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593A - 밀폐식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밀폐식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2593A KR20170092593A KR1020177017316A KR20177017316A KR20170092593A KR 20170092593 A KR20170092593 A KR 20170092593A KR 1020177017316 A KR1020177017316 A KR 1020177017316A KR 20177017316 A KR20177017316 A KR 20177017316A KR 20170092593 A KR20170092593 A KR 201700925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front housing
- portions
- sealing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서로에 플러그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2개의 플러그부는 각각 서로에 적합한 전방 하우징부(100, 200) 및 서로에 적합한 전기 접촉 요소(120, 220)를 가지고, 서로 플러그된 상태에서 2개의 상기 전방 하우징부(100, 200)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225)상에 중첩된다. 특히, 상기 2개의 전방 하우징부(100, 200)는 하나의 전방 하우징부(100)상에 배치된 밀봉 립(125) 및 다른 전방 하우징부(200)상에 배치된 환상의 홈(230)에 의해 상기 2개의 플러그부의 상호 플러깅으로 인한 플러그 접속을 외측으로 밀봉한다. 상기 환상의 홈(230)은 내측으로는 환상의 회전식 밀봉면(235, 235’)에 의해, 외측으로는 환상의 회전식 칼라(225)에 의해 둘러싸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따른, 서로 플러그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관련된 밀폐식 커넥터(sealing connector)는 접촉 요소용 챔버를 갖는 접촉 하우징과, 상대측-접촉 요소용의 대응하는 챔버를 갖는 상대측 접촉 하우징을 가진다. 양(兩) 접촉 하우징은 중앙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착탈식으로 서로 플러그된다. 플러그된 상태에서, 2개의 하우징은 서로 마주하는(면한) 영역과 중첩되며, 여기서 접촉 하우징은 상대측 접촉 하우징을 수용한다. 상기 상대측 접촉 하우징에 면한(대향한) 기저벽에 있어서, 상기 접촉 하우징은 서로 대응하는 플러그 접촉용의 플러그인홀(plug-in hole)을 구비하고, 상기 상대측 접촉 하우징은 그 내부에 구성된, 기저벽에 면한(대향한) 전방벽에 플러그인홀을 가진다. 상기 중첩된 영역에서, 환상 공간이 하우징들 사이에 형성되고, 여기에 환상 탄성 밀봉부(seal)이 배치된다. 중첩된 영역에서 떨어진 한 측면에, 2개의 하우징은 케이블 통로를 구비한다.
EP 0 091 770 A2호에는 2개의 하우징부를 갖는 상기와 같은 커넥터를 개시하는데, 여기서 밀봉부는 반지름 방향으로 압축되는 축방향 밀봉부로서 설계되고, 상기 밀봉부는 접촉 하우징상의 어깨면와 상대측 접촉 사우징의 공급측의 격벽 사이에 배치된다. 공정에서, 환상의 밀봉부는 어느 하나의 하우징부의 용기(receptacle) 또는 오목부(recess)에 결합하고, 링 평면에 수직한 2개의 하우징부의 결합시에 다른 하우징부에 돌출된 칼라(collar)에 의해 가압되거나 또는 압축된다. 그 결과, 밀봉부는 반지름 방향으로 팽창되고, 그 외주면 및 내주면으로써 하나의 하우징부의 외주면 및 오목부의 내주면에 대해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문헌에 기술된 밀봉부는 축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반지름 방향으로 압축되는데, 축방향으로 밀봉부를 함께 가압할 수 있도록 오목부의 내주벽에 어깨면이 요구된다.
DE 41 06 714 A1호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심축의 방향으로 서로 착탈식으로 플러그될 수 있고, 서로 잠글 수 있는 두 개의 플러그부를 가진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하나의 플러그부는 하우징인데, 여기에 접촉 요소용 챔버와 상기 챔버로부터 후방으로 연재(延在)하는 케이블 통과 구멍이 배치된다. 다른 플러그부는 상대측 접촉 요소용 챔버를 가지며 플러그부들이 함께 플러그될 때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포트형 수용 하우징이다. 여기서, 플러그인홀은 하우징의 전방벽, 및 서로 대응하는 접촉 요소용 수용 하우징의 기저벽에 제공된다. 환상의 탄성 밀봉부는 하우징의 주(周)면과 수용 하우징의 내주면간에 형성된 환상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환상의 탄성 밀봉부는 하우징상의 어깨면과 공급측상의 기저벽 사이에 배치된다. 이 커넥터의 경우에, 밀봉부를 축방향으로 한정하는 두 개의 격벽과 이를 수용하는 밀봉 공간은 하우징상에 배치되어, 격벽간의 간극의 크기는 본질적으로 항상 동일하므로 밀봉부의 폭에 용이하게 적합화할 수 있다. 하우징과 수용 하우징 사이의 밀봉은 수납 하우징의 내주면과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반지름 방향으로 과잉으로 밀봉부를 설치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DE 10 2007 024 475 A1호에 개시된 밀폐 커넥터 하우징은, 길이방향 중심축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서로 플러그될 수 있는, 접촉 요소용 챔버를 가진 접촉 하우징 및 상대측 접촉용 챔버를 가진 상대측 접촉 하우징을 가진다. 플러그된 상태에서, 접촉 하우징과 상대측 접촉 하우징은, 접촉 하우징이 상대측 접촉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서로 마주보는(면한) 영역과 중첩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또한 중첩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배치 된 케이블 통로와, 중첩 영역 내의 두 개의 접촉 하우징 사이의 환상의 탄성 밀봉부를 갖는다. 밀봉부는 수용 접촉 하우징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축 방향으로 접촉 하우징의 케이블 통로 측벽의 오목부를 채운다. 밀봉부는 또한 접촉 하우징의 케이블 통로 측벽의 내부에 성형된 환상의 플랜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대측 접촉 하우징에 대향하는 반지름 방향의 밀봉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밀봉부에는, 또한 상기 홈에 의해 형성된 밀봉 바(sealing bar)를 가진, 주방향(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존재한다.
DE 10 2007 024 475 A1호에 기재된 상대측 접촉 하우징이 접촉 하우징에 삽입되면, 그 벽은 접촉 하우징에 형성된 환상의 간극과 결합하고, 이 과정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밀봉부를 압축한다. 소정의 플러그 위치에서, 상대측 접촉 하우징의 환상의 전면(前面)은 벽의 환상의 내부면에 접한다. 이 위치에서 두 개의 하우징이 서로 맞물리게 되는데,이를 위해 서로에 대응하는 맞물림 요소가 이들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서로에 플러그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2개의 플러그부는 각각 서로에 적합한 전방 하우징부 및 서로에 적합한 전기 접촉 요소를 가지고, 서로 플러그된 상태에서 2개의 상기 전방 하우징부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상에 중첩된다. 특히, 상기 2개의 전방 하우징부는 하나의 전방 하우징부상에 배치된 밀봉 립(seal lip) 및 다른 전방 하우징부상에 배치된 환상의 홈에 의해 상기 2개의 플러그부의 상호 플러깅으로 인한 플러그 접속을 외측으로 밀봉하고, 환상의 홈은 내측으로는 환상의 회전식 밀봉면에 의해, 외측으로는 환상의 회전식 칼라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술한 밀봉 립, 홈, 칼라의 협동에 의해, 상기 2개의 플러그부의 상호 플러깅으로부터 특히 양호한 외측 밀봉(특히, 튀는 물 등에 대한 외측 밀봉)을 얻는다.
독립항에 특정된 상술한 커넥터의 유리한 추가의 개선 및 개량은 종속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면의 축방향 높이 또는 길이와 상기 칼라의 축방향 높이의 비율(h밀봉면/h칼라)은 4/1 내지 6/1의 범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편으로는 2개의 플러그부가 함께 플러그될 때뿐만 아니라 기존의 플러그 접속이 분리될 때에도 매우 양호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마찰력이 작용한다.
상술한 낮은 힘의 작용과 밀봉 효과는, 하나의 전방 하우징부(200)를 탄성변형가능한 고무상 재료로, 그리고 다른 전방 하우징부(100)를 본질적으로 비탄성변형가능한 경질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지티브 및/또는 비포지티브 접속이 보다 용이하게 확립되고 재차 분리될 수 있으며, 이 때 밀봉 효과는 보다 부드러운 재료의 탄성에 의해 이미 매우 효율적이다.
상술한 낮은 힘의 작용과 밀봉 효과는, 홈의 기부를 향해 반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는 굴곡부(bend)를 가진다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밀봉 립에는, 2개의 플러그부가 서로 플러그된 후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사전에 압축 응력이 주어진다(pre-stressed). 그 결과로서 생성된 변형 또는 경사에 의해, 밀봉 립 영역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밀봉이 얻어진다. 이 공정에서, 굴곡부는 칼라의 높이 h칼라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특히 밀봉 립의 특히 양호한 탄성 사전 압축 응력이 얻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부의 전기 접촉 요소가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커넥터인 경우, 커넥터 본체는 플러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재하는 외부 형상(윤곽)을 가지며, 상기 외부 형상(윤곽)은, 커넥터 본체와 전방 하우징부의 결합시에 상기 각 전방 하우징부의 상응하는 내부 형상(윤곽)과 협력하여 포지티브 접속 및/또는 마찰에 의해 결합된 접속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윤곽)에 의해, 상기 플러그부의 제조가 상당히 단순화된다.
또한, 각 케이블측 단부상의 플러그부는 전방 하우징부로부터 분리된 후방 하우징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 하우징부는 주입가능한 및/또는 몰딩가능한 밀봉재의 오버 몰딩 또는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플러그부의 제조는 보다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속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는 일치하는 참조 번호로 참조된다.
도 1: 관련 커넥터의 본 발명의 제1 플러그부의 등각도, 즉 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 관련 커넥터의 본 발명의 제2 플러그부의 등각도, 즉 정면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1에 도시된 제1 플러그부의 등각 분해도이다. 즉, 대응하는 커넥터 하우징, 대응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로 제공된 케이블 하니스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3에 도시된 제1 플러그부의 등각도로서, 조립후이기는 하지만 케이블측상에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밀봉부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도 2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의 등각 분해도이다. 즉, 대응하는 커넥터 하우징, 대응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로 제공된 케이블 하니스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도 5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의 등각도로서, 조립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 도 5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의 등각도로서, 케이블측 밀봉부 형성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 도 4b에 도시된 플러그부와의 플러그 접속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7b: 도 6b에 도시된 플러그부와의 플러그 접속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8: 도 4b 및 도 6b에 도시된 플러그부를 가진, 도 7b에 따라 형성된 플러그 접속의 중심축을 따른 종(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 관련 커넥터의 본 발명의 제2 플러그부의 등각도, 즉 정면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1에 도시된 제1 플러그부의 등각 분해도이다. 즉, 대응하는 커넥터 하우징, 대응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로 제공된 케이블 하니스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3에 도시된 제1 플러그부의 등각도로서, 조립후이기는 하지만 케이블측상에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밀봉부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도 2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의 등각 분해도이다. 즉, 대응하는 커넥터 하우징, 대응하는 커넥터 본체 및 커넥터로 제공된 케이블 하니스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도 5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의 등각도로서, 조립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 도 5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의 등각도로서, 케이블측 밀봉부 형성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 도 4b에 도시된 플러그부와의 플러그 접속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7b: 도 6b에 도시된 플러그부와의 플러그 접속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8: 도 4b 및 도 6b에 도시된 플러그부를 가진, 도 7b에 따라 형성된 플러그 접속의 중심축을 따른 종(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제1 플러그부는 전방 하우징부(100) 및 후방 하우징부(105)를 갖는다. 2개의 하우징부(100, 105)는 그들의 이행부(transition)(110)에서, 특히 튀는 물로부터 밀봉된다. 이러한 이행부(110)의 형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전방 하우징부(100)의 내부에는 제1 커넥터 본체(115)가 배치되어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는 4 개의 상대측 접촉 요소(120)를 갖는다. 상대측 접촉 요소(120)는 제2 플러그부의 후술하는 접촉 요소(예: 접촉 핀)와 협력하여, 4선식 전기 플러그 접속(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15) 또는 상대측 접촉 요소(120)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커넥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플러그부는 기능면에서 소위 암 커넥터 (female connector)에 해당한다.
커넥터 본체(115)에 접한 전방 하우징부(100)는 상대적으로 연질 또는 고무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제2 플러그부에 대해 그리고 상술한 커넥터 본체(115)에 대해 밀봉 요소를 형성한다. 전방 하우징부(100)는, 상술한 목적을 위해, 커넥터 본체(115)의 외부에 배치된 윤곽부에 결합 또는 맞물리는 후술하는 내부 윤곽(형상)을 가지며, 그 결과 기계적으로 안정하고, 적어도 커넥터 본체(115)와 전방 하우징부(100)간에 방수 접속(연결)이 이루어진다. 전방 하우징부(100)는, 상대측 접촉 요소(120)에 접근가능한 측에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밀봉 립(125)을 가지는데, 이의 정확한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1 플러그부의 케이블측 단부 상에 배치된 후방 하우징부(105)는,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커넥터 본체(115)의 대응하는 케이블측 부분을, 몰딩가능한 및/또는 주입가능한 밀봉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오버 몰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오버 몰딩은 특히 커넥터 본체의 이 부분을, 인접한 튀는 물 및 단지 도 1에서는 함축된 케이블 하니스(130)(상대측 접촉 요소(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함)에 대해 밀봉하는 기능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는, 도 1에 도시된 제1 플러그부와 협력하며, 커넥터측 전방 하우징부(200) 및 케이블측 후방 하우징부(205)를 포함한다. 2개의 하우징부(200, 205)는 튀는 물에 대해 밀봉하는 방식으로 이음매(210)에서 함께 결합된다. 이러한 밀봉 이음매의 제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전방 하우징부(200)에는, 차례로 커넥터 본체(215)가 배치되고, 이는 전방 하우징부(200)에 단단히 안착되어, 제2 플러그부의 앞쪽에서도 튀는 물로부터 상술한 보호를 제공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커넥터 본체(215)는 접촉 요소로서, 스프링 (220)을 갖거나 갖지 않고 장착되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4개의 접촉 핀을 가지므로, 작동 모드에서 다극 커넥터에 대응한다. 제1 플러그부 (도 1)와 제2 플러그부 (도 2)의 결합의 경우에, 접촉 핀(220)은 대응하는 상대측 접촉 요소(120)에 결합해서 대응하는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1 및 2에 도시된 플러그부들은, 2 개의 상기 플러그부의 연결 또는 플러그 연결 후에, 예를 들어 튀는 물로부터 플러그 접속을 보호하기 위해, 이하에 설명된 방식으로 협력한다.
도 2에 도시된 플러그부는 밀봉 칼라(225) 및 홈(230)을 가지는데, 제2 플러그부과 제1 플러그부의 결합에서 칼라(225)는 도 1에 도시된 밀봉 요소로서 작용하는 제1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100)를 견인해서, 결과적으로 특히 튀는 물로부터 밀폐형 보호를 달성한다.
제1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와 대조적으로, 칼라(225)를 형성하는 제2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는 비교적 단단하거나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고무, 금속 등으로 제조된다. 이 과정에서, 밀봉 효과는 전술한 칼라(225), 홈(230) 및 밀봉면(235)의 조합을 통해, 즉 특히 제1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의 탄성에 기인해서 상술한 밀봉면(235)을 형성하는 제2 플러그부의 외부에 대한 내부의 밀접한 핏(fit)뿐만 아니라, 탄성에 기인한 제2 플러그부의 홈(230) 에 대한 제1 플러그부의 밀봉 립(125)의 비포지티브 핏(non-positive fit)을 통해, 얻어진다.
밀봉면(235)의 높이와 칼라(225)의 높이간의 상대적인 치수 또는 비율은, 예를 들어, h밀봉면/h칼라는 5/1부터의 범위이다.
또한 도 2에 따른 제2 플러그부 상에, 전방 하우징부(200) 상에 배치된 커넥터 개구의 양측에, 제1 플러그부의 대응하는 스냅핑 요소와의 맞물림(snapping)을 위해 오목부(240)가 배치되는데, 이로써 탄성적인 사전 압축 응력(pre-stressing)으로 2개의 플러그부간의 상술한 탈착가능한 접속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해서, 도 1에 도시된 제1 플러그부가 어떻게 제조되는지를 설명한다. 그 개별 부품은 다음과 같다:
1. 밀봉 립(125)을 갖는 전방 하우징부(100)
2. 4 개의 상대측 접촉 요소(315) 및 4개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체(320)를 갖는 케이블 하니스(130), 및
3. 조립후에 상술한 접촉 핀(315)이 결합하여 상술한 상대측 접촉 요소(120)를 형성하는, 4개의 오목부(120)를 갖는 커넥터 본체(115).
커넥터 본체(115)의 일 측면 상에,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정위치에 로킹(잠금)하여, 특히 전방 하우징부(100)의 조립 또는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조립 요소(300)를 배치한다. 이 도면에 보이는 커넥터 본체(115)의 국부 윤곽(형상)(305)에는, 웹 성형 설계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전방 하우징부(100)의 본질적으로 거울반전된 내측 윤곽(형상)이 정 위치에 결합 또는 말물리게 된다. 제1 플러그부와 제2 플러그부의 상호 결합 또는 플러깅의 경우에, 커넥터 본체(115) 상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노우즈 또는 로킹 노우즈(그 중 하나의 로킹(잠김) 노우즈(310)만이 도시되어 있음)는, 제2 플러그부의 각각의 상술한 오목부(240)에 결합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1 플러그부, 즉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조립 이후이지만 도 1에 도시된 후방 하우징부(105) 또는 대응하는 캐이블측 하우징 밀봉부를 형성하기 전의 (제1 플러그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본체(115) 및 대응하는 상대측 접촉 요소(120)와의 조립후에 밀봉 립(125)을 갖는 전방 하우징부(100)가 어떻게 설계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후방 하우징부(105) 또는 대응하는 하우징 밀봉부는 아직 배치되지 않아서, 케이블 하니스(130), 특히 4개의 전기 전도체 또는 케이블(320)이 여전히 외측으로 보호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제2 플러그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한다. 개별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밀봉 칼라(225)뿐만 아니라 밀봉면(235, 235’)을 갖는 전방 하우징부(200)
2. 각각 쌍(505)을 이루고 있는, 접촉 핀(220) 및 4개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체(507)의 형태인 4개의 접촉 요소를 갖는 케이블 하니스(510), 및
3. 오목부(240)를 형성하는 개구부(515)를 갖는 커넥터 본체(500)(여기서, 2개의 플러그부를 연결 또는 플러그시키는 경우에,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잠금 노우즈(310)가 관여(결합)한다).
도 6a는, 도 5에 따른 제2 플러그부를 도시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조립 이후이지만 도 2에 도시된 후방 하우징부(205) 또는 대응하는 캐이블측 하우징 밀봉부를 형성하기 전의 (제2 플러그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제2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200)는,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100)와 비교하여, 보다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거나 제조된다. 이 재료의 실시 형태가 갖는 한가지 이점은, 제1 및 제2 플러그부을 함께 플러깅하는 경우, 매우 양호한 포지티브 및 특히 비포지티브 접속, 그리고 결과적으로 플러그 접속의 상술한 밀폐식(기밀) 밀봉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들 실시 형태의 경우 두 개의 전방 하우징부(100, 200) 중 단지 하나만이 비교적 부드럽게(소프트하게) 구현되므로, 두 개의 플러그부는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서로 플러그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전방 하우징부(100, 200)는 동일한 비교적 경질 또는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밀봉성이 나쁘거나, 두 개의 플러그부가 서로 플러그될 때 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도 6a로부터, 칼라(225)뿐만 아니라 밀봉면(235, 235’)을 갖는 전방 하우징부(200)가, 조립 후에, 도 5에 등각적으로 도시된 커넥터 본체(500) 및 여기서는 전방 하우징부(200)의 외표면(235’)에 의해 감추어지거나 보이지 않는 대응하는 접촉 요소(220)로 어떻게 설계되는지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는, 도 2에 도시된 후방 하우징부(205) 또는 대응하는 하우징 밀봉부가 아직 부착되지 않아서, 4개의 전기 전도체(507)를 갖는 케이블 하니스(510) 및 커넥터 본체(500)의 후방부는 여전히 외부로 보호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따라서 완성된 제2 플러그부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a에서는, 후방 하우징부(205)가 이미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적절한 재료로 오버 몰딩하는 것에 의한다. 전방 하우징부(200)와 후방 하우징부(205)간의 연결부(210)에서는, 통상적으로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상술한 연결 이음매(connection seam)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외측으로 밀봉된 전기 플러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전술한 완성된 제1 플러그부와 제2 플러그부가 어떻게 함께 플러그되는지를 도시한다. 이로써, 도 7a는 함께 플러그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확립된 플러그 접속을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플러그 접속의 경우에, 모든 이행부(transition)는 본질적으로 외측으로 기밀 밀봉되고, 특히 튀는 물의 침투로부터 보호된다. 이러한 이행부는 각각의 케이블 하니스(130, 510)까지 각 후방 하우징부간의 이행부, 각각의 전방 및 후방 하우징부간의 이음매(110, 210)뿐만 아니라, 2개의 플러그부간의 플러그 접촉 영역(700)을 포함한다.
도 8은 도 7b에 따라 형성된 플러그 접속의 중심축을 따른 (또는 중심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약간 오프셋된) 종단면도(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즉, 전술한 플러그 접촉 영역(700)의 플러그 접속의 양측상의 상기 플러그 접속의 단면도이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은 커넥터의 상술한 요소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이 도면의 우측에는 제1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100), 상대측 접촉 요소(120)를 갖는 제1 커넥터 본체(115)뿐만 아니라 제1 플러그부 상에 배치된 밀봉 립(125)이 도시되어 있다. 좌측에는 제2 플러그부의 요소들, 즉 대응하는 커넥터측 전방 하우징부(200), 케이블측 후방 하우징부(205), 및 접속부의 이음매(210) 또는 2개의 하우징부(200, 205)간의 이행부가 존재한다. 또한, 도 8로부터, 제2 플러그부의 접촉 핀(220)이 커넥터 본체 (115)의 각 오목부(120)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술한 상대측 접촉 슬리브(315)에서 서로 플러그된 상태로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알 수 있다.
도 8에서는 특히 상술한 칼라(225) 이외에, 밀봉면(235, 235’) 및 홈(2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특히 칼라(225)에 의해 형성된 홈(230)이 칼라 가장자리(800)의 높이에서 어떻게 굴곡하는지(구부러지는지)를 알 수 있다. 이 굴곡부(bend)(800)를 통해, 밀봉 립(125)의 영역중 우측에 도시된 제1 플러그부의 전방 하우징부(100)는 다소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805)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밀봉 립(125)의 영역에서의 이러한 추가적인 변형 또는 경사(tilting)를 통해, 결과적으로 홈(230)의 반지름 반향 내측에 환상의 홈(230)을 둘러싼 탄성적으로 사전 압축 응력이 주어진(pre-stressed) 밀봉선(810)이 형성되므로, 보다 향상된 밀봉(성)이 얻어진다.
도 8은 또한 칼라(225)의 상술한 높이 h칼라(815)뿐만 아니라 밀봉면(235, 235’)의 높이 h밀봉면 (820)이 어떻게 규정(정의)되는지를 나타낸다.
전술한 4 개의 접촉 또는 상대측 접촉 요소의 배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더 많거나 적은 접촉 요소와의 플러그 접속에서도 상응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0, 200 전방 하우징부
120, 220 전기 접촉 요소
125 밀봉 립
225 환상 칼라
230 환상의 홈
235, 235’ 밀봉면
120, 220 전기 접촉 요소
125 밀봉 립
225 환상 칼라
230 환상의 홈
235, 235’ 밀봉면
Claims (7)
- 서로에 플러그될 수 있는 2개의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2개의 플러그부는 각각 서로에 적합한 전방 하우징부 및 서로에 적합한 전기 접촉 요소를 가지고, 서로 플러그된 상태에서 2개의 상기 전방 하우징부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상에 중첩되고, 상기 2개의 전방 하우징부는, 하나의 전방 하우징부상에 배치된 밀봉 립 및 다른 전방 하우징부상에 배치된 환상의 홈에 의해 상기 2개의 플러그부의 상호 플러깅으로 인한 플러그 접속을 외측으로 밀봉하고, 상기 환상의 홈은 내측으로는 환상의 밀봉면에 의해, 외측으로는 환상의 칼라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하나의 전방 하우징부는 경질이고 본질적으로 비변형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다른 전방 하우징부는 탄성변형가능한 고무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면의 높이와 상기 칼라 높이의 비율(h밀봉면/h칼라)은 4/1 내지 6/1인 것인,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의 기부를 향해 반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는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밀봉 립에는, 상기 2개의 플러그부가 함께 플러그된 후,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사전 압축 응력이 주어지는 것인,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칼라의 높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부의 전기적 접촉 요소는 커넥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플러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존재하는 외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 형상은,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전방 하우징부의 결합시에 상기 전방 하우징부의 상응하는 내부 형상과 함께 포지티브 접속 또는 마찰에 의해 결합된 접속을 형성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케이블측 단부상의 상기 플러그부는 각각 후방 하우징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 하우징부는 주입가능한 및/또는 몰딩가능한 밀봉재의 오버 몰딩 또는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하우징부는 탄성변형가능한 고무상 재료로 이루어진 것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4118685.0 | 2014-12-15 | ||
DE102014118685.0A DE102014118685A1 (de) | 2014-12-15 | 2014-12-15 | Hermetisch dichtender Steckverbinder |
PCT/DE2015/100532 WO2016095904A1 (de) | 2014-12-15 | 2015-12-11 | Hermetisch dichtender steckverbin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2593A true KR20170092593A (ko) | 2017-08-11 |
Family
ID=5530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7316A KR20170092593A (ko) | 2014-12-15 | 2015-12-11 | 밀폐식 플러그 커넥터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10069237B2 (ko) |
EP (1) | EP3235066A1 (ko) |
JP (2) | JP2018503224A (ko) |
KR (1) | KR20170092593A (ko) |
CN (1) | CN107223293A (ko) |
BR (1) | BR112017012111B1 (ko) |
CA (1) | CA2967081C (ko) |
DE (1) | DE102014118685A1 (ko) |
IL (1) | IL251810B (ko) |
MX (1) | MX365544B (ko) |
TW (1) | TWI679818B (ko) |
WO (1) | WO201609590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856285S1 (en) * | 2017-03-02 | 2019-08-13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 Electrical connector |
CN107196116B (zh) * | 2017-06-16 | 2023-09-08 | 广东松本光电有限公司 | 一种防水效果好的插排 |
JP7035680B2 (ja) * | 2018-03-22 | 2022-03-15 | 日立金属株式会社 | 樹脂成形体付きケーブル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85384A (en) * | 1955-02-23 | 1957-03-12 | Liquidometer Corp | Moisture proof means for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 fitting |
US3115380A (en) * | 1962-06-08 | 1963-12-24 | Cannon Electric Co | High fluid pressure electrical connector |
US3707696A (en) * | 1971-01-11 | 1972-12-26 | Amp Inc |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
US3787796A (en) * | 1972-10-17 | 1974-01-22 | Itt | Low cost sealed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
US3880487A (en) * | 1973-07-20 | 1975-04-29 | Itt | Low cost sealed connector |
US3953099A (en) * | 1973-12-10 | 1976-04-27 | Bunker Ramo Corporation | One-piece environmental removable contact connector |
US3994553A (en) * | 1974-01-09 | 1976-11-30 | Reynolds Industries, Inc. | Discharge resistant cable connector |
DE2421321C3 (de) * | 1974-05-02 | 1978-05-11 | Georg Dipl.-Ing. Dr.-Ing. 8152 Feldkirchen-Westerham Spinner | Abgedichtete koaxiale Steckverbindungseinrichtung |
US4116521A (en) * | 1976-10-12 | 1978-09-26 | Amp Incorporated | Miniature universal connector module |
US4150866A (en) * | 1977-08-26 | 1979-04-24 | Amp Incorporated |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
EP0021864B1 (en) | 1979-07-02 | 1982-09-01 | The Bendix Corporation | Moisture-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CA1196402A (en) | 1982-04-14 | 1985-11-05 | Amp Incorporated |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US4832615A (en) * | 1986-07-07 | 1989-05-23 | Amp Incorporated | Sealed connector having unitary molded housing |
US4886471A (en) * | 1987-01-30 | 1989-12-12 | Amp Incorporated | Vacuum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
US4768970A (en) * | 1987-11-05 | 1988-09-06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plug assembly for sealed electrical connection |
US4892488A (en) * | 1987-11-05 | 1990-01-09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Ignition cable termination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
US4874327A (en) * | 1988-11-07 | 1989-10-17 | Halliburton Logging Services, Inc. | Universal cable head for a multiconductor logging cable |
DE4106714C5 (de) | 1990-03-12 | 2004-07-01 | Ghw Grote & Hartmann Gmbh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zwei in Richtung seiner Längsmittelachse lösbar zusammensteckbar und miteinander verrastbaren Steckerteilen |
US5234352A (en) * | 1992-11-27 | 1993-08-1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Lower engaged seal rib configuration |
JPH06349541A (ja) * | 1993-06-14 | 1994-12-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
US5645442A (en) * | 1995-01-19 | 1997-07-08 | Ocean Design, Inc. | Sealed, Fluid-filled electrical connector |
US5580266A (en) * | 1995-03-10 | 1996-12-03 | The Whitaker Corporation | High voltage low current connector interface |
US5664954A (en) * | 1996-03-28 | 1997-09-09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Spark plug boot assembly |
US5720629A (en) * | 1996-10-16 | 1998-02-24 | The Whitaker Corporation | Sealed electrical connector |
JP3521116B2 (ja) * | 1998-08-26 | 2004-04-19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パッキン一体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3065582U (ja) * | 1999-05-26 | 2000-02-02 | 木谷電器株式会社 | 太陽光発電装置における電力接続用コネクタ |
JP2001267000A (ja) * | 2000-03-21 | 2001-09-28 | Sumitomo Wiring Syst Ltd | 防水コネクタ |
JP4200930B2 (ja) * | 2004-04-02 | 2008-12-24 | 住友電装株式会社 | 防水コネクタ用シール部材 |
US7144271B1 (en) * | 2005-02-18 | 2006-12-05 | Corning Gilbert Inc. | Sealed tamper resistant terminator |
US7481584B2 (en) * | 2006-06-30 | 2009-01-27 | Ocean Design, Inc. | Dry mate connector |
US7465192B2 (en) * | 2006-09-11 | 2008-12-16 | J.S.T. Corporation | 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
JP4803452B2 (ja) * | 2006-12-28 | 2011-10-26 | 住友電装株式会社 | 防水コネクタ |
US8323047B2 (en) * | 2007-03-16 | 2012-12-04 | Allied Precision Industries, Inc. | Cordset assembly |
DE102007024475A1 (de) | 2007-05-25 | 2008-11-27 | Volkswagen Ag | Gedichtetes Steckverbindergehäuse |
US7857647B2 (en) * | 2008-04-09 | 2010-12-28 | Hubbell Incorporated | Weather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
US7892004B2 (en) * | 2008-04-17 | 2011-02-22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
GB201208535D0 (en) * | 2012-05-15 | 2012-06-27 | Tronic Ltd |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ion and termination assemblies |
US9172175B2 (en) * | 2012-05-15 | 2015-10-27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Underwater electrical connection and termination assemblies |
DE102012025107A1 (de) * | 2012-12-21 | 2014-06-26 | Erni Production Gmbh & Co. Kg | Steckverbinderanordnung |
DE202013006110U1 (de) * | 2013-07-05 | 2013-08-14 | Hipo Systems Gmbh | Wasser- und staubdichte Stecker-Buchsen-Einheit mit verschiedenen Kontaktgruppen für die elektrische Mobilität wie z.B Pedelecs und E-Bike's |
CN203466353U (zh) * | 2013-09-26 | 2014-03-05 | 郑州创亿达照明有限公司 | 一种新型防水防尘插头 |
EP2854235B1 (en) * | 2013-09-27 | 2016-03-23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Connector unit |
TWM476389U (en) * | 2013-11-08 | 2014-04-11 | Kuang Ying Computer Equipment Co Ltd | Structure for waterproof connector |
-
2014
- 2014-12-15 DE DE102014118685.0A patent/DE102014118685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5
- 2015-12-11 JP JP2017531669A patent/JP2018503224A/ja active Pending
- 2015-12-11 WO PCT/DE2015/100532 patent/WO2016095904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2-11 EP EP15832683.5A patent/EP3235066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5-12-11 CA CA2967081A patent/CA2967081C/en active Active
- 2015-12-11 US US15/535,813 patent/US10069237B2/en active Active
- 2015-12-11 BR BR112017012111-5A patent/BR112017012111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12-11 MX MX2017006056A patent/MX365544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11 KR KR1020177017316A patent/KR20170092593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11 CN CN201580064931.0A patent/CN107223293A/zh active Pending
- 2015-12-14 TW TW104141960A patent/TWI67981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7
- 2017-04-19 IL IL251810A patent/IL251810B/en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10-06 JP JP2020004327U patent/JP3231660U/ja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346218A1 (en) | 2017-11-30 |
WO2016095904A1 (de) | 2016-06-23 |
DE102014118685A1 (de) | 2016-06-16 |
CA2967081A1 (en) | 2016-06-23 |
TWI679818B (zh) | 2019-12-11 |
IL251810A0 (en) | 2017-06-29 |
BR112017012111A2 (pt) | 2017-12-26 |
TW201630269A (zh) | 2016-08-16 |
JP3231660U (ja) | 2021-04-15 |
EP3235066A1 (de) | 2017-10-25 |
MX2017006056A (es) | 2017-07-19 |
IL251810B (en) | 2019-05-30 |
CN107223293A (zh) | 2017-09-29 |
MX365544B (es) | 2019-06-07 |
CA2967081C (en) | 2021-08-10 |
US10069237B2 (en) | 2018-09-04 |
JP2018503224A (ja) | 2018-02-01 |
BR112017012111B1 (pt) | 2022-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63063C (zh) | 用于电连接器的改进环式接头及包括该接头的电连接器 | |
JP3231660U (ja) | 密封プラグコネクタ | |
KR20130023148A (ko) |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 |
JP2003297479A (ja) | 防水コネクタ | |
JP5729350B2 (ja) | 防水コネクタ | |
CA2352541A1 (en) | Electrical plug housing | |
JP2002083646A (ja) | 防水コネクタ | |
JP5818100B2 (ja) | 防水コネクタ | |
US20130277920A1 (en) | Waterproof plug | |
EP3346557B1 (en) |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 |
JP2013239368A (ja) | 防水コネクタ | |
WO2015166928A1 (ja) | コネクタの防水構造 | |
JP4609857B2 (ja) | 防水コネクタ | |
JP2010519678A5 (ko) | ||
US11848514B2 (en) | Elastomer seal spring | |
JP2005005035A (ja) |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 |
US20220384987A1 (en) | Connector | |
EP3993175A1 (en) |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 |
JP5818101B2 (ja) | 防水コネクタ | |
JP2016212969A (ja) | コネクタ | |
JP5573718B2 (ja) | 防水コネクタ | |
JP5696893B2 (ja) | 防水コネクタ | |
JP3661849B2 (ja) | コネクタハウジング | |
JP2020024825A (ja) | シール構造及び該シール構造を備えた防水コネクタ | |
JP4430021B2 (ja) | 防水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