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920A - 3차원 장식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장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920A
KR20110095920A KR1020117014882A KR20117014882A KR20110095920A KR 20110095920 A KR20110095920 A KR 20110095920A KR 1020117014882 A KR1020117014882 A KR 1020117014882A KR 20117014882 A KR20117014882 A KR 20117014882A KR 20110095920 A KR20110095920 A KR 20110095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decoration
cavity
mold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899B1 (ko
Inventor
이페스 빈클러
스떼웨 부르방
파스칼 그로쎈바허
Original Assignee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filed Critical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9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using means for protecting parts of a surface not to be coated, e.g. using stencils, res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03Selecting material
    • B21J1/006Amorphous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0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8Graduations on the crystal or glass, on the bezel, or on the rim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22Material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pocket watch or wrist watch ca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DAPPARATUS OR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OR MAINTAINING CLOCKS OR WATCHES
    • G04D3/00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DAPPARATUS OR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OR MAINTAINING CLOCKS OR WATCHES
    • G04D3/00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 G04D3/0002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 G04D3/0043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for components of the time-indicating mechanisms
    • G04D3/0048Watchmakers' or watch-repairers' machines or tools for working materials for mechanical working other than with a lathe for components of the time-indicating mechanisms for d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의 장식 방법으로서, a) 부재 (1, 11, 21, 31) 에의 장식 (5) 의 본딩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착 수단 (7) 을 포함하는 상기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장식 (5) 의 희망하는 두께를 갖는 마스크 (4) 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 (4') 를 갖는 마스크 (4) 를 제조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몰드 (4', 6, 6', 6", 100) 를 형성하도록, 장식할 위치에 대해 상기 마스크 (4) 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위치시키는 단계; d) 열간 성형에 의해 적어도 일부 아모퍼스인 재료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충전하는 단계; e) 마스크 (4) 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재의 장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장식 방법{METHOD FOR THREE-DIMENSIONAL DECORATION}
본 발명은 부재를 장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계 다이얼 (watch dial) 또는 베젤 (bezel) 과 같은 베이스나 기재에 융기부로서 장식을 형성하는 방법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장식과 베이스를 별개로 제조한 후 이들을 서로 고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베이스에 장식을 고정하기 위해, 본딩 (bonding), 납땜 또는 세팅 (setting)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단점이 없지 않다. 실제로, 우선 이들은 높은 레벨의 정밀도를 요한다. 이 정밀도는 장식이 종종 매우 작은 크기, 즉 밀리미터 정도라는 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장식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공구가 더 비싸지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장식의 크기에 따라 장식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를 맞추어야 한다.
더욱이, 이들 방법의 다른 단점은, 정밀해야 하는 조립 공정이 일반적으로 사람의 개입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해 단순히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 오차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프랑스 특허 제1,280,803호로부터, 다이얼에 장식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패턴 공동 (pattern cavities) 을 갖는 몰드를 다이얼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전기주조 (galvanoplasty) 를 통해 패턴 공동을 충전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나서, 몰드가 제거되어, 장식을 갖는 다이얼만이 남게 된다.
이 시스템의 단점 중 하나는 인덱스가 잘 고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인덱스는, 장식이 다이얼에 적절히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는 어떠한 수단도 없이, 다이얼의 표면에 형성된다.
더욱이, 정의에 따르면, 전기주조는 두꺼운 두께에 걸친 부재의 퇴적 (deposition) 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이 기술은 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덜 비싸고 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3차원 장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3차원 장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부재에의 장식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부재를 취하는 단계,
b) 장식의 희망하는 두께의 마스크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형성하도록, 장식할 위치에 대해 상기 마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위치시키는 단계,
d) 열간 성형에 의해 적어도 일부 아모퍼스인 재료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충전하는 단계,
e)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이 방법의 이점 중 하나는 간단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베이스나 기재 및 장식은 서로 조립되기 전에 개별적으로 미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장식은 상기 베이스에 조립됨과 동시에 제조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장식이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이점은, 매우 다양한 장식 형상을 만들 수 있고 또한 장식의 높이를 매우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마스크 수단의 이용이다. 실제로, 장식의 형상은 마스크의 개구의 형상에 직접 관련된다. 더욱이, 마스크의 두께가 대응하는 장식의 높이를 직접 결정한다. 따라서, 간단히 사용하는 마스크를 교체함으로써 장식의 형상을 수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다른 이점은 상기 방법이 베이스에 장식을 단단히 고정한다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아모퍼스 금속의 이용이고, 이로 인해 장식이 매우 정확히 될 수 있다. 실제로, 아모퍼스 금속이 상기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Tg) 와 결정화 온도 (Tx) 사이의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되는 때, 점도는 아모퍼스 조직의 상실없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아모퍼스 재료가 가압되는 몰드의 모든 세부에 정확히 부합할 수 있으므로, 아모퍼스 재료는 성형하기 더 용이해진다.
장식 방법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 3 및 5 내지 13 의 주제를 형성한다.
이들 실시형태의 이점 중 하나는, 베이스에 장식이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3차원 장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a) 부재에의 장식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부재를 취하는 단계,
b) 장식의 희망하는 두께의 마스크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형성하도록, 장식할 위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 개구를 위치시키는 단계,
d) 전기주조를 통해 재료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충전하는 단계,
e)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수단은 장식할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부재의 관통 공동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3차원 장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부재에의 장식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부재를 취하는 단계,
b) 장식의 희망하는 두께의 마스크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제조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형성하도록, 장식할 위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 개구를 위치시키는 단계,
d) 부재가 적어도 일부 아모퍼스가 되도록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충전하는 단계,
e)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비제한적인 예로써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의 (a) 내지 (e)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 의 (a) 내지 (e)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 의 (a) 내지 (e)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4 의 (a) 내지 (e)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제 1 대안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본 설명은 시계 다이얼용 3차원 장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예는 비제한적인 것이며, 본 방법이 시계 베젤 또는 3차원 장식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부재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1 의 (a) 내지 (e)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제 1 단계 a) 에서, 다이얼 (1) 이 제조된다. 이 다이얼 (1) 은 상면 (2) 및 저면 (3) 을 갖는다. 다이얼 (1) 은 금속이나 금속 합금 및/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재료 (세라믹이나 에나멜 등)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이얼 (1) 은 기계가공, 몰딩 또는 다른 기술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다이얼 (1) 의 상면 (2) 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즉 예컨대 엔진-선삭 (engine-turning) 또는 원형 그레이닝 (graining) 에 의한 편평한 또는 곡선형의 매끄러운 또는 조각진 (sculpted) 프로파일 (노치구비 프로파일 등) 을 가질 수 있다.
제 2 단계 b) 에서, 마스크 (4) 를 제조한 후, 다이얼 (1) 의 상면 (2) 위에 위치시킨다. 이 마스크 (4) 는 개구 (4') 를 갖는다. 이 개구 (4') 는 장래 장식 (5) 의 형상 및 두께를 규정한다. 또한, 마스크 (4) 는 일정하지 않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두께의 장식 (5) 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스크 (4) 를 다이얼 (1) 위에 위치시킬 때, 이는 마스크 (4) 의 개구 (4') 가 장식되어야 하는 다이얼 (1) 의 영역 위에 위치되도록 행해진다. 따라서, 개구 (4') 가 몰드를 형성하며, 이 몰드의 저부는 다이얼 (1) 에 의해 폐쇄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마스크 (4) 및 다이얼 (1) 의 형상 및 치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3 단계 (단계 c)) 에서, 다이얼 (1) 과 마스크 (4) 에 의해 형성된 몰드가 장식 (5) 을 형성하는 재료로 충전된다.
제 1 변형예에서, 개구 (4') 는 열간 성형에 의해 충전된다. 이 기술은 공간을 완전히 충전하여 장식 (5) 을 균질로 그리고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재료의 점도 개조를 이용한다.
그러므로, 예컨대 아모퍼스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예컨대 귀금속 또는 비귀금속 또는 금속 합금과 같은 재료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재료는 그의 융점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액체로 된 후, 빠르게 냉각된다. 따라서, 이는 원자들이 조직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아모퍼스 재료의 생성 동안, 후자는 프리폼으로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리폼은 제조될 부품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다. 이 예에서, 다이얼 (1) 에 형성되는 장식 (5) 은 다이얼 (1) 주위의 링형으로 배치되는 시간 심볼일 수 있다. 따라서, 아모퍼스 재료로 이루어진 프리폼은 환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폼의 폭은 적어도 시간 심볼의 폭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다이얼 (1) 은 핫 프레스 내에 위치된 후 마스크 (4) 에 의해 덮여지고, 개구 (4') 가 장식 (5) 을 수용할 위치 위에 놓인다. 아모퍼스 재료로 이루어진 프리폼이 마스크 (4) 위에 위치된다. 그리고나서, 전체 조립체를, 상기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Tg) 와 결정화 온도 (Tx) 사이의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 온도 간격 내에서, 아모퍼스 재료의 점도는 아모퍼스 조직의 상실없이 크게 감소한다. 그러면, 가압되는 몰드의 모든 세부까지 정확히 성형될 수 있으므로, 아모퍼스 재료는 성형하기 더 용이해진다.
일단 이 온도 간격에 도달하고 나면, 상기 주형을 충전하기 위해 압력이 가해지고, 그리고나서 재료는 아모퍼스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충분히 빠르게 냉각된다.
마스크 (4) 를 제거하기 전에, 표면 다듬질을 실시할 수 있다. 실제로, 장식 (5) 의 수직 벽의 다듬질은 마스크 (4) 의 벽 (4a) 을 똑바로 조각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장식 (5) 의 수평 표면의 다듬질은 임의의 잉여 재료를 제거한 후에 실시될 수 있고, 따라서 장식 (5) 의 다양한 표면 사이의 다듬질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다이얼 (1) 및 마스크 (4) 에 의해 형성되는 몰드는 전기주조에 의해 충전된다. 이 기술은 금속 장식 (5) 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금속 이온 염을 포함하는 욕이 사용된다. 열간 성형법에서처럼, 마스크 (4) 가 몰드를 형성하도록 다이얼 (1) 위에 위치되고, 이 몰드의 저부는 전기 전도성이 된다. 그리고나서, 다이얼 (1) 의 전도성 부분이 전극에 연결되고, 전체 조립체가 상기 욕에 담겨 진다. 그리고나서, 대전극 (counter-electrode) 을 이용하여, 전기주조 분해 (galvanoplastic electrolysis) 를 달성하도록 전류가 보내진다. 이 전기주조는 욕의 금속 이온이 다이얼 (1) 의 전도성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장식 (5) 을 형성한다. 물론, 전기주조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서의 어떠한 설명 없이도, 장식 (5) 의 재료 및 두께에 따라 파라미터를 수정할 것이다.
제 3 변형예에서, 장식 (5) 은 금속 주입 (metal injection) 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장식 (5) 을 생성하기 위해 몰드를 액체 금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 내에 다이얼 (1)-마스크 (4) 유닛이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금속은 적어도 유리 전이 온도 (Tg) 보다 더 높은 온도로 되고, 금속이 아모퍼스 조직을 갖도록 냉각된다. 그러면, 아모퍼스 조직에 의해, 결정질 조직을 갖는 금속에 비해 덜 응고 수축하게 된다.
제 4 단계 d) 는, 단계 c) 동안 퇴적된 임의의 잉여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행해질 수 있다. 이 퇴적된 잉여 재료는 래핑 (lapping) 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가능한 수단, 예컨대 화학 욕에 의해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e) 에서, 장식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다이얼 (1) 로부터 마스크 (4) 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면 (2) 에 장식 (5) 을 포함하는 다이얼 (1) 이 획득된다.
도 2 의 (a) 내지 (e)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에서, 단계 a) 는 장식될 다이얼 (11) 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이 실시형태는 다이얼 (11) 의 상면 (12) 에 공동 (6) 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공동 (6) 은 장식 (5) 을 형성하려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동 (6) 은 장식 (5) 보다 더 작은 구획 (section) 을 갖는다. 공동 (6) 은 장식 (5) 을 더 양호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착 수단 (7)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정착 수단 (7) 의 고정은 수직면에 대한 공동 (6) 의 벽 (6a) 의 경사에 따라 다소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 (6) 의 벽은 상기 수직면에 속하거나 또는 상기 수직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공동 (6) 의 벽 (6a) 의 경사가 다이얼 (11) 의 저면 (13) 을 향해 증가하는 구획을 형성한다면, 공동 (6) 내 정착 수단 (7) 은 더 양호한 질이 될 것이다. 실제로, 반대 상황은 양호한 정착 효율을 제공하지 않는다.
단계 b) 는, 몰드를 형성하기 위해, 마스크 (4) 를 다이얼 (11) 위에 위치시키지만, 공동 (6) 및 마스크 (2) 의 개구가 서로 소통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계 c) 에서, 상기 몰드는 상기 장식 (5) 및 정착 수단 (7) 을 형성하도록 충전된다. 이 정착 수단 (7) 은 공동 (6) 내에 형성되는 부분 (8) 을 포함한다. 이 부분 (8) 은 단계 c) 에서 퇴적되는 재료로 형성되고, 그러므로 그와 관련된 장식 (5) 과 단일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공동 (6) 의 벽 (6a) 의 형상이 장식 (5) 의 정착을 향상시킨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단계 d) 및 e) 는 모든 면에서 제 1 실시형태의 단계 d) 및 e) 와 동일하다. 따라서, 부분 (8) 이 제공된 장식 (5) 을 포함하는 상면 (12) 을 갖는 다이얼 (11) 이 획득된다.
도 3 의 (a) 내지 (e) 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에서, 단계 a) 는 장식될 다이얼 (21) 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이 실시형태는 다이얼 (21) 의 상면 (22) 에 공동 (6) 이 존재하고 다이얼 (21) 의 저면 (23) 에 구멍 (6') 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들 공동 (6, 6') 은 서로 소통하여, 개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멍 (6') 의 구획이 공동 (6) 의 구획보다 더 크다. 마찬가지로, 공동 (6) 의 깊이가 구멍 (6') 의 깊이보다 더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동 (6) 과 구멍 (6')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구획은 균일한 방식으로 변할 수 있고, 또는 구멍 (6') 은 공동 (6) 의 구획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계 b) 는, 제 2 실시형태에서처럼, 몰드를 형성하기 위해 마스크 (24) 의 개구 (4') 가 공동 (6) 및 부수적으로는 구멍 (6') 과 소통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마스크 (4) 를 다이얼 (21) 위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단계 b) 는, 실질적으로 저면 (23) 의 높이에서 상기 몰드의 일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9) 위에 다이얼 (21) 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계 c) 는 각각의 몰드, 즉 개구 (4'), 공동 (6) 및 구멍 (6') 을 충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의 정착 수단 (7) 은 공동 (6) 과 구멍 (6') 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 (8') 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이전의 실시형태보다 더 효과적인데, 공동 (6) 과 구멍 (6') 사이에 존재하는 숄더부가 장식 (5) 의 정착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단계 d) 는 이전의 실시형태들의 단계 d) 와 동일하다. 단계 e) 는 마스크 (4) 및 폐쇄 수단 (9) 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분 (8') 이 제공된 장식 (5) 을 포함하는 상면 (22) 을 갖는 다이얼 (21) 이 획득된다.
도 4 의 (a) 내지 (e) 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에서, 단계 a) 는 관통 공동 (6") 을 갖는 다이얼 (31) 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계 b) 는 제 3 실시형태의 단계 b) 와 동일하고, 즉 몰드를 형성하기 위해 마스크 (4) 를 폐쇄 수단 (10) 위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수단 (10) 은, 다이얼 (31) 이 수단 (10) 위에 위치되는 때에 공동 (6") 과 소통하는 중공부 (100) 를 포함한다. 이 중공부 (100) 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즉 똑바른 또는 경사진 측면 (100a) 을 가질 수 있다. 중공부 (100) 의 구획이 공동 (6") 의 구획보다 더 큰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장식 (5) 을 위한 각각의 몰드는 마스크 (4) 의 개구 (4'), 공동 (6") 및 중공부 (100)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단계 c) 는, 장식 (5) 을 형성하는 재료로 몰드를 충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전처럼, 개구 (4'), 마스크 (4), 공동 (6") 및 중공부 (100) 가 충전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장식 (5) 을 고정시키지만, 2 개의 다른 측을 통해 그리고 2 개의 다른 구획으로 다이얼 (31) 을 뚫어야 한다는 단점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 정착 수단 (7) 이 부분 (8") 및 폐쇄 수단 (10) 을 포함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렇지만, 단계 c) 동안 단지 다이얼 (31) 을 운반하기 위해 지지부 (10) 가 사용되는 대안에서는, 정착 수단 (7) 이 이 지지부 (10) 를 또한 포함한다.
선택적인 단계 d) 는 이전의 모든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다.
단계 e) 는 제 3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고, 즉 마스크 (4) 및 폐쇄 수단 (10) 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분 (8") 이 제공된 장식 (5) 을 포함하는 상면 (32) 을 갖는 다이얼 (31) 이 획득되고, 상기 부분 (8") 의 일부가 다이얼 (31) 의 저면 (33) 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면, 돌출부가 다이얼 (31) 을 위한 피트 (feet) 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렇지만, 단계 e) 의 대안은 다이얼 (31) 로부터 지지부 (10) 를 분리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분 (8") 이 제공된 장식 (5) 을 갖는 상면 (32) 및 폐쇄 수단 (10) 을 구비하는 다이얼 (31) 이 획득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분명한 다양한 수정 및/또는 개선 및/또는 조합이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공동 (6, 6") 또는 구멍 (6') 에 부가적인 정착 수단 (7), 예컨대 범프 (bump) 형태의 부가적인 정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범프는 벽 (6a) 에 또는 공동 (6) 의 바닥에 위치된다. 범프는 더 효과적인 정착을 제공하도록 장식 (5) 과 동일한 재료로 충전된다.
또한, 단계 c) 에서 행해지는 충전 작업이 인용된 방법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재료 충전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도 물론 명백하다.

Claims (13)

  1.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재에의 장식 (5) 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착 수단 (7) 을 포함하는 부재 (1, 11, 21, 31) 를 취하는 단계,
    b) 장식 (5) 의 희망하는 두께의 마스크 (4) 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 (4') 를 갖는 마스크 (4) 를 제조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몰드 (4', 6, 6', 6") 를 형성하도록, 장식할 위치에 대해 상기 마스크 (4) 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위치시키는 단계,
    d) 열간 성형을 통해 적어도 일부 아모퍼스인 재료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충전하는 단계,
    a) 마스크 (4) 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2.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재에의 장식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착 수단 (7) 을 포함하는 부재 (1, 11, 21, 31) 를 취하는 단계,
    b) 장식 (5) 의 희망하는 두께의 마스크 (4) 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 (4') 를 갖는 마스크 (4) 를 제조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몰드 (4', 6, 6', 6", 100) 를 형성하도록, 장식할 위치에 대해 상기 마스크 (4) 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위치시키는 단계,
    d) 부재 (1, 11, 21, 31) 가 적어도 일부 아모퍼스가 되도록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충전하는 단계,
    b) 마스크 (4) 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수단 (7) 은 장식할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부재의 공동 (6, 6', 6")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8, 8', 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4.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에 있어서,
    e) 상기 부재에의 장식 (5) 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착 수단 (7) 을 포함하는 부재 (1, 11, 21, 31) 를 취하는 단계,
    f) 장식 (5) 의 희망하는 두께의 마스크 (4) 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 (4') 를 갖는 마스크 (4) 를 제조하는 단계,
    g) 적어도 하나의 몰드 (4', 6, 6', 6") 를 형성하도록, 장식할 위치에 대해 상기 마스크 (4) 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위치시키는 단계,
    h) 전기주조를 통해 재료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충전하는 단계,
    c) 마스크 (4) 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 수단 (7) 은 장식할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부재의 관통 공동 (6, 6', 6")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8, 8', 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의 구획은 상기 마스크 (4) 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구획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은 관통 공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의 구획이 균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8. 제 6 항에 종속하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의 구획이 상기 부재의 저면 (23, 33) 에서보다 상기 부재의 상면 (22, 23) 에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31) 는 지지부 (100) 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가 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 (6") 과 소통하도록 폐쇄 수단 (10)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 d) 와 단계 e) 사이에, 장식 (5) 의 상면이 상기 마스크 (4) 의 상면과 정렬되도록 잉여 충전 재료를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단계 f)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식 (5) 의 다른 표면이 동일한 표면 상태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시계 다이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시계 베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 11, 21, 31) 의 장식 방법.
KR1020117014882A 2008-11-28 2009-11-26 3차원 장식 방법 KR101422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20713.7 2008-11-28
EP08020713A EP2192454A1 (fr) 2008-11-28 2008-11-28 Procédé de décoration tridimensionnelle
PCT/EP2009/065910 WO2010060959A1 (fr) 2008-11-28 2009-11-26 Procédé de décoration tridimensionn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920A true KR20110095920A (ko) 2011-08-25
KR101422899B1 KR101422899B1 (ko) 2014-07-23

Family

ID=4067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882A KR101422899B1 (ko) 2008-11-28 2009-11-26 3차원 장식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999217B2 (ko)
EP (2) EP2192454A1 (ko)
JP (1) JP5416216B2 (ko)
KR (1) KR101422899B1 (ko)
CN (1) CN102265226B (ko)
HK (1) HK1164471A1 (ko)
WO (1) WO2010060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0353A1 (fr) * 2010-06-22 2011-12-2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iguille de pièce d'horlogerie
US9108279B2 (en) 2010-06-22 2015-08-1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ethod of assembling a part
EP2400354A1 (fr) * 2010-06-22 2011-12-2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ieds de cadran de pièce d'horlogerie
EP2549341A1 (fr) 2011-07-20 2013-01-23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édé pour implanter un décor dans un élément d'habillage horloger déposé par galvanoplastie et élément d'habillage réalisé selon ce procédé
EP2628607B1 (fr) * 2012-02-15 2016-08-03 Omega SA Dispositif d'ancrage d'une incrustation métallique
EP2725000B1 (fr) * 2012-10-24 2019-08-28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Céramique sélectivement conductrice et revêtue d'un matériau métallique
CN103383537A (zh) * 2013-07-09 2013-11-06 玄旼暻 表圈及其制造方法
EP2835698A1 (fr) * 2013-08-07 2015-02-11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Élément d'habillage avec coiffe en verre métallique
JP6135610B2 (ja) * 2014-06-30 2017-05-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植字固定方法、植字固定構造及び時計
EP3185086B1 (fr) * 2015-12-21 2019-06-12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pplique de cadran d'une pièce d'horlogerie
EP3220208A1 (fr) * 2016-03-14 2017-09-20 Nivarox-FAR S.A. Composant d'affichage d'horlogerie economique
CH712475A2 (fr) * 2016-05-19 2017-11-30 Swatch Group Res & Dev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pour l'horlogerie dotée d'un élément d'habillage creux ou en relief.
CH712474A2 (fr) 2016-05-19 2017-11-30 Swatch Group Res & Dev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pour l'horlogerie dotée d'un élément d'habillage en relief.
EP3339979B1 (fr) * 2016-12-20 2023-12-06 Montres Jaquet Droz SA Cadran de montre à decor tridimensionnel
CN107329390B (zh) * 2017-07-27 2023-06-16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高温珐琅表盘及其制作方法
EP3502789A1 (fr) 2017-12-20 2019-06-26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élément tridimensionnel sur un composant horloger
US20200338809A1 (en) 2017-12-20 2020-10-29 Eta Sa Manufacture Horlogere Suisse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al comprising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element
CH714721B1 (fr) * 2018-03-06 2023-12-29 Nivarox Far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applique diamantée d'horlogerie.
CN108436383B (zh) * 2018-05-29 2021-10-01 新乡市长城铸钢有限公司 一种铸件标识号的焊接方法
EP3587625A1 (fr) * 2018-06-28 2020-01-01 Comadur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e pièces décoratives
EP3712712B1 (fr) * 2019-03-18 2021-10-20 Montres Jaquet Droz SA Cadran d'une piece d'horlogerie pourvu d'un decor tridimensionnel
EP3786722A1 (fr) 2019-08-27 2021-03-03 Comadur S.A. Procede de decoration d'une piece mecanique
EP3839659B1 (fr) * 2019-12-16 2024-04-03 Rubattel et Weyermann S.A. Procédé de décoration d'une pièce mécanique
EP4307053A1 (fr) 2022-07-13 2024-01-17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mposant horlog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14708A (fr) * 1952-10-23 1956-06-30 Seiler Max A Procédé de formation de signes ou dessins sur la surface interne du verre de pièces d'horlogerie
CH338149A (fr) * 1958-09-08 1959-04-30 Quinche Alber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adran et cadran obtenu par ce procédé
DE1250369B (de) * 1960-12-01 1967-09-14 Andre Vogt, La Chaux-de-Fonds (Schwei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lirenzifferblättern mit Reliefzeichen sowie Matriz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191592B (de) * 1960-12-19 1965-04-22 Continental Elektro I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eichen-, insbesondere Teilungs-Traegern
CH395870A (fr) * 1962-07-24 1964-07-31 Huguenin & Ci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adran d'horlogerie
GB2027636B (en) * 1978-03-29 1982-03-17 Shortland Bowen Instr Method of forming raised figures on dial plate
JPS6137998A (ja) * 1984-07-27 1986-02-22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時計文字板の製造方法
JPS6235282A (ja) * 1985-08-09 1987-02-16 Citizen Watch Co Ltd 時計用文字板
FR2661136B1 (fr) * 1990-04-18 1992-08-21 Fraporlux Sa Procede de realisation de motifs metalliques en relief sur une surface vernissee et polie.
JPH04124246A (ja) * 1990-09-13 1992-04-24 Alps Electric Co Ltd 時計の文字盤
EP1035453B1 (fr) * 1999-03-05 2004-06-02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Cadran comportant des brillants, appliques ou autres éléments rapportés et procédé de fixation de ces éléments sur un tel cadran
US6669793B2 (en) * 2000-04-24 2003-12-3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structure controlled shear band pattern formation in ductile metal/bulk metallic glass matrix composites prepared by SLR processing
WO2004047582A2 (en) * 2002-11-22 2004-06-10 Liquidmetal Technologies, Inc. Jewelry made of precious amorphous metal and method of making such articles
US7134784B1 (en) * 2003-12-31 2006-11-14 James Marin Rotating bezel watch
JP2008275522A (ja) * 2007-05-01 2008-11-13 Seiko Epson Corp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2385A (ja) 2012-05-31
US9669424B2 (en) 2017-06-06
US20110236580A1 (en) 2011-09-29
CN102265226A (zh) 2011-11-30
HK1164471A1 (en) 2012-09-21
EP2370865B1 (fr) 2022-01-26
US20150352593A1 (en) 2015-12-10
EP2192454A1 (fr) 2010-06-02
CN102265226B (zh) 2014-06-04
JP5416216B2 (ja) 2014-02-12
US20150316893A1 (en) 2015-11-05
US9694386B2 (en) 2017-07-04
WO2010060959A1 (fr) 2010-06-03
KR101422899B1 (ko) 2014-07-23
EP2370865A1 (fr) 2011-10-05
US8999217B2 (en)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899B1 (ko) 3차원 장식 방법
TWI473727B (zh) 藉鑲嵌形成的裝飾片
KR20160075360A (ko) 타임피스 또는 장신구 피스용 장식 엘리먼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엘리먼트
CN109275997A (zh) 用于制造装饰件的方法
TWI764125B (zh) 裝飾機械零件之方法
JP6343701B2 (ja) 凹んでいる又は隆起した外側要素を備える計時器を製造する方法
JP6310595B2 (ja) 隆起した外側要素を有する計時器を製造する方法
JP2014525039A (ja) 電鋳によって蒸着された時計の外側要素に装飾品を嵌め込む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作製される外側要素
KR102491225B1 (ko) 인레잉으로 제조된 장식 부품
KR20200138809A (ko) 장식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678383A (en) Process of metal ornamentation.
CH699993A2 (fr) Procede de decoration tridimensionnelle.
CN112987536A (zh) 用于装饰机械部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