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443A - 3개 롤의 바 압연기에 의해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개 롤의 바 압연기에 의해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443A
KR20110102443A KR1020117015851A KR20117015851A KR20110102443A KR 20110102443 A KR20110102443 A KR 20110102443A KR 1020117015851 A KR1020117015851 A KR 1020117015851A KR 20117015851 A KR20117015851 A KR 20117015851A KR 20110102443 A KR20110102443 A KR 2011010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r
roll
diameter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585B1 (ko
Inventor
롤프 쿠멀링
만프레드 벨만
윈프리드 브라운
히데노리 키누가사
사사키 케니치
Original Assignee
파우 운트 엠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스미토모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 운트 엠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스미토모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우 운트 엠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0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24Rolls for bars, rods, rounds, tubes, wir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3/00Tube-rolling not restricted to methods provided for in only one of groups B21B17/00, B21B19/00, B21B21/00, e.g. combined processes planetary tube rolling, auxiliary arrangements, e.g. lubricating, special tube blanks, continuous casting combined with tub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7/00Tube-rolling by rollers of which the axes are arrang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work, e.g. "axial" tube-rolling
    • B21B17/02Tube-rolling by rollers of which the axes are arrang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work, e.g. "axial" tube-rolling with mandrel, i.e. the mandrel rod contacts the rolled tube over the rod length
    • B21B17/04Tube-rolling by rollers of which the axes are arrang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work, e.g. "axial" tube-rolling with mandrel, i.e. the mandrel rod contacts the rolled tube over the rod length in a 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7/00Tube-rolling by rollers of which the axes are arrang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work, e.g. "axial" tube-rolling
    • B21B17/14Tube-rolling by rollers of which the axes are arrang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work, e.g. "axial" tube-rolling without mandrel, e.g. stretch-reduc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Forg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특히 강으로부터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미리 제조된 열간 공동 블록은 모관을 형성하기 위해 맨드릴 상의 3개 롤의 바 압연기에 의해 신장되고, 바 압연기에 들어가기 전에, 공동 블록은 상류측 스탠드에 의해 직경을 더욱 일정하게 만드는 압연 단계를 받게 된다. 이 경우에, 상류측 스탠드의 롤은 바 압연기의 변형 스탠드와 마찬가지로 개방 및 폐쇄되게 이동되고, 상류측 스탠드의 롤의 캘리버 베이스 반경은 60°에 걸쳐 연장된 다음, 반경방향으로 전이되는 플랭크 반경이 되며, 이 플랭크 반경은 롤의 최대 폐쇄시에도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공동 블록 직경의 직경 감소가 플랭크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Description

3개 롤의 바 압연기에 의해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SEAMLESS TUBES BY MEANS OF A THREE-ROLL BAR ROLLING MILL}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3개 롤의 바 압연기에 의해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법이 강관 핸드북(출판사: Vulkan-Verlag, Essen, 1995년 발행, 12 개정판, p 107-111)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속관 압연법에 따라 작동하는 바 압연기가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바 압연기는 초기에 모관으로 전조 압연함으로써 제조된 공동 블록을 신장시키는데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바 압연기는 스탠드당 2개 또는 3개 롤을 구비한 2가지 실시예가 있다. 통상적으로, 스탠드의 개수는 4개 내지 8개이다.
바 압연기는 도입 공동 블록(incoming hollow blocks)의 벽 두께 및 직경의 변동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변동의 발생이 공동 블록을 제조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전조 압연 공정에 의해 항상 방지될 수는 없다.
특히, 가이드 수단으로서 디셔 디스크(Diescher disks)를 구비한 전조 압연기는 헤드 부분과 바닥 부분에서 "필렛 영역(filet region)"으로부터 편향된 직경을 가진 공동 블록을 제조한다. 바 압연 공정에서는, 이들 편향에 의해, 캘리버 언더필(caliber underfills), 벽 두께 수축, 구멍 및 캘리버 오버필(caliber overfills)이 발생될 수 있다.
이들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바 압연 공정의 하류측에 공동 블록 감소 스탠드(공극 감소 스탠드)를 배치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탠드는 2개 롤의 바 압연기의 4개의 롤, 및 3개 롤의 바 압연기의 3개의 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지 못하게, 종래의 공동 블록 감소 스탠드에서는 여전히 바 압연기의 압연 조건이 공동 블록의 상이한 직경에 따라 달라진다.
그 결과, 변형 동안 바 압연기에 대해 상이한 입력 조건(바에 대한 공동 블록 입력 조건, 제1 스탠드의 외경 감소)이 얻어지는데, 이는 다시 관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 블록(hollow block)이 상이한 직경을 가질때 조차도 바 압연기의 변형에 대해 거의 동일한 압연 상태가 유지되도록 3개 롤의 바 압연기용 공극 감소 스탠드(VRS: void reduction stand)의 보정 및 이동을 이루는데 있다.
이에 따라, 공동 블록의 직경 편차를 되도록 동등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동 블록 간의 직경 편차를 동등하게 하는 동시에 캘리버의 언더필링 또는 오버필링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청구항에 인용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상기 목적은, 상류측 스탠드의 롤이 바 압연기의 변형 스탠드와 마찬가지로 개방 및 폐쇄되게 이동되어, 상류측 스탠드의 롤의 기본 보정 반경이 60°에 걸쳐 연장된 다음, 롤의 최대 폐쇄시에도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공동 블록 직경의 직경 감소가 플랭크 영역에서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접선방향으로 전이되는 플랭크 반경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당한 이점으로는, 제시된 방법 및 대응하는 보정에 의해, 한편으로, 바 압연기에 들어가는 공동 블록의 직경 변동 범위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정에 의해 공동 블록 관의 상이한 직경에 대해서 조차도 바 롤에 대해 거의 동일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관의 기하학적 형상에 있어 훨씬 더 균일한 품질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는 바에 대한 평균 조건의 절대값이 제1 스탠드의 위치 범위에 대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의 위치에 따라 조절된다.
공극 감소 스탠드의 출력부에서 일정한 바 운동에 의해, 압연 공정 동안 균일한 변형 상태가 얻어져, 관의 품질이 상당히 개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바 직경의 경우, 볼 롤링 밀의 하류측의 바 압연기의 모든 스탠드는 원하는 벽 두께를 얻기 위해 동일한 양만큼 위치될 수 있으며, 이 양은 또한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와 일치하기도 한다.
일정한 입력 조건과는 달리, 이 방법은 위치를 변경하는데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어떠한 오버필링이나 언더필링도 바 압연기에 발생하지 않는, 즉 바 압연기의 압연에 대해 외경에 대한 입력 조건이 거의 일정하다는 추가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단지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의 절대값만이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의 위치에 대응한다. 압연 공정의 품질에 있어, 공극 감소 스탠드 및 후속하는 제1 작업 스탠드와의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
대안적으로,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의 상대값도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바 압연기에 대한 거의 일정한 입력 조건 외에도 바람직하게 마모(마모 보정)도 고려한 위치의 상대값을 사용함으로써, 유효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캘리버 케이스 반경은 상류측 스탠드의 최대 개방 동안 0이 되는 편심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이로써 형성된 접촉면 롤-롤링 스톡은 캘리버 불연속시 롤 마모에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는, 예를 들면 캘리버 스트립(caliber stripes)과 같은 외측면 상의 균열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 이점 및 세부 내용이 도면에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추측될 수 있다. 도면은 단지 공극 감소 스탠드(VRS: void reduction stand)의 상류 스탠드의 보정을 나타낼 뿐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감소 스탠드가 통상 타원형으로 보정된다. 이를 위해, 캘리버 베이스 반경(AI)이 캘리버 플랭크 반경(BI)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반경(R1)이 각각의 플랭크에 대해 30°의 동작 범위를 갖는 플랭크 반경으로 접선 방향에 따라 60°의 각 길이에 걸쳐 변경되는 원형 보정이 제시되어 있다(도 1a). 또한, 도 1a에는 롤 축(1), 캘리버 윤곽(2), 캘리버 베이스 반경(R1)의 편심(3), 캘리버 베이스 반경(R1)(4) 및 캘리버 플랭크 반경(R2)(5)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보정에 의하면, 공극 감소 스탠드(VRS)를 빠져나가는 공동 블록의 직경 변화가 바람직하게 타원형 보정에 비해 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예에서, 양(BI)은 롤 축과 캘리버 그라운드(caliber ground) 사이의 거리로 사용되고, 양(AI)은 롤 축과 캘리버 플랭크(caliber flank) 사이의 거리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조 압연기에 의해 발생된 공동 블록의 외경은, 예를 들면 2.5%의 허용 오차를 갖는다.
VRS는 캘리버 불연속면에서 최대 공동 블록 직경×0.99 내지 1.00(2×AI)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캘리버 중심 직경(2×BI)은 최소 공동 블록 직경×0.99 내지 1.00을 따라야 한다.
2가지 보정 방법은 다음의 결과를 산출한다.
타원형 보정
캘리버 중심에서의 BI의 반경은 계속 증가하여, 게이지 불연속면에서 AI가 된다. 그 결과, 평균 캘리버 직경은 2×(BI+(AI-BI)/2)이다.
원형 보정
60°(±30°)에 걸친 캘리버 중심에서의 BI의 반경은 계속 증가하여, 캘리버 불연속면에서 30°마다 AI가 된다. 평균 캘리버 직경은 2×(BI+(AI-BI)/4)의 아주 근사한 범위 내에 있다.
예:
최대 공동 블록 직경 102.50㎜
평균 공동 블록 직경 100.00㎜
최소 공동 블록 직경 97.50㎜
최대 입력 허용 오차 5.00㎜
타원형 보정
AI = 1.00 × 최대 공동 블록 직경/2 51.25㎜
BI = 1.00 × 최소 공동 블록 직경/2 48.75㎜
최소 VRS 직경 = 2 × BI 97.50㎜
최대 VRS 직경 = 2 × (48.75 + (51.25 - 48.75)/2) 100.00㎜
따라서, 100㎜ 이상의 직경을 갖는 공동 블록에 의해, VRS는 100㎜를 갖게 된다. 보다 작은 직경이 그 크기를 유지한다.
출력 허용 오차는 최대 2.5%이다.
원형 보정
AI = 1.00 × 최대 공동 블록 직경 51.25㎜
BI = 1.00 × 최소 공동 블록 직경/2 48.75㎜
최소 VRS 직경 = 2 × BI 97.50㎜
최대 VRS 직경 = 2 × (48.75 + (51.25 - 48.75)/4) 98.75㎜
따라서, 98.75㎜ 이상의 직경을 갖는 공동 블록에 의해, VRS는 98.75㎜를 갖게 된다. 보다 작은 직경이 그 크기를 유지한다.
출력 허용 오차는 공칭 공동 블록 직경과 비교하여 최대 1.25%이다.
타원형 보정에 따르면, 허용 오차는 5% 내지 2.5%(50%) 개선되는 반면에, 원형 보정에 따르면, 허용 오차는 5% 내지 1.25%(75%) 개선된다.
상이한 두께의 벽이 동일한 압연 바로 압연된다. 이를 위해, 작업대는 개방 및 밀폐되어야 한다. VRS는 대체로 이 개방 및 밀폐형 장치를 따라야 하는데, 이는 단지 VRS와 작업대와의 연동이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도 1b는 VRS 스탠드(좌측) 및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우측)를 나타내고 있다. c 및 c'은 VRS 스탠드의 공칭 위치와 3개 롤의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의 공칭 위치를 나타내는 바, c'은 공칭 위치에서 VRS의 캘리버의 개방 크기이고, c는 공칭 위치에서 바 압연기의 캘리버의 개방 크기이다.
a 및 a'은 바 압연기 및 VRS 스탠드의 위치의 양의 변화(개방)를 나타낸다.
b 및 b'는 바 압연기 및 VRS 스탠드의 위치의 음의 변화(폐쇄)를 나타낸다.
계산
"절대적 동일"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 및 VRS 스탠드의 이동(양=개방, 음=폐쇄)은 동일한 절대값(a=a' 및 b=b')을 갖는다.
"상대적 동일"
VRS 스탠드 및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의 이동(양=개방, 음=폐쇄)은 상대적으로 동일한데, 즉 이는 공칭 위치(c, c')와 제1 압연 스탠드의 이동(a, b)의 함수이다.
"절대적 동일"
b ≥ a
a' = a
b' = b
"상대적 동일"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예를 들어, c=100㎜; a=1㎜; c=88㎜라면,
Figure pct00004
1 압연 축 2 캘리버 윤곽
3 편심 4 캘리버 베이스 반경(R1)
5 캘리버 플랭크 반경(R2)
a, a' VRS 및 제1 스탠드의 상대적 위치 변경(양)
b, b' VRS 및 제1 스탠드의 상대적 위치 변경(음)
c, c' VRS 및 제1 스탠드의 공칭 위치

Claims (6)

  1. 금속, 특히 강으로부터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으로서,
    미리 제조된 열간 공동 블록은 모관을 형성하기 위해 맨드릴 바 상의 3개 롤의 바 압연기에 의해 두께가 감소되고, 상기 바 압연기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공동 블록은 상류측 스탠드를 매개로 하여 직경을 더 일정하게 만드는 압연 단계를 받게 되며,
    상기 상류측 스탠드의 롤은 상기 바 압연기의 변형 스탠드와 마찬가지로 개방 및 폐쇄되고, 상기 상류측 스탠드의 상기 롤의 캘리버 베이스 반경(caliber base radius)이 60°에 걸쳐 연장된 다음, 접선방향으로 전이되는 플랭크 반경(flank radius)이 되며, 상기 플랭크 반경은 롤의 최대 폐쇄시에도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공동 블록 직경의 직경 감소가 플랭크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이음매 없는 관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 압연기의 모든 스탠드는 상기 바 압연기의 하류측에 원하는 벽 두께를 얻기 위해 동일한 양만큼 조절되며, 이 양은 또한 상기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와 일치하는, 이음매 없는 관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의 절대값은 상기 바 압연기의 제1 스탠드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음매 없는 관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의 상대값은 상기 바 압연기의 상기 제1 스탠드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음매 없는 관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스탠드의 위치는 바에 대한 평균 조건의 절대값이 상기 제1 스탠드의 위치 범위에 대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바 압연기의 상기 제1 스탠드의 위치에 따라 조절되는, 이음매 없는 관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버 베이스 반경은 상기 상류측 스탠드의 최대 개방 동안 0이 되는 편심을 갖는, 이음매 없는 관 제조 방법.
KR1020117015851A 2008-12-09 2009-11-20 3롤식 압연기에 의해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KR101607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1141.7 2008-12-09
DE102008061141A DE102008061141B4 (de) 2008-12-09 2008-12-09 Verfahren zur Herstellung nahtloser Rohre mittels eines Drei-Walzen-Stangenwalzwe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443A true KR20110102443A (ko) 2011-09-16
KR101607585B1 KR101607585B1 (ko) 2016-03-30

Family

ID=4214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851A KR101607585B1 (ko) 2008-12-09 2009-11-20 3롤식 압연기에 의해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056341B2 (ko)
EP (1) EP2358485B1 (ko)
JP (1) JP5679981B2 (ko)
KR (1) KR101607585B1 (ko)
CN (1) CN102245321B (ko)
AR (1) AR073952A1 (ko)
AU (1) AU2009326655A1 (ko)
BR (1) BRPI0922639B1 (ko)
CA (1) CA2745586A1 (ko)
DE (1) DE102008061141B4 (ko)
EA (1) EA018319B1 (ko)
ES (1) ES2396424T3 (ko)
HR (1) HRP20120985T1 (ko)
MX (1) MX2011006054A (ko)
PL (1) PL2358485T3 (ko)
TN (1) TN2011000273A1 (ko)
UA (1) UA100933C2 (ko)
WO (1) WO2010066230A2 (ko)
ZA (1) ZA2011042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6941B4 (de) 2012-03-30 2013-10-17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aus Stahl durch Warmumformen
CN104874616B (zh) * 2014-02-28 2018-02-16 中南大学 一种热轧无缝钢管壁厚精度的控制方法及轧辊孔型
CN108356078A (zh) * 2018-02-13 2018-08-03 辽宁天丰特殊工具制造股份有限公司 用于定减径机的非对称轧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6831A1 (fr) * 1980-07-18 1982-01-22 Sumitomo Metal Ind Procede de fabrication de tubes metalliques sans soudures
JPS57137009A (en) * 1981-02-17 1982-08-24 Sumitomo Metal Ind Ltd Manufacture of seamless metallic pipe
JPS63144807A (ja) * 1986-12-09 1988-06-17 Kawasaki Steel Corp 円管の絞り圧延方法
IT1238224B (it) * 1989-11-30 1993-07-12 Dalmine S R L C Processo perfezionato di laminazione a caldo di tubi senza saldatura con preventiva riduzione degli sbozzati forati
JP2924523B2 (ja) * 1992-12-11 1999-07-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マンドレルミルによる金属管の延伸圧延方法
JPH09314205A (ja) * 1996-05-31 1997-12-09 Kawasaki Steel Corp 円形鋼管の絞り圧延方法
JP4389869B2 (ja) * 2003-03-26 2009-12-2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継目無管の製造方法
WO2005070574A1 (ja) * 2004-01-21 2005-08-04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管の絞り圧延装置及び絞り圧延装置用ロール
CN100401257C (zh) * 2005-02-25 2008-07-09 浙江大学 无缝钢管张力减径过程仿真方法
JP4441912B2 (ja) * 2005-03-28 2010-03-3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マンドレルミル圧延方法
CN101024229A (zh) * 2006-02-20 2007-08-29 李铁铎 一种不锈钢无缝复合管连铸连轧生产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18319B1 (ru) 2013-07-30
EA201100924A1 (ru) 2011-12-30
TN2011000273A1 (en) 2012-12-17
DE102008061141A1 (de) 2010-06-10
PL2358485T3 (pl) 2013-05-31
ZA201104275B (en) 2012-02-29
BRPI0922639A8 (pt) 2018-01-02
DE102008061141B4 (de) 2012-08-30
HRP20120985T1 (hr) 2013-03-31
BRPI0922639B1 (pt) 2020-09-29
CN102245321B (zh) 2014-09-10
JP2012510902A (ja) 2012-05-17
CA2745586A1 (en) 2010-06-17
EP2358485B1 (de) 2012-09-26
BRPI0922639A2 (pt) 2017-10-24
US20120125068A1 (en) 2012-05-24
JP5679981B2 (ja) 2015-03-04
UA100933C2 (ru) 2013-02-11
EP2358485A2 (de) 2011-08-24
WO2010066230A3 (de) 2010-09-16
MX2011006054A (es) 2011-09-06
KR101607585B1 (ko) 2016-03-30
ES2396424T3 (es) 2013-02-21
AR073952A1 (es) 2010-12-15
AU2009326655A1 (en) 2010-06-17
WO2010066230A2 (de) 2010-06-17
US9056341B2 (en) 2015-06-16
CN102245321A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3762C (zh) 模具、阶梯金属管的制造方法及阶梯金属管
MX2007003351A (es) Tapon, metodo para expandir el diametro interior de un tubo o tuberia de metal utilizando este tapon, metodo para fabricar tubos o tuberia de metal.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R20110102443A (ko) 3개 롤의 바 압연기에 의해 이음매 없는 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EP160714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amless tube
RU2357815C1 (ru) Способ удлинительной прокат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тана для прокатки бесшовных труб на оправке
CA2611870C (en) Method of making a seamless hollow body from steel
JP7184109B2 (ja) 継目無鋼管の圧延制御方法及び製造方法
EP2135689A1 (en) Method for producing seamless pipe and hole type roll
RU2401708C2 (ru) Способ и прокатный стан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сшовных стальных труб
RU265266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сшовных стальных труб с малым эксцентриситетом
JP2021098215A (ja) 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
CN112547805A (zh) 一种张减机双圆弧孔型加工工艺
US6047578A (en) Multi-stand mandrel-free stretch reducing mill
JP6623211B2 (ja) 肉厚端部を備えた熱間圧延シームレス管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5849895B2 (ja) 絞り圧延装置及び絞り圧延装置用ロール
CN1120981A (zh) 斜辊穿轧机轧辊的校准
JP2014166649A (ja) 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
US20030182980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internally grooved tube
JP2000288616A (ja) 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
RU2379141C2 (ru) Прокатный стан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сшовных труб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RU2398642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либру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2019130563A (ja) パスライン高さの調整方法及び圧延設備
SU1424888A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 винтовой прокатки труб
WO201217351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сшовных труб
RU2246362C1 (ru) Способ винтовой прокатки ребристых труб и валки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