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065A -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065A
KR20110096065A KR1020117015999A KR20117015999A KR20110096065A KR 20110096065 A KR20110096065 A KR 20110096065A KR 1020117015999 A KR1020117015999 A KR 1020117015999A KR 20117015999 A KR20117015999 A KR 20117015999A KR 20110096065 A KR20110096065 A KR 20110096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polyolefin
film
ultra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425B1 (ko
Inventor
밍쥔 뤄
젠 유
후이추엔 리우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8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32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liqui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미세다공성 필름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다. 미세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용융하고 용매와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하고 제 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혼합물을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 미세다공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필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응고를 위해 미세다공성 필름을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MICROPOROUS POLYOLEFIN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관련 출원의 전후 참조
본 출원은 2008년 12월18일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 200810241635.5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 문헌으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미세다공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미세구멍을 가진 박막 유사 재료이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비-수성 전해질 배터리 격리판, 커패시터 격막, 분리막 및 수 처리 필름의 생산에 널리 사용된다. 현존하는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기계적 강도는, 특히 고온에서 나쁘고 필름 파괴 온도는 낮아서, 잠재적인 안정성 문제들을 쉽게 일으킬 수 있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 방법은 건식 방법과 습식 방법을 포함한다. 현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습식 제조 방법은 저 분자량 폴리올레핀 재료 또는 그 안에 첨가된 소수의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저 분자량 폴리올레핀 재료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나쁜 용융 유동성과 미끄러운 입자 표면 때문에, 다량의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첨가할 경우, 현존하는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나쁜 가소화를 일으킬 것이다. 이런 상황하에서, 단지 소량의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만이 가소화될 것이고 따라서 결국 균일한 미세다공성 필름은 형성될 수 없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한 파라미터는, 이들의 기계적 강도이며, 특히 고온에서의 기계적 강도이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기계적 강도는 이 필름을 사용하는 전기 장치들의 안정성과 사용기간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현재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의 기계적 강도 특성은 실온에 적용된다. 그러나, 배터리 안정성의 중요 문제는 고온과 같은 비정상적 상태하에서 이의 성능이다. 따라서 고온에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필름 파괴 온도는 고온에서 필름의 안정성과 관련된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더 높은 필름 파괴 온도를 가진 필름이 더 안전하다.
이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에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안정성을 가진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미세다공성 필름은 본 발명의 기술적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 x 106 내지 약 6 x 106이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5 x 105 미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미세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용융하고 용매와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약 5 x 105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하고 상기 제 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혼합물을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 미세다공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필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응고를 위해 상기 미세다공성 필름을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을 개시한다. 상기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약 150℃ 내지 약 156℃의 필름 파괴 온도와 약 90℃에서 약 428g 내지 약 533g의 천공 강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 실시예 및 특징들은 다음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필수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가 알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관점에서 설명적이고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은 약 150℃ 내지 약 156℃의 필름 파괴 온도와 약 90℃에서 약 428g 내지 약 533g의 천공 강도를 가진다.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 수지는 약 2:3 내지 약 4:1의 중량비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량비는 약 3:2 내지 약 3:1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은 제한 없이 다음 모노머: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의 단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 x 106 내지 약 6 x 106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6 x 106을 초과할 경우 용융하고 혼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반면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 x 106 미만인 경우 기계적 강도는 사용하기에 너무 낮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2 x 106 내지 약 4 x 106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제한 없이 다음 모노머: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의 단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밀도(약 0.94 내지 0.96kg/cm3)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 x 104 내지 약 5 x 10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약 5 x 104 내지 약 3 x 10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제한 없이 다음 모노머: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의 단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밀도(약 0.91 내지 0.93kg/cm3) 폴리올레핀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의 밀폐-셀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은 전체 폴리올레핀 수지의 약 0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제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용융하고 용매와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약 5 x 105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하고 제 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다이로부터 제 2 혼합물을 압출하고 냉각 롤러에 의해 조각들로 주조하고, 조각들을 필름으로 드로잉하는(drawing) 단계;
(4) 필름으로부터 용매를 용출하는 단계; 및
(5) 용매를 용출한 후 응고를 위해 미세다공성 필름을 어닐링하는 단계.
용매는 노네인, 데케인, 운데케인, 도데케인, 데칼린 및 액체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매는 약 40℃에서 약 30cst 내지 150cst의 운동역학적 점도를 가진 액체 파라핀이고, 쉽게 용융되어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혼합되고 쉽게 용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용매는 약 1:1.9 내지 1:6.7의 중량비를 가지며, 쉽게 주조하고 높은 다공성과 높은 공기 투과성을 가진 미세다공성 필름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용융 및 혼합 기술은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임의의 방법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단계(1)의 용융 및 혼합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용매를 이들이 완전히 팽창하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가열과 고압하에서 교반 탱크 내에서 혼합하고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1)의 용융 및 혼합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2축 압출기에 첨가하고 용매를 측면 공급구로부터 첨가한다. 그런 후에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용매를 혼합하고 2축 압출기에 의해 직접 압출한다. 제 1 혼합물의 용융 및 혼합 온도는 약 230℃ 내지 240℃일 수 있는데, 즉,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용융점보다 약 40℃ 내지 100℃ 높은 온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2)의 용융 및 혼합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 1 혼합물과 폴리올레핀 수지를 2축 압출기에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하고 2축 압출기에 의해 직접 압출한다. 용융 및 혼합 온도는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용융점보다 약 40℃ 내지 100℃ 높은 온도일 수 있다.
단계(3)에서, 제 2 혼합물은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압출되고 냉각 롤러에 의해 조각들로 주조된다. 분리 공정의 단계에서 더 큰 상 영역들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은 압출 후 빠르게 냉각돼야 한다. 냉각 롤러의 온도는 30℃ 이하일 수 있다. 냉각 속도는 수조, 아이스 바스, 아이스 염 바스 등을 사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드로잉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드로잉은 양방향이다. 즉, 드로잉은 먼저 세로 방향(MD)을 따른 후, 가로 방향(TD)을 따른다. 전체 배율은 약 10 내지 100배일 수 있다. 드로잉 배율(drawing magnification)이 너무 작은 경우, 미세다공성 필름은 낮은 다공성, 낮은 공기 투과성 및 낮은 강도를 가질 것이다. 반대로, 드로잉 배율이 너무 큰 경우, 공정은 어려울 것이고 필름은 뚫어지기 쉬울 것이다. 드로잉 온도는 약 90℃ 내지 140℃일 수 있다.
단계(4)에서, 용출 과정은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테르 및/또는 케톤의 추출 물질일 수 있는 용출 용매를 사용하여 성취된다. 탄화수소는 펜테인, 헥세인, 헵테인 및 데케인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클로로메테인, 사염화탄소 및 트라이플루오로에테인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에테르는 에테르와 다이옥세인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케톤은 아세톤과 부타논으로부터 선택된다. 용출 후 용매의 잔여량은 1중량% 이하이다.
단계(5)에 있어서, 고온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세다공성 필름은 어닐링, 즉 열 처리가 필요하다. 미세다공성 필름이 우수한 투과성과 기계적 강도를 갖기 위하여 열 처리 과정에 있어서, 가로 방향을 따라 필름을 드로잉할 수 있다. 드로잉 조건으로서 약 80℃ 내지 120℃의 예열 온도, 약 100℃ 내지 130℃의 드로잉 온도, 약 110℃ 내지 140℃의 열 처리 온도, 약 10s 내지 100s의 열 처리 시간 및 약 1.1 내지 1.8배의 드로잉 배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융 및 혼합 방법은 단계적 용융과 혼합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은 상대적으로 더욱 내화성이고 용매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진다. 제 1 용융 및 혼합 단계에서,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은 완전히 가소화되어 균일한 용융 액체를 형성한다. 그런 후에 제 2 용융 및 혼합 단계에서, 쉽게 용해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균일한 용융 액체와 고르게 혼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을 가공하는 어려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기계적 강도, 특히 고온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20kg의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UHMWPE(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량 평균 분자량 3.0 x 106, 용융점 133℃) 및 80kg의 액체 파라핀(40℃에서 운동역학적 점도 90cst)을 교반 탱크 속에 넣는다. 2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교반한다. 그런 후에 혼합된 재료들을 2축 압출기(지름 78mm, L / D = 48, 강한 혼합 타입)에 넣는다. 200℃와 200 r/min의 조건하에서, 혼합 재료들을 용융하고 혼합물로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다른 2축 압출기 속으로 넣고 동시에 5kg의 폴리에틸렌 수지(중량 평균 분자량 2.0 x 105, 용융점 133℃)을 넣는다. 200℃와 220 r/min의 조건하에서, 둘 다를 용융하고 폴리에틸렌 용액으로 혼합한다.
폴리에틸렌 용액을 3m/min의 속도 비율로 T-타입 다이(1.2mm의 다이 갭 등급, 260mm의 조각들)를 통해 압출하고 폴리에틸렌 용액을 냉각 롤러에 의해 1.0mm의 두께를 가진 조각들로 주조하며, 이의 표면 온도는 약 15℃이다.
조각들을 양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드로잉해서 필름을 형성한다. 드로잉 비율은 세로 방향(MD) X 가로 방향(TD) = 5 X 7 배이다. MD 드로잉의 예열 온도는 115℃이고 MD 드로잉 온도는 100℃이다. TD 드로잉의 예열 온도는 125℃이고 TD 드로잉 온도는 110℃이다.
얻은 필름을 헵테인으로 2분 동안 용출하고 송풍 오븐에서 40℃에서 건조하였다.
필름을 100℃의 예열 온도, 125℃의 드로잉 온도 및 1.5배의 드로잉 배율로 열 처리한다. 그런 후에 20㎛의 두께를 가진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을 얻기 위해 125℃의 연판 온도(stereotype temperature)하에 1.3배의 드로잉 배율로 필름을 20초 동안 다시 부드럽게 되도록 가열한다.
제조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은 A1이라 표시한다.
실시예 2
단계는 실시예 1에 사용한 것들과 유사하나, 단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UHMWPE의 중량이 12kg인 것만 다르다.
제조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은 A2라 표시한다.
실시예 3
단계는 실시예 1에 사용한 것들과 유사하나, 단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UHMWPE의 중량이 30kg인 것만 다르다.
제조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은 A3라 표시한다.
실시예 4
단계는 실시예 1에 사용한 것들과 유사하나, 단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UHMWPE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 x 106이고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 x 104인 것만 다르다.
제조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은 A4라 표시한다.
실시예 5
단계는 실시예 1에 사용한 것들과 유사하나, 단지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UHMWPE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 x 106이고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 x 105인 것만 다르다.
제조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은 A5라 표시한다.
실시예 6
단계는 실시예 1에 사용한 것들과 유사하나, 단지 액체 파라핀의 중량이 40kg인 것만 다르다.
제조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은 A6라 표시한다.
참조예 1
5kg의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UHMWPE(중량 평균 분자량 3.0 x 106, 용융점 133℃), 80kg의 액체 파라핀(40℃에서 운동역학적 점도 90cst) 및 20kg의 폴리올레핀 수지(중량 평균 분자량 2.0 x 105, 용융점 133℃)을 교반 탱크 속에 넣고 2시간 동안 200℃에서 가열하고 교반한다. 그런 후에 200℃ 및 200 r/min의 조건하에서 혼합된 재료들을 2축 압출기(지름 78mm, L / D = 48, 강한 혼합 타입)에 넣고, 용융하고 폴리에틸렌 용액으로 혼합한다.
이후 단계는 실시예 1에 사용된 것들과 유사하고 제조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은 RC1이라 표시한다.
테스트
(1) 공기 투과성
표준 JIS P8117에 따라 검사하고 결과는 표 1에 도시된다.
(2) 천공 강도
실온과 90℃에서 천공하기 위해 2mm/s의 속도로 1mm의 지름을 가진 바늘을 사용하여 각각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최대 부하를 검사한다. 결과는 표 1에 도시된다.
(3) 필름 파괴 온도
a x b = 4cm x 3cm의 내부 지름을 가진 박스 보드를 준비한다.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박스 속에 고정하며,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MD 방향은 박스 보드의 한 면을 따른다. 그런 후에 필름이 파열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145℃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유지한다. 필름에 파열이 없는 경우, 매번 1℃ 올린 후, 추가 10분 동안 필름을 유지한다. 일단 필름이 파열되면, 그 온도를 필름 파괴 온도로 기록한다. 결과는 표 1에 도시된다.
(4) 수축 비율
표준 GB12027-1989에 따라 120℃에서 1시간 동안 베이킹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의 수축 비율을 기록한다. 결과는 표 1에 도시된다.

공기
투과성
(s/100cc)
천공 강도(g)/
실온
천공 강도(g)/
90℃
필름
파괴 온도
(℃)
수축 비율/120℃
MD% TD%
A1 358 620 529 154 15.2 14.4
A2 380 602 485 152 15.6 14.0
A3 335 556 428 151 16.0 14.8
A4 348 650 533 156 15.9 15.0
A5 350 622 503 154 15.0 14.4
A6 520 522 460 156 13.8 13.4
RC1 323 480 338 146 16.4 15.5
표 1로부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첨가하면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필름의 고온 천공 강도와 필름 파괴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첨가된 양이 많고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분자량이 높을수록, 필름은 더 높은 천공 강도와 더 높은 필름 파괴 온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그 제품이 더 좋은 안정성을 가진다.
비록 본 명세서는 여러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추가 변형과 변화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 x 106 내지 약 6 x 106인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5 x 105 미만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필름은 약 150℃ 내지 약 156℃의 필름 파괴 온도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필름은 약 90℃에서 약 428g 내지 약 533g의 천공 강도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약 2:3 내지 약 4:1의 중량비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약 3:2 내지 약 3:1의 중량비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의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2 x 106 내지 약 4 x 106인 미세다공성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5 x 104 내지 약 3 x 105인 미세다공성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의 모노머 그룹의 단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의 모노머 그룹의 단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를 더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의 모노머 그룹의 단일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은 전체 폴리올레핀 수지의 약 0 내지 약 20중량%인 미세다공성 필름.
  13. (a)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을 용융하고 용매와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약 5 x 105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하고 상기 제 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 2 혼합물을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
    (d) 미세다공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필름으로부터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미세다공성 필름을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압출, 주조 및 드로잉에 의해 완성되는 미세다공성 필름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액체 파라핀이고 약 40℃에서 상기 액체 파라핀의 운동역학적 점도는 약 30cst 내지 150cst인 미세다공성 필름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은 세로 방향을 따르는 제 1 드로잉과 가로 방향을 따르는 제 2 드로잉을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필름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의 용융 및 혼합 온도는 약 230℃ 내지 240℃인 미세다공성 필름 제조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상기 용매는 약 1:1.9 내지 약 1:6.7의 중량비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필름 제조 방법.
  19.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미세다공성 필름은 약 150℃ 내지 약 156℃의 필름 파괴 온도와 약 90℃에서 약 428g 내지 약 533g의 천공 강도를 가지는 미세다공성 필름.
KR1020117015999A 2008-12-18 2009-11-18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2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241635.5 2008-12-18
CN2008102416355A CN101747549B (zh) 2008-12-18 2008-12-18 一种聚烯烃微多孔膜及其制备方法
PCT/CN2009/075011 WO2010069216A1 (en) 2008-12-18 2009-11-18 Microporous polyolefin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065A true KR20110096065A (ko) 2011-08-26
KR101382425B1 KR101382425B1 (ko) 2014-04-08

Family

ID=4226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999A KR101382425B1 (ko) 2008-12-18 2009-11-18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00159230A1 (ko)
EP (1) EP2367880B1 (ko)
JP (1) JP2012512283A (ko)
KR (1) KR101382425B1 (ko)
CN (1) CN101747549B (ko)
WO (1) WO2010069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7577B (zh) * 2011-04-27 2015-03-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电池隔膜的方法
CN102774009A (zh) * 2012-08-07 2012-11-14 重庆纽米新材料科技有限责任公司 聚烯烃微孔膜的制备方法
EP2891677B1 (en) * 2012-08-29 2018-04-1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Gunma University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ethylene porous film and polyethylene porous film
WO2016132810A1 (ja) * 2015-02-20 2016-08-25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微多孔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5140448A (zh) * 2015-08-12 2015-12-09 埃力生亚太有限公司 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US11198745B2 (en) 2018-11-29 2021-12-1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alpha-olefin)s and methods thereof
JP2022517293A (ja) * 2020-02-18 2022-03-08 ジィァンスー ホライズン ニュー エナジー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リオレフィン多孔質膜の製造方法
US20240002557A1 (en) * 2020-03-23 2024-01-0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Powder and Molded Article Prepared by Molding the Same
CN111697189B (zh) * 2020-06-28 2022-06-28 佛山市金辉高科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聚烯烃微孔基膜及其制备方法、隔膜和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3651A (ja) * 1987-04-30 1988-11-10 Toa Nenryo Kogyo Kk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JP3497569B2 (ja) * 1994-08-17 2004-02-1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非水系電池セパレーター用ポリエチレン製微多孔膜
JPH09104775A (ja) * 1995-10-06 1997-04-22 Tonen Chem Corp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KR100591061B1 (ko) * 1998-10-01 2006-06-19 토넨 케미칼 코퍼레이션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막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2000109586A (ja) * 1998-10-06 2000-04-18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00049073A1 (en) * 1999-02-19 2000-08-24 Tonen Chemical Corporation Polyolefin microporous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676080B1 (ko) * 1999-02-19 2007-01-31 토넨 케미칼 코퍼레이션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막과 그의 제조방법
JP4460668B2 (ja) * 1999-03-03 2010-05-12 東燃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4177929B2 (ja) * 1999-03-04 2008-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8071B2 (ja) * 1999-03-08 2009-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2302B2 (ja) * 1999-06-22 2009-08-12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2047372A (ja) * 2000-07-31 2002-02-12 Nitto Denko Corp 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JP4677663B2 (ja) * 2000-10-26 2011-04-27 東レ東燃機能膜合同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JP5031150B2 (ja) * 2001-06-08 2012-09-19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セパレーター
KR100599898B1 (ko) * 2002-08-28 2006-07-19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제 미다공막 및 그의 평가 방법
CN100368065C (zh) * 2004-09-08 2008-02-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聚烯烃微多孔膜的制作方法
KR100943235B1 (ko) * 2005-05-16 2010-02-1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압출혼련성과 물성이 우수한 고밀도폴리에틸렌 미세다공막및 그 제조방법
CN101208198A (zh) * 2005-06-24 2008-06-25 东燃化学株式会社 聚乙烯多层多微孔膜以及使用其的电池用隔板以及电池
CN101233176A (zh) * 2005-08-04 2008-07-30 东燃化学株式会社 聚乙烯微多孔膜及其制造方法以及电池用隔离件
JP5036245B2 (ja) * 2005-08-11 2012-09-26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JP5196752B2 (ja) * 2005-09-16 2013-05-15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用セパレータ
US10615388B2 (en) * 2006-03-22 2020-04-07 Celgard, Llc Membrane made of a blend of UHMW polyolefins
JP5202816B2 (ja) * 2006-04-07 2013-06-05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7872086B2 (en) * 2008-01-17 2011-01-18 Tonen Chemical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and its manufacture and use
US8715849B2 (en) * 2007-10-05 2014-05-06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Co., Ltd. Microporous polymer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425B1 (ko) 2014-04-08
US20120168976A1 (en) 2012-07-05
EP2367880A4 (en) 2012-05-30
EP2367880B1 (en) 2013-08-07
EP2367880A1 (en) 2011-09-28
US20100159230A1 (en) 2010-06-24
CN101747549B (zh) 2013-06-19
CN101747549A (zh) 2010-06-23
WO2010069216A1 (en) 2010-06-24
JP2012512283A (ja)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425B1 (ko)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4494638B2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TWI399295B (zh) 聚乙烯多層微多孔膜與使用它之電池用隔離材及電池
TWI399280B (zh) 聚烯烴微多孔膜之製法
CN101223216B (zh) 微孔高密度聚乙烯膜及其制备方法
KR100591061B1 (ko)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막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716249B1 (ko) 폴리올레핀 미세 다공막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44296B (zh) 聚烯烴微多孔膜及其製法、以及電池用隔離材與電池
KR102553501B1 (ko) 미다공막 제조 방법, 미다공막,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차 전지
WO1999021914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un film polyolefinique microporeux hautement permeable
CN101001904B (zh) 微孔高密度聚乙烯薄膜及其制造方法
KR20100082830A (ko) 폴리올레핀 미세 다공막, 그 제조 방법,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전지
KR101354708B1 (ko)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다성분계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리튬이차전지용 다성분계 분리막
JP3682120B2 (ja) 電池セパレーター用複合膜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ー
JP2003217554A (ja) 電池セパレーター用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KR100506159B1 (ko) 전지격리막용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8648179A (zh) 多层隔膜的制备方法
KR102064867B1 (ko) 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CN114207003A (zh) 聚烯烃微多孔膜、层叠体和电池
JP2021116375A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
JPWO2019189522A1 (ja)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JP4573920B2 (ja)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683632A (zh) 单向拉伸诱发生产微孔结构安全隔膜的方法
WO1998045358A1 (fr) Procede de production d'un film microporeux de polyolefine
KR100865449B1 (ko) 리튬이차전지용 다성분계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분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