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04U -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04U
KR20210002104U KR2020200000878U KR20200000878U KR20210002104U KR 20210002104 U KR20210002104 U KR 20210002104U KR 2020200000878 U KR2020200000878 U KR 2020200000878U KR 20200000878 U KR20200000878 U KR 20200000878U KR 20210002104 U KR20210002104 U KR 202100021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click
drive gear
re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732Y1 (ko
Inventor
김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2020200000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3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한 개의 마찰패드만 구비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이로인해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조밀하고 큰 클릭음이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한 후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는 일단은 낚싯대용 릴의 바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릴의 원웨이 클러치, 드래그노브 및 핸들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외부로 돌출 위치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되고 상기 릴의 스풀축 상에 구비된 피니언과 치합되어 상기 스풀축과 함께 양방향 회전 되는 드라이브기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기어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며 그 내주연 전체에 걸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클릭기어와,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되되 일단이 상기 돌기부 측에 맞물려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상기 크랭크축과 독립적으로 역회전 될 경우 클릭음이 발생되게 하는 클릭스프링과,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되되 상기 클릭기어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브기어 및 클릭스프링 사이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회전에 필요한 마찰력이 제공되게 하는 가압부재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클릭스프링에, 타단은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드래그노브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드래그노브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마찰력 세기가 제어되게 하는 슬리브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CLICK SOUND-GENERATING DEVICE OF A REEL FOR FISHING ROD}
개시된 내용은 낚싯대용 베이트릴에 설치되어 라인의 인출력이 베이트릴의 드래그력보다 클 경우 스풀의 역회전을 허락해 라인이 터지지 않게 하되, 스풀의 역회전 여부와 강도가 청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클릭음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사용자의 신속, 정확한 대응이 가능한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낚싯대용 베이트릴(Bait Casting Reel)은 원통형태의 스풀이 회전되면서 라인을 풀거나 감아주기 때문에 스피닝릴(Spinning Reel)에 비해서 라인을 감는 힘이 강해 상대적으로 큰 대상어종을 포획하는데 상대적으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베이트릴에도 라인이 견딜수 있는 최대치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라인이 끊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베이트릴에는 드래그력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라인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풀이 역회전되면서 라인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경감시키는 그래그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종래의 베이트릴은 메인프레임이 구비되고, 라인감기용 스풀과 스풀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풀구동기구, 그리고 라인의 방출을 제한하는 드래그기구 및 라인의 권취시 라인을 스풀에 정렬시키기 위한 레벨와인더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풀구동기구에는 핸들이 연결되되, 핸들은 그 조작성의 편의성을 고려해 베이트릴 외측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설치되며 핸들을 회전시켜 스풀에 라인을 감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래그기구를 조절해 라인에 최대 인장력이 가해질 때 스풀의 역회전시킬 수 있어 이를 통해 라인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러치를 이용해서 스풀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베이트릴은 클러치, 스풀, 드래그기구, 스풀구동기구 및 레벨와인더 등 다수의 구성부재들이 협소한 공간 내에 모두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 이들의 원활한 작동 또한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설계 및 제조를 필요로 한다.
한편, 클릭음 발생장치는 베이트릴에 장착되어 스풀의 역회전시 클릭음을 발생시키 역할을 한다. 즉, 물고기가 미끼를 물게되면 물고기의 무게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서 라인에 인장력이 발생되는데, 라인은 그 종류에 따라 최대로 견딜 수 있는 인장력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중인 라인의 최대 인장력 이상의 세기로 고기가 미끼를 물고 도망가게 되면 사용자는 이를 신속하게 인식하고 정확하게 드래그를 조절해야만 라인의 끊어짐과 손상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물고기도 성공적으로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물고기가 라인을 최대 인장력 이상으로 끌고가는지 인식하지 못하고 핸들을 연속해서 감아줄 경우 라인은 이를 견디지 못하고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클릭음 발생장치는 스풀의 역회전이 발생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인식시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클릭음 발생장치는 복수개 이상의 마찰패드가 구비되어야 해 그 구조가 복잡하며 이로인해 제조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클릭음이 발생되는 구성요소의 크기 또한 작게 형성될 수 밖에 없어 클릭음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의 신속한 인식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18315호(2012.12.27)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67531호(2001.07.13)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18612호(2019.08.30)
한 개의 마찰패드만 구비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로인해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조밀하고 큰 클릭음이 발생되는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일단은 낚싯대용 릴의 바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릴의 원웨이 클러치, 드래그노브 및 핸들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외부로 돌출 위치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되고 상기 릴의 스풀축 상에 구비된 피니언과 치합되어 상기 스풀축과 함께 양방향 회전 되는 드라이브기어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기어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며 그 내주연 전체에 걸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클릭기어와,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되되 일단이 상기 돌기부 측에 맞물려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상기 크랭크축과 독립적으로 역회전 될 경우 클릭음이 발생되게 하는 클릭스프링과,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되되 상기 클릭기어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브기어 및 클릭스프링 사이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회전에 필요한 마찰력이 제공되게 하는 가압부재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클릭스프링에, 타단은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드래그노브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드래그노브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마찰력 세기가 제어되게 하는 슬리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에 의하면 한 개의 마찰패드만 구비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이로인해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조밀하고 큰 클릭음이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한 후 대처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가 베이트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분해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작동 모식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4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작동 단면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1)의 구성부재들과 그 구성부재들 간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내용에 따른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1)는 릴(110)의 바디(111) 외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은 스풀축 측과 연동되게 치합되고 타측에는 바디(111)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112)의 원웨이 클러치(80), 드래그노브(90) 및 핸들(100)에 연결된다. 핸들(100)을 회전시키면 추후에 설명될 크랭크축(10)에 의해 라인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스풀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스풀은 미끼를 문 물고기가 설정된 드래그력 보다 클 경우 역회전되면서 라인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때 스풀의 역회전 여부 및 속도가 클릭음 발생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것이다.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 이외에 릴(110)의 작동관계는 공지된 베이트릴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사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크랭크축(10)이 구비된다. 이 크랭크축(10)은 릴(110)의 스풀축과 핸들(100)을 연결해 핸들(100)의 회전력이 스풀축에 전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크랭크축(10)은 그 일단이 낚싯대용 릴(110)의 바디(11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릴(110)의 원웨이 클러치(80), 드래그노브(90) 및 핸들(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릴(110)의 바디(111) 외부로 돌출 위치된다.
이러한 크랭크축(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종단면 방향으로 양측이 평평하게 가공되며 타단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크랭크축(10)의 양측이 평평하게 가공되는 것은 추후에 설명될 가압부재(50)의 쿠션패드, 클릭스프링(40) 및 슬리브(60)가 크랭크축(10)에 구속되어 항시 크랭츠축과 함께 회전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쿠션패드, 클릭스프링(40) 및 슬리브(60)의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10)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구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나사산은 드래그노브(90) 및 핸들(100)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드래그노브(90)는 이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는데 회전 방향에 따라 추후에 설명될 슬리브(60)를 가압해 드래그력이 발생되게 한다.
전술한 크랭크축(10)에는 드라이브기어(20)가 구비된다. 전술한 드라이브기어(20)는 릴(110)의 스풀축 상에 구비된 피니언이 그 외주연에 치합되어 스풀축과 함께 양방향 회전되는 것으로, 크랭크축(10)의 회전력이 스풀축에 전달되게 함과 동시에 스풀축의 역회전시 스풀축과 함께 역회전되어 클릭음이 발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드라이브기어(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크랭크축(10)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된다. 또한 내주연 양측에는 고정홈(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드라이브기어(20)와 릴(110)의 바디(111) 사이에는 지지부(70)가 더 구비되며, 이 지지부(70)의 중앙에는 전술한 크랭크축(10)이 관통 위치된다. 이때 전술한 지지부(70)의 구성부재들은 종래기술에 따른 베이트 릴(110)에 구비되는 것과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드라이브기어(20)가 구비된 크랭크축(10)에는 클릭기어(30)가 구비된다. 전술한 클릭기어(30)는 스풀축 역회전시 전술한 드라이브기어(20)와 함께 역회전 되면서 클릭음이 발생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릭기어(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라이브기어(20)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브기어(20)와 연동되며 그 내주연 전체에 걸쳐 돌기부(3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클릭기어(30) 외주연에는 전술한 드라이브기어(20)의 고정홈(21) 내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클릭기어(30)가 드라이브기어(20)의 회전방향으로 고정되게 한다.
전술한 클릭기어(30)가 구비된 크랭크축(10)에는 클릭스프링(40)이 구비된다. 이 클릭스프링(40)은 그 일단이 전술한 클릭기어(30)의 돌기부(32)에 맞물려 이동되면서 클릭음이 발생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클릭스프링(40)은 크랭크축(10)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된다.
이러한 클릭스프링(40)은 그 일측에 클릭기어(30)의 돌기부(32) 측에 맞물려 드라이브기어(20)가 크랭크축(1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역회전 될 경우 연속적인 클릭음이 발생되게 하는 탄성걸림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클릭기어(30)의 축방향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이탈방지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드라이브기어(20) 및 클릭스프링(40) 사이에는 가압부재(50)가 밀착 구비된다. 이 가압부재(50)는 드라이브기어(20)의 회전에 필요한 마찰력이 제공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크랭크축(10)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50)는, 클릭스프링(40) 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크랭크축(10)에 고정되고 슬리브(60)에 의한 상기 크랭크축(10) 방향의 압력이 전달되는 가압와셔(51)와, 드라이브기어(20) 및 가압와셔(51) 사이에 밀착 위치되고 마찰력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어 가압와셔(51)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크랭크축(10) 및 드라이브기어(20)의 연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패드(52)가 포함된다.
이러한 가압부재(50)는 드래그노브(90)의 회전에 의해 드래그력이 가해지면 마찰력에 의해서 드라이브기어(20)와 크랭크축(10)이 일체로 회전되게 한다. 동시에 미끼를 문 물고기에 의해 드래그력보다 큰 인장력이 라인에 가해지면 크랭크축(10)이 원웨이 클러치(80)에 의해서 정지되어 있더라도 드라이브기어(20)가 스풀축과 함께 역회전되게 한다. 이는 드라이브기어(20)와 크랭크축(10)이 기계적인 요소에 의해 결합된 것이 아니라 가압부재(50)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 마찰력의 세기를 조절해 드래그력, 즉 크랭크축(10)의 역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크랭크축(10)에는 슬리브(60)가 구비된다. 이 슬리브(60)는 클릭스프링(40)과 드래그노브(90) 사이에 위치되어 드래그노브(90)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50)에 의한 마찰력 세기가 제어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슬리브(6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크랭크축(10)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되고 일단은 클릭스프링(40)에, 타단은 크랭크축(10)에 결합되는 드래그노브(90)에 각각 밀착 위치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미끼를 문 물고기가 라인을 당기는 힘이 드래그력, 즉 가압부재(50)에 의해 드라이브기어(20)에 가해지는 마찰력보다 커서 스풀축이 역회전하게 되면 원웨이 클러치(80)에 의해 크랭크축(10)은 회전되지 않고 크랭크축(10)에 구속되어 고정된 슬리브(60), 클릭스프링(40) 및 가압와셔(51)는 함께 정지된다. 동시에 드라이브기어(20) 및 클릭기어(30)는 역회전되면서 클릭기어(30)의 돌기부(32) 측에 맞물린 클릭스프링(40)의 탄성걸림부(41)에 의해 클릭음이 연속 발생된다. 사용자는 클릭음을 발생을 청각적으로 즉시 인지하여 드래그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라인을 적절하게 풀거나 감아주는 방식으로 라인이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고기를 성공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1)에 의하면 한 개의 마찰패드(52)만 구비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이로인해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조밀하고 큰 클릭음이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한 후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10 : 크랭크축
20 : 드라이브기어
21 : 고정홈
30 : 클릭기어
31 : 고정돌기
32 : 돌기부
40 : 클릭스프링
41 : 탄성걸림부
42 : 이탈방지부
50 : 가압부재
51 : 가압와셔
52 : 마찰패드
60 : 슬리브
70 : 지지부
80 : 원웨이 클러치
90 : 드래그노브
100 : 핸들
110 : 릴
111 : 바디
112 : 커버

Claims (5)

  1. 일단은 낚싯대용 릴의 바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릴의 원웨이 클러치, 드래그노브 및 핸들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외부로 돌출 위치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되고 상기 릴의 스풀축 상에 구비된 피니언과 치합되어 상기 스풀축과 함께 양방향 회전 되는 드라이브기어;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브기어와 연동되며 그 내주연 전체에 걸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클릭기어;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되되 일단이 상기 돌기부 측에 맞물려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상기 크랭크축과 독립적으로 역회전 될 경우 클릭음이 발생되게 하는 클릭스프링;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위치되되 상기 클릭기어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드라이브기어 및 클릭스프링 사이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회전에 필요한 마찰력이 제공되게 하는 가압부재; 및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이 그 중앙에 관통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클릭스프링에, 타단은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드래그노브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드래그노브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마찰력 세기가 제어되게 하는 슬리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기어의 내주연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릭기어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홈 내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릭스프링은 그 일측에 상기 클릭기어의 돌기부 측에 맞물려 상기 드라이브기어가 상기 크랭크축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역회전 될 경우 연속적인 클릭음이 발생되게 하는 탄성걸림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클릭기어의 축방향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클릭스프링 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크랭크축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에 의한 상기 크랭크축 방향의 압력이 전달되는 가압와셔; 및
    상기 드라이브기어 및 가압와셔 사이에 밀착 위치되고 마찰력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와셔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 및 드라이브기어의 연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미끼를 문 물고기가 라인을 당기는 힘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기어에 가해지는 마찰력보다 커서 스풀축이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은 회전되지 않고 상기 크랭크축에 고정된 상기 슬리브, 클릭스프링 및 가압와셔는 함께 정지되며 상기 드라이브기어 및 클릭기어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클릭기어의 돌기부 측에 맞물린 상기 클릭스프링의 탄성걸림부에 의해 클릭음이 연속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2020200000878U 2020-03-13 2020-03-13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200495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78U KR200495732Y1 (ko) 2020-03-13 2020-03-13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78U KR200495732Y1 (ko) 2020-03-13 2020-03-13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04U true KR20210002104U (ko) 2021-09-27
KR200495732Y1 KR200495732Y1 (ko) 2022-08-08

Family

ID=7791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78U KR200495732Y1 (ko) 2020-03-13 2020-03-13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3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531A (ko) 2001-02-07 2001-07-13 정대인 베이트 케스팅 릴의 스타드래그 클릭음 발생장치
KR20110005400U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릴용 텐션조정노브의 미세조정 클릭음발생장치
KR20110101379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KR101218315B1 (ko) 2009-06-08 2013-01-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20130004510U (ko) * 2012-01-12 2013-07-22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JP2017085994A (ja) * 2015-11-11 2017-05-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20190021683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531A (ko) 2001-02-07 2001-07-13 정대인 베이트 케스팅 릴의 스타드래그 클릭음 발생장치
KR101218315B1 (ko) 2009-06-08 2013-01-04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20110005400U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릴용 텐션조정노브의 미세조정 클릭음발생장치
KR20110101379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KR20130004510U (ko) * 2012-01-12 2013-07-22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JP2017085994A (ja) * 2015-11-11 2017-05-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20190021683A (ko) * 2017-08-23 2019-03-0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KR102018612B1 (ko) 2017-08-23 2019-09-06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용 클릭음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32Y1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8604B (zh) 雙軸承捲線器及雙軸承捲線器的離合機構
US7191969B2 (en) Fishing reel
JP6649801B2 (ja) 両軸受リール
JP6352756B2 (ja) 釣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KR102243481B1 (ko) 양 베어링 릴
JP2016002062A5 (ko)
KR102442023B1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및 양 베어링 릴
JP2015092876A5 (ko)
KR200495732Y1 (ko)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EP2277375A1 (en) Fishing spinning reel
KR200473502Y1 (ko) 텐션 노브의 이탈이 방지되는 베이트 캐스팅 릴
US9901086B1 (en) Brake mechanism of fishing reel
KR200471310Y1 (ko) 베이트 릴의 드랙음 발생장치
TWI824048B (zh) 雙軸承捲線器
JP6654217B2 (ja) 釣り用リールのクリック音発生装置
JP71137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10158048A (ko) 텐션 노브 이탈방지구조를 구비한 낚시릴
KR20210002947U (ko) 낚싯대용 릴의 라인 메모리장치
US3487658A (en) Fishing reel drive
KR102474110B1 (ko) 비돌출식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JPH0223102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345348B2 (ja) 両軸受リール
KR20170074744A (ko) 듀얼 베어링 릴
US283496A (en) Fishing eeel
JP6419928B2 (ja) 釣りリールのドラッグリリー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