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834A -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 - Google Patents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834A
KR20110105834A KR1020117016855A KR20117016855A KR20110105834A KR 20110105834 A KR20110105834 A KR 20110105834A KR 1020117016855 A KR1020117016855 A KR 1020117016855A KR 20117016855 A KR20117016855 A KR 20117016855A KR 20110105834 A KR20110105834 A KR 20110105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heave
shifter
sieve
gran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367B1 (ko
Inventor
야수히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54Corrugated Scree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9Perforated sheet-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Abstract

조립물의 체효율을 높이고, 또한 조립물의 흠손 또는 절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물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통형시브(1)는 일체 회전식 통형시브이고, 구동축(2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축(2)과, 회전축(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지지부재(3)와, 지지부재(3)와 결합되는 통형의 박판상체로서, 예를 들어 펀칭메탈 등의 다수의 구멍(5)이 형성된 체본체(4)와, 체본체(4)의 단부에 형성된 체틀(6a,6b)을 구비하고, 회전축(2)과 지지부재(3)와 체본체(4)와 체틀(6a,6b)과 구동축(21)이 동축으로 일체 회전되며, 체본체(4)는 원주 방향을 따라 파형의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파판이고, 이 파판에 다수의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Cylindrical sieve and cylindrical sifter}
본 발명은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형시브에 의해 각종 조립물 및 분체 등의 체분을 행하는 것이다.
종래의 원통형시브는, 특허문헌 1, 2와 같이, 정방형(정사각형) 메쉬를 구비한 원통형 체망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과 같이, 구형(직사각형)의 메쉬를 구비한 것도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4와 같이, 용도에 따라 다각형의 특수형상의 메쉬를 구비한 것도 있다.
그러나, 원주상 등 각종 형상의 다종 다양한 조립물을 체분하는데는 문제가 있다. 체분된 조립물에 가루나 덩어리가 포함되면 상품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조립된 형상을 유지한 채로 체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라면 등의 식품(예를 들어 스프의 소 등)에 사용되는 조립물은 압출 형성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것은 가늘고 긴 원주상의 과립으로 취약한 것이 경우가 많다. 또한, 일정 형상을 갖는 조립물은 분체에 비해 체형상의 구멍을 통과하기 어렵다. 즉, 조립물을 체분하는 데는 망을 통과하기 어려운 문제와, 망과 망내에서 회전하는 교반부재와의 사이가 협소하여 조립물이 흠손 또는 절손되기 쉬워 상품 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해 유효한 대책이 간절하다. 또한, 교반부재와의 접촉이 조립물을 흠손 또는 절손 등의 손상의 요인이 되기 때문에 교반부재의 사용은 피하는게 좋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실개소 60-95986호공보
특허문헌 2 : 국제공개공보 WO 2004/60584호
특허문헌 3 : 특개평 11-47693호공보
특허문헌 4 : 특개평 9-220528호공보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형상의 조립물이 통과하기 쉽고, 또한, 조립물 등에 손상을 방지하여 조립물의 상품가치가 높아지도록 하는 통형시프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주방향을 따라 파형을 갖도록 형성된 통형의 파판(波板)인 체본체(4)를 구비하고, 상기 파판에 다수의 구멍(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시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의 외경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3)의 외주부에 상기 체본체(4)가 고정되며, 상기 체본체(4)의 내측영역(25)에서 외측영역(26)으로 체하조립물을 통과시키는 통형시프터(1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축(207a)과, 상기 회전축(207a)의 외경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물을 교반하는 교반부재(207)와, 상기 교반부재(207)와의 간극을 두고 체케이싱에 고정되는 통형 체본체(204)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부재(207)가 상기 체본체(204)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체본체(204)의 내측영역에서 외측영역으로 체하조립물을 통과시키는 통형시프터(200)가 바람직하다.
상기 파판은, 금속시트, 세라믹시트, 플라스틱시트 등에 복수의 구멍을 천공한 펀칭시트가 바람직하다. 또는 망상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멍(5)은 조립물의 형상에 대응시켜, 장원형, 구형, 별 모양 등 각종의 형태에서 선택할 수 있다. 장원형에는 타원형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체본체(4)에 장원형의 구멍(5)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는 경우에는, 원기둥 형상의 조립물이 구멍(5)을 통과하기 쉽고, 체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구멍(5)의 방향은 소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방향은 예를 들어, 상기 파판의 구멍(5)의 장축이 회전축(2)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나, 체본체(4)의 원주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권장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5)의 일렬이 인접하는 구멍(5)의 열과 그 위치를 서로 다르게 비껴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형시프터에는 인라인형 시프터, 비인라인형 시프터 두 타입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시프터내에 배치되는 시브는 횡배치형이 바람직하지만 종배치형의 시브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형시프터가 상하 2단으로 배치되고, 상단의 통형시프터(110)의 시브의 구멍(115)의 면적이 하단의 통형시프터(150)의 시브의 구멍(155)의 면적보다도 크게 설정된 통형시프터(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형시프터(100)에 있어서, 상단의 통형시프터(110)에서의 배출은 정량배출기(1116)에 의한 것으로서, 통형시프터(110)에서의 체하조립물이 하단의 통형시프터(150)의 조립물입구(1511)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통형시브 및 통형은, 상기 조립물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분체물을 체분할 때도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분에 파판을 사용함으로써, 체면적이 증대하고, 조립물의 쓸어올림 작용이 생기는 등에 의해 체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파판에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조립물의 방향을 일치시키기 쉬워 조립물이 구멍을 통과하기 쉽게 되면서 이 역시 체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지지부재와 체본체가 일체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지지부재와 체본체에서 조립물이 막히는 일이 없고, 원기둥 형상 조립물 등 각종의 조립물의 흠손 또는 절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물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체본체 내에서 교반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교반부재와 체본체 사이에는 파판에 의한 극간이 생기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한 조립물의 손상은 생기기 어렵다.
또한, 체본체에 파판을 사용함으로써, 조립물이 분산되면서, 종래 보다도 체본체 내에 있어서의 조립물의 하중이 분산되어 체본체의 사용 수명이 길어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형태의 통형시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 1의 통형시브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 1의 통형시브의 중앙 종단 일부단면도이다.
도 4 (a)는 도 3의 A-A사시도, (b)는 도 3의 B-B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실시예 1의 통형시브를 취부한 통형시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에서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6은 같은 통형시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점검도어는 생략).
도 7(a) ~ (d)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통형시프터이고, 2단 구조로 한 형태 및 내부 구조의 외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변경 형태의 통형시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에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통형시브의 우측도면이다(체틀은 생략).
도 10은 동 변경 형태를 취부한 원통형시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우측도면이다(점검도어는 생략).
도 11(a), (b)는 동 교반부재의 변경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교반부재의 변경 형태를 취부한 원통형시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에서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 형태의 교반부재의 또 다른 변경 형태를 취부한 원통형시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에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 중의 조립물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b)는 종래의 체본체 중의 조립물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에 있어서의 조립물에 가해지는 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b)는 종래의 체본체에 있어서의 조립물에 가해지는 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변경 형태의 통형시프터에 있어서의 교반부재와 조립물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통형시브(1) 및 통형시프터(10)에 대해서 도 1 ~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형시브(1)는 도 1 ~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회전축(2)과 지지부재(3)와 체본체(4)와 체틀(6a,6b)을 구비하고, 회전축(2)에 구동축(21)(도 5 참조)을 삽통시켜 구동축(21)과 함께 동축으로 일체 회전하는 것이다. 이하, 통형시브(1)의 각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축(2)은 도 1 ~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형시브(1)의 중심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배치된 원통상 부재이고, 체본체(4)의 사이에는, 체본체(4)의 내부로 확장된 지지부재(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3)가 회전축(2)과 체본체(4)를 접속시켜 이들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통형시브(1) 사용시에는, 구동축(21)에 회전축(2)을 삽통시켜 통형시브(1)를 고정시킨다. 고정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부재(3)는 회전축(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체본체(4)에 접속되어 회전축(2)의 회전력을 체본체(4)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지지부재(3)는 도 1 ~ 도 4에 나타낸 대로, 회전축(2)에서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여기서는 십자 형상이지만, 세 개의 살 형상 등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으로 연장 돌출되는 복수개(여기서는 4개)의 판상암(3a)과, 판상암(3a)의 기단부를 회전축(2)의 외주면으로 연결하기 위해 주설된 바퀴 형상의 내측링(3b), 판상암(3a)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체본체(4)의 내주면에 주설된 바퀴 형상의 외측링(3c)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링(3c)에는 체본체(4)의 파형과 간섭하는 부분이 오목부로 절삭되어 있다. 판상암(3a), 내측링(3b), 외측링(3c)은 일체적으로 판상부재로 형성되고, 판두께 방향은 회전축(2)의 축 방향과 평행하다. 이 지지부재(3)는 복수개(여기서는 2개)가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체본체(4)를 지지하고 있다. 판상암(3a)은 등 간격을 갖고 반경 방향으로 방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밖에 회전축(2)에서 체본체(4)로 향해 나선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형상 등도 생각할 수 있다.
체본체(4)는 원주 방향을 따라 파형의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대략 통형상의 파판이고, 이 파판에 수개의 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체본체(4)는 지지부재(3)와 결합되고, 회전축(2)에서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체본체(4)의 파형은 곡선 형상의 파고부와 파저부가 교호로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동일 파형이 축 방향으로 연결되고, 파고부와 파저부의 경계부에는 대략 평면상의 경사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상기 파고부의 일부가 용접 등에 의해 외측링(3c)의 외주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체본체(4)는 금속제판,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철재로 구성되어 있고,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연성이 있는 것이 좋다. 체본체(4)를 통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맞춰서 구멍(5)이 형성된 파판상의 금속판재를 링 형상으로 만곡시켜 단부를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5)의 형상은 도 1, 도 3에 나타낸 대로, 장원형상이 바람직하다. 구멍(5)은 동일 구멍 형상 및 동일 치수가 바람직하다. 구멍(5)은 금속판재를 천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5)은 체본체(4)의 전체에 걸쳐 가득차고 고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체틀(6a,6b)이 고정된 체본체(4)의 양단부에는 강도 문제 때문에 구멍(5)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5)의 종횡 비율은 1 : 2 ~ 1 : 10이 바람직하다. 체본체(4)의 개구율은 30 ~ 6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구멍(5)의 종폭이 3 ~ 3.4mm, 횡방향의 길이가 10 ~ 12mm, 인접하는 구멍(5) 끼리의 단축방향 중심축 간의 간격이 4 ~ 8mm, 인접하는 구멍(5) 끼리의 장축방향 중심축 간의 간격이 15 ~ 13mm, 판 두께가 0.5 ~ 1.5mm가 예시되어 있다.
구멍(5)은 장원상의 구멍(5)의 장축이 회전축(2)의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5)의 일렬(5A)이 인접하는 구멍열(5B)과 그 위치가 서로 다르게 비껴서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체틀(6a, 6b)은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낸 대로, 체본체(4)의 파형의 요철에 적합한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대략 환 형상의 판부재이다. 체틀(6a,6b)은 각각 대략 원통상인 체본체(4)의 양단부에 감합된다. 이 형상에 대해서, 체틀(6a,6b)의 판 두께 방향은 회전축(2)의 축 방향과 평행하다. 여기서, 체틀(6a,6b)은 체본체(4)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가운데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체틀(6a,6b)은 반드시 체본체(4)의 파형 요철에 적합한 형상의 외주면을 가질 필요는 없고 부드러운 링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통형시프터(10)는, 도 5에 나타낸 대로, 조립물입구(11)와, 공급케이싱(19)과, 체케이싱(23)과, 조립물출구(14a)와 체상출구(18c)와, 점검도어(13)를 구비하고 있다. 통형시브(1)는 체케이싱(23)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하, 각부에 대해 설명한다.
조립물입구(11)는 로터리밸브 등(도시 생략)을 경유하여 상류라인에서 공급되어 오는 조립물을 받기 위한 환형의 관이다. 조립물입구(11)는 공급케이싱(19)에 접속된다.
공급케이싱(19)은 내부에 원통 형상의 공급실(20)을 갖는다. 공급실(20)은 조립물입구(11) 및 체처리실(24)로 연통된다. 공급실(20)은 체처리실(24)보다 작은 용량으로 되어 있다.
체케이싱(23)은 통형시프터(10)의 대부분을 일체적으로 덮어씌운다. 체케이싱(23)의 내부는 체부(12), 체하출구부(14), 체상출구부(18)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체상출구(18c)는 체하출구부(14)의 하류부에 구비되고, 체하를 통형시프터(10)에서 배출하는 출구이다.
점검도어(13)는 체케이싱(23)의 우측의 측면개구부(27)에 설치되고, 체본체(4)의 이물을 취출하거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도어이다. 또한, 점검뿐만 아니라, 측면개구부(27)에서 통형시브(1)를 취출하여 시브를 교환할 수도 있다. 점검도어(13)는 체케이싱(23)의 측면 형상에 맞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검도어(13)는 원주 방향 중에서 그 일 방향은 힌지(도시 생략)에 의해 체케이싱(23)과 회동 자재로 연결되고, 그 다른 방향은 밀폐핸들(28)에 의해 체케이싱(23)과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점검도어(13)의 중앙부에는 2군데에 손잡이(29)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체케이싱(23) 내부의 체부(12), 체하출구부(14), 체상출구부(18) 및 이들에 구비된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체부(12)는 체를 행하기 위한 부분을 총칭하는 것이다. 체부(12)는 측면에서 볼 때 역 유우자(U) 형상이고, 체처리실(24)과, 체처리실(24)의 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축(21)과, 구동축(21)에 삽통되어 체처리실(24)에 수용되는 통형시브(1)와, 구동축(21)을 구동시키는 체모터(15)와, 구동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22a)를 구비하고 있다.
체처리실(24)은 통형시브(1)에 의해 내측영역(25)과 외측영역(26)으로 분할된 이중조립물로 되어 있다. 체처리실(24) 중에서 내측영역(25)이 공급실(20)에 연통되어 있고, 외측영역(26)은 체하출구부(14)로 연통되어 있다.
통형시브(1)는 체처리실(24)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통형시브(1)는 공급케이싱(19)의 출구부의 내경보다 약간 큰 내경으로 설정되고, 길이는 체처리실(24)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통형시브(1)의 구성의 상세는 상술한 대로이다.
체하출구부(14)는 체부(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체본체(4)를 통과한 체하조립물을 하류라인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체하출구부(14)는 외측영역(26)에서 낙하해 오는 체하조립물을 배출하는 정량배출기(16)와, 정량배출기(16)를 구동하는 배출모터(17)와, 정량배출기(16)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축받이(22b)를 구비하고 있다. 체하출구부(14)의 최하류부는 조립물출구(14a)로 연통된다. 정량배출기(16)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피더를 이용한다.
체상출구부(18)는 체본체(4)를 통과하지 않은 체상조립물을 하류라인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체상출구부(14)는 내측영역(25)으로 연통되는 체상배출실(18a)과, 측면에서 볼 때 산형상(도 6 참조)의 체상분기부(18b)를 구비한 것이다. 체상분기부(18b)의 출구는 체상출구(18c)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상분기부(18b)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대로 조립물의 흐름을 두 갈래로 나누는 부재이다.
축받이(22a) 및 축받이(22b)는 카트리지형 유니트로서, 도시되지 않은 라비린스링, 에어퍼지 등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축(21)은 편축받이 구조로 되고, 그 자유단부는 체처리실(24)의 내부에 있어서 통형시브(1)의 우측단부 근처까지 돌설되어 있다. 정량배출기(16)의 회전축은 편축받이 구조로 되고, 그 자유단부는 체하출구부(14)의 단부가지 연장되어 있다.
그 밖에, 통형시프터(10)는 통형시브(1)를 분리 자유롭게 고정하기 위한 볼트(31) 및 고정구(30)를 구비한다. 통형시브(1)는 회전축(2)의 중공부에 구동축(21)을 감통시키고 단부에 고정구(30)를 감합시켜 볼트(31)를 고정구(30)로 구동축(21)의 나사홀(21c)(도 5 참조)에 나합시킴으로써, 체처리실(24)에 고정된다. 또한, 나사 체결 회전방향은 나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축(21)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체부(12)의 상부에는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35)은 임의 요소이고 형성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형시프터(10)를 인라인형 즉 기력수송을 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형시프터(10)에는 구동축(21)에 중공의 회전축(2)을 삽통시키고, 통형시브(1)를 장착해 둔다. 통형시브(1)의 장착 중에는 체모터(15)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21), 지지부재(3), 체본체(4) 및 체틀(6a,6b)이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의 X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물은 조립물입구(11)에서 공급실(20)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체처리실(24)로 흘러 들어 통형시브(1)의 내측영역(25)에 도달한다.
조립물은 기력수송에 의해 공급실(20)에서 체상배출실(18a)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통형시브(1)에 있어서의 체본체(4)의 파형 요철에 의해 혼합되어 체처리된다. 통형시브(1)는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저속회전을 시키면 조립물과 체틀(6a,6b)의 접촉에 의한 충격력은 작아지고, 조립물이 절손될 우려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통형시브(1)의 구멍(5)을 통과한 가는 조립물이 도 5의 Y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영역(26)으로 송출되어 조립물은 체하출구부(14)에 도달하며, 도 5의 V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량배출기(16)에 의해 정량적으로 송출되어 도 5의 W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물출구(14a)에서 배출된다. 한편, 통형시브(1)의 구멍(5)을 통과하지 못한 체상조립물은 내측영역(25)에서 체상배출실(18a)로 배출되고 도 5의 Z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체상분기부(18b)를 경유하여 체상출구(18c)에서 배출된다.
통형시프터(10)의 체 운전을 장시간 행하면, 체상배출실(18a)로 배출되지 않은 체상이 내측영역(25)으로 조립물 및 이물질이 퇴적하게 된다. 이럴 경우는 점검구(도시 생략)로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제거의 필요성이 있을 때는 운전을 정지하여 점검도어(13)의 밀폐핸들(28)을 풀어 손잡이(29)를 잡고 점검도어(13)를 연다. 체처리실(24)의 내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내부에 잔유된 조립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통형시브(1)의 내부가 깨끗한 상태로 복귀된다. 통형시브(1)의 청소는 통형시브(1)를 체처리실(24)에서 외부로 취출하여 행할 수도 있다. 청소 후에 통형시브(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도 용이하다.
통형시브(1)는 교환 가능하다. 낡은 통형시브(1)에서 새로운 통형시브(1)로의 교환은 볼트(31)와 고정구(30)를 분리시켜 회전축(2)을 구동축(21)에서 이탈시킨 후 낡은 통형시브(1)를 체처리실(24)에서 외부로 취출한다. 그 후, 상기와 역순으로 새로운 통형시브(1)를 설치한다.
그리고, 구동축(21)과 정량배출기(16)의 회전방향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브(1)의 고정은 일단지지 방식도 좋고, 양단지지 방식도 좋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 1의 통형시브(1), 통형시프터(10)에 의하면, 체본체(4)가 파판이므로 체면적이 증대하고, 체효율도 높게 된다. 또한, 구멍(5)을 장원형으로 함으로써, 체의 대상물이 장입상의 원기둥 형상 조립물이어도, 구멍(5)과의 각도 관계에 의해 조립물이 구멍(5)을 통과하는 것이 저해되는 상황은 적어진다. 즉, 원주상 조립물의 자세가 서 있는 상태에서도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구멍(5)을 통과할 수 있어 체효율이 높아진다. 여기에서, 파판의 구멍(5)을 정렬시켜 형성함으로써, 조립물이 정류되어 방향을 맞추기 쉬워서 조립물이 구멍(5)을 통과하기 쉬워지므로 체효율이 한층 높아진다. 한편, 통형시브(1)는 체본체(4)와 지지부재(3)가 일체로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지지부재(3)와 체본체(4)의 사이에 조립물이 끼는 일이 없고 각종 조립물의 흠손 또는 절손을 방지하여 조립물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체본체가 파고부와 파저부를 구비함으로써 체효율의 향상에 대해서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4)의 작용을 모식적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4)에 있어서의 조립물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비교를 위해서 도 14(b)에 종래의 체본체를 (a)와 같은 정도의 회전속도로 가동 중인 조립물의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4)의 파고부와 파저부 사이에는 곡률이 작은 대략 평면이 회전원주에 대해 경사져서 존재한다. 하나의 파저부에 인접되는 대략 평면 중에서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것은 경사부(4a)로서(도 14(a) 참조), 이것이 체효율의 향상을 초래하는 이유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비교를 위해, 종래의 평활한 원통형 체본체를 표시한 도 14(b)를 참조하여 이것을 설명한다. 체본체의 회전방향은 P이고, 교반부재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종래의 체본체에 의하면 조립물의 교반은 체본체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힘과 중력만에 의하기 때문에 교반의 효과, 특히 방향성은 한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도 15(b) 참조). 이것에 의해, 조립물은 특정 위치로 편재하기 쉽게 된다. 동 도에 의하면, 체본체의 회전방향이 P방향이기 때문에 조립물은 Q의 범위로 모이기 쉽게 된다. 이 편재는 체본체와 조립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체효율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조립물이 집적돼 있는 것은 체본체에 설치된 구멍을 통과하기 어렵게 만든다. 그리고, 이 조립물을 분산시키기 위해 교반부재를 사용하지만 종래의 평활한 원통형 체본체에 교반부재를 사용하면 체본체와 교반부재의 틈새에서 조립물이 흠손 또는 절손되는 문제가 있는 것은 배경기술에서 서술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4)에 대해서 도 14(a), 도 1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a)와 같이, 체본체(4)에 있어서 파고부와 파저부가 교호로 규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체본체(4)의 회전에 의해 조립물에 가해지는 힘이 도 15(b)에 나타낸 종래의 체본체에 대한 것 보다 크게 된다. 체본체(4)의 파형 가공에 의해, 체본체(4)의 회전시의 내부분체의 쓸어 올림 효과와 이송 효과가 생겨, 즉 스크린 면적도 증가하기 때문에, 내부분체가 퍼지지 않고 체본체(4)에 접촉이 쉽게 되어 체분 효과도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체 중의 조립물이 편재하기 쉽게 되어 위치를 나타낸 Q의 범위는 종래의 Q의 범위보다도 넓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14(a)(b) 참조). 그리고, 체본체의 회전방향P와의 관계에서, 체본체 내에서 쓸어올려진 조립물은 체본체(4) 중에서 경사부(4a)에 가장 많이 충돌한다. 이것에 의해 구멍을 통과하는 조립물도 있으며, 체본체(4)에 반사되어 다시 체본체 내로 쓸어올려지는 조립물도 있다. 체본체(4)는, 이 반작용에 의해 조립물을 교반하면서 체를 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사부(4a)에 충돌하여 반사된 조립물은 체본체의 회전방향 및 회전축(2)을 향하는 방향으로 와권상으로 반사되면서 체를 칠 수 있게 된다(도 15(a) 참조). 도 14(b)는 (a)의 반사로 내부분체의 쓸어올림 효과도 이송 효과도 얻기 어렵고, (a)와 비교하여 스크린 면적도 작기 때문에 내부분체가 퍼지지않고 체본체에 접촉하기 어려우며, (a)와 비교하여 체분 효과도 한정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4)에서는 종래의 체본체의 회전력 및 중력이 가해져 경사부(4a)에 의한 쓸어올림 작용에 의해 조립물의 움직임이 복잡하게 되며, 교반 작용이 뛰어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조립물의 움직임은 복잡해지지만, 무질서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체효율의 저하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와권상의 규칙적이고 복잡한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쓸어 올려진 조립물은 공기와 혼합되어 체본체 내부로 분산되기 때문에, 구멍을 통과하기 쉽게 된다. 여기서, 체본체(4)는 종래의 체본체와 비교하여 내부의 표면적이 더 넓다. 이 표면적 상승과 조립물의 복잡한 움직임에 의해, 체본체와 조립물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구멍을 통과하는 기회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체틀(6a,6b)은 조립물에 대해 칸막이의 효과를 어느 정도 부여하기 때문에, 조립물이 일정 위치로의 극도의 편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체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절손 및 실손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체틀(6a,6b)과 체본체(4)는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물이 이들 사이로 끼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본체(4)는 종래와 비교하여, 복수의 관점에서 체효율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교반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교반부재를 굳이 사용할 필요성도 적어져서 조립물을 흠손 또는 절손시키는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교반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고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통형시브(1)를 다른 형태의 통형시브와 교환함으로써, 조립물 이외의 종류의 피처리물에 대해서도 체를 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조립물 등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피처리물의 종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량배출기(16)에 의해 체하조립물이 정량적으로 하류로 공급되어 하류에서 처리시 파동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통형시프터(1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형시프터(10)는 이것과 동등한 통형시프터를 상하 2단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들을 일체형으로 배치하여 케이싱을 공통화시킨 것을 통형시프터(100)로 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통형시프터(110),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통형시프터(150)라 하고, 또한, 각 부품의 부호에 대해서는 이들에 대응하여 11, 15를 각 부호의 최초에 부가한다.
통형시프터(100)의 구성은 상기 서술한 통형시프터(10)의 단독 사용과 동일한 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조립물의 입도가 중간 범위에 속하는 것을 중간 생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통형시프터(10)에 의해 체상을 제외하고, 통형시프터(150)에 의해 체하를 제거함으로써, 중간 범위의 입도를 분급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조립물에 분괴가 포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상품가피를 높일 수 있다.
통형시프터(150)는 기본적으로는 통형시프터(110)와 같은 구조이지만, 체 구멍의 형상이 통형시프터(110)의 것과 상이하고, 그 면적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7(b)의 화살표S에 나타낸 대로, 통형시프터(110) 및 통형시프터(150)는 통형시프터(150)의 체상출구부(1518)가 통형시프터(110)의 체상출구부(1118)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비껴서 배치되어 있다. 통형시프터(150)의 조립물입구(1511)는 통형시프터(110)의 조립물출구(1114a)와 접속되어 있다. 통형시프터(150)의 체하출구부(1514)에는 정량배출기(16) 대신 호퍼(159)가 이용된다.
따라서, 통형시프터(100)에 의해 체분된 조립물은 체상출구(1118c)에서 입도가 큰 조립물, 체상출구(1518c)에서 중간의 입도를 갖는 조립물, 호퍼(159)에서 입도가 작은 조립물이 각각 배출된다.
그리고, 통형시브(111), 통형시브(151) 및 정량배출기(1116)는 각각 회전방향, 회전속도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체의 상황에 대응하여 통형시프터(110)와 통형시프터(150)의 시브의 회전방향을 상호 역방향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상기 통형시프터(100)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통형시프터(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지만, 구멍직경이 다른 통형시브(111) 및 통형시브(151)로 체분함으로써, 중간 범위의 입도의 조립물을 분급할 수도 있지만 그 이상의 범위의 체상과 체하의 조립물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단의 통형시프터(110)와 제2단의 통형시프터(150)가 정량배출기(1116)를 통해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호퍼를 없애서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가 있다. 그리고, 통형시브가 상하 2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의 통형시브가 절손되어도 파편을 하부의 통형시브(151)에서 포착하는 세이프티네트 기능 및 상부의 통형시브(111)에서 하부의 통형시브(151)의 체분의 부하를 부담함으로써 하부의 통형시브의 망절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망절손 미연방지 기능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된 통형시브의 내부에 회전하는 교반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통형시브(1)를 통형시브(201)로 교환하여 교반부재(207)를 설치한 것을 통형시프터(200)로 하고,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통형시프터(200)에 있어서 통형시프터(10)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원용한다. 통형시프터(10)와 대응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20을 각 부호의 최초에 부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통형시브(201)는 다수의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된 체본데(204)와, 체본체(204)의 양단부에 설치된 체틀(206a,206b)을 구비한다. 체본체(204) 및 체틀(206a,206b)은 각각 체본체(4) 및 체틀(6a,6b)과 동등한 것이다. 통형시브(201)의 고정방법은 통형시프터(10)에 있어서의 통형시브(1)의 고정방법과 다르다. 체본체(204)는 회전불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형시프터(10)에 있어서의 지지부재(3)에 상당하는 것은 없고, 또한, 체틀(206a,206b)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통형시브(201)는 체케이싱(2023)에 구비되는 시브지지구(2037)에 의해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시브지지구(2037)는 통형의 직경 외측에 절반(切返)이 달린 플랜지 형상이고, 그 통형부분의 외주면은 통형시브(201)의 내주면을 지지 고정하는 것이다. 이 고정은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구동축(2021)에는 교반부재(207)가 삽통된다.
교반부재(207)는 구동축(21)에 삽통되어 고정되는 회전축(207a)과, 회전축(207a)의 외경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암(207b)과, 암(207b)에 연결된 플레이트(207c)를 구비하고 있다. 구조 자체의 상세는 WO 02/38290호 공보를 참조하기 바람. 그리고, 이 공보에서는 시브의 교환이 불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환이 가능하게 구성이 변경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통형시프터(200)는 체케이싱(23)에 고정된 통형시브(201)의 내부영역(2025)에서 교반부재(207)가 회전함에 의해 조립물의 체 상태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파형으로 형성된 체본체를 갖는 통형시브와, 교반부재를 동시에 사용할 수가 있다. 종래, 조립물이 체본체와 교반부재에 끼이는 문제가 있었지만, 통형시프터(200)에 있어서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본체(204)에 있어서의 파형의 홈의 존재에 의해 조립물이 공간R로 도망쳐 숨을 수 있어 교반부재(207)와 체본체(204)에 끼일 염려는 거의 없다. 조립물의 흠손 또는 절손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은 경우도 많지만, 통형시프터(200)는 조립물의 크기, 성질 등에 의해 교반부재를 사용하는 편이 적절한 경우에 유효하다.
그리고, 통형시프터(200)에 있어서, 체본체(204)의 후방의 체틀(206b)에는 환형상의 판부재인 프레임후단부(208a)를 설치하고, 이것에 체상배출실(2018a)의 후단까지 연장된 손잡이(208b)를 형성하면 적합하다(도 8, 도 10). 이것에 의해, 점검도어(2013)가 닫혀 있을 때에 그 점검도어(2013)의 내벽에서 손잡이(208b)의 후단부를 가압할 수가 있어 체본체(204)의 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가 있다. 동시에, 프레임후단부(208a)와 체케이싱(23)에 고정된 링체(208c)에 각각 요철의 감합부(208d)를 형성하여도 좋다. 감합부(208d)는 링체(208c)의 외연에 복수개소를 설치한 것이다. 반경방향에 대향하는 감합부(208d)가 감합함으로써, 체본체(204)의 회전을 규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점검도어(2013)의 통형시브(201)의 고정 기능도 겸용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208b)가 대형화됨에 따라 체본체(204)를 분리하기 쉽게 된다.
체본체(204)에 체틀(206a,206b)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체본체(204)를지지 고정하는 시브지지구(2037)를 체본체(204)의 파형에 대응시켜 파형으로 형성하고, 틈새가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본체(204)에 체틀(206a,206b)을 설치한 경우에는 시브지지구(2037)와 체틀(206a,206b)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시프터(200)에 있어서 교반부재(207)를 분리하고, 통형시브(201)를 통형시브(1)로 교환하면, 통형시프터(200)는 통형시프터(10)와 같은 것이 된다. 즉, 통형시브 및 교반부재 외에는 공통화시킴으로써 비용 절감, 공간 효율 최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통형시브(1)의 외경을 통형시브(201)의 외경보다도 어느 정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시브지지구(2037)와 회전하는 체본체(204)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상호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통형시브(1)와 통형시브(201)의 교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편의상, 공통되는 볼트 등의 부호는 통형시프터(10)에 사용된 것으로 한다. 통형시브(1)에서 통형시브(201)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볼트(31)를 해제하고 고정구(30)를 분리하여 회전축(2)을 구동축(21)에서 이탈시킨 후 통형시브(1)를 체처리실(24)에서 외부로 취출한다. 그 후, 교반부재(207)의 회전축(207a)을 구동축(21)에 취부시키고, 고정구(30), 볼트(31)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통형시브(201)를 삽입하여 시브지지구(2037)로 고정시킨다. 통형시브(201)에서 통형시브(1)로 교환하는 것을 전술한 것의 역순으로 한다.
통형시프터(200)에 있어서 통형시브(201)는 회전 불능하게 고정되지만, 회전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것은 파형을 갖는 체본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의를 저감시키는 것이 아니고, 체 조작의 다양화에 공헌하는 것이다. 이 경우, 구동축(21)과는 별도의 구동축 및 모터를 설치하여 교반부재(207a)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도 좋다.
교반부재(207)를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변경된 교반부재(307)는 구동축(2021)에 착탈 가능한 회전축(307a)과, 회전축(307a)의 외경면에 고정된 드럼(307d)과, 드럼(307d)의 외경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동시에 구동축(202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레이트(307c)를 구비하고 있다. 교반부재(307)의 구조의 상세는 WO 2007/129478호 공보를 참고하기 바람.
그리고, 교반부재(307)에 있어서 플레이트(307c)의 전단부를 공급실(2020)까지 연장한 구성을 갖는 교반부재(407)로 하여도 적절하다(도 13). 그 외에, 플레이트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플레이트를 회전축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량 등을 가할 수도 있고, 이들의 개량이나 균등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십자형으로 배치된 판상암(3a)을 세 개의 살 형상으로 배치하는 등의 다른 구조로 하여도 좋다. 내측링(3b)은 링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원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지지부재(3)의 개수는 축 방향으로 2개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였으나, 이 외에 임의의 개수여도 좋다. 또한, 체본체(4)는 강성과 탄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제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다른 재질이어도 좋다. 또한, 통형시브(1)의 조립은 용접 접속에 의하는 이외의 접속, 예를 들어, 피스 등의 나사체결구에 의해 조립되어도 좋다. 구멍(5)의 형상은 장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장방형의 형상 등도 임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물의 체효율을 향상시킨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를 제공할 수 있어 식품, 의약품, 화학품 등의 조립물에 대한 광범위한 이용이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형시브 10, 100, 110, 150, 200 : 통형시프터
2 : 회전축 3 : 지지부재 4 : 체본체
5 : 구멍 6a, 6b : 체틀 11 : 조립물입구
12 : 체부 13 : 점검도어 14 : 체하출구부
14a : 출구 15 : 체모터 16 : 정량배출기
17 : 배출모터 18 : 체상출구부 19 : 공급케이싱
20 : 공급실 21 : 구동축 21c : 나사구멍
22a : 축받이 22b : 축받이 23 : 체케이싱
24 : 체처리실 25 : 내측영역 26 : 외측영역
27 : 측면개구부 28 : 밀폐핸들 29 : 손잡이
30 : 고정구 31 : 볼트
37 : 시브지지구 7 : 교반부재

Claims (3)

  1. 원주방향을 따라 파형을 갖도록 형성된 통형의 파판인 체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파판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형시브.
  2.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경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부에 상기 체본체가 고정되며, 상기 체본체의 내측영역에서 외측영영으로 체하조립물를 통과시키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통형시브를 구비한 통형시프터.
  3.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경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조립물을 교반하는 교반부재와, 상기 교반부재와 간격을 두고 체케이싱에 고정되는 통형 체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부재가 상기 체본체 내에서 회전되고, 상기 체본체의 내측영역에서 외측영역으로 체하조립물을 통과시키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통형시브를 구비한 통형시프터.
KR1020117016855A 2009-06-05 2010-05-31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 KR101321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6383 2009-06-05
JP2009136383 2009-06-05
PCT/JP2010/003629 WO2010140336A1 (ja) 2009-06-05 2010-05-31 筒形シーブ及び筒形シフ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834A true KR20110105834A (ko) 2011-09-27
KR101321367B1 KR101321367B1 (ko) 2013-10-28

Family

ID=4329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855A KR101321367B1 (ko) 2009-06-05 2010-05-31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33552B2 (ko)
EP (1) EP2374548B1 (ko)
JP (1) JP5400879B2 (ko)
KR (1) KR101321367B1 (ko)
CN (1) CN102574159B (ko)
WO (1) WO2010140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6524A1 (en) * 2012-05-21 2013-11-21 Michael Dudley Welch Underwater gold processing machine
KR101348481B1 (ko) 2013-08-23 2014-01-07 정찬웅 빵 제조용 밀가루 시프터기
CN106000861A (zh) * 2015-02-13 2016-10-12 王寿南 一种厨用的面粉筛
CN104908135A (zh) * 2015-06-25 2015-09-16 吉首大学 齿筒直桨式带岔枝桑枝去皮粉碎装置
CN104998733A (zh) * 2015-08-17 2015-10-28 广州市联冠机械有限公司 筛网及其制造方法及设有该筛网的撕碎机
CN113041901A (zh) * 2019-12-28 2021-06-29 新沂市华瑞石英制品有限公司 一种石英砂提纯装置
USD949218S1 (en) * 2020-06-30 2022-04-19 Bühler AG Plan sifter
CN112371494A (zh) * 2020-10-26 2021-02-19 覃永勇 一种钩藤钩杆分离装置
CN112780896A (zh) * 2021-01-15 2021-05-11 湖南镭目科技有限公司 一种冶金行业废钢识别系统
CN115301532A (zh) * 2022-07-18 2022-11-08 郧西县槐树茶叶专业合作社 一种茶叶筛选机的分级筛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95A (en) * 1857-01-27 Improved ore-cleaner
US71099A (en) * 1867-11-19 Corrugated iron revolving coal-screen
US2827169A (en) * 1954-12-07 1958-03-18 Internat Pulp Products Inc Screen plate
JPS4868Y1 (ko) 1972-02-02 1973-01-05
JPS48109163U (ko) 1972-03-31 1973-12-15
NZ182084A (en) * 1976-09-17 1981-02-11 Contra Shear Holdings Rotating drum screen
JPS53109862U (ko) 1977-02-09 1978-09-02
JPS597513B2 (ja) 1977-04-09 1984-02-18 株式会社 サタケ 粒体選別機
US4339043A (en) * 1981-02-02 1982-07-13 Tice Richard P Portable mining apparatus
JPS6095986U (ja) 1983-12-05 1985-06-2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円筒型篩装置における篩網取付構造
JPS618488U (ja) 1984-06-21 1986-01-18 正起金屬加工株式會社 異形物選別装置
JPS63109862U (ko) * 1986-12-27 1988-07-15
JPH029481A (ja) 1988-06-28 1990-01-12 Tsumura & Co 造粒機、整粒機、破砕機等のスクリーン
JPH0212487U (ko) 1988-07-04 1990-01-25
JPH0356685U (ko) * 1989-10-04 1991-05-30
JP3566760B2 (ja) * 1994-10-20 2004-09-15 林太郎 薦田 紙おむつ等の不良品から有価物を分離回収する分離装置および分離方法
JPH09220528A (ja) 1995-12-15 1997-08-26 Mishima Kosan Co Ltd 製鉄所原料用篩部材
JP3752720B2 (ja) * 1996-04-08 2006-03-08 株式会社東洋精米機製作所 異物選別方法とそれを用いた異物選別装置
JP3464366B2 (ja) 1997-05-30 2003-11-1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濃縮型凝集反応装置
JP3687291B2 (ja) 1997-08-06 2005-08-24 東ソー株式会社 粒状物の篩分け方法
EP1344576B8 (en) * 2000-11-08 2006-09-06 Tsukasa Industry Co., Ltd. Inline sifter
DE20214115U1 (de) 2002-09-12 2004-02-12 Maschinenbau Farwick Gmbh Siebmaschine
EP1582271B1 (en) * 2002-12-27 2012-03-07 Tsukasa industry Co. Limited Cylindrical sieve
JP3973613B2 (ja) 2003-09-29 2007-09-1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EP1743711B1 (en) 2004-04-23 2009-08-12 Tsukasa Industry Co., Ltd. Powder sorting device
JP4754629B2 (ja) 2006-05-10 2011-08-24 株式会社ツカサ シフ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00879B2 (ja) 2014-01-29
JPWO2010140336A1 (ja) 2012-11-15
CN102574159A (zh) 2012-07-11
KR101321367B1 (ko) 2013-10-28
WO2010140336A1 (ja) 2010-12-09
EP2374548A1 (en) 2011-10-12
EP2374548B1 (en) 2015-04-01
US8733552B2 (en) 2014-05-27
CN102574159B (zh) 2015-09-30
US20110226676A1 (en) 2011-09-22
EP2374548A4 (en)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367B1 (ko)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
US7896163B2 (en) Sifter
JP6359156B1 (ja) 回転分離装置
US8640880B2 (en) Screening machine
GB2304058A (en) Mill for producing uniform grain sizes
JP2014050798A (ja) 回転式圧力篩い処理装置
JP5038083B2 (ja) 粉粒体篩機
CN110935545A (zh) 一种香料加工生产用百合粉碎装置
US5605233A (en) Trommel cleaner
JP5301343B2 (ja) 円筒形シフタ
JP2011087516A (ja) 脱穀装置におけるチャフシーブ構造
US8240481B2 (en) Sifter
CN109499676A (zh) 一种餐厨垃圾破碎制浆及筛分一体化处理设备
KR101357334B1 (ko) 피잣 분리장치
US7028457B2 (en) Threshing plate for a tailings conveyor of an agricultural combine
WO2022059258A1 (ja) スパイラルコンベアおよ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
AU708888B2 (en) A dehusking apparatus
US6296124B1 (en) Screening device for bulk materials
JP2017056460A (ja) 回転式圧力篩い処理装置
CN207899417U (zh) 造粒机
JP5925608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CN217919748U (zh) 一种能够筛选落料的输送设备
CA2214135C (en) Comminuting chamber and attachments therefor
JP2023060649A (ja) 穀類選別スクリーンドラム装置
CA3027802A1 (en) Hollow screening cylinder and rotary screen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