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379A -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 Google Patents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379A
KR20110101379A KR1020100020344A KR20100020344A KR20110101379A KR 20110101379 A KR20110101379 A KR 20110101379A KR 1020100020344 A KR1020100020344 A KR 1020100020344A KR 20100020344 A KR20100020344 A KR 20100020344A KR 20110101379 A KR20110101379 A KR 20110101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ck
washer
drive gear
central axis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910B1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2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910B1/ko
Priority to US13/037,752 priority patent/US8608100B2/en
Priority to CN2011100546835A priority patent/CN102187849B/zh
Publication of KR2011010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01K89/0179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과 연동되는 드라이브기어와 이 드라이브기어를 위한 중심축 사이에 배열되는 다양한 와셔를 이용하여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성하여 기존 낚시릴의 구조를 가능한 적게 변형하면서도 제조 및 조립 용이성이 보장되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우수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을 통한 낚시줄 손상(또는 절단) 방지는 물론 낚시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경쾌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낚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은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결합된 드라이브기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 상기 중심축에 축설되어 연동되는 드라이브와셔; 및 상기 중심축에 축설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와의 연동을 위한 외곽 돌기를 갖는 보조와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축 또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고, 요철부가 반복 형성된 클릭부재와, 상기 드라이브기어 또는 상기 중심축과 연동되고, 상기 클릭부재의 요철부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가 요철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클릭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FISHING REEL EQUIPPED WITH FUNCTION FOR CLICK SOUND}
본 발명은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과 연동되는 드라이브기어와 이 드라이브기어를 위한 중심축 사이에 배열되는 다양한 와셔를 이용하여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성하여
기존 낚시릴의 구조를 가능한 적게 변형하면서도 제조 및 조립 용이성이 보장되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우수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을 통한 낚시줄 손상(또는 절단) 방지는 물론 낚시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경쾌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낚시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줄이 풀림에 따라 스풀이 회전하는 경우 클릭사운드를 발생시키는 기술로는 주식회사 바낙스의 특허 제0547269호(2006년01월20일)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는 사용자가 클릭음을 on/off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며 잔고장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 주식회사 협성정공의 특허 제0665068호(2006년12월28일) [낚시용 릴]에는 메인샤프트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는 드래그 플레이트에 클릭홈과 연속적으로 충돌하면서 클릭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 타입의 클릭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클릭핀으로 구성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조립이 어렵고 잔고장의 원인이 되기 쉽다.
상기 특허 제0665068호와 유사한 구조로는 다이와정공 주식회사의 일본 특허공개 제2009-34005호(2009년02월19일)가 있는데, 역시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낚시릴 분야 전문업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은 릴 분야에 다양한 산업재산권을 보유한 바, 그 중 특허 제0508962호(2005년08월09일)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을 제시한 바 있다.
상기 특허는 마찰력으로 스풀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캐스팅 거리를 조절하는 텐션너트에 설치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클릭플레이트에 클릭스프링이 접촉하여 클릭사운드가 발생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의 이러한 특허 제0508962호의 개념을 변형하고, 확장 적용하여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경우 낚시줄이 풀려 나감에 따라 스풀이 회전하면서 클릭사운드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과 연동되는 드라이브기어와 이 드라이브기어를 위한 중심축 사이에 배열되는 다양한 와셔를 이용하여 요철부를 갖는 클릭부재와 상기 요철부와 마찰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클릭스프링으로 구성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성하여 조립 용이성을 보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불량 발생 및 고장 발생률을 저하시키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심지어 기존 낚시릴의 부품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단가경쟁력의 극대화는 물론 재고관리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낚시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클릭부재로 드라이브와셔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클릭플레이트를 활용하고, 클릭스프링으로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는 보조와셔 자체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클릭스프링을 도입하며, 독자적인 클릭스프링의 고정을 위하여 보조와셔드라이브기어, 래칫을 활용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로써 홀더를 도입한 낚시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클릭스프링으로 보조와셔를 사용하는 경우 보조와셔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의 최소화를 구현한 낚시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낚시줄 손상(또는 절단) 방지를 위한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낚시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경쾌하고 독특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더블 클릭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는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낚시릴의 구조를 가능한 적게 변형하면서도 제조 및 조립 용이성이 보장되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우수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을 통한 낚시줄 손상(또는 절단) 방지는 물론 낚시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경쾌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낚시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은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결합된 드라이브기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
상기 중심축에 축설되어 연동되는 드라이브와셔; 및
상기 중심축에 축설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와의 연동을 위한 외곽 돌기를 갖는 보조와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축 또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고, 요철부가 반복 형성된 클릭부재와,
상기 드라이브기어 또는 상기 중심축과 연동되고, 상기 클릭부재의 요철부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가 요철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클릭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에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스프링은 상기 보조와셔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나아가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드라이브와셔가 기능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드라이브와셔에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스프링은 상기 보조와셔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특히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클릭부재의 요철부는 각 클릭스프링에 대응되도록 역시 복수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에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스프링은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에 고정되는 홀더이거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보조와셔이며,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클릭플레이트이고, 상기 클릭플레이트는 상기 드라이브와셔와 연동되거나,
또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클릭플레이트이고, 상기 클릭플레이트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거나,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드라이브와셔가 기능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드라이브와셔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은 클릭부재로 드라이브와셔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클릭플레이트를 활용하고, 클릭스프링으로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는 보조와셔 자체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클릭스프링을 도입하며, 독자적인 클릭스프링의 고정을 위하여 보조와셔드라이브기어, 래칫을 활용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로써 홀더를 도입하고, 나아가 클릭스프링으로 보조와셔를 사용하는 경우 보조와셔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의 최소화를 구현하고, 아울러 낚시줄 손상(또는 절단) 방지를 위한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낚시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경쾌하고 독특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더블 클릭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고, 기존 낚시릴의 구조를 가능한 적게 변형하면서도 제조 및 조립 용이성이 보장되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하면서도 우수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을 통한 낚시줄 손상(또는 절단) 방지는 물론 낚시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경쾌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어, 결국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과 연동되는 드라이브기어와 이 드라이브기어를 위한 중심축 사이에 배열되는 다양한 와셔를 이용하여 요철부를 갖는 클릭부재와 상기 요철부와 마찰 접촉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클릭스프링으로 구성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성하여 조립 용이성을 보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불량 발생 및 고장 발생률을 저하시키고, 단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심지어 기존 낚시릴의 부품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단가경쟁력의 극대화는 물론 재고관리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의 외관 사시도.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의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와 관련된 요부 결합도 및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릴(R)은 도 1에 개략적으로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축설된 스풀(S)을 구비하며, 상기 스플에 낚시줄(미도시함)을 감기 위하여 사용되는 핸들(H)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구체 구현예를 설명하는데,
각 도면의 배열은 반시계방향으로, 좌측 상부에 결합 요부 단면도, 좌측 중간에 요부 평면도, 좌측 하부에 요부 사시도, 우측에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낚시릴(R)은 부품수가 가장 적다.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낚시릴(R)의 경우, 드라이브기어(20) 상부(우측 분해사시도 기준)에 구비된 고유의 와셔 수가 6개인 반면, 도 2 및 도 3에서는 단 3개에 불가하다.
도 2 좌측 상부의 요부 결합 단면도에서, 핸들(H)을 돌려 낚시줄을 감는 경우 핸들(H)(도 1 참조)의 핸들축(H1) 단부에 구비된 연동기어(H2)와 맞물리는 종동기어(28)의 회전에 따라 중심축(10) 및 드라이브기어(20)가 연동 선회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시줄이 풀리는 경우 스풀(S)이 선회하면 드라이브기어(20)는 선회하나 중심축(10)은 선회하지 않고, 이에 따라 종동기어(28)나 연동기어(H2) 및 핸들(H)은 선회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낚시줄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연동 또는 비연동 상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드라이브기어(20)는 스풀(S)과 연결된다.
상기 중심축(10)에는 걸림턱(11)(우측 분해사시도 참조)을 기준으로 상부에 차례로 드라이브와셔(30), 윤활와셔(L), 보조와셔(40), 드라이브기어(20), 제1와셔(29a), 래칫(29)이 차례로 결합되며,
좌측 상부 요부 결합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1) 하부에는 종동기어(28), 제2와셔(28a)(우측 분해사시도에서는 미도시), 베어링(B)(우측 분해사시도에서는 미도시)이 결합된다.
이상의 요부 결합 구조 설명은 와셔 수의 차이는 있지만 도 3 내지 도 12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구조이므로, 도 3 내지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핵심인 클릭사운드 발생수단(C)은 요철부를 갖는 클릭부재와, 이 요철부와 접촉하여 마찰음, 즉 클릭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돌출부를 갖는 클릭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낚시줄이 풀림에 따라 스풀이 회전하는 경우에 클릭사운드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클릭부재가 회전하면 클릭스프링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대표하여 포괄적으로 기술하고자 본 명세서에서는 클릭부재가 '상기 중심축 또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된다고 하였으며, 클릭스프링이 '상기 드라이브기어 또는 상기 중심축과 연동'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즉 클릭부재가 중심축과 연동되면 클릭스프링은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고, 클릭부재가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면 클릭스프링은 중심축과 연동되는데,
여기서 '연동'은 대응되는 두 부재가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동작된다는 의미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동작되는 의미까지 포괄하는 개념에 해당한다.
다시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중심축(10)에 축설되어 연동(축공이 비원형을 이루고 있다)되는 드라이브와셔(30)에 클릭부재(60)가 구현되어 있는데, 즉 클릭부재의 핵심을 이루는 요철부(61)가 드라이브와셔(30)의 외곽에 톱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요철부(61)로 이루어진 클릭부재(60)와 함께 클릭사운드 발생수단(C)을 이루는 클릭스프링(70)은
상기 중심축(10)에 축설(축공은 원형을 이루고 있어 중심축의 회전과 무관한 공회전이 가능하다)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20)와의 연동을 위한 외곽 돌기(4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와셔(40)의 돌기(41)는 드라이브기어(20)의 와셔(30)(40)(L) 수용부(23)의 외곽에 형성된 홈 형상의 연동부(25)에 결합되므로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드라이브기어 역시 축공(21)이 원형이어서 중심축(10)의 회전과 무관한 공회전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C)의 클릭스프링(70)은 상기 보조와셔(40)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어서,
제조용이성, 조립편리성, 유지 보수를 위한 분해 후 재조립 편리성, 기존 부품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고관리 편리성과 아울러 획기적인 생산비용 절감을 통한 단가경쟁력 제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일종의 판스프링 형상의 클릭스프링(70)은 상기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와 접촉하는 돌출부(71)와, 이 돌출부가 요철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73)가 일체로 형성된 형상에 해당한다.
이러한 보조와셔(40) 일체형 클릭스프링(70)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와 상기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는 두 와셔(30)(40)의 접면에서 접촉하는 형태이다.
낚시줄이 풀려 스풀(S)이 선회하면 드라이브기어(20)와 보조와셔(40)가 연동되어 클릭스프링(70)이 회전되고, 드라이브와셔(30)는 중심축(10)과 함께 고정되어 있으므로
클릭스프링의 돌출부(71)가 요철부(61)를 따라 승하강하면서 충돌하여 클릭사운드를 발생시켜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을 통한 낚시줄 손상(또는 절단) 방지는 물론 낚시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경쾌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 예를 들어 드라이브와셔와 보조와셔가 금속, 특히 스텐레스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라면, 윤활와셔(L)는 카본소재나 기타 윤활성을 제공하는 소재를 활용한 와셔이고, 이는 도 3 내지 도 12에서도 마찬가지이다(다만 필요에 따라 도입 수가 달라질 수 있다(도 4 내지도 도 12에서는 3장의 윤활와셔 적용).
다음으로 도 3에 제시된 클릭사운드 발생수단(C)은 도 2에 비하여
보조와셔(40)와 일체로 형성된 클릭스프링이 역시 상기 보조와셔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나 2개(70A)(70B) 구비되어 있고, 상기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A)(61B)는 각 클릭스프링에 대응되도록 역시 2개 구비되어 있는데, 제2클릭스프링(70B)에 맞게 제2요철부(61B)는 드라이브와셔(30)를 타공 형성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도 2와 같이 클릭스프링이 1개인 경우에도 보조와셔의 외곽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3의 클릭스프링(70B)와 같이 내측 부위를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한 클릭부재를 위한 요철부 역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요철부와 클릭스프링의 수는 3개 이상 도입될 수 있다.
또 제1요철부(61A)와 제2요철부(61B)는 상호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고유의 브레이크 기능 강화는 물론, 독특한 더블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요철부와 클릭스프링의 수 및 간격 설계에 따라 등간격의 클릭사운드는 물론 부등간격의 클릭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어, 일종의 박자음을 갖는 다양한 클릭사운드를 제공하여 상품경쟁력면에서도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는, 중심축(10)의 걸림턱(11) 상부에 차례로 커버와셔(50), 윤활와셔(L), 보조와셔(40), 윤활와셔(L), 드라이브와셔(30), 다시 윤활와셔(L)가 적층 결합되고, 이 와셔들은 드라이브기어(20)의 수용부(23)에 안착된다.
상기 커버와셔(50)의 축공은 비원형으로 중심축(10)과 상시 연동되므로 일종의 드라이브와셔에 해당한다.
그러나 도 4의 구성은 도 2와는 와셔의 수가 증가(커버와셔 1장 및 윤활와셔 2장 추가)된 것이 다른 점이나,
또 명명상 드라이브와셔(30)와 보조와셔(40)의 위치도 바뀐 것이어서, 보조와셔(40) 일체형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 방향이 도 4에서는 알맞게 하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도 4의 구조 역시 도 2와 마찬가지로 상기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와 상기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는 두 와셔(30)(40)의 접면에서 접촉하는 형태이다.
다음으로 도 5의 형태는 도 4와 달리,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와 상기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는 드라이브와셔(30)의 외주면에서 접촉하는 형태이며,
이에 맞게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가 보조와셔(40)의 하부에서 축공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으며,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를 이루는 톱니가 도 4 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클릭부재의 요철부와 클릭스프링의 돌출부의 접촉형태와 관련하여 '접면' 및 '외주면'이라는 용어는 절대적인 개념의 것이 아니라,
각 도면 우측 분해사시도를 기준으로 볼 때,
'접면' 접촉은 중심축(10)에 축설되어 상하로 맞물리는 형태를 지칭한 것이며,
'외주면' 접촉은 중심축에 대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접하는 상황을 지칭하여 상호 구별하기 위하여 선택된 용어이다.
이상 도 2 내지 도 5에서 클릭부재(60)의 핵심인 요철부(61)가 드라이브와셔(30)에 형성된 구조인 반면에,
도 6은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클릭부재(60)가 구현되어 있는데, 편의상 이를 구별하고자 본 명세서에서는 '클릭플레이트(60P)'라는 용어로 지칭한다.
물리적으로 별개인 독립적 '클릭플레이트'와 달리 '클릭부재'는 드라이브와셔 등 다른 통상의 구성요소가 자신의 고유 기능 외에 '요철부' 기능을 겸하는 경우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릭플레이트(60P)의 요철부(61)는 보조와셔(40) 일체형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와 접면에서 접촉하여 클릭사운드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종의 크라운기어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브와셔(30)에 형성한 '요철부' 및 독립적인 클릭플레이트의 '요철부'는 모두 클릭스프링의 돌출부(71)가 요철부(61)를 따라 승하강하면서 충돌하여 클릭사운드를 발생시키는 기능 구현에만 집중하여 선택한 용어이며, 형상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스풀 선회시 연동되는 클릭스프링(70)에 비하여 상기 클릭플레이트(60P)는 정지되어 있어야 하므로
내주면에 연동홈(63)이 형성되어 있고(4개), 상기 드라이브와셔(30)에는 이와 결합되는 연동돌출부(31)가 형성(4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의 보조와셔(40) 일체형 클릭스프링(70) 구조가 아닌 별도의 독립적인 클릭스프링(70)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와 접촉하는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는 드라이브와셔(30)에 형성되어 있고,
클릭부재(60)의 요철부(61)와 상기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는 드라이브와셔(30)의 외주면에서 접촉하는 형태이다.
한편,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C)의 클릭스프링(70)은 고정부재(80)에 결합되어 있는데,
특히 상기 고정부재는 별도의 독립적인 홀더(80H)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 '고정부재' 및 '홀더'라는 용어 역시 '클릭스프링 고정'이라는 기능과 관련하여 상호 대동소이 하나 편의상 이를 구별하고자 본 명세서에서는 달리 지칭한 것이며,
중심축(10)과 연동하는 드라이브와셔(30)에 대하여
상기 클릭스프링(70)은 스풀과 연동되어야 하므로,
홀더(80H)는 드라이브기어(80)의 연동부(25)에 결합되는 하부 연동돌기(85)를 갖고,
또 보조와셔(40)의 돌기(41)와 결합되는 연동슬릿(83)을 가지며,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가 홀더(80H) 내주면에 위치한 드라이브와셔(30) 외곽의 요철부(61)와 접촉하도록 돌출부(71)가 노출 결합되는 노출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에는 클릭스프링(70)과 클릭플레이트(60P)가 모두 독립적인 형태인 변형 구현예가 제시되어 있다.
도 8에서 클릭플레이트(60P)는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브와셔(30)와 연동되도록 연동돌출부(31)에 대응되는 연동홈(63)을 갖는다.
상기 클릭플레이트(60P)의 크라운기어 타입 요철부(61)와 상기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는 상하로 맞물려 역시 '접면'에서 접촉하는 형태이다.
또 독립적인 클릭스프링(70)은 도 7과 달리, 독립적인 홀더 없이, 결합돌기(75)를 통하여 보조와셔(40)의 결합통공(43)에 결합되어
스풀 선회시 고정된 클릭플레이트(60P)와 달리 선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릭스프링(70)의 결합돌기(75)는 상기 보조와셔(40)의 결합통공(43)에 결합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가 절곡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에서 클릭부재(60)(또는 클릭플레이트(60P)) 및 클릭스프링(20)은 도 2 내지 도 8에서와 달리
우측 분해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기어(20) 하부에 배열되어 있다.
먼저 클릭스프링(70)은 도 8의 것과 유사하게 결합돌기(75)를 통하여 드라이브기어(20)의 삽입공(27)에 결합되어 스플 회전시 연동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크라운기어 타입의 클릭플레이트(60P)는 래칫(29)의 연동공(29b)(도면에서는 4개)에 결합되는 연동돌기(65)(4개)가 형성되어 있어, 낚시줄의 언와인딩에 따라 회전하는 스풀과 무관하게 회전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와 유사하나, 크게 클릭플레이트(60P)와 클릭스프링(70)의 상하 위치가 바뀌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릭플레이트(60P)는 연동돌기(65)를 통하여 드라이브기어(20)의 삽입공(27)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클릭스프링(70)은 결합돌기(75)를 통하여 래칫(29)의 연동공(29b)에 결합되어 낚시줄의 언와인딩에 따라 회전하는 스풀과 무관하게 회전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다.
이어서 도 11에 도시된 변형예는 클릭부재(60)의 핵심인 요철부(61)가 드라이브와셔(30)에 형성되어 있고,
클릭스프링(70)이 독립적인 홀더(80H)에 고정된 형태이다.
상기 홀더(80H)는 도 7에 도시된 홀더 구조와 유사하게
드라이브기어(20)의 연동부(25)에 결합되는 하부 연동돌기(85)를 갖고,
또 보조와셔(40)의 돌기(41)와 결합되는 연동슬릿(83)을 가지며,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가 홀더(80H) 내주면에 위치한 드라이브와셔(30) 외곽의 요철부(61)와 접촉하도록 돌출부(71)가 노출 결합되는 노출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변형예를 독립적인 클릭플레이트(60P)와 독립적인 클릭스프링(70)을 갖는다.
우측 분해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클릭플레이트(60P)는 내부면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연동돌기(65)(특히 2개)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에 위치하는 커버와셔(50) 상부 외곽의 연동홈(51)과의 결합으로 낚시줄의 언와인딩에 따라 회전하는 스풀과 무관하게 회전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게 된다.
하부에 배열되는 보조와셔(40)의 수용홈(45)에는 윤활와셔(L), 커버와셔(50), 클릭플레이트(60P)가 차례로 안착된 후 상부 내측에 고정스프링(67)(특히 C형 스프링)이 결합되는 환홈(47)이 형성되어 있어 클릭플레이트(60P)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클릭스프링(70)은 보조와셔(40) 외곽의 돌기(41) 부위에 결합되는데,
상기 돌기(41)는 본 기능에 충실하게 드라이브기어(20)의 연동부(25)에 결합되어 상호 연동을 보장함과 아울러,
고정부재(80) 역할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클릭스프링(70)이 내장될 수 있다.
또 클릭스프링(70)의 돌출부(71)가 보조와셔(40)의 내주면 수용홈(45)에 위치한 클릭플레이트(60P)의 외곽 요철부(61)와 접촉하도록 돌출부(71)의 노출을 보장하는 구명 형태의 노출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릭스프링(70)은 탄성 보강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2개의 스프링을 겹쳐 배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좌우수 전환구조, 텐션너트 개념 등 통상적인 낚시릴과 관련된 공지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클릭사운드 발생수단과 이를 이용한 낚시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 릴 F: 프레임
S: 스플 H: 핸들
10: 중심축 11: 걸림턱
20: 드라이브기어 21: 축공
23: 수용부 25: 연동부
27: 삽입공 28: 종동기어
29: 래칫 30: 드라이브와셔
31: 돌출부 40: 보조와셔
41: 돌기 43: 결합통공
50: 커버와셔 L: 윤활와셔
C: 클릭사운드 발생수단 60: 클릭부재
60P: 클릭플레이트 61,61A,61B: 요출부
70,70A,70B: 클릭스프링 71: 돌출부
73: 탄성부 75: 결합돌기
80: 고정부재 80H: 홀더

Claims (10)

  1.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결합된 드라이브기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
    상기 중심축에 축설되어 연동되는 드라이브와셔; 및
    상기 중심축에 축설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와의 연동을 위한 외곽 돌기를 갖는 보조와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축 또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고, 요철부가 반복 형성된 클릭부재와,
    상기 드라이브기어 또는 상기 중심축과 연동되고, 상기 클릭부재의 요철부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가 요철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클릭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스프링은
    상기 보조와셔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드라이브와셔가 기능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드라이브와셔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스프링은 상기 보조와셔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클릭부재의 요철부는 각 클릭스프링에 대응되도록 역시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스프링은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에 고정되는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보조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클릭플레이트이고,
    상기 클릭플레이트는 상기 드라이브와셔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클릭플레이트이고,
    상기 클릭플레이트는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의 클릭부재는 드라이브와셔가 기능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드라이브와셔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KR1020100020344A 2010-03-08 2010-03-08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KR10119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44A KR101193910B1 (ko) 2010-03-08 2010-03-08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US13/037,752 US8608100B2 (en) 2010-03-08 2011-03-01 Fishing reel with clicking sound generating means
CN2011100546835A CN102187849B (zh) 2010-03-08 2011-03-08 具有转动提示音生成机制的钓鱼绕线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44A KR101193910B1 (ko) 2010-03-08 2010-03-08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79A true KR20110101379A (ko) 2011-09-16
KR101193910B1 KR101193910B1 (ko) 2012-10-29

Family

ID=4453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44A KR101193910B1 (ko) 2010-03-08 2010-03-08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08100B2 (ko)
KR (1) KR101193910B1 (ko)
CN (1) CN10218784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10Y1 (ko) * 2012-01-12 2014-02-13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US9408377B2 (en) 2014-01-28 2016-08-09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drag assembly
KR20190021683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KR20210002104U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2022004020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은성사 클릭 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396878B2 (ja) * 2015-11-11 2018-09-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101894745B1 (ko) 2016-11-11 2018-09-05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시 릴의 드래그 릴리즈 시스템
US10543630B2 (en) 2017-02-27 2020-01-28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employing a friction based tension mechanism
JP6467482B2 (ja) * 2017-10-04 2019-02-1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467481B2 (ja) * 2017-10-04 2019-02-1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534726B2 (ja) * 2017-12-14 2019-06-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534727B2 (ja) * 2017-12-14 2019-06-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602A (en) * 1990-03-16 1991-04-16 Abu Garcia Produktion Ab Click mechanism in a fishing reel
US5348246A (en) * 1992-07-15 1994-09-20 Zebco Corporation Line guide for bait cast reel
US5518194A (en) * 1993-04-13 1996-05-21 Bando Leports Ltd. Fishing reel with sound generator
US5692692A (en) * 1995-07-12 1997-12-02 Zebco Div. Of Brunswick Corporation Clicker element for fishing reel
US5857632A (en) * 1996-09-11 1999-01-12 Flylogic, Inc. Casting fishing reel with torque converter and clutch
US6354526B1 (en) * 1999-03-12 2002-03-12 Shimano Inc. Single bearing fishing reel and sounding mechanism
KR100320403B1 (ko) * 1999-09-02 2002-01-12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브레이크 컨트롤노브의 소리발생
US6688545B2 (en) * 2002-01-22 2004-02-10 Shimano Inc. Fishing-reel sounding device
KR100508962B1 (ko) 2003-10-14 2005-08-18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US7175121B2 (en) * 2003-10-28 2007-02-13 Shimano Inc.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KR100547269B1 (ko) 2004-05-11 2006-02-0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US7226013B1 (en) * 2004-11-08 2007-06-05 Shakespeare Company, Llc Fishing reel having improved pay out clicking mechanism
KR100665068B1 (ko) 2005-08-12 2007-01-09 주식회사 협성정공 낚시용 릴
US7222810B1 (en) * 2006-04-18 2007-05-29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Magnetic fishing reel clicker
JP5224576B2 (ja) 2007-07-31 2013-07-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10Y1 (ko) * 2012-01-12 2014-02-13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US9408377B2 (en) 2014-01-28 2016-08-09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drag assembly
KR20190021683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KR20210002104U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2022004020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은성사 클릭 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87849A (zh) 2011-09-21
KR101193910B1 (ko) 2012-10-29
CN102187849B (zh) 2013-01-09
US20110215183A1 (en) 2011-09-08
US8608100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910B1 (ko)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JP6882827B2 (ja) 巻取装置
AU2007315691B2 (en) Line type grass - cutting head
RU2527796C2 (ru) Головка для кошения травы леской, которая может использоваться на машинах как с левым, так и с правым вращением
EP1795062B1 (en) Quick loading cutting head for a rotary trimmer
WO2011077853A1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JP6072837B2 (ja) 香箱
US8308097B2 (en) Click sound generating device for bait reel
US9408377B2 (en) Fishing reel having drag assembly
TWI542481B (zh) 花轂
KR101031525B1 (ko) 양 베어링 릴
TW201438381A (zh) 定子之固定構造及驅動裝置
JP4949296B2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WO2018143060A1 (ja) 巻取装置
JP2015038373A (ja) フリクション機構およびギヤードモータ
JP6047374B2 (ja) コード式刈払機の刈払ヘッド
WO2011152074A1 (ja) 回転電機のコアおよび回転電機
CN110024759B (zh) 双轴承渔线轮
CN101567592B (zh) 具有调整轮廓的转子端部盘的电机转子
JP5671714B2 (ja) 緊縛具
KR101093633B1 (ko) 내외 분할코어식 모터의 고정자 및 내외 분할코어식 모터의 고정자 제조방법
JP5762364B2 (ja) コード式刈払機の刈払ヘッド
JP200910070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4661512A (zh) 用于旋转式割草机的切割头、适于安装至该切割头的切割元件以及包括该切割头的旋转式割草机
JP2006136534A (ja) 端部取付キャップ及びミシン用巻芯連結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