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683A -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683A
KR20190021683A KR1020170106744A KR20170106744A KR20190021683A KR 20190021683 A KR20190021683 A KR 20190021683A KR 1020170106744 A KR1020170106744 A KR 1020170106744A KR 20170106744 A KR20170106744 A KR 20170106744A KR 20190021683 A KR20190021683 A KR 20190021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gear
click
crankshaft
washe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612B1 (ko
Inventor
노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102017010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12B1/ko
Priority to JP2018113704A priority patent/JP6654217B2/ja
Publication of KR2019002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bell or flashing light
    • A01K89/0123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신축성이 높고 얇은 소재 및 소형의 스프링을 통해 클릭음 발생을 위한 설치 공간 효율성이 개선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릭음 발생장치는 베이트릴의 바디에서 로드 형태로 커버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크랭크축, 스풀과 기어연결되고 상기 크랭크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 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일측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결합되며 내측 관통공을 향해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키와셔, 상기 키와셔와 상기 크랭크축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크랭크축과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탄성 배치되는 클릭음발생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키와셔 사이에서 상기 키와셔 및 클릭음발생부를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축이 고정되고 상기 스풀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크랭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클릭음발생부의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과 충돌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DEVICE FOR GENERATING CLICK SOUND FOR REEL}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클릭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트릴의 한정된 내부공간에 용이하게 설치되는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트릴은 라인을 감는 힘이 스피닝릴보다 강하고, 원통형 스풀이 회전하며 직접 줄을 풀어주기 때문에 큰 물고기를 잡을 때 유리하지만 과도한 힘이 라인에 주어지면 라인이 손상 또는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베이트릴은 라인에 과도한 힘이 주어지면 자동으로 라인이 풀리는 드래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드래그 구조에 클릭음 발생 장치를 적용하여 라인이 풀리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대비시키고, 낚시의 묘미를 즐길 수 있으며 어두운 환경에서 라인이 풀리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식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드래그 구조에서는 클릭음 발생장치가 없거나, 클릭음 발생장치가 있더라도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 증가하여 베이트릴의 부피가 증가하고, 설치비용이 증가하며, 디자인 설계 제약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8315호는 베이트릴의 클릭음 발생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103호는 베이트릴의 클릭음 발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신축성이 높고 얇은 소재 및 소형의 스프링을 통해 클릭음 발생을 위한 설치 공간 효율성이 개선되는 클릭음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클릭음 발생장치는 베이트릴의 바디에서 로드 형태로 커버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크랭크축, 스풀과 기어연결되고 상기 크랭크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 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일측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결합되며 내측 관통공을 향해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키와셔, 상기 키와셔와 상기 크랭크축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크랭크축과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탄성 배치되는 클릭음발생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키와셔 사이에서 상기 키와셔 및 클릭음발생부를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축이 고정되고 상기 스풀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크랭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클릭음발생부의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과 충돌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클릭음 발생장치는 제1 및 제2 가압부들을 포함하고, 라인이 풀리는 상황 즉 스풀이 역회전 하는 경우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이 고정되고, 키와샤 및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크랭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클릭음발생부의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과 충돌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와셔의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크랭크축에 끼워지고, 외부에 형성된 돌기들이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들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음 발생부는 상기 키와셔 및 크랭크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릭홀더 및 상기 클릭홀더에 탄성 결합되고,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들 사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 내부로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는 클릭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음 발생부는 상기 키와셔 및 크랭크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릭홀더 및 상기 클럭홀더에 탄성 결합되고,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들 사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 내부로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는 클릭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제1 가압와셔, 상기 제1 가압와셔와 상기 키와셔 사이에 마찰력이 높고 얇은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키와셔 및 드라이브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가압부는, 상기 크랭크축과 결합되는 제2 가압와셔, 양측에 접착력이 높은 고분자 재질의 제2 완충재, 및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제2 가압와셔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완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풀에 감겨진 라인의 인출에 의한 상기 스풀의 역회전시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이 고정되고, 상기 라인의 인출력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와셔들과 상기 제1 내지 제3 완충재들 사이의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기 라인 인출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회전하고 클릭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릭음 발생장치는 크랭크축과 드라이브 기어 사이의 최소한의 공간에 삽입되어 클릭음을 발생시키므로 공간효율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릭음 발생장치는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연결된 스프링의 전체적인 변형구조를 통해 스프링의 내구성이 증가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다양한 두께의 스프링의 교체를 통해 클릭음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릭음 발생장치의 내부에는 마찰력이 높은 복수의 완충재들이 배치되어 마찰력을 통해 드라이브 기어를 회전시키고 신축성이 높고 얇은 소재의 완충재들을 통해 설치되는 부피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가 내부에 장착된 베이트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트릴을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클릭음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클릭스프링의 구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1의 클릭음 발생장치의 피니언 및 크랭크축을 절단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장치가 내부에 장착된 베이트릴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베이트릴을 분해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클릭음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클릭스프링의 구동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음 발생장치(100)는 바디(110), 크랭크축(120), 드라이브 기어(200), 지지부(300), 키와셔(400), 클릭음발생부(500), 제1 가압부(600), 제2 가압부(700), 원웨이클러치(800) 및 커버(850)를 포함한다.
종래의 베이트릴은 메인프레임을 구비하고, 라인감기용 스풀,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풀구동기구, 라인의 방출을 제한하는 드래그기구 및 라인의 권취시 라인을 스풀에 정렬시키기 위한 레벨와인더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풀구동기구에는 핸들이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핸들은 조작성을 고려하여 베이트릴 본체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핸들을 회전시켜 스풀의 정회전을 통해 라인을 스풀에 감을 수 있다.
또한, 라인에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드래그 구조에 의해 스풀의 역회전에 제한이 걸려, 일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스풀이 역회전하여 라인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러치를 비작동상태로 하여 스풀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베이트릴은 클러치, 스풀, 스풀구동기구 및 레벨와인더가 한정된 공간에 디자인까지 충족시키면서 배치되어야 하므로 정밀한 설계가 필요하고, 추가적인 기능을 위해서는 한정된 공간을 활용해야 한다.
클릭음 발생장치(100)는 베이트릴(Bait Casting Reel)에 장착되어 스풀의 역회전이 발생하면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낚시용 베이트릴에 장착되어 미끼에 걸린 물고기가 이동하면서 제한된 드래그력 이상의 힘이 라인에 작용하면 스풀에 감겨진 라인이 풀려지고, 스풀이 역회전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물고기가 낚였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클릭음을 발생한다.
또한, 클릭음 발생장치(100)는 베이트릴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별도의 공간확보를 위한 부피의 증가가 필요없고, 이에 따라 디자인 설계의 제약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바디(110) 및 커버(850)는 서로 결합되고, 스풀이 회전하면 스풀의 축과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피니언(20), 피니언(20)과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드라이브 기어(200) 및 크랭크축(120)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크랭크축(120)의 일단은 바디(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커버(850)를 관통하고, 외부로 돌출되어 낚시용 베이트릴의 핸들과 결합된다.
드라이브 기어(200)는 중앙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일측 일부분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크랭크축(120)이 상기 홀을 지나는 상태에서 크랭크축(12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원웨이클러치(800)는 내부공간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이 커버(850)에 크랭크축(12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제1 가압부(600)는 제1 가압와셔(610) 및 제1 완충재(620)를 포함한다.
제1 가압부(600)는 드라이브 기어(2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가압와셔(610)는 크랭크축(120)과 구속 결합되며, 드라이브 기어(200)의 일측에 함몰된 일부분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완충재(620)는 와셔 형태의 마찰력을 가진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고, 제1 가압와셔(610)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가압와셔(610)가 회전하면 자체 마찰력에 의해 제1 가압와셔(610)와 함께 회전한다.
제2 가압부(700)는 제2 가압와셔(710), 제2 완충재(720) 및 제3 완충재(730)를 포함한다.
제2 가압부(700)는 제1 가압부(600)와 드라이브 기어(200)의 사이에서 드라이브 기어(200)의 일측에 밀착되고, 제2 가압와셔(710)는 크랭크축(120)과 구속 결합되며, 드라이브 기어(200)의 일측에 함몰된 일부분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완충재(720)는 제1 완충재(62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고, 크랭크축(120)과 이격된 상태로 크랭크축(1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키와셔(400)와 제2 가압와셔(710)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가압와셔(710)의 회전력을 키와셔(400)로 전달한다.
제3 완충재(730)는 제2 완충재(720)와 동일한 소재 및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가압와셔(710)와 드라이브 기어(200)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가압와셔(710)가 크랭크축(120)에 의해 회전하면 제2 가압와셔(710)의 회전력을 드라이브 기어(200)에 전달한다.
키와셔(400)는 드라이브 기어의 일측 함몰된 일부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 크랭크축(120)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을 향해 나사산 형태의 복수의 돌출부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키와셔(400)의 가장자리 외측면에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크랭크축(120)과 반대방향을 향해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들은 드라이브 기어(200)에 삽입되어 드라이브 기어(200)가 회전하면 키와셔(400)도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핸들에 의해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제1 가압와셔(610), 키와셔(400), 제2 가압와셔(710) 및 제1 완충재(620), 제2 완충재(720), 제3 완충재(730)의 상호 마찰력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200)가 회전하고, 물고기가 라인을 끌고 가는 힘이 제한된 드래그력보다 커서 스풀이 역회전 하게되면 원웨이클러치(800)에 의해 크랭크축(120)은 정지하고, 크랭크축(120)과 구속된 제1 가압와셔(610) 및 제2 가압와셔(710)는 크랭크축(200)과 같이 정지하게 되며, 드라이브 기어(200) 및 키와셔(400)는 역회전한다.
클릭음발생부(500)는 클릭홀더(510) 및 클릭스프링(520)을 포함한다.
클릭음발생부(500)는 키와셔(400)와 크랭크축(120) 사이에서 크랭크축(120)을 둘러싸는 형태로 크랭크축(120)과 결합되어 크랭크축(120)이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클릭음발생부(500)의 일부분은 키와셔(400)에 형성된 돌출부들 사이에 탄성 배치되어, 크랭크축(120)이 고정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기어(200)가 회전하면 키와셔(400)의 둘출부들 각각의 사이와 끝단을 왕복 이동하면서 클릭음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클릭홀더(510)는 거치유닛(511)을 포함한다.
클릭홀더(510)는 키와셔(400) 중앙의 관통홈에 삽입되는 크기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크랭크축(120)이 관통하며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클릭홀더(510)의 일측에는 일부분을 제외하고 클릭홀더(5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클릭홀더(51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클릭홀더(510)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거치유닛(511)이 형성된다.
거치유닛(511)에는 클릭홀더(510)의 결합홈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복수의 걸림턱들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들은 상기 결합홈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크랭크축(120)과 결합되는 부분과 거치유닛(511)의 걸림턱들 사이에는 클릭스프링(520)이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클릭스프링(520)은 스프링(521) 및 돌기(522)를 포함한다.
클릭스프링(520)은 클릭홀더(510)에 탄성 결합되고, 일부분은 클릭홀더(510)를 지나 키와셔(40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키와셔(400)의 나사산 형태의 돌출부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521)은 양끝단이 이격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거치유닛(511)에 밀착된 상태로 거치유닛(51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클릭홀더(510)와 결합된다.
키와셔(400)는 프레임(410), 돌기(420) 및 돌출부(430)를 포함한다.
프레임(410)은 크랭크축(120)을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돌기(420)는 프레임(410)의 가장자리에서 드라이브 기어(20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며, 돌출부(430)들은 기어의 나사산 형태로 클릭음발생부(500)를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스풀의 회전으로 드라이브 기어(200)가 회전하면 돌출부(430)들이 회전하고, 회전하는 돌출부(430)들은 돌기(522)를 순차적으로 크랭크축(120)을 향해 밀어내며, 돌기(522)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돌출부(430)들 사이의 프레임(410)과 충돌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킨다.
스프링(521)은 양끝단이 이격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돌기(522)의 이동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수축 및 완화하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특정 부위의 변형이 아닌 전체적인 변형을 통해 탄성력을 발생시키므로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1의 클릭음 발생장치의 피니언 및 크랭크축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와 커버(85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크랭크축(120)의 일단은 바디(11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850)를 향해 연장되어 커버(850)를 관통하고 일부는 커버(8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300)는 드라이브 기어(200)와 바디(110) 사이에 배치되어 드라이브 기어(200)를 지지하고, 드라이브 기어(200)의 일측에는 일부가 지지부(300)를 향해 함몰되어 수납부(210)가 형성된다.
수납부(210)에는 제3 완충재(730), 제2 가압와셔(710), 제2 완충재(720), 키와셔(400), 제1 완충재(620) 및 제1 가압와셔(610)의 일부가 삽입되고, 클릭음발생부(500)는 키와셔(400)와 크랭크축(1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바디(110) 및 커버(85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풀과 결합된 피니언(20)이 역회전하면, 피니언과(20) 결합된 드라이브 기어(200)가 크랭크축(120)을 기준으로 역회전하고, 드라이브 기어(200)와 구속된 키와셔(400)가 역회전 한다.
릴에 형성되는 원웨이 클러치(800)에 의해서 크랭크축(120)의 역회전이 정지되면, 클릭스프링(520)의 돌기(522)가 키와셔(400)의 돌출부들과 충돌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해당 사용자가 손잡이를 사용하여 크랭크축(120)을 회전시키면, 가압와셔(610, 710), 키와셔(400) 내지 완충재(620, 720, 730)들 각각의 마찰력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200)가 정회전하는 회전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물고기가 라인을 잡아 당기면서 스풀을 회전시켜 드라이브 기어(200)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력이 사용자가 제한한 드래그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자동으로 드라이브 기어(200)가 역회전하면서 라인을 풀어내어 라인의 손상 또는 절단 현상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지부(300)의 부재(310, 320, 330, 340 및 350)들은 드라이브 기어(200)와 바디(110) 사이에 형성되어, 드라이브 기어(200)와 바디(110)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클릭음 발생장치 200: 드라이브 기어
300: 지지부 400: 키와셔
500: 클릭음발생부 600: 제1 가압부
700: 제2 가압부 800: 원웨이클러치
850: 커버

Claims (5)

  1. 베이트릴의 바디와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클릭음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서 로드 형태로 커버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크랭크축;
    스풀과 기어연결되고, 상기 크랭크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
    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일측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결합되며 내측 관통공을 향해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키와셔;
    상기 키와셔와 상기 크랭크축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크랭크축과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탄성 배치되는 클릭음발생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키와셔 사이에서 상기 키와셔 및 클릭음발생부를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축이 고정되고 상기 스풀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크랭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클릭음발생부의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들과 충돌하며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와셔는,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크랭크축에 끼워지고, 외부에 형성된 돌기들이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들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음 발생부는,
    상기 키와셔 및 크랭크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릭홀더; 및
    상기 클릭홀더에 탄성 결합되고,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들 사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클릭홀더 내부로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는 클릭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제1 가압와셔;
    상기 제1 가압와셔와 상기 키와셔 사이에 마찰력이 높고 얇은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키와셔 및 드라이브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가압부는,
    상기 크랭크축과 결합되는 제2 가압와셔, 양측에 접착력이 높은 고분자 재질의 제2 완충재, 및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제2 가압와셔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 감겨진 라인의 인출에 의한 상기 스풀의 역회전시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이 고정되고, 상기 라인의 인출력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와셔들과 상기 제1 내지 제3 완충재들 사이의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기 라인 인출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가 회전하고 클릭음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장치.
KR1020170106744A 2017-08-23 2017-08-23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KR10201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44A KR102018612B1 (ko) 2017-08-23 2017-08-23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JP2018113704A JP6654217B2 (ja) 2017-08-23 2018-06-14 釣り用リールのクリック音発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44A KR102018612B1 (ko) 2017-08-23 2017-08-23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83A true KR20190021683A (ko) 2019-03-06
KR102018612B1 KR102018612B1 (ko) 2019-09-06

Family

ID=6572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744A KR102018612B1 (ko) 2017-08-23 2017-08-23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54217B2 (ko)
KR (1) KR102018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04U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379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KR200460340Y1 (ko) * 2009-11-25 2012-05-2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릴용 텐션조정노브의 미세조정 클릭음발생장치
KR20130004510U (ko) * 2012-01-12 2013-07-22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257Y2 (ja) * 1979-12-11 1984-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音響発生装置付魚釣用リ−ル
KR200361647Y1 (ko) * 2004-06-09 2004-09-1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1185103B1 (ko) * 2009-06-08 2012-09-2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40Y1 (ko) * 2009-11-25 2012-05-2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릴용 텐션조정노브의 미세조정 클릭음발생장치
KR20110101379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KR20130004510U (ko) * 2012-01-12 2013-07-22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04U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37222A (ja) 2019-03-14
KR102018612B1 (ko) 2019-09-06
JP6654217B2 (ja)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0061B2 (en) Spinning reel
KR20140113475A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TW440425B (en)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JP2009273378A (ja)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2012024037A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US20090127367A1 (en) Fishing reel
JP7032225B2 (ja)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6134133B2 (ja)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KR20100131946A (ko) 스피닝 릴의 드랙 전환 장치
JP4381733B2 (ja) 両軸受リール
CN104115797B (zh) 双轴承绕线轮
KR20190021683A (ko)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KR20100130145A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손잡이
KR102638045B1 (ko) 낚시용 릴의 베어링 보지 구조 및 낚시용 릴
KR200471310Y1 (ko)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TWI627902B (zh) 雙軸承捲線器的拖曳機構
JP6307006B2 (ja) 魚釣用リールの発音装置
KR100547269B1 (ko)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6538001B2 (ja) 魚釣用リール
JP6842756B2 (ja) 魚釣り用リール
KR20130086167A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드래그 전환 장치
JPH10313751A (ja) 両軸受リール
KR200495732Y1 (ko)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CN110024759B (zh) 双轴承渔线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