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705A - 낚시용 릴 부품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705A
KR20040050705A KR1020030082103A KR20030082103A KR20040050705A KR 20040050705 A KR20040050705 A KR 20040050705A KR 1020030082103 A KR1020030082103 A KR 1020030082103A KR 20030082103 A KR20030082103 A KR 20030082103A KR 20040050705 A KR20040050705 A KR 2004005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spring
fishing reel
portion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104B1 (ko
Inventor
키타지마케이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5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3Spool locking devices on spool shaf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과제]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스풀(spool)에 있어서, 조작 버튼 및 계지(係止) 용수철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스풀(4)은, 테이퍼(taper)면(8a)과 계지홈(8b)을 가지는 스풀축(8)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것에 있어서, 스풀 본체(7), 계지 용수철(30), 위치 결정 돌기(31), 덮개 부재(32), 조작 버튼(33) 및 계합 구멍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본체는 원형의 장착 공간(7b)을 가진다. 계지 용수철은 계지홈에 계지되는 한 쌍의 계지부(30a, 30b)를 가진다. 위치 결정 돌기는 계지 용수철의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한다. 덮개 부재는 장착 공간을 덮는다. 조작 버튼은 계지홈을 통과할 수 있게 덮개 부재에 장착되고,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의 간격을 넓히도록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테이퍼부(33b)를 가진다. 계합 구멍부는 테이퍼부의 선단(先端)이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작 버튼의 회전 위상을 제한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 부품{FISHING REEL COMPONENT}
본 발명은 낚시용 릴 부품, 특히, 선단(先端)에 형성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면과 테이퍼면보다 내측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축 부재에 대해서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낚시용 릴 부품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 부품, 예를 들어 스피닝 릴의 스풀(spool) (낚시용 릴 부품의 일례)에는, 스풀축 (축 부재의 일례)에 대해서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스풀은 선단에 형성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면과 테이퍼면보다 내측에 형성된 환상 홈을 가지는 스풀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은 스풀축이 관통하는 관통부 및 스프로켓(sprocket)축이 관통하는 단면에 형성된 장착 공간을 가지는 스풀 본체와, 장착 공간에 배치되어 스풀축의 환상 홈에 계합할 수 있는 계지(係止) 용수철과, 계지 용수철을 이탈 방지하기 위하여스풀 본체의 앞부분에 장착된 덮개 부재와, 계지 용수철을 환상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이탈 상태로 하기 위한 압압(押壓) 조작용의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 공간은 관통부와 동심에 배치된 원형의 공간이다. 계지 용수철은 탄성 선재를 구부려 형성된 것으로, 환상 홈에 계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부와, 양 계지부의 일단을 계지부의 타단을 돌아 연결하는 C자형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계지 용수철은 환상 홈에 계지됨과 함께, 조작 부재를 압압 방향과 역방향으로 압박한다.
조작 부재는 스풀축의 외주(外周)측에 장착되고, 환상 홈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장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부재는 계지부 사이에 장착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 간격을 넓히도록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테이퍼부와, 덮개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압압 조작부를 가지고,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축 부재의 환상 홈과 계지 용수철과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테이퍼부는 스풀축보다 큰 직경의 내경(內徑)을 가지는 통상부(筒狀部)의 선단으로부터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산 모양으로 비스듬히 절단한 듯한 형상으로, 장착시에는 스풀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이퍼부의 선단은 계지 용수철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한 쌍의 계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덮개 부재는 스풀 본체에 대해서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조작 부재도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를 스풀축을 향하여 압압하는 것으로써 테이퍼부에 의하여 계지 용수철 계지부의 간격을 넓혀 스풀축과의 계합을 해제하고, 스풀을 탈착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스풀을 스풀축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계지부가 테이퍼부에 의하여 넓어지면, 계지부는 서로 가까운 방향으로 테이퍼부에 힘을 작용하기 때문에, 압압 조작부는 압압 방향과 역방향으로 압압된다. 이 때문에, 압압 조작을 멈추면 조작 부재는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계지부는 계지가 가능한 상태로 돌아온다.
스풀을 스풀축에 장착할 때에는, 스풀축의 테이퍼면에 의하여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가 넓어져, 계지 용수철이 환상 홈에 위치하면 계지부가 환상 홈 내에 끼워 넣어져 스풀을 스풀축에 대하여 이탈 방지한다.
이러한 스풀을 조립할 때에는, 장착 공간에 계지 용수철을 배치하고, 조작 부재의 테이퍼부의 선단을 계지 용수철의 한 쌍의 계지부 내에 삽입한 상태로 덮개 부재를 스풀 본체에 나사로 조인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06-068447호 참조
상기 종래의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스풀에서는, 조작 부재나 계지 용수철은 장착 공간 내에 어떠한 회전 자세에서도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시에 잘못하여 한 쌍의 테이퍼부를 한 쌍의 계지부 바깥쪽에 넣을 우려가 있다. 테이퍼부가 계지 용수철의 한 쌍의 계지부 외측에 들어가면, 조작 부재를 압압 조작하여도,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 간격을 넓힐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서는 조작 부재와 계지 용수철을 잘못 조립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작 부재를 장착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축 부재에 대해서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낚시용 릴의 부품에 있어서, 조작 부재 및 계지 용수철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풀 단면도.
도 3은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계지 용수철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확대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핸들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스풀7: 스풀 본체
8: 스풀축8a: 테이퍼면
8b: 계지홈13, 52: 원터치 탈착 기구
30: 계지 용수철30a, 30b: 계지부
30c: 연결부31, 71, 231: 위치 결정 돌기
32, 72: 덮개 부재33, 73: 조작 버튼
33a: 압압 조작부33b, 73b: 테이퍼부
33e: 통상부34: 계합 구멍부
34a: 원호부34b: 연결부
37, 137, 237: 와셔42: 핸들 조립체
48: 손잡이축51: 손잡이 본체
74, 134: 계합 구멍부
발명 1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선단에 형성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면과 테이퍼면보다 내측에 형성된 환상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축 부재에 대해서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부품에 있어서, 부품 본체, 계지 용수철, 제1 위치 결정 수단, 덮개 부재, 조작 부재, 제2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부품 본체는 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부와, 축 부재가 관통하는 단면에 관통부와 동심으로 형성된 원형의 장착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계지 용수철은 환상 홈에 계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부와, 양 계지부의 일단을 상기 계지부의 타단을 돌아 연결하는 C자형의 연결부를 가지고, 장착 공간에 장착된 탄성 선재제(線材製)의 용수철이다.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계지 용수철의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하여 장착 공간에 배치 가능한 것이다. 덮개 부재는 계지 용수철을 이탈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을 덮도록 부품 본체에 고정된 것이다. 조작 부재는 축 부재의 환상 홈을 통과할 수 있도록 덮개 부재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덮개 부재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압압 조작부와, 압압 조작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계지부 사이에 선단이 삽입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 간격을 넓히도록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테이퍼부를 가지고,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축 부재의 환상 홈과 계지 용수철과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위치 결정 수단은 조작 부재의 한 쌍의 테이퍼부 선단이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작 부재의 회전 위상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 낚시용 릴 부품에서는, 조립시에는,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계지 용수철이 장착 공간에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를 테이퍼부측으로부터 장착 공간에 배치한다. 이 때 테이퍼부가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조작 부재의 회전 위상이 제한된다. 여기에서는, 계지 용수철이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회전 위상이 위치 결정되고, 그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에 대해서, 조작 부재를 장착할 때에 그 회전 위상이 테이퍼부가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한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와 계지 용수철이 위치 결정된 상태로 밖에 장착 공간에 장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와 계지 용수철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조작 부재의 테이퍼부는, 축 부재보다 큰 직경의 내경(內徑)을 가지는 통상부의 선단으로부터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산 모양으로 비스듬히 절단한 형상이다. 이 경우에는, 조작 부재를 형성형(型成形)에 의하여 제조하여도,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테이퍼부를 설계하기 쉬워진다.
발명 3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2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장착 공간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계지 용수철의 양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돌기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위치 결정 돌기가 한 쌍의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계지 용수철을 장착 공간의 바닥부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계지부를 이용하여 계지 용수철의 회전 위상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발명 4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3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장착 공간의 바닥부와 계지 용수철의 사이에 장착되고, 위치 결정 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노치(notch)부를 가지는 와셔(washer)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위치 결정 돌기를 설치해도 부품 본체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와셔 부재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발명 5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2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제2 위치 결정 수단은 축 부재와 직교하는 단면이, 테이퍼부의 통상부 외경(外徑)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테이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호부(圓弧部)와,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를 따라 원호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통상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가지는 대체로 타원 형상으로 장착 공간의 바닥부에 형성된 비원형의 계합 구멍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의 간격이 통상부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테이퍼부를 연결부를 향해서는 장착할 수 없고 원호부를 향했을 때에만 계합 구멍부에 조작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계합 구멍부의 연결부는 계지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에 대해서 테이퍼부를 확실히 삽입할 수 있어, 간소한 구성으로 양 부품의 조립 실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2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장착 공간의 바닥부와 계지 용수철의 사이에 장착되고, 계지 용수철의 양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된 와셔 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부품 본체와는 다른 와셔 부재로 계지 용수철의 회전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본체에 변경을 더하는 일 없이 계지 용수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4 또는 발명 6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제2 위치 결정 수단은 축 부재와 직교하는 단면이, 테이퍼부 통상부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테이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호부와,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를 따라 원호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통상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가지는 대체로 타원 형상으로 와셔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비원형의 계합 구멍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의 간격이 통상부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테이퍼부를 연결부를 향하여 장착할 수 없고 원호부를 향했을 때에만 계합 구멍부에 조작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계합 구멍부의 연결부는 계지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에 대해서 테이퍼부를 확실히 삽입할 수 있어, 부품 본체와는 따로 설치된 와셔 부재로 양 부품의 조립 실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내지 발명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축 부재는 낚시용 릴로서의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축이고, 부품 본체는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피닝 릴의 스풀 본체이다. 이 경우에는, 스피닝 릴의 스풀 부품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 9에 따른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내지 발명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축 부재는 낚시용 릴로서의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암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축이고, 부품 본체는 핸들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 본체이다. 이 경우에는,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손잡이 부품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 둘레에 낚싯줄을 감는 레버 브레이크형 릴에 있어서,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감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로, 낚싯대에 장착되는 전후로 긴 장착부(2c),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내부에 기구 수납 공간을 가지는 릴 몸틀(2a), 장착부(2c)와 릴 몸틀(2a)을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틀(2a)의 좌우 어느 쪽에도 핸들(1)을 장착할 수 있다.
릴 몸틀(2a)의 내부에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와, 스풀축(8)을 통하여 스풀(4)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3)는,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로,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원통부(3a), 원통부(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요동 가능하게 베일 암(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8)의 선단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8)은 선단에 형성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면(8a)과, 테이퍼면(8a)보다 내측 (도면 2 우측)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계지홈(8b)을 가지고 있다.
스풀(4)은 스풀 본체(7)와 원터치 탈착 기구(13)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7)는 낚싯줄이 외주에 감기는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後端部)에 일체로 성형된 통 모양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앞부분에 권사 몸통부(4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앞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7)는 알루미늄 합금제, 마그네슘 합금제, 스텐레스 합금제 등의 금속이나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것이다.
스풀 본체(7)의 중심에는, 스풀축(8)이 관통하는 관통공(7a)이 형성되고, 스풀축(8)이 관통하는 전단면(前端面)에는, 관통공(7a)과 동심에 통 모양의 돌출부(7e)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원터치 탈착 기구(1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공간(7b)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e)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덮개 부재(32)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7f)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7a)의 후단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회전 방지 홈(7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 홈(7c)에는 스풀축(8)에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핀 구멍(8c)에 장착된 회전 방지 핀(14)이 계지되어 있다. 이 회전 방지 홈(7c)과 회전 방지 핀(14)과의 계합에 의하여 스풀(4)이 스풀축(8)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터치 탈착 기구(1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8)의 계지홈(8b)에 계지되는 탄성 선재제의 계지 용수철(30), 계지 용수철(30)의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위치 결정 돌기(31), 덮개 부재(32), 조작 버튼(33), 제2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계합 구멍부(34), 3매의 와셔(35 내지 37)를 가지고 있다.
계지 용수철(30)은 스풀(4)을 스풀축(8)으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 하기 위한 용수철이다. 또한, 계지 용수철(30)은 조작 버튼(33)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계지 용수철(30)은 탄성 선재제를 구부려 형성된 것으로, 변형했을 때 압박력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계지 용수철(30)은 계지홈(8b)에 계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직선 모양의 한 쌍의 계지부(30a, 30b)와, 양 계지부(30a, 30b)의 일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양 계지부(30a, 30b)의 타단을 돌아 연결하는 C자형 연결부(30c)를 가지고, 장착 공간(7b)에 장착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31)는 장착 공간(7b)의 바닥부(7d)에 설치되고, 계지 용수철(30)의 양 계지부(30a, 30b)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31)의 폭(W) (도면 4)은 계지부(30a, 30b)의 간격보다 약간 작다. 구체적으로는, 계지부(30a, 30b)의 간격의 99% 내지 85%정도이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31)의 높이는 장착 공간(7b)의 깊이와 같거나 약간 작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공간(7b) 깊이의 100% 내지 50%정도이다. 이 위치 결정 돌기(31)에 양 계지부(30a, 30b)를 끼워 넣어 계지 용수철(30)을 장착 공간(7b)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계지 용수철(30)의 회전 위상이 위치 결정된다.
덮개 부재(32)는 합성 수지제의 대략 원반 형상의 부재로, 계지 용수철(30)을 이탈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을 덮도록 스풀 본체(7)의 돌출부(7e)에 나사로 조여 고정되어 있다. 덮개 부재는 덮개 본체(32a)와 덮개 본체(32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사이즈 표시부(32b)를 가지고 있다. 덮개 본체(32a)는 전방으로 볼록하게 팽출(膨出)하는 링 모양의 원판부(32c)와, 원판부(32c)의 중심 구멍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 모양의 고정부(32d)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32d)의 외주에는 돌출부(7e)의 암나사부(7f)에 나사로 감합하는 수나사부(32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32d)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계지 링(32f)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 링(32f)은 조작 버튼(33)을 이탈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낚싯줄 사이즈 표시부(32b)는 덮개 본체(32a)에 그려진 낚싯줄 사이즈에 맞추는 마크가 각인되어 있다. 이 마크를 낚싯줄 사이즈에 맞추는 것으로써 스풀(4)에 감기는 낚싯줄 사이즈를 기억할 수 있다.
조작 버튼(33)은 스풀축(8)의 계지홈(8b)을 통과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고, 압압 조작에 의하여 계지홈(8b)과 계지 용수철(30)과의 계합을 해제하기위한 것이다. 조작 버튼(33)은 덮개 부재(32)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압압 조작부(33a)와, 압압 조작부(33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한 쌍의 테이퍼부(33b)를 가지고 있다. 압압 조작부(33a)는 덮개 부재(32)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버튼부(33c)와, 버튼부(33c)의 외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링 모양 돌기(33d)를 가지고 있다. 버튼부(33c)의 바닥부 외표면은 덮개 부재(32)로부터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링 모양 돌기(33d)는 덮개 본체(32a)의 계지 링(32f)에 계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조작 버튼(33)이 이탈 방지된다.
테이퍼부(33b)는 버튼부(33c)의 바닥부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통상부(33e)의 선단 (도면 2 우단)에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33e)는 스풀축(8)보다 약간 큰 내경을 하고 있고, 한 쌍의 테이퍼부(33b)는 통상부(33e)의 선단으로부터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산 모양으로 비스듬히 절단한 형상이다. 한 쌍의 테이퍼부(33b)는 한 쌍의 계지부(30a, 30b) 사이에 선단이 삽입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30a, 30b)의 간격을 넓히도록 스풀축(8)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부(33b)의 선단에는 평탄부(3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부(33f)는 테이퍼부(33b)를 계지부(30a, 30b)에 확실히 삽입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압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탄부(33f)보다 약간 전방측에서 계지 용수철(30)의 계지부(30a, 30b)와 테이퍼부(33b)가 접촉하고 있다. 또한, 테이퍼부(33b)가 계지 용수철(30)의 계지부(30a, 30b)에 삽입된 상태로 계지부(30a, 30b)가 넓어진 상태에서는, 계지 용수철(30)은 테이퍼부(33b)를 통하여 조작 버튼(33)을 전방으로 압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33)을 압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조작 버튼(33)의 링 모양 돌기(33d)는 덮개 부재(32)의 계지 링(32f)에 접촉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계합 구멍부(34)는 한 쌍의 테이퍼부(33b)의 선단이 계지 용수철(30)의 계지부(30a, 30b)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작 버튼(33)의 회전 위상을 제한하는 것이다. 계합 구멍부(3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공간(7b)의 바닥부(7d)에 형성되어 있다. 계합 구멍부(34)는 스풀축(8)과 직교하는 단면이, 테이퍼부(33b)의 통상부(33e)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테이퍼부(33b)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호부(34a)와, 위치 결정 돌기(31)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30)의 계지부(30a, 30b)를 따라 원호부(34a)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통상부(33e)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34b)를 가지는 대체로 타원 형상으로 장착 공간(7b)의 바닥부(7d)에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34a)의 내경은, 구체적으로는, 통상부(33e)의 외경보다 101% 내지 110%정도 크고, 연결부(34b)의 간격은 통상부(33e)의 외경보다 99% 내지 60%정도 작다. 이 한 쌍의 원호부(34a)의 한편에 근접하여 위치 결정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3매의 와셔(35 내지 37)는 금속제의 부재이고, 와셔(36, 37)는 스풀(4)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와셔(35)는 다른 와셔(36, 37)보다 큰 직경으로 장착 공간(7b)의 전단면에 장착된다. 와셔(36, 37)는 장착 공간(7b) 내에 계지 용수철(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장착 공간(7b)에 장착되는 와셔(36, 37)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돌기(3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위치 결정 돌기(31)가 통과할 수 있는 노치부(36a, 37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10)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앞부분은 로터(3)를 관통하여 스풀(4)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제동부(16), 제동부(16)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17), 제동부(16)를 소정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 레버(18) 및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19)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 스풀(4)을 떼어낼 때는, 조작 버튼(33)의 압압 조작부(33a)를 스풀축(8)을 향하여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테이퍼부(33b)가 계지 용수철(30)의 계지부(30a, 30b)의 간격을 넓혀 스풀축(8)의 계지홈(8b)과의 계합을 해제하고, 스풀(4)을 탈착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 스풀(4)을 전방으로 당기면, 스풀축(8)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계지부(30a, 30b)가 테이퍼부(33b)에 의하여 넓혀지면, 한 쌍의 계지부(30a, 3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테이퍼부(33b)에 힘을 작용하므로, 압압 조작부(33a)는 압압 방향과 역방향의 전방 (도면 2 좌방)으로 압박된다. 이 때문에, 압압 조작을 멈추면 조작 버튼(33)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계지부는 계지가 가능한 상태로 돌아온다.
스풀(4)을 스풀축(8)으로 장착할 때에는, 스풀축(8)의 테이퍼면(8a)에 의하여 계지 용수철(30)의 계지부(30a, 30b)를 넓힐 수 있고, 계지 용수철(30)이 계지홈(8b)에 위치하면, 탄성에 의하여 계지홈(8b) 내에 계지부(30a, 30b)가 끼워 넣어져 스풀(4)을 스풀축(8)에 대해서 이탈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스피닝 릴의 스풀(4)을 조립할 때에는, 와셔(37)를 장착 공간(7b)의 바닥부(7d)에 장착하고, 계속하여 계지 용수철(30)을 장착한다. 이 때, 노치부(37a) 및 계지부(30a, 30b)의 사이로부터 위치 결정 돌기(31)가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지 용수철(30)의 회전 위상이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와셔(36) 및 와셔(35)를 이 순서로 장착하여 간다. 이 때에도, 노치부(36a)로부터 위치 결정 돌기(31)가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조작 버튼(33)을 테이퍼부(33b)측으로부터 장착한다. 이 때, 계지 구멍부(34)의 연결부(34b)의 간격이 테이퍼부(33b)가 선단에 형성된 통상부(33e)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테이퍼부(33b)의 배치가 제한되어, 통상부(33e)와 외경이 같은 테이퍼부(33b)를 연결부(34b)를 향하여 배치할 수 없고, 테이퍼부(33b)는 원호부(34a)를 향하는 것으로 밖에 배치할 수 없다. 이 원호부(34a)의 한편에 근접하여 위치 결정 돌기(3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퍼부(33b)를 원호부(34a)에 대향하여 배치하면, 계지 용수철(30)의 계지부(30a, 30b) 간에 테이퍼부(33b)가 삽입되게 된다. 이 결과, 계지 용수철(30)의 회전 위상이 위치 결정되는 것과 함께, 테이퍼부(33b)가 계지부(30a, 30b) 간에 삽입되도록 조작 버튼(33)의 회전 위상도제한되므로, 조작 버튼(33)과 계지 용수철(30)과의 조작 실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30)에 대해서, 테이퍼부(33b)가 계지부(30a, 30b)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계합 구멍부(34)에 의하여 조작 버튼(33)의 회전 위상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계지 용수철(30)과 조작 버튼(33)의 회전 위상이 테이퍼부(33b)가 계지부(30a, 30b) 간에 배치되도록 제한되어 조작 버튼(33)과 계지 용수철(30)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본체(7)의 장착 공간(7b)의 바닥부(7d)에 제2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계합 구멍부(34)를 형성하였지만, 제2 위치 결정 수단은 조작 버튼(33)의 회전 위상을 제한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셔(137)의 중심 구멍에 계합 구멍부(134)를 형성하고, 조작 버튼(33)의 회전 위상을 제한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도 계합 구멍부(134)는 스풀축(8)과 직교하는 단면이 계합 구멍부(34)와 같이 원호부(134a)와 연결부(134b)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도 5 및 도 6에서 부호를 붙이지 않은 부재는 도 3과 같은 부재이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풀 본체(7)의 장착 공간(7b)의 바닥부(7d)에 제1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위치 결정 돌기(31)를 형성하였지만,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계지 용수철(30)의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셔(237)에 위치 결정 돌기(231)를 형성하고,계지 용수철(30)의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해도 무방하다. 이 위치 결정 돌기(231)도, 계지 용수철(30)의 한 쌍의 계지부(30a, 30b)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a)에 기재된 제2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계합 구멍부(134)도 와셔(237)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와셔(237)로 계지 용수철(30)의 회전 위상의 위치 결정과 조작 버튼(33)의 회전 위상 제한을 하나의 부재로 실현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의 스풀을 예로 들어 낚시용 릴 부품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축 부재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모든 낚시용 릴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닝 릴이면, 리어 드래그형의 것 등, 스풀이 스풀축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든 스피닝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손잡이의 탈착 구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은 싱글 핸들 타입의 환형(丸形) 릴이고, 릴 본체(41), 릴 본체(4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 조립체(42) 및 핸들 조립체(42)의 릴 본체(41)측에 배치된 스타드래그(4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41)는 장대 장착 다리(44)를 통하여 낚싯대(R)에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41)에는 낚싯줄을 감기 또는 방출하기 위한 스풀(4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41)의 후방에는, 클러치 기구 (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49)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4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 (도시하지 않음)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46), 핸들 암(46)의 일단에 핸들 암(4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47), 핸들 손잡이(47)를 핸들 암(4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금속제의 손잡이축(48)을 가지고 있다.
핸들 암(46)은 핸들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모양의 금속제 부재이다. 핸들 암(46)은 핸들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고, 고정 너트(50)에 의하여 핸들축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축(48)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핸들 암(46)의 선단에 기단(基端)부가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축(48)의 선단부는 대략 원추 형상의 테이퍼면(81)과, 테이퍼면(81)의 핸들 암(46)측 단부 외주에 형성된 환상의 계지홈(82)을 가지고 있다.
핸들 손잡이(47)는 손잡이 본체(51)와 원터치 탈착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본체(51)는 손잡이축(48)에 장착되고, 선단에 개구부(56)가 설치된 통 모양의 지지부(57)와, 지지부(57)의 외주측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손잡이(58)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58)의 단면에는 장착 공간(58a)이 형성되어 있다.
원터치 탈착 기구(52)는 손잡이축(48)의 계지홈(82)에 계지되는 계지 용수철(59), 계지 용수철(59)의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위치 결정 돌기(71), 덮개 부재(72), 조작 버튼(73), 제2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계합 구멍부(74) 및 2매의 와셔(75, 76)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57)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통 모양 부재로, 그 내주측에는 손잡이축(48)이 장착되는 구멍부(61)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61)는 원통형의 관통공으로, 양 단부에는 각각 베어링(62) 및 베어링(6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57)의 기단측에 배치된 베어링(62)은 손잡이축(48)에 고정되고, 지지부(57)의 선단측에 배치된 베어링(63)은 지지부(57)에 고정된다.
손잡이(58)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로, 지지부(57)의 외주측에 핸들 손잡이(47)의 기단측 개구부(56)를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축소하고 있다. 손잡이(58)는 손잡이(58)의 선단과 지지부(57)의 외주가 회전 방지되어 있어, 지지부(57)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계지 용수철(59)은 선재를 구부려 형성한 부재로서, 변형했을 때에 압박력이 생기게 되어 있다. 계지 용수철(59)은 손잡이축(48)을 협지(挾持)하기 위해 대향하여 설치된 계지부(59a, 59b)를 가지고 있다.
위치 결정 돌기(71) 및 계합 구멍부(74)는 다른 실시예인 (b)와 같이 와셔(75)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셔(76)에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71)의 높이는 계지 용수철(59)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계지 용수철(59)에 와셔(76)를 겹친 상태의 두께보다 작다.
덮개 부재(72)는 손잡이(58)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계지 용수철(59) 및 조작 버튼(73)을 이탈 방지한다. 조작 버튼(73)은 조작 버튼(33)과 같은 구조이고, 테이퍼부(73b)를 가지고 있다. 이 이탈 방지 구조 및 조작 버튼(73)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핸들 조립체(42)에 있어서, 핸들 손잡이(47)를 교환할 때에는, 조작버튼(73)을 압압 조작한다. 이렇게 하면 계지 용수철(59)이 열려 손잡이축(48)과의 계합이 해제되고 떼어낼 수 있게 된다.
핸들 손잡이(47)의 조립시에는, 와셔(75)를 장착하고, 와셔(75)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71)가 돌출하도록 계지 용수철(59)의 계지부(59a, 59b)를 배치한다. 그리고, 와셔(76)를 장착한 후 조작 버튼(73)을 장착한다. 이 때, 계합 구멍부(74)에 의하여, 조작 버튼(73)에 형성된 테이퍼부(73b)가 계지부(59a, 59b) 내에 확실히 삽입된다. 이 때문에, 핸들 조립체(42)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지 용수철이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회전 위상이 위치 결정되고, 그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에 대해서, 조작 부재를 장착할 때에 그 회전 위상이 테이퍼부가 계지부 간에 배치되도록 제한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와 계지 용수철이 위치 결정된 상태로 밖에 장착 공간에 장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와 계지 용수철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선단(先端)에 형성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의 테이퍼(taper)면과 상기 테이퍼면보다 내측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축 부재에 대해서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낚시용 릴 부품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축 부재가 관통하는 단면에 상기 관통부와 동심에 형성된 원형의 장착 공간을 가지는 부품 본체와,
    상기 환상 홈에 계지(係止)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부와, 상기 양 계지부의 일단을 상기 계지부의 타단을 돌아 연결하는 C자형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 공간에 장착된 탄성 선재제(線材製)의 계지 용수철과,
    상기 계지 용수철의 회전 위상을 위치 결정하여 상기 장착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제1 위치 결정 수단과,
    상기 계지 용수철을 이탈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 공간을 덮도록 상기 부품 본체에 고정된 덮개 부재와,
    상기 축 부재의 상기 환상 홈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부재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덮개 부재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압압(押壓) 조작부와, 상기 압압 조작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상기 계지부 사이에 선단이 삽입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계지부 간격을 넓히도록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테이퍼부를 가지고, 상기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상기 축 부재의 환상 홈과 상기 계지 용수철과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한 쌍의 테이퍼부 선단이 상기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위상을 제한하는 제2 위치 결정 수단
    을 구비한 낚시용 릴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한 쌍의 테이퍼부는, 상기 축 부재보다 큰 직경의 내경(內徑)을 가지는 통상부(筒狀部)의 선단으로부터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산 모양으로 비스듬히 절단한 형상인 낚시용 릴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장착 공간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지 용수철의 양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돌기를 가지는 낚시용 릴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공간의 바닥부와 상기 계지 용수철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위치 결정 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노치(notch)부를 가지는 와셔(washer) 부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부품.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축 부재와 직교하는 단면이, 상기 테이퍼부의 통상부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테이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호부(圓弧部)와, 상기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를 따라 상기 원호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통상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가지는 대체로 타원 형상으로 상기 장착 공간의 바닥부에 형성된 비원형의 계합 구멍부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 부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장착 공간의 바닥부와 상기 계지 용수철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계지 용수철의 양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된 와셔 부재를 가지는 낚시용 릴 부품.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축 부재와 직교하는 단면이, 상기 테이퍼부의 통상부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테이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호부와, 상기 제1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 계지 용수철의 계지부를 따라 상기 원호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통상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가지는 대체로 타원 형상으로 상기 와셔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비원형의 계합 구멍부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 부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낚시용 릴로서의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spool)축이고,
    상기 부품 본체는 상기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피닝 릴의 스풀 본체인 낚시용 릴 부품.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낚시용 릴로서의 양 베어링 릴의 핸들 암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축이고,
    상기 부품 본체는 상기 핸들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 본체인 낚시용 릴 부품.
KR1020030082103A 2002-12-03 2003-11-19 낚시용 릴 부품 KR100987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1542A JP3977730B2 (ja) 2002-12-03 2002-12-03 釣り用リール部品
JPJP-P-2002-00351542 2002-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705A true KR20040050705A (ko) 2004-06-16
KR100987104B1 KR100987104B1 (ko) 2010-10-11

Family

ID=3231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103A KR100987104B1 (ko) 2002-12-03 2003-11-19 낚시용 릴 부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57589B2 (ko)
EP (1) EP1425966B1 (ko)
JP (1) JP3977730B2 (ko)
KR (1) KR100987104B1 (ko)
CN (1) CN100376152C (ko)
AT (1) ATE292378T1 (ko)
DE (1) DE60300478T2 (ko)
MY (1) MY129680A (ko)
SG (1) SG111167A1 (ko)
TW (1) TWI2947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2048B1 (en) 2002-05-23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numbers based upon semantically labeled strings
JP4785448B2 (ja) * 2005-07-20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US7789335B2 (en) * 2007-09-11 2010-09-07 U.S. Reel - Missouri, LLC Drag system for a reel
JP5205120B2 (ja) * 2008-04-2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CN102434547A (zh) * 2010-09-29 2012-05-0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机构
TW201444469A (zh) * 2013-05-28 2014-12-01 Jptc Prec Co Ltd 具前打輪快拆裝置的捲線器
JP6376739B2 (ja) * 2013-09-30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CN103734104B (zh) * 2013-12-31 2015-10-21 宁波中源欧佳渔具股份有限公司 一体式主体盖渔线轮
JP6392602B2 (ja) * 2014-09-16 2018-09-19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US9763434B2 (en) 2015-05-28 2017-09-19 DQC International Corp., Inc. Fishing reel having openable side cover
JP6691343B2 (ja) * 2016-10-31 2020-04-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CN108286914A (zh) * 2017-08-08 2018-07-17 上海飞米工业设计有限公司 钢带卷式单腿猎枪支架
JP7094690B2 (ja) * 2017-11-10 2022-07-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5662A (en) * 1954-09-10 1958-12-23 Urfabriken Ab Means for removably mounting a member on a shaft
US2885662A (en) 1955-10-17 1959-05-05 Litton Industries Inc Analog-to-difunction converters
US4535953A (en) * 1983-12-28 1985-08-20 Kabushiki Kaisha Ohmori Seisakusho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axially adjustable spool
FR2571930B1 (fr) * 1984-10-24 1987-07-03 Mitchell Sports Bobine debrayable pour moulinet de canne a peche
FR2643544B1 (fr) * 1989-02-27 1991-05-10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bobine demontable a reduction de jeu
JP2549786Y2 (ja) * 1991-08-19 1997-09-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85217Y2 (ja) * 1992-07-03 1998-11-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603123Y2 (ja) * 1993-03-09 2000-02-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R2709922B1 (fr) * 1993-09-14 1995-10-27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êche à bobine enveloppée et dispositif de retenue du fil.
KR0153357B1 (ko) * 1995-06-23 1999-02-01 오철석 롱스트로크 스피닝릴
KR0134420Y1 (ko) * 1996-06-11 1998-12-15 정종오 양베어링 릴의 커버 착탈장치
JP2000166440A (ja) 1998-12-04 2000-06-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1017038A (ja) 1999-07-01 2001-01-23 Ryobi Ltd 魚釣用リール
TW518205B (en) * 2001-02-23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00478T2 (de) 2006-05-11
US20040104291A1 (en) 2004-06-03
JP3977730B2 (ja) 2007-09-19
MY129680A (en) 2007-04-30
TWI294766B (en) 2008-03-21
CN100376152C (zh) 2008-03-26
ATE292378T1 (de) 2005-04-15
US6857589B2 (en) 2005-02-22
JP2004180586A (ja) 2004-07-02
CN1504084A (zh) 2004-06-16
EP1425966A1 (en) 2004-06-09
EP1425966B1 (en) 2005-04-06
DE60300478D1 (de) 2005-05-12
TW200418370A (en) 2004-10-01
KR100987104B1 (ko) 2010-10-11
SG111167A1 (en) 200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104B1 (ko) 낚시용 릴 부품
EP1745696B1 (en) Fishing reel component
US8485461B2 (en) Spinning reel spool coupling structure
KR20140036946A (ko) 스피닝 릴
CN110731319A (zh) 钓鱼用渔线轮
KR101153255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KR100264093B1 (ko) 낚시용릴
JP395635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4956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CN110012878B (zh) 双轴承渔线轮
KR101784271B1 (ko) 편 베어링 릴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TWI760559B (zh) 雙軸承捲線器
JP6010384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
JP2001017038A (ja) 魚釣用リール
JP448488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31911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14121279A5 (ko)
JP2014030372A5 (ko)
JP4028400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57784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235445B2 (ja) 魚釣用リール
JPH0718566U (ja)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装着機構
JP611012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040044345A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