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625B1 -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625B1
KR101806625B1 KR1020150156674A KR20150156674A KR101806625B1 KR 101806625 B1 KR101806625 B1 KR 101806625B1 KR 1020150156674 A KR1020150156674 A KR 1020150156674A KR 20150156674 A KR20150156674 A KR 20150156674A KR 101806625 B1 KR101806625 B1 KR 101806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amide
weight
resi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020A (ko
Inventor
윤지용
김운구
오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6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를 기재로 사용하고, 여기에 특정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이 모두 우수하게 유지되는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Polyamide 66 resin composition for cooling-parts}
본 발명은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를 기재로 사용하고, 여기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가 소정의 함량비로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이 모두 우수하게 유지되는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고분자 소재 특성상 금속보다 가볍고 성형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미드 66 수지의 경우는 구조적으로 선형이며 수소결합이 가능한 아미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고온 조건에서 쉽게 분해되거나 또는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등의 내열성 및 내화학성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66 수지는 겨울철에 제설제로 많이 사용되는 염화물(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아연 등) 또는 자동차 엔진 냉각기 등에 사용되는 부동액 성분인 에틸렌글리콜 등에 대한 내화학성이 낮아서 자동차 라디에이터와 같은 냉각계 부품 소재로 그대로 적용하는데 제한이 있다.
폴리아미드 66 수지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 예로서 폴리아미드 66 수지에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612 수지, 내충격성과 도장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 참조] 그러나 특수 수지를 대체 또는 블랜딩시킨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또는 내화학성이 향상된 반면에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다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동시에 우수한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5428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246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동시에 우수한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동시에 우수한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아미드 66 수지 32 ~ 57 중량%, 폴리프탈아미드 수지 10 ~ 30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0.5 ~ 2 중량%, 및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 30 ~ 3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60 ~ 90℃이고, 에틸렌 함량이 15 ~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는 유리섬유 중량대비 0.1 ~ 0.5 중량%의 아미노실란이 유리섬유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에는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활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0.1 ~ 2 중량%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한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냉각계 부품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므로 냉각계 부품용 소재로 유용하다.
또한,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은 사출 작업성 등의 성형작업성이 우수하여 외관 품질이 우수한 냉각계 부품 제조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radiator), 엔진(enjine), 써모스탯(Thermostat) 등과 같은 냉각계 부품 소재로 유용하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 포함하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상용화제와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가 일정 함량비로 포함된 수지 조성물로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냉각계 부품용 소재로 유용한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66 수지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내부동액성 및 염화물에 대한 내화학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매트릭스 수지로서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를 혼합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간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매트릭스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6 수지 32 ~ 57 중량%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 10 ~ 30 중량%로 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고, 여기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0.5 ~ 2 중량%,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 30 ~ 36 중량%, 및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폴리아미드 66 수지
폴리아미드 66 수지(Nylon 66)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단량체와 아디픽산 단량체를 축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66 수지는 상대점도가 2.1~3.1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21,000 g/mol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매트릭스 수지로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66 수지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32 ~ 57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아미드 66 수지의 함량이 32 중량%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폴리프탈아미드의 함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로 인한 원가 상승 및 높은 가공온도 요구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7 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는 만족할 수 있지만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2) 폴리프탈아미드 수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Polyphthalamide resin; PPA 수지)는 방향족 나일론이라고 불리는 결정성 수지로서, 주쇄에 방향족 고리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내열성, 내강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어 폴리아미드 66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게 된다. 상기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는 내재점도가 0.8 ~ 1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내열성 및 가공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의 내재점도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10 ~ 3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프탈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고 성형품의 외관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압출 및 사출 성형가공을 위하여 높은 온도가 요구되어 가공 공정에서 가스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3)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수지)는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상용화제로 사용된다.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수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시켜, 유연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압출 및 사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60 ~ 90℃이고, 에틸렌 함량이 15 ~ 35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상용화제로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용융온도가 60℃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90℃를 초과하면 압출 및 사출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내의 에틸렌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불투명하기 때문에 외관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35 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0.5 ~ 2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상용화제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물성 저하 및 내화학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4) 유리섬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계 커플링제가 표면에 코팅된 유리섬유를 포함한다.
유리섬유 표면에 코팅되는 실란계 커플링제로는 대표적으로 아미노실란을 사용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는 유리섬유 전체 중량에 대비하여 0.1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3 중량%의 함량 범위로 코팅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코팅량이 0.1 중량% 미만으로 너무 적으면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낮아질 수 있고, 코팅량이 0.5 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으면 수지 조성물의 점도상승으로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되는 유리섬유는 평균입경이 10 ~ 12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유리섬유의 입경이 너무 작으면 유리섬유의 파괴율이 높아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입경이 너무 크면 유리섬유의 배향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가 표면에 코팅된 유리섬유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30 ~ 36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실란계 커플링제가 표면에 코팅된 유리섬유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부족 및 내열도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6 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시 작업성 및 외관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5) 통상의 첨가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활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0.1 ~ 2 중량%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의 선택이나 함량은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티오계 산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상기 티오계 산화방지제의 종류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1,6-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헥산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티오계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0.1 ~ 0.5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는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내열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0.5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저하 및 외관품질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열안정제는 고온에서 노출 시 성형품의 장기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열안정제로는 구리(Cu)계열의 물질, 주석(Sn)계열의 물질, 바륨(Ba)계열의 물질 또는 합성수지 계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열안정제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0.1 ~ 0.5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는데, 내열안정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장기내열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0.5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저하 및 외관품질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활제는 윤활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압출 및 사출 가공 시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고, 그리고 사출 시에는 금형 접촉면에서의 이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활제로는 대표적으로 몬탄계 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제적으로는 2-에스테르 몬타닉산, 3-에스테르 몬타닉산 및 유화에스테르 몬타닉산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0.1 ~ 0.5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는데, 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유동성 및 이형성이 떨어질 수 있고, 0.5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저하 및 외관품질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착색제는 성형품에 색상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착색제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0.3 ~ 1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는데, 착색제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색상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지 조성물은 압출, 사출 등 통상의 성형방법으로 의해 냉각계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L/D 40 ~ 45, D 75 ~ 85 인 이축 압출기에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투입하고, 온도 275 ~ 295 ℃ 온도에서 300 ~ 340 rpm 스크류 회전 속도로 15 ~ 20 분 동안 용융혼련과정을 통해 압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5 및 비교예 1 ~ 3. 시편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조성비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축 압출기에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투입하고, 온도 275 ~ 295 ℃ 온도에서 300 ~ 340 rpm 스크류 회전 속도로 15 ~ 20 분 동안 용융혼련과정을 통해 압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사용성분]
(A) 폴리아미드 수지
① 폴리아미드 66 수지 : VYDYNE 50BWFS, 아센트
② 폴리프탈아미드 수지 : AMODEL A-1006, 솔베이
③ 폴리아미드 612 수지 : VESTAMID D16, 에보닉
(B) 상용화제
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 EVA 1826, 한화케미칼
② 글리시딜계: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C)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 : CS311-EC10, 케이씨씨
(D) 첨가제
산화방지제(IRGANOX 1098, 바스프), 내열안정제(BRRUGGOLEN H3336, 브레그만), 활제(HI-LUBE, 송원산업) 및 착색제(UWM-9066, 유원컴텍)가 포함됨
구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매트릭스 수지
폴리아미드 66 54 49 44 39 34 65 45 54
폴리프탈아미드 10 15 20 25 30 - - 10
폴리아미드 612 - - - - - - 20 -

상용화제
EVA 1 1 1 1 1 - - -
글리시딜계 - - - - - - - 1
코팅된 유리섬유 33 33 33 33 33 33 33 33
첨가제 2 2 2 2 2 2 2 2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은 시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기계적강도 : ASTM 규정 기준에 의거한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2) 내열성 : ASTM D648, 열변형온도
(3) 장기내열성 : 140℃ 1000시간 에이징 처리시에 인장강도 유지율
(4) 내부동액성 : 130℃ 1000시간 냉각수(부동액:증류수=1:1) 침지, 인장강도, 크랙 유무 관찰
(5) 내염화칼슘성 : 120℃ 140시간, 10% CaCl2 수용액 침지, 굴곡강도 유지율
항목 실시예 비교예 요구
수준
1 2 3 4 5 1 2 3

기계적 강도
인장강도
(㎫)
200 202 205 206 203 190 182 185 156↑
굴곡강도
(㎫)
285 290 295 294 292 285 250 280 205↑
IZOD충격강도 (J/m) 120 122 125 125 122 115 118 115 88↑
내열성 열변형온도
(℃)
250 250 251 251 251 250 240 250 235↑
장기
내열성
인장강도 유지율 (%) 103 103 104 102 102 101 79 103 75↑

내부동액성
인장강도
(㎫)
85 88 90 90 92 56 80 80 34↑
크랙 유무
관찰
크랙
확인
내염화칼슘성 굴곡강도 유지율 (%) 52 54 54 52 52 33 57 51 45↑
상기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 ~ 5의 시편은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를 매트릭스 수지로 포함하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상용화제와 실란계 커플링제로 코팅된 유리섬유가 소정의 함량비로 포함된 시편으로, 기계적강도, 내열성, 내화학성(내부동액성, 내염화칼슘성)이 모두 우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은 매트릭스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6 수지 단독으로 사용하고, EVA 수지를 포함하지 않은 시편으로, 내화학성(내부동액성, 내염화칼슘성)이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는 매트릭스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6 수지와 폴리아미드 612 수지를 혼합 사용하고, EVA 수지를 포함하지 않은 시편으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실시예 1 ~ 5에 대비하여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 3은 실시예 1의 조성에서 상용화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시편으로, 기계적 강도가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라디에이터 헤드탱크 조립품의 ES 평가
상기 실시예 1 ~ 5의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라디에이터 헤드탱크 조립품을 제작하여 ES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O 평가
항목
시료수 평가방법 판정기준 결과 판정
1 기밀 전 수 20초간 156±6 kPa×가압 누설 없을 것 누설 없음 OK

2

파열

각 2개
156±6 kPa×20초간 유지
#1) 206±6 kPa가압
#2) 275±6 kPa가압

#1)누수, 변형 없을 것
#2)누수 없을 것

#1)373 KPa
#2)363 KPa

OK
3 반복
가압
각 2개A 압력 주기 : 0 ↔ 156 kPa
반복 주기 : 10 회/min
평가 횟수 : 50,000 CYCLE

기밀을 만족할 것

기밀시험 만족

OK

4

냉열
주기

각 2개
130℃ 10h ↔ 40℃×10h
(각 상온까지 이동 시간 1h)
10 CYCLE 실시
누수/ 변형이 없을 것
기밀시험을 만족할 것
누수/변형 없음

기밀시험 만족


OK

5

염화
칼슘

각 3개
RAD 내부 : 50% LLC 만수
CaCl2 5wt%
1 CYCLE : 건조 후 상온방치
건조 : 100℃×1 kg/㎠×2h
상온 : 상온×0 kg/㎠×1h
내염화재 : 40 CYCLE
누수/ 변형이 없을 것
기밀시험을 만족할 것
전수 40회 중단

누수/변형 없음,
기밀시험 만족



OK

6

내충격

각 2개
40℃ 항온조에 3시간 방치 후 강구(직경:5.08cm,중량:200g)를 0.7m 자유 낙하 현저한 균열, 파손 등이 없을 것 균열 및 파손 없음
OK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라디에이터 헤드탱크 조립품은 ES 평가에서 모두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폴리아미드 66 수지 32 ~ 57 중량%;
    폴리프탈아미드 수지 10 ~ 30 중량%;
    용융온도가 60 ~ 90℃이고, 에틸렌 함량이 15 ~ 35 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0.5 ~ 2 중량%; 및
    유리섬유 중량대비 0.1 ~ 0.5 중량%의 아미노실란이 코팅된 유리섬유 30 ~ 36 중량%;
    를 포함하는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활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0.1 ~ 2 중량%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냉각계 부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계 부품이 라디에이터, 엔진, 써모스탯으로부터 선택된 자동차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계 부품.
KR1020150156674A 2015-11-09 2015-11-09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KR10180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74A KR101806625B1 (ko) 2015-11-09 2015-11-09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74A KR101806625B1 (ko) 2015-11-09 2015-11-09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20A KR20170054020A (ko) 2017-05-17
KR101806625B1 true KR101806625B1 (ko) 2017-12-07

Family

ID=5904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674A KR101806625B1 (ko) 2015-11-09 2015-11-09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1296A (zh) * 2018-09-13 2019-03-01 丹阳市三能电器配件有限公司 空调辅助加热件支架用ppa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20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1820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KR100931151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20080269375A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CN106928697B (zh) 尼龙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325260A1 (de) Teilaromatische 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en
KR101438899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 조성물
KR102031756B1 (ko)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010 및 폴리아미드 10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66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2061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10108976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53245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06625B1 (ko) 냉각계 부품용 폴리아미드 66 수지 조성물
KR101777446B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CN109988425B (zh) 一种耐高低温循环开裂聚苯硫醚增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672161B (zh) 一种阻燃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0408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3733775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med therefrom
KR101748331B1 (ko) 고유동성의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KR10149521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H0613641B2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20090239979A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s
KR20140125051A (ko)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조성물
US20200399468A1 (en) Polyamide composition for liquid-assisted injection moulding applications
KR2019006687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아이들 기어
KR20170024616A (ko)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H06122825A (ja) ポリアミド組成物およ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高い引裂応力下および高い温度下で使用するための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