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967A - 핸드형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형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967A
KR20230152967A KR1020220052574A KR20220052574A KR20230152967A KR 20230152967 A KR20230152967 A KR 20230152967A KR 1020220052574 A KR1020220052574 A KR 1020220052574A KR 20220052574 A KR20220052574 A KR 20220052574A KR 20230152967 A KR20230152967 A KR 2023015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ase
rotating body
rota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기
박용우
이윤승
배찬솔
이석희
Original Assignee
박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리 filed Critical 박해리
Priority to KR102022005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967A/ko
Publication of KR2023015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01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conveying reciprocating or limited rotary motion
    • F16H19/003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conveying reciprocating or limited rotary motion comprising a flex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65H2551/14Switches;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이 삽입되는 고정삽입홈을 가지는 케이스, 케이스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케이스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고정삽입홈에 일치되게 회전삽입홈을 가지는 주회전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수단, 주회전체에 설치되며, 테이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홀더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주회전체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 케이스의 외부에 분리되도록 배치하며, 회전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형 테이핑 장치{Hand type tap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로 전선에 테이프를 감는 작업을 수행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도체로 된 심선과, 심선을 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피복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피복층을 일부 벗겨내고, 노출된 심선 상호간을 결속시킨 다음 절연 테이프로 심선이 외부에 대해 절연될 수 있게 감는 작업을 한다.
또한, 여러 가닥의 전선 상호 간을 묶음 처리하는 경우에도 테이프로 감는 작업을 한다.
이때, 전선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테이프로 테이핑 처리할 경우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테이핑 불량률 편차가 큰 바, 최근에는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전선을 테이핑하는 자동 테이핑 장치를 사용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테이핑 장치는 회전 동력을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어들의 조합을 통해 전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 테이핑 장치에 회전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자동 테이핑 장치의 내부에 일체 상태로 배치되는 바, 자동 테이핑 장치의 전체 중량이 증대되면서 사용편의성을 감소시키며, 제어모듈의 고장시 교체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자동 테이핑 장치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2667호(2008.06.30)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통한 사용편의성을 증대되게 함과 더불어 테이핑을 위한 회전 구동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이 삽입되는 고정삽입홈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상기 케이스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고정삽입홈에 일치되게 회전삽입홈을 가지는 주회전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수단, 상기 주회전체에 설치되며, 테이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홀더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주회전체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분리되도록 배치하며, 회전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주회전체의 회전반경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회전가이드롤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주회전체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삽입홈이 마련된 원형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주회전체는 복수의 회전가이드롤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1접촉부재가 마련된 제1풀리, 상기 제1풀리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2접촉부재가 마련된 제2풀리,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1풀리와 제2풀리 및 연결풀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풀리, 상기 제3풀리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풀리, 상기 제3풀리와 제4풀리를 연결하며, 일측이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3풀리 및 제4풀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3접촉부재가 마련된 제5풀리, 상기 제5풀리 및 주회전체에 연결 배치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제5풀리 및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2접촉부재가 마련된 제6풀리, 상기 제5풀리의 축 및 제6풀리의 축을 연결하는 제2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5풀리와 제6풀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피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동기어와 이맞춤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성을 가지는 제1기어부가 마련된 제1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동기어와 이맞춤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성을 가지는 제2기어부가 마련된 제2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는 연성을 가지고,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 및 연결기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회전구동수단 및 구동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구동수단의 구동여부 및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되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동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출력되게 하는 트리거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제어부에는 트리거스위치를 통한 제어와 상관없이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속도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는 트리거스위치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이 중지될 경우, 주회전체가 트리거스위치에 의해 회전되기전인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구동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홀더부는, 상기 주회전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판부,
상기 연결판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테이프가 장착되는 테이프연결롤을 포함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형 테이핑 장치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주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의 구동여부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가 케이스와 분리 배치되도록 구비한 바, 사용자의 손잡이부 파지를 통한 작업시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통한 사용편의성을 증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이 구동전달부를 통해 주회전체로 전달시, 구동전달부와 맞닿는 주회전체의 외주면 또는 구동전달부에 연성을 가지는 부재를 구비한 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테이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테이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회전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주회전체와 구동전달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달부와 주회전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테이핑 장치는, 케이스(100), 손잡이부(200), 주회전체(300), 회전구동수단(400), 테이프 홀더부(500), 구동전달부(600), 구동제어부(7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주회전체(3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내측에 주회전체(3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의 상측은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주회전체(300)의 교환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케이스(100)의 분해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일측을 개방한 고정삽입홈(110)이 형성된다. 즉, 고정삽입홈(110)은 케이스(100)의 일측으로부터 중앙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외측에서 케이스(100)를 가로지르도록 전선(도면미도시)을 삽입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주회전체(300)를 일정한 회전반경으로 회전되게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회전가이드롤(101)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가이드롤(101)은 주회전체(300)의 회전반경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회전가이드롤(101)의 외측면은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손잡이부(200)는 케이스(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손잡이부(200)는 사용자의 손을 통한 파지를 쉽게 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0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을 통해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구동수단(400)의 구동여부 및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되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동제어부(700)로부터 제어신호를 출력되게 하는 트리거스위치(210)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스위치(210)는 회전구동수단(400) 및 구동제어부(700)와 케이블과 같은 유선수단 또는, 블루투스나 적외선통신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회전체(300)는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후 설명될 테이프 홀더부(500)에 장착된 테이프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주회전체(300)는 케이스(100)에 일정한 회전반경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배치된다. 이때, 주회전체(300)에는 일측을 개방한 회전삽입홈(310)이 형성된다. 즉, 회전삽입홈(310)은 케이스(100)의 고정삽입홈(110)에 일치되게 주회전체(300)의 일측으로부터 중앙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외측에서 케이스(100) 및 주회전체(300)를 가로지르도록 전선(도면미도시)을 삽입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주회전체(300)는 케이스(100)에 구비된 복수의 회전가이드롤(101)을 통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회전체(300)의 외측면을 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회전체(300)의 외측면 둘레로는 회전가이드롤(101)을 삽입상태로 걸림되게 배치하도록 회전가이드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회전체(300)의 회전가이드홈(320)이 형성된 외측면 부분에는 회전가이드롤(101)에 의해 회전되게 가이드시, 회전가이드롤(101)과의 충돌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흡수패드(도면미도시)가 부착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흡수패드는 회전가이드롤(101)에 의해 주회전체(300)의 회전시, 소음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교체사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회전체(300)의 일측면에는 회전삽입홈(310)에 일치되게 'U'자 단면형상을 형성된 전선안착대(33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안착대(330)는 전선을 안착상태로 배치되게 하는 바, 전선이 고정삽입홈(110)과 회전삽입홈(310)을 통해 안정적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주회전체(300)의 일측면에는 주회전체(300)의 회전을 통해 테이프 홀더부(500)에 장착된 테이프를 풀림시, 테이프가 고정삽입홈(110)과 회전삽입홈(310)을 가로지르는 전선 방향으로 공급되게 가이드하는 테이프가이드롤(34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은 주회전체(30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은 이후 설명될 구동전달부(600,600a,600b,600c)와 연결되도록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구동수단(400)은 구동제어부(700)와 연결되어 구동제어부(700)로부터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회전구동수단(400)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 있으며, 이때 모터의 구동축 부분을 구동전달부(600,600a,600b,600c)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테이프 홀더부(500)는 고정삽입홈(110)과 회전삽입홈(310)을 통해 케이스(100)와 주회전체(300)를 가로지르는 전선에 감길 테이프를 장착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테이프 홀더부(500)는 장착되는 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함으로써, 테이프가 풀리면서 전선에 감김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테이프 홀더부(500)는 케이스(10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테이프 홀더부(500)는 연결판부(510), 테이프 연결롤(52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판부(510)는 주회전체(300)의 회전시 테이프와 전선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테이프를 주회전체(30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판부(510)의 일측은 주회전체(300)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결합하며, 연결판부(510)의 타측에는 테이프 연결롤(52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한다.
상기 테이프 연결롤(520)은 전선에 감길 테이프를 장착상태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테이프 연결롤(520)은 연결판부(510)의 타측에 연결 설치되며, 이때, 테이프 연결롤(520)은 연결판부(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테이프를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한 풀림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테이프 연결롤(520)의 외측에 링 형태로 감겨져 있는 테이프의 내측을 삽입 배치되도록 장착되게 한다.
상기 구동전달부(600)는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주회전체(300)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이때, 구동전달부(600)는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된 회전속도를 감속시킨 상태로 주회전체(300)에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구동전달부(600)는 주회전체(300) 및 회전구동수단(4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100)에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전달부(600)는 제1풀리(610), 제2풀리(620), 연결풀리(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풀리(610)와 제2풀리(620)는 주회전체(300)의 회전반경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풀리(610)와 제2풀리(620)의 외주면은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풀리(610) 및 제2풀리(620)는 케이스(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제1풀리(610)의 외주면에는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링 형태의 제1접촉부재(611)가 마련되어, 주회전체(300)로 회전력을 전달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제2풀리(620)의 외주면에도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링 형태의 제2접촉부재(621)가 마련되어, 주회전체(300)로 회전력을 전달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접촉부재(611)와 제2접촉부재(621)은 소음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교체사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풀리(630)는 제1풀리(610)와 제2풀리(6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100)에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풀리(630)의 외주면이 제1풀리(610)의 제1접촉부재(611) 및 제2풀리(620)의 제2접촉부재(621)에 접하도록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배치된다.
이같이, 상기 구동전달부(600)가 제1풀리(610)와, 제2풀리(620) 및, 연결풀리(630)로 구성시,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의 구동축은 제1풀리(61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풀리(620) 또는 연결풀리(630)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달부(600a,600b,600c)에 대해 살펴보면, 도 6은 제2 실시예의 구동전달부(600a)로, 제3풀리(610a), 제4풀리(620a), 제1벨트(63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풀리(610a)와 제4풀리(620)는 주회전체(300)의 회전반경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때, 제3풀리(610a)의 외주면과 제4풀리(620)의 외주면은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3풀리(610a) 및 제4풀리(620a)는 케이스(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벨트(630a)는 제3풀리(610a)와 제4풀리(620a)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제1벨트(630a)의 일측은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제3풀리(610a)와 제4풀리(620a)의 회전력을 주회전체(300)로 전달되게 한다. 이때, 제1벨트(630a)는 주회전체(30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주회전체(300)로 회전력 전달시 소음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교체사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이, 상기 구동전달부(600a)가 제3풀리(610a)와, 제4풀리(620a) 및, 제1벨트(630a)로 구성시,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의 구동축은 제3풀리(610a)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4풀리(620a)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의 구동전달부(600b)로, 제5풀리(610b), 제6풀리(620b), 제2벨트(6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풀리(610b)와 제6풀리(620b)는 주회전체(300)의 회전반경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5풀리(610b)와 제6풀리(620b)의 외주면은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5풀리(610b) 및 제6풀리(620b)는 케이스(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제5풀리(610b)의 외주면에는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링 형태의 제3접촉부재(611b)가 마련되어, 주회전체(300)로 회전력을 전달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제6풀리(620b)의 외주면에도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링 형태의 제4접촉부재(621b)가 마련되어, 주회전체(300)로 회전력을 전달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3접촉부재(611b)와 제4접촉부재(621b)는 소음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교체사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벨트(630b)는 제5풀리(610b)의 축 부분과 제6풀리(620b)의 축 부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5풀리(610b)와 제6풀리(620)가 회전구동수단(40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시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제2벨트(630b)는 제5풀리(610b)의 축 부분과 제6풀리(620b)의 축 부분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제5풀리(610b) 및 제6풀리(620b)로 회전력 전달시 소음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교체사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이, 상기 구동전달부(600b)가 제5풀리(610b)와, 제6풀리(620b) 및, 제2벨트(630b)로 구성시,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의 구동축은 제5풀리(610b)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6풀리(620b)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의 구동전달부(600c)로, 제1구동기어(610c), 제2구동기어(620c), 연결기어(63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은, 구동전달부(600c)로 적용시,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는 피동기어(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610c)와 제2구동기어(620c)는 주회전체(300)의 회전반경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구동기어(610c)와 제2구동기어(620c)의 외주면은 주회전체(3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구동기어(610c) 및 제2구동기어(620c)는 케이스(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제1구동기어(610c)의 외주면에는 주회전체(300)의 피동기어(350)에 이맞춤상태로 접하도록 제1기어부(611c)가 마련되어, 주회전체(300)로 회전력을 전달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제2구동기어(620c)의 외주면에도 주회전체(300)의 피동기어(350)에 이맞춤상태로 접하도록 제2기어부(621c)가 마련되어, 주회전체(300)로 회전력을 전달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기어부(611c)와 제2기어부(621c)는 소음과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교체사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630c)는 제1구동기어(610c)와 제2구동기어(620c)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100)에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풀리(630)의 외주면이 제1구동기어(610c)의 제1기어부(611c) 및 제2구동기어(620c)의 제2기어부(621c)에 이맞춤상태로 접하도록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배치된다.
이같이, 상기 구동전달부(600c)가 제1구동기어(610c)와, 제2구동기어(620c) 및, 연결기어(630c)로 구성시,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의 구동축은 제1구동기어(61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구동기어(620c) 또는 연결기어(630c)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제어부(700)는 회전구동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즉, 구동제어부(700)는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부(200)의 트리거스위치(210) 조작에 따라 회전구동수단(400)의 구동여부 및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되는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 회전구동수단(400)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제어부(700)는 케이스(100)의 외부에 별도로 분리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시 전체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임과 더불어 불량에 따른 수리가 필요한 경우 쉽게 수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구동제어부(700)는 케이블과 같은 유선수단 또는, 블루투스나 적외선통신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수단을 통해 손잡이부(200)에 구비된 트리거스위치(210) 및 회전구동수단(4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부(700)에는 사용자에 의한 트리거스위치(210) 조작 제어정도에 상관없이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 가능한 회전 구동력의 최대속도값이 미리 설정되는 바, 주회전체(300)의 안정적인 회전을 통한 전선으로의 테이프감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회전구동수단(400)의 과부하에 따른 불량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700)는 트리거스위치(210)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 제어가 중지될 경우, 주회전체(300)가 트리거스위치(210)에 의해 회전되기전인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구동수단(400)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주회전체(300)의 최초 위치는 케이스(100)의 고정삽입홈(110) 개방된 단부와 주회전체(300)의 회전삽입홈(310) 개방된 단부의 위치가 일치된 위치로, 이러한 경우 고정삽입홈(110) 및 회전삽입홈(310)으로 전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하거나 고정삽입홈(110) 및 회전삽입홈(310)에 삽입 배치된 전선을 케이스(100)와 주회전체(300)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게 한다.
이같이, 상기 구동제어부(700)가 케이스(100)의 외부에 별도로 분리 배치되도록 구비될 경우, 복수의 케이스(100)와 손잡이부(200)와 주회전체(300)와 회전구동수단(400)과 테이프 홀더부(500) 및 구동전달부(600,600a,600b,600c)로 구성된 복수의 핸드형 테이핑 장치를 하나의 구동제어부(7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설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드형 테이핑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면, 먼저, 전선에 감을 테이프를 테이프 홀더부(500)의 테이프 연결홀(520)에 장착 설치한다.
그리고, 전선을 케이스(100)의 고정삽입홈(110) 및 주회전체(300)의 회전삽입홈(310)을 가로지르도록 삽입 배치한다.
이후, 사용자는 테이프의 선단 일부분을 전선에 감은 후, 손잡이부(200)의 트리거스위치(210)를 눌러 회전구동수단(400)를 구동되게 한다. 즉, 트리거스위치(210)의 조작에 따라 구동제어부(700)에서 회전구동수단(400)으로 구동 제어를 위한 신호 및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되는 회전속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은 구동전달부(600,600a,600b,600c)를 통해 주회전체(300)로 전달되고, 주회전체(300)의 회전에 대응되게 테이프 홀더부(500)에 장착된 테이프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전선으로 테이프의 감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핸드형 테이핑 장치는,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주회전체(30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400)의 구동여부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700)가 케이스(100)와 분리 배치되도록 구비한 바, 사용자의 손잡이부(200) 파지를 통한 작업시 중량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파지를 통한 사용편의성을 증대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수단(40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이 구동전달부(600,600a,600b,600c)를 통해 주회전체(300)로 전달시, 구동전달부(600,600a,600b,600c)와 맞닿는 주회전체(300)의 외주면 또는 구동전달부(600,600a,600b,600c)에 연성을 가지는 부재를 구비한 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고정삽입홈
200: 손잡이부 210: 트리거스위치
300: 주회전체 310: 회전삽입홈
320: 회전가이드홈 330: 전선안착대
340: 테이프가이드롤 350: 피동기어
400: 회전구동수단 500: 테이프 홀더부
510: 연결판부 520: 테이프 연결롤
600,600a,600b,600c: 구동전달부 700: 구동제어부

Claims (9)

  1. 전선이 삽입되는 고정삽입홈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
    상기 케이스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고정삽입홈에 일치되게 회전삽입홈을 가지는 주회전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수단;
    상기 주회전체에 설치되며, 테이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홀더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주회전체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분리되도록 배치하며, 회전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주회전체의 회전반경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회전가이드롤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주회전체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삽입홈이 마련된 원형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주회전체는 복수의 회전가이드롤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핸드형 테이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1접촉부재가 마련된 제1풀리,
    상기 제1풀리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2접촉부재가 마련된 제2풀리,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1풀리와 제2풀리 및 연결풀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풀리,
    상기 제3풀리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풀리,
    상기 제3풀리와 제4풀리를 연결하며, 일측이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3풀리 및 제4풀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3접촉부재가 마련된 제5풀리,
    상기 제5풀리 및 주회전체에 연결 배치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제5풀리 및 주회전체에 접하도록 제2접촉부재가 마련된 제6풀리,
    상기 제5풀리의 축 및 제6풀리의 축을 연결하는 제2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5풀리와 제6풀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피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동기어와 이맞춤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성을 가지는 제1기어부가 마련된 제1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동기어와 이맞춤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성을 가지는 제2기어부가 마련된 제2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 사이를 연결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는 연성을 가지고,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 및 연결기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회전구동수단 및 구동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구동수단의 구동여부 및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되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동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출력되게 하는 트리거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제어부에는 트리거스위치를 통한 제어와 상관없이 회전구동수단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속도값이 미리 설정된 핸드형 테이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트리거스위치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이 중지될 경우, 주회전체가 트리거스위치에 의해 회전되기전인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구동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홀더부는,
    상기 주회전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판부,
    상기 연결판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테이프가 장착되는 테이프연결롤을 포함하는 핸드형 테이핑 장치.
KR1020220052574A 2022-04-28 2022-04-28 핸드형 테이핑 장치 KR20230152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74A KR20230152967A (ko) 2022-04-28 2022-04-28 핸드형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74A KR20230152967A (ko) 2022-04-28 2022-04-28 핸드형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967A true KR20230152967A (ko) 2023-11-06

Family

ID=8874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574A KR20230152967A (ko) 2022-04-28 2022-04-28 핸드형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9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76B1 (ko) * 2023-05-11 2023-12-01 (주) 제이엠비 전기 자동차용 부스바의 절연테이프 및 보호테이프 동시 테이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76B1 (ko) * 2023-05-11 2023-12-01 (주) 제이엠비 전기 자동차용 부스바의 절연테이프 및 보호테이프 동시 테이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9011B1 (en) Positioner
JP5001917B2 (ja) ワイヤ送給装置
KR20230152967A (ko) 핸드형 테이핑 장치
CN113594975B (zh) 一种电缆绝缘层环切机
CA2178131C (en) Motorized curling iron
US6230859B1 (en) Cable assembly holder for an industrial robot
EP0466891B1 (en)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a wire
KR101121747B1 (ko) 테이핑 장치
JP7426654B2 (ja) テープ巻き付けユニット
KR200184453Y1 (ko) 용접용 케이블 릴
US51096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inder from around telecommunications cable core
CN108901312B (zh) 切割器及具有该切割器的园林除草装置
JP3002662B2 (ja) 電動式吊りマイクロホン装置
KR20110123580A (ko) 와이어 가이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윈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CN211545498U (zh) 一种可调式电缆绕线装置
KR20030071207A (ko) 케이블 테이핑 장치
JP2021066000A (ja) 回転軸モジュールおよびロボット
KR102559990B1 (ko) 헬리컬 밴드 삽입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리컬 밴드 삽입 장치
CN217376878U (zh) 一种舞台升降机械设备的线缆收放装置
CN214087176U (zh) 一种10kV旁路电缆自动收放线装置
KR102576857B1 (ko) 유무선 모터 구동형 전선 권취장치
KR200169096Y1 (ko)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CN218434281U (zh) 一种绳带自动收纳装置
CN216536615U (zh) 一种用于拆解设备维修的生命绳调节装置
CN215160010U (zh) 电缆卷绕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