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349A -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349A
KR20110096349A KR1020100015746A KR20100015746A KR20110096349A KR 20110096349 A KR20110096349 A KR 20110096349A KR 1020100015746 A KR1020100015746 A KR 1020100015746A KR 20100015746 A KR20100015746 A KR 20100015746A KR 20110096349 A KR20110096349 A KR 2011009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s
body housing
circuit board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487B1 (ko
Inventor
이철섭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10001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487B1/ko
Priority to EP11744844.9A priority patent/EP2539965B1/en
Priority to CN201180010553.XA priority patent/CN102834978B/zh
Priority to BR112012017444A priority patent/BR112012017444A2/pt
Priority to JP2012553806A priority patent/JP5669147B2/ja
Priority to PCT/KR2011/000109 priority patent/WO2011102602A2/en
Publication of KR2011009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349A/ko
Priority to US13/566,238 priority patent/US93854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2커넥터는 인접하게 위치한 제3커넥터와 각각의 접속단자에 의해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는 회로기판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3커넥터는 상측에 상기 제1,2커넥터가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제1,2커넥터가 각각 설치되는 제1,2커넥터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2커넥터의 하측이며, 상기 제3커넥터의 중심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접속단자와 회로기판을 혼용하여 제1,2,3커넥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조인트 커넥터의 부피가 줄어들고, 조인트 커넥터를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모두 수용하여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현함에 따라 조인트 커넥터를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 Joint connector assembly }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각각의 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직접 접촉하는 접속단자와 회로기판을 혼용하여 사용하되 이들을 결합시키는 본체 하우징이 구비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단자가 되는 터미널로 구성되어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기기에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서 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일측 커넥터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되고, 타측 커넥터에 다수개의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Busbar type) 타입의 터미널이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를 조인트 커넥터라고 하며, 조인트 커넥터는 전자제품의 각종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되는 부품이 된다.
특히, 자동차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패널(700)의 전방, 후방 좌우 측으로 향하도록 다수의 전원라인들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710)에 의해 자동차의 전방측에 위치한 엔진과 연결되는 엔진라인(721)과, 좌우측에 위치한 공조기와 연결되는 공조기라인(723) 그리고, 후방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음향 등과 연결된 음향라인(725) 등의 다수의 라인들이 연결된다.
이에, 커넥터(7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라인들(721,723,725)과 연결되는 각각의 제1,2,3커넥터(711,713,715)들이 구비되고, 각 제1,2,3커넥터(711,713,715)에는 각각의 제1,2,3커넥터 라인(711',713',715')들이 구비되어 각 커넥터(711,713,715)들이 연결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차체패널(7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커넥터(710)는 차체패널(700)에 설치홀(701)을 형성하여 설치홀(7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각종 라인들(721,723,725)은 자동차라는 협소한 공간에 전방 측과 후방 측을 연결하는 전기 배선이 복잡하게 얽히게 됨에 작업자가 각 커넥터들과 각종 라인들을 연결하는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구를 사용하여 커넥터 설치작업을 진행할 경우, 각종 라인들은 공구와 접촉되면서 마찰을 일으켜 손상되거나, 공구를 사용하기 위해 라인을 한쪽으로 젖히면서 라인이 꺽여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라인들이 한 곳에 설치되면서 차량의 구조에 의해 급격하게 꺽여 설치되므로 이에 따른 피로도에 의해 라인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라인들이 한꺼번에 설치됨에 따라 라인과 라인끼리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라인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커넥터(710)는 차체패널(700)에 될 때 차체패널(700)에 형성된 설치홀(701)에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설치홀(701)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므로 작업공수가 증대되고, 차체패널(700)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커넥터들을 연결하되 접속단자와 회로기판을 혼용하여 연결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에 제1,2 커넥터들을 수용하고, 하측에 설치된 제3커넥터와 각각 연결되되, 제1,2커넥터들도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본체 하우징을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2,3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결합도구를 구비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 커넥터가 삽입된 슬라이딩 부재를 하강시키면서 본체 하우징에 제1,2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부재와 레버부재가 치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레버부재의 회동과 연동되어 슬라이딩 부재가 하강하도록 하여 제1,2커넥터의 접속단자들이 동시에 제3커넥터와 연결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을 차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제공하거나, 본체 하우징을 직접 차체에 결합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2커넥터는 인접하게 위치한 제3커넥터와 각각의 접속단자에 의해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는 회로기판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2커넥터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3커넥터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커넥터는 상측에 상기 제1,2커넥터가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제1,2커넥터가 각각 설치되는 제1,2커넥터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2커넥터의 하측이며, 상기 제3커넥터의 중심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상기 제1,2커넥터들과 상기 3커넥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2커넥터들을 상기 제1,2커넥터 설치부로 삽입시키는 커넥터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앙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2커넥터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도록 그 상단에 각각 상기 제1,2커넥터의 상부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와,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과 치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회동되는 레버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에는 레일형 톱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레일형 톱니돌기와 치합되는 원형 톱니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이 차체의 설치면에 설치되도록 설치면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면 결합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된 설치면 결합돌기와, 상기 설치면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설치면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의 설치면에 결합되는 차체 결합돌기가 형성된 브라켓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면 결합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차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의 설치면에 직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접속단자와 회로기판을 혼용하여 제1,2,3커넥터들을 각각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조인트 커넥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와 본체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제1,2커넥터들을 본체 하우징에 수용하여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현함에 따라 조인트 커넥터를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제1,2커넥터의 접속단자들을 직접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의해 제1,2커넥터들이 연결되므로 각 커넥터들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라인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조인트 커넥터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제1,2커넥터가 위치되고, 하부에 제3커넥터가 위치되어 연결됨에 따라 각각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라인들이 설치면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더라도 라인의 꺽이는 각도에 의해 라인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결합부가 구비됨에 따라 제1,2커넥터를 본체 하우징과 결합시킴과 아울러, 다수의 접속단자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한번에 각각의 커넥터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결합되는 설치면 결합부와 조인트 커넥터가 내재된 본체 하우징을 결합시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차체의 설치면에 설치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어떤 차량에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차체의 내구성이 저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회로기판 및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본체 하우징에 제1커넥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본체 하우징에 제1,2커넥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레버부재가 작동하여 제1,2커넥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연결된 라인들을 도시한 도면.
도 8a,8b는 종래의 커넥터 및 커넥터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회로기판 및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 그리고, 제3커넥터(30)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제1커넥터(10)와 제3커넥터(30)가 제1접속단자(10')와 제3접속단자(30')로 직접 연결되고, 제2커넥터(20)와 제3커넥터(30) 역시 제2접속단자(20')와 제3접속단자(30')로 직접 연결된다. 여기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는 제1,2 커넥터(10,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회로기판 접속단자(411)가 구비된 회로기판(410)에 의해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전원분배장치(3)에서 분배된 전원은 제1커넥터(10)를 통해 제3커넥터(30)로 전달되고, 제2커넥터(20)를 통해 제3커넥터(30)로 전달된다. 또한, 전원은 제1커넥터(10)를 통해 회로기판(410)을 거쳐 제2커넥터(20)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1,2,3 커넥터(10,20,30)를 통해 전원전달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셈블리를 갖는다.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부에 설치되는 제1,2커넥터(10,20)와, 하부에 제3커넥터(30)가 위치되되, 제3커넥터(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본체 하우징(40)과, 제3커넥터(30)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연결하는 회로기판(410)이 포함된다.
본체 하우징(40)은 상부에 제1,2커넥터(10,20)가 설치되는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가 형성되고, 제3커넥터(30)는 본체 하우징(4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본체 하우징(40)을 상하로 구획한다.
이때, 제3커넥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커넥터(10,20)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본체 하우징(4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고, 회로기판(410)은 분리되어 형성된 제3커넥터(30)의 사이 즉, 제3커넥터(3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회로기판(410)의 하부에는 커버부재(420)가 더 설치되어 제1,2,3커넥터(10,20,30)의 접속단자들(10',20',30')과 회로기판(410)의 회로기판 접속단자(411)가 전기적으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된 회로기판(410)과 접하는 제3커넥터(30)에는 커버부재(420)를 고정하기 위해 걸림돌기(31,33)가 형성되고, 커버부재(420)에는 걸림돌기(31,33)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홈(423,425)이 형성되어 회로기판(410)의 하부를 커버한다. 이때, 회로기판(410) 또한 커버부재(420)와 같이 걸림홈이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40)의 상측에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제1,2접속단자들(10',20')과, 회로기판(410)에 설치된 회로기판 접속단자(411) 그리고, 제3커넥터(30)의 제3접속단자(30')들이 삽입되어 휘어지는 등 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자보호부재(60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다시 설명하면, 각 커텍터들은 접속단자들이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각 커넥터들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휘어지거나, 커넥터들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접지될 때에도 휘어질 수 있다. 이때, 단자보호부재(600)에는 제1,2커넥터(10,20)들의 제1,2접속단자(10',20')와, 회로기판 접속단자(411) 및 제3커넥터(30)의 제3접속단자(30')들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삽입공(601)을 형성하여, 커넥터들이 설치되거나 각각의 커넥터들이 접지될 때 접속단자들이 삽입공(601)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접속단자들이 휘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본체 하우징(40)에는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에 설치되는 제1,2커넥터(10,20)와 본체 하우징(40)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3커넥터(30)를 결합시키는 커넥터 결합부(500)가 마련된다.
커넥터 결합부(500)는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510)와, 슬라이딩 부재(510)와 연동되어 회동하면서 제1,2커넥터(10,20)를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에 삽입시키는 레버부재(5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부재(510)는 본체 하우징(40)의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삽입홈(41)에 삽입되고, 그 하부는 본체 하우징(40)의 하부가 일부 절개되도록 형성된 노출홈(45)에 의해 본체 하우징(4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510)는 레버부재(520)와 연동되어 하강하면서 제1,2커넥터(10,20)가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로서, 슬라이딩 부재(510)의 상단에 삽입돌기(511)가 형성되고,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20)의 양단에는 슬라이딩 부재(510)의 삽입돌기(511)를 감싸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삽입홈(11,21)이 각각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510)의 삽입돌기(511)에 제1,2커넥터(10,20)의 삽입홈(11,21)가 모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510)와 제1,2커넥터(10,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삽입홈(11,21)은 다시 참조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삽입돌기(511)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삽입돌기(511)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2커넥터(10,20)들이 슬라이딩 부재(510)의 삽입돌기(511)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삽입홈(11)은 입구측이 삽입돌기(511)의 크기보다 크게 하측이 넓게 형성되지만 삽입돌기(511)가 삽입될수록 점점 삽입돌기(51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삽입홈(11)의 입구측은 그 크기가 삽입돌기(511)보다 크기 때문에 유격이 발생하여 제1커넥터(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삽입돌기(511)에 삽입된 삽입홈(11)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삽입돌기(511)의 내측에 삽입홈(11)의 입구측 형상과 대응되게 삽입라인(515)이 형성되어 1커넥터(10)의 입구측 삽입홈(11)이 삽입라인(515)에 결합되었을 때 삽입돌기(511)보다 크게 형성된 삽입홈(11)에 의해 제1커넥터(10)와 슬라이딩 부재(5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510)의 하측에는 레일형 톱니돌기(513)가 형성되어 본체 하우징(40)의 노출홈(45)을 통해 본체 하우징(4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레버부재(5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 슬라이딩 부재(510)의 레일형 톱니돌기(5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원형 톱니돌기(523)가 형성된다.
이에, 레버부재(520)의 원형 톱니돌기(523)는 본체 하우징(40)의 노출홈(45)을 통해 노출된 슬라이딩 부재(510) 하부의 레일형 톱니돌기(513)에 치합되게 결합되어 레버부재(520)가 회동되면, 슬라이딩 부재(510)는 회전하는 레버부재(520)의 원형 톱니돌기(523)와 연동되어 본체 하우징(4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여기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는 슬라이딩 부재(510)의 상측에 결합될 때 제1커넥터(10)가 먼저 삽입돌기(511)에 삽입되어 본체 하우징(40)의 후방에 결합되고, 제2커넥터(20)는 나중에 삽입되어 본체 하우징(40)의 전방에 결합된다.
레버부재(520)의 양측에는 레버부재(520)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제1,2회동제한홈(525,527)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재(5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20)의 외측에는 레버부재(520)가 회동되었을 때 제1회동제한홈(525)에 삽입되는 제1회동제한돌기(23)가 형성되며, 본체 하우징(40)의 양측에는 제2회동제한홈(527)에 삽입되는 제2회동제한돌기(46)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40)의 양측면에는 상측과 하측에 제1,2회동방지돌기(49a,49b)가 각각 형성되어 레버부재(52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2회동방지돌기(49a,49b)는 레버부재(520)가 하측에 위치될 때 상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레버부재(5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가압하는 힘이 없을 때에는 레버부재(520)의 양측을 지지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사용자가 제1,2커넥터(10,20)를 제3커넥터(30)와 결합시키기 위해 레버부재(520)를 회동시키면 가압하는 힘에 의해 레버부재(520)가 회동될 때 일측에 형성된 제1회동방지돌기(49a)를 지나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510)가 하강하도록 회동하는 레버부재(520)는 본체 하우징(40)의 일측면에 위치되었다가 레버부재(520)의 제1,2회동안내홈(525,527)에 제2커넥터(20)의 제1회동안내돌기(23)와 본체 하우징(40)의 제2회동안내돌기(46)가 삽입되도록 본체 하우징(40)의 상부로 회동된다.
한편, 본체 하우징(40)의 후면에는 본체 하우징(40)을 차체의 설치면에 결합시키는 설치면 결합부가 더 구비된다.
설치면 결합부는 본체 하우징(40)의 배면에 형성된 설치면 결합돌기(47)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설치면 결합홈(51)이 형성되어 본체 하우징(40)과 결합된 브라켓(50)으로서, 브라켓(50)에는 차체의 설치면에 작게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차체와 결합되도록 배면측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차체결합돌기(53)가 형성된다.
이에, 브라켓(50)은 본체 하우징(40)의 배면에 결합되어 차체 설치면에 결합되어 본체 하우징(40)을 차체에 결합시킨다.
또한, 설치면 결합부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 하우징(40)은 브라켓 없이 차체에 직접 결합되도록 차체의 설치면에 작게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본체 하우징(40)의 배면에 차체결합돌기(53)를 형성하거나, 차체의 설치면에 본체 하우징(40)의 설치면 결합돌기(47)와 대응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본체 하우징(40)을 차체의 설치면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제1,2,3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본체 하우징에 제1커넥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본체 하우징에 제1,2커넥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레버부재가 작동하여 제1,2커넥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체 하우징(40)의 하측에 본체 하우징(4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3커넥터(30)의 중심부에 회로기판(410)이 삽입되어 제1,2커넥터(10,20)의 제1,2접속단자(10',20')와 회로기판 접속단자(411)가 접속되도록 회로기판(41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제1커넥터(10)의 제1접속단자(10')와 제3커넥터(30)의 제3접속단자(30')가 연결되고, 제2커넥터(20)의 제2접속단자(20')와 제3커넥터(30)의 제3접속단자(30')가 연결됨은 물론이다.
회로기판(410)의 하부에는 제3커넥터(30)에 형성된 걸림돌기(31,33)에 커버부재(420)의 걸림홈(423,425)을 삽입하여 커버부재(420)를 결합시켜 회로기판(410)의 회로기판 접속단자(411)와 제3커넥터(30)의 제3접속단자(30')가 전기적으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단자보호부재(600)는 본체 하우징(40)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제3커넥터(30) 및 회로기판(4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10)는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1)에 본체 하우징(40)의 양측에 삽입된 슬라이딩 부재(510)의 삽입돌기(511)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삽입홈(11)은 입구측 크기가 삽입돌기(511)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커넥터(10)가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제1커넥터(10)는 삽입돌기(511)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라인(515)에 의해 크게 형성된 삽입홈(11)에 맞게 끼워져 삽입돌기(511)와 삽입홈(11)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제2커넥터(20)는 제1커넥터(10)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21)에 슬라이딩 부재(510)의 삽입돌기(511)의 전방에 삽입된다.
이때, 제1,2커넥터(10,20)는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의 내부에 삽입된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간격을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의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레버부재(520)를 본체 하우징(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동시키면, 레버부재(20)의 원형 톱니돌기(523)와 치합되게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510)는 원형 톱니돌기(523)가 슬라이딩 부재(510)의 레일형 톱니돌기(513)를 따라 회동하면서 슬라이딩 부재(510)를 하강시킨다. 이때, 레버부재(520)는 제1회동안내홈(525)에 제2커넥터(20)의 제1회동안내돌기(23)가 삽입되고, 제2회동안내홈(527)에 본체 하우징(40)의 제2회동안내돌기(46)가 삽입되는 위치까지 회동되어 슬라이딩 부재(510)의 하강위치를 안내한다.
그러면, 단자보호부재(600)와 제1,2커넥터(10,20)는 제1,2커넥터 설치부(100,200)의 내측으로 하강하면서, 제1,2커넥터(10,20)의 제1,2접속단자(10',20')들은 단자보호부재(600)의 삽입공(601)으로 삽입되면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제3커넥터(30)의 제3접속단자(30')와 직접 연결된다. 또한, 회로기판(410)의 회로기판 접속단자(411)들은 제1,2커넥터(10,20)의 접속단자(10',20')과 접속된다.
따라서, 제1,2커넥터(10,20)는 회로기판(4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커넥터(10)와 제3커넥터(30) 및 제2커넥터(20)와 제3커넥터(30)는 각각의 전극단자들(10',20',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연결된 라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커넥터들(10,20,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의 본체 하우징(40)은 설치면 결합부가 되는 브라켓(50)에 결합되어 차체의 설치면에 결합되거나, 본체 하우징(40)이 직접 차체의 설치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는 제1,2,3커넥터들(10,20,30)과 각각 연결되는 제1,2,3라인들(19,29,39)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정리되어 보다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고 보다 작은 부피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1 :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3 : 전원분배장치
10 : 제1커넥터 10' : 제1접속단자
11 : 삽입홈 19 : 연결라인
20 : 제2커넥터 20' : 제2접속단자
21 : 삽입홈 23 : 제1회동안내돌기 29 : 연결라인
30 : 제3커넥터 30' : 제3접속단자
31,33 : 걸림돌기
40 : 본체 하우징
41 : 슬라이딩부재 삽입홈 45 : 노출홈
46 : 제2회동안내돌기 47 : 설치면 결합돌기
49a,49b : 제1,2회동방지돌기
50 : 브라켓
51 : 설치면결함홈 53 : 차체 결합돌기
100 : 제1커넥터 설치부
200 : 제2커넥터 설치부
300 : 제3커넥터 설치부
410 : 회로기판
411 : 회로기판 접속단자
420 : 커버부재
423,425 : 걸림홈
500 : 커넥터 결합부
510 : 슬라이딩 부재
511 : 삽입돌기 513 : 레일형 톱니돌기 515 : 가이드라인
520 : 레버부재
523 : 원형 톱니돌기 525 : 제1회동안내홈 527 : 제2회동안내홈
600 : 단자보호부재
601 : 삽입공

Claims (9)

  1. 제1,2커넥터는 인접하게 위치한 제3커넥터와 각각의 접속단자에 의해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는 회로기판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2커넥터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3커넥터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는 상측에 상기 제1,2커넥터가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제1,2커넥터가 각각 설치되는 제1,2커넥터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2커넥터의 하측이며, 상기 제3커넥터의 중심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로기판의 하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상기 제1,2커넥터들과 상기 3커넥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2커넥터들을 상기 제1,2커넥터 설치부로 삽입시키는 커넥터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앙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2커넥터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도록 그 상단에 각각 상기 제1,2커넥터의 상부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와,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과 치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회동되는 레버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단에는 레일형 톱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레일형 톱니돌기와 치합되는 원형 톱니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이 차체의 설치면에 설치되도록 설치면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 결합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된 설치면 결합돌기와, 상기 설치면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설치면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의 설치면에 결합되는 차체 결합돌기가 형성된 브라켓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 결합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차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체의 설치면에 직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00015746A 2010-02-22 2010-02-22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68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46A KR101668487B1 (ko) 2010-02-22 2010-02-22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EP11744844.9A EP2539965B1 (en) 2010-02-22 2011-01-07 Joint connector assembly
CN201180010553.XA CN102834978B (zh) 2010-02-22 2011-01-07 节点连接器组件
BR112012017444A BR112012017444A2 (pt) 2010-02-22 2011-01-07 conjunto de conectores ligados
JP2012553806A JP5669147B2 (ja) 2010-02-22 2011-01-07 ジョイントコネクタ組立体
PCT/KR2011/000109 WO2011102602A2 (en) 2010-02-22 2011-01-07 Joint connector assembly
US13/566,238 US9385468B2 (en) 2010-02-22 2012-08-03 Joint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46A KR101668487B1 (ko) 2010-02-22 2010-02-22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349A true KR20110096349A (ko) 2011-08-30
KR101668487B1 KR101668487B1 (ko) 2016-10-21

Family

ID=4448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746A KR101668487B1 (ko) 2010-02-22 2010-02-22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85468B2 (ko)
EP (1) EP2539965B1 (ko)
JP (1) JP5669147B2 (ko)
KR (1) KR101668487B1 (ko)
CN (1) CN102834978B (ko)
BR (1) BR112012017444A2 (ko)
WO (1) WO20111026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2626B2 (ja) * 2012-04-19 2016-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コネクタ
CN106898905B (zh) * 2015-12-18 2019-04-12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稳定端子位置度的电气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39B2 (ko) * 1981-07-24 1991-01-16 Karutenbatsuha Unto Fuoikuto Gmbh Unto Co
JP2008178240A (ja) * 2007-01-19 2008-07-31 Fujikura Ltd 電気接続箱
JP2009022070A (ja) * 2007-07-10 2009-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
US7485012B2 (en) * 2007-06-28 2009-02-0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having wafer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9286B1 (fr) * 1985-10-25 1988-05-13 Cit Alcatel Ensemble d'interconnexion de cartes de circuits imprimes orthogonales et reseaux de commutation en faisant application
JPH01143231U (ko) * 1988-03-25 1989-10-02
JP2812015B2 (ja) * 1991-10-21 1998-10-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3059598A (ja) * 2001-08-21 2003-02-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976122B2 (ja) * 2001-10-16 2007-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多重通信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954915B2 (ja) * 2002-05-29 2007-08-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とその製造方法
JP2004311223A (ja) 2003-04-08 2004-11-0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5160235A (ja) * 2003-11-27 2005-06-16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302539B2 (ja) 2004-01-16 2009-07-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27464B2 (ja) 2006-03-10 2011-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813977B2 (ja) * 2006-06-12 2011-11-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553953B2 (ja) * 2008-04-17 2010-09-2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構造及び防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39B2 (ko) * 1981-07-24 1991-01-16 Karutenbatsuha Unto Fuoikuto Gmbh Unto Co
JP2008178240A (ja) * 2007-01-19 2008-07-31 Fujikura Ltd 電気接続箱
US7485012B2 (en) * 2007-06-28 2009-02-0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having wafer connectors
JP2009022070A (ja) * 2007-07-10 2009-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34978B (zh) 2015-11-25
WO2011102602A2 (en) 2011-08-25
US20130005161A1 (en) 2013-01-03
EP2539965A4 (en) 2014-09-24
CN102834978A (zh) 2012-12-19
EP2539965B1 (en) 2017-03-15
JP2013520766A (ja) 2013-06-06
JP5669147B2 (ja) 2015-02-12
EP2539965A2 (en) 2013-01-02
WO2011102602A3 (en) 2011-11-24
US9385468B2 (en) 2016-07-05
BR112012017444A2 (pt) 2016-04-19
KR101668487B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23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relay module
CN103594830B (zh) 电子模块、电连接器和将电连接器安装在电路板上的方法
CN2540049Y (zh) 小型可插拔收发模组壳体
JP2009134904A (ja) 電子部品接続箱及び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CN1223746A (zh) 屏蔽电联接器
KR101091660B1 (ko) 차량용 콤비네이션 커넥터
WO2002089259A2 (en) Improved plug connector
KR20110096349A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WO2012120805A1 (en) Fuse unit
US20110195596A1 (en) Connector
JP202103412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6091677A (ja) コネクタ
CN103505020B (zh) 具有电缆通道的家电设备
KR20100084891A (ko) 퓨즈박스
JP5365448B2 (ja) 車載用の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00134767A (ja) 分岐接続器及び分岐接続器のカバー装置
US20080287006A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21192834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2003060B2 (en) Connector and cover unit having shield and cover
KR200330983Y1 (ko) 와이어정리구
US20220311190A1 (en) Connector and cover unit
JP2007221875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2011171281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に設けられる電子回路ユニット
JP2023132807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2009118700A (ja) 電子部品接続箱及び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