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652A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652A
KR20110098652A KR1020110016188A KR20110016188A KR20110098652A KR 20110098652 A KR20110098652 A KR 20110098652A KR 1020110016188 A KR1020110016188 A KR 1020110016188A KR 20110016188 A KR20110016188 A KR 20110016188A KR 20110098652 A KR20110098652 A KR 20110098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le
seal member
plug blad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912B1 (ko
Inventor
다츠야 다카기
도시유키 다키
고우지 히가시데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플러그 바디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플러그 핀을 구비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의 선단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시일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플러그 핀의 사이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플러그 바디와, 이 플러그 바디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플러그 핀을 구비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를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 등의 수분의 침입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방수 대책이 실시된 플러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참조).
특허문헌에 개시된 플러그에서는 옥내 사양의 플러그에 플러그용 방수 커버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방수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 플러그용 방수 커버의 선단에는 콘센트의 통형상의 받이구와 끼워맞추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콘센트 및 플러그는 받이구와 볼록부가 밀착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의 플러그 블레이드와 콘센트의 삽입구의 사이의 방수를 실행하고 있다.
일본 공개 제2002-216888호
그런데, 특허문헌에서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플러그로의 수분의 침입이 억제된다. 그러나,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플러그는 플러그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플러그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플러그 바디와, 이 플러그 바디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플러그 핀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바디의 선단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시일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플러그 핀의 사이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향해 꽉 누르는 보조 부재가 상기 플러그 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는 상기 보조 부재가 그의 상기 시일 부재를 꽉 누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전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핀과 상기 시일 부재가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상기 시일 부재는 단일부재로 구성되고, 복수의 플러그 핀과 상기 복수의 플러그 핀에 각각 대응하는 삽입 통과 구멍의 사이를 각각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의 단자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에 대해, (a) 플러그를 앞쪽에서 본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a)의 단면선A-A로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에 대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단자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의 플러그에 대해, (a) 플러그를 앞쪽에서 본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a)의 단면선 B-B로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a) 플러그를 앞쪽에서 본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a)의 단면선 C-C로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러그를 구체화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a) 플러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a)의 단면선 D-D로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 실시형태)
도 1∼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러그를 옥외의 벽면에 마련되는 방수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로서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 콘센트(이하, 콘센트(A)라 함)는 플러그(B)의 단자(2)가 삽입되는 삽입구(111)가 마련되는 콘센트 본체(110)와, 삽입구(111)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도어 개폐 기구(120)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B)는 하우징체로 되는 플러그 바디(1)와, 플러그 바디(1)로부터 돌출된 플러그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단자(2)와, 플러그 바디(1)의 단자(2)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3)과, 플러그 바디(1)에 케이블(3)을 유지하기 위한 케이블 유지부(4)가 마련되어 있다.
콘센트 본체(110)에는 비 등의 수분이 삽입구(111)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방수 커버(112)와, 방수 커버(112)내에 마련된 오목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구(111)는 오목부(113)의 저면(114)에 마련되어 있다.
도어 개폐 기구(120)에는 삽입구(111)를 아래쪽으로부터 덮는 도어(door)(121)와, 도어(121)를 닫힘 상태, 즉 방수 커버(112)와 도어(121)가 맞닿은 상태로 되도록 도어(121)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즉, 플러그(B)가 콘센트(A)에 삽입되기 전에 있어서, 도어(121)는 도면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111)를 덮은 상태(닫힘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콘센트(A)에 플러그(B)를 접속할 때, 도어(121)를 닫힘 상태로부터 삽입구(11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상태인 열림 상태로 한 후에 플러그(B)의 단자(2)를 삽입구(111)에 삽입한다. 그리고, 콘센트(A)로부터 플러그(B)를 빼낸 후에는 도어(121)는 재차 닫힘 상태로 된다.
이하, 도 4의 (a)의 좌우 방향을 「좌우 방향 Y」로 하고,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 Z」로 하고, 도 4의 (b)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 X」로 한다. 또,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가 돌출하는 방향을 「앞쪽」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뒤쪽」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바디(1)는 작업자가 쥐는 중공(中空)의 원통형상의 쉘(10)과, 쉘(10)의 앞단에 부착되는 원반형상의 바디(20)와, 쉘(10)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단자(2)를 유지하는 커버(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쉘(10)과 바디(20)의 사이에는 방수용 시일재(40)가 배치되어 있다.
단자(2)는 콘센트(A)의 전원용의 삽입구(111)에 삽입되는 2개의 전원용 단자(50, 60)와, 콘센트(A)의 접지용의 삽입구(111)에 삽입되는 1개의 접지용 단자(7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유지부(4)는 2개로 분할된 코드 클립(80)과, 코드 클립(80)의 내부에 끼워지는 원환상의 코드 푸싱(cord pushing)(90)과, 코드 클립(80)의 바깥가장자리면을 덮는 원환상의 링 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코드 클립(80)은 2개의 나사 부재(SC4)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쉘(10)과 바디(20)는 2개의 나사 부재(SC1)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바디(20)와 커버(30)는 1개의 나사 부재(SC2)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쉘(10)에는 중공 원통형상의 쉘 본체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쉘 본체부(11)에는 방수용 시일재(40)와 맞닿는 앞단면(12a)을 갖는 내측 돌기부(12)와, 내측 돌기부(12)로부터 앞쪽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바디(20) 및 방수용 시일재(40)를 각각 수용하는 중공 원통형상의 수용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바디(20)에는 원반형상의 바디 본체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바디 본체부(21)에는 전원용 단자(50)가 삽입 통과하는 제 1 삽입 통과 구멍(22)과, 전원용 단자(60)가 삽입 통과하는 제 2 삽입 통과 구멍(23)과, 접지용 단자(70)가 삽입 통과하는 제 3 삽입 통과 구멍(24)과, 나사 부재(SC1)가 삽입 통과하는 나사 삽입 통과부(25)가 마련되어 있다. 나사 삽입 통과부(25)에는 나사 부재(SC1)의 축부를 삽입 통과하는 관통 구멍(25a)과, 나사 부재(SC1)의 나사머리를 탑재하는 원환상의 탑재부(25b)가 마련되어 있다. 각 탑재부(25b)에는 나사용 패킹 SP가 배치되어 있다. 이 나사용 패킹 SP은 나사 부재(SC1)의 나사머리와 탑재부(25b)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나사머리와 탑재부(25b)의 사이를 거쳐서, 나사 부재(SC1)와 관통 구멍(25a)의 사이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되게 된다.
커버(30)에는 커버 본체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본체부(31)에는 그 본체부(31)의 중앙부를 전후 방향 X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나사 부재(SC2)가 삽입 통과하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32)과, 전원용 단자(50)가 유지되는 제 1 유지부(33)와, 전원용 단자(60)가 유지되는 제 2 유지부(34)와, 접지용 단자(70)가 유지되는 제 3 유지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용 단자(50, 60) 및 접지용 단자(70)는 각각 대응한 단자 나사(SC3)에 의해서 제 1 유지부(33)∼제 3 유지부(3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방수용 시일재(40)에는 중공 원통형상의 원통부(41)와, 원통부(41)의 앞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원환형상의 링부(42)와, 원통부(41)의 뒷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저면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저면부(43)에는 2개의 나사 부재(SC1)을 각각 삽입 통과하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44)이 마련되어 있다. 또, 저면부(43)의 안둘레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공간에는 단자(2)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코드 클립(80)에는 반원통형상의 클립 본체부(81)가 마련되어 있다. 클립 본체부(81)에는 그 뒷단부에 코드 푸싱(90)의 절반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인 푸싱 수용부(82)와, 수용부(82)보다 앞쪽에 케이블(3)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인 케이블 수용부(83)와, 나사 부재(SC4)를 삽입 통과하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84)이 마련되어 있다. 클립 본체부(81)의 바깥둘레부에는 링 부재(100)를 장착하기 위한 바깥둘레 홈(85)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바깥둘레 홈(85)의 일부에는 평면부(85a)가 마련되어 있다.
코드 푸싱(90)은 고무 부재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코드 푸싱(90)을 전후 방향 X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91)에는 케이블(3)이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관통 구멍(91)에 케이블(3)이 삽입 통과된 상태 또한 푸싱 수용부(82)에 코드 푸싱(90)을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코드 클립(80)을 나사 부재(SC4)에 의해 조립하는 것에 의해, 코드 푸싱(90)이 안쪽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관통 구멍(91)과 케이블(3) 사이의 간극이 저감된다.
링 부재(100)는 고무 부재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클립 본체부(81)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링 부재(100)의 내경은 클립 본체부(81)의 바깥둘레 홈(85)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링 부재(100)가 바깥둘레 홈(85)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나사 부재(SC4) 및 바깥둘레 홈(85)에 있어서의 2개의 클립 본체부(81)를 조합한 이음매가 덮인다. 링 부재(100)에는 평면부(101)가 마련되어 있다. 이 평면부(101)를 바깥둘레 홈(85)의 평면부(85a)에 대응한 곳에 위치 맞춤을 하는 것에 의해, 코드 클립(80)에 대한 링 부재(100)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용 단자(50)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plug blade)(51)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부착되는 보조 부재(52)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부착되는 시일 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용 단자(60)는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에 부착되는 보조 부재(62)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에 부착되는 시일 부재(63)를 구비하고 있다. 접지용 단자(70)는 접지 플러그 핀(71)과, 접지 플러그 핀(71)의 뒷단부에 부착되는 단자판(72)과, 접지 플러그 핀(71)에 부착되는 시일 부재(7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는 판금을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 X으로 긴 대략 장방형상의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51a)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51a)의 뒷단부에는 단자 나사(SC3)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인 나사 삽입 통과부(5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나사 삽입 통과부(51b)보다 앞쪽에는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51a)로부터 좌우 방향 Y의 양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51c)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 나사(SC3)가 나사 삽입 통과부(51b)에 삽입 통과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3)의 단부는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51a)와 단자 나사(SC3)의 나사머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3)과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보조 부재(52)에는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 Y으로 긴 중공 사각형상의 프레임체부(frame body section)(52a)가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체부(52a)의 좌우 방향 Y의 양측에는 앞쪽을 향해 움푹하게 패여서 돌기부(51c)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52b)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53)는 고무 부재 등의 탄성이 풍부한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53)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프레임체부(52a)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53)의 뒷단면의 전체면은 보조 부재(52)의 앞단면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보조 부재(52)가 시일 부재(53)를 꽉 누르는 방향에 있어서, 보조 부재(52)는 시일 부재(53)의 전체면과 맞닿게 된다.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는 판금을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에는 전후 방향 X으로 길고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L자형상으로 되는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61a)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61a)의 뒷단부에는 단자 나사(SC3)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인 나사 삽입 통과부(6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나사 삽입 통과부(61b)보다 앞쪽에는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61a)의 좌우 방향 Y의 폭이 축소되는 단부(61c)와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61a)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61d)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 나사(SC3)가 나사 삽입 통과부(61b)에 삽입 통과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3)의 단부는 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61a)와 단자 나사(SC3)의 나사머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3)과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보조 부재(62)에는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L자형상으로 되는 프레임체부(62a)가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체부(62a)의 우단부 및 하단부에는 앞쪽을 향해 움푹 패이고 단부(61c) 및 돌기부(61d)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62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63)는 고무 부재 등의 탄성이 풍부한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63)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프레임체부(62a)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63)의 뒷단면의 전체면은 보조 부재(62)의 앞단면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보조 부재(62)가 시일 부재(63)를 꽉 누르는 방향에 있어서, 보조 부재(62)는 시일 부재(63)의 전체면과 맞닿게 된다.
접지 플러그 핀(71)은 금속재료를 절삭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전후 방향 X으로 긴 원주형상의 핀 본체부(71a)가 마련되어 있다. 핀 본체부(71a)의 뒷단부에는 외경이 전체 둘레에 걸쳐 직경이 확대되는 확대부(71b)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판(72)에는 판금을 프레스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 X으로 긴 판본체부(72a)가 마련되어 있다. 판본체부(72a)의 앞단부는 굴곡되고 확대부(71b)의 뒷단면에 맞닿는 고정부(72b)가 마련되어 있다. 확대부(71b)와 고정부(72b)가 용접되는 것에 의해, 접지 플러그 핀(71)과 단자판(72)은 서로 접속된다. 판본체부(72a)에는 단자 나사(SC3)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72c)이 마련되어 있다. 단자 나사(SC3)이 나사 삽입 통과 구멍(72c)에 삽입 통과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3)의 단부는 판본체부(72a)와 단자 나사(SC3)의 나사머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3)과 접지 플러그 핀(71)이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시일 부재(73)는 고무 부재 등의 탄성이 풍부한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73)는 앞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의 뒷단면의 전체면은 확대부(71b)의 앞단면에 맞닿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쉘(10)의 수용부(13)의 안둘레면 및 안쪽 돌기부(12)의 앞단면에는 방수용 시일재(40)의 원통부(41) 및 저면부(43)가 각각 맞닿아 있다. 그리고, 바디(20)는 바디 본체부(21)의 바깥둘레면이 원통부(41)의 안둘레면에 맞닿는 동시에 바디 본체부(21)의 뒷단면이 저면부(43)의 앞단면에 맞닿고 있다. 여기서, 바디 본체부(2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원통부(41)는 수용부(13)와 바디 본체부(21)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바디(20)와 쉘(10)이 나사 부재(SC1)에 의해 조립되는 것에 의해, 저면부(43)는 안쪽 돌기부(12)와 바디 본체부(21)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상에 의해, 방수용 시일재(40)는 쉘(10)과 바디(20)의 사이에 밀착하게 된다.
방수용 시일재(40)의 링부(42)는 바디 본체부(21)의 앞단면 및 쉘(10)의 앞단면보다 앞쪽의 위치에 마련되고 쉘(10)의 앞단면의 일부를 덮고 있다. 링부(42)와 쉘(10)의 앞단면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 X에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 본체부(21)의 뒷단부에는 제 1 삽입 통과 구멍(22)과 연통하고 뒤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의 제 1 오목부(26)와, 제 2 삽입 통과 구멍(23)과 연통하고 뒤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L자형상의 제 2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와, 제 3 삽입 통과 구멍(24)과 연통하고 뒤쪽에서 본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제 3 오목부(28)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오목부(26)∼제 3 오목부(28)는 바디 본체부(21)의 뒷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형상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 1 오목부(26)에는 보조 부재(52) 및 시일 부재(53)가 수용되어 있다. 제 2 오목부에는 보조 부재(62) 및 시일 부재(63)가 수용되어 있다. 제 3 오목부(28)에는 확대부(71b), 고정부(72b) 및 시일 부재(73)가 수용되어 있다. 즉, 보조 부재(52, 62) 및 시일 부재(53, 63, 73)는 플러그 바디(1)의 내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 1 유지부(33)∼제 3 유지부(35)에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의 뒷단면,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의 뒷단면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뒷단면과 각각 맞닿는 제 1 맞닿음부(33a), 제 2 맞닿음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 3 맞닿음부(35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이 제 1 삽입 통과 구멍(22)∼제 3 삽입 통과 구멍(24)에 각각 삽입 통과된 상태에 있어서, 바디(20)와 커버(30)를 나사 부재(SC2)에 의해 조립한다. 이 조립하는 힘, 즉, 나사 부재(SC2)의 체결력에 의해, 그 체결력이 부여되기 전보다 제 1 오목부(26)∼제 3 오목부(28)와 제 1 맞닿음부(33a)∼제 3 맞닿음부(35a)의 전후 방향 X의 거리가 각각 작아진다. 이에 따라, 제 1 맞닿음부(33a) 및 제 2 맞닿음부에 의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의 뒷단면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의 뒷단면이 앞쪽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제 3 맞닿음부(35a) 에 의해 단자판(72)의 뒷단면이 앞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에 부착된 보조 부재(52, 62)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확대부(71b)가 시일 부재(53, 63, 73)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시일 부재(53, 63)는 제 1 오목부(26) 및 제 2 오목부와 보조 부재(52, 62)의 전후 방향 X의 사이에서 각각 압축된다. 시일 부재(73)는 제 3 오목부(28)와 확대부(71b)의 전후 방향 X의 사이에서 각각 압축된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53, 63, 73)는 제 1 삽입 통과 구멍(22)의 둘레가장자리, 제 2 삽입 통과 구멍(23)의 둘레가장자리 및 제 3 삽입 통과 구멍(24)의 둘레가장자리에서 각각 꽉 눌러져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A)에 플러그(B)가 접속된 상태에서, 방수용 시일재(40)의 링부(42)는 콘센트(A)의 오목부(113)의 저면(114)과 쉘(10)의 앞단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서 압축된다. 구체적으로는 링부(42)는 저면(114)과 맞닿는 것에 의해, 뒤쪽 및 바깥쪽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링부(42)는 쉘(10)의 앞단면, 오목부(113)의 저면(114) 및 안둘레면(115)에 각각 밀착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부착된 시일 부재(53)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바디(20)의 제 1 오목부(26)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제 1 오목부(26)의 사이를 시일 부재(53)에 의해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제 1 삽입 통과 구멍(22)의 사이를 통한 수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러그 바디(1)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와 시일 부재(63), 및 접지 플러그 핀(71)과 시일 부재(73)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디(20)와 커버(30)의 조립시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부착된 보조 부재(52)가 시일 부재(53)를 가압하여, 시일 부재(53)를 압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시일 부재(53)를 제 1 오목부(26)와의 사이에서 배치하기 위한 형상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의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금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를 성형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와 보조 부재(62)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부재(52)의 앞단면에 시일 부재(53)의 뒷단면의 전체면이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부재(52)가 시일 부재(53)를 전체에 걸쳐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53)가 전체에 걸쳐 압축되기 때문에,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제 1 오목부(26)의 사이를 통한 수분의 침입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와 시일 부재(63)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지 플러그 핀(71)의 확대부(71b)의 앞단면에 시일 부재(73)의 뒷단면의 전체면이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확대부(71b)가 시일 부재(73)를 전체에 걸쳐 가압할 수 있으므로, 접지 플러그 핀(71)과 제 3 오목부(28)의 사이를 통한 수분의 침입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가 제 1 삽입 통과 구멍(22)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시일 부재(53)가 플러그 바디(1)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53)가 플러그 바디(1)의 외부에 마련되는 구성에 비해, 시일 부재(5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의 돌기부(51c)와 보조 부재(52)의 오목부(52b)가 끼워 맞춰져 있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대한 보조 부재(52)의 전후 방향 X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대한 보조 부재(52)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와 보조 부재(62)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 부재(100)가 클립 본체부(81)의 바깥둘레 홈(85)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 본체부(81)의 이음매와 나사 부재(SC4)가 링 부재(100)에 의해서 덮이기 때문에, 상기 이음매나 나사 부재(SC4)를 거쳐서 클립 본체부(81)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수용 시일재(40)의 원통부(41)가 바디(20)와 쉘(10)의 수용부(13)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디(20)와 수용부(13)의 사이를 거쳐서 플러그 바디(1)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수용 시일재(40)의 저면부(43)가 바디(20)와 쉘(10)의 안쪽 돌기부(12)의 사이에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디(20)와 수용부(13)의 사이를 거쳐서 플러그 바디(1)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A)에 플러그(B)를 접속한 상태에서, 방수용 시일재(40)의 링부(42)가 콘센트(A)의 오목부(113)의 저면(114) 및 안둘레면(115)과 쉘(10)의 앞단면에 밀착한다. 이에 따라, 콘센트(A)에 플러그(B)를 접속한 상태에서, 오목부(113)와 플러그 바디(1)의 사이로부터 삽입구(111)를 향해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링부(42)가 바디(20)의 앞단면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20)의 앞단면에 물방울이 묻어 있었다고 해도 쉘(10)쪽으로 물방울이 흐르는 것이 억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플러그 바디(1)(쉘(10))를 쥐었을 때에 물방울이 작업자의 손에 묻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에 물방울이 묻은 상태에서 플러그(B)를 콘센트(A)로부터 꽂고 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러그를 옥외의 벽면에 마련되는 방수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로서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전원용 단자(50)의 구성 및 접지 플러그 핀(71) 및 시일 부재(73)의 형상이 다르다. 이하, 본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의 시일 부재(5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동 플러그 블레이드(51)를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1d)이 마련되어 있다.
보조 부재(52)는 제 1 실시형태의 보조 부재(52)에 비해, 전후 방향 X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53)는 제 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53)에 비해, 전후 방향 X의 두께가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53)에는 관통 구멍(51d)을 삽입 통과하고, 시일 부재(53)의 상하 방향 Z의 내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3a)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의 시일 부재(6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동 플러그 블레이드(61)를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1e)이 마련되어 있다.
보조 부재(62) 및 시일 부재(63)는 보조 부재(52) 및 시일 부재(53)와 마찬가지로 보조 부재(62)의 전후 방향 X의 두께가 얇아지고 시일 부재(63)의 전후 방향 X의 두께가 두껍게 된다. 시일 부재(63)에는 관통 구멍(61e)을 삽입 통과하고, 시일 부재(63)의 상하 방향 Z의 내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63a)가 마련되어 있다.
접지 플러그 핀(71)의 시일 부재(73)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 핀(71)을 상하 방향 Z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71c)이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에는 관통 구멍(71c)을 삽입 통과하고, 시일 부재(73)의 내면 중의 상하 방향 Z를 연결하는 연결부(73a)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는 시일 부재(53, 63)와 일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에 보조 부재(52, 62)를 각각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사출 성형용의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한다. 이 금형에는 시일 부재(53, 63)의 형상에 상당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에 시일 부재(53, 63)의 성형 재료가 주입된다. 연결부(53a, 63a)는 성형 재료가 관통 구멍(51d, 61e)을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접지 플러그 핀(71)은 시일 부재(73)와 일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지 플러그 핀(71)을 사출 성형용의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한다. 이 금형에는 시일 부재(73)의 형상에 상당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에 시일 부재(73)의 성형 재료가 주입된다. 연결부(73a)는 성형 재료가 관통 구멍(71c)을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시일 부재(53, 63, 73)의 내면 및 연결부(53a, 63a, 73a)와 각 플러그 블레이드(51, 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표면 및 관통 구멍(51d, 61e, 71c)의 각 안둘레면은 서로 밀착되어 있다. 또, 각 시일 부재(53, 63)의 뒷단면과 보조 부재(52, 62)의 앞단면은 서로 밀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의 뒷단면과 확대부(71b)의 앞단면은 서로 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10]에 부가해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를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를 각별하게 제조한 후에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시일 부재(53)를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가 일체화된 것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를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시일 부재(53)를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의 사이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와 시일 부재(63), 및 접지 플러그 핀(71)과 시일 부재(73)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2]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관통 구멍(51d)이 마련되고, 시일 부재(53)에 연결부(53a)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를 일체 성형할 때에 성형 재료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에 시일 부재(53)를 일체 성형하기 쉬워진다. 또한, 관통 구멍(51d)과 연결부(53a)의 사이도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와 시일 부재(53)의 사이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와 시일 부재(63), 및 접지 플러그 핀(71)과 시일 부재(73)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러그를 옥외의 벽면에 마련되는 방수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로서 구체화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보조 부재 및 시일 부재가 생략되는 점, 및 방수용 시일재의 형상이 다르다. 이하, 본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용 시일재(40)에는 링부(42) 대신에, 원통부(41)로부터 연속되고, 바디(20)의 앞단면의 전체면을 덮는 앞면 커버부(45)가 마련되어 있다. 앞면 커버부(45)에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을 각각 삽입 통과하기 위한 제 1 삽입 통과 구멍(46), 제 2 삽입 통과 구멍(47) 및 제 3 삽입 통과 구멍(4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들 삽입 통과 구멍(46∼48)을 구성하는 내면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에 각각 밀착되어 있다. 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면 커버부(45)는 나사 부재(SC1)를 덮고 있다.
콘센트(A)에 플러그(B)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앞면 커버부(45)는 바디(20)의 앞단면과 콘센트(A)의 오목부(113)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 앞면 커버부(45)는 오목부(113)의 저면(114)의 전체면도 덮게 된다. 한편, 제 1 삽입 통과 구멍(46)∼제 3 삽입 통과 구멍(48)은 각 삽입구(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삽입구(111)의 둘레가장자리를 덮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6]∼[8] 에 부가해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3]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일부재의 방수용 시일재(40)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과 플러그 바디(1)의 바디(20)의 사이를 각각 밀봉하기 때문에, 시일 부재(53, 63, 73)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부재(52, 62)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B)의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14]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앞면 커버부(45)는 나사 부재(SC1)를 덮기 때문에, 나사 부재(SC1)와 나사 삽입 통과부(25)의 사이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5]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A)에 플러그(B)를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방수용 시일재(40)의 앞면 커버부(45)가 콘센트(A)의 오목부(113)의 저면(114)과 쉘(10)의 앞단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콘센트(A)에 플러그(B)를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113)와 플러그 바디(1)의 사이로부터 삽입구(111)를 향해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6]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면 커버부(45)가 각 삽입구(111)의 둘레가장자리를 덮기 때문에,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과 이들에 대응하는 삽입구(111)의 사이로부터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러그를 가옥의 옥외의 벽면에 마련되는 방수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로서 구체화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 제 2 플러그 블레이드 및 접지 플러그 핀을 바디에 삽입 통과한 상태에 있어서 포팅(potting) 처리를 실시한 점에서 다르다. 이하, 본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보조 부재(52, 62) 및 시일 부재(53, 63, 73)를 생략하는 대신, 바디(20)의 제 1 오목부(26)∼제 3 오목부(28)에는 포팅재(potting material)(29)가 각각 충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디(20)에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을 부착한 상태의 것을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한다. 그리고, 제 1 오목부(26), 제 2 오목부(27) 및 제 3 오목부(28)의 각각에 포팅재(29)가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6]∼[10]에 부가해서,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7]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오목부(26), 제 2 오목부(27) 및 제 3 오목부(28)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사이를 포팅재(29)로 각각 충전하는 것에 의해, 각 오목부(26∼28)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사이가 각각 밀봉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오목부(26∼28)와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사이로부터 플러그 바디(1)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을 각각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오목부(26∼28)에만 포팅재(29)를 충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바디(20)의 뒷면 전체에 걸쳐 포팅재(29)를 충전하는 구성에 비해, 포팅재(29)의 충전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예끼리를 서로 조합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는 각각 조합해서 실시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를 접지 플러그 핀(71)과 마찬가지로 원주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의 각각에 확대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보조 부재(52, 62)를 각각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를 접지 플러그 핀(71)과 마찬가지로 원주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일 부재(53, 63)를 각각 가압하는 보조 부재(52, 62)를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의 각각에 부착했지만, 보조 부재(52, 62)는 생략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일 부재(53, 63, 73)를 플러그 바디(1)의 내부에 마련했지만, 시일 부재(53, 63, 73)의 배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일 부재(53, 63, 73)를 플러그 바디(1)의 외부에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일 부재(53, 63, 73)는 바디(20)의 선단면측의 제 1 삽입 통과 구멍(22)∼제 3 삽입 통과 구멍(24)의 둘레가장자리로 꽉 눌러진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수용 시일재(40)는 바디(20)의 앞단면을 덮는 것에 의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과 바디(20)의 사이를 밀봉하는 구성이었지만, 방수용 시일재(4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수용 시일재(40)는 저면부(43)를 안쪽으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바디(20)의 뒷면을 덮는 것에 의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과 바디(20)의 사이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부재(52, 62) 및 시일 부재(53, 63, 73)를 각각 생략한 구성으로 했지만,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및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에 보조 부재(52, 62) 및 시일 부재(53, 63)를 부착하는 구성 및 접지 플러그 핀(71)에 시일 부재(73)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3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5]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디(20)에 제 1 오목부(26)∼제 3 오목부(28)를 마련하는 동시에, 각 오목부(26∼28)에 포팅재(29)를 충전했지만, 포팅재(29)를 충전하는 오목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모두를 수용하는 하나의 오목부를 바디(20)에 마련하는 동시에, 이 오목부에 포팅재(29)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 바디(20)에 마련되는 오목부를 생략하는 동시에 쉘(10)의 안쪽 돌기부(12)의 안둘레면과 바디(20)의 뒷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오목부에 포팅재(29)를 충전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모두에 시일 부재(53, 63, 73)를 각각 부착했지만, 제 1 플러그 블레이드(51), 제 2 플러그 블레이드(61) 및 접지 플러그 핀(71)의 적어도 하나에 시일 부재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B)를 단상 200V용의 플러그로서 설명했지만, 플러그(B)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플러그(B)로서 단상 100V용의 플러그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접지용 단자(7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A)를 옥외에 마련된 방수 콘센트에 적용했지만, 콘센트(A)는 옥내의 콘센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A…콘센트, B…플러그, SC1∼SC4…나사 부재,
SP…나사용 패킹, 1…플러그 바디, 2… 단자, 3…케이블,
4…케이블 유지부, 10…쉘, 11…쉘 본체부, 12…안쪽 돌기부,
12a…앞단면, 13…수용부, 20…바디, 21…바디 본체부,
22… 제 1 삽입 통과 구멍(삽입 통과 구멍),
23…제 2 삽입 통과 구멍(삽입 통과 구멍),
24…제 3 삽입 통과 구멍(삽입 통과 구멍), 25…나사 삽입 통과 구멍,
25a…관통 구멍, 25b…탑재부, 26…제 1 오목부,
27…제 2 오목부, 28…제 3 오목부, 29…포팅재,
30…커버, 31…커버 본체부, 32…나사 삽입 통과 구멍,
33…제 1 유지부, 33a…제 1 맞닿음부, 34… 제 2 유지부,
35…제 3 유지부, 35a…제 3 맞닿음부, 40…방수용 시일재,
41…원통부, 42…링부, 43…저면부,
44…나사 삽입 통과 구멍, 45…앞면 커버부,
46… 제 1 삽입 통과 구멍, 47… 제 2 삽입 통과 구멍,
48… 제 3 삽입 통과 구멍, 50… 전원용 단자,
51…제 1 플러그 블레이드(플러그 핀), 51a…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
5lb…나사 삽입 통과부, 51c…돌기부, 51d…관통 구멍,
52…보조 부재, 52a…프레임체부, 52b…오목부,
53…시일 부재(방수용 시일재), 53a…연결부,
60… 전원용 단자, 61…제 2 플러그 블레이드(플러그 핀),
61a…플러그 블레이드 본체부, 61b…나사 삽입 통과부,
61c…단부, 61d…돌기부, 61e…관통 구멍,
62…보조 부재, 62a…프레임체부, 62b…오목부,
63…시일 부재(방수용 시일재), 63a…연결부,
70…접지용 단자, 71… 접지 플러그 핀(플러그 핀),
71a…핀 본체부, 71b…확대부, 71c…관통 구멍,
72…단자판, 72a…판본체부, 72b…고정부,
72c…나사 삽입 통과 구멍, 73…시일 부재(방수용 시일재),
73a…연결부, 80…코드 클립, 81…클립 본체부,
82…수용부, 83…케이블 수용부, 84…나사 삽입 통과 구멍,
85…바깥둘레 홈, 85a…평면부, 90…코드 푸싱,
91…관통 구멍, 100…링 부재, 101… 평면부,
110…콘센트 본체, 111…삽입구, 112…방수 커버,
113…오목부, 114…저면, 115…안둘레면, 120…도어 개폐 기구,
121…도어.

Claims (6)

  1. 플러그 바디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플러그 핀을 구비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의 선단면에는 상기 플러그 핀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시일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플러그 핀의 사이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핀에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향해 가압하는 보조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는, 상기 보조 부재가 상기 시일 부재를 가압하는 방향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전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핀과 상기 시일 부재는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단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핀과 상기 복수의 플러그 핀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사이를 각각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110016188A 2010-02-26 2011-02-23 플러그 KR101182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2827 2010-02-26
JP2010042827A JP4971475B2 (ja) 2010-02-26 2010-02-26 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52A true KR20110098652A (ko) 2011-09-01
KR101182912B1 KR101182912B1 (ko) 2012-09-14

Family

ID=4460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188A KR101182912B1 (ko) 2010-02-26 2011-02-23 플러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71475B2 (ko)
KR (1) KR101182912B1 (ko)
CN (1) CN102195201B (ko)
TW (1) TWI4266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784B2 (en) 2013-06-05 2016-02-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plug with male contact displacement preven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5409B2 (ja) * 2013-02-15 2016-09-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25924B2 (ja) * 2013-06-20 2017-05-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599906A (zh) * 2013-10-30 2015-05-06 益而益(集团)有限公司 插头式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3105Y2 (ko) * 1975-08-09 1981-08-06
JPH0317420Y2 (ko) * 1986-01-14 1991-04-12
JPH03100191U (ko) * 1990-01-29 1991-10-18
JP3422488B2 (ja) * 2001-01-22 2003-06-30 株式会社畑屋製作所 プラグ用防水カバー及びその防水カバーの装着用ガイド、並びにプラグ用防水カバーの装着方法
JP4020358B2 (ja) * 2001-10-01 2007-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防油水構造
DE10332298B4 (de) 2003-07-16 2018-09-27 Schaltbau Gmbh Wasserdichter Druckkontakt-Steckverbinder, Kontaktelement für einen wasserdichten Druckkontakt-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taktelements
JP3100191U (ja) * 2003-09-01 2004-04-30 建通精密工業股▲ひん▼有限公司 防水型絶縁端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784B2 (en) 2013-06-05 2016-02-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plug with male contact displacement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95201A (zh) 2011-09-21
TW201203733A (en) 2012-01-16
JP4971475B2 (ja) 2012-07-11
TWI426665B (zh) 2014-02-11
JP2011181261A (ja) 2011-09-15
CN102195201B (zh) 2013-10-09
KR101182912B1 (ko) 201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967B1 (ko) 밀봉형 전기 커넥터
RU2544733C2 (ru) Приводной инструмент
KR101182912B1 (ko) 플러그
US6872092B2 (en) Waterproof connector with waterproof rib for sealed engagement with a rubber plug
JP5184619B2 (ja) コネクタ
JP2002134219A (ja)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20090142971A1 (en) Socket for a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JP6093323B2 (ja) 物理量測定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9149A (ja) 防水コネクタ、防水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JP2001176617A (ja) コネクタ
KR101806752B1 (ko) 회전 전기기계
JP2012084553A (ja) プラグ
JP6014464B2 (ja) パッキン装着構造及びコネクタ
KR20170092593A (ko) 밀폐식 플러그 커넥터
CN112555487A (zh) 电动阀
KR20200065090A (ko) 커넥터
JP5811198B2 (ja) 電気コネクタ用シール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151897B1 (ko) 방수커넥터
JP6781937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109994972B (zh) 用于电缆馈通的组件
CN110392962B (zh) 电子零件的连接结构及马达、电子零件的连接方法
JP5708855B1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2256494B1 (ko) 단자용 시일 부재, 그 제조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CN111146611A (zh) 具备改进端子的电源用连接器装置
JP2016018598A (ja) 防水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