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320A -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320A
KR20110101320A KR1020100020253A KR20100020253A KR20110101320A KR 20110101320 A KR20110101320 A KR 20110101320A KR 1020100020253 A KR1020100020253 A KR 1020100020253A KR 20100020253 A KR20100020253 A KR 20100020253A KR 20110101320 A KR20110101320 A KR 2011010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tating disk
hollow
wir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747B1 (ko
Inventor
신재학
Original Assignee
(주)태청하이테크
신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청하이테크, 신재학 filed Critical (주)태청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2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7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H81/06Covering or wrapping elongated cores
    • B65H81/08Covering or wrapping elongated cores by feeding material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8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winding
    • H01B13/0816Apparatus having a coaxial rotation of the supply reels about the conductor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회전 디스크와, 회전 디스크의 일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제1 및 제2 테이프가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와, 회전 디스크의 중공의 내측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롤러 부착부와, 롤러 부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로부터 각각 인출된 제1 및 제2 테이프가 일정 영역 중첩되어 통과하는 제1 유도 롤러와, 롤러 부착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 유도 롤러를 통과한 제1 및 제2 테이프를 회전 디스크의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유도 롤러와, 회전 디스크를 회전구동시켜, 회전 디스크의 중공에 인입된 전선의 외측면에 제2 유도 롤러로부터 유도된 제1 및 제2 테이프를 감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되, 제2 유도 롤러는 롤러 부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테이핑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에 두 개의 테이프를 동시에 테이핑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테이핑되는 전선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유도 롤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테이프 외측으로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절연성을 높일 수 있고, 인출 롤러에 의해서 테이핑된 전선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핑 장치{A Device for Taping Wire}
본 발명은, 전선의 외측면에 절연 및 보호 테이프를 감는 테이핑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에 두 개의 테이프를 동시에 테이핑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테이핑되는 전선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유도 롤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테이프 외측으로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절연성을 높일 수 있고, 인출 롤러에 의해서 테이핑된 전선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전제품 또는 자동차 배전을 위한 전선은 여러 가닥의 전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배선하기 위해서 여러 가닥의 전선을 절연용 테이프로 하나로 테이핑하여 한 가닥으로 형성한 후에 각 부품에 연결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한 가닥으로 테이핑하기 위한 테이핑 장치는 테이프를 홀딩하는 수단을 회전시켜 전선에 테이프를 감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테이핑 장치에서는, 회전수단이 인입된 전선을 중심으로 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테이핑하는데, 하나의 테이핑 홀딩 수단이 회전수단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전선에 두 겹 이상의 테이프를 테이핑하기 위해서는 두 번 이상의 테이핑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전선의 테이핑 속도가 고정되어 있어서, 테이핑하고자 하는 전선의 인입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예컨대, 전선의 인입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전선이 테이프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어서 전선의 절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테이핑된 전선을 작업자가 직접 손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시켜 전선의 테이핑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점도 있어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선에 두 개의 테이프를 동시에 테이핑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핑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핑되는 전선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유도 롤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테이프 외측으로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절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테이핑 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인출 롤러에 의해서 테이핑된 전선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테이핑 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전선의 외측면에 테이프를 감는 테이핑 장치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일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제1 및 제2 테이프가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의 내측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롤러 부착부와, 상기 롤러 부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로부터 각각 인출된 제1 및 제2 테이프가 일정 영역 중첩되어 통과하는 제1 유도 롤러와, 상기 롤러 부착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 롤러를 통과한 제1 및 제2 테이프를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유도 롤러와, 상기 회전 디스크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에 인입된 전선의 외측면에 상기 제2 유도 롤러로부터 유도된 제1 및 제2 테이프를 감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유도 롤러는 상기 롤러 부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유도 롤러는, 상기 롤러 부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디스크에 대해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과 대향하는 인출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가 감아진 전선을 인출하는 제1 인출 롤러, 및 상기 제1 인출 롤러는 회전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출 롤러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롤러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인입된 전선을 인출 방향으로 인출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인출 롤러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가이드하는 제2 인출 롤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디스크의 비구동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호 이격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 디스크의 구동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인입된 전선과 접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디스크 및 제1 인출 롤러를 각각 회전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유도 롤러에 의해서, 상기 제1 테이프 및 제2 테이프는 각 폭의 절반 폭이 상호 중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유도 롤러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에 인입된 전선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롤러 부착부의 외측면으로부터의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에 두 개의 테이프를 동시에 테이핑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서, 테이핑되는 전선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유도 롤러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테이프 외측으로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절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인출 롤러에 의해서 테이핑된 전선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테이핑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테이핑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핑 장치(100)는, 회전 디스크(110)와,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120)와, 롤러 부착부(130)와, 제1 유도 롤러(140)와, 제2 유도 롤러(150)와,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테이핑 장치는 전선을 인입시켜 전선의 외측면 또는 외주연에 테이프(tape)를 감아서 전선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고 전선을 외부와 절연시키는 장치를 이른다.
회전 디스크(110)는, 중심 영역에 중공(111), 예컨대 원형의 홀이 형성되고,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에는 외측면에 테이프를 감고자하는 전선(20)의 일단이 인입된다. 예컨대, 회전 디스크(110)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120A,12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디스크(110)의 일측면, 예컨대 전선(20)의 인입 방향(A)과 대향하는 회전 디스크(110)의 외측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테이프 장착부(120A)에는 알루미늄 테이프(11)가 장착되고, 제2 테이프 장착부(120B)에는 유광 절연 테이프(12)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선(20)의 외측면에는 우선적으로 알루미늄 테이프(11)가 감겨지고, 다음으로 알루미늄 테이프(11)의 외측면에 유광 절연 테이프(12)가 감겨질 수 있다. 즉, 전선(20)의 외측면에 알루미늄 테이프(11) 및 유광 절연 테이프(12)로 구성된 이중의 테이프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 부착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의 내측에 반원 형상으로 고정 형성된다. 롤러 부착부(120)에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유도 롤러(140,150)가 각각 부착된다.
제1 유도 롤러(140)는 롤러 부착부(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120A,120B)로부터 각각 인출된 제1 및 제2 테이프(11,12)가 일정 영역 중첩되어 통과한다. 또한, 제1 유도 롤러(140)는 일정 영역 중첩된 제1 및 제2 테이프(11,12)를 후술하는 제2 유도 롤러(150)로 가이드한다.
한편, 제1 유도 롤러(140)는 롤러 부착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회전 디스크(110)의 회전중심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도 롤러(140)는 롤러 부착부(130)의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제1 롤러 축(141)과 제1 롤러 축(141)에 회전 가능하게 인입되는 제1 롤러 유닛(1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도 롤러(140)에 의해서, 제1 및 제2 테이프(11,12)는 각 폭의 절반 폭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전선(20)의 외측면에 알루미늄 테이프(11)가 감겨지고, 알루미늄 테이프(11)의 외측면에 유광 절연 테이프(12)가 중첩되어 감겨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테이프(11,12)는 각 폭의 절반 폭으로 상호 중첩될 수 있다.
제2 유도 롤러(150)는 롤러 부착부(130)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 유도 롤러(140)에 의해 가이드되어 통과한 중첩된 제1 및 제2 테이프(11,12)를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의 중심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유도한다. 여기서, 제2 유도 롤러(150)는 롤러 부착부(130)의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는 제2 롤러 축(151)과 제2 롤러 축(151)에 회전 가능하게 인입되는 제1 롤러 유닛(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유도 롤러(150)는, 롤러 부착부(120)의 외측면으로부터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예컨대, 롤러 부착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경사져 형성될 수 있되, 실질적으로 45°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유도 롤러(150)는 롤러 부착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회전 디스크(110)의 회전 중심 방향과 경사져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게 45°로 경사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도 롤러(150)는, 롤러 부착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45° 경사져 고정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2 유도 롤러(150)는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에 인입된 전선(20)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롤러 부착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의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가 탄성 부재, 예컨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전선(20)의 인입 속도가 증가하면, 제2 유도 롤러(150)의 경사 각도는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 방향으로 하향하여 경사짐으로써, 전선(20)의 인입 속도가 증가하더라도 전선(20)의 외측면에 제1 및 제2 테이프(11,12)가 전선(20)의 외부 노출 없이 원활하게 감겨질 수 있다. 즉, 제2 유도 롤러(150)의 경사 각도는, 탄성 부재에 의해서, 전선(20)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전선(20)의 인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각도로부터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 방향으로의 일정 경사 각도까지 변경될 수 있다.
제1 구동부(미도시)는, 회전 디스크(110)를 중공(111)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구동시켜, 회전 디스크(110)의 중공(111)에 인입된 전선(20)의 외측면에 제2 유도 롤러(150)로부터 유도된 제1 및 제2 테이프(11,12)를 감는다. 즉, 인입된 전선(20)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 인출 롤러(170,180)에 의해서 인입 방향(A)에서 인출 방향으로 인출되면, 중공(111)에 위치한 전선(20)을 중심으로 회전 디스크(110)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테이프가 제1 및 제2 유도 롤러(140,150)를 거쳐서 전선(20)의 외측면에 감기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 장치(100)는 회전 디스크(110)에 대해서 전선(20)의 인입 방향(A)과 대향하는 인출 방향(B)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테이프(11,12)가 감아진 전선(20)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인출 롤러(170), 및 제1 인출 롤러(170)는 회전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출 롤러(170)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제1 인출 롤러(170)는 제2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인입된 전선(20)을 인출 방향(B)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인출 롤러(170)에 있어서, 회전 디스크(110)의 비구동시에는, 한 쌍의 롤러는 상호 이격 상태로 배치되고, 회전 디스크(110)의 구동시에는, 한 쌍의 롤러는 인입된 전선과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디스크(110)의 구동시, 제1 인출 롤러(170)는 제1 및 제2 테이프(11,12)가 감아진 전선(20)을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압착시켜 인출 방향(B)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또한, 제1 인출 롤러(170)로부터 인출된 전선(20)을 가이드하는 제2 인출 롤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출 롤러(180)는 전선(20)의 인출 방향(B)에 대해서 제1 인출 롤러(170)의 후방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부(160,171)를 각각 제어하여 회전 디스크(110) 및 제1 인출 롤러(170)를 각각 회전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회전 디스크(110) 및 제1 인출 롤러(170)를 회전구동시키는 스위치(1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 디스크(110)를 회전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제1 인출 롤러(170)를 회전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분리하여 상술하였으나, 각각 독립된 구성 요소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구성 요소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하나의 구동 장치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테이핑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알루미늄 테이프 12 : 유광 절연 테이프
20 : 전선 100 : 테이핑 장치
110 : 회전 디스크 120 :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
130 : 롤러 부착부 140 : 제1 유도 롤러
150 : 제2 유도 롤러 120A : 제1 테이프 장착부
120B : 제2 테이프 장착부 111 : 중공
151 : 제2 롤러 축 152 : 제1 롤러 유닛
170 : 제1 인출 롤러 180 : 제2 인출 롤러
160 : 제1 구동부 171 : 제2 구동부
180 : 스위치 A : 인입 방향
B : 인출 방향

Claims (8)

  1. 인입된 전선의 외측면에 테이프를 감는 테이핑 장치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일측면에 이격 배치되어 제1 및 제2 테이프가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와,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의 내측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롤러 부착부와,
    상기 롤러 부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 장착부로부터 각각 인출된 제1 및 제2 테이프가 일정 영역 중첩되어 통과하는 제1 유도 롤러와,
    상기 롤러 부착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 롤러를 통과한 제1 및 제2 테이프를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유도 롤러와,
    상기 회전 디스크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에 인입된 전선의 외측면에 상기 제2 유도 롤러로부터 유도된 제1 및 제2 테이프를 감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유도 롤러는 상기 롤러 부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테이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 롤러는, 상기 롤러 부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에 대해서 상기 전선의 인입 방향과 대향하는 인출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가 감아진 전선을 인출하는 제1 인출 롤러, 및 상기 제1 인출 롤러는 회전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출 롤러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출 롤러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인입된 전선을 인출 방향으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 롤러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가이드하는 제2 인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 롤러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의 비구동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호 이격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 디스크의 구동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인입된 전선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디스크 및 제1 인출 롤러를 각각 회전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롤러에 의해서, 상기 제1 테이프 및 제2 테이프는 각 폭의 절반 폭이 상호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 롤러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에 인입된 전선의 인입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롤러 부착부의 외측면으로부터의 상기 회전 디스크의 중공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장치.
KR1020100020253A 2010-03-08 2010-03-08 테이핑 장치 KR10112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53A KR101121747B1 (ko) 2010-03-08 2010-03-08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53A KR101121747B1 (ko) 2010-03-08 2010-03-08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20A true KR20110101320A (ko) 2011-09-16
KR101121747B1 KR101121747B1 (ko) 2012-03-20

Family

ID=4495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253A KR101121747B1 (ko) 2010-03-08 2010-03-08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76B1 (ko) * 2023-05-11 2023-12-01 (주) 제이엠비 전기 자동차용 부스바의 절연테이프 및 보호테이프 동시 테이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077B1 (ko) 2016-06-14 2017-03-03 주식회사 템텍 코일 테이핑 머신
KR20220022569A (ko)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씨에스아이테크 와이어 하니스 테이프 결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4921A (en) 1981-02-16 1982-08-20 Toshiba Corp Taping device
JP3365216B2 (ja) * 1996-09-12 2003-01-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マルチヘッドテーピ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76B1 (ko) * 2023-05-11 2023-12-01 (주) 제이엠비 전기 자동차용 부스바의 절연테이프 및 보호테이프 동시 테이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747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40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able
KR101121747B1 (ko) 테이핑 장치
CN208700270U (zh) 卷绕机
CN203306832U (zh) 一种细线伸线机
CN106847424B (zh) 一种张力自动保持恒定的绕包机
CN202110891U (zh) 绕包机的绕包机构
CN208954697U (zh) 铜线绞线机
CN108100754A (zh) 一种倒盘机
CN112723010A (zh) 线缆生产用分线收卷装置
KR101717148B1 (ko) 동축케이블 차폐층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JPH1146469A (ja) コイル成形装置
JP4746605B2 (ja) 繰り出し装置
JPH10157924A (ja) 線条体の巻取装置
JP2835827B2 (ja) 電線撚り機
KR20230152967A (ko) 핸드형 테이핑 장치
CN205576541U (zh) 晾衣机卷绳装置
CN208761844U (zh) 安全电缆卷盘
KR101725136B1 (ko) 권취장치
CN114476814A (zh) 一种电缆放线装置
KR101673029B1 (ko) 테이핑 장치 및 변압기용 코어 조립체의 제조장치
CN106158149A (zh) 一种盘绞履带牵引型成缆机的放线装置
JP6427252B1 (ja) バンド巻き付け装置及びバンド巻き付け方法
CN210039790U (zh) 一种线缆铝护套包裹机
JP2017103939A (ja) 自走式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ープ巻付け方法
EP34617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whip damage on wound optical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