보인다. 겔화의 방지란 첫째로, 폴리아미드/카복실 작용 중합체 블렌드가 열적으로 더욱 안정하며; 둘째로, 폴리아미드가 이전까지 생각되어온 가능한 양보다 매우 높은 수준의 카복실 작용성 중합체와 섞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에틸렌/카복실 함유 공중합체는 특히 "인터폴리머"로 알려진 형태의 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블럭 공중합체"로 알려진 형태의 중합체로서 시판된다.
상기의 표현은 본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것이다. 인터폴리머는 단량체의 혼합물을 중합시켜 제조되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쇄상에 올레핀 산기를 그라프트시켜 제조되며; 블럭 공중합체는 다수의 에틸렌 단위가 중합된 체인 시그먼트(chain segments)와 다수의 카복실-함유 단량체 단위가 중합된 시그먼트로 구성되는 긴 중합체 사슬을 갖는 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 나타난 "올레핀산"이란 용어는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이중결합성-불포화 카복실산 특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및 1-부테노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나타낸다.
자유-라디칼 개시제 존재하에, 교반시키는 반응기내에서, 고온, 고압의 정상상태(steady state) 반응인, 에틸렌과 불포화 카복실산의 인터폴리머 공중합 반응은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참조, 카나다 특허 제655,298호(및 이에 대응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4,351,931호); 미합중국 특허 제3,239,370호; 미합중국 특허 제3,520,801호; 미합중국 특허 제3,658,741호; 미합중국 특허 제3,884,857호; 미합중국 특허 제3,988,509호; 미합중국 특허 제4,248,900호; 및 미합중국 특허 4,252,924호].
본 발명에 의해서, 블렌드의 출발물질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폴리아미드는 반복되는 그룹으로서 카보닐에 부착된 아민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보통 고체이며, 거의 가교 결합을 하지 않은 어떤 폴리아미드도 포함된다. 나일론 및 폴리아미드에 관해 더욱 일반적인 정보는 Mc Graw-Hill에 의해 정기적으로 간행되는 MODERN PLASTICS ENCYCLOPEDIA에 나타나 있다.
MERCK INDEX에는 나일론에 관한 한정된 양의 정보만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폴리아미드는 일반적으로 디아민(예를들어,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이 염기성산(예를들어, 아디프산)의 축합반응, 또는 락탐(카프로락탐) 또는 아미노산의 중합반응에 의해서 생성된다. 생성된 폴리아미드는 왼쪽의 아민의 말단화되거나, 몇몇 경우에는 산이 말단화된다.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같은 에틸렌카복실 함유 중합체를 폴리아미드와 혼합시키는(admix/alloy)경우, 고온(즉 약 149℃ 또는 그 이상)에서 수행하여 폴리아미드의 아미드 작용기가 카복실-작용성 중합체의 돌출된 카복실 작용기와 작용하여 가교결합 및 겔화되도록 할 것이다.
이와 유사한 문제가 산-말단화된 폴리아미드에서도 일어난다. 폴리아미드는 원칙적으로 반응성 아민 잔기가 노출된 비-산화성 자유-라디칼 사슬-절단에 의해 분해된다. 상기의 예에서와 같이, 카복실 작용성 중합체는 폴리아미드의 아민작용기와 쉽게 반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와 에틸렌 카복실-함유 공중합체 사이에 혼화성을 향상시키고 "반응성 가교결합"을 억제하기 위한 저 분자량, 저용융 일-, 이-, 또는 다-작용성 유기산(예를들어 세박산) 함유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산은 그 기본구조가 개쇄 골격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두 중합체의 "혼화성"은 두 중합체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 예를들어 과량의 가교 결합에 의해 분리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없는 균질 혼합물을 형성하는 능력을 말한다. "열안정성"이란 점성도 또는 물리적성질의 현저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평가할 수 있는 시간동안 상승된 처리 온도에 견디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불혼화성 및 열적 불안정성의 문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와 EAA 공중합체 사이의 반응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품내에 저분자량의 디카복실산을 함유시킬으로써 경감된다. 디카복실산은 하기의 일반식에 상응 한다.
HOOC(R)xCOOH
상기식에서, R은 (CH2), (CHOH) 또는 (CH) 또는 이들의 하나 또는 2이상의 중복 또는 조합이며, x는 1내지 14의 정수이고, (R)은 바람직하게, 개쇄 골격이며 환이 아니다.
디카복실산의 예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톤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도산; 1,11-운데칸디카복실산; 1,12-운데칸디카복실산; 헥사 데칸디오산; 타르타르산; 및 말레산이다. 세박산 및 타르타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올레핀 중합체 블렌드에 유익한 부가물로서, 블렌드화 반응에 사용된 온도에서 블렌드에 거의 용융하거나 용해하며, 이 과정에서, 블렌딩 온도에 존재하거나 이 온도에서 폴리아미드의 쇄의 절단 또는 분해에 의해 수득하게 되는 어떤 작용성 아민기와도 반응하는 모든 유기 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모노-카복실산은 일반적으로 디-카복실산 또는 그밖의 다-카복실산 보다는 바람직하지 못하나,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상기산에서 약간의 우수한 결과가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유기산은 R이 1 내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유기잔기인 일반식 R-COOH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R-COOH 화합물은 -COOH기가 말단기이거나 말단이 아닌 탄소상에 존재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지방산에는 글리콜산 같은 히드록시 산 및 락트산이 포함된다.
다-카복실산은 시트르산 같이 3개의 -COOH기를 갖는 산 또는 피로멜트산 또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EDTA)같이 4개의 -COOH기를 갖는 산, 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저분자량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우수한 고용융 및 피복 제품에는 양호한 분산성 및 낮은 점성도가 필수적이다. 가교결합 및 부분적 겔화는 높은 점성도 및 낮은 분산성에 기인한다. 본 발명은 (산- 및 아민-말단화된) 폴리아미드 및 에틸렌 카복실 함유 중합체 알로이의 열안정성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결과, 상기의 알로이는 통상적인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특하고 예측하지 못했던 결과는 종전에는 섞이는 것이 불가능했던 에틸렌 카복실 함유 중합체와 폴리아미드(아민-말단화됨)와의 섞임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혼화성의 문제가 일어나기전 "보다 높을 수준"의 에틸렌 카복실-함유 중합체를 폴리아미드(아민-및 산-말단화됨)와 섞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독특하고 예기치 못했던 능력이 다양한 성질을 나타내도록 하여, 폴리아미드 및 에틸렌 카복실-함유 중합체의 신규하고 유용한 알로이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최적의 결과로서 두성분(폴리아미드 및 에틸렌 카복실-함유 중합체)가 열적으로 안정화됨은 중요하다. 이미 언급하였듯이, 폴리아미드는 대개 각각의 아민 잔기가 노출된 비-산화적 자유-라디칼쇄-절단에 의해 분해된다. 에틸렌 카복실 함유 중합체의 에텐성 부위는 쇄-절단 뿐아니라 산화적 및 비-산화적 자유 라디칼 가교결합을 통하여 분해될 수 있다.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경우와 같이 카복실 부위는 승온을 적용하면 탈수반응에 의해 분자내 및 분자간 무수물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의 무수물은 또한 더욱 높은 온도에서 쇄-절단 탈카복실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자유-라디칼의 형성은 폴리아미드 및 에틸렌 카복실-함유 인터폴리머를 둘다 분해시키는 중간 반응이므로, 대표적으로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에 공지의 자유-라디칼 제거제가(통상적으로, 입체적으로 방해된 페놀성 안정화제)성공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자유-라디칼 제거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폴리아미드 및 카복실-함유 에틸렌 중합체의 블렌드에 대해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이- 및 다-작용성 산은 에틸렌 카복실-함유 인터폴리머의 카복실 부위의 특정의 무수물 가교결합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통상의 자유-라디칼 제거제는 단독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에틸렌 카복실-함유 인터폴리머를 적절히 안정화할수 있으므로, 보통의 고온 용융 적용온도에서는 무수물 가교결합의 생성을 발견하지 못하게 된다.
성공적인 고온 용융 적용에 대해서는 양호한 분산성 및 낮은 점성도가 필수적인데 반하여, 상호작용성 가교결합으로 보통 적용온도(즉
Figure kpo00003
149℃)에서 매우 높은 점성도 및 불량한 분산성이 나타난다. 열적 불안정성의 상기 형태는 단지 폴리아미드 및 에틸렌 카복실-함유 인터폴리머만 분해하는 공지의 형태/메카니즘과는 매우 다르다. 대개 폴리아미드는 쇄-절단 뿐만아니라 비-산화적 자유 라디칼 가교결합에 의해 분해 분해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수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 염기성 산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아민의 공지의 열가소성 축합 반응생성물이다. 상기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선형분자 구조 및 비교적 고 분자량(즉 일반적으로 약 1,000 내지 12,0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아미드수지는 물론 현재 시판되는 폴리아미드수지는 일반적으로 약 25℃ 내지 200℃의 링(Ring) 및 볼(Ball) 연화점 및 일반적으로 190℃에서 약 10 내지 130포아즈의 브룩필드(Brookfield) 점성도를 나타내지만 190℃에서 약 1 내지 약 500포아즈의 점성도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카복실 함유 인터폴리머는 코폴리머 및 터폴리머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카복실 모노머는 에틸렌형태로 불포화된 모노- 또는 디-카복실산 및/또는 C1내지 C6직쇄 또는 측쇄 지방족 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이다. 적절한 카복실-함유 폴리머의 예에는 에틸렌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레산 무수물, 크로톤산 또는 시트라콘산의 인터폴리머가 포함되나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부분적으로 금속-중성화시킨 에틸렌인터폴리머가 적절하다. 상기의 여러가지 카보닐-함유 에틸렌 인터폴리머의 블렌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인터폴리머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된 "EAA"는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를 뜻하며, "EMAA"는 에틸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를 의미한다.
상호작용 가교결합은 아미드 작용성의 폴리머/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블렌드의 오븐-숙성시험 중에 발견된다. 상호작용성 가교결합은 177 내지 190℃에서 오븐-숙성시킨지 24시간내에 블렌드/제제의 완전한 겔을 생성시킨다. 상기의 겔화는 고온 용융 블렌드/제제를 비분산화하여 고온 용융 피막으로서 쓸모없게 된다. 이와 유사한 결과가 단순 EAA 수지를 두가지로 서로 다른 80/20 폴리아미드/에틸렌 아크릴산 코폴리머 블렌드에 대하여도 일어났다. 190℃의 고욘용융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실내에서 시범 적용을 하는 경우 2 내지 4시간 내에 심한 겔 생성 및 매우 높은 점성도가 측정되었으며, 즉 제제가 매우 점성이 크게 되었다. 그밖의 측정에서, 190℃의 오븐-숙성시험에서 다소의 겔 생성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블렌드가 15중량% 미만의 EAA 수지(EAA 수지는 125℃에서 15용융류를 갖는 약 20중량% 아크릴산으로 구성된다)를 함유하여야 하며, 여기에서 폴리아미드는 약 110℃의 중간체 링 및 볼 연화점 및 190℃에서 3.5파스칼 세컨드(Pa.s) 또는 35포아스의 비교적 낮은 점성도를 갖는다.
폴리아미드가 약 155℃의 아주 높은 링 및 볼 연화점 및 190℃에서 9.0 내지 11.5Pa.s(90 내지 115포아즈)의 아주 높은 브룩필드 점성도를 갖는 경우, 약 20중량% 아크릴산 에틸렌 코폴리머의 약간 및 모든 블렌드 부위가 심하게 겔화된다. 이러한 문제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제제내에 저분자량의 디카복실산을 함유시켜 폴리아미드와 EAA 코폴리머 사이의 반응을 제한함으로써 해결된다.
디카복실산 이외의 효과적인 자유-라디칼 제거제인 그 밖의 안정화제가 권장된다. 상기의 자유-라디칼 제거제는 모든 표면의 스키닝 또는 특히 EAA 공중합체에 의해 야기되는 겔형성을 방지해준다.
하기의 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가능한 성분 범위 및 바람직한 성분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kpo00004
주 "pph" : 중합체/폴리아미드 블렌드의 1/100
"중량%" : 폴리아미드 및 에틸렌/카복실-함유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 중량%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에틸렌/카복실-함유 중합체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5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폴리아미드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6
예를들어, 여러가지 자유 라디칼 제거제의 상업적 및 화학적 명칭은 다음과 같다.
1. Mark 2047(Witco, Chemical), 페놀릭-티오에스테르 안정화제; 2. Irganox 1010(Ciba Geigy), 테트라키스(메틸렌 3,5-디-삼급-부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피오네이트 메탄; 3.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 피오네이트(DSTDP) Witco Chemicals : 4. Santanox R(Monsanto), 4,4-티오비스(6,5-부틸 m-크레솔); 5. Topanol CA(I.C.I), 3-메틸-6-삼급-부틸 페놀 및 크로톤 알데히드 3 : 1 농축물 : 6.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LTDP) Witco Chemicals
하기의 예로서 본 발명의 장점을 설명한다. 하기의 시험조건 및 단위는 본 명세서의 데이타에 대해 사용 된다.
Figure kpo00007
다음 실험에서 사용된 여러가지 수지의 설명을 하기에 기재한다.
폴리아미드-1(P-1)
링 및 볼 연화점이 105 내지 115℃이며 브룩필드 점도가 190℃에서 3 내지 4Pa.s(30 내지 40포아지)인 산-말단화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2(P-2)
링 및 볼 연화점이 150 내지 160℃이며, 브룩필드 점도가 190℃에서 9 내지 11.5Pa.s(90 내지 115포아즈)인 산-말단화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3(P-3)
링 및 볼 연화점이 160 내지 170℃이며, 브룩필드 점도가 210℃에서 7 내지 9Pa.s(70 내지 90포아즈)인 산-말단화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4(P-4)
링 및 볼 연화점이 90 내지 105℃이며 브룩필드 점도가 210℃에서 3.5 내지 5 Pa.s(35 내지 50포아즈)인 아민-말단화된 폴리아미드.
EAA-1
아크릴산의 함량이 20중량%이며, 150℃에서 약 15용융류(ASTM D-1238B)인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상기예에서 성분들의 블렌드화는 압입공기 오븐을 사용하여 약 0.5 내지 1.0시간동안 190℃의 용기내에서 교반시키며 용융시켜 수행한다. 추출 배합 같은 그밖의 혼합 수단 및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실험 1; 표A(본 발명의 예가 아님)에 의하면, 카복실 작용성 중합체(EAA-1)가 산 말단화된 폴리아미드와 혼합되는 경우, 카복실 작용성 중합체 수준이 15% 보다 큰 경우, 겔화가 일어났다(A 내지 D). 카복실 작용성 중합체를 아민-말단화된 폴리아미드와 혼합하는 경우에(E 내지 H) 유동성 비-겔화시스템이 수득될 수 없다.
실험 2 및 3(표A)은 저분자량 디 카복실산(세박산)을 첨가하여,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분리되거나 변하지 않는 보다 균질의 혼화성 혼합물이 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아민과 산말단화된 폴리아미드를 혼합할때 카복실 작용성 중합체의 혼화성이 개선될 수 있다.
[표 1a]
Figure kpo00008
표 B는 디카복실산의 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여러형태의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카복실-작용성 중합체의 혼화성도 감소됨을 나타낸다.
[표 1b]
Figure kpo00009
* 모든 시료는 24시간내에 스키닝 됨
표 C는 폴리아미드(산 및 아민-말단화된)/카복실-작용성 중합체 블렌드의 열안정성이 디카복실산의 첨가에 의해 현저히 향상됨을 나타낸다. 디 카복실산의 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가교결합 개시전 시간간격 또는 점성도가 현저한 증가가 나타난다.
[표 1c]
Figure kpo00010
-측정하지 않았음.
피복제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하기 실험 조성물 각각을 오븐 숙성시킨 다음 크라프트 종이에 피복시키고 혼화성 및 열안정성을 측정하였다(표 D). P-1/P-2/EAA-1 블렌드의 성분들은 각각 60/20/20의 비율이다.
[표 1d]
Figure kpo00011
*PPH = 사용된 시료의 1/100
**= 비교예,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님.
본 발명의 블렌드 제품은 여러가지 기질에 대한 고온 용융 피복물로서 또는 접착제층 또는 여러가지 기질(즉, 금속, 비-금속; 유리, 유리질, 피혁, 종이, 플리스틱, 고무, 나무 및 직물) 사이의 결합층으로서 유용하다. 상기 블렌드 제품은 유사하거나 상이한 물질을 층 또는 그 밖의 집합 구조로 결합시키는데 유용하다. 이들은 특히 첫번째 기질에 적용하여 냉각시키고 방치한 다음 이어서 열가소화시켜 첫번째 기질과 두번째 기질사이의 접착제 또는 결합층을 형성시키는데 유용하다.

Claims (9)

1종 이상의 유기 카복실산 화합물을, 블렌드의 혼화성 및 열안정성의 향상에 효과적인 양으로 소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1종 이상과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 1종 이상과의 블렌드.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폴리아미드가 나일론으로 구성되는 블렌드.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또는 시트라콘산과 중합된 에틸렌인 블렌드.
제1항에 있어서, 유기 카복실산 이외에 소량의 산화방지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블렌드.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유기 카복실산 화합물이 이-염기성 화합물인 블렌드.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유기 카복실산 화합물이 세박산 또는 타르타르산인 블렌드.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가, 65중량% 이상의 에틸렌잔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아크릴산과의 랜덤 균질 인터폴리머인 블렌드.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 10 내지 30%,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70 내지 90%, 1종 이상의 유기 카복실산 화합물 3 내지 5% 및 유리 라디칼 제거제 또는 산화 방지제 0.5 내지 1%로 이루어진 블렌드.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와 1종 이상의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불렌드에 유기 카복실산 화합물로 구성되는 혼화제를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블렌드의 혼화성 및 열안정성의 증진방법.
KR1019850006204A 1985-08-28 1985-08-28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KR910005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204A KR910005564B1 (ko) 1985-08-28 1985-08-28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204A KR910005564B1 (ko) 1985-08-28 1985-08-28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196A KR870002196A (ko) 1987-03-30
KR910005564B1 true KR910005564B1 (ko) 1991-07-31

Family

ID=1924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204A KR910005564B1 (ko) 1985-08-28 1985-08-28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10B1 (ko) * 2010-03-26 2015-02-24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10B1 (ko) * 2010-03-26 2015-02-24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196A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8542B1 (en) Blends of polyamides and ethylene polymers carboxylic acid groups
CA1271293A (en) Adhesive composition
US5548027A (en) Hotmelt adhesive
JPS61188479A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374231A (en) Adhesive composition
EP0721473A1 (en) Curable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mide resins
US4346024A (en) Heat-stable polyphase polyamide/polyesteramide compositions
US6670442B1 (en) Hot melt adhesives based on polyamides
JP2002518544A (ja) ポリアミドをベースとする長い開放時間のホットメルト
JPS5812311B2 (ja) ホツトメルトガタセツチヤクザイ
JPH0689136B2 (ja) ポリアミド樹脂
JPH09509978A (ja) ポリアミド熱溶融型接着剤
JPH01126384A (ja) N−置換ポリアルキレインイミンと官能性酸化合物を含む溶融接着剤
US20060111502A1 (en) Teak deck caulking
KR910005564B1 (ko) 폴리아미드와 카복실산기 함유 에틸렌 중합체와의 블렌드
US5883172A (en) Polyamide hotmelt adhesive
US5296557A (en) Two-component curable hot melt compositions
US5175210A (en) Polymer blends
US3700618A (en) Polyamides exhibiting improved freezethaw characteristics in printing ink compositions
JPS61133233A (ja) 新規なポリアミド
US8119251B2 (en) Polyamides
GB2075991A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mides
CA1265284A (en) Compatibility and stability of blends of polyamide and ethylene copolymers
JP2000219846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H0791457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