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255B1 -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255B1
KR101153255B1 KR1020050037613A KR20050037613A KR101153255B1 KR 101153255 B1 KR101153255 B1 KR 101153255B1 KR 1020050037613 A KR1020050037613 A KR 1020050037613A KR 20050037613 A KR20050037613 A KR 20050037613A KR 101153255 B1 KR101153255 B1 KR 10115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pool
cam
braking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731A (ko
Inventor
다케시 이쿠타
겐이치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4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캠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드래그 기구(6)는 드래그 조작 부재(2)와, 드래그 조작 부재(2)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1 캠 부재(21)와, 제1 캠 부재(21)에 접촉하여 배치된 제2 캠 부재(22)와, 제2 캠 부재(2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 샤프트(5)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드래그 조정 부재(27)와,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제2 캠 부재(2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닝 부재(23)와, 스풀(4)을 축 방향 내측으로 편향시키는 제1 편향 부재 및 제2 편향 부재(24b)와, 스풀(4)의 축 방향 외측으로 고정된 제1 제동 부재(25)와, 제1 제동 부재(25)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제동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듀얼 베어링 릴, 드래그, 캠, 낚시, 스풀, 제동, 상대 회전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DRAG MECHANISM FOR A DUAL BEAR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드래그 기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드래그 조정 부재 주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제동 부재 주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2 드래그 조작 부재
2a 보스부 2b 레버부
2c 장착 부재 3 핸들
4 스풀 4a 보빈
4b 제1 플랜지부 4c 제2 플랜지부
4d 소직경부 4e 대직경부
5 스풀 샤프트 5a 수나사부
6 드래그 기구 10 프레임
11a 제1 측판 11b 제2 측판
12 연결 부재 13a 제1 측부 커버
13b 제2 측부 커버 14 원통부
15 팽출부 16 돌출 튜브
20a, 20b, 20c, 20d 베어링
21 제1 캠 부재 22 제2 캠 부재
23 리테이닝 부재 24a 제1 편향 부재
24b 제2 편향 부재 24c 제3 편향 부재
25 제1 제동 부재 25a 제1 슬라이딩 디스크
26 제2 제동 부재 26a 제2 슬라이딩 디스크
27 드래그 조정 부재 27a 암나사부
27b 단차부 28 커버 원판
29 O링 31 핸들 샤프트
32, 33 베어링 40 핸들 암
41 핸들손잡이 42, 51, 52, 53 나사 부재
60 메인기어 61 피니언기어
62 제1 편도 클러치 63 제2 편도 클러치
[특허문헌1] 일본 특개소63-167730호 공보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축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또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 샤프트에 축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실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베어링 릴로서, 레버형의 드래그 조작 부재에 의해 스풀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을 제동하는 레버 드래그형의 듀얼 베어링 릴이 알려져 있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은 한 쌍의 측판 및 측부 커버를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 샤프트와, 스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스풀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와,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스풀 샤프트와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보빈(bobbin)과, 보빈의 양단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기구는 스풀의 플랜지부의 일단 외측면에 배치된 제1 제동 부재와, 제1 제동 부재에 압접 가능한 제2 제동 부재와, 스풀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풀 샤프트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제동 부재는 스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2 제동 부재에는 핸들로부터의 회전이 회전전달 기구를 통하여 전달된다. 스풀 샤프트 이동 기구는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형의 드래그 조작 부재와, 스풀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된 캡형 의 드래그 조정 부재와, 드래그 조작 부재와 드래그 조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캠 부재를 가지고 있다. 캠 부재에는 경사 캠이 형성되어 있고, 드래그 조작 부재를 요동시킴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가 경사 캠을 들어올리고, 캠 부재가 드래그 조정 부재를 가압하여 스풀 샤프트를 축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시킨다. 스풀 샤프트의 다른 한쪽으로의 이동은, 예를 들면 제1 제동 부재와 제2 제동 부재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의 편향력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러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핸들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회전전달 기구를 통하여 드래그 기구의 제1 제동 부재에 전달되고, 제1 제동 부재와 제2 제동 부재의 압접에 의해 스풀에 전달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드래그 기구의 제동력의 조정은 스풀 샤프트의 일단에 장착된 드래그 조작 부재를 일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행하여진다. 드래그 조작 부재를 일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캠 부재에 의해 스풀 샤프트가 축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고, 스풀이 드래그 기구에 접근하고, 제1 제동 부재가 제2 제동 부재에 압접된다. 이러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드래그 기구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동시에, 제1 제동 부재와 제2 제동 부재를 이격시켜 스풀을 자유회전 상태로 한다.
이러한 드래그 기구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은, 캠 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조정 부재가 캠 부재를 가압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스풀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러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릴 본체에 드래그 조작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캠 부재를 릴 본체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장착한다. 다음에, 드래그 조정 부재를 스풀 샤프트의 선단에 나사 결합시켜, 캠 부재를 가압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조작 위치에 대한 드래그 기구의 제동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경사각이 상이한 별도의 캠 부재로 교환하는 것이 고려된다. 경사각이 상이한 별도의 캠 부재로 교환하는 데에는 먼저, 드래그 조정 부재를 스풀 샤프트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캠 부재를 분리할 필요가 생긴다. 이와 같이 캠 부재를 분리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롭고, 캠 부재의 착탈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캠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실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로서,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조작 부재와, 드래그 조작 부재의 내주부에 배치된 제1 캠 부재와, 제1 캠 부재에 접촉 가능한 경사면을 가지며 제1 캠 부재의 요동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스풀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제2 캠 부재와, 제2 캠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스풀 샤프트의 단부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 결합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스풀 샤프트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드래그 조정 부재와, 드래그 조정 부재를 제2 캠 부재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리테이닝 부재와, 릴 본체와 스풀 사이에 배치되어 스풀을 축 방향 내측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와, 스풀의 외측에 고정된 제1 제동 부재와, 제1 제동 부재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또한 스풀의 실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스풀 샤프트에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 또는 드래그 조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제1 제동 부재와의 접촉 마찰을 변경하여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제2 제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서는, 드래그 조정 부재를 제2 캠 부재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닝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각이 상이한 별도의 제2 캠 부재와 교환할 때에, 드래그 조정 부재와 동시에 제2 캠 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캠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제1 발명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제1 캠 부재가 드래그 조작 부재의 내주부에 고정된 캠 핀이다. 이 경우, 제1 캠 부재로서 캠 핀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고 또한 저가로 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제1 발명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제1 캠 부재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내주부에 고정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캠이다. 이 경우,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의 양쪽에 경사 캠을 형성함으 로써, 경사각이 상이한 별도의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로 교환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설정 변경이 가능한 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드래그 조정 부재는 내주 측에 형성된 제1 맞물림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제2 캠 부재는, 외주 측에 형성되고, 제1 맞물림부와 동시에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리테이닝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맞물림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내외주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 맞물림부 및 제2 맞물림부에 리테이닝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드래그 조정 부재와 제2 캠 부재의 결합이 확실하게 된다.
제5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제4 발명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리테이닝 부재는 환형의 리테이닝 링 부재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C자형 리테이닝 링 등의 환형의 리테이닝 링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리테이닝 부재를 저가로 구성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드래그 조정 부재는 선단부 외주 측이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외주의 일부가 오목한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드래그 조정 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크기의 레버 드래그형의 것이며,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옆쪽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드래그 조작 부재(2)와, 드래그 조작 부재(2)의 하방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3)과,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양 측방을 덮는 제1 측부 커버(13a) 및 제2 측부 커버(13b)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10)은 좌우 한 쌍의 제1 측판(11a) 및 제2 측판(11b)과, 제1 측판(11a) 및 제2 측판(11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12)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11a) 및 제2 측판(11b)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부재이며, 제2 측판(11b)의 직경은 제1 측판(1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판(11b)의 직경은 제1 측판(11a)의 직경의 11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측판(11a)의 직경의 110%~120%로 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12)는 제1 측판(11a) 및 제2 측판(11b)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하측의 연결 부재(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로 기다란 금속제의 로드 장착 레그부(9)가 고정되어 있다.
제1 측부 커버(13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판(11a)의 옆쪽에 장착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부재이다. 제2 측부 커버(13b)는 제2 측판(11b)의 옆쪽에 장착되는 원통부(14)와, 원통부(14)의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에 돌출되는 팽출부(15)를 가지고 있다. 제1 측부 커버(13a) 및 제2 측부 커버(13b)는 각각 제1 측판(11a) 및 제2 측판(11b)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부재이며, 제2 측부 커버(13b)의 직경은 제1 측부 커버(13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부 커버(13b)의 직경은 제1 측부 커버(13a) 직경의 11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부 커버(13a) 직경의 110%~120%로 되어 있다.
원통부(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판(11b)의 옆쪽에 장착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원통형 부재다. 팽출부(15)는 원통부(14)와 일체 성형되고, 내부에 원통부(14)와 연통되는 공간을 갖도록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5)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계란 형상의 부재이며, 하부의 대략 반원형 부분이 원통부(14)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5)에는 드래그 조작 부재(2) 및 핸들(3)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팽출부(15)의 드래그 조작 부재(2)의 하방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 장착용 돌출 튜브(16)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출 튜브(16)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의 회전축인 스풀 샤프트(5)에 평행하게 핸들 샤프트(31)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 샤프트(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튜브(16)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베어링(32, 33)에 의해 돌출 튜브(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32, 33)의 사이에는 롤러형의 제1 편도(one way) 클러치(6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편도 클러치(62)는 핸들 샤프트(31)의 실 감기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한다. 또, 핸들 샤프트(31)의 기단에는 래칫형(ratchet type)의 제2 편도 클러치(63)도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편도 클러치(63)도 핸들 샤프트(31)의 실 감기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한다.
핸들(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샤프트(31)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 다. 핸들(3)은 핸들 샤프트(31)의 선단에 고정된 핸들 암(40)과, 핸들 암(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손잡이(41)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암(40)은 나사 부재(42)에 의해 핸들 샤프트(31)의 선단에 핸들 샤프트(31)와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핸들손잡이(41)는 힘을 주어 쥐기 쉽게 하기 위해, 외형이 둥그스름한 대략 T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보빈(4a)과, 보빈(4a)의 양측에 형성되어 보빈(4a)보다 직경이 큰 제1 플랜지부(4b) 및 제2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은 베어링(20a, 20b)에 의해 스풀 샤프트(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스풀(4)의 핸들(3) 측에는 스풀(4)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가 배치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4c)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4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4c)는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4a) 측이 드래그 기구(6)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제1 제동 부재(25)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원통형의 소직경부(4d)와, 가장 외주 측이 제1 제동 부재(25)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원통형의 대직경부(4e)를 가지고 있다. 소직경부(4d)는 대직경부(4e)보다 직경이 작도록 대직경부(4e)와 일체로 성형되고, 대직경부(4e)와 보빈(4a)의 단부 사이에 단차를 생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보빈(4a)의 외주에 낚싯줄을 감아 가지만, 소직경부(4d)의 단차에 의해 소직경부(4d)의 가장 외측 직경까지 낚싯줄을 감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 측판(11b)은 대직경부(4e)와 소직경부(4d) 사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는 소직경부(4d)에 근접하도록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소직경부(4d)보다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낚싯줄이 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소직경부(4d)의 직경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4b)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4e)의 직경은 소직경부(4d) 직경의 11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소직경부(4d) 직경의 120%~130%로 되어 있다. 또, 대직경부(4e)의 직경은 제1 측판(11a) 및 제1 측부 커버(13a)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제동 부재(25)의 직경은 소직경부(4d) 직경의 90% 이상의 범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소직경부(4d) 직경의 130%~140%로 되어 있다. 또, 보빈(4a)의 외경은 소직경부(4d) 직경의 30%~40%로 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샤프트(5)에 장착된 스풀(4)의 실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변경,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드래그 기구(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 조작 부재(2)와, 드래그 조작 부재(2)의 내주부에 설치된 제1 캠 부재(21)와, 제1 캠 부재(21)에 접촉하여 배치된 제2 캠 부재(22)와, 제2 캠 부재(22)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 샤프트(5)를 외측(도 2의 우측)으로 잡아당기는 드래그 조정 부재(27)와,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제2 캠 부재(2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닝 부재(23)와, 스풀(4)을 축 방향 내측으로 편향시키는 제1 편향 부재(24a)(도 2 참조) 및 제2 편향 부재(24b)와,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편향 시키는 제3 편향 부재(24c)와, 스풀(4)의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에 고정된 제1 제동 부재(25)와, 제1 제동 부재(25)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제동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또, 도 2 및 도 4에서는 스풀 샤프트(5)의 상측 절반이 최대 드래그 작동 시의 축 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하측 절반이 드래그력 감소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드래그 조작 부재(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형성된 보스부(2a)가 제2 측부 커버(13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부(2b)가 제2 측부 커버(13b)에 둘레방향의 복수 위치에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2a)의 내주부에는 제1 캠 부재(21)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2c)가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캠 부재(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장착 부재(2c)의 복수 위치에 고정된 막대형의 캠 핀이다. 제2 캠 부재(22)는 제1 캠 부재(21)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제1 캠 부재(21)의 요동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스풀 샤프트(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원통형 부재이다. 제2 캠 부재(22)는 제1 캠 부재(21)와의 접촉면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캠이다. 제2 캠 부재(22)의 내주부는 스풀 샤프트(5)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캠 부재(22)는 리테이닝 부재(23)에 의해, 드래그 조정 부재(27)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되어 있다.
제2 캠 부재(22)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도 2의 시계반대방향의 요동에 의 해 도 4 상측의 축 방향 좌측으로 이동하여 드래그력이 약해진다. 또, 드래그 조작 부재(2)를 도 2의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도 4 하측의 축 방향 우측으로 이동하여 드래그력이 강하게 된다.
리테이닝 부재(2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C자형 리테이닝 링이다. 리테이닝 부재(23)는 제2 캠 부재(22)의 외주면과 드래그 조정 부재(27)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C자형 리테이닝 링이 외측으로 확장되려고 하는 힘에 의해 양 부재를 연결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닝 부재(23)는 제2 캠 부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22a)에 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닝 부재(23)는 홈(22a)과 드래그 조정 부재(27)의 선단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환형으로 형성된 돌기(27c)와 맞물려 있다.
드래그 조정 부재(2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캡 부재이며, 제2 캠 부재(22)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측부 커버(13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스풀 샤프트(5)의 단부가 나사 결합하고, 나사 결합 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스풀 샤프트(5)를 축 방향 외측(도 4의 우측)으로 잡아당기는 부재이다. 드래그 조정 부재(27)의 내주부에는 암나사부(27a)가 형성되어 있고, 스풀 샤프트(5)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5a)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드래그 조정 부재(27)의 내주부와, 제2 캠 부재(22) 내주부의 축 방향 단부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3 편향 부재(24c)가 장착되어 있고,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항상 외측으로 편향시키고 있다. 드래그 조정 부재(27)의 선단부 외주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오목한 단차부(27b)가 둘레방향을 따라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착탈할 때에 단차부(27b)를 쥐고 축 방향 외측(도 4의 우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드래그 조정 부재(27)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드래그 조정 부재(27)는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에 의해 도 4 상측의 축 방향 좌측으로 약간만 이동하여 드래그력이 약간 약해진다. 또,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 하측의 축 방향 우측으로 약간만 이동하여 드래그력이 약간 강하게 된다.
스풀 샤프트(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축 부재이다. 스풀 샤프트(5)의 외주에는 스풀(4)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베어링(20a, 20b)과, 후술하는 제2 제동 부재(2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0c)이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20a, 20b) 사이의 스풀 샤프트(5) 외주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을 축 방향 내측(도 2의 좌측)으로 편향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 편향 부재(24b)가 장착되어 있다. 또, 베어링(20a)의 축 방향 내측(도 2의 좌측)의 스풀 샤프트(5) 외주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을 축 방향 내측(도 2의 좌측)으로 편향시키는 접시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편향 부재(24a)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편향 부재(24a)는 제2 편향 부재(24b)에 비해 편향력이 강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스풀 샤프트(5)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선 제1 편향 부재(24a)가 작용하고, 다음에 제2 편향 부재(24b)가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 측부 커버(13b)의 내주부에는 베어링(20d)이 장착되어 있고, 스풀 샤프트(5) 외주에 장착된 피니언기어(61)의 외주부를 지지하고 있다. 피니언기어 (6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샤프트(31)의 타단에 고정된 메인기어(60)와 맞물려 있다. 피니언기어(61)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제2 제동 부재(26)의 내주 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핸들(3)로부터의 회전은 메인기어(60), 피니언기어(61), 제2 제동 부재(26)를 통하여 제1 제동 부재(25)에 전달되고, 제1 제동 부재(25)로부터 스풀(4)에 전달되어, 스풀(4)이 회전한다.
제1 제동 부재(2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판(11b)의 내부에 있어, 스풀(4)의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에 고정되는 환형 부재이다. 제1 제동 부재(25)는 스풀(4)의 실 감기가 가능한 직경인 제2 플랜지부(4c)의 소직경부(4d)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제동 부재(26)는 제1 제동 부재(25)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축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또한 스풀(4)의 실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 불가능하게 스풀 샤프트(5)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제동 부재(26)는 제1 제동 부재(25)보다 약간 소직경이며, 스풀 샤프트(5)에 베어링(20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제동 부재(26)는 피니언기어(61)에 내주면에서 맞물려 있다. 또, 제2 제동 부재(26)는 피니언기어(61), 베어링(20d)을 통하여, 릴 본체(1)에 의해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1 제동 부재(25) 및 제2 제동 부재(26)는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면에 서로 압접 가능하게 장착된 대략 동일한 직경인 환형의 제1 슬라이딩 디스크(25a) 및 제2 슬라이딩 디스크(26a)를 각각 가지고 있다. 제1 슬라이딩 디스크(25a) 및 제2 슬라이딩 디스크(26a)는 복수의 나사 부재(51, 52)에 의해, 각각 스풀(4)의 제1 제동 부재(25) 및 제2 제동 부재(26)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슬라이딩 디스크(25a)는 예를 들면 탄소섬유의 직포에 페놀수지 등의 내열수지를 함침시킨 섬유강화수지 등의 내열 합성수지제이다. 제2 슬라이딩 디스크(26a)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내열내식 금속제이다.
또, 제2 플랜지부(4c)의 대직경부(4e)의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의 선단부에는 제1 제동 부재(25) 및 제2 제동 부재(26)를 덮는 커버 원판(28)이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커버 원판(28)은 제2 제동 부재(26)의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 전체를 덮도록 스풀 샤프트(5) 방향으로 신장하는 원반형 부재다. 커버 원판(28)은 제2 플랜지부(4c)의 대직경부(4e)의 선단부에 나사 부재(5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커버 원판(28)과 제2 제동 부재(26) 사이에는 제2 제동 부재(26)의 외주부에서 O링(29)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터미널 태클(terminal tackle)을 하강시킬 때에는 드래그 조작 부재(2)를 조작하여 스풀(4)과 드래그 기구(6)를 이탈상태로 한다. 그 결과, 스풀(4)은 자유회전 상태로 되어, 장치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풀린다.
터미널 태클이 소정의 수심에 도달한 후, 드래그 조작 부재(2)를 조작하여 스풀(4)과 드래그 기구(6)를 맞물림 상태로 한다. 스풀(4)과 드래그 기구(6)를 맞물림 상태로 하면, 핸들(3)로부터의 회전은 메인기어(60), 피니언기어(61), 드래그 기구(6)를 통하여 스풀(4)에 전달되어, 스풀(4)이 핸들(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터미널 태클에 물고기가 걸리면 물고기의 당김에 의해 스풀(4) 이 실 풀기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 때,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드래그력으로 낚싯줄이 풀리게 한다. 여기에서, 드래그 조작 부재(2)를 도 2의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1 캠 부재(21)가 제2 캠 부재(22)를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스풀 샤프트(5)가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스풀 샤프트(5)가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스풀(4)도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스풀(4) 외측에 고정된 제1 제동 부재(25)가 제2 제동 부재(26)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제동 부재(25)와 제2 제동 부재(26)가 강하게 압접하여 드래그력이 커진다. 한편, 드래그 조작 부재(2)를 도 2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1 편향 부재(24a) 및 제2 편향 부재(24b)에 의해 스풀 샤프트(5)가 축 방향 내측(도 2의 좌측)으로 복귀되고, 제1 제동 부재(25)가 제2 제동 부재(26)로부터 이격되어, 제1 제동 부재(25) 및 제2 제동 부재(26)의 압접력이 약해져 드래그력이 약해진다.
또,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력을 미세 조정하고 싶을 때는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회전시킨다.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풀 샤프트(5)가 축 방향 외측(도 2의 우측)으로 약간 이동하여, 제1 제동 부재(25)와 제2 제동 부재(26)의 압접력이 약간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드래그력이 약간 강하게 된다. 한편,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풀 샤프트(5)가 축 방향 내측(도 2의 좌측)으로 약간 이동하여, 제1 제동 부재(25)와 제2 제동 부재(26)와의 압접력이 약간 감소되고, 이로 인하여 드래그력이 약간 약해진다.
이러한 종류의 드래그 기구(6)에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조작 위치에 대한 제동 특성을 변경하기 때문에, 제2 캠 부재(22)를 경사각이 상이한 별도의 제2 캠 부재로 교환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제2 캠 부재(22)를 교환하는 데에는 제2 캠 부재(22)가 리테이닝 부재(23)에 의해 일체가 된 드래그 조정 부재(27)를 스풀 샤프트(5)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드래그 조정 부재(27)와 동시에 제2 캠 부재(22)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6)에서는 드래그 조정 부재(2)를 제2 캠 부재(2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닝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경사각이 상이한 별도의 제2 캠 부재로 교환할 때에, 드래그 조정 부재(27)와 동시에 제2 캠 부재(22)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캠 부재(22)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간 크기의 듀얼 베어링 릴을 채용했지만, 릴의 크기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형의 듀얼 베어링 릴의 경우, 릴 본체(1)의 상부에 연결 부재(1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기구(6)에는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로서 드래그 조작 부재(2) 및 드래그 조정 부재(27)만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드래그 기구(6)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 등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캠 부재(21)는 제2 캠 부재(22)의 경사면에 접촉 가능한 캠 핀이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캠 부재(22)의 경사면에 접촉 가능한 경사 캠이 될 수도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내주에 고정된 장착 부재(2c)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지만, 드래그 조작 부재(2)와 장착 부재(2c)를 일체로 성형하고, 드래그 조작 부재(2)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캠 부재(21) 및 제2 캠 부재(22)의 양 부재를 경사 캠으로 함으로써, 경사각이 상이한 별도의 제1 캠 부재(21) 및 제2 캠 부재(22)로 교환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설정 변경이 가능한 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드래그 조정 부재를 제2 캠 부재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닝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캠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또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실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로서,
    상기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조작 부재,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의 내주부에 설치된 제1 캠 부재,
    상기 제1 캠 부재에 접촉 가능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캠 부재의 요동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스풀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제2 캠 부재,
    상기 제2 캠 부재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풀 샤프트의 단부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 결합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풀 샤프트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드래그 조정 부재,
    상기 드래그 조정 부재를 상기 제2 캠 부재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닝 부재,
    상기 릴 본체와 상기 스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을 축 방향 내측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
    상기 스풀의 외측에 고정된 제1 제동 부재, 및
    상기 제1 제동 부재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축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또한 상기 스풀의 실 풀기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상기 스풀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 또는 상기 드래그 조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제동 부재와의 접촉 마찰을 변경하여 상기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제2 제동 부재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는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의 내주부에 고정된 캠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는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의 내주부에 고정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조정 부재는 내주 측에 형성된 제1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캠 부재는, 외주 측에 형성되는 제2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맞물림부는 상기 제1 맞물림부와 함께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닝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부재는 환형의 리테이닝 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조정 부재는 선단부 외주 측이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KR1020050037613A 2004-05-11 2005-05-04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KR101153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1357A JP4395409B2 (ja) 2004-05-11 2004-05-11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JP-P-2004-00141357 2004-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731A KR20060047731A (ko) 2006-05-18
KR101153255B1 true KR101153255B1 (ko) 2012-06-07

Family

ID=3530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613A KR101153255B1 (ko) 2004-05-11 2005-05-04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04484B2 (ko)
JP (1) JP4395409B2 (ko)
KR (1) KR101153255B1 (ko)
CN (1) CN1695442B (ko)
MY (1) MY130674A (ko)
SG (1) SG117558A1 (ko)
TW (1) TWI3278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3648B2 (ja) * 2008-07-08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レバードラグ型の両軸受リール
JP5159479B2 (ja) * 2008-07-08 2013-03-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ATE538647T1 (de) * 2008-07-08 2012-01-15 Shimano Kk Bremsmechanismus für doppelt gelagerte angelrolle
JP2011019428A (ja) * 2009-07-14 2011-02-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レバードラグ機構
WO2012112560A1 (en) * 2011-02-14 2012-08-23 Arribe Manufacturing, Llc Fishing reel
TWI684406B (zh) * 2015-03-27 2020-02-11 日商島野股份有限公司 雙軸承捲線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292A (ja) 2001-09-10 2003-03-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5B2 (ja) 1986-12-28 1996-01-1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318246A (en) * 1991-05-29 1994-06-07 Shimano Inc. Drag apparatus for a fishing reel
US5560562A (en) * 1995-06-26 1996-10-01 Hartmann; Dirck T. Fishing reel with a three speed planetary drive and drag control
US6102316A (en) * 1997-03-14 2000-08-15 David C. Nilsen Two-speed fishing reel with drag mechanism
JP3534574B2 (ja) * 1997-06-20 2004-06-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292A (ja) 2001-09-10 2003-03-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5442B (zh) 2010-05-12
US20050253007A1 (en) 2005-11-17
SG117558A1 (en) 2005-12-29
MY130674A (en) 2007-07-31
JP2005318864A (ja) 2005-11-17
JP4395409B2 (ja) 2010-01-06
KR20060047731A (ko) 2006-05-18
TW200605776A (en) 2006-02-16
CN1695442A (zh) 2005-11-16
US7104484B2 (en) 2006-09-12
TWI327895B (en) 201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404B1 (ko) 듀얼 베어링 릴
JP5124435B2 (ja) 両軸受リール
KR101153255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JP5718119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12205523A5 (ko)
JP5350881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376740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5065961A5 (ko)
KR20100118504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JP4381733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3070651A5 (ko)
JP635261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097492A5 (ko)
US4618106A (en) Fishing reel with friction and magnetic brakes
TW201902348A (zh) 釣魚用捲線器
JP385482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3153659A (ja) 両軸受リール
JP2013153659A5 (ko)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TWI548342B (zh) Single bearing reel
JPH10178982A (ja) 魚釣り用両軸受リール
KR20040049793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구조
JP2012170434A (ja) 両軸受リール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JP2005087006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