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792A - 편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편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792A
KR20110106792A KR1020110016874A KR20110016874A KR20110106792A KR 20110106792 A KR20110106792 A KR 20110106792A KR 1020110016874 A KR1020110016874 A KR 1020110016874A KR 20110016874 A KR20110016874 A KR 20110016874A KR 20110106792 A KR20110106792 A KR 20110106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ool
fixed
fix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271B1 (ko
Inventor
신이치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1010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장대 장착부와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을 파단하기 어렵고 또한 낚싯대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편 베어링 릴은, 줄 감기용의 스풀(3)과, 스풀 축(2)과, 릴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2)은, 스풀(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릴 본체(1)는, 스풀 축(2)을 지지하는 프레임(10)과, 스풀 축(2)과의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장대 장착부(12)를 가진다. 프레임(10)은, 원형의 프레임 본체(13)와, 프레임 본체(13)의 외측면으로부터 스풀 축(2)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스풀 축의 축심(C1)을 포함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고정 볼록부(14)를 가지고, 장대 장착부(12)는, 고정 볼록부(14)의 외주면(14a, 外周面)에 감합(嵌合)하는 내주면(20b, 內周面)을 가진다.

Description

편 베어링 릴{SINGLE 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편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스풀 축이 릴 본체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되는 편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캔틸레버 지지된 스풀 축과,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원판 형상이며, 대향하는 외주부(外周部)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면부(周面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의 외측면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부(다리체)가 고정되어 있다. 장대 장착 다리는, 릴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스풀의 직경 방향 외방(外方)에 장착되는 다리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편 베어링 릴에서는, 낚시꾼은 낚싯대를 쥔 손의 손가락의 선단(先端)에서 스풀을 만져 스풀을 제동하는 조작을 행하고 있다.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는 경우, 낚시꾼의 손가락의 길이나 사용하는 손가락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와 스풀의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예를 들어, 스풀의 플랜지부)와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래서, 릴 본체를, 스풀을 캔틸레버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가능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 장대 장착부로 구성된 편 베어링 릴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편 베어링 릴은, 스풀의 직경 방향 외방에서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장대 장착부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을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대 장착부에 연결되어 있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어느 실시예도 1개의 축 부재(조정 축)를 볼트 부재(조정 나사)에 의하여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프레임과 장대 장착부를 고정하고 있다. 종래의 편 베어링 릴에서는, 장대 장착부를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또는 직선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와 스풀의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변경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4-30865호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1개의 축 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장대 장착부에 대하여 회동 또는 직선 이동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대와 스풀의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가 변동한다. 그러나, 1개의 축 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장대 장착부에 고정하면, 채비에 사냥감이 걸려 릴에 강한 부하가 작용한 경우, 응력이 축 부재에 집중하여 축 부재가 파단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장대 장착부와 프레임의 고정 부분을 파단하기 어렵게 하고, 또한 낚싯대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릴이고, 줄 감기용의 스풀과, 스풀 축과, 릴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은,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릴 본체는, 스풀 축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스풀 축과의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프레임에 고정되는 장대 장착부를 가진다. 프레임은, 원형의 프레임 본체와, 프레임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스풀 축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스풀 축의 축심을 포함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고정 볼록부를 가지고, 장대 장착부는,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는 내주면을 가진다.
이 편 베어링 릴에서는, 낚싯대가 장착 가능한 장대 장착부가, 프레임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축심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스풀 축의 축심을 포함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는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감합하여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대 장착부의 둘레 방향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와 스풀 축에 장착된 스풀과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볼록부는 스풀 축의 축심을 포함하여 원형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줄에 기인하여 하중이 작용하는 스풀 축과 고정 볼록부의 고정 부분과의 거리에 큰 차가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풀 축에 하중이 작용하여도, 고정 볼록부의 스풀 축으로부터 먼 측의 외주면의 고정 부분에 극단(極端)에 큰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이 없어져, 고정 부분이 파단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는, 스풀 축의 축심을 포함하여 편심한 고정 볼록부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와 프레임을 연결하고, 또한 장대 장착부의 둘레 방향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편심한 고정 볼록부에 장대 장착부를 고정하면, 장대 장착부와 프레임과의 고정 부분이 파단하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낚싯대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발명 2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1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장대 장착부는, 고정부와, 암부와, 장착 다리부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는, 내주면을 가지고,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고정 위치의 어느 하나에서 프레임에 고정 가능하다. 암부는, 고정부로부터 프레임의 외방으로 연장된 후에 만곡하여 스풀의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된다. 장대 장착부는, 암부의 선단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 축에 대하여 편심한 고정 볼록부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개소에서 링 형상의 고정부를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과 장대 장착부의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고정부는, 내주면을 가지는 링 형상이며, 고정용의 적어도 1개의 볼트 부재가 통과 가능하며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을 가진다. 프레임은, 고정 볼록부의 직경 방향 외방에 고정 구멍에 대향 가능하게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볼트 부재가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는 복수의 암 나사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고정 구멍을 통하여 볼트 부재를 암 나사부에 틀어넣는 것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를 프레임에 스풀 축과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고정 위치에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트 부재로 고정한 경우, 하중에 의한 볼트 부재의 느슨해짐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모든 부의 볼트 부재가 느슨해져도 고정 위치가 변화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4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3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와 고정 볼록부는 별체로 구성된다. 프레임 본체는, 편심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 볼록부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과, 장착 구멍의 주위에 고정 구멍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을 가진다. 고정 볼록부는, 프레임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고정 볼록부는, 장착 구멍보다 대경(大徑)의 장착부와, 장착부로부터 장착 구멍을 관통하여 프레임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원형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진다. 복수의 암 나사부는, 장착부에 통과 구멍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 본체와 고정 볼록부가 별체이기 때문에, 고정 볼록부를 형성하기 쉽다. 또한, 고정 볼록부의 장착부에 암 나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 본체의 형상을 박육(薄肉)의 단순한 원형으로 할 수 있어, 프레임 본체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나아가, 프레임 본체와 장대 장착부를 같은 볼트 부재로 고정 볼록부에 고정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2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와 고정 볼록부는 일체 형성된다. 고정부는, 내주면을 가지는 링 형상이며, 고정용의 적어도 1개의 볼트 부재가 통과 가능하며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을 가진다. 프레임은,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에 고정 구멍에 대향 가능하게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볼트 부재가 나합하는 복수의 암 나사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암 나사부를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암 나사부가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두께가 얇은 프레임 본체와 고정 볼록부를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하여 일체 형성하여도 암 나사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트 부재로 고정한 경우, 하중에 의한 볼트 부재의 느슨해짐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모든 부의 볼트 부재가 느슨해져도 고정 위치가 변화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6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복수의 암 나사부의 수는, 복수의 고정 구멍의 수보다 많다. 이 경우에는, 암 나사부의 수가 고정 구멍의 수보다 많기 때문에, 고정 볼록부의 둘레 방향에 고정 구멍의 수보다 많은 개소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 축과의 거리를 보다 세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암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5mm 이상 20mm 이하이다. 이 경우에는, 암부의 폭이 좁기 때문에, 스피닝 릴과 같이, 암부를,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과 중지 등의 손가락으로 끼워 편 베어링 릴을 보지(保持)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스풀은,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줄 감기 몸통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프레임에 근접하는 일단(一端)에 설치되고 줄 감기 몸통부보다 대경의 제1 플랜지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타단(他端)에 설치되고 줄 감기 몸통부보다 대경의 제2 플랜지부를 가지고, 프레임의 외경은, 제1 플랜지부의 외경보다 작다. 이 경우에는, 스풀의 제1 플랜지부의 외경이 프레임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1 플랜지부가 프레임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의 어느 하나에서도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8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는,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제1 환상(環狀) 돌기를 외주부에 가지고, 프레임은, 제1 환상 돌기의 내주 측에 간극(間隙)을 두어 배치되고, 제1 환상 돌기와 스풀 축의 축 방향에 서로 겹치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 환상 돌기를 외주부에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감기는 낚싯줄이 제1 플랜지부로부터 외측으로 떨어져도, 제1 플랜지부의 제1 환상 돌기와 축 방향에 서로 겹치는 프레임의 제2 환상 돌기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제1 플랜지부를 프레임보다 대경으로 하여도, 낚싯줄이 프레임과 제1 플랜지부와의 간극으로부터 스풀 내부에 침입하여 줄 씹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9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제1 환상 돌기는, 제2 환상 돌기를 사이에 두고 제1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에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풀과 프레임에서 축 방향에 겹쳐지는 부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줄 씹힘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9 또는 10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프레임은, 제2 환상 돌기에 형성된 원주면을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2 환상 돌기에 원주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환상 돌기로부터 낚싯줄이 제2 환상 돌기로 떨어져도, 프레임의 내측에 낚싯줄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발명 11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외측면은 스풀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탄면이며, 프레임은, 원주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縮徑, 직경이 축소하는 것)하는 줄 안내면을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환상 돌기로부터 원주면에 낚싯줄이 떨어져도, 낚싯줄이 외측면에 안내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풀 축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한 고정 볼록부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와 프레임을 연결하고, 또한 장대 장착부의 둘레 방향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편심한 고정 볼록부에 장대 장착부를 고정하면, 장대 장착부와 프레임과의 고정 부분이 파단하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낚싯대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편 베어링 릴의 정면도.
도 2는 그 배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
도 4는 제1 플랜지부와 프레임의 외주 측의 단면 부분도.
도 5는 장대 장착부의 복수의 장착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의 도 6의 VII-VII 단면도.
도 8은 제3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도 1,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편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에 캔틸레버 지지된 스풀 축(2)과, 스풀 축(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3)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스풀 축(2)을 지지하는 원형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낚싯대(RD) 장착용의 장대 장착부(12)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10)은, 스풀 축(2)이 캔틸레버 지지되는 지지 구멍(10a)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원판상의 프레임 본체(13)와, 프레임 본체(13)에 설치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고정 볼록부(14)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 본체(13)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얇은 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한 테두리붙이 원판 형상의 부재이다. 프레임 본체(13)는, 스풀(3)보다 소경(小俓)의 원형의 부재이다. 프레임 본체(13)는, 스풀(3)의 후술하는 제1 환상 돌기(36c)보다 스풀 축(2)의 축 방향 외측(도 3 우측)에 배치되는 외측면(10d)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 본체(13)의 외주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의 제1 플랜지부(36a) 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프레임 본체(13)는, 선단의 외주면(10g)에, 제1 플랜지부(36a) 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2 환상 돌기(10e)를 가지고 있다. 제2 환상 돌기(10e)가 형성된 외주면(10g)은, 제1 환상 돌기(36c)의 스풀 축 방향 외측(도 4 우측)으로부터 내측(도 4 좌측)으로 배치되는 원주면이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원주면인 외주면(10g)의 기단(基端)은, 제1 환상 돌기(36c)의 선단보다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외주면(10g)의 선단은, 제1 환상 돌기(36c)의 선단보다 축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3)의 외주면(10g)의 기단에 이어져 제1 환상 돌기(36c)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면(10d)을 향하여 만곡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면은, 스풀(3)로부터 떨어진 낚싯줄을 외측면(10d)에 안내하는 줄 안내면(10f)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줄 안내면(10f)은, 단면으로부터 보아 원호 형상의 필렛(fillet) 형상의 곡면(10h)과 단면으로부터 보아 직선상의 테이퍼면(10i)으로 형성되어 있다. 곡면(10h)은, 축경 비율이 서서히 커져 있다. 또한, 테이퍼면(10i)은, 축경 비율이 같다. 이 테이퍼면(10i)이 내주 측의 제1 환상 돌기(36c)의 형성 위치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 방향 위치에서 장대 장착부(12)의 암부(22)의 내측면(22a)에 접촉하고 있다. 덧붙여, 줄 안내면(10f)의 축경 비율은, 서서히 작아져도 무방하고, 서서히 커져도 무방하며, 일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그것들을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줄 안내면(10f)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줄 안내면(10f)에 낚싯대(RD)를 쥐는 손가락을 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줄 안내면(10f)에 둔 손가락을 제1 플랜지부(36a)에 미끄러지게 하는 것만으로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제1 플랜지부(36a)에 미끄러지게 한 손가락을 줄 안내면(10f)으로 되돌리는 것만으로,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및 해제 조작을 신속하고 또한 안정하여 행할 수 있다. 만약, 프레임 본체(13)의 외측면(10d)이 제1 환상 돌기(36c)의 축 방향 내측에 있고, 제1 플랜지부(36a)보다 돌출한 줄 안내면(10f)이 없는 경우, 손가락을 둘 장소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를 해제할 때에는, 손가락을 제1 플랜지부로부터 떼어 뜨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및 해제 조작을 신속하고 또한 안정하여 행하기 어렵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3)에는, 스풀 축심(C1)으로부터 편심한 축심(C2)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 볼록부(14)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본체(13)의 장착 구멍(13a)의 직경 방향 외방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예를 들어 8개)의 통과 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볼록부(14)는, 프레임 본체(13)의 내측면(13c)에 배치되고, 장착 구멍(13a)보다 대경의 장착부(14b)와, 장착부(14b)로부터 장착 구멍(13a)을 관통하여 프레임 본체(13)의 외측면(10d)으로부터 원형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4c)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14c)는, 축심(C1)을 포함하여 프레임 본체(13)의 외측면(10d)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고정 볼록부(14)에는, 프레임(10)의 중심에 위치하는 축심(C1)을 따라 전술한 지지 구멍(10a)이 형성된 보스부(10b)가 스풀 축(2)의 선단 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볼록부(14)는, 제1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본체(13)와 별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프레임 본체(13)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고정 볼록부(14)의 외주면(14a)(돌출부(14c)의 외주면)의 외경은, 스풀(3)의 외경의 30퍼센트 이상 70퍼센트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는, 외주면(14a)의 외경은, 프레임 본체(13)의 외경의 대체로 50퍼센트이다. 덧붙여, 외주면(14a)의 외경이 30퍼센트 미만이면, 하중에 대한 축 직경이 충분하지 않아, 파단할 우려가 있다. 또한, 70퍼센트를 넘으면 조정의 폭이 좁아져 버린다.
돌출부(14c)는, 축심(C2)을 중심으로 스풀 축심(C1)을 포함하도록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하중에 기인하여 고정 부분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다. 돌출부(14c)의 선단에는, 축심(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개구(14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4d)는, 고정 볼트(26)를 틀어넣기 위함과 경량화를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개구(14d)는, 도시하지 않는 명판(銘板)에 의하여 가려져 있다.
고정 볼록부(14)의 장착부(1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c)의 직경 방향 외방에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암 나사부(18)를 가지고 있다. 암 나사부(18)는, 장대 장착부(12)를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부재(16)가 틀어 넣어지는 나사 구멍이다. 암 나사부(18)는,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볼트 부재(16)는, 예를 들어, 명두(못대가리가 동글납작한 못) 볼트이며, 제1 실시예에서는, 4개의 볼트 부재(16)로 장대 장착부(12)를 고정하고 있다. 볼트 부재(16)는, 장대 장착부(12)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장대 장착부(12)와 장착부(14b)에 끼인 프레임 본체(13)를 고정 볼록부(14)에 고정한다.
장대 장착부(1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또는 유리 단섬유를 함침시킨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장대 장착부(12)는, 스풀 축(2)과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고정 위치의 어느 하나에서 프레임(10)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20)와, 암부(22)와, 장착 다리부(24)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20)는, 고정 볼록부(14)의 외주면(14a)에 감합하는 내주면(20b)을 가지는 링 형상이다. 고정부(20)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20a)을 가지고 있다. 고정 구멍(20a)은, 암 나사부(18)에 대향 가능하게 스풀 축(2)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암 나사부(18)의 수는, 고정 구멍(20a)의 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암 나사부를 적게 하여 고정 구멍을 많게 하면, 고정에 사용하지 않는 고정 구멍이 고정부의 표면에 노출하기 때문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암 나사부(18)의 수는 8개이며, 고정 구멍(20a)의 수는 4개이다. 이와 같이, 암 나사부(18)를 고정 구멍(20a)보다 많게 하면, 사용하지 않는 암 나사부(18)는, 고정부(20)에 의하여 덮여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볼트 부재(16)를 이용하여, 둘레 방향의 8개의 고정 위치(F1-F8)의 어느 하나에서 장대 장착부(12)를 프레임(10)에 고정할 수 있다.
암부(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0)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암부(22)는, 고정부(20)로부터 프레임(10)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후에 만곡하여 스풀(3)의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암부(22)의 전후 방향(도 2 좌우 방향)의 길이(L)는, 5mm 이상 20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 15mm 이하이다. 이와 같이 암부(22)의 전후 방향의 길이(폭, L)가 짧아지면, 낚싯대(RD)를 쥐는 손의 2개의 손가락으로 암부(22)를 사이에 두어 편 베어링 릴을 보지할 수 있다. 암부(22)는, 고정부(20)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서서히 두께가 두꺼워져, 만곡 부분의 가장 앞쪽에서 최대의 두께로 된다.
장착 다리부(24)는, 암부(22)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장착 다리부(24)는, 암부(22)의 선단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하다. 따라서, 장착 다리부(24)는, 상면(上面)에 낚싯대(RD)에 접촉 가능한 단면으로부터 보아 원호상의 장착면(24a)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릴 본체(1)에서는, 스풀 축(2)의 축심(C1)과 편심한 위치를 중심(C2)으로 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는 고정 볼록부(14)의 외주면에 감합하는 장대 장착부(12)를 프레임(10)에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장착부(12)의 둘레 방향의 8개의 고정 위치(F1-F8)에서, 장대 장착부(12)의 장착면(24a)과 스풀 축(2)의 축심(C1)과의 거리(D1-D8)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위치(F1)로부터 고정 위치(F5)를 향하여 거리(D1-D5)가 서서히 커지고, 고정 위치(F5)로부터 고정 위치(F1)를 향하여 거리(D5-D1)가 서서히 작아진다. 이 때문에, 8개의 고정 위치(F1-F8)의 어느 하나에서 장대 장착부(12)를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12)와 스풀 축(2)의 거리, 즉, 장대 장착부(12)의 직경 방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8개의 고정 위치(F1-F8)에서, 스풀 축(2)의 축심(C1)과, 장대 장착부(12)의 전후 방향의 중심 위치(C3)와의 거리(S1-S8)가 다르다. 따라서, 스풀 축에 대한 장대 장착부(12)의 전후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 덧붙여, 거리(S1)와 거리(S5)는, 「0」이기 때문에, 도 5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장대 장착부(12)를 전후 위치와 직경 방향 위치와의 조합이 다른 8개의 고정 위치(F1-F8)의 어느 하나에 고정할 수 있다.
<스풀 축의 구성>
스풀 축(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단의 소경부(2a)가 프레임(10)의 고정 볼록부(14)에 형성된 지지 구멍(10a)에 감합하고 있다. 스풀 축(2)은, 기단면에 틀어 넣어진 고정 볼트(26)에 의하여 프레임(10)의 고정 볼록부(14)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 축(2)의 선단에는, 제1 환상 홈(2b)과, 제1 환상 홈(2b)보다 대경으로 선단이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머리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환상 홈(2b)에 인접하여 부시(bush, 21)가 장착되는 부시 장착부(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시 장착부(2d)의 기단 측은, 부시 장착부(2d)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거기에는, 제2 환상 홈(2e)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터치 착탈 기구(6)에 의하여, 스풀 축(2)에 대하여 원터치로 착탈할 수 있다. 스풀(3)은, 스풀 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줄 감기 몸통부(35)와, 제1 플랜지부(36a) 및 제2 플랜지부(36b)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이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줄 감기 몸통부(35)는, 외주면에 낚싯줄이 감기 가능한 통상(筒狀)의 줄 감기부(35a)와, 줄 감기부(35a)의 내주 측에서 스풀 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통부(37)와, 줄 감기부(35a)와 지지 통부(37)를 연결하는 원판상의 연결부(38)를 가지고 있다. 지지 통부(37)는, 스풀 축(2)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37a)을 가지는 통상의 부재이며, 선단 측은 원터치 착탈 기구(6)를 구성하는 덮개 부재(31)로 막혀 있다. 관통 구멍(37a)과 스풀 축(2)의 사이에는, 스풀(3)을 스풀 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베어링(40) 및 제2 베어링(42)이 축 방향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제2 베어링(42)은, 제2 환상 홈(2e)에 장착된 빠짐 방지 부재(43)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연결부(38)는, 줄 감기부(35a)와 지지 통부(37)를 연결하는 원판상의 것이다. 연결부(38)에는 스풀(3)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손잡이(44)와, 핸들 손잡이(44)의 180도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밸런스 웨이트(46)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36a)는, 줄 감기 몸통부(35)의 일단부에 줄 감기 몸통부(35)와 일체로 형성된 원반상의 것이다. 제1 플랜지부(36a)는 릴 본체(1)의 프레임(10)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36a)의 외경은, 프레임(10)의 외경보다 크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36a)의 외주 측의 외측면에는, 직경 방향에 간격을 두고 프레임(10)을 향하여 축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제1 환상 돌기(36c)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측의 제1 환상 돌기(36c)는, 제2 환상 돌기(10e)의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고, 스풀 축(2)의 축 방향과 서로 겹치도록 프레임(10)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내주 측의 제1 환상 돌기(36c)는, 제2 환상 돌기(10e)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제2 환상 돌기(10e)에 축 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돌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플랜지부(36b)는, 줄 감기 몸통부(35)의 타단부에 릴 본체(1)의 개방부를 덮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플랜지부(36b)는, 제1 플랜지부(36a)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 플랜지부(36b)를 제1 플랜지부(36a)와 다른 직경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2 플랜지부(36b)를 제1 플랜지부(36a)보다 소경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원터치 착탈 기구의 구성>
원터치 착탈 기구(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2)의 제1 환상 홈(2b)에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되는 탄성 선재제의 용수철 부재(30)와, 용수철 부재(30)를 빠짐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통부(37)의 선단에 틀어 넣음 고정된 덮개 부재(31)와, 덮개 부재(31)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버튼(32)과, 용수철 부재(30)를 덮개 부재(31)와의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부시(21)를 가지고 있다. 부시(21)는, 푸시 버튼(32)의 둘레 방향 위치를 규제한다.
용수철 부재(30)는, 스풀(3)을 스풀 축(2)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용수철이다. 또한, 용수철 부재(30)는, 푸시 버튼(32)을 전방(도 3 좌방)으로 압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용수철 부재(30)는, 탄성 선재를 접어 구부려 형성된 것이며, 변형하였을 때에 전방으로의 압박력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터치 착탈 기구(6)에서는, 푸시 버튼(32)을 압압(押壓)하면, 용수철 부재(30)가 제1 환상 홈(2b)으로부터 떼어내져 스풀(3)을 스풀 축(2)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스풀(3)을 스풀 축(2)에 장착하면 용수철 부재(30)가 넓어진 후에 제1 환상 홈(2b)에 계지되어 스풀 축(2)에 빠짐 방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다음으로, 장대 장착부(12)의 고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여성 등의 손가락이 짧은 사람은, 도 5에 있어서, 고정 위치(F1)에서 장대 장착부(12)를 프레임(10)에 장착한다. 또한, 그러면, 낚싯대(RD)를 쥐는 손의 집게 손가락 또는 중지가 스풀(3)에 가까워져, 스풀(3)을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손가락이 긴 사람은, 예를 들어, 고정 위치(F2-F8)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고정 위치(F2-F4)에서는, 스풀 축(2)의 축심(C1)이 장대 장착부(12)의 중심(C3)보다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고정 위치(F6-F8)에서는, 스풀 축(2)의 축심(C1)이 장대 장착부(12)의 중심(C3)보다 후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편 베어링 릴을 스피닝 릴과 같이 장대 장착부(12)의 암부(22)를 사이에 두어 보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 위치(F3-F7)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장착 다리부(24)와 프레임(10)의 간극이 커져, 그 사이에 손가락을 통하게 할 수 있도록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과 중지의 사이에 암부(22)를 사이에 두고 구부려, 낚싯대(RD)와 함께 장착 다리부(24)를 쥘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손가락의 장단에 의하여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 볼록부(14)의 직경 방향 외방에 복수(예를 들어, 8개)의 암 나사부(18)를 배치하였지만, 암 나사부의 위치는 제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덧붙여,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형상이 다르지만 동일한 기능의 부위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의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구성의 부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01)의 프레임(110)의 장대 장착부(112)의 고정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본체(113)와 고정 볼록부(11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고정 볼록부(114)의 외주면(114a)에 복수의 암 나사부(118)를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 볼록부(114)의 축 방향의 치수가 크다. 또한, 복수의 고정 구멍(120a)이, 고정부(120)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20)는 축 방향의 치수가 제1 실시예보다 약간 크지만, 직경 방향의 치수는 제1 실시예의 것보다 작다. 제2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고정 구멍(120a)의 수는 3개이며, 암 나사부(118)의 수는 12개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3개의 볼트 부재(116)로 장대 장착부(112)를 프레임(110)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고정 위치의 수는, 제2 실시예에서는 12개가 된다.
이 경우, 암 나사부(118)를 고정 볼록부(114)의 외주면(114a)에 형성하고, 고정 구멍(120a)을 고정부(120)에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 볼록부(114) 및 고정부(120)의 축 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그러나, 그들 직경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볼트 부재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를 프레임에 고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덧붙여,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형상이 다르지만 동일한 기능의 부위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의 부호에 200을 더한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구성의 부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의 편 베어링 릴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10)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213)와 고정 볼록부(214)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이며, 고정 볼록부(214)는, 예를 들어 유리 단섬유가 함침된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이다. 릴 본체(201)의 프레임(210)의 고정 볼록부(214)의 축 방향의 선단 외주부에 수 나사부(218)를 형성하고, 고정부(220)를 너트(216)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고정부(220)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하여 위치 결정부(2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의 A부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250)는, 예를 들어, 위치 결정 핀(252)과, 위치 결정 오목부(254)를 가지고 있다. 위치 결정 핀(252)은, 용수철 부재(256)에 의하여 위치 결정 오목부(254) 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252)은, 고정 볼록부(214)에, 외주면(214a)에 개구하도록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착 오목부(214b)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252)은, 반구 형상의 머리부(252a)와, 머리부(252a)보다 소경의 축부(252b)를 가지고 있다. 이 축부(252b)의 외주 측에, 예를 들어 코일 용수철의 형태의 용수철 부재(256)가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54)는, 고정부(220)의 내주면(220b)의 일부에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54)는, 예를 들어, (일부분이) 깨져 떨어진 구상 또는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제3 실시예에서는, 고정 볼록부(214)의 외경이 제1 실시예보다 작고, 축 방향의 치수는 크다. 또한, 고정부(220)의 외경은 제2 실시예와 같은 정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편 베어링 릴에서는, 위치 결정부(250)로 위치 결정되는 모든 위치에서 장대 장착부(212)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위치 결정 오목부(254)의 수만큼 고정 위치가 얻어진다. 또한, 너트(216)를 떼어내는 것 없이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특징>
(A) 편 베어링 릴은, 낚싯대에 장착하며 전방으로 낚싯줄을 방출 가능한 릴이다. 편 베어링 릴은, 줄 감기용의 스풀(3)과, 스풀 축(2)과, 릴 본체(1, 101, 201)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2)은, 스풀(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릴 본체(1, 101, 201)는, 스풀 축(2)을 지지하는 프레임(10, 110, 210)과,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하고, 스풀 축(2)과의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프레임(10, 110, 210)에 고정되는 장대 장착부(12, 112, 212)를 가진다. 프레임(10, 110, 210)은, 원형의 프레임 본체(13, 113, 213)와, 프레임 본체(13, 113, 213)의 외측면으로부터 스풀 축(2)의 축심(C1)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축심(C2))를 중심으로 하여, 스풀 축(2)의 축심(C1)을 포함하여 원형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고정 볼록부(14, 114, 214)를 가지고, 장대 장착부(12, 112, 212)는, 고정 볼록부(14, 114, 214)의 외주면(14a, 114a, 214a)에 감합하는 내주면(20b, 120b, 220b)을 가진다.
이 편 베어링 릴에서는, 낚싯대(RD)가 장착 가능한 장대 장착부(12, 112, 212)가, 스풀 축(2)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로부터 원형으로 돌출하는 고정 볼록부(14, 114, 214)의 외주면(14a, 114a, 214a)에 내주면(20b, 120b, 220b)이 감합하여 프레임(10, 110, 2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대 장착부(12, 112, 212)의 둘레 방향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12, 112, 212)와 스풀 축(2)에 장착된 스풀(3)과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볼록부(14, 114, 214)는 스풀 축(2)의 축심을 포함하여 원형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줄에 기인하여 하중이 작용하는 스풀 축과 고정 볼록부(14, 114, 214)의 고정 부분과의 거리에 큰 차가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풀 축(2)에 하중이 작용하여도, 고정 볼록부(14, 114, 214)의 스풀 축(2)으로부터 먼 측의 외주면(14a, 114a, 214a)의 고정 부분에 극단에 큰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이 없어져, 고정 부분(예를 들어, 볼트 부재(16, 116))이 파단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는, 스풀 축(2)의 축심(C1)을 포함하여 편심한 고정 볼록부(14, 114, 214)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12, 112, 212)와 프레임(10, 110, 210)을 연결하고, 또한 장대 장착부(12, 112, 212)의 둘레 방향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RD)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편심한 고정 볼록부(14, 114, 214)에 장대 장착부(12, 112, 212)를 고정하면, 장대 장착부(12, 112, 212)와 프레임(10, 110, 210)과의 고정 부분이 파단하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낚싯대(RD)와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부위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B)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장대 장착부(12, 112, 212)는, 고정부(20, 120, 220)와, 암부(22, 122, 222)와, 장착 다리부(24, 224)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20, 120, 220)는, 내주면(20b, 120b, 220b)을 가지고, 고정 볼록부(14, 114, 214)의 외주면(14a, 114a, 214a)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고정 위치의 어느 하나에서 프레임(10, 110, 210)에 고정 가능하다. 암부(22, 122, 222)는, 고정부(20, 120, 220)로부터 프레임(10, 110, 210)의 외방으로 연장된 후에 만곡하여 스풀(3)의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된다. 장착 다리부(24, 224)는, 암부(22, 122, 222)의 선단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스풀 축(2)에 대하여 편심한 고정 볼록부(14, 114, 214)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개소에서 링 형상의 고정부(20, 120, 220)를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축(2)과 장대 장착부(12, 112, 212)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C)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고정부(20)는, 내주면(20b)을 가지는 링 형상이며, 고정용의 적어도 1개의 볼트 부재(16)가 통과 가능하고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20a)을 가진다. 프레임(10)은, 고정 볼록부(14)의 직경 방향 외방의 외측면(10d)에 고정 구멍(20a)에 대향 가능하게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암 나사부(18)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고정 구멍(20a)을 통하여 볼트 부재(16)를 암 나사부(18)에 틀어넣는 것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12)를 프레임(10)에 스풀 축(2)과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고정 위치에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트 부재(16)로 고정한 경우, 하중에 의한 볼트 부재(16)의 느슨해짐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모든 부의 볼트 부재(16)가 느슨해져도 고정 위치가 변화하기 어려워진다.
(D)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3)와 고정 볼록부(14)는 별체로 구성된다. 프레임 본체(13)는, 편심한 축심(C2)을 중심으로 하고 고정 볼록부(14)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13a)과, 장착 구멍(13a)의 주위에 고정 구멍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과 구멍(13b)을 가진다. 고정 볼록부(14)는, 프레임 본체(13)의 내측면(13c)에 배치된다. 고정 볼록부(14)는, 장착 구멍(13a)보다 대경의 장착부(14b)와, 장착부(14b)로부터 장착 구멍(13a)을 관통하여 프레임 본체(13)의 외측면(10d)으로부터 원형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4c)를 가진다. 복수의 암 나사부(18)는, 장착부(14b)에 통과 구멍(13b)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 본체(13)와 고정 볼록부(14)가 별체이기 때문에, 고정 볼록부(14)를 형성하기 쉽다. 또한, 고정 볼록부(14)의 장착부(14b)에 암 나사부(18)가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 본체(13)의 형상을 박육의 단순한 원형으로 할 수 있어, 프레임 본체(13)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나아가, 프레임 본체(13)와 장대 장착부(12)를 같은 볼트 부재(16)로 고정 볼록부(14)에 고정할 수 있다.
(E)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13)와 고정 볼록부(114)는 일체 형성된다. 고정부(120)는, 내주면을 가지는 링 형상이며, 고정용의 적어도 1개의 볼트 부재(116)가 통과 가능하고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120a)을 가진다. 프레임(110)은, 고정 볼록부(114)의 외주면에 고정 구멍(120a)에 대향 가능하게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볼트 부재(116)가 나합하는 복수의 암 나사부(118)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암 나사부(118)를 고정 볼록부(114)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암 나사부(118)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두께가 얇은 프레임 본체(113)와 고정 볼록부(114)를 일체 형성하여도 암 나사부(118)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트 부재(116)로 고정한 경우, 하중에 의한 볼트 부재(116)의 느슨해짐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모든 부의 볼트 부재(116)가 느슨해져도 고정 위치가 변화하기 어려워진다.
(F) 복수의 암 나사부(18, 118)의 수는, 복수의 고정 구멍(20a, 120a)의 수보다 많다. 이 경우에는, 암 나사부(18, 118)의 수가 고정 구멍(20a, 120a)의 수보다 많기 때문에, 고정 볼록부(14, 114)의 둘레 방향에 고정 구멍(20a, 120a)의 수보다 많은 개소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 축(2)과의 거리를 보다 세세하게 변경할 수 있다.
(G)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암부(22, 122, 222)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5mm 이상 20mm 이하이다. 이 경우에는, 암부(22, 122, 222)의 폭이 좁기 때문에, 스피닝 릴과 같이, 암부(22, 122, 222)를,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과 중지 등의 손가락으로 사이에 두어 편 베어링 릴을 보지할 수 있다.
(H)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스풀(3)은, 스풀 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줄 감기 몸통부(35)와, 줄 감기 몸통부(35)의 프레임(10, 110, 210)에 근접하는 일단에 설치되고 줄 감기 몸통부(35)보다 대경의 제1 플랜지부(36a)와, 줄 감기 몸통부(35)의 타단에 설치되고 줄 감기 몸통부(35)보다 대경의 제2 플랜지부(36b)를 가진다. 프레임(10, 110, 210)의 외경은, 제1 플랜지부(36a)의 외경보다 작다. 이 경우에는, 스풀(3)의 제1 플랜지부(36a)의 외경이 프레임(10, 110, 210)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1 플랜지부(36a)가 프레임(10, 110, 210)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제1 플랜지부(36a) 및 제2 플랜지부(36b)의 어느 하나에서도 손가락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행할 수 있다.
(I)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36a)는, 프레임(10, 110, 210)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제1 환상 돌기(36c)를 외주부에 가지고, 프레임(10, 110, 210)은, 제1 환상 돌기(36c)의 내주 측에 간극을 두어 배치되고, 제1 환상 돌기(36c)와 스풀 축(2)의 축 방향에 서로 겹치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 환상 돌기(10e)를 외주부에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스풀(3)에 감기는 낚싯줄이 제1 플랜지부(36a)로부터 외측에 떨어져도, 제1 플랜지부(36a)의 제1 환상 돌기(36c)와 축 방향에 서로 겹치는 프레임(10, 110, 210)의 제2 환상 돌기(10e)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제1 플랜지부(36a)를 프레임(10, 110, 210)보다 대경으로 하여도, 낚싯줄이 프레임(10, 110, 210)과 제1 플랜지부(36a)와의 간극으로부터 스풀(3) 내부에 침입하여 줄 씹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J)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환상 돌기(36c)는, 제2 환상 돌기(10e)를 사이에 두고 제1 플랜지부(36a)의 직경 방향에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풀(3)과 프레임(10, 110, 210)으로 축 방향에 서로 겹치는 부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줄 씹힘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K)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프레임(10, 110, 210)은, 제2 환상 돌기(10e)에 형성된 원주면(10g)을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2 환상 돌기(10e)에 원주면(10g)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환상 돌기(36c)로부터 낚싯줄이 제2 환상 돌기(10e)에 떨어져도, 프레임(10, 110, 210)의 내측에 낚싯줄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L) 편 베어링 릴에 있어서, 외측면(10d, 110d, 210d)은 스풀 축(2)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탄면이며, 프레임(10, 110, 210)은, 원주면(10g)으로부터 외측면(10d)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줄 안내면(10f)을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환상 돌기(36c)로부터 원주면(10g)에 낚싯줄이 떨어져도, 낚싯줄이 외측면(10d)에 안내되기 쉬워진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3개의 실시예에서는, 드랙 기구를 가지지 않는 편 베어링 릴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드랙 기구를 가지는 편 베어링 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가 프레임보다 대경이었지만, 프레임보다 소경의 편 베어링 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핸들의 회전을 변속하여 스풀에 전달하는 편 베어링 릴 등의 모든 편 베어링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3개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위치를 둘레 방향에 등 간격으로 설치하였지만, 고정 위치를 둘레 방향에 부등 간격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암 나사부의 고정 구멍의 정수배로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c) 제1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 환상 돌기(36c)와, 1개의 제2 환상 돌기(10e)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환상 돌기 및 제2 환상 돌기는 적어도 1개 있으면 몇 개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제조의 편리함으로부터는, 3개까지가 바람직하다.
1: 릴 본체 2: 스풀 축
3: 스풀 6: 원터치 착탈 기구
10: 프레임 10d: 외측면
10e: 제2 환상 돌기 10f: 줄 안내면
12: 장대 장착부 14: 고정 볼록부
14a: 외주면 16: 볼트 부재
18: 암 나사부 20: 고정부
20a: 고정 구멍 20b: 내주면
22: 암부 24: 장착 다리부
35: 줄 감기 몸통부 36a: 제1 플랜지부
36b: 제2 플랜지부 36c: 제1 환상 돌기
37: 지지 통부 101: 릴 본체
110: 프레임 112: 장대 장착부
114: 고정 볼록부 114a: 외주면
116: 볼트 부재 118: 암 나사부
120: 고정부 120a: 고정 구멍
201: 릴 본체 210: 프레임
212: 장대 장착부 214: 고정 볼록부
214a: 외주면 220: 고정부
220b: 내주면

Claims (12)

  1.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 가능한 편 베어링 릴 이고,
    줄 감기용의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축과,
    상기 스풀 축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장대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원형의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외측면(外側面)으로부터 상기 축심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스풀 축의 축심을 포함하도록 원형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고정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장대 장착부는, 상기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外周面)에 감합(嵌合)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는, 편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대 장착부는,
    상기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고정 위치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외방(外方)으로 연장된 후에 만곡하여 상기 스풀의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선단(先端)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장착 다리부를 가지는, 편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주면을 가지는 링 형상이며, 고정용의 적어도 1개의 볼트 부재가 통과 가능하고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 볼록부의 직경 방향 외방에 상기 고정 구멍에 대향 가능하게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볼트 부재가 나합(螺合)하는 복수의 암 나사부를 가지는, 편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고정 볼록부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편심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고정 볼록부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과,
    상기 장착 구멍의 주위에 상기 고정 구멍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과 구멍을 가지고,
    상기 고정 볼록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 구멍보다 대경(大徑)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장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원형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암 나사부는, 상기 장착부에 상기 통과 구멍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편 베어링 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고정 볼록부는 일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주면을 가지는 링 형상이며, 고정용의 적어도 1개의 볼트 부재가 통과 가능하고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고정 구멍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 볼록부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 구멍에 대향 가능하게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볼트 부재가 나합하는 복수의 암 나사부를 가지는, 편 베어링 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 나사부의 수는, 상기 복수의 고정 구멍의 수보다 많은, 편 베어링 릴.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5mm 이상 20mm 이하인, 편 베어링 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줄 감기 몸통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상기 프레임에 근접하는 일단(一端)에 설치되고 상기 줄 감기 몸통부보다 대경의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타단(他端)에 설치되고 상기 줄 감기 몸통부보다 대경의 제2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외경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경보다 작은, 편 베어링 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는,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제1 환상(環狀) 돌기를 외주부에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환상 돌기의 내주 측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환상 돌기와 상기 스풀 축의 축 방향에 서로 겹치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 환상 돌기를 외주부에 가지는, 편 베어링 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상 돌기는, 상기 제2 환상 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에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는, 편 베어링 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환상 돌기에 형성된 원주면을 더 가지는, 편 베어링 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상기 스풀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탄면이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원주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縮徑)하는 줄 안내면을 더 가지는, 편 베어링 릴.
KR1020110016874A 2010-03-23 2011-02-25 편 베어링 릴 KR101784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6089 2010-03-23
JP2010066089A JP5616087B2 (ja) 2010-03-23 2010-03-23 片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792A true KR20110106792A (ko) 2011-09-29
KR101784271B1 KR101784271B1 (ko) 2017-10-11

Family

ID=4465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874A KR101784271B1 (ko) 2010-03-23 2011-02-25 편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16087B2 (ko)
KR (1) KR101784271B1 (ko)
CN (1) CN102197792B (ko)
TW (1) TWI5483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76B1 (ko) 2021-06-29 2022-02-14 (주)애드미러 인피니티미러 이미지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8454B2 (ja) * 2017-09-28 202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2407U (ko) * 1987-11-04 1989-05-16
JPH0627106Y2 (ja) * 1988-12-28 1994-07-27 島野工業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H0430865U (ko) * 1990-07-03 1992-03-12
JPH0662606A (ja) * 1992-08-07 1994-03-08 Masaru Tsuda 偏心軸による位置調節構造
JP2002058399A (ja) * 2000-08-22 2002-02-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ロック機構
JP3485533B2 (ja) * 2000-09-05 2004-01-13 有限会社黒鯛工房 釣り用リール
JP2003129733A (ja) * 2001-10-20 2003-05-08 Kyoei Kanamono Seisakusho:Kk 車輪の高さ調整が可能な戸車
KR100451886B1 (ko) * 2002-09-12 2004-10-08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JP4785448B2 (ja) * 2005-07-20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CN101589699A (zh) * 2008-05-26 2009-12-02 张聪亮 线轮旋转卷线器
CN201438835U (zh) * 2009-06-12 2010-04-21 张聪亮 具多向旋转线轮的卷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76B1 (ko) 2021-06-29 2022-02-14 (주)애드미러 인피니티미러 이미지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97792B (zh) 2014-06-25
TW201143611A (en) 2011-12-16
TWI548342B (zh) 2016-09-11
KR101784271B1 (ko) 2017-10-11
JP5616087B2 (ja) 2014-10-29
CN102197792A (zh) 2011-09-28
JP2011193835A (ja)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4819B2 (ja)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KR101638946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JP5878718B2 (ja) 両軸受リール
JP2009273378A5 (ko)
US8882014B2 (en) Fishing-reel reel unit and fishing reel
JP2013070651A5 (ko)
KR10108183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KR20110106792A (ko) 편 베어링 릴
JP4921188B2 (ja) 片軸受リール
JP2011193835A5 (ko)
KR20040050705A (ko) 낚시용 릴 부품
JP2008178349A5 (ko)
JP201509749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097492A5 (ko)
KR102057049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JP5590933B2 (ja) 片軸受リール
JP3197817U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ハンドルキャップラインストッパー、及びハンドルキャップラインストッパーを備えた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620492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줄감김 보조구
JP2011193836A5 (ko)
JP2014030372A5 (ko)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AU2022377854A1 (en) Spool for angling-use spinning reel
KR101380666B1 (ko) 드래그파워 정밀 조절이 가능한 낚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