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36B1 -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136B1
KR101725136B1 KR1020150141665A KR20150141665A KR101725136B1 KR 101725136 B1 KR101725136 B1 KR 101725136B1 KR 1020150141665 A KR1020150141665 A KR 1020150141665A KR 20150141665 A KR20150141665 A KR 20150141665A KR 101725136 B1 KR101725136 B1 KR 101725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isk body
wound
rotating shaf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욱
Original Assignee
양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욱 filed Critical 양병욱
Priority to KR102015014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롤러에 권취된 권취선의 묶음처리 및 분리가 용이한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묶음가이드영역이 형성되어 권취선이 권취장치에 권취된 상태에서 결속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권취선에 접촉되는 권취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 권취선을 권취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가지도 있다.

Description

권취장치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몸체에 권취된 권취선의 묶음처리 및 분리가 용이한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와이어, 로프 등과 같은 길이가 긴 선재는 보관이나 작업자의 편의성을 위해 감아 두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선재는 용도 및 사용조건에 따라 드럼에 감아서 사용되거나 드럼이 없이 권취된 상태로 묶어 사용된다.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1617호에는 와이어로프자동권취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와이어로프자동권취장치는 권취된 선재를 묶음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권취장치로부터 적층된 선재를 분리한 후 묶음끈으로 권취된 선재를 묶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 경우 묶음 처리과정에서 최초 적층된 권취선의 형태가 흐트러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권취장치에 긴장상태로 권취된 권취선의 분리를 용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4440호에는 권취장치의 외경을 축소시켜 분리를 지원할 수 있는 루프타워의 루프와이어 로프 교환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루프와이어 로프교환장치는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고, 이 장치를 이용하여 권취된 권취선을 분리한 후 묶음처리를 수행할 경우에도 최초 적층된 권취선의 형태가 흐트러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1617호 : 와이어로프자동권취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4440호 : 루프 타워의 루퍼 와이어 로프 교환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권취된 선재를 권취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이전에 묶음 처리를 지원할 수 있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면서 권취된 선재의 분리가 용이한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권취선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되어 권취 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권취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몸체는 표면에 권취된 상기 권취선의 권취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묶음끈을 상기 권취몸체에 간섭되지 않고 묶음끈을 통과시킬 수 있는 묶음 가이드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몸체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1디스크체와; 상기 회전축에 상기 제1디스크체와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디스크체와; 상기 제1디스크체와 상기 제2디스크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디스크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권취살;을 구비하고, 상기 묶음가이드영역은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된 상기 권취살 사이에 상기 권취살보다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을 향해 상기 제1디스크체와 제2디스크체에 인입된 권취선결속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몸체는 상기 권취살을 통해 적층되는 상기 권취선의 이탈을 억제하며 적층두께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디스크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된 방향으로 결합된 제1확장링;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2디스크체와 밀접하게 결합분리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디스크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3디스크체와, 상기 제3디스크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권취선의 이탈을 억제하며 적층두께를 확장할 수 있는 제2확장링;을 구비한다.
상기 권취살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디스크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이격된 내측에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제2디스크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치살은 상기 제1디스크체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서 제2디스크체에 연결된 타측 단부로 갈수록 상기 회전축에 이격된 거리가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디스크체는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이격되되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핀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묶음가이드영역이 형성되어 권취선이 권취장치에 권취된 상태에서 결속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권취선에 접촉되는 권취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 권취선을 권취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가지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권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권취몸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권취몸체에 권취된 다수의 권취선을 묶음끈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권취몸체에 대해 권취된 권취선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권취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권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권취몸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1)를 설명하면서 언급될 권취선(10)은 로프, 와이어, 전선 등과 같은 길게 연장된 굽혀짐이 가능한 선재를 말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권치장치(1)는 지지프레임(100), 회전축(200), 구동부(300), 권취몸체(400), 결속플레이트(500), 제어부(800), 조작부(미도시), 전원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어 후술되는 회전축(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베이스부(110)와 회전축지지부(12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10)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회전축지지부(120)와 구동부(300)가 설치된다.
회전축지지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회전축(20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지지부(120)는 후술되는 회전축(200)을 제1브라켓(127)을 통해 지지하는 메인지지대(121)와, 메인지지대(121)에 이격되어 후술되는 회전축(200)을 제2브라켓(129)을 통해 메인지지대(121)의 지지를 보조하는 보조지지대(125)를 구비한다.
또한, 참조부호 123은 권취선(10)의 권취를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바이다. 여기서 가이드바(123)는 적층두께를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제1브라켓(127)은 메인지지대(121)의 상방에 설치되며, 제2브라켓(127)은 보조지지대(125)의 상방에 제1브라켓(127)과 대향되게 설치된다.
회전축(200)은 지지프레임(100)의 회전축지지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축(200)은 제1브라켓(127)과 제2브라켓(129)에 각각 내장된 베어링(128)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200)은 메인지지대(121)에서 종동풀리(3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회전축지지부(120)에 지지되지 않고 자유단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축(200)의 일측 단부에는 종동풀리(350)가 결합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후술되는 결합플레이트(500)가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200)의 타측단부는 외주면에 후술되는 결합플레이트(500)의 탈착을 위한 나사산(221)이 형성된다.
구동부(30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되어 회전축(200)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부(300)는 구동모터(310)와, 구동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320)과, 구동축(320)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풀리(330)와, 구동풀리(330)의 회전력을 종동풀리(350)에 전달하는 구동벨트(340)를 구비한다. 구동모터(310)는 외측에 구동모터커버(360)가 설치된다.
구동부는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구동축의 동력이 회전축(200)에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가 회전축지지부(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축(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권취몸체(400)는 회전축(200)과 결합되어 권취선(10)이 회전축(200)의 회전에 대응되어 권취될 수 있도록 회전축(20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권취몸체(400)는 표면에 권취된 권취선(10)의 권취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묶음끈을 권취몸체(400)에 간섭되지 않고 통과시켜 묶음처리 할 수 있는 묶음가이드영역(600)이 형성되어 있다.
권취몸체(400)는 제1디스크체(410), 제2디스크체(420), 다수의 권취살(430), 제1확장바디(440)를 구비한다.
제1디스크체(410)는 메인지지대(121)에 인접한 부분의 회전축(2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부분으로서, 후술되는 권취살(430)이 결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제1디스크체(410)는 묶음끈(20)이 통과되는 묶음가이드영역(600)을 형성하는 제1권취선결속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권취살결속홈(411)은 인접된 권취살(430)들 사이에서 상기 권취살(430)들보다 회전축(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인입되게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디스크체(410)는 제1중앙부분(413), 제1목부분(415), 제1권취살결합부분(417), 권취선고정돌기(419)를 구비한다.
제1중앙부분(413)은 회전축(200)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200)보다 외경이 확장되는 부분이다.
제1목부분(415)은 제1중앙부분(413)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축(20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4개가 형성되어있다.
4개의 제1목부분(415)들은 제1중앙부분(413)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권취살결합부분(417)은 후술되는 권취살(430)들이 상호 일정간격을 이루며 복수 개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권취살결합부분(417)은 제1목부분(415)의 단부에서 회전축(20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1목부분(415)보다 외경이 확장된 크기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제1권취살결합부분(417)은 제1목부분(415)에 각각 되응되게 4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디스크체(410)구조에서 인접된 제1권취살결함부분(417) 사이로부터 제1목부분(415)사이를 거쳐 제1중앙부분(413)까지 인입된 부분이 앞서 설명된 제1권취선결속홈에 해당한다.
즉, 제1권취선결속홈(411)은 제1디스크체(410)에 회전축(200)방향으로 인입된 형태로서 상호 인접한 제1목부분(415) 사이마다 제1디스크체(410)에 4개가 형성된다.
제1권취선결속홈(411)은 상호 인접한 제1권취살결합부(417)들의 이격거리보다 상호 인접한 제1목부분(413)들의 이격거리가 더 크게 내측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태를 갖는 구조로 되어있다.
권취선고정돌기(419)는 권취선(10)의 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디스크체(410)의 일면에서 후술되는 제2디스크체(42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권취선고정돌기(419)는 후술되는 권취살(430)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2개가 적용되어있고, 후술되는 권취살에 권취선이 권취되는데 방해되지않고 권취선(10)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으면 개수 또는 형상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권취선(10)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예로 권취선고정돌기(419) 대신에 제1디스크체(410)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제2디스크체(420)는 회전축(200)에 제1디스크체(410)와 이격되며 회전축(200)의 타측 단부가 돌출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회전축(2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2디스크체(420)는 후술되는 권취살(430)이 결합 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제2디스크체(420)는 묶음가이드영역(600)을 형성하는 제2권취살결속홈(4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권취선결속홈(421)은 인접된 권취살(430)들 사이에서 상기 권취살(430)들보다 회전축(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인입되게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권취선결속홈(411)과 제2권취선결속홈(421)이 묶음가이드영역(600)을 형성한다.
제2디스크체(420)는 제2중앙부분(423), 제2목부분(425), 제2권취살결합부분(427), 고정핀(429)을 구비한다.
제2중앙부분(423)은 회전축(200)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200)보다 외경보다 확장되는 부분으로 제1중앙부분(413)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목부분(425)은 제2중앙부분(421)에서 방사방향을 따라 회전축(20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4개가 형성되며 제1목부분(4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4개의 제2목부분(425)들은 제2중앙부분(421)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권취살결합부분(427)은 제2목부분(425)의 단부에서 회전축(20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2목부분보다 외경이 확장된 크기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제2권취살결합부분(427)은 제2목부분(425)에 각각 대응되게 4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디스크체(420) 구조에서 인접된 제2권취살결합부분(427) 사이로 부터 제2목부분(425) 사이를 거쳐 제2중앙부분(423)까지 인입된 부분이 앞서 설명된 제2권취선결속홈(421)에 해당된다.
즉, 제2권취선결속홈(421)은 제2디스크체(420)에 회전축(200)방향으로 인입된 형태로서 상호 인접한 제2목부분(425) 사이마다 형성되므로 제2디스크체(420)에 4개가 형성된다.
제2권취선결속홈(421)은 제2디스크체(420)에 제1디스크체(410)의 제1권취선결속홈(4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호 인접한 제2권취살결합부(427)의 이격거리보다 상호 인접한 제2목부분(425)의 이격거리가 더 크게 내측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태를 갖는 구조로 되어있다.
고정핀(429)은 후술되는 결합플레이트(500)를 권취몸체(400)에 고정하기 위한 요소로서, 결합플레이트(500)에 형성된 고정핀삽입공(519)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정핀(429)에 의해 결합플레이트(500)는 권취몸체(400)와 일체로 회전된다.
고정핀(429)은 제2디스크체(420)의 후술되는 결합플레이트(500)와 접촉되는 일면의 회전축(200)의 단부와 이격되는 위치에서 회전축(200)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다수의 권취살(430)은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1디스크체(410)의 제1권취살결합부분(417)과 제2디스크(420)의 제2권취살결합부분(427)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권취살(430)의 표면을 통해 권취선(10)이 권취된다.
권취살(430)의 일측단부는 제1권취살결합부(417)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이격된 내측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단부는 제2권취살결합부(427)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있다.
제1권취살결합부(417) 및 이에 대응되는 제2권취살결합부(427)에는 3개의 권취살(430)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되어있다.
즉, 제1 및 제2 디스크체(410, 420)사이에는 12개의 권취살(430)이 회전축(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묶음가이드영역(600)은 일측과 타측에 제1권취살결속홈(411)과 제2권취살결속홈(421)이 각각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는 제1 및 제2권취살결합부(417, 427) 사이에 권취살이 회전축에 이격된 거리보다 내측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권취몸체(400)에는 4개의 묶음가이드영역(600)이 형성된다.
한편, 제2디스크체(420)는 제1디스크체(410)에 장착된 권취살(430)의 일측 단부로부터 회전축(200)까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졍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권취살(430)의 타측 단부는 제2디스크체(4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권취살(430)의 타측단부는 권취선(10)이 권취살(430)의 표면을 따라 권취되면서 제2디스크체(4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걸림이 발생되지 않게 제2디스크체(420)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위치 또는 가장자리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위치에 결합되면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권취살(430)은 각각 제1디스크체(410)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서 제2디스크체(420)에 연결된 타측 단부로 갈수록 회전축(200)에 이격된 거리가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확장바디(440)는 권취살(430)을 통해 적층되는 권취선(10)의 이탈을 억제하며 적층 두께를 확장할 수 있도록 제1디스크체(410)로부터 외경이 확장된 방향으로 결합된 부분이다.
제1확장바디(440)는 다수의 제1확장살(441)과 제1확장링(445)을 구비한다.
다수의 제1확장살(441)은 제1권취살결합부(4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회전축(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 길이로 각각 연장된 부분이다. 제1확장살(441)의 단부는 후술되는 제1확장링(445)과 연결된다.
제1확장링(445)은 제1확장살(441)의 단부를 통해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확장링(445)의 직경은 제1확장살(441)의 연장된 길이에 따라 정해지며, 제1확장살(441)의 연장된 길이에 따라 권취선(10)의 적층가능범위가 한정된다.
결합플레이트(500)는 회전축(200)을 통해 제2디스크체(420)와 밀접하게 결합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으로, 권취된 권취선(10)을 권취몸체(400)에 구속하며 제1확장바디(440)과 함께 권취선(10)이 적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결합플레이트(500)는 제3디스크체(510)와 제2확장바디(540)를 구비한다.
제3디스크체(510)는 제1디스크체(4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디스크체(510)에 구비되는 제3중앙부분(513), 제3목부분(515), 목부분연장부분(517)은 제1디스크체(410)의 제1중앙부분(413), 제1목부분(415), 제1권취선결합부분(417)관 각각 대응된다.
제3중앙부분(513)은 중심에 관통형성된 결합공(515)이 형성되며, 결합공(518)에서 이격되며 고정핀(429)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고정핀삽입공(519)이 형성된다.
결합공(518)은 제3디스크체(51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된 부분으로 회전축(200)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고정핀삽입공(519)은 제2디스크체(420)에 형성된 고정핀(429)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3디스크체(510) 구조에서 인접된 목부분연장부분(517) 사이로부터 제3목부분(515)사이를 거쳐 제3중앙부분까지 인입된 부분이 제3권취선결속홈(511)에 해당된다.
제3권취선결속홈(511)은 묶음끈(20)이 묶음가이드영역(600)에 진입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제2권취선결속홈(4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3디스크체(510)에 4개 형성된다.
고정핀삽입공은 결합플레이트의 제3디스크체(510)가 제2디스크체에 밀착 결합될 때, 고정핀(423)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2확장바디(540)는 제3디스크체(510)로부터 외경이 확장된 방향으로 결합되어 권취선(20)의 이탈을 억제하며 제1확장바디(440)와 함께 권취선(20)의 적층두께를 확장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제2확장바디(540)는 다수의 제2확장살(541)과 제2확장링(545)을 구비한다.
다수의 제2확장살(541)은 목부분연장부(5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회전축(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 길이로 각각 연장된 부분이다. 제2확장살(541)의 단부는 후술되는 제2확장링(545)과 연결된다.
제2확장링(545)은 제3디스크체(510)보다 제2확장살(541)의 길이만큼 더 큰 직경을 가지며 다수의 제2확장살(441)의 단부가 제2확장링(545)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된다.
제2확장링(545)의 직경은 제2확장살(541)의 연장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2확장살(541)의 연장된 길이에 따라 권취선(10)의 적층가능범위가 한정된다.
제2확장살(541)은 제1확장살(441)의 연장된 길이보다 작거나 크게 적용될 수도 있다.
결합플레이트(500)는 제3권취선결속홈(511)이 제1 및 제2권취선결속홈(411, 421)에 대응되고, 제2확장살(541)이 제1확장살(4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회전축(200)을 통해 제2디스크체(420)와 결합된다. 이때, 결합플레이트(500)의 결합공(518)을 관통한 회전축(200)의 단부가 너트(700)와 나사결합됨으로써 결합플레이트(500)는 권취몸체(400)에 고정된다.
제어부(800)는 조작부(미도시)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부(300)를 구동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권취장치(1)를 이용한 권취작업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권취몸체(400)에 결합플레이트(500)를 결합시킨다.
즉, 결합플레이트(500)의 결합공(518)에 회전축(200)의 단부를 삽입한다. 이때 고정핀(429)이 고정핀삽입공(513)에 삽입되게 하여 밀착시킨다.
결합플레이트(500)가 제2디스크체(420)에 밀착되면, 회전축(20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221)을 통해 너트(700)를 결합한다.
이와같이, 권취몸체(400)와 결합플레이트(50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대상인 권취선(10)의 단부를 권취선고정돌기(413)를 통해 고정시킨다.
다음은 권취몸체(400)가 회전되도록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모터(310)를 구동되게 조작한다. 그러면 회전축(200)이 회전되면서 권취몸체에는 권취선이 권취된다.
이때, 권취선(10)은 제1확장바디(440)와 제2확장바디(540)에 의해 이탈이 억제되면서 권취살(10) 위에 적층된다. 권취선(10)이 적절한 적층 두께에 도달하면 회전축(200)이 정지되게 처리한다.
이와 같이, 권취몸체(400)에 권취선(10)의 권취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음가이드영역(600)을 통해 묶음끈(20)을 관통시켜 권취몸체(400)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권취된 권취선(10)을 감싸 결속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몸체(400)는 묶음가이드영역(600)이 4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4개의 묶음끈(20)을 각각 이용하여 묶음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권취선(10)이 묶음끈(20)을 통해 묶음처리가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700)를 회전축의 단부에서 분리시키고 결합플레이트(500)를 권취몸체(400)로부터 이탈시킨다.
묶음끈(20)에 묶음처리된 권취선(10)을 권취몸체(400)로부터 이탈하더라도 권취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묶음처리된 권취선(10)은 권취살(430)이 회전축(200) 타측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에 의해 권취몸체(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1)는 묶음가이드영역(600)이 형성되어 권취선(10)이 권취장치에 권취된 상태에서 결속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1)는 권취선(10)에 접촉되는 권취살(430)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 권취선(10)을 권취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가지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지지프레임 121 : 메인지지대
125 : 보조지지대 127 : 제1브라켓
129 : 제2브라켓 200 : 회전축
300 : 구동부 400 : 권취몸체
410 : 제1디스크체 411 : 제1권취선결합홈
413 : 제1중앙부분 415 : 제1목부분
417 : 제1권취살결합부 419 : 권취선고정돌기
420 : 제2디스크체 421 : 제2권취선결합홈
423 : 제2중앙부분 425 : 제2목부분
427 : 제2권취살결합부 429 : 고정핀
430 : 권취살 440 : 제1확장바디
441 : 제1확장살 445 : 제2확장살
500 : 결합플레이트 510 : 제3디스크체
511 : 제3권취선결합홈 513 : 제3중앙부분
515 : 제3목부분 517 : 목부분연장부
519 : 고정핀삽입공 540 : 제2확장바디
600 : 묶음가이드영역 700 : 너트
800 : 제어부

Claims (7)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권취선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되어 권취 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권취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몸체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1디스크체와;
    상기 회전축에 상기 제1디스크체와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디스크체와;
    상기 제1디스크체와 상기 제2디스크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디스크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권취살과;
    표면에 권취된 상기 권취선의 권취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묶음끈을 상기 권취몸체에 간섭되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는 묶음가이드영역;을 가지며,
    상기 묶음가이드영역은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된 상기 권취살 사이에 상기 권취살보다 내측으로 상기 회전축을 향해 상기 제1디스크체와 상기 제2디스크체에 각각 인입된 제1 및 제2권취선결속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몸체는
    상기 권취살을 통해 적층되는 상기 권취선의 이탈을 억제하며 적층두께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디스크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된 방향으로 결합된 제1확장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2디스크체와 밀접하게 결합분리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디스크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3디스크체와,
    상기 제3디스크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권취선의 이탈을 억제하며 적층 두께를 확장할 수 있는 제2확장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살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디스크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이격된 내측에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제2디스크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살은
    상기 제1디스크체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서 제2디스크체에 연결된 타측 단부로 갈수록 상기 회전축에 이격된 거리가 가깝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체는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이격되되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핀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KR1020150141665A 2015-10-08 2015-10-08 권취장치 KR101725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65A KR101725136B1 (ko) 2015-10-08 2015-10-08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665A KR101725136B1 (ko) 2015-10-08 2015-10-08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136B1 true KR101725136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665A KR101725136B1 (ko) 2015-10-08 2015-10-08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1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52B1 (ko) * 2019-03-12 2019-05-23 강병우 가변 가능한 호스 권치장치
KR102584080B1 (ko) * 2023-04-27 2023-09-27 김은수 폐와이어 수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290A (ja) * 1996-01-19 2000-03-21 ウルベーター アーベー 可撓性物体のコイルおよびそのコアの製造方法
JP2008195518A (ja) * 2007-02-15 2008-08-28 Yurtec Corp 電線束取り装置
KR100944440B1 (ko) 2002-12-05 2010-02-25 주식회사 포스코 루프 타워의 루퍼 와이어 로프 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290A (ja) * 1996-01-19 2000-03-21 ウルベーター アーベー 可撓性物体のコイルおよびそのコアの製造方法
KR100944440B1 (ko) 2002-12-05 2010-02-25 주식회사 포스코 루프 타워의 루퍼 와이어 로프 교환장치
JP2008195518A (ja) * 2007-02-15 2008-08-28 Yurtec Corp 電線束取り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1617호 : 와이어로프자동권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52B1 (ko) * 2019-03-12 2019-05-23 강병우 가변 가능한 호스 권치장치
KR102584080B1 (ko) * 2023-04-27 2023-09-27 김은수 폐와이어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136B1 (ko) 권취장치
US4725009A (en) Toroidal coil winding machine for tape or heavy wire
JP6774428B2 (ja) 光ファイバの余分な長さをボビンに巻き取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90039794A (ko) 권취 기구 및 권취 방법
JP6570098B1 (ja) テープ巻付機
KR20100013477A (ko) 케이블권취기
JP2010504251A (ja) テープ巻き装置
JP4549459B2 (ja) ケーブルビート製造方法
JP2007031115A (ja) 光ファイバ用ボビン
RU2014108036A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езания слоя волокнистой текстуры, намотанной на бобину с пропиткой машины для наматывания
JPH07112529B2 (ja) 繊維束のラップ方法
WO2013190667A1 (ja) ビードリング結束糸巻付け装置
JP202005409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取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配索構造
KR101121747B1 (ko) 테이핑 장치
KR100616239B1 (ko) 배관 테이핑장치
CN107039171B (zh) 立体卷铁芯绕线装置
KR20170115755A (ko) 케이블 포설장치
US2789775A (en) Layer winding and reeling
KR100921978B1 (ko) 커넥터 롤 피복재 감김 장치
JP5942903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護シート巻き機
JP2008308294A (ja) 帯状部材結束体の施工装置
KR102110899B1 (ko) 듀얼바인드사를 이용한 광케이블 바인드사의 와인딩장치, 그 와인딩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케이블
WO2021024335A1 (ja) テープ巻付機
KR200475910Y1 (ko) 휴대용 전선릴
KR101557281B1 (ko)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