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281B1 -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 Google Patents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281B1
KR101557281B1 KR1020130112748A KR20130112748A KR101557281B1 KR 101557281 B1 KR101557281 B1 KR 101557281B1 KR 1020130112748 A KR1020130112748 A KR 1020130112748A KR 20130112748 A KR20130112748 A KR 20130112748A KR 101557281 B1 KR101557281 B1 KR 101557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se frame
bobbin
guide
fram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782A (ko
Inventor
김영욱
김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11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2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된 장방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의 복수의 개소에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판과; 상기 복수의 회전판에 안착되며 둘레면에 전선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해권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해권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PLURAL LINE TYPE WIRE UNBINDING DEVICE}
본 발명은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선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선교체를 위한 작업자의 이동동선이 생략되도록 하여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선 풀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 풀림 장치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프레임부(40)와, 프레임부(40)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됨으로써 그 외면에 권취된 전선(1)이 해권되도록 하는 보빈으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링 작업을 위한 전선(1)이 권취된 상기 보빈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는 상부원판(10)과 하부원판(20) 및 상부원판과 하부원판(20) 사이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면에 전선(1)이 권취되어 있는 원통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재(30)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보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돌부에 보빈을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중공(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빈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프레임부(40)의 상면에 2개가 나란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전선(1)의 해권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전선 풀림 장치에 있어서는, 단지 두 개의 보빈이 프레임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보빈이 회전되면서 전선의 해권이 이루어지므로 보빈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선(1)을 절단 및 압착 가공시에 전선(1)의 진행 방향에 의하여 전선(1) 간에 엉킴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어링 작업시에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링 작업에 알맞은 굵기를 갖는 전선가 권취된 보빈으로 일일이 교체해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선이 다선식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선 교체에 필요한 작업자의 이동 동선이 생략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된 장방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의 복수의 개소에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판과; 상기 복수의 회전판에 안착되며 둘레면에 전선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해권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해권가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에 구비된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는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회전판에 안착시에 상기 회전판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프레임을 회동시에 상기 회전판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프레임은 장방 형상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하여 대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해권가이드는 상기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에 안착된 보빈에 권취된 전선을 해권시에 그 방향을 안내하는 하측 해권가이드와,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에 안착된 보빈에 권취된 전선을 해권시에 그 방향을 안내하는 상측 해권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해권가이드는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양측 하부에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상측 해권가이드는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중앙에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 하측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 영역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는 각각 복수의 보조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전선을 각각 하측 해권가이드와 상측 해권가이드로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측 해권가이드와 상측 해권가이드의 상면에는 상기 전선과 접촉되어 해권 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와 안내편이 상기 해권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고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의 둘레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링형상의 전선 보호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이 설치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보빈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경유되도록 하여 상기 전선을 보호하고 엉킴을 방지하는 전선 보호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선이 다선식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선 교체에 필요한 작업자의 이동 동선이 생략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 공급 게이트 측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전선을 전선 풀림대에 미리 안착하여 작업 준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선 풀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101)이 연결된 장방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와, 베이스 프레임부(100) 상측의 복수의 개소에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판(200)과, 복수의 회전판(200)에 안착되며 둘레면에 전선이 권취된 보빈(300)과,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보빈(300)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해권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해권가이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복수의 프레임(101)이 상호 연결되어 조립되는 장방 형상의 구조물로서, 그 상부에 배치되는 회전판(200)과, 보빈(300) 그리고 해권가이드(400)와 같은 부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프레임(101)은 상호 복수의 개소에서 교차하도록 조립되어 그 상부 배치된 회전판(200)과, 보빈(300) 그리고 해권가이드(400)와 같은 부품들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2개, 즉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110)와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가 상호 적층되게 구비됨으로써 회전판(200), 보빈(300), 해권가이드(400)와 같은 부품들이 2개의 층을 이루면서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중앙 영역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30)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지지프레임(130)의 상면에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가 안착되어 고정 결합된다.
회전판(200)은 지지프레임(13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프레임(131)에 결합되어, 보빈(300)을 회전판(200)에 안착시에 회전판(200)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회동프레임(131)의 일단은 지지프레임(130)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며, 회동프레임(131)의 타단에는 회전판(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빈(300)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회전판(200)이 자유회전함으로써 보빈(300)이 회전되도록 하여 신속한 전선의 해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200)은 원반 형상의 부재로서 그 직경은 보빈(300)이 그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보빈(30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회전판(200)의 중심에는 보빈(300)이 안착시에 그 회전의 중심을 잡아주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의 높이는 전선이 해권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빈(300)의 높이보다는 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131)은 장방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에 대하여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판(200)의 둘레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링형상의 전선 보호커버(21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선에 가해지거나 혹은 이물질 등이 전선의 표면에 부착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판(200)이 설치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지지프레임(130)에는 보빈(300)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경유되도록 하여 상기 전선을 보호하고 엉킴을 방지하는 전선 보호부재(132)가 지지프레임(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선 보호부재(132)의 일단은 지지프레임(130)의 외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의 해권이 완료된 보빈(300)을 새로운 보빈(300)으로 교체시에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전선 보호부재(132)의 타단에는 링 형상의 부재를 구비하여 전선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엉킴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링 형상의 부재는 그 종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전선이 접촉시에 전선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전선 보호부재(132)의 상측에는 전선 보호부재(132)를 통과한 전선이 해권가이드(400)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전선 가이드부재(133)가 구비되어 있다.
전선 가이드부재(133)도 전선 보호부재(132)와 마찬가지로 전선이 접촉시에 전선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그 종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300)은 그 외면에 절압착 작업을 위하여 필요한 전선이 권취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그 중심에는 회전판(200)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빈(300)은 전선의 해권 작업이 완료되면 전선이 권취되어 있는 새로운 보빈(300)과 교체되는 부품으로서 보빈(300)의 교체시에 전선 보호부재(132)가 지지프레임(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보빈(3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해권가이드(400)는 절곡되어 그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부재로서 복수의 보빈(300)에서 해권되는 전선의 해권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부재로서 베이스 프레임부(10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해권가이드(400)는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110)에 안착된 보빈(300)에 권취된 전선을 해권시에 그 방향을 안내하는 하측 해권가이드(410)와,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에 안착된 보빈(300)에 권취된 전선을 해권시에 그 방향을 안내하는 상측 해권가이드(420)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측 해권가이드(410)는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의 양측 하부에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측 해권가이드(420)는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의 중앙에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 하측의 지지프레임(130)의 중앙 영역과, 지지프레임(130)의 상단에는 각각 복수의 보조프레임(140)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보조프레임(140)의 상측에는 상기 전선을 각각 하측 해권가이드(410)와 상측 해권가이드(420)로 안내하는 안내부재(450)가 구비되어 있다.
안내부재(450)는 보조프레임(14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의 초기 설치를 위하여 전선이 안내부재(450)의 단부를 통과시에 안내부재(450)를 외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선이 용이하게 안내부재(450)의 단부를 통과하여 상측 해권가이드(420)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부재(450)에 의하여 하측 해권가이드(410)는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110)의 좌측에 배치되는 보빈(300)에서 해권되는 전선은 좌측에 배치된 하측 해권가이드(410)에 의하여 해권되는 방향이 안내된다.
그리고,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110)의 우측에 배치되는 보빈(300)에서 해권되는 전선은 우측에 배치된 하측 해권가이드(410)에 의하여 해권되는 방향이 안내된다.
또한,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에 배치된 보빈(300)에서 해권되는 전선은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120)의 중앙 영역으로 집선된 상태에서 해권되는 방향이 안내된다.
보빈(300)에서 전선이 원활하게 해권될 수 있도록 하측 해권가이드(410)와 상측 해권가이드(420)의 상면에는 상기 전선과 접촉되어 해권 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430)와 고정편(440)이 해권가이드(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고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링을 위한 전선을 해권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진행된다.
우선, 와이어링 작업에 필요한 전선이 권취된 보빈(300)을 베이스 프레임부(100)에 설치된 회전판(200)의 개수(본 실시예의 경우는 16개임)만큼 준비하여 전선 보호부재(132)를 지지프레임(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킨 후에 보빈(300)을 회전판(200)에 안착시킨다.
보빈(300)이 회전판(20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면 전선 보호부재(132)를 하강시켜 보빈에 권취된 전선을 보호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전선 단부가 전선 보호부재(132)를 경유하여 해권가이드(400)의 상면에 설치된 롤러(330)와 고정편(340)을 통과하도록 하여 전선이 해권가이드(400)의 상면에 가지런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그 후, 전선의 단부를 당기면 회전판(200)의 회전과 더불어 보빈(300)이 회전하면서 상측 해권가이드(420)에서는 8가닥이 하나의 다발로 형성된 전선이 해권되면서 와이어링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하측 해권가이드(410)에서는 각각 4가닥이 하나의 다발로 형성된 전선이 해권되면서 와이어링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선 교체에 필요한 작업자의 이동 동선이 생략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베이스 프레임부 101 : 프레임
110 :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 120 :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
130 : 지지프레임 131 : 회동프레임
132 : 전선 보호부재 200 : 회전판
210 : 전선 보호커버 300 : 보빈
400 : 해권가이드 410 : 하측 해권가이드
420 : 상측 해권가이드 430 : 롤러
440 : 고정편

Claims (9)

  1. 복수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된 장방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측의 복수의 개소에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판과;
    상기 복수의 회전판에 안착되며 둘레면에 전선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해권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해권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에 구비된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는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장방 형상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대하여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권가이드는 상기 하측 베이스 프레임부에 안착된 보빈에 권취된 전선을 해권시에 그 방향을 안내하는 하측 해권가이드와,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에 안착된 보빈에 권취된 전선을 해권시에 그 방향을 안내하는 상측 해권가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해권가이드는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양측 하부에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상측 해권가이드는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중앙에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베이스 프레임부 하측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 영역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는 각각 복수의 보조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전선을 각각 하측 해권가이드와 상측 해권가이드로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해권가이드와 상측 해권가이드의 상면에는 상기 전선과 접촉되어 해권 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와 안내편이 상기 해권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고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둘레면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링형상의 전선 보호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설치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보빈에 권취된 전선이 해권시에 경유되도록 하여 상기 전선을 보호하고 엉킴을 방지하는 전선 보호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선식 전선풀림 장치.
KR1020130112748A 2013-09-23 2013-09-23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KR101557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48A KR101557281B1 (ko) 2013-09-23 2013-09-23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48A KR101557281B1 (ko) 2013-09-23 2013-09-23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82A KR20150033782A (ko) 2015-04-02
KR101557281B1 true KR101557281B1 (ko) 2015-10-06

Family

ID=5303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48A KR101557281B1 (ko) 2013-09-23 2013-09-23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2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75B1 (ko) * 2010-12-20 2012-05-10 (주)티에이치엔 전선보빈용 적치대
KR101261457B1 (ko) 2011-11-11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75B1 (ko) * 2010-12-20 2012-05-10 (주)티에이치엔 전선보빈용 적치대
KR101261457B1 (ko) 2011-11-11 2013-05-10 하나테크 주식회사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82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38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ary electric machine
US10715016B2 (en) Winding device and winding method
KR200471536Y1 (ko) 케이블드럼용 지그
US20080010812A1 (en) Method of forming single-layer coils
US11545881B2 (en) Coil winding apparatus and coil winding method and a coi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JP585649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巻取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配策構造
KR100960901B1 (ko) 케이블권취기
CN110127453A (zh) 全自动轴装收卷设备
KR101244370B1 (ko) 무대장치
KR101557281B1 (ko) 다선식 전선 풀림 장치
CN210193073U (zh) 全自动轴装收卷设备
KR200476269Y1 (ko) 전선 풀림 장치
KR20140143055A (ko) 전선 핸들링 장치
JP3550372B2 (ja) 巻線製造システムおよび巻線製造方法
KR101725136B1 (ko) 권취장치
JP2008236969A (ja) 架渉線ラッピ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架渉線ラッピング方法
CN217867378U (zh) 一种电力施工用放线装置
CN105775195A (zh) 一种环形包绕装置
JP3391659B2 (ja) 大型回転機のケーブル巻き取り装置
RU2729404C1 (ru) Основной корпус катушки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атчика вихревого тока, датчик вихревого тока,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матывания катушечной проволоки на основной корпус катушки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датчика вихревого тока
KR101446538B1 (ko) 수직형 다연발 전선풀림대
CN219990824U (zh) 自动张紧绕线机构和回转装置
CN210312931U (zh) 一种带卷盘可移动配电箱
KR101456658B1 (ko) 권취기
KR102177294B1 (ko) 업퍼툴에 수용된 모터 코일의 리드선 정렬을 위한 정렬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